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932A -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932A
KR20130112932A KR1020137020103A KR20137020103A KR20130112932A KR 20130112932 A KR20130112932 A KR 20130112932A KR 1020137020103 A KR1020137020103 A KR 1020137020103A KR 20137020103 A KR20137020103 A KR 20137020103A KR 20130112932 A KR20130112932 A KR 20130112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base station
unit
resource
pi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357B1 (ko
Inventor
다이스께 지쯔까와
요시노리 다나까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2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5Timing of allocation when channel conditions 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1)은, 제1 셀의 제어 채널과 제2 셀의 데이터 채널이 시간적으로 겹치도록, 각 셀에 있어서의 송신 타이밍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은, 제1 셀의 기지국(100)을 갖는다. 제1 셀의 기지국(100)은, 제1 제어부(100a)와 제1 통신부(100b)를 갖는다. 제1 제어부(100a)는, 소정의 리소스 단위에 대응하는, 제1 셀의 제어 채널의 리소스의 특정에 이용되는 정보를, 제2 셀의 기지국에 통지한다. 제1 통신부(100b)는, 소정의 리소스 단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고, 또한, 제1 셀의 이동국의 복호 대상인, 제1 셀의 제어 채널의 제1 리소스를 이용하여, 제1 셀의 이동국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무선 통신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 LTE(Long Term Evolution)나 LTE-Advanced에 있어서는, 시스템 용량이나 커버리지의 확대를 목적으로 하여,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의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란, 매크로 셀과 저 송신 전력의 기지국이 구성하는 셀(이하, 「피코 셀」이라 기재함)이 공존 배치된 네트워크이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에 있어서, 매크로 셀과 피코 셀이 동일 주파수에서 운용되는 경우, 매크로 셀로부터 피코 셀에의 간섭이 문제로 된다. 즉, 피코 셀의 기지국(이하, 「피코 기지국」이라 기재함)에 접속하고 있는 이동국에서는, 피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가, 매크로 셀의 기지국(이하, 「매크로 기지국」이라 기재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간섭을 받는다.
상술한 셀간 간섭은, 각 물리 채널(제어 채널, 데이터 채널)에 있어서의 통신 품질에 영향을 준다. 특히, 서브 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이 셀간에서 동기하고 있는 시스템에서는, 셀간 간섭은, 제어 채널끼리 및 데이터 채널끼리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셀간 간섭을 저감하는 기술로서, 피코 기지국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을, 매크로 기지국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에 대하여,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단위로 시프트시키는 기술이 있다. 이러한 기술에서는, 시프트된 결과로서 피코 기지국의 제어 채널과 시간적으로 겹치는, 매크로 기지국의 데이터 채널이, 송신 전력 0의 널 심볼로 덮어쓰기(뮤팅)된다.
3GPP TR36.814 V9.0.0(2010-03) 3GPP TS36.211 V8.9.0(2009-12) 3GPP TS36.213 V8.8.0(2009-09) 3GPP R1-103227
그러나, 상술한 기술에서는, 매크로 기지국의 데이터 채널로부터 피코 기지국의 제어 채널에 대한 간섭은 저감되지만, 매크로 기지국의 데이터 채널의 수신 특성이 열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매크로 기지국의 데이터 채널의 리소스에 있어서, 간섭 저감을 위해서 뮤팅된 리소스에는, 널 심볼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매크로 기지국이 단위 시간당 송신 가능한 데이터 용량은 감소하게 된다. 이 송신 데이터 용량의 감소가, 데이터 채널에 있어서의 수신 특성의 열화의 한 요인으로 되었다.
개시의 기술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데이터 채널의 수신 특성을 유지하면서, 제어 채널에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의 개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일 양태에 있어서, 제1 셀의 제어 채널과 제2 셀의 데이터 채널이 시간적으로 겹치도록, 각 셀에 있어서의 송신 타이밍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셀의 기지국과 제2 셀의 기지국과 제1 셀의 이동국을 갖는다. 제1 셀의 기지국은, 제1 제어부와 제1 통신부를 갖는다. 제1 제어부는, 소정의 리소스 단위(예를 들면, 후술하는 CCE)에 대응하는, 제1 셀의 제어 채널의 리소스의 특정에 이용되는 정보를, 제2 셀의 기지국에 통지한다. 제1 통신부는, 소정의 리소스 단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고, 또한, 제1 셀의 이동국의 복호 대상인, 제1 셀의 제어 채널의 제1 리소스를 이용하여, 제1 셀의 이동국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제2 셀의 기지국은, 소정의 리소스 단위에 대응하는, 제2 셀의 데이터 채널의 제2 리소스를 이용하여, 널 심볼을 송신하는 제2 통신부를 갖는다. 제1 셀의 이동국은, 제1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를, 제1 리소스에 의해 수신함과 함께, 제2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널 심볼을, 제2 리소스에 의해 수신하는 제3 통신부를 갖는다.
본원의 개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양태에 의하면, 데이터 채널의 수신 특성을 유지하면서, 제어 채널에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각 물리 채널의 맵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PDCCH의 맵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PDCCH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매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가 할당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각 기지국의 송신 신호의 주파수 리소스가 할당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이동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PDCCH의 다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1에 따른 피코 기지국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4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4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 4에 따른 피코 기지국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예 5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예 5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원의 개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1∼도 6을 참조하여, 본원의 개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제로 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크로 셀과 피코 셀이 혼재되어 운용되고 있는 경우, 피코 기지국에 접속하고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 피코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링크의 희망 신호 SG1이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큰 간섭 신호 SG2를 받는다. 그 결과, 통신 품질이 크게 열화되게 된다.
이 셀간 간섭이 각 물리 채널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전에, 각 물리 채널의 구성과, 시간ㆍ주파수 리소스로의 맵핑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각 물리 채널의 맵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 방향에서는, 1㎳ 길이의 서브 프레임이 14OFDM 심볼로 구성되어 있고, 전방의 n(=1∼3)개의 OFDM 심볼에는, 제어 채널이 맵핑된다. 제어 채널은, 예를 들면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다.
n의 값은, CFI(Control Format Indicator)라 불리는 제어 정보로서 정의된다. 나머지 OFDM 심볼에는, 유저 데이터의 전송 등에 이용되는 공유 채널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맵핑된다. 주파수 방향에서는,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 단위로서, RB(Resource Block)가 12서브 캐리어로 구성되어 있고, 각 유저용의 공유 채널이 RB 단위로 주파수 다중되어 있다. 또한, 채널 추정 등에 이용되는 셀 고유의 참조 신호(Cell-specific RS(Reference Signal))가, 시간, 주파수 방향으로 성기게 맵핑된다. 또한, 시간ㆍ주파수 리소스의 최소 단위로서, 1OFDM 심볼, 1서브 캐리어로 둘러싸인 영역인 RE(Resource Element)가 정의되어 있다. 또한, 제어 채널의 맵핑 단위로서, RS를 제외하고 주파수 방향에서 연속하는 4RE에 의해 구성되는 REG(Resource Element Group)가 정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각 물리 채널 중, 특히 제어 채널의 맵핑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PCFICH는 CFI의 전송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이다. PCFICH용의 4개의 REG는, 서브 프레임 내의 선두의 OFDM 심볼에 있어서, 셀 ID에 의존하는 서브 캐리어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시스템 대역폭 내에 있어서 대략 등간격으로 분산되어 맵핑된다.
PHICH는, 상향 공유 채널에 관한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데 이용되는 물리 채널이다. 상위 레이어로부터 통지되는 파라미터 Ng에 의존하여 PHICH 그룹수가 구해지고, PHICH 그룹마다 3개의 REG가 이용된다. 3개의 REG는, PCFICH가 맵핑되어 있지 않은 REG 중에서, 셀 ID에 의존하는 서브 캐리어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시스템 대역폭 내에, 대략 등간격으로 분산되어 맵핑된다.
PDCCH는, 알림 정보나 유저 데이터에 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데 이용되는 물리 채널이다. 도 3은 PDCCH의 맵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각 PDCCH가 사용하는 리소스의 단위로서, CCE(Control Channel Element)가 정의되어 있고, CCE는 9REG(=36RE)에 의해 구성된다. 애그리게이션 레벨(이하, 「AL」이라 기재함)는, PDCCH가 사용하는 CCE수, 즉 확산율에 상당하는 파라미터이다. AL은, 기지국이 무선 채널 상태 등에 따라서 {1, 2, 4, 8} 중으로부터 설정한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각 PDCCH는, 적절한 오프셋을 가하여 다중되고,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에 의해 변조된다. 각 PDCCH는, 4개의 변조 심볼 단위로의 인터리브가 행해진 후, PCFICH, PHICH가 맵핑되어 있지 않은 REG에 맵핑된다.
또한, 이동국은, PDCCH의 다중 위치가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지 않기 때문에, PDCCH의 복호 시에, 가능성이 있는 다중 위치의 후보를 탐색하고, 각각의 수신 신호에 대하여 복호를 시도한다. 이 복호 횟수를, 이동국에서 처리 가능한 정도로 제한하기 위해서, 서치 스페이스(이하, 「SS」라 기재함)의 개념이 도입되어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제한된 서치 스페이스 내의 임의의 장소에 PDCCH를 다중하고, 이동국은, 서치 스페이스만을 탐색하여 복호를 시도하면 된다.
도 4는 PDCCH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는, 사용 가능한 CCE가 33개 있는 경우의,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의 서치 스페이스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알림 정보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PDCCH를 위해서 설치되어 있는 공통 서치 스페이스(Common Search Space)는, 항상 선두의 16CCE에 고정되어 있다. 유저 데이터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PDCCH를 위해서 설치되어 있는 이동국 고유 서치 스페이스(UE(User Equipment) Specific Search Space)는, 이동국, AL, 서브 프레임마다 선두 위치가 상이하다. 이 선두 위치는, 해시 함수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사용 가능한 CCE수는, 시스템 대역폭, 안테나 구성, CFI, Ng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셀간 간섭이 각 물리 채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매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의 송신 신호에 있어서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가 할당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서브 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이 셀간에서 동기하고 있는 시스템에서는, 셀간 간섭은, 공유 채널끼리, 제어 채널끼리에서 발생할 수 있다. LTE(Release-8)에서는, 이와 같은 셀간의 간섭을 저감하기 위해서, FFR(Fractional Frequency Reuse) 기술의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공유 채널에 대해서는, 피코 기지국에 있어서, 셀 경계의 이동국의 공유 채널에 특정한 RB를 할당한다. 한편, 매크로 기지국에 있어서는, 그 RB에 의해 공유 채널을 송신하지 않거나, 혹은, 저송신 전력으로 송신함으로써, 셀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기술에서는, 제어 채널에 대해서는, 시스템 대역폭 전체에 분산 배치되기 때문에, FFR의 적용은 곤란하다. 제어 채널에 있어서의 셀간 간섭을 저감하는 방법으로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방법이 있다. 도 6은 각 기지국의 송신 신호의 주파수 리소스가 할당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매크로 기지국에 대하여, 피코 기지국의 송신 타이밍이 OFDM 심볼 단위로 시프트된다. 다음으로, 피코 기지국의 제어 채널과 겹치는, 매크로 기지국의 공유 채널이, 송신 전력 0(제로)의 널 심볼로 덮어쓰기(뮤팅)된다. 이에 의해, 매크로 셀로부터 피코 셀의 제어 채널에의 간섭은 저감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매크로 셀의 공유 채널의 수신 특성은 열화된다.
실시예 1
우선, 본원의 개시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은, 피코 기지국(100)과 매크로 기지국(200)을 갖는다. 피코 기지국(100)은, 제어부(100a)와 통신부(100b)를 갖는다. 제어부(100a)는, 간섭 저감 CCE 설정부(101)와 스케줄러부(102)와 무선 리소스 제어부(103)와 셀간 간섭 판정부(104)와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106)와 데이터 신호 생성부(107)를 갖는다. 또한, 제어부(100a)는, 제어 신호 생성부(108)와 참조 신호 생성부(109)와 채널 다중부(110)와 IFFT(Inversed Fast Fourier Transform)부(111)와 송신 타이밍 제어부(112)를 갖는다. 통신부(100b)는, 수신 RF부(105)와 송신 RF(Radio Frequency)부(113)를 갖는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 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는, 제어부(100a)는, 디지털 회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에 의해 구성되고, 통신부(100b)는 앰프나 필터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회로 등에 의해 구성된다.
간섭 저감 CCE 설정부(101)는, 피코 셀의 무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간섭 저감 CCE를 설정하고, 스케줄러부(102)에 통지한다.
스케줄러부(102)는, 간섭 저감 CCE에 기초하여, 피간섭 피코 UE(User Equipment, 이동국)용의 PDCCH에 CCE를 할당하는 점에 있어서, 통상의(매크로 기지국(200)의) 스케줄러부(204)와 상이하다. 스케줄러부(102)는, 각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채널 품질 정보(CQI(Channel Quality Indicator))에 기초하여, 각 이동국용의 데이터 신호에의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 비트수 등을 결정한다. 또한, 스케줄러부(102)는, 이동국수에 따라서 CFI를 결정하고, 사용 가능한 CCE를 각 이동국용의 PDCCH에 할당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103)는, 뮤팅 요구 신호와, 피코 셀의 CCE의 특정에 필요한 무선 파라미터(안테나수, CFI, 셀 ID, Ng)를, 매크로 기지국(200)의 무선 리소스 제어부(205)에 통지한다. 이 통지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행해진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103)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205)로부터, 후술하는 시간 시프트량의 정보를 수신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103)는, 각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각 셀의 수신 전력(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의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의 제어를 행한다.
셀간 간섭 판정부(104)는, 각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각 셀의 RSRP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이동국에 있어서의 셀간 간섭의 상태를 추정하고, 뮤팅(널 심볼로의 덮어쓰기 처리)의 적용을 요구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는, 뮤팅 요구 신호로서, 무선 리소스 제어부(103)에 전송된다.
송신 타이밍 제어부(112)는, 시간 시프트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 링크 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OFDM 심볼 단위로 시프트시킨다.
마찬가지로, 매크로 기지국(200)은, 제어부(200a)와 통신부(200b)를 갖는다. 제어부(200a)는, 뮤팅 처리부(201)와 간섭 저감 CCE 설정부(202)와 뮤팅 제어부(203)와 스케줄러부(204)와 무선 리소스 제어부(205)와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207)를 갖는다. 또한, 제어부(200a)는, 참조 신호 생성부(208)와 제어 신호 생성부(209)와 데이터 신호 생성부(210)와 채널 다중부(211)와 IFFT부(212)를 갖는다. 통신부(200b)는, 수신 RF부(206)와 송신 RF부(213)를 갖는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는, 제어부(200a)는 디지털 회로나 DSP, CPU 등에 의해 구성되고, 통신부(200b)는 앰프나 필터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회로 등에 의해 구성된다.
뮤팅 처리부(201)는, 뮤팅 제어부(203)로부터 전송된 뮤팅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뮤팅 처리를 실행한다.
간섭 저감 CCE 설정부(202)는, 피코 셀의 무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간섭 저감 CCE를 설정하고, 뮤팅 제어부(203)에 통지한다.
뮤팅 제어부(203)는, 뮤팅 요구에 기초하여 뮤팅의 실행을 결정하고, 피코 셀의 간섭 저감 CCE에 대응하는, 매크로 셀의 PDSCH RE를 뮤팅 영역으로서 설정한다. 그 후, 뮤팅 제어부(203)는, 뮤팅 영역 정보를 뮤팅 처리부(201)에 통지한다. 그리고, 뮤팅 제어부(203)는, 피코 셀의 시간 시프트량을 결정하고, 무선 리소스 제어부(205)에 통지한다.
스케줄러부(204)는, 각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CQI에 기초하여, 각 이동국용의 데이터 신호에의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 비트수 등을 결정한다. 또한, 스케줄러부(204)는, 이동국수에 따라서 CFI를 결정하고, 사용 가능한 CCE를 각 이동국용의 PDCCH에 할당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205)는, 시간 시프트량 정보를,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피코 기지국(100)의 무선 리소스 제어부(103)에 통지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205)는, 뮤팅 요구 신호와, 피코 셀의 무선 파라미터(안테나수, CFI, 셀 ID, Ng)를, 무선 리소스 제어부(103)로부터 수신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205)는, 각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각 셀의 RSRP의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의 제어를 행한다.
그 밖의 구성 부분으로서, 피코 기지국(100)과 매크로 기지국(200)은, 처리 내용이 공통되는 구성 부분을 복수 갖는다. 수신 RF부(105, 206)는, 상향 링크의 수신 신호에 대하여, 무선 주파수로부터 베이스 밴드로의 변환을 행하고, 직교 복조, A/D(Analog to Digital) 변환을 행한다. 수신 RF부(105, 206)는, 안테나 A1, A3을 각각 갖고, 상향 신호를 수신한다.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106, 207)는, 상향 제어 신호의 복조를 행하여, 제어 정보인 CQI 및 각 셀의 RSRP를 복원한다. 데이터 신호 생성부(107, 210)는, 리소스 할당, MCS의 정보 등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108, 209)는, 리소스 할당 정보 등에 의해 구성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참조 신호 생성부(109, 208)는,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채널 다중부(110, 211)는 각 물리 채널을 주파수 다중한다. IFFT부(111, 212)는, 역푸리에 변환(IFFT)을 행하고, CP(Cyclic Prefix)를 부가한다. 송신 RF부(113, 213)는, D/A 변환, 직교 변조를 행함과 함께, 베이스 밴드로부터 무선 주파수로의 변환을 행하고, 전력을 증폭하여 하향 링크의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 RF부(113, 213)는 안테나 A2, A4를 각각 갖고, 하향 신호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이동국(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이동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동국(10)은, 제어부(10a)와 통신부(10b)를 갖는다. 제어부(10a)는, FFT부(12)와 데이터 신호 복조부(13)와 제어 신호 복조부(14)와 채널 추정부(15)와 CQI 산출부(16)와 RSRP 측정부(17)와 상향 제어 신호 생성부(18)를 갖는다. 통신부(10b)는, 수신 RF부(11)와 송신 RF부(19)를 갖는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수신 RF부(11)는, 하향 링크의 수신 신호에 대하여, 무선 주파수로부터 베이스 밴드로의 변환을 행하고, 직교 복조, A/D 변환을 행한다. 수신 RF부(11)는, 안테나 A5에 의해 하향 신호를 수신한다. FFT(Fast Fourier Transform)부(12)는, 전형적인 OFDM 방식과 마찬가지로, 수신 신호의 잘라내기 타이밍을 검출하여 CP를 제거한 후, 이 검출 결과를, 푸리에 변환(FFT)에 의해 주파수 영역의 수신 신호로 변환한다. 데이터 신호 복조부(13)는, 리소스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추출된 데이터 신호를 복조하여, 데이터 정보를 복원한다. 제어 신호 복조부(14)는, 수신 신호로부터 추출된 제어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 정보로서 리소스 할당 정보를 복원한다. 채널 추정부(15)는, 수신 신호로부터 추출된 참조 신호와 기지의 참조 신호의 레플리카의 상관을 취함으로써, 채널 추정값을 얻는다. 또한, 이 채널 추정은, 이동국(10)이 접속하고 있는 셀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셀에 대해서도 행해진다. CQI 산출부(16)는, 이동국(10)이 접속하고 있는 셀의 채널 추정값을 이용하여, 채널 품질 정보(상술한 CQI)를 산출한다. RSRP 측정부(17)는, 이동국(10)이 접속하고 있는 셀 및 그 주변 셀의 채널 추정값을 이용하여, 각 셀의 참조 신호의 수신 전력(상술한 RSRP)을 측정한다. 상향 제어 신호 생성부(18)는, CQI 및 각 셀의 RSRP에 의해 구성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송신 RF부(19)는, D/A(Digital to Analog) 변환 및 직교 변조를 행한 후, 베이스 밴드로부터 무선 주파수로의 변환을 행하고, 전력을 증폭하여 상향 링크의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 RF부(19)는, 안테나 A6에 의해 상향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물리적으로는, 제어부(10a)는, 디지털 회로나 DSP, CPU 등에 의해 구성되고, 통신부(10b)는, 앰프나 필터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회로 등에 의해 구성된다.
다음으로,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매크로 셀 중에 1개의 피코 셀이 혼재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상정한다.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피코 기지국(100)에 접속하고 있는 이동국을 피코 UE, 매크로 기지국(200)에 접속하고 있는 이동국을 매크로 UE로 한다.
S1에서는, 피코 UE는, 접속하고 있는 셀과 주변 셀에 관하여, RS(Reference Signal)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RSRP로서 피코 기지국(100)에 보고한다.
S2에서는, 피코 기지국(100)은, 각 피코 UE로부터 통지된 각 셀의 RSRP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피코 UE에 있어서의 셀간 간섭의 상태를 추정하고, 그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뮤팅 요구를 행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피코 셀의 RSRP를 "RSRP_S"로 하고, 인접하는 매크로 셀의 RSRP를 "RSRP_I"로 하면, 파라미터α=RSRP_S/RSRP_I는, 피코 UE에 있어서의 셀간 간섭의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α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예를 들면, 간섭에의 내성이 가장 강한 AL=8을 적용한 경우에 PDCCH의 블록 오류율이 1%로 되는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을 하회하는 이동국을, 피간섭 피코 UE라 정의한다. 그리고, 피간섭 피코 UE의 개수를 판정 기준으로 하고, 이 판단 기준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예를 들면 1) 이상으로 된 경우에, 뮤팅의 적용이 요구된다. 또한, 판정 기준으로서, 피간섭 피코 UE의 개수에 한하지 않고, 전체 피코 UE수에 대한 피간섭 피코 UE수의 비율을 이용해도 된다.
S3에서는, 피코 기지국(100)은, 뮤팅의 적용을 요구하는 경우, 매크로 기지국(200)에 대하여, 뮤팅 요구 신호와, 피코 셀의 CCE 파악에 필요한 무선 파라미터(안테나수, CFI, 셀 ID, Ng)를 통지한다.
S4에서는, 매크로 기지국(200)은, 뮤팅 요구 신호에 기초하여, 뮤팅을 행하는 것을 결정하고, 뮤팅 영역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매크로 기지국(200)은, 피코 셀의 무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피코 셀에서 할당 가능한 CCE수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매크로 기지국(200)은, 피코 셀의 특정한 CCE(예를 들면 공통 SS)를 간섭 저감 CCE라 정의하고, 이것에 대응하는, 매크로 셀의 PDSCH RE를 뮤팅 영역으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매크로 기지국(200)은, 피코 셀에 있어서의 시간 시프트량을 결정한다. 시간 시프트량은, 예를 들면 매크로 셀의 CFI 그 자체, 혹은 CFI의 상한값 3으로 결정된다.
S5에서는, 매크로 기지국(200)은, S4에서 결정된 시간 시프트량을 피코 기지국(100)에 통지한다.
S6에서는, 피코 기지국(100)은, 통지된 시간 시프트량에 기초하여 송신 타이밍을 변경하고, CFI 갱신 주기를 긴 값으로 설정한다. 왜냐하면, 매크로 셀의 뮤팅 영역은 피코 셀의 CFI에 기초하여 정해지기 때문에, 만약 CFI가 빈번하게 변경되면, 매크로 셀과 피코 셀 사이에서 CFI의 인식이 부정합으로 되기 때문이다. 또한, 피코 기지국(100)은, 매크로 기지국(200)과 공통의 룰에 기초하여, 간섭 저감 CCE로서, 특정한 CCE(예를 들면 공통 SS)를 설정한다.
여기서, 도 10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PDCCH의 다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7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코 기지국(100)은, 피간섭 피코 UE에 관하여, UE 고유 SS가 간섭 저감 CCE와 오버랩하는 경우만 스케줄링 대상으로 하고, 오버랩하는 영역의 일부의 CCE를, 피간섭 피코 UE용의 PDCCH에 할당한다.
도 11은 피코 기지국(100)이 S7에서 실행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피코 기지국(100)이, 스케줄링의 후보로 되는 UE를 선택하면(S11), 데이터 신호용 리소스의 확보의 가부를 판정한다(S12). 판정의 결과, 리소스 확보가 가능한 경우에는(S12; "예"), 피코 기지국(100)은, PDCCH의 AL(애그리게이션 레벨)을 선택한 후에(S13), S11에서 선택된 UE가 피간섭 피코 UE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S14).
S14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 S11에서 선택된 UE가 피간섭 피코 UE가 아닌 경우(S14; "아니오"), 피코 기지국(100)은, S13에서 선택된 AL의 SS 내에 있어서, PDCCH용 리소스의 확보가 가능한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S15). 그 판정의 결과, 리소스의 확보가 가능한 경우에는(S15; "예"), 피코 기지국(100)은, 데이터 신호용 리소스 및 PDCCH용 리소스를 확보한다(S16). 그 후, 피코 기지국(100)은, 스케줄링의 후보로 되는 다른 UE를 탐색하고(S17), 다른 후보 UE가 없으면(S17; "아니오"), 스케줄링 처리를 종료한다.
S14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 S11에서 선택된 UE가 피간섭 피코 UE인 경우(S14; "예"), 피코 기지국(100)은, S13에서 선택된 AL의 SS 내에 있어서, 간섭 저감 CCE와 겹치는 PDCCH용 리소스의 확보가 가능한지의 판정을 행한다(S18). 그 판정의 결과, 리소스의 확보가 가능한 경우에는(S18; "예"), 피코 기지국(100)은, 상술한 S16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S18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의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에는(S18; "아니오"), S11로 되돌아가서, 그 이후의 처리가 다시 실행된다.
또한, 상기 S12 및 S15에 있어서 리소스의 확보가 불가로 판정된 경우(S12; "아니오", S15; "아니오")에도 마찬가지로, S11로 되돌아가서, 그 이후의 처리가 다시 실행된다.
상술한 S11∼S18의 일련의 처리는, 스케줄링 대상의 후보 UE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하여 실행되고(S17; "예"), 모든 후보 UE에 대하여 스케줄링 처리가 완료된 시점에서 종료한다.
도 9로 되돌아가서, S8에서는, 피코 기지국(100)은, 간섭 저감 CCE를 이용하여, 피간섭 피코 UE용의 PDCCH를 송신한다.
S9에서는, 매크로 기지국(200)은, 매크로 UE용의 PDSCH를 송신하지만, 송신할 때, 간섭 저감 CCE에 대응하는 뮤팅 영역을 뮤팅한다. 이 뮤팅에 의해, 매크로 셀로부터 피코 셀에 있어서의 피간섭 피코 UE용의 PDCCH에의 간섭은 저감된다.
이상에서 플로우차트를 이용한 동작 설명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1)은, 피코 셀의 PDCCH와 매크로 셀의 PDSCH가 시간적으로 겹치도록, 각 셀에 있어서의 송신 타이밍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은, 피코 기지국(100)과 매크로 기지국(200)과 피코 이동국(10)을 갖는다. 피코 기지국(100)은, 제어부(100a)와 통신부(100b)를 갖는다. 제어부(100a)는, 소정의 리소스 단위에 대응하는, PDCCH의 리소스의 특정에 이용되는 정보를, 매크로 기지국(200)에 통지한다. 통신부(100b)는,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고, 또한, 피코 이동국(10)의 복호 대상인, 피코 셀의 PDCCH의 제1 리소스를 이용하여, 피코 이동국(10)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매크로 기지국(200)은,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에 대응하는, 매크로 셀의 PDSCH의 제2 리소스를 이용하여, 널 심볼을 송신하는 통신부(200b)를 갖는다. 피코 이동국(10)은, 피코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를 제1 리소스에 의해 수신함과 함께, 매크로 기지국(200)으로부터 송신된 널 심볼을 상기 제2 리소스에 의해 수신하는 통신부(10b)를 갖는다. 여기서, 소정의 리소스 단위는, 1 이상의 CCE이고, 예를 들면 간섭 저감 CCE이다. 제1 리소스는, 피코 이동국(10) 고유의 서치 스페이스이고, 예를 들면 간섭 저감 CCE와 유저 고유 서치 스페이스가 오버랩하는 영역의 CCE가, 시간ㆍ주파수 영역에 맵핑된 곳의 리소스 엘리먼트이다. 제2 리소스는, 간섭 저감 CCE가, 시간ㆍ 주파수 영역에 맵핑된 곳의 리소스 엘리먼트이다. 이에 의해, 무선 통신 시스템(1)은, PDSCH의 수신 특성을 유지하면서, PDCCH에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의 기술을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즉, 실시예 1의 피코 기지국(100)의 스케줄러부(102)에서는, 피간섭 피코 UE에 대하여, UE 고유 SS가 간섭 저감 CCE와 오버랩하는 경우만 스케줄링의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UE 고유 SS는, 이동국, AL, 서브 프레임마다 선두 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무선 채널 상태에 최적의 AL용의 SS가, 반드시 간섭 저감 CCE와 오버랩한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무선 채널 상태에 최적의 AL 이외의 AL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UE 고유 SS가 간섭 저감 CCE와 오버랩할 확률이 보다 높아진다. 이에 의해, 피간섭 피코 UE가 스케줄링될 기회가 증가하기 때문에, 스루풋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단, 단순히, 무선 채널 상태에 최적의 AL 이외의 AL을 적용하는 것만으로는, PDCCH의 블록 오류가 빈발하는 것이 우려된다.
따라서,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우려를 피하기 위해서, 송신 전력 제어(TPC)를 병용한다. 예를 들면, 무선 채널 상태에 최적의 AL을 ALopt로 하고, 실제로 적용하는 AL을 ALsel로 하면, 스케줄러부(102)는, RE당의 송신 전력을 (ALopt/ALsel)배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PDCCH 리소스당의 송신 전력은, AL=ALopt를 적용한 경우의 송신 전력과 동등해진다. 그 결과, PDCCH의 블록 오류는 억제된다.
상술해 온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 피코 기지국(100)의 제어부(100a)는, 피코 셀에 접속하는 이동국(10)용의 PDCCH에 적용하는 애그리게이션 레벨을, 이동국(10)의 무선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잠정적으로 선택한다. 피코 기지국(100)의 통신부(100b)는, 이동국(10)의 잠정적인 애그리게이션 레벨에 대한 UE 고유 SS가 간섭 저감 CCE와 겹치지 않는 경우에, UE 고유 SS가 간섭 저감 CCE와 겹치는, 잠정값 이상의 애그리게이션 레벨을 선택하여 송신한다. 혹은, 통신부(100b)는, UE 고유 SS가 간섭 저감 CCE와 겹치는, 잠정값 미만의 애그리게이션 레벨을 선택하고, 송신 전력을 소정값 이상으로 하여 송신한다. 이에 의해, PDCCH의 블록 오류를 억제하면서, UE 고유 SS가 간섭 저감 CCE와 오버랩할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피간섭 피코 UE가 스케줄링될 기회가 증가하여, 시스템의 스루풋이 향상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복수 피코 기지국에 따른 일괄 뮤팅의 기술을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달리, 매크로 셀 중에 복수의 피코 셀이 혼재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상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크로 기지국(200)의 뮤팅 제어부(203)에 있어서, 복수의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뮤팅 요구 신호에 기초하여, 실제로 뮤팅을 적용할지의 여부를, 어떻게 판정할지가 문제로 된다. 이러한 판정의 기준으로서는, 뮤팅의 적용을 요구하는 피코 기지국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 등이 있다.
제1 예로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설계 방침으로서, 매크로 기지국(200)으로부터 피코 기지국(100)의 제어 채널에의 간섭을 저감하는 것을 중시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뮤팅 제어부(203)는, 1개 이상의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뮤팅의 적용을 요구받은 경우에, 실제로 뮤팅을 적용하면 된다.
제2 예로서, 피코 기지국(100)과 매크로 기지국(200) 사이에, 전송 효율에 관한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가 있다. 즉, 뮤팅량이 많을수록, 피코 기지국(100)의 수신 특성은 향상되지만, 한편, 매크로 기지국(200)의 수신 특성이 희생된다. 이 점을 감안하여, 이들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을 중시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뮤팅 제어부(203)는, 반수 이상의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뮤팅의 적용을 요구받은 경우에, 실제로 뮤팅을 적용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음에 고려해야 할 점은, 복수의 피코 기지국에 있어서 간섭 저감 CCE를 어떻게 설정하고, 매크로 기지국(200)에 있어서 뮤팅 영역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라는 점이다. 예를 들면, 뮤팅 제어부(203)는, 우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피코 셀의 특정한 CCE(예를 들면 공통 SS)를 간섭 저감 CCE라 정의한다. CCE와, CCE가 맵핑되는 RE 위치의 대응은, 각 피코 셀의 송신 안테나수, CFI, 셀 ID, Ng에 의존한다. 이 때문에, 반드시 각 피코 셀간에서 일치한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뮤팅 제어부(203)는, 각 피코 셀의 간섭 저감 CCE가 맵핑되는 RE를 모두 포함하도록 뮤팅 영역을 설정하면 된다.
상술해 온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 매크로 기지국(200)은, 제어부(200a)와 통신부(200b)를 갖는다. 제어부(200a)는, 복수의 피코 셀 각각에 대하여, 피코 셀의 무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피코 셀의 간섭 저감 CCE가 맵핑되는 RE를 산출한다. 통신부(200b)는, 제어부(200a)에 의해 산출된 전체 RE에 있어서,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 의해 널 심볼을 송신한다. 이에 의해, 매크로 셀 중에 복수의 피코 셀이 혼재되는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복수 피코 기지국에 따른 일괄 뮤팅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그 결과, 1개의 매크로 셀이 복수의 피코 셀의 PDCCH에 주는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 피코 기지국(100)의 제어부(100a)는, 간섭 저감 CCE가 맵핑되는 리소스의 특정에 필요한 정보로서, 피코 셀의 무선 파라미터를, 매크로 기지국(200)에 통지하는 제어를 행한다. 매크로 기지국(200)의 제어부(200a)는, 피코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지된 무선 파라미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피코 셀의 간섭 저감 CCE가 맵핑되는 리소스를 특정한다. 이에 의해, 매크로 기지국(200)은, 피코 셀의 PDCCH가 맵핑될 가능성이 높은 RE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복수 PeNB에 따른 시분할 뮤팅의 기술을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달리, 매크로 셀 중에 복수의 피코 셀이 혼재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상정한다.
실시예 3에서는, 뮤팅 제어부(203)는, 각 피코 셀의 간섭 저감 CCE가 맵핑되는 RE를 모두 포함하도록, 매크로 셀의 뮤팅 영역을 설정하였다. 이에 의해, 복수의 피코 셀에 있어서의 피간섭 피코 UE에 대하여, 일괄로의 간섭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한편, 필요한 뮤팅 영역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필요한 뮤팅 영역을 작게 유지한 채로, 복수의 피코 셀에 있어서의 피간섭 피코 UE에 대하여 간섭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간섭 제어를 실현하기 위해서, 매크로 기지국의 뮤팅 제어부는, 서브 프레임마다 개별의 피코 셀로 특화하여 뮤팅을 행한다.
우선,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2)은, 피코 기지국(300)과 매크로 기지국(400)을 갖는다. 피코 기지국(300)은, 제어부(300a)와 통신부(300b)를 갖는다. 제어부(300a)는, 간섭 저감 CCE 설정부(301)와 스케줄러부(302)와 무선 리소스 제어부(303)와 셀간 간섭 판정부(304)와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306)와 데이터 신호 생성부(307)를 갖는다. 또한, 제어부(300a)는, 제어 신호 생성부(308)와 참조 신호 생성부(309)와 채널 다중부(310)와 IFFT부(311)와 송신 타이밍 제어부(312)를 갖는다. 통신부(300b)는, 수신 RF부(305)와 송신 RF부(313)를 갖는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매크로 기지국(400)은, 제어부(400a)와 통신부(400b)를 갖는다. 제어부(400a)는, 뮤팅 처리부(401)와 간섭 저감 CCE 설정부(402)와 뮤팅 제어부(403)와 스케줄러부(404)와 무선 리소스 제어부(405)와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407)를 갖는다. 또한, 제어부(400a)는, 참조 신호 생성부(408)와 제어 신호 생성부(409)와 데이터 신호 생성부(410)와 채널 다중부(411)와 IFFT부(412)를 갖는다. 통신부(400b)는, 수신 RF부(406)와 송신 RF부(413)를 갖는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2)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말미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임과 함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피코 기지국(300)과 매크로 기지국(400)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피코 기지국(100)과 매크로 기지국(200)에 각각 대응하는 구성 요소이다. 또한, 피코 기지국(300)의 제어부(300a)와 통신부(300b)는, 피코 기지국(100)의 제어부(100a)와 통신부(100b)에, 각각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매크로 기지국(400)의 제어부(400a)와 통신부(400b)는, 매크로 기지국(200)의 제어부(200a)와 통신부(200b)에, 각각 대응한다.
피코 기지국(300)의 간섭 저감 CCE 설정부(301)와 스케줄러부(302)와 무선 리소스 제어부(303)는, 피코 기지국(100)의 간섭 저감 CCE 설정부(101)와 스케줄러부(102)와 무선 리소스 제어부(103)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셀간 간섭 판정부(304)와 수신 RF부(305)와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306)와 데이터 신호 생성부(307)는, 셀간 간섭 판정부(104)와 수신 RF부(105)와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106)와 데이터 신호 생성부(107)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제어 신호 생성부(308)와 참조 신호 생성부(309)와 채널 다중부(310)는, 제어 신호 생성부(108)와 참조 신호 생성부(109)와 채널 다중부(110)에 각각 대응한다. 그리고, IFFT부(311)와 송신 타이밍 제어부(312)와 송신 RF부(313)는, IFFT부(111)와 송신 타이밍 제어부(112)와 송신 RF부(113)에 각각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매크로 기지국(400)의 뮤팅 처리부(401)와 간섭 저감 CCE 설정부(402)는, 매크로 기지국(200)의 뮤팅 처리부(201)와 간섭 저감 CCE 설정부(202)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뮤팅 제어부(403)와 스케줄러부(404)와 무선 리소스 제어부(405)는, 뮤팅 제어부(203)와 스케줄러부(204)와 무선 리소스 제어부(205)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수신 RF부(406)와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407)와 참조 신호 생성부(408)는, 수신 RF부(206)와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207)와 참조 신호 생성부(208)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제어 신호 생성부(409)와 데이터 신호 생성부(410)와 채널 다중부(411)는, 제어 신호 생성부(209)와 데이터 신호 생성부(210)와 채널 다중부(211)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IFFT부(412)와 송신 RF부(413)는, IFFT부(212)와 송신 RF부(213)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이동국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 4와 실시예 1의 주요한 차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코 기지국(300)의 셀간 간섭 판정부(304)는, 각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각 셀의 RSRP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이동국에 있어서의 셀간 간섭의 상태를 추정한다. 셀간 간섭 판정부(304)는, 그 추정 결과를 기초로, 뮤팅의 적용을 요구할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피간섭 UE수 정보를 생성한다. 셀간 간섭 판정부(304)는, 그 피간섭 UE수 정보를, 무선 리소스 제어부(303)에 전송한다. 피코 기지국(300)의 무선 리소스 제어부(303)는, 피간섭 UE수 정보와, 피코 셀의 CCE의 파악에 필요한 무선 파라미터(안테나수, CFI, 셀 ID, Ng)를, 매크로 기지국(400)의 무선 리소스 제어부(405)에 통지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303)는, 시간 시프트량의 정보 및 각 피코 셀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 정보를 매크로 기지국(400)으로부터 수신한다. 피코 기지국(300)의 스케줄러부(302)는, 그 각 피코 셀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 정보와 간섭 저감 CCE에 기초하여, 피간섭 피코 UE용의 PDCCH에 CCE를 할당한다.
한편, 매크로 기지국(400)의 뮤팅 제어부(403)는, 각 피코 셀의 피간섭 UE수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피코 셀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 정보를 생성한다. 뮤팅 제어부(403)는, 각 피코 셀의 간섭 저감 CCE에 대응하는, 매크로 셀의 PDSCH RE를, 각 피코 셀용의 뮤팅 영역으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뮤팅 제어부(403)는, 서브 프레임마다,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이 설정된 피코 셀용의 뮤팅 영역 정보를 뮤팅 처리부(401)에 통지한다.
뮤팅 제어부(403)는, 각 피코 셀 공통의 시간 시프트량을 결정하고, 그 시간 시프트량을, 각 피코 셀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 정보와 함께, 무선 리소스 제어부(405)에 통지한다.
매크로 기지국(400)의 무선 리소스 제어부(405)는, 시간 시프트량 정보와 각 피코 셀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 정보를,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각 피코 기지국(300)의 무선 리소스 제어부(303)에 통지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405)는, 각 피코 셀의 피간섭 UE수 정보와 무선 파라미터(안테나수, CFI, 셀 ID, Ng)를 피코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부(405)는, 피코 기지국(500)과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다음으로,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크로 셀 중에 2개의 피코 셀이 혼재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상정하고 있다. 도 13은 실시예 4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피코 기지국(300)에 접속하고 있는 이동국을 피코 UE(10)로 하고, 피코 기지국(500)에 접속하고 있는 이동국을 피코 UE(20)로 하고, 매크로 기지국(400)에 접속하고 있는 이동국을 매크로 UE로 한다. 또한, 피코 기지국(300)에 의해 형성되는 피코 셀을 피코 셀 C1로 하고, 피코 기지국(500)에 의해 형성되는 피코 셀을 피코 셀 C2로 한다.
S21에서는, 피코 UE(10)는, 접속하고 있는 셀과 주변 셀에 관하여, RS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RSRP로서 피코 기지국(300)에 보고한다. 피코 UE(20)에 있어서도, S21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되어, 각 셀의 RSRP가 피코 기지국(500)에 보고된다(S22).
S23에서는, 피코 기지국(300)은, 각 피코 UE로부터 통지된 각 셀의 RSRP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피코 UE에 있어서의 셀간 간섭의 상태를 추정하고, 그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뮤팅 요구를 행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피코 기지국(50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추정 처리 및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S24). 상세한 처리 내용에 대해서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 9의 S2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S25에서는, 피코 기지국(300)은, 뮤팅의 적용을 요구하는 경우, 매크로 기지국(400)에 대하여, 피간섭 UE수 정보와, 피코 셀 C1의 CCE 파악에 필요한 무선 파라미터(안테나수, CFI, 셀 ID, Ng)를 통지한다. 여기서, 피간섭 UE수 정보로서는, 뮤팅 요구를 행할지의 여부의 판정 기준인 피간섭 피코 UE의 개수가 이용된다. 또한, 피간섭 UE수 정보로서는, 그 개수에 한하지 않고, 전체 피코 UE수에 대한 피간섭 피코 UE수의 비율을 이용해도 된다. S26에서는, 피코 기지국(500)으로부터 매크로 기지국에 대하여, S25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S27에서는, 매크로 기지국(400)은, 복수의 피코 기지국(300, 500)으로부터의 피간섭 UE수 정보와 피코 셀 정보에 기초하여, 뮤팅의 적용 방법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매크로 기지국(400)은, 대상으로 하는 피코 셀마다 간섭 저감 CCE를 정의하고, 이것에 대응하는, 매크로 셀의 PDSCH RE를 뮤팅 영역으로서 설정한다. 또한, 매크로 기지국(400)은, 대상으로 하는 피코 셀용의 간섭 저감 CCE와, 뮤팅 영역이 설정되는 서브 프레임(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을, 피간섭 UE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예를 들면, 피코 셀 C1, C2의 피간섭 UE수 정보가 나타내는 값이, 각각 p_mute1, p_mute2인 경우에는, 매크로 기지국(400)은, 각 피코 셀 C1, C2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을 (p_mute1 : p_mute2)로 한다. 매크로 기지국(400)은, 그 비율에 기초하여, 각 피코 셀 C1, C2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이 어느 서브 프레임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 정보)를 생성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기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p_mute1 : p_mute2)=(3 : 7)의 경우에 있어서의, 10서브 프레임 주기로 정의되는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 정보를 나타낸다. 도 14에서는, 「1」이 출현하는 서브 프레임 번호에 있어서, 대응하는 피코 셀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이 설정된다. 그리고, 매크로 기지국(400)은, 각 피코 셀 C1, C2에 있어서의 공통의 시간 시프트량을 결정한다. 이 시간 시프트량은, 예를 들면 매크로 셀의 CFI 그 자체, 혹은 CFI의 상한값 3으로 결정된다.
도 13으로 되돌아가서, S28에서는, 매크로 기지국(400)은, S27에서 결정된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 정보 및 시간 시프트량을 피코 기지국(500)에 통지한다. 이들 정보는, 매크로 기지국(400)으로부터 피코 기지국(300)에 대해서도 통지된다(S29).
S30에서는, 피코 기지국(300)은, 매크로 기지국(400)으로부터 통지된 시간 시프트량에 기초하여 송신 타이밍을 변경하고, CFI 갱신 주기를 긴 값으로 설정한다. 또한, 피코 기지국(300)은, 매크로 기지국(400)과 공통의 룰에 기초하여, 특정한 CCE(예를 들면 공통 SS)를 피코 셀 C1의 간섭 저감 CCE로서 설정한다.
S31에서는, 피코 기지국(300)은, 피간섭 피코 UE에 관하여, 피코 셀용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이 설정되고, 또한, UE 고유 SS가 피코 셀 C1의 간섭 저감 CCE와 오버랩하는 경우에만, 상기 피간섭 피코 UE를 스케줄링 대상으로 한다. 피코 기지국(300)은, 오버랩하는 영역의 일부의 CCE를, 피간섭 피코 UE용의 PDCCH에 할당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실시예 4에 따른 피코 기지국(300, 500)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스텝 S49의 판정 처리를 새롭게 갖는 점을 제외하고, 도 1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도 15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의 스텝 S41∼S48은 도 11의 스텝 S11∼S18에 각각 대응한다.
실시예 1에서는, 후보로서 선택된 UE가 피간섭 피코 UE인지의 여부의 판정(도 11의 S14) 후, 그 판정 결과의 여하를 불문하고, PDCCH용 리소스의 확보가 가능한지의 여부의 판정(S15 또는 S18)이 행해지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4에서는, S41에서 선택된 UE가 피간섭 피코 UE인 경우(S44; "예")에, 각 피코 기지국(300, 500)은, 대응하는 서브 프레임이, 대응하는 피코 셀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9). 그 판정의 결과,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인 경우에는(S49; "예"), S48 이후의 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이 아닌 경우에는(S49; "아니오"), S41로 되돌아가서, S41 이후의 처리가 다시 실행된다. 또한, S44에 있어서, 후보로서 선택된 UE가 피간섭 피코 UE가 아닌 경우(S44; "아니오")의 처리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도 13으로 되돌아가서, 피코 기지국(500)은, S28에서 통지된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 정보 및 시간 시프트량에 기초하여, 상술한 S30 및 S31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한다(S32, S33).
S34에서는, 피코 기지국(300)은, 피코 셀 C1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피코 셀 C1용의 간섭 저감 CCE를 이용하여, 피간섭 피코 UE용의 PDCCH를 송신한다. 동시에, 매크로 기지국(400)이 PDSCH를 송신할 때에는, 피코 셀 C1용 간섭 저감 CCE에 대응한 뮤팅 영역을 뮤팅한다(S35). 이에 의해, 매크로 셀로부터 피코 셀 C1에 있어서의 피간섭 피코 UE용의 PDCCH에의 간섭은 저감된다.
S36에서는, 피코 기지국(500)은, 피코 셀 C2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피코 셀 C2용의 간섭 저감 CCE를 이용하여, 피간섭 피코 UE용의 PDCCH를 송신한다. 동시에, 매크로 기지국(400)이 PDSCH를 송신할 때에는, 피코 셀 C2용 간섭 저감 CCE에 대응한 뮤팅 영역을 뮤팅한다(S37). 이에 의해, 매크로 셀로부터 피코 셀 C2에 있어서의 피간섭 피코 UE용의 PDCCH에의 간섭은 저감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피코 셀 C1, C2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피코 셀 이외의 피코 셀에 있어서의 PDCCH가 맵핑되는 RE 위치는, 뮤팅 영역과 부분적으로 오버랩한다. 이 때문에, 이들의 PDCCH에의 간섭도 부분적으로 저감된다는 효과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2)은, 복수의 피코 기지국(300, 500)을 갖는다. 피코 기지국(300)은, 제어부(300a)와 통신부(300b)를 갖는다. 제어부(300a)는, 간섭 저감 CCE가 맵핑되는 CCE의 특정에 필요한 정보와 피간섭 UE수 정보를, 매크로 기지국(400)에 통지하도록 제어한다. 매크로 기지국(400)으로부터 통지된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 정보가 나타내는, 피코 셀 C1, C2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피코 셀 C1, C2에 접속하는 이동국의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가 간섭 저감 CCE와 겹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통신부(300b)는, 겹치는 영역 내의 간섭 저감 CCE를 이용하여, 이동국용의 PDCCH에 의한 송신을 행한다. 매크로 기지국(400)은, 제어부(400a)와 통신부(400b)를 갖는다. 제어부(400a)는, 복수의 피코 기지국(300, 500)으로부터 통지된 피간섭 UE수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피코 셀 C1, C2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을 설정함과 함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 정보를 각 피코 기지국(300, 500)에 통지하는 제어를 행한다. 통신부(400b)는, 각 피코 셀 C1, C2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피코 셀의 간섭 저감 CCE가 맵핑되는 리소스에 있어서, 널 심볼을 송신한다. 이에 의해, 매크로 셀 중에 복수의 피코 셀 C1, C2가 혼재되는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복수 피코 기지국에 따른 시분할 뮤팅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매크로 셀이 복수의 피코 셀 C1, C2의 PDCCH에 주는 간섭은 저감된다. 한편, 피코 셀수에 상관없이, 매크로 셀의 PDSCH의 수신 특성은 유지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2)에 있어서, 피코 기지국(300)의 제어부(300a)는, 피간섭 UE수 정보로서, 무선 채널 상태가 소정 품질 이하의 UE수에 기초하는 정보를 매크로 기지국(400)에 통지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무선 채널 상태가 소정 품질 이하란, 예를 들면 측정된 수신 레벨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이다. 이에 의해, 제어부(300a)는, 큰 간섭을 받는 이동국이 어느 정도 많이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보다 적절한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2)에 있어서, 매크로 기지국(400)의 제어부(400a)는, 피간섭 UE수 정보가 나타내는 값에 관한 각 피코 셀 C1, C2 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의 개수에 관한 각 피코 셀 C1, C2 간의 비율을 설정한다. 이에 의해, 피코 셀 C1, C2의 PDCCH의 송신 기회가 셀간에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2)에 있어서, 매크로 기지국(400)의 제어부(400a)는, 각 피코 셀 C1, C2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을 서로 중복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이에 의해, 무선 통신 시스템(2)은, 각 서브 프레임에 대하여, 각 피코 셀에 최적의 간섭 제어를 확실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2)에 있어서, 매크로 기지국(400)의 통신부(400b)는, 복수의 피코 기지국(300, 500) 중, 널 심볼의 송신을 요구한 피코 기지국으로부터의 그 요구를 계기로 하여, 피코 기지국(300)의 이동국(10)에 널 심볼을 송신한다. 이에 의해, 간섭 제어가 필요한 피코 기지국에 대해서만 뮤팅이 실행된다. 따라서, 모든 피코 기지국에 대하여 뮤팅을 실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간섭 제어에 수반되는 매크로 기지국(400)의 처리 부하가 저감된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간섭 저감 CCE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즉, 실시예 1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매크로 기지국과 피코 기지국의 공통 룰에 따라서, 간섭 저감 CCE를, 예를 들면 공통 SS에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간섭 저감 CCE를 고정적으로 설정하면, 예를 들면 피코 셀에 있어서의 피간섭 피코 UE수가 많은 경우에는, 무선 통신 시스템(1)은, 피간섭 피코 UE의 PDCCH용 리소스를 확보하기 어려워져, 피간섭 피코 UE의 스루풋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피간섭 피코 UE가 적은 경우에는, 무선 통신 시스템(1)은, 피간섭 피코 UE의 PDCCH용 리소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지만, 매크로 셀에서 뮤팅되는 PDSCH RE의 양이 과잉으로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피코 셀의 통신 상황에 따라서 간섭 저감 CCE를 제어한다.
우선,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3)은, 피코 기지국(600)과 매크로 기지국(700)을 갖는다. 피코 기지국(600)은, 제어부(600a)와 통신부(600b)를 갖는다. 제어부(600a)는, 스케줄러부(602)와 무선 리소스 제어부(603)와 셀간 간섭 판정부(604)와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606)와 데이터 신호 생성부(607)를 갖는다. 또한, 제어부(600a)는, 제어 신호 생성부(608)와 참조 신호 생성부(609)와 채널 다중부(610)와 IFFT부(611)와 송신 타이밍 제어부(612)를 갖는다. 통신부(600b)는, 수신 RF부(605)와 송신 RF부(613)를 갖는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매크로 기지국(700)은, 제어부(700a)와 통신부(700b)를 갖는다. 제어부(700a)는, 뮤팅 처리부(701)와 간섭 저감 CCE 설정부(702)와 뮤팅 제어부(703)와 스케줄러부(704)와 무선 리소스 제어부(705)와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707)를 갖는다. 또한, 제어부(700a)는, 참조 신호 생성부(708)와 제어 신호 생성부(709)와 데이터 신호 생성부(710)와 채널 다중부(711)와 IFFT부(712)를 갖는다. 통신부(700b)는, 수신 RF부(706)와 송신 RF부(713)를 갖는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말미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임과 함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5에 있어서의 피코 기지국(600)과 매크로 기지국(700)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피코 기지국(100)과 매크로 기지국(200)에 각각 대응하는 구성 요소이다. 또한, 피코 기지국(600)의 제어부(600a)와 통신부(600b)는, 피코 기지국(100)의 제어부(100a)와 통신부(100b)에, 각각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매크로 기지국(700)의 제어부(700a)와 통신부(700b)는, 매크로 기지국(200)의 제어부(200a)와 통신부(200b)에, 각각 대응한다.
피코 기지국(600)의 스케줄러부(602)와 무선 리소스 제어부(603)는, 피코 기지국(100)의 스케줄러부(102)와 무선 리소스 제어부(103)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셀간 간섭 판정부(604)와 수신 RF부(605)와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606)와 데이터 신호 생성부(607)는, 셀간 간섭 판정부(104)와 수신 RF부(105)와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106)와 데이터 신호 생성부(107)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제어 신호 생성부(608)와 참조 신호 생성부(609)와 채널 다중부(610)는, 제어 신호 생성부(108)와 참조 신호 생성부(109)와 채널 다중부(110)에 각각 대응한다. 그리고, IFFT부(611)와 송신 타이밍 제어부(612)와 송신 RF부(613)는, IFFT부(111)와 송신 타이밍 제어부(112)와 송신 RF부(113)에 각각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매크로 기지국(700)의 뮤팅 처리부(701)와 간섭 저감 CCE 설정부(702)는, 매크로 기지국(200)의 뮤팅 처리부(201)와 간섭 저감 CCE 설정부(202)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뮤팅 제어부(703)와 스케줄러부(704)와 무선 리소스 제어부(705)는, 뮤팅 제어부(203)와 스케줄러부(204)와 무선 리소스 제어부(205)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수신 RF부(706)와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707)와 참조 신호 생성부(708)는, 수신 RF부(206)와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207)와 참조 신호 생성부(208)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제어 신호 생성부(709)와 데이터 신호 생성부(710)와 채널 다중부(711)는, 제어 신호 생성부(209)와 데이터 신호 생성부(210)와 채널 다중부(211)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IFFT부(712)와 송신 RF부(713)는, IFFT부(212)와 송신 RF부(213)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이동국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 5와 실시예 1의 주요한 차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매크로 기지국(700)의 간섭 저감 CCE 설정부(702)는, 피간섭 UE수 정보와 피코 셀 정보에 기초하여 간섭 저감 CCE를 조정하고, 그 결과를 간섭 저감 CCE 정보로서, 뮤팅 제어부(703)와 무선 리소스 제어부(705)에 통지한다. 매크로 기지국(700)의 무선 리소스 제어부(705)는, 시간 시프트량과 상기 간섭 저감 CCE 정보를, 피코 기지국(600)의 무선 리소스 제어부(603)에 통지한다. 피코 기지국(600)의 무선 리소스 제어부(603)는, 상기 간섭 저감 CCE 정보를 스케줄러부(602)에 통지한다.
다음으로, 동작을 설명한다. 도 17은 실시예 5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3)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스텝 S53∼S55를 제외하고, 도 9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도 17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실시예 1과의 차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의 스텝 S51∼S59는, 도 9에 도시한 스텝 S1∼S9에 각각 대응한다.
S53에서는, 피코 기지국(600)은, 매크로 기지국(700)에 대하여, 피코 셀 정보(안테나수, CFI, 셀 ID, Ng) 및 피간섭 UE(이동국)수 정보를 통지한다. 매크로 기지국(700)은, 피코 기지국(600)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피간섭 UE수 정보에 기초하여, 간섭 저감 CCE수를 조정한다(S54). 구체적으로는, 매크로 기지국(700)은, 피간섭 UE수 정보가 나타내는 피간섭 UE수 또는 그 비율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간섭 저감 CCE수를 증가시킨다. 이에 대하여, 매크로 기지국(700)은, 상기 피간섭 UE수 정보가 나타내는 피간섭 UE수 또는 그 비율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간섭 저감 CCE수를 저하시킨다. 그리고, S55에서는, 매크로 기지국(700)은, S54에서 조정된 간섭 저감 CCE수에 관한 정보를 간섭 저감 CCE 정보로서, 시간 시프트량과 함께 피코 기지국(600)에 통지한다.
피코 기지국(600)은, S55에서 매크로 기지국(700)으로부터 통지된 간섭 저감 CCE 정보에 따라서 간섭 저감 CCE를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3)은, 피코 기지국(600)과 매크로 기지국(700)을 갖는다. 피코 기지국(600)은 제어부(600a)를 갖는다. 제어부(600a)는, 피간섭 UE수 정보를, 매크로 기지국(700)에 통지함과 함께, 매크로 기지국(700)으로부터 통지된 간섭 저감 CCE 정보에 따라서 간섭 저감 CCE를 설정한다. 매크로 기지국(700)은 제어부(700a)를 갖는다. 제어부(700a)는, 피코 기지국(600)으로부터 통지된 피간섭 UE수 정보에 기초하여, 간섭 저감 CCE수를 조정함과 함께, 간섭 저감 CCE수에 기초하는 간섭 저감 CCE 정보를, 피코 기지국(600)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피코 셀에 있어서의 피간섭 피코 UE수가 시간 또는 장소에 따라서 변화한 경우에도, 무선 통신 시스템(3)은, 피코 셀에 있어서, 피간섭 피코 UE의 PDCCH용 리소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매크로 셀에 있어서는, 뮤팅하는 PDSCH RE의 양이 필요 최소한으로 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3)에 있어서, 매크로 기지국(700)의 제어부(700a)는, 피간섭 UE수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간섭 저감 CCE수를 증가시키고, 피간섭 UE수가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간섭 저감 CCE수를 감소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피코 셀의 통신 상황에 따라서 간섭 저감 CCE수가 적절히 조정되기 때문에, 피코 기지국마다 과부족이 없는 간섭 저감 CCE 제어가 실현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본원의 개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매크로 셀과 피코 셀 사이의 간섭을 저감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무선 통신 시스템(1, 2, 3)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매크로 셀과 펨토 셀간에서의 간섭, 혹은 피코 셀과 펨토 셀간에서의 간섭을 저감하는 기술로서 적용할 수도 있다.
1, 2, 3 : 무선 통신 시스템
10 : 이동국
10a : 제어부
10b : 통신부
11 : 수신 RF부
12 : FFT부
13 : 데이터 신호 복조부
14 : 제어 신호 복조부
15 : 채널 추정부
16 : CQI 산출부
17 : RSRP 측정부
18 : 상향 제어 신호 생성부
19 : 송신 RF부
100, 300, 500, 600 : 피코 기지국
100a, 300a, 600a : 제어부
100b, 300b, 600b : 통신부
101, 301 : 간섭 저감 CCE 설정부
102, 302, 602 : 스케줄러부
103, 303, 603 : 무선 리소스 제어부
104, 304, 604 : 셀간 간섭 판정부
105, 305, 605 : 수신 RF부
106, 306, 606 :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
107, 307, 607 : 데이터 신호 생성부
108, 308, 608 : 제어 신호 생성부
109, 309, 609 : 참조 신호 생성부
110, 310, 610 : 채널 다중부
111, 311, 611 : IFFT부
112, 312, 612 : 송신 타이밍 제어부
113, 313, 613 : 송신 RF부
200, 400, 700 : 매크로 기지국
200a, 400a, 700a : 제어부
200b, 400b, 700b : 통신부
201, 401, 701 : 뮤팅 처리부
202, 402, 702 : 간섭 저감 CCE 설정부
203, 403, 703 : 뮤팅 제어부
204, 404, 704 : 스케줄러부
205, 405, 705 : 무선 리소스 제어부
206, 406, 706 : 수신 RF부
207, 407, 707 : 상향 제어 신호 복조부
208, 408, 708 : 참조 신호 생성부
209, 409, 709 : 제어 신호 생성부
210, 410, 710 : 데이터 신호 생성부
211, 411, 711 : 채널 다중부
212, 412, 712 : IFFT부
213, 413, 713 : 송신 RF부
C1, C2 : 피코 셀

Claims (16)

  1. 제1 셀의 제어 채널과 제2 셀의 데이터 채널이 시간적으로 겹치도록, 각 셀에서의 송신 타이밍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은,
    소정의 리소스 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셀의 제어 채널의 리소스의 특정에 이용되는 정보를,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에 통지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고, 또한, 상기 제1 셀의 이동국의 복호 대상인, 상기 제1 셀의 제어 채널의 제1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셀의 이동국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를 갖고,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은,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셀의 데이터 채널의 제2 리소스를 이용하여, 널 심볼을 송신하는 제2 통신부를 갖고,
    상기 제1 셀의 이동국은,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리소스에 의해 수신함과 함께,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널 심볼을, 상기 제2 리소스에 의해 수신하는 제3 통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는, 1 이상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이고,
    상기 제1 리소스는, 상기 제1 셀의 이동국 고유의 서치 스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은,
    복수의 제1 셀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셀의 무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셀의 소정의 리소스 단위가 맵핑되는 리소스를 산출하는 제2 제어부를 더 갖고,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의 제2 통신부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모든 리소스에서,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 의해 널 심볼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을 복수 갖고,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의 제1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가 맵핑되는 리소스의 특정에 필요한 정보와 피간섭 이동국수 정보를,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의 제1 통신부는,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제1 셀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1 셀에 접속하는 이동국의 이동국 고유 복호 대상 리소스가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와 겹치는 경우, 겹치는 영역 내의 소정의 리소스 단위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용의 제어 채널에 의한 송신을 행하고,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은,
    복수의 제1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피간섭 이동국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제1 셀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을 설정함과 함께, 상기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 정보를 각 제1 셀의 기지국에 통지하는 제2 제어부를 더 갖고,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의 제2 통신부는,
    상기 각 제1 셀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제1 셀의 소정의 리소스 단위가 맵핑되는 리소스에서, 널 심볼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의 제1 제어부는,
    상기 피간섭 이동국수 정보로서, 무선 채널 상태가 소정 품질 이하인 이동국수에 기초하는 정보를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의 제2 제어부는,
    상기 피간섭 이동국수 정보가 나타내는 값에 관한 각 제1 셀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의 개수에 관한 각 제1 셀간의 비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의 제2 제어부는,
    상기 각 제1 셀용의 간섭 저감 서브 프레임을 서로 중복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의 제1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가 맵핑되는 리소스의 특정에 필요한 정보로서, 상기 제1 셀의 무선 파라미터를,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의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무선 파라미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셀의 소정의 리소스 단위가 맵핑되는 리소스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의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셀에 접속하는 이동국용의 제어 채널에 적용하는 애그리게이션 레벨을, 상기 이동국의 무선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잠정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의 제1 통신부는,
    상기 이동국의 잠정적인 애그리게이션 레벨에 대한 이동국 고유 복호 대상 리소스가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와 겹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이동국 고유 복호 대상 리소스가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와 겹치는, 잠정값 이상의 애그리게이션 레벨을 선택하여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국 고유 복호 대상 리소스가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와 겹치는, 상기 잠정값 미만의 애그리게이션 레벨을 선택하고 송신 전력을 소정값 이상으로 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의 제1 제어부는,
    피간섭 이동국수를,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에 통지함과 함께,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간섭 저감 리소스 단위 정보에 따라서, 소정의 리소스 단위를 설정하고,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의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피간섭 이동국수에 기초하여, 소정의 리소스 단위수를 조정함과 함께, 소정의 리소스 단위수에 기초하는 간섭 저감 리소스 단위 정보를,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의 제2 제어부는,
    상기 피간섭 이동국수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수를 증가시킴과 함께, 상기 피간섭 이동국수가 상기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의 제2 통신부는,
    복수의 제1 셀의 기지국 중, 상기 널 심볼의 송신을 요구한 제1 셀의 기지국으로부터의 그 요구를 계기로 하여,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의 이동국에 상기 널 심볼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3. 제1 셀의 제어 채널과 제2 셀의 데이터 채널이 시간적으로 겹치도록, 각 셀에서의 송신 타이밍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으로서,
    소정의 리소스 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셀의 제어 채널의 리소스의 특정에 이용되는 정보를,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에 통지하는 제어부와,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고, 또한, 상기 제1 셀의 이동국의 복호 대상인, 상기 제1 셀의 제어 채널의 제1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셀의 이동국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 셀의 제어 채널과 제2 셀의 데이터 채널이 시간적으로 겹치도록, 각 셀에서의 송신 타이밍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으로서,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소정의 리소스 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셀의 제어 채널의 리소스의 특정에 이용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와,
    수신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셀의 데이터 채널의 제2 리소스를 이용하여, 널 심볼을 송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 셀의 제어 채널과 제2 셀의 데이터 채널이 시간적으로 겹치도록, 각 셀에서의 송신 타이밍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는 이동국으로서,
    소정의 리소스 단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고, 또한, 상기 제1 셀의 이동국의 복호 대상인, 상기 제1 셀의 제어 채널의 제1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셀의 데이터 채널의 제2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널 심볼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6. 제1 셀의 제어 채널과 제2 셀의 데이터 채널이 시간적으로 겹치도록, 각 셀에서의 송신 타이밍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은, 소정의 리소스 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셀의 제어 채널의 리소스의 특정에 이용되는 정보를,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은,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고, 또한, 상기 제1 셀의 이동국의 복호 대상인, 상기 제1 셀의 제어 채널의 제1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셀의 이동국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은, 상기 소정의 리소스 단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셀의 데이터 채널의 제2 리소스를 이용하여, 널 심볼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셀의 이동국은, 상기 제1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리소스에 의해 수신함과 함께, 상기 제2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널 심볼을, 상기 제2 리소스에 의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137020103A 2011-01-31 2011-01-31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579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1948 WO2012104970A1 (ja) 2011-01-31 2011-01-31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及び無線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932A true KR20130112932A (ko) 2013-10-14
KR101579357B1 KR101579357B1 (ko) 2015-12-21

Family

ID=4660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103A KR101579357B1 (ko) 2011-01-31 2011-01-31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37558B2 (ko)
EP (1) EP2672772B1 (ko)
JP (1) JPWO2012104970A1 (ko)
KR (1) KR101579357B1 (ko)
CN (1) CN103340003B (ko)
WO (1) WO20121049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3994A2 (ko) * 2011-05-10 2012-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안테나 포트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송신단 장치
WO2013036005A1 (en) * 2011-09-05 2013-03-1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indicating a control channel in a wireless access system, base station for the same and user equipment for the same
EP3531794B1 (en) * 2013-02-22 2023-05-10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station, radio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1405665B (zh) * 2013-12-11 2023-12-1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物理下行控制信道的资源分配方法和装置
US9474014B2 (en) * 2014-12-23 2016-10-18 Intel Corporation Method of processing received digitized signals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EP3497861B1 (en) * 2016-08-11 2022-10-0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Latency reduction in tdd systems with carrier aggragation
US11012922B2 (en) * 2017-09-18 2021-05-18 Qualcomm Incorporated Common search space design for coverage enhanc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1202277B2 (en) * 2018-07-23 2021-12-14 Qualcomm Incorporated Overbooking handling for multiple transceiver nod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1885A (ja) * 2009-01-26 2010-08-05 Ntt Docomo Inc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4065B2 (en) * 2008-06-25 2018-05-15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control blank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US8942165B2 (en) * 2008-08-01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813464B (zh) * 2008-10-31 2018-05-18 知识产权之桥一号有限责任公司 基站、终端、搜索空间设定方法、通信方法及集成电路
WO2010068012A2 (ko) * 2008-12-09 2010-06-17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공백 영역 해제 방법 및 장치
JP2012517128A (ja) * 2009-02-27 2012-07-26 エヌイーシー ヨーロッパ リミテッド 移動局からマクロセルまたはフェムトセル基地局への稼働ワイヤレスコネクションをサポートする方法
US8565824B2 (en) * 2009-04-29 2013-10-22 Nec Europe Ltd. Method for operating a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EP2648439A4 (en) * 2010-12-02 2016-06-08 Fujitsu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1885A (ja) * 2009-01-26 2010-08-05 Ntt Docomo Inc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093971, Motorola, "Reliable Downlink Control for Heterogeneous Networks", 3GPP TSG RAN1 #58bis, 2009.10.12-16.* *
3GPP R1-103227
3GPP TR36.814 V9.0.0(2010-03)
3GPP TS36.211 V8.9.0(2009-12)
3GPP TS36.213 V8.8.0(2009-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2772A1 (en) 2013-12-11
US20130303179A1 (en) 2013-11-14
US9237558B2 (en) 2016-01-12
KR101579357B1 (ko) 2015-12-21
CN103340003B (zh) 2017-08-01
WO2012104970A1 (ja) 2012-08-09
EP2672772A4 (en) 2016-04-20
CN103340003A (zh) 2013-10-02
EP2672772B1 (en) 2018-03-21
JPWO2012104970A1 (ja)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74586A (ja) ワイヤレス通信におけるハイブリッド自動再送/要求(harq)フィードバックの通信
JP6725497B2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7030686B2 (ja) 端末、基地局、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568614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60278056A1 (en)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585804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11399386B2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923755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553402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9806834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downlink control channel receiv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U2579016C2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JP5899149B2 (ja) 無線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US9716578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EP3354090B1 (en) Method and network node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network
US8842625B2 (en) Wireless scheduling considering overhead cost estimate
US20140211735A1 (en) Small cell base station and victim terminal device detection method
US20120057500A1 (en) Radio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9439157B2 (en) Radio base s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radio base station
AU2017427495B2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9848437B1 (en) Management of uplink control signaling in wireless adjacent coverage are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