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319A -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 - Google Patents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319A
KR20130110319A KR1020120032170A KR20120032170A KR20130110319A KR 20130110319 A KR20130110319 A KR 20130110319A KR 1020120032170 A KR1020120032170 A KR 1020120032170A KR 20120032170 A KR20120032170 A KR 20120032170A KR 20130110319 A KR20130110319 A KR 20130110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striking
hit
percussion instrumen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삼
Original Assignee
전병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삼 filed Critical 전병삼
Priority to KR1020120032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0319A/ko
Publication of KR2013011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8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8Multi-toned musical instruments with sonorous bars, blocks, forks, gongs, plates, rods or teeth
    • G10D13/09Multi-toned musical instruments with sonorous bars, blocks, forks, gongs, plates, rods or teeth with keyboa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5/00Details or accessories
    • G10F5/02A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원 형상의 베이스부재 상에 음계에 따라 방사상 건반부재가 구비되도록 하고 그 후방마다 건반부재를 기계적으로 타격해 해당 음을 발생시키는 타격수단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연주자 없는 연주가 가능하고, 건반부재와 타격수단이 설치된 해당 장치의 상부면이 전방으로 향하도록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고 다수의 타격수단이 특정 패턴에 따라 회동되면서 조형적 심미감을 연출할 수 있어 다양한 무대 포퍼먼스 연출이 가능한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사상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재와, 타격시 해당 진동음이 발생되도록 음계의 순서에 맞도록 상기 다수의 관통구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건반부재와, 상기 건반부재의 후방마다 설치되며 연주되는 곡에 따라 상기 건반부재를 타격하는 다수의 타격수단과, 상기 관통구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타격수단에 의해 타격 됨에 의해 상기 건반부재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음을 공명시키는 울림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FERFORMING DEVICE FOR TONE PLATE PERCUSSION INSTRUMENT}
본 발명은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 형상의 베이스부재 상에 음계에 따라 방사상 건반부재가 구비되도록 하고 그 후방마다 건반부재를 기계적으로 타격해 해당 음을 발생시키는 타격수단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연주자 없는 연주가 가능하고, 건반부재와 타격수단이 설치된 해당 장치의 상부면이 전방으로 향하도록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고 다수의 타격수단이 특정 패턴에 따라 회동되면서 조형적 심미감을 연출할 수 있어 다양한 무대 포퍼먼스 연출이 가능한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악기(打樂器)란 몸체를 손이나 채로 쳐서 또는 서로 부딪쳐서 소리를 내는 악기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 음은 없고 주로 장단이나 리듬을 맞추기 위하여 채 또는 손 등으로 두드리거나 서로 부딪치게 하여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악기를 통칭한다. 전통악기로는 북, 징, 장구, 꽹과리 등이 있고 기타 악기로는 드럼, 심벌즈, 탬버린, 트라이앵글, 실로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타악기는 소리를 내게 하기 위한 특성상 연주주자 하나의 악기만을 휴대(어깨에 메거나 들고)하고 한 손으로는 채를 이용하여 타격하여 소리를 발생키기거나, 다수의 타악기를 앞에 두고 특정 리듬에 따라 다수의 타악기를 선택적으로 타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타악기의 특성상 종래에는 하나의 악기마다 한 명의 연주자가 지정되어 연주를 하는 것이 보통이나, 특정 시점마다 타악기를 기계적으로 타격하여 연주하도록 한 자동 연주장치도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다른 자동 연주장치는 하나의 장치가 하나의 타악기만을 타격하도록 일체로 설계되어 있어 연주할 수 있는 악기가 제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타격장치와 악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연주하는 장소와 연주 가능한 곡이 지극히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었다.
뿐만 아니라 악기를 타격해 음을 발생시키는 것 이외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어 악기 자체로서 무대 퍼포먼스를 연출하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 형상의 베이스부재 상에 음계에 따라 방사상 건반부재가 구비되도록 하고 그 후방마다 건반부재를 기계적으로 타격해 해당 음을 발생시키는 타격수단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연주자 없는 연주가 가능한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건반부재와 타격수단이 설치된 해당 장치의 상부면이 전방으로 향하도록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고 다수의 타격수단이 특정 패턴에 따라 회동되면서 조형적 심미감을 연출할 수 있어 다양한 무대 포퍼먼스 연출이 가능한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사상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재와, 타격시 해당 진동음이 발생되도록 음계의 순서에 맞도록 상기 다수의 관통구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건반부재와, 상기 건반부재의 후방마다 설치되며 연주되는 곡에 따라 상기 건반부재를 타격하는 다수의 타격수단과, 상기 관통구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타격수단에 의해 타격 됨에 의해 상기 건반부재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음을 공명시키는 울림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타격수단은, 상기 건반부재의 후방마다 상하방향으로 왕복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의 선단에 체결되며 회동여부에 따라 상기 건반부재를 타격하는 타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건반부재의 하측 양단에는 내측이 중공 된 합성고무 재질의 호스가 두께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건반부재는 상기 호스의 내측에 관통되는 고정로프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 측에 위치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의 외측에는 상기 구동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곡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선택된 곡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의 회동을 지시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는 첫째, 원 형상의 베이스부재 상에 음계에 따라 방사상 건반부재가 구비되도록 하고 그 후방마다 건반부재를 기계적으로 타격해 해당 음을 발생시키는 타격수단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연주자 없는 연주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둘째, 건반부재와 타격수단이 설치된 해당 장치의 상부면이 전방으로 향하도록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고 다수의 타격수단이 특정 패턴에 따라 회동되면서 조형적 심미감을 연출할 수 있어 다양한 무대 포퍼먼스 연출이 가능한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건반부재 분리/울림통부재도시)
도 3은 도 1의 작동도.(타격수단 회동)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도 1의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1)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사상 다수의 관통구(11)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재(10)와, 타격시 해당 진동음이 발생되도록 음계의 순서에 맞도록 상기 다수의 관통구(11)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건반부재(20)와, 상기 건반부재(20)의 후방마다 설치되며 연주되는 곡에 따라 상기 건반부재(20)를 타격하는 다수의 타격수단(30)과, 상기 관통구(11)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타격수단(30)에 의해 타격 됨에 의해 상기 건반부재(2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음을 공명시키는 울림통부재(40)를 포함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1) 각각의 구성부재 및 그 연결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베이스부재(10)는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1)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사상 다수의 관통구(11)가 형성된다.
전술한 베이스부재(10)가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건반부재(20) 및 타격수단(30)이 방사상 설치되어 이를 통한 연주와 퍼포먼스가 보다 심미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함인데 경우에 따라서 다각형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관통구(11)는 그 상측에 설치되며 추후에 설명될 건반부재(2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음이 용이하게 외부로 퍼져나갈 수 있게 해주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관통구(11)의 가장자리에는 건반부재(20)를 베이스부재(10) 상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돌기(13)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1)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연주될 시에는 베이스부재(10)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는 거치대(60)가 별도로 구비된다.
한편, 전술한 베이스부재(10)의 관통구(11) 상에는 건반부재(20)가 구비되는데, 이 건반부재(20)는 타격시 해당 진동음이 발생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음계의 순서에 맞도록 다수의 관통구(11)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건반부재(20)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크기와 두께는 해당 진동음에 따라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도,레,미,파,솔,라,시와 같이 음계가 올라갈수록 그 크기와 두께가 작고 얇아진다. 즉, 저음으로 갈수록 크고 두꺼워 저음 계통의 진동음이 발생되고, 고음으로 갈수록 작고 얇아 고음 계통의 진동음이 발생되며 그 재질은 금속재,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택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건반부재(20)의 진동음 발생원리 및 형성 재질은 종래기술에 따른 마림바(marimba) 또는 비브라폰(vibraphone)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건반부재(20)는 고정로프(23)에 의해서 관통구(11) 상측에 고정되는데 이때 건반부재(20)의 하측 양단에는 내측이 중공된 합성고무 재질의 호스(21)가 두께방향으로 각각 구비된다. 이는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1)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연주될 경우 건반부재(20)의 위치에 따라서 고정로프(23)와 맞닿아 타격시 해당 진동음이 발생되는데 방해를 받게 되는데 건반부재(20) 하측에 호스(21)를 구비하고 이 호스(21) 내로 고정로프(23)를 관통시킨 다음 관통구(11)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13) 측에 로프를 고정함으로써 건반부재(20)를 위치고정 할 수 있음은 물론 동시에 진동음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건반부재(20)의 후방마다에는 각각 타격수단(30)이 설치되는데 이 타격수단(30)은 연주되는 곡의 패턴에 따라 건반부재(20)를 직접 타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타격수단(30)은, 건반부재(20)의 후방마다 상하 방향으로 왕복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장치(31)와, 이 구동장치(31)의 선단에 체결되며 회동여부에 따라 건반부재(20)를 타격하는 타격부재(33)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장치(31)는 그 내측에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작동가능하게 구비되고, 구동모터의 구동축(도시되지 않음)에 타격부재(33)를 고정하기 위한 탈착구(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어 타격부재(33)를 고정한다. 이때 구동모터는 건반부재(20)를 타격하고 재차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 반경 내에서 회전되도록 설계되며, 타격부재(33)의 선단은 건반부재(20)를 부드럽게 점 타격할 수 있는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베이스부재(10)의 하부면 일측에는 전술한 다수의 구동장치(3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추후에 설명될 제어수단(50)으로부터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를 전달받아 이 신호를 다시 각각의 구동장치(31) 측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회로패널(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건반부재(20)가 설치된 관통구(11)의 하부에는 울림통부재(40)가 각각 구비되는데, 이 울림통부재(40)는 타격수단(30)에 의해 타격 됨에 의해 건반부재(2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음을 공명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울림통부재(40)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저음영역에 배치되는 울림통부재(40)는 그 직경과 길이가 크고 길게 형성되고, 고음영역에 배치되는 울림통부재(40)는 그 직경과 길이가 작고 짧게 형성된다. 또한 그 재질은 전술한 건반부재(20)와 마찬가지로 금속재,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택되어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타악기 연주장치의 외측에는 제어수단(50)이 더 구비되는데, 이 제어수단(50)은 전술한 구동장치(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곡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선택된 곡에 따라 구동장치(31)의 회동을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어수단(50)인 일반적인 PC가 사용되는 것으로 하며, 이 PC이 전술한 회로패널(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에 필요한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하에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1)의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어수단(50)에서 연주될 곡을 선택하고 해당 신호를 회로패널(도시되지 않음) 측에 송신하면 이를 수신받은 회로패널(도시되지 않음)이 다시 각각의 구동장치(31)에 구동신호를 송신한다.
구동신호를 송신받은 구동장치(31)들은 연주될 음계에 맞게 회동되면서 건반부재(20)를 타격해 해당 진동음을 발생시키고, 이 진동음은 건반부재(20) 직하부의 울림통부재(40)를 통해 공명되면서 주변으로 퍼져나가게 된다.
각각의 타격부재(33)들은 단독으로 건반부재(20)를 타격하며 단일 진동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복수 개가 함께 건반부재(20)를 타격하며 화음을 이루는 진동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어 다양한 종류의 곡을 아름답게 연주할 수 있다. 또한 타격부재(33)가 연주되는 곡에 따라 순차적으로 회동 되거나, 일부 또는 전체가 일시에 회동 되면서 조형적 심미감을 연출할 수 있어 다양한 무대 포퍼먼스 연출이 가능하다. 이때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타격부재(33)의 선단에 별도의 조명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점멸 가능하게 구비되어 더욱 극적인 퍼포먼스가 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 10 : 베이스부재
11 : 관통구 13 : 체결돌기
20 : 건반부재 21 : 호스
23 : 고정로프 30 : 타격수단
31 : 구동장치 33 : 타격부재
40 : 울림통부재 50 : 제어수단
60 : 거치대

Claims (4)

  1.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사상 다수의 관통구(11)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재(10);
    타격시 해당 진동음이 발생되도록 음계의 순서에 맞도록 상기 다수의 관통구(11)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건반부재(20);
    상기 건반부재(20)의 후방마다 설치되며 연주되는 곡에 따라 상기 건반부재(20)를 타격하는 다수의 타격수단(30); 및
    상기 관통구(11)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타격수단(30)에 의해 타격 됨에 의해 상기 건반부재(2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음을 공명시키는 울림통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격수단(30)은, 상기 건반부재(20)의 후방마다 상하방향으로 왕복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장치(31)와, 상기 구동장치(31)의 선단에 체결되며 회동여부에 따라 상기 건반부재(20)를 타격하는 타격부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반부재(20)의 하측 양단에는 내측이 중공 된 합성고무 재질의 호스(21)가 두께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건반부재(20)는 상기 호스(21)의 내측에 관통되는 고정로프(23)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10) 측에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1)의 외측에는 상기 구동장치(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곡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선택된 곡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31)의 회동을 지시하는 제어수단(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
KR1020120032170A 2012-03-29 2012-03-29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 KR20130110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170A KR20130110319A (ko) 2012-03-29 2012-03-29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170A KR20130110319A (ko) 2012-03-29 2012-03-29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319A true KR20130110319A (ko) 2013-10-10

Family

ID=4963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170A KR20130110319A (ko) 2012-03-29 2012-03-29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03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021A (ko) * 2015-01-23 2016-08-02 김위식 회전식 파이프 실로폰 거치대
CN115116301A (zh) * 2022-07-28 2022-09-27 中国石油大学胜利学院 一种用于训练音乐节奏的训练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021A (ko) * 2015-01-23 2016-08-02 김위식 회전식 파이프 실로폰 거치대
CN115116301A (zh) * 2022-07-28 2022-09-27 中国石油大学胜利学院 一种用于训练音乐节奏的训练装置
CN115116301B (zh) * 2022-07-28 2023-11-24 中国石油大学胜利学院 一种用于训练音乐节奏的训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8998B (zh) 利用乐器数字接口技术的用于打击泛音合成的设备
US8263848B2 (en) Drum
US6750386B2 (en) Cycle of fifths steel pan
CN107424593B (zh) 一种区域划动触控式曲面立体扬声器阵列的数码乐器
US7488882B2 (en) Drum
US8003873B2 (en) Percussion assembly, as well as drumsticks and input means for use in said percussion assembly
US7528312B1 (en) Drum for striking upwardly and method therefor
JP2016114717A (ja) 打楽器の自動演奏装置及び自動演奏方法
US7657051B1 (en) Bass drum speaker
KR20130110319A (ko) 건반 타악기 연주장치
US20210158787A1 (en) Go Drum
JP2002215134A (ja) 打楽器
JP3972619B2 (ja) 音発生装置
JP4930062B2 (ja) 打楽器および鍵盤式打楽器
JPH10333672A (ja) 電子鍵盤打楽器
Scott et al. The acoustics of the modern jazz drum kit
JP3429170B2 (ja) 発音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時計装置
US20190228749A1 (en)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Snare Drums
KR101218527B1 (ko) 소리와 빛과 영상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타악기
TW201039339A (en) An apparatus for percussive harmonic musical synthesis utilizing MIDI technology (APHAMS)
JP3812415B2 (ja) 電子楽器
JP2006267611A (ja) 弦楽器型の電子楽器
US20020117041A1 (en) Motorized percussion devices
JP6638991B2 (ja) 弦楽器
JPH04372993A (ja) 音板打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