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098A -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098A
KR20130112098A KR1020120034223A KR20120034223A KR20130112098A KR 20130112098 A KR20130112098 A KR 20130112098A KR 1020120034223 A KR1020120034223 A KR 1020120034223A KR 20120034223 A KR20120034223 A KR 20120034223A KR 20130112098 A KR20130112098 A KR 20130112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video
worker
analysis
process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용
Original Assignee
이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용 filed Critical 이진용
Priority to KR102012003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2098A/ko
Publication of KR20130112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7/00Systems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of said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라인의 공정을 촬영한 비디오 작업화면을 이용하여 생산 라인에서 작업순서 및 물류 레이아웃 개선안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화함으로써, 표준작업의 설정, 표준시간의 설정, 공정분배를 통한 라인밸런스, MMC(Man-Machine Chart, 사람과 기계의 연합작업) 등의 분석작업을 통해 작업동선, 작업량, 작업인원을 계획하여, 최적의 공정설계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은 캠코더로 작업자의 동일 반복 작업을 소정의 횟수 연속 촬영하여 비디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비디오를 컴퓨터에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된 비디오를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실행된 비디오를 클릭 및 재클릭하여 비디오를 재생 및 정지시키면서, 작업자 컴포너트와, 장비 컴포넌트와, 작업자의 이동 경로 및, 작업의 순서인 요소작업을 입력시키는 단계; 상기 요소작업 입력 후, 상기 요소작업 별로 자재의 흐름을 스크립트로 입력시키는 단계; 상기 자재의 흐름에 따른 작업 순서를 스크립트로 입력시키는 단계; 상기 자재의 생성과 소멸에 관한 컴포넌트를 생성하는 단계; 시뮬레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시물레이션 실행에 따른 그래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 분석에 따른 분석 결과에 만족하는 지를 검토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에 불만족하면, 리포트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포트를 작성한 후,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은 생산라인의 공정을 촬영한 비디오 작업화면을 이용하여 생산 라인에서 작업순서 및 물류 레이아웃 개선안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화함으로써, 최적의 공정 설계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에 근거하여, 표준작업의 설정, 표준시간의 설정, 공정분배를 통한 라인밸런스, MMC 등의 분석작업을 통해 최적의 공정분석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표준시간의 설정시 하나의 요소작업에 대해 작업유형을 미세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요소작업별 세부사항을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PROCESS DESIGN AND ANALYSIS METHOD}
본 발명은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라인의 공정을 촬영한 비디오 작업화면을 이용하여 생산 라인에서 작업순서 및 물류 레이아웃 개선안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화함으로써, 작업동선, 작업량, 작업인원을 계획하여, 최적의 공정설계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로 생산 라인(Line)으로 구성되는 작업장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중요한 것은 라인에서 라인으로 이송되는 공정에 대한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이고, 이러한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이 정확하지 않으면, 다른 공정과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제품 생산에 차질이 빚게 된다.
그래서 원활한 공정을 위해 해당 공정에 대한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 기존에는 해당 공정에서 개인별 작업자의 작업시간(TACT TIME)을 관리하는데 주력하였고, 이때 초시계를 이용하여 작업자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진 지점에서 육안으로 작업 과정을 10 내지 20회 정도 측정하고, 이 측정된 시간을 평균하여 작업자의 작업시간을 측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은 그 측정시간이 많이 걸리게 될 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작업시간을 관리하게 되므로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정확한 작업 효율 도출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고안된 것이 비디오 촬영을 이용하여, 공정을 효율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최근 상용화되고 있으나, 상기 비디오 촬영을 이용한 공정의 측정 방법은 라인에서 작업 중인 공정을 비디오화하고, 상기 비디오화된 공정을 재생 및 정지하면서 재생 및 정지까지의 동작시간을 측정하고 이 측정된 동작시간을 컴퓨터상의 작업시트에 기입하는 방식으로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었으나, 도 1에 도시된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은 공정 프로세스 입력방식이 다이어그램(Diagram)을 모델링하고, 애니메이션 컴포너트(Animation Component)와 연계시켜 모델링화함으로써, 스크립터에서 세부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조건문을 입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은 입력부가 컴포넌트 등록부와 레이아웃에 컴포넌트 입력부 및, 스크립트 명령으로 흐름을 제어하는 스크립트 입력부로 나누어 구성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흐름을 파악하기 힘들며, 스크립트를 배우고 활용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생산라인의 공정을 촬영한 비디오 작업화면을 이용하여 생산 라인에서 작업순서 및 물류 레이아웃 개선안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화함으로써, 표준작업의 설정, 표준시간의 설정, 공정분배를 통한 라인밸런스, MMC(Man-Machine Chart, 사람과 기계의 연합작업) 등의 분석작업을 통해 작업동선, 작업량, 작업인원을 계획하여, 최적의 공정설계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은 캠코더로 작업자의 동일 반복 작업을 소정의 횟수 연속 촬영하여 비디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비디오를 컴퓨터에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된 비디오를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실행된 비디오를 클릭 및 재클릭하여 비디오를 재생 및 정지시키면서, 작업자 컴포너트와, 장비 컴포넌트와, 작업자의 이동 경로 및, 작업의 순서인 요소작업을 입력시키는 단계; 상기 요소작업 입력 후, 상기 요소작업 별로 자재의 흐름을 스크립트로 입력시키는 단계; 상기 자재의 흐름에 따른 작업 순서를 스크립트로 입력시키는 단계; 상기 자재의 생성과 소멸에 관한 컴포넌트를 생성하는 단계; 시뮬레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시물레이션 실행에 따른 그래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 분석에 따른 분석 결과에 만족하는 지를 검토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에 불만족하면, 리포트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포트를 작성한 후,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분석 결과에 만족하면, 작업자 컴포너트와, 장비 컴포넌트와, 작업자의 이동 경로 및, 작업의 순서인 요소작업을 입력시키는 단계로 되돌아가서, 새로운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은 생산라인의 공정을 촬영한 비디오 작업화면을 이용하여 생산 라인에서 작업순서 및 물류 레이아웃 개선안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화함으로써, 최적의 공정 설계를 지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에 근거하여, 표준작업의 설정, 표준시간의 설정, 공정분배를 통한 라인밸런스, MMC 등의 분석작업을 통해 최적의 공정분석을 지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표준시간의 설정시 하나의 요소작업에 대해 작업유형을 미세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요소작업별 세부사항을 입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대한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대한 제어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서 컴포넌트 모델링 및 컴포넌트 정보 관리에 대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서 레이아웃 모델링에 대한 예시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서 프로세스 모델링에 대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대한 시뮬레이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대한 결과 분석 자료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의한 MMC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의한 공정 설계 사례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참조번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서 컴포넌트 모델링 및 컴포넌트 정보 관리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서 레이아웃 모델링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서 프로세스 모델링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대한 시뮬레이션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대한 결과 분석 자료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의한 MMC 예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의한 공정 설계 사례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은 캠코더(10)에 의한 비디오 촬영과, 이를 분석하기 위한 특정 프로그램이 내재된 컴퓨터(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캠코더(10)는 렌즈로부터 들어오는 영상의 빛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여 고체 촬상소자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고 이것을 다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소자에 저장하여 비디오화하게 되며, 상기 캠코더(10)는 라인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동일 반복 작업을 소정의 횟수(6회 이상)까지 연속으로 촬영한다.
또한 한 개의 화면 만으로 작업현황을 촬영하면 보이진 않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두 개의 캠코더(10)로 동일 작업을 다른 각도에서 각각 촬영하여, 메인 비디오와 보조 비디오를 만들어 시간 측정을 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비디오와 보조 비디오는 동일시간에 촬영을 했더라도 시간적인 차이가 발생하여 상기 메인 비디오와 보조비디오를 동시에 재생하게 되면 시간적으로 화면이 일치하지 않게 되어 동기화시켜 일치시켜야 한다.
따라서 메인 비디오와 보조 비디오를 어느 한쪽만 재생시켜 동일 시간대를 위치시키고 '시간 연계' 버턴을 클릭하여 시간을 일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시간 연계'란 버턴 클릭시, 예를 들어 메인 비디오가 2.4초를 가리키고 보조 비디오가 3.2초를 가리키면 0.8초를 컴퓨터에 기억시켜 놓았다가 메인 비디오 재생시, 보조 비디오의 재생시간을 메인 비디오 현재시간에 0.8초 더하여 재생시켜 메인 비디오와 보조 비디오를 일치시키게 된다.
상기 캠코더(10)는 비디오화 된 영상신호를 IEEE1394 카드를 통하여 곧바로 컴퓨터(20)로 전송한다.
상기 컴퓨터(20)는 캠코더(10)의 IEEE1394 카드 및 케이블로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게 되며, 상기 컴퓨터(20)는 키입력부(21), 구동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22), 구동프로그램이 저장된 하드디스크(23),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모니터(24)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22)는 상기 캠코더(10)로 촬영된 비디오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 된 비디오를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비디오를 클릭 및 재 클릭하여 재생 및 정지하면서 동작시간을 측정함과 아울러, 측정 작업을 구분 설정하여 상기 구분 설정된 측정 작업에 상기 측정된 동작시간을 입력 완료 후, 반복 측정시 새 사이클 작업추가 설정하고 비디오를 재생 및 정지하면서 요소작업 및 작업유형을 자동 생성하여 생성된 요소작업 및 작업유형에 측정된 동작시간을 반복 입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캠코더(10)로 생산라인에서 작업자의 동일 반복 작업을 소정의 횟수 연속 촬영하여 비디오를 준비하고(S501), 상기 준비된 비디오를 IEEE1394 카드를 통해서 컴퓨터(20)에 다운로드한다(S502).
상기 컴퓨터(20)에서는 중앙처리장치(22)를 통해서 기설정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다운로드 된 비디오를 실행시킨다(S503).
이때 컴퓨터(20)의 모니터(24)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프로그램 실행에 의해 다운 로드된 비디오의 맨 앞 비디오가 설정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후, 실행된 비디오를 재생 및 정지시키면서 다운로드된 비디오를 체킹한다(S504).
이어서, 비디오를 체킹하면서, 작업자 컴포넌트, 장비 컴포넌트, 작업자의 이동경로 및, 작업의 순서인 요소작업을 입력시킨다(S505).
여기서, 상기 컴포넌트의 속성값을 살펴보면, "Entity" 는 자재의 정보를 의미하고 도형(그림) 정보 및 코스트(cost) 정보를 갖고 있으며, "Pallet" 는 자재들을 담고있는 틀을 의미하고, Entity 개수 정보를 갖고 있으며, "Operator" 는 작업자를 의미하고 이동 속도(자재 유/무에 따른)와 이동 경로 정보를 갖고 있으며, "Machine" 는 기계 장비를 의미하고 가동시간 정보를 갖고 있으며, "Conveyor" 는 컨베어 시스템을 의미하고 속도정보를 갖고 있으며, "Location" 는 위치정보를 의미하고 X/Y 좌표 정보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S504 단계와 S505 단계는 동시에 실시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요소작업 입력 후, 상기 요소작업 별로 자재의 흐름과 같은 세부사항을 스크립트로 입력시킨다(S506).
이후, 상기 자재의 흐름에 따른 작업 순서를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입력시킨다(S507).
그 후, 자제의 생성과 소멸에 관한 컴포넌트를 생성시킨다(S508).
이어서,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실행시킨다(S509).
이후, 시뮬레이션 실행에 따른 그래프를 분석한다(S510).
그 후, 그래프 분석에 따른 분석 결과에 만족하는 지를 판단한다(S511).
이어서, 상기 분석 결과에 불만족하면, 리포트를 작성하고(S512),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을 종료하게 되지만, 상기 분석 결과에 만족하면, 새로운 공정에 대한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을 위해, S505 단계 이전으로 되돌아가서, 새로운 공정에 대한 작업자 컴포넌트, 장비 컴포넌트, 작업자의 이동경로 및, 작업의 순서인 요소작업 입력을 진행한다.
이제, 레이아웃 모델링을 예시한 도 7을 참조하면, 좌측에 나열된 컴포넌트를 선택한 후, 레이아웃 화면을 클릭하면, 레이아웃 화면에 컴포넌트가 생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 모델링을 예시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작업 주체 및 순서입력과, 파트의 이동 흐름 및 작업 흐름 상세 모델링을 알 수 있는데,
여기서, Type: P는 작업자의 작업 유형, W는 작업자 이동, M은 기계 작업유형을 의미한다.
또한, Oper: 작업의 주체 즉, 작업자 또는 기계를 의미한다.
또한, Process: 작업 시간 또는 이동 속도를 의미한다.
또한, Elem Name: 작업 명을 의미한다.
또한, To Loc or At: 작업 위치 또는 이동 도착지를 의미한다.
또한, Put load to Conveyor1.p1은 OP1이라는 작업자가 Conveyor1이라는 Conveyor에 p1 위치에 가지고 있는 자재를 올려놓음을 의미한다.
또한, IF Conveyor3.p3==1 then
else
go process e1
end if
이는 컨베이어3의 p3위치에 자재가 없으면 e1위치의 프로세서로 이동하여 EL#가 1인 위치의 작업으로 이동하거나 아니면 다음 작업으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실행되고, 이러한 시뮬레이션의 실행에 따른 결과 분석 자료가 MMC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0 및 도 11를 참조하면, 작업자 또는 기계의 대기(wating) 결과가 손쉽게 도출되고, 이러한 도출 결과를 참조하여 작업자 또는 기계의 대기를 최소화함으로써,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출 결과를 참조하여,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도 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정 설계 사례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인 직렬작업을 1인 병렬작업으로 개선하면, 가동율, 작업량 및, MMC가 크게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은 생산라인의 공정을 촬영한 비디오 작업화면을 이용하여 생산 라인에서 작업순서 및 물류 레이아웃 개선안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화함으로써, 최적의 공정 설계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에 근거하여, 표준작업의 설정, 표준시간의 설정, 공정분배를 통한 라인밸런스, MMC 등의 분석작업을 통해 최적의 공정분석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표준시간의 설정시 하나의 요소작업에 대해 작업유형을 미세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요소작업별 세부사항을 입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속하는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캠코더 20: 컴퓨터
21: 키입력부 22: CPU
23: 하드디스크 24: 모니터

Claims (5)

  1. 캠코더로 작업자의 동일 반복 작업을 소정의 횟수 연속 촬영하여 비디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비디오를 컴퓨터에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된 비디오를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실행된 비디오를 클릭 및 재클릭하여 비디오를 재생 및 정지시키면서, 작업자 컴포너트와, 장비 컴포넌트와, 작업자의 이동 경로 및, 작업의 순서인 요소작업을 입력시키는 단계;
    상기 요소작업 입력 후, 상기 요소작업 별로 자재의 흐름을 스크립트로 입력시키는 단계;
    상기 자재의 흐름에 따른 작업 순서를 스크립트로 입력시키는 단계;
    상기 자재의 생성과 소멸에 관한 컴포넌트를 생성하는 단계;
    시뮬레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시물레이션 실행에 따른 그래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 분석에 따른 분석 결과에 만족하는 지를 검토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에 불만족하면, 리포트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포트를 작성한 후,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에 만족하면, 새로운 공정에 대한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을 위해, 새로운 공정에 대한 작업자 컴포넌트, 장비 컴포넌트, 작업자의 이동경로 및, 작업의 순서인 요소작업 입력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컴포너트와, 장비 컴포넌트의 속성값을 살펴보면, "Entity" 는 자재의 정보를 의미하고 도형(그림) 정보 및 코스트(cost) 정보를 갖고 있으며, "Pallet" 는 자재들을 담고있는 틀을 의미하고, Entity 개수 정보를 갖고 있으며, "Operator" 는 작업자를 의미하고 이동 속도(자재 유/무에 따른)와 이동 경로 정보를 갖고 있으며, "Machine" 는 기계 장비를 의미하고 가동시간 정보를 갖고 있으며, "Conveyor" 는 컨베어 시스템을 의미하고 속도정보를 갖고 있으며, "Location" 는 위치정보를 의미하고 X/Y 좌표 정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물레이션 실행에 따른 그래프를 분석하는 단계에서, 표준작업의 설정, 표준시간의 설정, 공정분배를 통한 라인밸런스, MMC(Man-Machine Chart)와 같은 분석작업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작업을 통해, 가동율, 작업량 및, MMC가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
KR1020120034223A 2012-04-03 2012-04-03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 KR20130112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223A KR20130112098A (ko) 2012-04-03 2012-04-03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223A KR20130112098A (ko) 2012-04-03 2012-04-03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098A true KR20130112098A (ko) 2013-10-14

Family

ID=4963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223A KR20130112098A (ko) 2012-04-03 2012-04-03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209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34464A1 (en) * 2015-02-06 2016-08-11 Xerox Corporation Computer-vision based process recognition
CN106067120A (zh) * 2016-06-08 2016-11-02 南通大学 一种新型灌装设备销售服务模式
KR20170076244A (ko) 2015-12-24 2017-07-0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공정 라인 시스템
TWI637251B (zh) * 2016-10-26 2018-10-01 Mitsubishi Chemical Engineering Corporation 生產程序之分析方法
KR20200047278A (ko) * 2018-10-24 2020-05-07 한국과학기술원 듀얼 스토커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210131753A (ko) * 2020-04-24 2021-11-03 현구 강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제품 생산량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US11186058B2 (en) 2017-09-27 2021-11-30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achinery Systems, Ltd. Analysis device and analysis method for preparatory work time in paper converting machin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34464A1 (en) * 2015-02-06 2016-08-11 Xerox Corporation Computer-vision based process recognition
US10110858B2 (en) * 2015-02-06 2018-10-23 Conduent Business Services, Llc Computer-vision based process recognition of activity workflow of human performer
KR20170076244A (ko) 2015-12-24 2017-07-0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공정 라인 시스템
CN106067120A (zh) * 2016-06-08 2016-11-02 南通大学 一种新型灌装设备销售服务模式
TWI637251B (zh) * 2016-10-26 2018-10-01 Mitsubishi Chemical Engineering Corporation 生產程序之分析方法
US11186058B2 (en) 2017-09-27 2021-11-30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achinery Systems, Ltd. Analysis device and analysis method for preparatory work time in paper converting machine
KR20200047278A (ko) * 2018-10-24 2020-05-07 한국과학기술원 듀얼 스토커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210131753A (ko) * 2020-04-24 2021-11-03 현구 강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제품 생산량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2098A (ko) 공정설계 및 공정분석 방법
US11810260B2 (en) Augmented reality system
US20210097770A1 (en)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US201802539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and shar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US72035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ion state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7831411B2 (en) Diagnostic tool for retroactive assessment of industrial process performance
US10607240B2 (en) Activity situation analysis apparatus, activity situation analysis system, and activity situation analysis method
US10503964B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nd visualizing user behavior i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US20080183858A1 (en) Retrieval Mechanism for Web Visit Simulator
JP6717572B2 (ja) 作業分析システム及び作業分析方法
JP2019521421A (ja) ネットワーク内のキー付きデータを処理するための実行可能ロジック
KR20200138074A (ko) 머신-러닝과 크라우드-소싱된 데이터 주석을 통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Ratajczak et al. Augmented reality combined with location-based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the construction process, quality control and information flow
JP5136026B2 (ja) 工程改善支援装置、工程改善支援用プログラム、および工程改善支援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116636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work instruction creation
CN103685975B (zh) 一种视频播放系统及方法
CN114841509A (zh) 一种产品制造方法、计算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0929001B1 (ko) 동영상을 이용한 작업시간 측정방법
US8952965B2 (en) Non-linear time scale optimization for mechanical-electrical machine behavior model visualization
JP4670056B2 (ja) ユーザビリティ評価システム及びユーザビリティ評価プログラム
JP6494085B2 (ja) 作業手順書の作成装置
US202303113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 motion data sample of a given robot and its surrounding object set
CN116049001A (zh) 应用的自动化测试工具及其测试方法
JP2021022232A (ja) 生産実績記録システムおよび生産実績記録プログラム
CN117043551A (zh) 机器人几何相机校准以及监测警报配置和测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