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657A -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657A
KR20130110657A KR1020120032790A KR20120032790A KR20130110657A KR 20130110657 A KR20130110657 A KR 20130110657A KR 1020120032790 A KR1020120032790 A KR 1020120032790A KR 20120032790 A KR20120032790 A KR 20120032790A KR 20130110657 A KR20130110657 A KR 20130110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fastening
support
protrusion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603B1 (ko
Inventor
배인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건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건가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건가구
Priority to KR1020120032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603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movably mounted on a working-tabl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4Elastic support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들을 연결하며 상측에 형성되는 테이블부로 이루어진 책상에 체결되는 걸상의 책걸상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원형의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다리에는 회전관부가 체결되며, 상기 회전관부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상은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상부에 형성되는 쿠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축에는 회동관부가 체결되고, 상기 회동관부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돌부가 설치되며, 상기 체결돌부와 상기 설치돌부는 연결관으로 상호 연결되게 설치되어, 테이블이나 책상에 마련되는 지지다리에 걸상의 지지축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함으로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 { Desk and chair of Connecting Structur }
본 발명은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이나 책상에 마련되는 지지다리에 걸상의 지지축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함으로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테이블이나 책상은 상측에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단일 또는 다수의 다리로 구성되어 지며, 이러한 테이블이나 책상에는 별도로 의자를 위치시켜 사람들이 앉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테이블은 테이블과 책상에 별도로 의자를 배치시켜야 하므로 통행에 어려움이 있으며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테이블 및 책상의에서 의자가 분리됨에 따라 의자의 위치변경으로 인하여 수시로 정돈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으며 걸려넘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보관 및 이동이 분편한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테이블이나 책상에 의자가 고정된 제품이 생산되고 있으나 의자 의자와 테이블 사이의 거리가 획일화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합당한 자세를 얻을 수 없으며, 의자 후방에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 통로를 확보해야 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테이블이나 책상의 지지다리에 의자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체형에 상관없이 의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하고 공간활용이 용이한 일체형 구조의 테이블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최근에 시대적인 요구사항에 부응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이나 책상에 마련되는 지지다리에 걸상의 지지축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함으로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인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들을 연결하며 상측에 형성되는 테이블부로 이루어진 책상에 체결되는 걸상의 책걸상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원형의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다리에는 회전관부가 체결되며, 상기 회전관부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상은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상부에 형성되는 쿠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축에는 회동관부가 체결되고, 상기 회동관부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돌부가 설치되며, 상기 체결돌부와 상기 설치돌부는 연결관으로 상호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축에는 탄성스프링이 끼움되어 상기 쿠션부와 상기 회동관부 사이에 배치시켜 상기 쿠션부를 상향으로 가압하여, 최초 상기 지지축의 하부가 지면에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는 완충부재이 체결되고, 상기 연결관은 상부체결부, 절곡부 및 하부체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축의 하부 외주연에는 절곡된 구조의 보조다리가 다수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돌부와 상기 설치돌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홈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양단부 내주연에는 상기 고정홈부에 끼움되도록 고정돌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관부에는 턱부를 갖는 안내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설치돌부의 단부에는 상기 턱부에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회동되게 롤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는 테이블이나 책상에 마련되는 지지다리에 걸상의 지지축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함으로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따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따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10)(이하 책걸상의 체결구조)는 지지다리(100)와 상기 지지다리들을 연결하며 상측에 형성되는 테이블부로 이루어진 책상에 체결되는 걸상(200)의 책걸상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100)는 원형의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다리(100)에는 회전관부(20)가 체결되며, 상기 회전관부(20)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체결돌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걸상(200)은 지지축(300)과 상기 지지축(3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쿠션부(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축(300)에는 회동관부(30)가 체결되고, 상기 회동관부(30)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돌부(31)가 설치되며, 상기 체결돌부(21)와 상기 설치돌부(31)는 연결관(40)으로 상호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다리(100)의 하부에는 합성수재로 이루어진 마감부재(50)가 끼움되거나 융착되어 상기 지지다리(100)에 체결되는 회전관부(20)가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관부(20) 및 상기 회동관부(30)의 내경은 상기 지지다리(100) 및 상기 지지축(3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시켜 상기 지지다리(100) 및 상기 지지축(300)에 회전되게 끼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관(40)은 중공된 구조로 형성되고 양단부가 상기 체결돌부 (21)및 상기 설치돌부(31)에 끼움되며, 상기 연결관(40)의 양측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 가압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체결돌부(21) 및 상기 설치돌부(31)를 가압하여 연결관(40)을 고정시키게 된다. 다르게는 연결관(40)을 상기 체결돌부(21) 및 상기 설치돌부(31)에 억지끼움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체결돌부(21)와 상기 설치돌부(3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홈부(211,311)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40)의 양단부 내주연에는 상기 고정홈부(211,311)에 끼움되도록 고정돌부(41)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돌부(21)와 상기 설치돌부(31)에 상기 고정홈부(211,311)를 끼워 고정시킴으로서, 상기 연결관(4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300)에는 탄성스프링(70)이 끼움되어 상기 쿠션부(400)와 상기 회동관부(30) 사이에 배치시켜 상기 쿠션부(400)를 상향으로 가압하여, 최초 상기 지지축(300)의 하부가 지면에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300)의 하부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60)을 끼우거나 융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성스프링(70)에 의해 지지축(300)이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떠있게 구성됨으로서, 사용자가 걸상(200)을 상기 지지다리(100)를 중심으로 회동시 걸상의 지지축(300)의 하단부가 지면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하중을 상기 쿠션부(400)와 함께 탄성스프링이 지지,완충시킴으로서, 착석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쿠션부(400)에는 일측에 등받이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부에 테이블을 갖는 지지다리(100) 중 어느하나에 상기 회전관부(30)를 끼운 후 마감부재(50)를 지지다리(100)의 하부에 체결하고, 걸상(200)의 지지축(300)에 순차적으로 탄성스프링(70)과 회동관부(30)를 기운 후 지지축(300)의 하부에 완충부재(60)을 설치한다.
이후, 회동관부(30)를 일정높이로 올린 상태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체결돌부(21)와 설치돌부(31)를 연결하며 연결관(40)을 끼운 다음 연결관(40)의 관통공에 가압볼트를 체결하여 가압함으로서, 일련의 설치과정을 마치게 되고 상기 지지다리(100)를 기준으로 상기 걸상(200)을 회전시켜 테이블의 하부에 최초 배치하여 공간활용을 하고 사용시에는 회동시켜 빼내 사용함으로써,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고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따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관(40)은 상부체결부(42), 절곡부(43) 및 하부체결부(44)로 형성시키며, 상기 지지축(300)의 하부 외주연에는 절곡된 구조의 보조다리가 다수 더 형성시키게 된다.
즉, 상기 연결관(40)을 곡선지게 형성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서, 직선구조의 연결관(40)을 사용자의 반복적인 하중을 오랜시간 지지하면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에게 미적인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회동관부(30)에는 턱부(321)를 갖는 안내홈(3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설치돌부(31)의 단부에는 상기 턱부(321)에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홈(32)을 따라 이동되도록 회동되게 롤러(312)가 더 설치된다.
즉, 상기 안내홈(32)을 형성하고 상기 롤러(311)가 안내홈(32)에 걸림됨과 아울러 이동되게 함으로서, 상기 지지축(300)이 회동과정에서 상기 회동관부(20)에 걸림되어도 원활히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따른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리부가 있는 걸상과 책상을 연결하여 체결되어 학습을 위한 책,걸상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 책걸상 체결구조 20 : 회전관부
30 : 회동관부 40 : 연결관
50 : 마감부재 60 : 완충부재
70 : 탄성스프링 21 : 체결돌부
211 : 고정홈부 31 : 설치돌부
311 : 고정홈부 312 : 롤러
32 : 안내홈 321 : 턱부
41 : 고정돌부 42 : 상부체결부
43 : 절곡부 44 : 하부체결부
100 : 지지다리 200 : 걸상
300 : 지지축 220 : 쿠션부

Claims (5)

  1.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들을 연결하며 상측에 형성되는 테이블부로 이루어진 책상에 체결되는 걸상의 책걸상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원형의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다리에는 회전관부가 체결되며, 상기 회전관부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상은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상부에 형성되는 쿠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축에는 회동관부가 체결되고, 상기 회동관부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돌부가 설치되며,
    상기 체결돌부와 상기 설치돌부는 연결관으로 상호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에는 탄성스프링이 끼움되어 상기 쿠션부와 상기 회동관부 사이에 배치시켜 상기 쿠션부를 상향으로 가압하여, 최초 상기 지지축의 하부가 지면에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는 완충부재이 체결되고, 상기 연결관은 상부체결부, 절곡부 및 하부체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축의 하부 외주연에는 절곡된 구조의 보조다리가 다수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부와 상기 설치돌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홈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양단부 내주연에는 상기 고정홈부에 끼움되도록 고정돌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관부에는 턱부를 갖는 안내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설치돌부의 단부에는 상기 턱부에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회동되게 롤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

KR1020120032790A 2012-03-30 2012-03-30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 KR101329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790A KR101329603B1 (ko) 2012-03-30 2012-03-30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790A KR101329603B1 (ko) 2012-03-30 2012-03-30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657A true KR20130110657A (ko) 2013-10-10
KR101329603B1 KR101329603B1 (ko) 2013-11-14

Family

ID=4963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790A KR101329603B1 (ko) 2012-03-30 2012-03-30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6880B (zh) * 2014-05-07 2016-04-27 西安建筑科技大学华清学院 一种平板式自动折叠组合桌椅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523B1 (ko) * 2005-07-14 2006-02-03 주식회사 진성기업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결합구조
KR200416750Y1 (ko) * 2006-02-14 2006-05-22 김종이 테이블설치용절첩의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603B1 (ko)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0007804A (es) Silla apilable con configuracion de tope y asiento giratorio.
JP2017534380A (ja) バランスジョイント
US20140361583A1 (en) Stackable chair with cupholder and folding table
KR20100023476A (ko) 공간활용형 다용도 가구의 회동 장치
JP6382501B2 (ja) 椅子
KR101329603B1 (ko) 일체형 책걸상의 체결구조
KR102317285B1 (ko) 낚시대 받침틀 파지기능을 구비한 전폭 조절식 좌대받침틀
KR101365153B1 (ko) 의자로 변형되는 테이블
CA2836930C (en) Chair having moveable tablet
KR200472419Y1 (ko) 의자
KR20120001874U (ko) 수강용 의자
JP6279883B2 (ja) 椅子における表装部材の取付構造
CN106724246A (zh) 一种便于收纳的会议椅
KR101293305B1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JP2006110318A (ja) 高低調節装置
JP5890660B2 (ja) 椅子
KR200494798Y1 (ko) 가구용 높이조절 받침장치
JP6878832B2 (ja) 椅子
CN209644406U (zh) 一种用于座椅上的连接座
US3335990A (en) Furniture supporting means
KR200457483Y1 (ko) 의자의 가슴받이부 지지용 연결지지대 체결구조
CN201160748Y (zh) 自由组装家庭储物层架
CN201814174U (zh) 一种座椅椅背角度定位结构
JP2009106412A (ja) 椅子等の家具の脚装置
KR20160004165U (ko) 합성수지 사출 접이식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