KR20130113285A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285A
KR20130113285A KR1020120035739A KR20120035739A KR20130113285A KR 20130113285 A KR20130113285 A KR 20130113285A KR 1020120035739 A KR1020120035739 A KR 1020120035739A KR 20120035739 A KR20120035739 A KR 20120035739A KR 20130113285 A KR20130113285 A KR 20130113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input
screen image
drag
scrolling
bas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753B1 (ko
Inventor
김범배
윤혜정
손주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5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753B1/ko
Priority to US13/734,842 priority patent/US9772762B2/en
Publication of KR20130113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스크린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입력 속도를 검출하는 감지부; 및 상기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되,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정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단말기는 객체들, 예를 들어, 아이콘, 위젯,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들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객체들은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이동되거나, 디스플레이부에서 사라질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드래그 입력이 이용되며, 제어부는 인가되는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제어부는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함에 따라, 객체들을 이동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부는 인가되는 드래그 입력의 터치 지점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터치 지점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한다. 그러나 이때, 사용자에게는 손가락의 빠른 움직임에 비해 스크린 이미지의 스크롤링에 의한 스크린 이미지의 전환이 느리게 느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 이미지의 스크롤링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스크린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입력 속도를 검출하는 감지부; 및 상기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되,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정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드래그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개시부터 해제 시까지의 지속 시간 및 드래그된 길이에 근거하여 드래그 입력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개시 지점 및 해제 지점에 근거하여,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해제 지점에 근거하여 제 1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 속도에 근거하여 제 2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의 합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의 합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 속도가 상기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스크롤링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 정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이미지는 제 1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 2 베이스 영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이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으로 전환될 때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을 상기 드래그 입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이 이동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이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으로 전환될 때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 및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에 포함된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이 기준 길이에 대응하는 만큼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방향의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 각각에 대한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 각각에 대한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이 서로 다가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 각각에 대한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홈 스크린(home screen), 독 스크린(dock screen), 커버 플로우(cover flow), 웹 페이지(web page) 및 리스트(lis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스크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스크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입력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되,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드래그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입력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개시부터 해제 시까지의 지속 시간 및 드래그된 길이에 근거하여 드래그 입력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드래그 입력의 개시 지점 및 해제 지점에 근거하여,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해제 지점에 근거하여 제 1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입력 속도에 근거하여 제 2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의 합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이미지는 제 1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 2 베이스 영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이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으로 전환될 때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을 상기 드래그 입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이 이동되는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는 드래그 입력의 터치 지점 외에도 드래그 입력 속도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가락이 빠르게 움직이더라도 스크린 이미지가 빠른 속도를 반영하여 스크롤링됨에 따라, 사용자는 스크린 이미지를 손가락이 밀고 가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크린 이미지의 스크롤링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 1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 2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 3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 4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 5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 6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 7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 8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 9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터(naviga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110~190)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121)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등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통화 모드에서 마이크(122)에 의해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 및 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위치, 방위, 가속, 감속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감지부(140)는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부(151)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으로 호칭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것에 대응하는 신호들은 터치 제어기(미도시됨)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처리된 신호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감지 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감지 대상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근접 센서(141)로 분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감지 대상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 대상이 터치 스크린상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 감지 대상이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의 유무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이러한 근접 터치 유무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에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킨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된 영상, 수신된 영상, UI 또는 GUI 등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그것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할 수 있는데,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에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고 칭함)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필기 입력 및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선택하는 패턴 선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들(processors), 제어기들(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들(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촉각을 이용하여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각 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3차원 입체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고 호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가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롤(scroll)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실행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2a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일 측면이 도시되고, 도 2b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및 타 측면이 도시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본체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 도 1 참조),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된 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위치하고, 타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 1 사용자 입력부(131) 및 마이크(122)가 위치한다. 제 2 사용자 입력부(132) 및 인터페이스(170)는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조작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조작 유닛들(131, 132)은 다양한 명령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선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 즉, 리어 케이스(102)에는 후면 카메라(121´)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는 전면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갖고, 전면 카메라(121)와 다른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121)는 저 화소를 갖도록 구성되고,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통화 시에 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대방에 전송하는 경우 전송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반면,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질의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들(121, 1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되도록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 및 거울(124) 후면 카메라(121´)에 인접하는 곳에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낸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을 비춘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후면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후면 음향 출력부(152´)는 전면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화 시에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화를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구성하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본체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 도 2a 참조)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135)에도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후면 디스플레이부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전면 디스플레이부(151) 및 후면 디스플레이부 양면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터치 패드(13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객체들, 예를 들어, 아이콘, 위젯,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들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객체들은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이동되거나,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사라질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드래그 입력이 이용되며, 제어부(180)는 인가되는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함에 따라, 객체들을 이동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부(180)는 인가되는 드래그 입력의 터치 지점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터치 지점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한다. 그러나 이때, 사용자에게는 손가락의 빠른 움직임에 비해 스크린 이미지의 스크롤링에 의한 스크린 이미지의 전환이 느리게 느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스크린 이미지의 스크롤링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100)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 도 1 참조),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스크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단계(S11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스크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부(151)는 홈 스크린(home screen), 독 스크린(dock screen), 커버 플로우(cover flow), 웹 페이지(web page) 및 리스트(lis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스크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객체는 아이콘(icon), 위젯(widget),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가 스크린 이미지에 배치되는 위치는 사용자 또는 제어부(180)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단계(S12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스크린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스크린 이미지를 다른 스크린 이미지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반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은 일 방향으로 인가되는 드래그 입력, 플리크 입력 및 슬라이드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기 설정된 다양한 방식의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드래그 입력을 예로 들어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이후,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입력 속도가 검출되는 단계(S13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40)는 드래그 입력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부(140)는 드래그 입력의 개시부터 해제 시까지의 지속 시간 및 드래그된 길이에 근거하여 드래그 입력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감지부(140)는 드래그 입력의 개시 지점 및 해제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감지부(140)는 드래그 입력의 개시 지점 및 해제 지점에 근거하여, 드래그 입력의 지속 시간, 드래그된 길이 및 드래그 입력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가 스크롤링되는 단계(S14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검출된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해제 지점에 근거하여 제 1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고, 드래그 입력 속도에 근거하여 제 2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의 합에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드래그 입력 속도가 0에 가까울수록, 제 2 스크롤링 길이도 0에 수렴할 수 있다. 스크린 이미지는,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스크롤링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 속도에 관계 없이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를 모두 고려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도 있고, 드래그 입력 속도에 따라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의 합에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고, 드래그 입력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인 경우, 제 1 스크롤링 길이에만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터치 지점 외에도 드래그 입력 속도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가락이 빠르게 움직이더라도 스크린 이미지가 빠른 속도를 반영하여 스크롤링됨에 따라, 사용자는 스크린 이미지를 손가락이 밀고 가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크린 이미지의 스크롤링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제 1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200)에 대한 스크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홈 스크린(200)에 대한 스크린 이미지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수에 따라 복수의 베이스 영역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베이스 영역(210, 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이미지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제 1 베이스 영역(210)이 복수의 베이스 영역들 중에서 몇 번째 베이스 영역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40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스크린 이미지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80)에 의해 미리 설정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이 고정되어 표시되는 독 스크린(30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독 스크린(300)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은,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제 1 베이스 영역(210)이 제 2 베이스 영역(220)으로 전환되더라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홈 스크린(200)의 a 지점에서 b 지점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베이스 영역(210, 220)이 함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베이스 영역(210)이 드래그 입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2 베이스 영역(220)의 일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드래그된 길이 및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제 1 베이스 영역(210)이 이동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해제 지점, 예를 들어, b 지점에 근거하여 제 1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고, 드래그 입력 속도에 근거하여 제 2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의 합에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래그된 길이에 비해, 제 1 베이스 영역(210)이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이동된 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다.
이후, 홈 스크린(200)의 b 지점에서 c 지점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 영역(210)이 드래그 입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더 이동되면서, 제 2 베이스 영역(220)의 더 많은 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해제 지점, 예를 들어, c 지점에 근거하여 제 1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고, 드래그 입력 속도에 근거하여 제 2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의 합에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래그된 길이에 비해, 제 1 베이스 영역(210)이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이동된 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홈 스크린(200)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드래그된 길이 및 드래그 입력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 1 베이스 영역(210)이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사라지고, 제 2 베이스 영역(220)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제 2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200)에 대한 스크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홈 스크린(200)의 a 지점에서 b 지점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베이스 영역(210, 220)이 함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베이스 영역(210)이 드래그 입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2 베이스 영역(220)의 일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의 합에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고, 드래그 입력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인 경우, 제 1 스크롤링 길이에만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즉, 드래그 입력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인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해제 지점, 예를 들어, b 지점에 근거하여 제 1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고, 제 1 스크롤링 길이에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래그된 길이와 제 1 베이스 영역(210)이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이동된 길이가 대응하게 된다.
이후, 홈 스크린(200)의 b 지점에서 c 지점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 영역(210)이 드래그 입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더 이동되면서, 제 2 베이스 영역(220)의 더 많은 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해제 지점, 예를 들어, c 지점에 근거하여 제 1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고, 제 1 스크롤링 길이에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래그된 길이와 제 1 베이스 영역(210)이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이동된 길이가 대응하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제 3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200)에 대한 스크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 1 베이스 영역(210)은 사각형 형상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홈 스크린(200)의 a 지점에서 b 지점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베이스 영역(210, 220)이 함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베이스 영역(210)을 드래그 입력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제 1 베이스 영역(210) 및 제 1 베이스 영역(210)에 포함된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제 1 베이스 영역(210)의 모서리들 중 제 2 베이스 영역(220)과 인접한 제 1 모서리의 길이가 제 1 모서리와 마주보는 제 2 모서리보다 더 길어지도록, 제 1 모서리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베이스 영역(210)은 드래그 입력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사각형 형상에서 사다리꼴 형상으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며, 제어부(180)는 제 1 베이스 영역(210)의 형상이 변경됨에 따라, 제 1 베이스 영역(210)에 포함되는 객체들의 모양도 함께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해제 지점, 예를 들어, b 지점에 근거하여 제 1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고, 드래그 입력 속도에 근거하여 제 2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의 합에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베이스 영역(210)이 기준 길이에 대응하는 만큼 이동되는 경우, 제 1 베이스 영역(210)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표시될 수도 있다.
이후, 홈 스크린(200)의 b 지점에서 c 지점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 영역(210)이 드래그 입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더 이동되면서, 제 2 베이스 영역(220)의 더 많은 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해제 지점, 예를 들어, c 지점에 근거하여 제 1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고, 드래그 입력 속도에 근거하여 제 2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며,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의 합에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베이스 영역(210, 220) 중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부분이 더 많은 베이스 영역을 다른 베이스 영역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제 2 베이스 영역(220)이 제 1 베이스 영역(210)보다 출력되는 부분이 더 많은 경우, 제어부(180)는 제 2 베이스 영역(220)을 제 1 베이스 영역(210)보다 더 크게 표시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제 4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 스크린(300)에 대한 스크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독 스크린(300)에 대한 스크린 이미지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80)에 의해 미리 설정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의 수에 따라 복수의 베이스 영역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베이스 영역(31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 스크린(200)에 대한 스크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홈 스크린(200)에 포함되는 아이콘들은,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독 스크린(300)의 제 1 베이스 영역(310)이 제 2 베이스 영역(320)으로 전환되더라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독 스크린(300)의 a 지점에서 b 지점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베이스 영역(310, 320)이 함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베이스 영역(310)이 드래그 입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2 베이스 영역(320)의 일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드래그된 길이 및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제 1 베이스 영역(310)이 이동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해제 지점, 예를 들어, b 지점에 근거하여 제 1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고, 드래그 입력 속도에 근거하여 제 2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의 합에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래그된 길이에 비해, 제 1 베이스 영역(310)이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이동된 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다.
이후, 독 스크린(300)의 b 지점에서 c 지점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 영역(310)이 드래그 입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더 이동되면서, 제 2 베이스 영역(320)의 더 많은 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의 해제 지점, 예를 들어, c 지점에 근거하여 제 1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고, 드래그 입력 속도에 근거하여 제 2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며,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의 합에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래그된 길이에 비해, 제 1 베이스 영역(310)이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이동된 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다.
도 8a, 도 8b, 도 9a, 도 9b, 도 10a 및 도 10b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제 5 내지 제 7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페이지에 대한 스크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의 a 지점에서 b 지점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이미지가 드래그 입력 방향으로 스크롤링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드래그된 길이 및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스크롤링 정도를 나타내는 스크롤 바(scroll bar)(152)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드래그된 길이 및 드래그 입력 속도에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가 스크롤링됨에 따라, 드래그된 길이에 비해, 스크롤 바(152)가 이동된 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다.
또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에 대한 스크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리스트의 a 지점에서 b 지점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이미지가 드래그된 길이 및 드래그 입력 속도에 근거하여, 드래그 입력 방향으로 스크롤링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크린 이미지는 드래그 입력의 역방향으로 스크롤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된 문자 메시지 내역에 대한 스크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상태에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스크린 이미지가 드래그 입력의 역방향으로 스크롤링될 수 있다.
또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로우에 대한 스크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커버 플로우의 a 지점에서 b 지점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이미지가 드래그 입력 방향으로 스크롤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로우에 포함되는 제 1 객체(C)가 정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객체 하나의 길이만큼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드래그 입력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제 2 객체(D)를 넘어 제 3 객체(E)가 정면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드래그 입력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드래그된 길이 및 드래그 입력 속도에 근거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객체(C)가 정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객체 하나의 길이만큼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고 드래그 입력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인 경우, 제 2 객체(D)가 정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즉, 드래그 입력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인 경우,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 속도는 고려하지 않고, 드래그된 길이만 고려하여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제 8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화면에 대한 스크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스크롤 바(15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스크롤 바(153)의 a 지점에서 b 지점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드래그된 길이 및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정도를 결정하고, 스크롤 바(153)의 포인터를 b 지점이 아닌 c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스크롤 바(153)의 포인터 위치, 즉, c 지점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제 9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 감지부(14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서로 다른 방향의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 각각에 대한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스크린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핀치-인(pinch-in)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즉,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 각각에 대한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스크린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80)는 핀치-아웃(pinch-out)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즉,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이 서로 다가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 각각에 대한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스크린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즉,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상태에서, 스크린 이미지에 대한 a 지점에서 b 지점을 향하는 제 1 드래그 입력 및 a' 지점에서 b' 지점을 향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 각각에 대한 드래그된 길이 및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스크린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의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인 경우,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 속도를 고려하지 않고,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 각각에 대한 드래그된 길이만을 이용하여 스크린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스크린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입력 속도를 검출하는 감지부; 및
    상기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되,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정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드래그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개시부터 해제 시까지의 지속 시간 및 드래그된 길이에 근거하여 드래그 입력 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개시 지점 및 해제 지점에 근거하여,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해제 지점에 근거하여 제 1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 속도에 근거하여 제 2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의 합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의 합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 속도가 상기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스크롤링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 정도를 나타내는 스크롤 바(scroll bar)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이미지는 제 1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 2 베이스 영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이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으로 전환될 때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을 상기 드래그 입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이 이동되는 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이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으로 전환될 때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 및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에 포함된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모양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이 기준 길이에 대응하는 만큼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투명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방향의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 각각에 대한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 각각에 대한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이 서로 다가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드래그 입력 각각에 대한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홈 스크린(home screen), 독 스크린(dock screen), 커버 플로우(cover flow), 웹 페이지(web page) 및 리스트(lis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스크린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스크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입력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되,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드래그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입력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개시부터 해제 시까지의 지속 시간 및 드래그된 길이에 근거하여 드래그 입력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입력의 개시 지점 및 해제 지점에 근거하여,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해제 지점에 근거하여 제 1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입력 속도에 근거하여 제 2 스크롤링 길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링 길이의 합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 이미지를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이미지는 제 1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스크롤링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 2 베이스 영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이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으로 전환될 때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을 상기 드래그 입력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드래그 입력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이 이동되는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20035739A 2012-04-05 2012-04-0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86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739A KR101886753B1 (ko) 2012-04-05 2012-04-0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3/734,842 US9772762B2 (en) 2012-04-05 2013-01-04 Variable scale scrolling and resizing of displayed images based upon gesture spe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739A KR101886753B1 (ko) 2012-04-05 2012-04-0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285A true KR20130113285A (ko) 2013-10-15
KR101886753B1 KR101886753B1 (ko) 2018-08-08

Family

ID=4929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739A KR101886753B1 (ko) 2012-04-05 2012-04-0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72762B2 (ko)
KR (1) KR101886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6676A (ko) * 2013-10-22 2015-04-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표시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3514B2 (en) * 2012-03-08 2015-04-21 John F. Bochniak Variable speed autoscroll system and method
KR20140058212A (ko) * 2012-11-06 2014-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JP6128533B2 (ja) * 2012-12-21 2017-05-1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装置
KR102117086B1 (ko) * 2013-03-08 2020-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조작 방법
JP2015088180A (ja) * 2013-09-25 2015-05-07 アークレイ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EP3063611B1 (de) * 2013-10-29 2020-09-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passen des inhaltes einer statusleiste
CN104063153B (zh) * 2014-05-04 2018-12-11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实现人机交互的方法和装置
USD757047S1 (en) * 2014-07-11 2016-05-24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166494B (zh) * 2014-08-01 2018-04-0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页面控制方法及装置
USD795916S1 (en) 2014-08-19 2017-08-29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EP3194126B1 (en) * 2014-09-18 2019-11-06 Koninklijke Philips N.V. Adjustment drive and adjustable spacing comb
USD800758S1 (en) 2014-09-23 2017-10-24 Seasonal Specialties, Llc Computer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lighting
KR102252506B1 (ko) * 2014-09-26 2021-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D788788S1 (en) 2014-11-18 2017-06-06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6315S1 (en) * 2014-11-28 2016-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636506B (zh) * 2015-03-13 2016-09-28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在智能终端中添加主页的方法和装置
KR20170020998A (ko) * 2015-08-17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5511761B (zh) * 2015-11-27 2019-02-19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页面内容的显示方法与装置
US10254900B2 (en) * 2016-02-18 2019-04-09 Tufts University Drifting keyboard
CN105975189A (zh) * 2016-04-29 2016-09-28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移动设备触屏滑动方法及系统
CN106462342B (zh) * 2016-09-29 2019-01-11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导航方法及指纹导航信号产生的装置
US10891044B1 (en) * 2016-10-25 2021-01-12 Twitter, Inc. Automatic positioning of content items in a scrolling display for optimal viewing of the items
CN108132783A (zh) * 2016-11-30 2018-06-08 深圳联友科技有限公司 一种Web App的配置方法及装置
US11068155B1 (en) 2016-12-30 2021-07-20 Dassault Systemes Solidworks Corporation User interface tool for a touchscreen device
CN108701001B (zh) * 2017-06-30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图形用户界面的方法及电子设备
CN107783714B (zh) * 2017-10-13 2021-03-23 北京乐蜜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页面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388393B (zh) 2018-01-02 2020-08-2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移动终端点击事件的识别方法和装置
USD958164S1 (en) * 2018-01-08 202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92131S1 (en) * 2018-03-16 2020-08-04 Magic Leap, Inc. Display panel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8491143B (zh) * 2018-03-23 2020-06-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象移动控制方法和移动终端
CN109085984B (zh) * 2018-06-29 2019-10-18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信息流展示面板的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8961165B (zh) * 2018-07-06 2021-03-09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用于加载图像的方法和装置
KR20200133945A (ko) * 2019-05-21 2020-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페이지를 고속 스크롤하는 방법
JP1654648S (ko) * 2019-07-05 2020-03-09
JP1654589S (ko) * 2019-07-05 2020-03-09
JP1654588S (ko) * 2019-07-05 2020-03-09
USD941834S1 (en) * 2019-10-11 2022-01-25 Bublup,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
CN111221460A (zh) * 2019-10-30 2020-06-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内容滚动显示方法及电子设备
CA3157612A1 (en) * 2019-11-07 2021-05-14 Vera BLAU-MCCANDLISS Speech synthesizer with multimodal blending
USD937849S1 (en) * 2020-03-20 2021-12-07 Vyaire Medical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mmunicating health-related messages regarding ventilated patients
USD937864S1 (en) * 2020-03-20 2021-12-07 Vyaire Medical,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mmunicating health-related messages regarding ventilated patients
USD938469S1 (en) 2020-03-20 2021-12-14 Vyaire Medical,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mmunicating health-related messages regarding ventilated patients
JP2022012116A (ja) * 2020-07-01 2022-01-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393726A1 (en) * 2022-06-02 2023-12-07 Shopif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condensable user interf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2335A1 (en) * 2006-09-11 2009-01-01 Imran Chaudhri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based browsers
KR20100136156A (ko) * 2009-06-18 2010-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스크롤 방법 및 장치
US20110202834A1 (en) * 2010-02-12 2011-08-18 Microsoft Corporation Visual motion feedback for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9122B2 (en) *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US7168048B1 (en) * 1999-03-24 2007-01-2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implementing a layered object windows
US7728821B2 (en) * 2004-08-06 2010-06-01 Touchtable, Inc. Touch detecting interactive display
US20060277488A1 (en) * 2005-06-07 2006-12-07 Eastman Kodak Company Information presentation on wide-screen displays
US20090210820A1 (en) * 2006-05-11 2009-08-20 Takao Adachi Display object layout changing device
TW200805131A (en) * 2006-05-24 2008-01-16 Lg Electronics Inc Touch screen device and method of selecting files thereon
USD615989S1 (en) * 2007-06-28 2010-05-18 Apple Inc.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USD613300S1 (en) * 2007-06-28 2010-04-06 Apple Inc.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USD609715S1 (en) * 2007-06-28 2010-02-09 Apple Inc.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US20090125811A1 (en) * 2007-11-12 2009-05-14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providing auditory feedback
US8155505B2 (en) * 2008-06-06 2012-04-10 Apple Inc. Hybrid playlist
US8159455B2 (en) * 2008-07-18 2012-04-17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mbinations of kinematical inputs
USD638432S1 (en) * 2008-10-16 2011-05-24 Deutsche Telekom Ag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a transitional user interface
US8479106B2 (en) * 2009-02-27 2013-07-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device to simplify message composition
US8619100B2 (en) * 2009-09-25 2013-12-3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ouch-based gestural input on an electronic canvas
US8612884B2 (en) * 2010-01-26 2013-12-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resizing objects
US9164670B2 (en) * 2010-09-15 2015-10-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touch-based scrolling
GB201015720D0 (en) * 2010-09-20 2010-10-27 Gammons Richard Findability of data elements
US9542202B2 (en) * 2010-10-19 2017-01-10 Apple Inc. Displaying and updating workspaces in a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2335A1 (en) * 2006-09-11 2009-01-01 Imran Chaudhri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based browsers
KR20100136156A (ko) * 2009-06-18 2010-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스크롤 방법 및 장치
US20110202834A1 (en) * 2010-02-12 2011-08-18 Microsoft Corporation Visual motion feedback for user inte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6676A (ko) * 2013-10-22 2015-04-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표시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753B1 (ko) 2018-08-08
US20130268883A1 (en) 2013-10-10
US9772762B2 (en)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75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6835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9548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30316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27153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9997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5171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5217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201140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1278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1811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97708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6113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05912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7115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0911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6852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176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0895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20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07534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4791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8872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85385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3052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