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1350A -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1350A
KR20130111350A KR1020130031476A KR20130031476A KR20130111350A KR 20130111350 A KR20130111350 A KR 20130111350A KR 1020130031476 A KR1020130031476 A KR 1020130031476A KR 20130031476 A KR20130031476 A KR 20130031476A KR 20130111350 A KR20130111350 A KR 20130111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vable body
automatic transmission
hole
oil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671B1 (ko
Inventor
쇼지 도가시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11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Abstract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1)는, 가동체(40)의 축부(42)가 삽입 통과되어 회동 가능하게 피봇 고정되는 베어링 구멍(31a)이 형성된 베어링부(31)를 갖는 하우징(10)과, 가동체(40)의 축부(42)가 하우징(10)의 베어링부(31)에 삽입 통과한 상태로 형성되는 부착부(60)에 부착되는 오일시일(5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오일시일(50)을 고정하는 고정부(61)를 부착부(60)에 설치해, 오일시일(50)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했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CONTROL SWITCH FOR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있어서의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의 전환 조작에서, 파킹, 리버스, 뉴트럴, 드라이브, 2속, l속과 같은 시프트 포지션을 나타내는 포지션 신호를 발생하는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 2007-155068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1이라고 표기함)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의 전환 조작에 따라 하우징 내를 회동하는 가동체를 구비하고, 이 가동체에 가동 접점을 형성함과 더불어 가동체의 회동 위치에 따라 가동 접점과 접촉·개리(開離)하는 복수의 고정 접점을 하우징 내에 설치하고, 접촉 또는 개리하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조합에 대응한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포지션을 나타내는 포지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서는, 하우징을 구성하는 커버에 형성된 베어링부의 베어링구멍 내에 환형의 오일시일을 수납함으로써 베어링부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시일성을 높여 하우징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베어링부의 베어링 구멍 내에 환형의 오일시일을 단지 수납함으로써, 하우징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베어링부가 진원(perfect circle)이 되도록 커버를 형성하고, 수납한 오일시일의 이동 등에 의해 시일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커버의 가공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베어링부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시일성을 높이면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은,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의 전환 조작에 따라 하우징 내를 회동하는 가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체에 가동 접점을 형성함과 더불어 가동체의 회동 위치에 따라 가동 접점과 접촉 또는 개리하는 복수의 고정 접점을 하우징 내에 형성하고, 접촉 또는 개리하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조합에 대응한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포지션을 나타내는 포지션 신호를 출력하는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로서, 상기 가동체의 축부가 삽입 통과되어 회동 가능하게 피봇 고정되는 베어링 구멍이 형성된 베어링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가동체의 축부를 상기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삽입 통과한 상태로 형성되는 부착부에 부착되는 오일시일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부에는, 상기 오일시일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은, 상기 고정부가, 상기 오일시일의 일부를 거는 오목부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은, 상기 고정부가, 상기 오일시일의 일부를 거는 관통 구멍인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동체와 샤프트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 및 오일시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의 고정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부착부에 오일시일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고정부를 포함하도록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부착부에 오일시일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고정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부착부에 오일시일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3을 참조하여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1)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수납되는 가동체(4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각각 대략 부채꼴로 형성된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보디(20)와 커버(30)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체(40)는, 주체부(41)와, 상기 주체부(41)에 연속 설치된 축부(4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주체(41)의 보디(20)와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오목한 부분(도시하지 않음) 내에, 코일 스프링(46)에 의해 보디(20)측으로 탄성가압된 복수개의 가동 접점(47)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편의상, 가동 접점(47)을 1개만 도시하고 있다.
축부(42)는, 원통형의 통부(43)와 상기 통부(43)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원형의 플랜지부(4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통부(43)는, 플랜지부(44)를 통해 주체부(41)에 연속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44)는, 주체부(41)의 두께 방향(축방향) 하부에 일체로 연속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연속 설치함으로써, 가동체(40)에는, 상면(45a), 하면(45b) 및 측면(45c)을 갖는 단차부(45)가 형성되게 된다.
또, 가동체(40)의 축부(42)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자동 변속기의 샤프트(70)가 보호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압입되는 압입 구멍(43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압입 구멍(43b)은, 대략 다각형인 샤프트(70)의 단면과 대략 동일 형상의 내벽면(43c)을 구비하고 있다.
보디(20)는, 일면(도 1의 상면)이 개구하는 편평한 대략 부채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디(20)의 부채꼴의 허리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가동체(40)의 축부(42)의 일단측(도 1의 통부(43)의 하측)이 삽입 통과되는 베어링 구멍(21)이 두께 방향(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디(20)의 베어링 구멍(21)의 주연부(20f)를, 보디(20)의 주연부(20a)보다 한 단 낮아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체(40)의 축부(42)의 일단측(도 1의 통부(43)의 하측)을 베어링 구멍(21)에 삽입 통과했을 때에는, 플랜지부(44)의 일단면(도 1의 하면)이 베어링 구멍(21)의 주연부(20f)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지지되고, 가동체(40)의 축부(42)가 보디(20)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게 된다.
또, 보디(20)의 내저면(20b)에는, 일단부에 각각 고정 접점(20c)이 형성된 띠판 형상의 복수의 도전체(20d)가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각 고정 접점(20c)은, 베어링 구멍(21)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호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10) 내에서 가동체(40)가 구비하는 가동 접점(47)과 대향시켜져 있다.
또, 보디(20)에는, 둘레벽으로 둘러싸인 통형상의 커넥터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부(22)의 내저면에는, 복수의 도전체(20d)의 선단이 돌출하여 복수열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커넥터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 내의 가동체(40)가 축부(42)를 중심으로 회동하면, 병렬하는 한 쌍의 고정 접점(20c)과 접촉 상태의 가동 접점(47)은, 코일 스프링(46)을 탄성변형에 의해 수축시키면서, 리브(20e)의 일단부의 곡면을 슬라이딩하고, 고정 접점(20c)으로부터 개리한다. 그리고, 가동 접점(47)은, 리브(20e)의 상면을 슬라이딩하면서 리브(20e)의 타단부에 오면, 코일 스프링(4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곡면을 슬라이딩하면서 다른 한 쌍의 고정 접점(20c)에 강하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에 대한 가동체(40)의 회동 위치에 따라 가동체(40)에 유지되어 있는 가동 접점(47)이 각 고정 접점(20c)과 선택적으로 접촉, 개리한다. 이에 의해,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포지션에 대응한 포지션 신호가 커넥터부(22)에 접속된 상대측 커넥터를 통해 취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20)에 있어서의 부채꼴의 주요부분의 양측에는, 대략 산모양의 차양부(23, 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차양부(23)에는, 하우징(10)을 차체(혹은 자동 변속기)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 통과되는 타원형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23a)이 관통한 통형상의 보강 부재(23b)가, 각각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커버(30)는, 보디(20)의 개구부를 가리는 편평한 대략 부채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채꼴의 허리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가동체(40)의 축부(42)의 타단측(도 1의 통부(43)의 상측)이 삽입 통과되는 베어링 구멍(31a)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베어링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부(31)는, 원통형의 통부(3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통부(32)는, 측벽부(32a)와, 중앙부에 원형의 삽입 통과 구멍(32c)이 형성된 저벽부(32b)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 구멍(31a)은, 삽입 통과 구멍(32c)과, 측벽부(32a)의 내측에 형성되어 삽입 통과 구멍(32c)보다도 대경의 삽입 통과 구멍(32d)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30)의 부채꼴 부분은, 중앙부가 주변부보다 한 단 높은 상단부(33a)로 되어 있으며, 이 상단부(33a)와, 상단부(33a)의 주변의 하단부(33b)로 단차부(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부(33a)의 내측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체(40)의 주체(41)의 타단측(도 1의 상측)이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체(40)의 축부(42)의 타단측(도 1의 통부(43)의 상측)이 베어링 구멍(31a)에 삽입 통과했을 때에는, 플랜지부(44)의 타단면(도 1의 상면)이 저벽부(32b)의 일단면(도 1의 하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가동체(40)의 축부(42)가 커버(30)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게 된다.
또, 가동체(40)의 축부(42)가 커버(30)(하우징(10))의 베어링부(31)에 삽입 통과한 상태에서는, 오일시일(50)을 압입하기(부착하기) 위한 압입부(부착부)(60)가 형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압입부(부착부)(60)는, 측벽부(32a)의 내측면(32e)과 저벽부(32b)의 내저면(도 1의 상면)(32f)과 통부(43)의 외표면(43a)에서, 타단(도 1의 상단)이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입부(부착부)(60)에 원환형의 오일시일(50)을 타단측(도 1의 상측)으로부터 압입해 부착함으로써, 베어링부(31)에 있어서의 하우징(10)의 시일성을 높여 하우징(1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1)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장착된다.
우선, 가동체(40)의 축부(42)를 커버(30)(하우징(10))의 베어링부(31)에 삽입 통과시킨다. 이렇게 하여, 가동체(40)의 축부(42)를 커버(30)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고, 가동체(40)의 주체(41)의 타단측(도 1의 상측)을 수용 공간(S) 내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다음에, 가동체(40)의 축부(42)가 커버(30)(하우징(10))의 베어링부(31)에 삽입 통과한 상태로 형성되는 압입부(부착부)(60)에 오일시일(50)을 압입해(부착해) 베어링부(31)에 있어서의 하우징(10)의 시일성을 높이도록 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46), 가동 접점(47)을 부착한 가동체(40)를 보디(20)의 내저면(20b)에 실장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보디(20)의 주연부(20a)와 커버(30)의 주연부(30a)를 초음파 용착함으로써, 보디(20)와 커버(30)를 접합해 하우징(10)을 형성한다. 이 때, 보디(20)의 주연부(20a)나 커버(30)의 주연부(30a)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 내에 패킹을 배치함으로써, 시일성을 보다 높이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가동체(40)의 압입 구멍(43b)에 샤프트(70)(도 5 참조)를 보호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압입시키고, 보강 부재(23b)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23a)에 삽입 통과된 볼트에 너트를 조임으로써, 하우징(10)이 차체(혹은 자동 변속기)에 부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의 전환 조작에 의해 샤프트(70)와 가동체(40)가 일체적으로 회동하고, 하우징(10)에 대한 가동체(40)의 회동 위치에 따라, 각 포지션 신호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하우징(10)의 기밀은 오일시일(50) 등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입부(부착부)(60)에 오일시일(50)을 고정하는 고정부(61)를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30)의 압입부(부착부)(60)를 구성하는 부위에, 오일시일(50)의 일부를 거는 관통 구멍(32g)(고정부(61))을 형성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 구멍(32g)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부(32a)의 내측면(32e)과 저벽부(32b)의 내저면(도 1의 상면)(32f)의 경계선(교선)(L)을 포함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통 구멍(32g)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저면(도 1의 상면)(32f)의 외주측(경계선(L)측)에,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호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관통 구멍(32g)은, 내측면(32e)의 일단측(도 1의 하측:경계선(L)측)에, 측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방향의 관통 구멍과 직경 방향의 관통 구멍이 연통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압입부(부착부)(60)에 하나의 관통 구멍(32g)이 형성되어 있다. 즉, 관통 구멍(32g)은, 경계선(L)을 포함하는 영역을 경사 방향(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축방향 일단측 또한 직경 방향 외측)에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 구멍(32g)은, 수용 공간(S)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압입부(부착부)(60)가 관통 구멍(32g)을 통해 외부에 연통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오일시일(50)은,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대략 H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일시일(50)은, 중앙부에 형성된 원환형의 중앙 지지부(51)와, 이 중앙 지지부(51)의 내측(직경 방향 내측)에 연속 설치된 원통형의 내측편(52)과, 중앙 지지부(51)의 외측(직경 방향 외측)에 연속 설치된 원통형의 외측편(5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오일시일(50)을 압입부(부착부)(60) 내에 압입하여(부착하여), 축방향 일단측(도 1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외측편(53)의 일단(도 8의 하단)이, 관통 구멍(32g)에 걸리고, 베어링부(31)의 주위가 오일시일(50)에 의해 시일된다.
이 때, 경계선(L)을 포함하는 영역에, 경사 방향(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축방향 일단측 또한 직경 방향 외측)에 관통하도록 관통 구멍(32g)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오일시일(50)을 축방향 일단측을 향해 누르면, 관통 구멍(32g) 근방에 있어서, 외측편(53)의 일단(도 8의 하단)에는, 직경 방향 외측에 작용하는 분력이 생긴다. 그리고, 이 분력에 의해서, 외측편(53)의 일단(도 8의 하단)이 관통 구멍(32g) 내로 밀어넣어져 관통 구멍(32g)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관통 구멍(32g)을 경사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하면, 오일시일(50)을 축방향 일단측을 향해 누르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외측편(53)의 일단(도 8의 하단)을 관통 구멍(32g)에 걸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압입부(60)에 고정부(61)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커버(30)의 성형 오차나 금형을 이용해 성형하는 것에 의한 추출 구배에 의해서, 치수가 안정적이지 않고, 오일시일(50)의 유지가 불균일해져, 오일시일(50)이 이동해 버릴 우려가 있었다. 특히, 베어링부(31)의 전체 둘레에 걸쳐 도 10에 나타낸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오일시일(50)이 압입부(60)로부터 빠져나와 버려, 베어링부(31)에 있어서의 하우징(10)의 시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입부(부착부)(60)에, 오일시일(50)을 고정하는 고정부(61)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압입부(부착부)(60) 내에 압입한(부착한) 오일시일(50)이 압입부(부착부)(60)로부터 빠져나와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베어링부(31)에 있어서의 하우징(10)의 시일성이 저하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체(40)의 축부(42)가 커버(30)(하우징(10))의 베어링부(31)에 삽입 통과한 상태로 형성되는 압입부(부착부)(60)에 오일시일(50)을 고정하는 관통 구멍(32g)(고정부(61))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오일시일(50)을 관통 구멍(32g)(고정부(61))에 고정함으로써, 압입부(부착부)(60)에 압입한(부착한) 오일시일(50)이 이동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베어링부(31)에 있어서의 하우징(10)의 시일성이 저하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베어링부(31)의 진원도를 높일 필요가 없어진다. 즉, 커버(30)의 가공 정밀도를 높일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베어링부(31)에 있어서의 하우징(10)의 시일성을 높이면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1)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30)의 압입부(부착부)(60)를 구성하는 부위에, 오일시일(50)의 일부를 거는 고정부(61)로서의 관통 구멍(32g)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오일시일(50)의 압입 상태 및 관통 구멍(32g)으로의 걸림 상태를, 이면측(수용 공간(S)측)으로부터 볼 수 있다. 그 결과, 오일시일(50)을 보다 확실하게 압입시켜, 관통 구멍(32g)에 걸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서는, 관통 구멍(32g)이 형성된 부위에 가동체(40)의 주체(41)가위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주체(41)는, 수용 공간(S) 내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주체(41)를 회동시켜, 관통 구멍(32g)과 주체(41)(단차부(45)의 측면(45c))가 직경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하면, 오일시일(50)의 압입 상태 및 관통 구멍(32g)으로의 걸림 상태를, 이면측(수용 공간(S)측)으로부터 볼 수 있다. 즉, 주체(41)를 수용 공간(S) 내의 회동 가능 범위에서 회동시켰을 때에, 어느 한 위치에서, 관통 구멍(32g)과 주체(41)가 직경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 관계가 되도록, 관통 구멍(32g)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61)가 관통 구멍(32g)인 것을 예시했는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61)가 오목부(32gA)가 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도,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디의 주연부와 커버의 주연부를 초음파 용착에 의해 접합한 것을 예시했는데, 접착제를 이용해 접합하도록 해도 된다.
또, 고정부(관통 구멍이나 오목부)는, 2개소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관통 구멍 및 오목부 중 어느 하나만을 복수 개소로 형성해도 되고, 관통 구멍 및 오목부를 각각 적어도 하나씩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가동체의 축부에 고정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보디나 커버, 가동체의 압입 구멍 그 외 세부 스펙(형상, 크기, 레이아웃 등)도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Claims (3)

  1.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의 전환 조작에 따라 하우징 내를 회동하는 가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체에 가동 접점을 형성함과 더불어 가동체의 회동 위치에 따라 가동 접점과 접촉 또는 개리(開離)하는 복수의 고정 접점을 하우징 내에 형성하고, 접촉 또는 개리하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조합에 대응한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포지션을 나타내는 포지션 신호를 출력하는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로서,
    상기 가동체의 축부가 삽입 통과되어 회동 가능하게 피봇 고정되는 베어링 구멍이 형성된 베어링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가동체의 축부를 상기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삽입 통과한 상태로 형성되는 부착부에 부착되는 오일시일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부에는, 상기 오일시일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오일시일의 일부를 거는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오일시일의 일부를 거는 관통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
KR1020130031476A 2012-03-29 2013-03-25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 KR102055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75469 2012-03-29
JP2012075469A JP6008271B2 (ja) 2012-03-29 2012-03-29 自動変速機用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350A true KR20130111350A (ko) 2013-10-10
KR102055671B1 KR102055671B1 (ko) 2019-12-13

Family

ID=4936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476A KR102055671B1 (ko) 2012-03-29 2013-03-25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08271B2 (ko)
KR (1) KR102055671B1 (ko)
CN (1) CN103363089B (ko)
IN (1) IN2013CH013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2019B2 (ja) * 2016-06-15 2022-03-25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ダンパ
JP2023043896A (ja) * 2020-03-12 2023-03-30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サイドスタンドスイッチおよびサイドスタンド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383U (ja) * 1993-03-29 1994-10-18 三輪精機株式会社 オイルシール装置
JP2005069166A (ja) * 2003-08-27 2005-03-17 Honda Motor Co Ltd プラグチューブシール取付構造
JP2007155068A (ja) * 2005-12-07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変速機用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8656B1 (ja) * 1998-12-16 2000-05-08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インヒビタスイッチ
JP4962062B2 (ja) * 2006-03-30 2012-06-27 Nok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およびシールリング製造方法
JP2008186637A (ja) * 2007-01-26 2008-08-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変速機用スイッチ
JP2011038568A (ja) * 2009-08-07 2011-02-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自動変速機用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383U (ja) * 1993-03-29 1994-10-18 三輪精機株式会社 オイルシール装置
JP2005069166A (ja) * 2003-08-27 2005-03-17 Honda Motor Co Ltd プラグチューブシール取付構造
JP2007155068A (ja) * 2005-12-07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変速機用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63089B (zh) 2017-03-01
CN103363089A (zh) 2013-10-23
JP2013203280A (ja) 2013-10-07
JP6008271B2 (ja) 2016-10-19
KR102055671B1 (ko) 2019-12-13
IN2013CH01373A (ko) 2015-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4526B2 (en) Magnetic field forming device and displacement sensor using same
CN105465185A (zh) 具有密封盖的滚动轴承,特别是车辆轮毂轴承单元
JP2001027227A (ja)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
KR102055671B1 (ko) 자동 변속기용 컨트롤 스위치
KR20140148301A (ko)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의 시일 구조
JP5108889B2 (ja) シール装置
JP2017211337A (ja) 磁気式回転検出装置
JP4626318B2 (ja) 回転検出センサ
KR102007556B1 (ko) 유지 장치 및 상기 유형의 유지 장치에 배치되는 핀
JP2012097904A (ja) 滑り軸受
US10626943B2 (en) Grommet
JPWO2018117100A1 (ja) 密封装置
US20130186737A1 (en) Switch
US8674686B2 (en) Angular position sensor for a rotating shaft
US20220170504A1 (en) Ball joint for a chassis of a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ball joint of this kind
CN104143730A (zh) 连接器
CN205479502U (zh) 滑柱式换向阀装置
JP6204799B2 (ja) 密封装置
JP5346830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
JP2009127778A (ja) 車両用ハブユニット
JP6558537B2 (ja) シール構造
US20220397157A1 (en) Encoder for a wheel bearing, and wheel bearing having an encoder of this type
JP2012097801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JP2017026153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CN109404517A (zh) 密封件及变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