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609A -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 Google Patents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609A
KR20130112609A KR1020120035123A KR20120035123A KR20130112609A KR 20130112609 A KR20130112609 A KR 20130112609A KR 1020120035123 A KR1020120035123 A KR 1020120035123A KR 20120035123 A KR20120035123 A KR 20120035123A KR 20130112609 A KR20130112609 A KR 20130112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membrane
immersion
accommodating case
filter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규
이지웅
백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매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매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매직
Priority to KR1020120035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2609A/ko
Publication of KR20130112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46Supply, recovery or discharge mechanisms of wash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분리조에 침지된 상태로 침지식(submerged type) 분리막을 세정하기 위한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에 있어서, 세정약품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 침지식 분리막을 수용하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세정약품을 수용하는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를 포함하며, 막분리조의 피여과수의 수위가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 상단보다 낮아지도록 막분리조의 피여과수가 배수된 후 유로를 통해 세정약품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막분리조 전체에 세정약품을 충수하지 않고도 침지식 분리막을 세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Cleaning device for submerged type membrane and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막분리조에 침지된 상태로 그대로 오염된 침지식 분리막을 세정하는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를 포함하여 침지식 분리막의 세정시 막분리조의 피여과수의 배수량을 최소화한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리막을 이용한 여과방식은 크게 침지식(submerged type)과 가압식(pressurized type)으로 구분된다. 도 1의 (a)는 침지식 분리막, (b)는 가압식 분리막을 도시한다.
가압식은 분리막이 들어있는 폐쇄형 베셀(vessel) 내부로 피여과수를 가압해서 여과시키는 방식으로서, 침지식에 비하여 동력 소모가 크며, 전체적인 유지관리비가 높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피여과수의 탁도가 낮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피여과수 관리가 철저해야 하고, 이에 따라 분리막 이전에 별도의 침전조가 요구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침지식에 관한 것으로서, 가압식 분리막의 세정방법과는 기술분야 상에서 차이가 있음은 본 기술의 통상의 기술자로부터 자명하다.
침지식 분리막의 세정방법은 크게 계외 세정조 세정방식과 인시츄 완전 회복 세정방식(in-situ recovery cleaning type)으로 구분된다.
계외 세정조 세정방식은 막분리조에 침지된 분리막을 인양하여 세정약품이 충수된 세정조에 침지시켜 분리막을 세정하는 방식으로 중규모, 또는 소규모에서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계외 세정조 세정방식은 수처리 설비 규모가 증가될수록 분리막의 인양작업에 대한 소요시간 및 인력에 대한 부담도 증가되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침지식 분리막과 막여과조의 세정방법(등록번호 제10-0862214호)" 등은 인시츄 완전 회복 세정방식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인시츄 완전 회복 세정방식을 도시한다.
도 2의 (a)는 막분리조(1)에 침지식 분리막(2)이 침지되어 있으며, 피여과수(3)가 충수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다. 침지식 분리막(2)을 막분리조(1) 내에서 세정하기 위해, 막분리조(1) 내의 피여과수(3)는 전량 배수된다(A).
도 2의 (b)는 피여과수(3)가 전량 배수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후, 침지식 분리막(2)을 침지시킬 수 있는 높이까지 세정약품(4)이 충수된다(B).
도 2의 (c)는 세정약품(4)이 막분리조(1)에 충수된 모습을 도시한다. 세정약품(4)에 침지된 상태로 침지식 분리막(2)은 일정시간 정치된다. 침지식 분리막(2)을 세정하고 생성된 세정폐액(5)은 배출된다(C).
도 2의 (d)는 세정폐액(5)이 배출된 모습을 도시한다. 이 후, 피여과수(3)를 다시 막분리조(1)에 충수하고(D), 여과를 진행한다.
도 2의 (e)는 피여과수(3)가 다시 막분리조(1)에 충수된 모습을 도시한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한 인시츄 완전 회복 세정방식은 분리막을 인양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력소모가 적으며, 한 번의 세정절차에서 침지된 분리막 전부를 세정할 수 있으므로 세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세정을 위해 막분리조 내의 피여과수를 전량 배수해야 한다는 점, 막분리조 전체를 세정약품으로 충수해야 하므로 세정약품의 소모량이 많다는 점, 이렇게 막대한 세정약품의 공급 및 세정 후 발생된 막대한 세정폐액의 처리를 위해 기계시설물 및 폐액처리조 등 토목시설물의 규모가 증가된다는 점 등의 단점을 갖는다.
(특허문헌 1) KR10-0862214 B1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시츄 완전 회복 세정방식의 장점은 유지하면서, 막대한 세정약품 및 세정폐액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한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한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를 이용한 침지식 분리막 세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막분리조에 침지된 상태로 침지식(submerged type) 분리막을 세정하기 위한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에 있어서, 세정약품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 상기 침지식 분리막을 수용하며, 상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세정약품을 수용하는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막분리조의 피여과수의 수위가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 상단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막분리조의 피여과수가 배수된 후 상기 유로를 통해 세정약품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 내로 형성된 인출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출배관을 통해 상기 침지식 분리막을 세정한 후 생성된 세정폐액이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지식 분리막에 폭기를 제공할 수 있는 산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지식 분리막이 수용되는 분리막 수용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 수용 케이스는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막분리조에 침지된 상태로 침지식(submerged type) 분리막을 세정하기 위한 침지식 분리막 세정방법에 있어서, (a) 막분리조 피여과수의 수위가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의 상단보다 낮아질 때까지 상기 막분리조의 피여과수가 배수되는 단계; (b) 침지식 분리막이 수용된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 내로 세정약품이 충수되는 단계; (c) 상기 침지식 분리막이 상기 세정약품이 충수된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에 정치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 의해 생성된 세정폐액이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 내로 형성된 인출배관을 통해 인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분리막 세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 단계 이후, (a1)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에 수용된 피여과수가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 내로 형성된 인출배관을 통해 인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산기관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침지식 분리막에 폭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d) 단계는 상기 세정약품의 종류를 달리하여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해 계외 세정조 세정방식에 비하여, 분리막을 인양하지 않는바 인력 소모의 부담이 적고, 침지된 분리막 전체를 한 번의 세정절차를 통해 세정할 수 있는바 소요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막분리조 전체에 세정약품을 충수하지 않고도 침지식 분리막을 세정할 수 있어, 종래의 인시츄 완전 회복 세정방식에 비하여, 세정약품의 소모량이 감소되고, 세정약품 및 세정폐액의 공급 및 처리에 필요한 토목시설물의 규모가 감소된다.
따라서, 분리막 플랜트 유지관리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분리막 세정 공정의 경제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세정 공정에 요구되는 시간도 감소된다.
도 1은 침지식 분리막 및 가압식 분리막을 도시하는 사진,
도 2는 종래의 인시츄 완전 회복 세정방식에 따른 세정단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 전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및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 세정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의 구조의 설명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식 분리막(100), 막분리조(200), 유로(300),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 분리막 수용 케이스(500), 인출배관(600), 산기관(700)을 포함할 수 있다.
침지식 분리막(100)은 피여과수(10)를 여과하는 분리막으로서 막분리조(200)에 침지된다. 침지식 분리막(100)은 일례로서 중공사막일 수 있다.
막분리조(200)는 피여과수(10) 및 침지식 분리막(100)을 수용하여, 피여과수(10)가 여과될 수 있도록 한다.
막분리조(200)는 배수펌프(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펌프(210)는 막분리조(200) 내의 피여과수(10)를 배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로(300)는 세정약품(20a)을 공급하는 역할 및 여과수를 흡인하는 역할 모두를 수행한다. 다만, 유로(300)는 세정약품(20a)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약품 공급부(미도시) 및 여과수를 흡인하기 위한 여과수 흡인부(미도시)로 나뉘어 제작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약품 원액조(310)로부터 세정약품 원액 공급 펌프(320)에 의해 세정약품 원액이 공급되며, 희석수 공급 펌프(330)에 의해 공급되는 희석수와 세정약품 원액은 라인믹서(340)에서 섞여 유로(300)를 통해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라인믹서(340)와 유로(300) 사이에 세정약품 공급 밸브(350)가 위치하여, 세정약품(20a)의 공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희석수와 세정약품 원액의 혼합비는 설계 세정약품 농도에 의해 결정되며, 설계 세정약품 농도는 최종적으로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로 충수되어 재 희석될 농도를 감안하여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는 침지식 분리막(100)을 수용하는 분리막 수용 케이스(500)를 수용하며, 유로(300)를 통해 공급된 세정약품(20a)을 수용한다.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는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개방된 통 형태이며, 단면은 원형 또는 육면체형 등 다양할 수 있다.
분리막 수용 케이스(500)는 침지식 분리막(100)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로서,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에 수용된다. 이를 통해, 침지식 분리막(100)이 자리를 이탈하거나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특히 폭기(30)가 제공되는 때 침지식 분리막(100)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한하는 역할도 한다.
인출배관(600)은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 내로 형성되며, 침지식 분리막(100)을 세정한 후 생성된 세정폐액(20b)을 인출한다. 또한,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에 세정약품(20a)을 충수하기 전,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 내의 피여과수(10)를 배수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인출배관(600)은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펌프(610)와 연결되며, 인출펌프(610)에 의해 인출배관(600)을 통해 인출된 세정폐액(20b)은 폐액처리조(620)에 수용될 수 있다.
산기관(700)은 침지식 분리막(100)에 폭기(30)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세정약품(20a)에 침지식 분리막(100)이 침지된 상태에서도 폭기(30)가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폭기(30)는 제공된 세정약품(20a)을 혼합하는 역할도 한다.
산기관(700)은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710)와 연결되어 폭기(30)가 제공될 수 있다.
유로(300)은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펌프(810)와 연결되어, 여과수를 흡인할 수 있다. 흡인된 여과수는 처리수조(820)에 수용되며, 여과수의 흡인은 처리수 흡인라인 밸브(83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300)는 세정약품 공급라인 밸브(350), 및 처리수 흡인라인 밸브(830) 모두와 연결되는바 밸브(350, 830)를 제어함으로써 유로(300)를 통해 세정약품(20a)의 충수 또는 여과수의 흡인이 가능하다.
침지식 분리막 세정방법의 설명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방법에 대하여, 도 5a 내지 5g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유입되는 피여과수(A)를 여과하여, 여과수를 흡인(A')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a) 막분리조(200)의 피여과수(10)의 수위가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의 상단보다 낮아질 때까지 막분리조(200)의 피여과수(10)가 배수되는 단계
막분리조(200)에 침지된 침지식 분리막(100)을 막분리조(200) 내에서 인양하지 않고 세정하기 위해, 막분리조(200) 내의 피여과수(10)를 배수한다. 다만,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의 상단보다 낮아질 때까지만 피여과수(10)가 배수되는 것으로 충분하다(B).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시츄 완전 회복 세정방식(도 2의 (b))과 비교하면 상당량의 피여과수(10)가 배수되지 않고 잔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막분리조 규격으로 다수의 실험을 한 결과, 종래 대비 약 20~30% 정도의 피여과수(10)만이 배출됨을 확인하였다.
( a1 )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에 수용된 피여과수(10)가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 내로 형성된 인출배관(600)을 통해 인출되는 단계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 내에 세정약품(20a)이 충수될 공간을 확보하도록 인출배관(600)을 통해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 내의 피여과수(10)가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C).
도 5c는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 내의 피여과수(10)과 인출배관(600)을 통해 인출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b) 침지식 분리막(100)이 수용된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 내로 세정약품(20a)이 충수되는 단계
침지식 분리막(100)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약품(20a)이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 내로 충수된다(D). 이 때,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세정약품 공급라인 밸브(350)의 조절에 의해 세정약품(20a)의 공급여부 및 공급량이 제어될 수 있으며, 유로(300)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유로(300)를 통해 공급되는 세정약품(20a)은 침지식 분리막(100)의 내부(In)에서 외부(Out) 방향으로 진행하며 충수된다.
세정약품(20a)의 공급량은 배수된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 내의 피여과수(10) 양, 유로(300)의 용적 등을 고려하여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실제 세정 운전 시 침지식 분리막(100) 내부의 세정약품(20a) 농도를 측정하여 공급량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d는 세정약품(20a)이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에 충수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충수된 세정약품(20a)의 양은 종래의 인시츄 완전 회복 세정방식(도 2의 (c))과 비교하면 상당히 절약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일반적인 막분리조 규격에 대하여 다수의 실험을 통해 종래 대비 약 5% 수준의 세정약품(20a)만이 소모됨을 확인하였다.
(c) 침지식 분리막(100)이 세정약품(20a)이 충수된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 400)에 정치되며 , 산기관(700)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침지식 분리막(100)에 폭기(30)를 제공하는 단계
침지식 분리막(100)의 세정을 위해 세정약품(20a)이 충수된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에 침지식 분리막(100)이 정치되며, 이를 통해 침지식 분리막(100)을 오염시킨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이 때, 산기관(700)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침지식 분리막(100)에 폭기(30)를 제공(E)하여 공기방울에 의한 물리적 세정력을 향상시키고 세정약품(20a)을 혼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폭기(30) 제공시간은 약 10분 이내가 효과적임을 다수의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바람직하게는, 폭기(30)의 제공이 끝난 후, 일정시간 동안 침지식 분리막(100)을 세정약품(20a)에 침지된 상태로 정치시킨다. 이 경우, 폭기(30)에 의해 충분히 교반된 세정약품(20a)이 하부 폭기(30)에 의해 구조가 약화된 침지식 분리막(100)의 오염물질을 분해, 제거하므로 효율적이다. 이 때, 정치시간은 침지식 분리막(100)의 오염 정도, 세정약품(20a)의 농도와 수온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약 1~3시간 정도가 적절함을 다수의 실험을 통하여 확인했다.
도 5e는 세정약품(20a)이 충수된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에 정치된 상태의 침지식 분리막(100)에 폭기(30)가 제공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d) 세정폐액(20b)이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 내로 형성된 인출배관(600)을 통해 인출되는 단계
상기한 (c) 단계를 통해 침지식 분리막(100)을 세정하고 생성된 세정폐액(20b)은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400) 내로 형성된 인출배관(600)을 통해 인출된다(F). 이 때, 인출된 세정폐액(20b)은 폐액처리조(620)에 수용될 수 있다.
폐액처리조(620)에 수용된 세정폐액(20b)은 각종 산화-환원제 및 pH중화제 등의 투입으로 진행되는 제거, 약화의 절차에 의해 폐기처리된다.
도 5f는 세정폐액(20b)이 인출배관(600)을 통해 인출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또한, 상기한 (b) 단계 내지 (d) 단계는 세정약품(20a)의 종류를 달리하여 반복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정효율 및 세정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2 종류 이상의 세정약품(20a)이 침지식 분리막(100) 및 내부에서 혼합되는 것은 비록 잔류물 수준의 소량이라도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침지식 분리막(100) 및 내부를 세척한 후 인출배관(600)으로 인출하는 린싱(Linsing) 절차가 포함될 수 있다. 세척은 처리수조(820)에 수용된 기 여과된 여과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g는 상기한 (d) 단계 이후, 피여과수(10)가 막분리조(200) 내로 충수(G)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렇게, 피여과수(10)가 막분리조(200)에 충수된 모습은 도 5a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충수된 피여과수(10)는 여과되어 흡인(A')될 수 있다.
그러나, 여과 초기에는 침지식 분리막(100) 등에 세정폐액(20b)이 미량 함유되어 있을 수 있어, 여과수의 세정약품 농도를 분석하여 정상적인 여과수질로 회복되기 전까지 초기 여과수를 바이패스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피여과수
20a : 세정약품
20b : 세정폐액
30 : 폭기
100 : 침지식 분리막
200 : 막분리조
210 : 배수펌프
300 : 유로
310 : 세정약품 원액조
320 : 세정약품 원액 공급 펌프
330 : 희석수 공급 펌프
340 : 라인믹서
350 : 세정약품 공급라인 밸브
400 :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
500 : 분리막 수용 케이스
600 : 인출배관
610 : 인출펌프
620 : 폐액처리조
700 : 산기관
710 : 송풍기
810 : 흡인펌프
820 : 처리수조
830 : 처리수 흡인라인 밸브

Claims (8)

  1. 막분리조에 침지된 상태로 침지식(submerged type) 분리막을 세정하기 위한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에 있어서,
    세정약품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
    상기 침지식 분리막을 수용하며, 상기 유로를 통해 공급된 세정약품을 수용하는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막분리조의 피여과수의 수위가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 상단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막분리조의 피여과수가 배수된 후 상기 유로를 통해 세정약품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 내로 형성된 인출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출배관을 통해 상기 침지식 분리막을 세정한 후 생성된 세정폐액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식 분리막에 폭기를 제공할 수 있는 산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식 분리막이 수용되는 분리막 수용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 수용 케이스는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
  5. 막분리조에 침지된 상태로 침지식(submerged type) 분리막을 세정하기 위한 침지식 분리막 세정방법에 있어서,
    (a) 막분리조 피여과수의 수위가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의 상단보다 낮아질 때까지 상기 막분리조의 피여과수가 배수되는 단계;
    (b) 침지식 분리막이 수용된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 내로 세정약품이 충수되는 단계;
    (c) 상기 침지식 분리막이 상기 세정약품이 충수된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에 정치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 의해 생성된 세정폐액이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 내로 형성된 인출배관을 통해 인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분리막 세정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
    (a1)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에 수용된 피여과수가 상기 세정약품 수용 케이스 내로 형성된 인출배관을 통해 인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분리막 세정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산기관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침지식 분리막에 폭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분리막 세정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d) 단계는 상기 세정약품의 종류를 달리하여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분리막 세정방법.
KR1020120035123A 2012-04-04 2012-04-04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KR20130112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123A KR20130112609A (ko) 2012-04-04 2012-04-04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123A KR20130112609A (ko) 2012-04-04 2012-04-04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609A true KR20130112609A (ko) 2013-10-14

Family

ID=4963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123A KR20130112609A (ko) 2012-04-04 2012-04-04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26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65A (ko) * 2018-07-23 2020-01-31 (주)한경글로벌 광촉매 및 자외선 산란유도담체를 이용한 침지식 분리막의 세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65A (ko) * 2018-07-23 2020-01-31 (주)한경글로벌 광촉매 및 자외선 산란유도담체를 이용한 침지식 분리막의 세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173B1 (ko) 역류
KR20100028116A (ko) 간단한 여과 시스템을 위한 세정 방법
DE60032142T2 (de) System und verfahren zur permeatentnahme mittels filter und zur in-situ-filterreinigung
KR20200060483A (ko) 기판 처리 장치, 기판 처리 장치의 세정 방법
CN107349793A (zh) 一种可在线对mbr膜组器进行离线化学清洗的系统和方法
JP3494744B2 (ja) 浸漬型膜濾過装置における膜の薬液洗浄方法及び薬液洗浄装置
KR100241588B1 (ko)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JP5147267B2 (ja) 膜ろ過システムの洗浄方法
JP3290556B2 (ja) 浸漬型膜カートリッジの洗浄方法
KR20130112609A (ko) 침지식 분리막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KR101926857B1 (ko) 분리막 자동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고속 자동 세정방법
JP3514187B2 (ja) 濾過装置
KR20030042133A (ko) 침지형 분리막의 세정방법 및 그 장치
JPH08229362A (ja) 浸漬型膜濾過装置における膜の薬液洗浄方法及び薬液洗浄装置
JP2006198462A (ja) 平膜エレメントの洗浄方法
KR101240258B1 (ko) 침지식 막여과 정수시스템에서 계내 회복세정시 회복세정수 재이용 장치 및 방법
JP4465669B2 (ja) 洗浄水のリサイクル装置
CN210286847U (zh) 插片机用水系统及硅片清洗系统
JP3898257B2 (ja) ウエハ洗浄装置及びウエハ洗浄方法
CN207713601U (zh) 一种集成式污水处理设备
JPS63272040A (ja) 循環濾過洗浄装置
JP4385483B2 (ja) 排水の処理方法
JP2011011173A (ja) 濾過膜モジュール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JP3282445B2 (ja) 生物処理装置
JPH1057780A (ja) 浸漬型膜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