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402A - 구조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조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402A
KR20130109402A KR1020120031105A KR20120031105A KR20130109402A KR 20130109402 A KR20130109402 A KR 20130109402A KR 1020120031105 A KR1020120031105 A KR 1020120031105A KR 20120031105 A KR20120031105 A KR 20120031105A KR 20130109402 A KR20130109402 A KR 20130109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cement
data
management serv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8605B1 (ko
Inventor
박종국
배경원
김대성
김영화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60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구조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구조물에 복수로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의 압력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 상기 구조물의 지지 요소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변위 측정부 및 높이 조절부에 결합되어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M2M(Machine-to-Machine) 모듈 및 상기 변위 측정부로부터 수집되는 측정 데이터를 상기 구조물의 설계 시공시에 측정된 초기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구조물의 변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변위를 보정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조물 관리 시스템{STRUCTUR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구조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시 계획 및 발전에 따른 사회 기반시설 및 다양한 건축 구조물이 건설되었으며 과거에 빠르게 도시화가 진행된 대부분의 선진 국가의 건축 구조물은 수명이 거의 끝나가고 있거나 이미 끝난 상태의 노후된 구조물이 많이 존재한다.
노후된 구조물은 지진, 태풍 및 지반 침하 등의 환경변화에 매우 취약하여 만약에 붕괴되는 경우 많은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안전 검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유시티(U-City) 및 스마트 시티(Smart City)의 도시 계획 정책이 부각되면서 새로운 구조물에 대한 안전 검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건물에 대한 안전 검사는 사람들이 직접 해당 건물을 방문하여 건물에 설치된 지지 케이블의 텐션(Tension) 및 압력 등을 바탕으로 안정성을 검사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사람이 일일이 대상 건물의 안정성을 측정해야 하므로 관련 비용이 증가하며 장기적으로는 건물주에게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물에 대한 안정성 측정 결과 기울어짐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외벽에 철제 빔을 설치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건물의 침하 과정을 지연 시키는 방법 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물지능통신 기반 센서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구조물의 변위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조물의 변위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구조물에 복수로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의 압력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 상기 구조물의 지지 요소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변위 측정부 및 높이 조절부에 결합되어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M2M(Machine-to-Machine) 모듈; 및 상기 변위 측정부로부터 수집되는 측정 데이터를 상기 구조물의 설계 시공시에 측정된 초기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구조물의 변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변위를 보정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에, 상기 M2M 모듈과 상기 관리 서버 사이에서 이종망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중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M2M 모듈은 무선랜(Wifi), 지그비(Zigbee) 및 와이브로(Wibro)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중계부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위 측정부는, 상기 구조물의 하중에 의한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 값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압전 센서; 및 상기 구조물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기울기 값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M2M 모듈은, 상기 변위 측정부의 측정 값을 디지털 형태의 상기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에 상기 변위 측정부의 고유식별정보를 실어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변위 측정부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구동을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구조물 관리를 위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구조물 관리를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변위 측정부의 고유식별정보, 압력 값 및 기울기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압력 값 및 기울기 값을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초기 측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구조물의 변위 여부 및 변위 정도를 산출하는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구조물의 기울어짐 및 처짐 중 적어도 하나의 변위 정도에 따라 이를 상기 초기 기준 값으로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높이 조절부로 전달하여 기울어진 부위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변위 측정부, 높이 조절부, M2M 모듈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정상적인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장비 감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구조물의 설계 데이터와 상기 변위 측정부 및 높이 조절부의 설치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구조물의 설계 시공시 측정된 상기 초기 기준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상기 구조물의 설계 데이터에 상기 변위 측정부에서 측정된 압력 값 및 기울기를 반영하여 상기 구조물의 기울기 및 처짐 중 적어도 하나의 변위상태를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조물이 설정 기준치 이상 변형되거나, 반복되는 변형으로 설정 기준 횟수 이상 보정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구조물의 위험 상태를 경보하고, 유관 중앙 방제 센터에 이를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구조물의 변위 측정을 위한 센서에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부가하여 안전성을 검사함으로써 인위적인 측정에 따른 관련 비용을 줄이고 검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구조물의 변형에 따른 안전성 검사를 수행하고 구조물의 기울어짐에 따른 높이를 즉각적으로 보정함으로써 붕괴의 위험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외관뿐 아니라 하중에 의한 건물 내부의 변형을 감시하고 이를 보정함으로써 건물 관리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위 측정부 및 높이 조절부의 데이터 송수신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표시되는 건물의 기울어짐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표시되는 건물의 처짐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구조물은 토지에 정착하여 설치된 건물, 철탑, 다리 및 공작물 등을 포함하며, 상세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건물로 예를 들어 설명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변위는 구조물이 기울어지거나 물리적인 힘(하중)에 의해 변형된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은 변위 측정부(110), 높이 조절부(120), 데이터 중계부(130), 관리 서버(200) 및 중앙 방제 센터(300)를 포함한다.
변위 측정부(110)는 건물의 침하나 처짐 및 부분적 손상에 의해 발생되는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로 압전 센서(111) 및 기울기 센서(1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압전 센서(111) 및 기울기 센서(112)는 건물의 변위 측정을 위해 복수의 요소에 설치되며, 예컨대, 건물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뼈대를 이루는 공간에 설치되거나 건물의 층별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압전 센서(111)는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건물의 하중에 의한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 값을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기울기 센서(112)는 자이로 스코프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건물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기울기 값을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높이 조절부(120)는 건물을 지지하는 요소에 설치되어 관리 서버(20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높이를 조절한다.
높이 조절부(120)는 유압, 스크류, 기어 및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지지물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 설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위 측정부 및 높이 조절부의 데이터 송수신 구조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위 측정부(110) 및 높이 조절부(120)는 M2M(Machine-to-Machine) 모듈(140)과 결합되어 측정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M2M(Machine-to-Machine) 모듈(140)은 사물지능통신 기반으로 기기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로, 무선랜(Wifi), 지그비(Zigbee) 및 와이브로(Wibro) 등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중계부(130)를 통해 관리 서버(200)와 통신한다.
변위 측정부(110)에 결합되는 M2M 모듈(140)은 각각 압전 센서(111) 및 기울기 센서(112)의 측정 값을 디지털 형태의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측정 데이터에 결합된 센서 및 M2M 모듈(140)의 고유식별정보를 실어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변위 측정부(110)의 설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리 서버(200)에서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각 변위 측정부(110)의 위치 및 기울기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와 마찬가지로 높이 조절부(120)에 결합되는 M2M 모듈(140)도 데이터에 해당 고유식별정보를 실어 송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중계부(130)는 M2M 모듈(140)과 관리 서버(200)사이에 위치하여 이종망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한다.
데이터 중계부(130)는 M2M 모듈(140)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데이터를 시리얼 혹은 LAN 통신으로 관리 서버(200)에 전달하고,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대상 M2M 모듈(140)로 전달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변위 측정부(110)로부터 수집되는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조물의 기울기나 처짐 등의 변위(Displacement) 여부를 판단하여 구조물이 정상적인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예컨대, 관리 서버(200)는 아파트 단지 내에서 건물의 안전도를 관리하거나 빌딩 및 관공서의 건물 및 구조물을 각각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그 세부 구성을 다음의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부(220), 데이터 분석부(230), 데이터 비교부(240), 장비 감시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데이터 중계부(130)와 통신하여 건물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필요 시 높이 조절부(120)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210)는 인터넷을 통해 중앙 방제 센터(300)와 연결하여 구조물의 관리정보 및 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20)는 구조물 관리를 위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구조물 관리를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부(220)는 구조물의 설계 데이터와 변위 측정부(110) 및 높이 조절부(120)의 설치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구조물의 설계 시공시 변위 측정부(110)가 설치된 위치에서 측정된 초기 측정값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초기 측정값은 구조물의 관리에 있어서 측정 데이터의 변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값으로 이하 '기준 값'이라 명명한다.
데이터 분석부(230)는 변위 측정부(110)로부터 수집되는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유식별정보와 그 측정된 압력 값 및 기울기 값을 추출한다.
또한, 데이터 분석부(220)는 주기적으로 수집된 측정 데이터에서 추출된 정보, 그에 따른 변위 여부 및 구조물의 높이 보정에 따른 이력을 데이터베이스부(220)에 저장한다.
데이터 비교부(240)는 데이터 분석부(230)에서 추출된 압력 값 및 기울기 값을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초기 기준 값과 비교하여 변위 여부 및 변위 정도를 산출한다.
이 때, 데이터 비교부(240)는 건물의 설계 데이터에 변위 측정부(110)의 측정 데이터(압력 값 및 기울기 값)을 반영하여 그래픽을 통해 건물의 기울기 및 처짐 등의 변위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다음의 도 4 및 도 5를 통해 건물의 기울어짐 및 처짐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표시되는 건물의 기울어짐 상태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비교부(240)는 건물의 설계 데이터에 설치된 각 변위 측정부(110)의 위치에 현재 측정된 건물의 기울기 값을 반영하고 수평을 이루는 건물의 초기 기준 값과 대비하여 표시한다.
즉, 데이터 비교부(240)는 지반 침하로 인해 건물이 기울어진 상태를 건물의 초기 값과 비교하여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건물의 기울어짐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표시되는 건물의 처짐 상태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위 측정부(110)는 건물의 기울어짐뿐 아니라, 건물 내부의 설계 구조 변경 및 무리한 하중으로 인해 층간 바닥이 변형되는 것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 비교부(240)는 건물의 설계 데이터에서 건물의 층별로 설치된 각 변위 측정부(110)의 위치에 층간 바닥의 압력 및 현재 측정된 기울기를 반영하고 수평을 이루는 건물 바닥의 초기 값과 대비하여 표시한다.
즉, 데이터 비교부(240)는 하중으로 인해 층간 바닥이 처진 상태를 초기 값과 비교하여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건물의 처짐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장비 감시부(250)는 변위 측정부(110), 높이 조절부(120), M2M 모듈(140) 및 데이터 중계부(13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정상적인 동작상태를 감시한다.
예를 들면, 장비 감시부(250)는 측정 데이터의 수집시 누락된 변위 측정부(110)를 감시하거나, 데이터 송수신을 테스트하여 이들 장비의 정상 동작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데이터 비교부(240)의 비교 결과에 따라 건물이 변형된 것으로 판단되면 건물의 기울어짐과 처짐의 변위 정도에 따라 건물을 수평한 상태(즉, 초기 기준 값 상태)로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높이 조절부(120)로 전달하여 기울어지거나 처진 부위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건물이 일정 기준치 이상 변형되거나, 반복되는 변형으로 기준 횟수 이상 보정이 이루어진 경우 건물의 위험 상태를 경보하고 중앙 방제 센터(300)에 이를 통보한다.
중앙 방제 센터(300)는 유시티(U-City)와 같은 계획도시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관리 서버(200)를 통해 주기적으로 행정구역 내의 구조물에 대한 안전 검사를 수행하고, 건물의 변형에 따른 재난을 미연에 방지한다.
한편, 다음의 도 6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바탕으로 하는 구조물 관리 방법을 설명하되, 편의상 관리 서버(200)를 주체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변위 측정부(110)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집한다(S101). 상기 측정 데이터는 건물의 상태 모니터링 및 안전 검사를 위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주기로 수집하거나 필요 시 각 측정 값 조회를 요청하여 수집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변위 측정부(110)의 고유식별정보와 기울기 값 및 압력 값을 추출한다(S102).
관리 서버(200)는 추출된 기울기 값 및 압력 값을 각각 데이터베이스부(220)에 저장된 초기 기준 값과 비교하여 건물의 변위 여부를 판단한다(S103).
이 때, 관리 서버(200)는 건물의 기울기 값 및 압력 값이 초기 기준 값과 다르면 변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S104; 예), 현재 건물의 변위 상태를 건물의 설계 데이터와 대비하여 그래픽으로 표시한다(S105). 그리고, 건물의 각 요소의 기울기 값 및 압력 값을 바탕으로 기울어짐 및 층간 바닥 처짐으로 인한 적어도 하나의 변위 원인을 진단한다(S106).
관리 서버(200)는 건물의 기울어짐 및 처짐의 변위 정도에 따른 변형 부위를 초기 기준 값에 맞게 수평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S107), 상기 제어 신호를 해당 높이 조절부(120)로 전송하여 건물의 높이를 조절한다(S108).
관리 서버(200)는 건물의 변형 및 보정에 따른 위험 상태를 경보하고 중앙 방제 센터(300)에 이를 통보한다(S109).
한편, 상기 S104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건물의 변위 상태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104; 아니오), 높이 조절부(120)의 현행 값을 유지하고 안전 검사를 종료한다.
이 밖에도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으나 관리 서버(200)는 건물의 높이를 조절한 이후의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초기 기준 값과 비교하여 높이 조절 여부 및 그 보정 결과를 검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구조물의 변위 측정을 위한 센서에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부여하여 안전성을 검사함으로써 구조물의 변위 측정을 위한 센서에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부가하여 안전성을 검사함으로써 인위적인 측정 방식에 따른 관련 비용을 줄이고 검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구조물의 변형에 따른 안전성 검사를 수행하고 구조물의 기울어짐에 따른 높이를 즉각적으로 보정함으로써 붕괴의 위험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물의 외관뿐 아니라 하중에 의한 건물 내부의 변형을 감시하고 이를 보정함으로써 건물 관리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를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변위 측정부 111: 압전 센서
112: 기울기 센서 120: 높이 조절부
130: 데이터 중계부 140: M2M 모듈
200: 관리 서버 210: 통신부
220: 데이터베이스부 230: 데이터 분석부
240: 데이터 비교부 150: 장비 관리부
260: 제어부 300: 중앙 방제 센터

Claims (9)

  1. 구조물에 복수로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의 압력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
    상기 구조물의 지지 요소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변위 측정부 및 높이 조절부에 결합되어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M2M(Machine-to-Machine) 모듈; 및
    상기 변위 측정부로부터 수집되는 측정 데이터를 상기 구조물의 설계 시공시에 측정된 초기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구조물의 변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변위를 보정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2M 모듈과 상기 관리 서버 사이에서 이종망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중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M2M 모듈은 무선랜(Wifi), 지그비(Zigbee) 및 와이브로(Wibro)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중계부와 통신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측정부는,
    상기 구조물의 하중에 의한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 값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압전 센서; 및
    상기 구조물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기울기 값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기울기 센서
    를 포함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M2M 모듈은,
    상기 변위 측정부의 측정 값을 디지털 형태의 상기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에 상기 변위 측정부의 고유식별정보를 실어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변위 측정부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구동을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구조물 관리를 위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구조물 관리를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변위 측정부의 고유식별정보, 압력 값 및 기울기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압력 값 및 기울기 값을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초기 측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구조물의 변위 여부 및 변위 정도를 산출하는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구조물의 기울어짐 및 처짐 중 적어도 하나의 변위 정도에 따라 이를 상기 초기 기준 값으로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높이 조절부로 전달하여 기울어진 부위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변위 측정부, 높이 조절부, M2M 모듈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정상적인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장비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구조물의 설계 데이터와 상기 변위 측정부 및 높이 조절부의 설치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구조물의 설계 시공시 측정된 상기 초기 기준 값을 저장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상기 구조물의 설계 데이터에 상기 변위 측정부에서 측정된 압력 값 및 기울기를 반영하여 상기 구조물의 기울기 및 처짐 중 적어도 하나의 변위상태를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조물이 설정 기준치 이상 변형되거나, 반복되는 변형으로 설정 기준 횟수 이상 보정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구조물의 위험 상태를 경보하고, 유관 중앙 방제 센터에 이를 통보하는 구조물 관리 시스템.
KR1020120031105A 2012-03-27 2012-03-27 구조물 관리 시스템 KR101398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105A KR101398605B1 (ko) 2012-03-27 2012-03-27 구조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105A KR101398605B1 (ko) 2012-03-27 2012-03-27 구조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402A true KR20130109402A (ko) 2013-10-08
KR101398605B1 KR101398605B1 (ko) 2014-05-26

Family

ID=4963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105A KR101398605B1 (ko) 2012-03-27 2012-03-27 구조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60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926B1 (ko) * 2013-10-30 2015-03-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메시지 중계 제어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록 매체
CN106066393A (zh) * 2016-07-01 2016-11-02 山东交通学院 一种桥头沉降补偿量测试装置及测试方法
KR20170004206A (ko) *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아르고테크놀리지 대상물 위험 알림 시스템
CN106526617A (zh) * 2016-12-12 2017-03-22 福建工程学院 一种基于lora的高精度定位的变形监测系统及方法
KR101996779B1 (ko) * 2019-02-15 2019-07-04 화창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초고층 건축요소의 치수 변형 예측 및 안정화 제어 시스템
KR20190129482A (ko) 2018-05-11 2019-11-20 한국전력공사 철탑 구조 변화 진단 원격 감시 장치, 이의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150B1 (ko) * 2019-01-16 2019-10-24 문형민 일정범위지역의 지반에 시공되는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토사침하 센싱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42869A (ko) 2022-04-04 2023-10-11 이찬형 건축물 변형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149B1 (ko) * 2008-12-19 2010-03-08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초고층 건물의 방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19627A (ko) * 2009-08-20 2011-02-28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내하력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원격관리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926B1 (ko) * 2013-10-30 2015-03-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메시지 중계 제어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록 매체
KR20170004206A (ko) *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아르고테크놀리지 대상물 위험 알림 시스템
CN106066393A (zh) * 2016-07-01 2016-11-02 山东交通学院 一种桥头沉降补偿量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06526617A (zh) * 2016-12-12 2017-03-22 福建工程学院 一种基于lora的高精度定位的变形监测系统及方法
KR20190129482A (ko) 2018-05-11 2019-11-20 한국전력공사 철탑 구조 변화 진단 원격 감시 장치, 이의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1996779B1 (ko) * 2019-02-15 2019-07-04 화창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초고층 건축요소의 치수 변형 예측 및 안정화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605B1 (ko) 201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605B1 (ko) 구조물 관리 시스템
KR101311324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철탑구조물의 안전관리시스템 및 안전관리방법
EP252672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if access to a region is feasible or infeasible for a user of a mobile device
KR101991281B1 (ko) Iot 기반의 문화재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71613B1 (ko) Io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KR20100112277A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원격 자동 계측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97039B1 (ko) 공간정보 기반의 지능형 구조물 안전 모니터링 플랫폼
KR102533770B1 (ko) 구조물의 안전 관련 데이터를 측정하는 스마트 안전 관리 센서
KR20170052271A (ko) 진동 가속도와 변위 계측 기반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TW202225941A (zh) 虛擬檢視設施中之裝置
US20220343443A1 (en) Safety management and building oper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occupancy buildings
RU2584756C1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объекто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инфраструктуры
KR101172260B1 (ko)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교량/터널 안전상태 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07105411A (zh) 一种基于智能开关面板的移动智能终端轨迹监测系统和方法
CN105466389A (zh) 一种变电站基础监测系统
KR101635806B1 (ko) 대화 기능, 지능 기능 및 임무 기능의 다기능 계측모듈을 구비한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6749B1 (ko) 건물 붕괴 전조 감지 시스템
JP6617995B1 (ja) 無線電波調査システム
KR100364917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계측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Moon et al. Holistic integration based on USN technology for monitoring safety during concrete placement
KR102505765B1 (ko) 건설현장 근로자 안전을 위한 IoT 기반 웨어러블 안전가시화 시스템
KR20160114375A (ko) 실시간 낙석 피해 경고/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083406A (ja) 報知装置、および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20180108206A (ko) 교량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KR20210074519A (ko) 실시간 모니터링 기반 흙막이 가시설 안전성 평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