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331A - 홍삼 제조기 - Google Patents

홍삼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331A
KR20130109331A KR1020120030973A KR20120030973A KR20130109331A KR 20130109331 A KR20130109331 A KR 20130109331A KR 1020120030973 A KR1020120030973 A KR 1020120030973A KR 20120030973 A KR20120030973 A KR 20120030973A KR 20130109331 A KR20130109331 A KR 20130109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water
inner container
ginse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1318B1 (ko
Inventor
정원장
Original Assignee
정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장 filed Critical 정원장
Priority to KR102012003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318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홍삼 제조기에 별도의 건조장치를 형성하여, 증숙된 증삼을 건조장치의 송풍팬을 가동하여 증삼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삼이나 건삼을 자동으로 찌고 건조시킬 수 있어, 홍삼유효성분의 함량이 우수한 양질의 홍삼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홍삼제조기에 물투입장치를 형성하여, 홍삼 제조과정이나 홍삼액 추출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요자에게 홍삼제조기의 사용에 있어서 불편함이나 번거로움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홍삼액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 홍삼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삼 제조기 { Making machine of red ginseng }
본 발명은 건삼이나 수삼을 증숙하고 건조하여 홍삼과 홍삼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홍삼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홍삼 제조기 내에서 증숙된 증삼을 건조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건삼이나 수삼을 증기로 찌고 건조하는 반복과정을 통하여, 사포닌 등의 홍삼 유효성분의 함량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고, 전통적이고 고유한 홍삼제조기법에 최대한 근접하여 홍삼을 제조하고, 홍삼액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약탕기나 중탕기, 또는 홍삼액 추출기 등은, 일반 가정에서 건삼이나 수삼을 증숙하고, 증숙된 증삼을 다시 달여서 추출된 인삼액을 음용하고 있다.
근래들어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건강식품이 각광받고 있은 추세에서, 홍삼은 많은 수요자에게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일반 가정에서 홍삼을 제조할 수 있는 다양한 약탕기와 중탕기, 홍삼액 추출기 등이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홍삼은 우리의 전통적인 보양식이자 한약재로서, 수삼이나 건삼을 일정 온도의 증기로 쪄서, 상온에서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사포닌 등의 기타 인삼의 유효성분을 증가시키도록 하였고, 이러한 홍삼의 효능은 이미 많은 논문과 저서 등을 통해 인정되고 있다.
상기한 홍삼을 찌고 말리는 반복과정 중에 성분이 변화하여, 사포닌 뿐만 아니라, 암세포증식억제와 항종양 기능의 진세노사이드, 그리고 노화억제기능의 말톨 등의 인체에 유익한 생리활성성분 등이 함유되고 있음이 입증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홍삼은 찌고 건조하는 반복과정의 횟수에 따라, 1증1포에서 9중9포 등으로 구분되고, 1증1포의 경우 사포닌 등의 유효성분이 상당히 증가하는 성분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찌고 건조하는 반복과정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홍삼에 함유되는 성분이 변화되고, 9중9포를 하는 홍삼이나 흑삼의 경우 오히려 사포닌 등의 유효성분 감소된다는 논문 등이 나오고 있다.
한편, 시중의 약탕기나 중탕기, 또는 홍삼 추출기 등은, 거의 대부분 수삼이나 건삼을 증기로 찌는 기능과 찐 증삼을 달이는 기능만이 있기 때문에, 증삼의 건조과정이 없어 진정한 홍삼의 유효성분이 함유되지 않고, 사포닌 등의 유효성분의 증가도 미미한 실정이었다.
때문에, 전통적이고 고유한 홍삼제조기법을 기초로 하여, 유효성분이 증가된 홍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약탕기나 중탕기 등으로 찐 증삼을 햇볕에 말리거나 별도의 건조기를 구비하여 건조시켜야 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06년 5월 16일자로 출원하여 2007년 8월 9일자로 등록결정된 특허등록번호 제10-0751388호의 발명의 명칭 '전기약탕기를 이용한 구증구포 홍삼액 추출방법' 은, 전기약탕기(A)가 갖은 채반(4)과 달임용기(6)에 물과 수삼을 투입하고 가열하여 증숙시킨 후에, 가열을 중단하고 채반과 달임용기의 잠열 및 달임용기의 공간부에 의해 건조되는 과정을 반복시키도록 하여, 홍삼액을 추출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즉, 채반과 달임용기에서 수삼이 증숙되면, 가열을 중단하고 달임용기에 남아있는 열과 내부의 공간에서 증삼이 건조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기약탕기의 홍삼액 추출방법은, 전기약탕기의 달임용기에 남은 열과 달임용기 내부의 밀폐된 적은 공간에서 증삼을 건조시키기에는 상당한 제약과 한계가 노출되었고, 증삼의 건조속도가 장시간 소요되고, 증삼이 제대로 건조되지 않아 건조효율도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홍삼 제조기의 수요자들이 증삼의 건조에 장시간 소요되고 건조효과가 낮은 건조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유효성분의 함유량이 다량 증가된 전통적인 홍삼의 제조가 어려웠었고, 수요자의 홍삼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홍삼제조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홍삼 제조기 내에서 증숙된 증삼을 건조할 수 있도록 건조기능을 형성하고, 건조된 홍삼을 자동으로 물을 주입할 수 있는 물주입기능을 형성함으로써, 건삼이나 수삼을 증기로 찌고 건조시키는 자동적으로 반복하여, 사포닌 등의 홍삼 유효성분의 함량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고, 전통적이고 고유한 홍삼제조기법에 최대한 근접하여 홍삼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된 홍삼에 자동으로 물이 투입되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홍삼액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홍삼과 홍삼액을 제조하는 제조기에 있어서,
내부에 수삼이 투입되도록 형성한 내부용기와;
전원에 의해 가열되도록 하는 히터부와, 내부에 가열물이 수용되도록 하는 가열물저수부와, 상기 내부용기가 안치되도록 하는 내부용기수납부와, 홍삼제조기를 기능별로 작동시키고 표시되도록 하는 컨트롤부를 형성한 홍삼제조기 본체와;
상기 홍삼제조기 본체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형성하고, 홍삼제조기 본체와 회동개폐되도록 일측에 구비된 회동부와, 타측에는 덮개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된 개폐부와, 홍삼제조기 본체 내부의 증기압력을 제어하도록 하는 증기제어부를 형성한 덮개와;
증기로 쪄진 증삼을 건조시키도록 형성하고, 상기 홍삼제조기 본체의 내부용기수납부에 연결되어 신호에 의해 관통, 차단되도록 하는 차단밸브가 구비된 송풍구와, 상기 송풍구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송풍팬을 형성한 건조부재와;
일정 양의 물을 수용하도록 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을 이송시키도록 구동하는 전동기와, 상기 수조에서 덮개까지 연결되는 이송관과, 상기 내부용기에 물을 주입하도록 상기 덮개에 구비된 주입구와, 신호에 의해 상기 수조의 물의 공급을 개폐하도록 하는 공급밸브를 형성한 물주입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홍삼 제조기에 별도의 건조장치를 형성하여, 증숙된 증삼을 건조장치의 송풍팬을 가동하여 증삼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삼이나 건삼을 자동으로 찌고 건조시킬 수 있어, 홍삼유효성분의 함량이 우수한 양질의 홍삼을 제조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홍삼제조기에 물투입장치를 형성하여, 홍삼 제조과정이나 홍삼액 추출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요자에게 홍삼제조기의 사용에 있어서 불편함이나 번거로움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홍삼액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홍삼액 추출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홍삼 제조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삼이 수납되도록 하는 내부용기(10)와, 상기 내부용기(10)가 투입되도록 하는 홍삼제조기 본체(20)와, 상기 홍삼제조기 본체(20)의 상부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덮개(30)와, 증삼을 건조시키도록 구동하는 건조부재(40)와, 상기 내부용기(10)에 물을 주입시키도록 하는 물주입부재(50)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용기(10)는 내부에 수삼이 투입되도록 형성하고, 맥반석이나 게르마늄 소재로 제작되어 타공된 용기가 요입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홍삼제조기 본체(20)는 전원에 의해 가열되도록 하는 히터부(21)와, 내부에 가열물이 수용되도록 하는 가열물저수부(22)와, 상기 내부용기(10)가 안치되도록 하는 내부용기수납부(23)와, 홍삼제조기를 기능별로 작동시키고 표시되도록 하는 컨트롤부(24)를 형성한다.
상기 가열물저수부(22)와 내부용기수납부(23)는 일정 단 턱을 구비하도록 형성하고, 내부용기 수납부(23)에 내부용기(10)를 안치, 고정되도록 한 고정구(25)와, 가열물저수부(22)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부(26)를 형성한다.
상기 배출부(26)는 상기 가열물저수부(22)의 하부에 형성하고, 가열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관(27)과, 신호에 의해 배출관(27)을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밸브(28)를 형성한다.
상기 덮개(30)는 상기 홍삼제조기 본체(20)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형성하고, 홍삼제조기 본체(20)와 회동개폐되도록 일측에 구비된 회동부(31)와, 타측에는 덮개(30)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된 개폐부(32)와, 홍삼제조기 본체(20) 내부의 증기압력을 제어하도록 하는 증기제어부(33)를 형성한다.
상기 건조부재(40)는 증기로 쪄진 증삼을 건조시키도록 형성하고, 상기 홍삼제조기 본체(20)의 내부용기수납부(23)에 관통된 송풍구(41)와, 상기 송풍구(41)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송풍팬(42)을 형성한다.
상기 송풍구(41)는 상기 내부용기수납부(23)와 신호에 의해 관통과 차단하도록 변화되는 하는 차단밸브(43)를 형성한다.
상기 물주입부재(50)는 일정 양의 물을 수용하도록 하는 수조(51)와, 상기 수조(51)의 물을 이송시키도록 구동하는 전동기(52)와, 상기 수조(51)에서 덮개(30)까지 연결되는 이송관(53)과, 상기 내부용기(10)에 물을 주입하도록 상기 덮개(30)에 구비된 주입구(54)와, 신호에 의해 상기 수조(51)의 물의 공급을 개폐하도록 하는 공급밸브(55)를 형성한다.
상기 물주입부재(50)는 별도로 홍삼 제조기 본체(20)의 일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덮개(30) 등에 구비할 수 있고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미설명부호 1은 수삼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홍삼 제조기를 통하여 홍삼을 제조하고 홍삼액을 추출할 경우, 상기 내부용기(10)에 수삼, 또는 건삼을 투입하고, 상기 홍삼제조기 본체(20)의 가열물저수부에(22)에 적정량의 물을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30)의 개폐부(32)를 이용하여 덮개(30)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회동부(31)에 의해 덮개(30)가 회동되고, 상기 수삼이나 건삼이 수납된 내부용기(10)를 홍삼제조기 본체(20)의 내부용기수납부(23)에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구(25)에 의해 내부용기수납부(23)는 안정적으로 안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30)를 밀폐한 후에, 상기 컨트롤부(24)를 이용하여 기능별로 작동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부(24)는 사용자에 의해 수삼의 찌고 건조시키는 횟수, 또는 시간 등을 임의대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고, 표시창에 입력된 내용, 모드가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부(24)의 조작에 의해 상기 히터부(21)가 작동하게 되고, 히터부(21)의 가열로 인하여 가열물저수부(22)에 수용된 가열물에서 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내부의 증기압은 상기 증기제어부(33)에서 적정하게 유지하게 됨에 따라, 내부용기(10)에 투입된 수삼이 증기로 찌는 과정이 진행되어 수삼이 증숙되는 것이다.
수삼이 증숙되어 증삼이 완성되면, 컨트롤부(24)에 제어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배출부(26)의 개폐밸브(28)가 동작하게 되어, 가열물저수부(22)에 남은 가열물은 상기 배출관(2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컨트롤부(24)에 설정, 입력된 모드에 따라, 컨트롤부(24)의 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건조부재(40)가 구동하게 되고, 상기 차단밸브(43)가 개방되고 상기 송풍팬(42)이 작동함으로써, 상기 송풍구(41)를 통하여 공기가 내부용기수납부(23)로 유입되어, 증삼의 건조가 신속하고 증삼의 건조효과가 우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히터부(21)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내부용기수납부(23)의 적절한 건조온도와 상기 건조부재(40)의 자연적인 건조바람을 통하여, 증삼의 건조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24)를 이용하여, 수삼을 찌고 건조하는 횟수를 사용자가 임의대로 선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홍삼의 반복적인 찌고 건조하는 과정을 자동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건조된 홍삼으로 홍삼액을 추출할 경우에는, 상기 물주입부재(50)가 구동하게 되어, 컨트롤부(24)의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공급밸브(55)가 개방되고 상기 전동기(52)가 동작하게 됨에 따라, 상기 수조(51)에 저수된 물은 상기 이송관(53)을 통해 이송되어, 상기 주입구(54)에서 내부용기로 물을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홍삼과 주입된 물을 히터부(21)가 가열되고, 적정온도로 홍삼액을 달이게 되어, 유효성분이 증가된 홍삼액을 자동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홍삼액 추출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홍삼 제조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히터부 20 : 홍삼제조기 본체
21 : 히터부 22 : 가열물저수부
23 : 내부용기수납부 24 : 컨트롤부
25 : 고정구 26 : 배출부
27 : 배출관 28 : 개폐밸브
30 : 덮개 31 : 회동부
32 : 개폐부 33 : 증기제어부
40 : 건조부재 41 : 송풍구
42 : 송풍팬 43 : 차단밸브
50 : 물주입부재 51 : 수조
52 : 전동기 53 : 이송관
54 : 주입구 55 : 공급밸브

Claims (2)

  1. 홍삼과 홍삼액을 제조하는 제조기에 있어서,
    내부에 수삼이 투입되도록 형성한 내부용기(10)와;
    전원에 의해 가열되도록 하는 히터부(21)와, 내부에 가열물이 수용되도록 하는 가열물저수부(22)와, 상기 내부용기(10)가 안치되도록 하는 내부용기수납부(23)와, 홍삼제조기를 기능별로 작동시키고 표시되도록 하는 컨트롤부(24)를 형성한 홍삼제조기 본체(20)와;
    상기 홍삼제조기 본체(20)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형성하고, 홍삼제조기 본체(20)와 회동개폐되도록 일측에 구비된 회동부(31)와, 타측에는 덮개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된 개폐부(32)와, 홍삼제조기 본체(20) 내부의 증기압력을 제어하도록 하는 증기제어부(33)를 형성한 덮개(30)와;
    증기로 쪄진 증삼을 건조시키도록 형성하고, 상기 홍삼제조기 본체(20)의 내부용기수납부(23)에 연결되어 신호에 의해 관통, 차단되도록 하는 차단밸브(43)가 구비된 송풍구(41)와, 상기 송풍구(41)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송풍팬(42)을 형성한 건조부재(40)와;
    일정 양의 물을 수용하도록 하는 수조(51)와, 상기 수조(51)의 물을 이송시키도록 구동하는 전동기(52)와, 상기 수조(51)에서 덮개(30)까지 연결되는 이송관(53)과, 상기 내부용기(10)에 물을 주입하도록 상기 덮개(30)에 구비된 주입구(54)와, 신호에 의해 상기 수조(51)의 물의 공급을 개폐하도록 하는 공급밸브(55)를 형성한 물주입부재(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제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물저수부(22)는, 내부용기수납부(23)와 일정 단 턱을 구비하도록 형성하고, 내부용기 수납부(23)에 내부용기(10)를 안치, 고정되도록 한 고정구(25)와, 가열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관(27)과, 신호에 의해 배출관(27)을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밸브(28)가 구비된 배출부(26)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홍삼 제조기.
KR1020120030973A 2012-03-27 2012-03-27 홍삼 제조기 KR101321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973A KR101321318B1 (ko) 2012-03-27 2012-03-27 홍삼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973A KR101321318B1 (ko) 2012-03-27 2012-03-27 홍삼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331A true KR20130109331A (ko) 2013-10-08
KR101321318B1 KR101321318B1 (ko) 2013-10-23

Family

ID=4963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973A KR101321318B1 (ko) 2012-03-27 2012-03-27 홍삼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3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869A1 (ko) * 2016-11-14 2018-05-17 주식회사 라파데오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제조방법
KR20220013930A (ko) * 2020-07-27 2022-02-04 농업회사법인 리본진생 주식회사 흑삼제조용 증숙장치 및 흑삼제조 방법
KR20220045277A (ko) * 2020-10-05 2022-04-12 이상우 보양염소의 사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415B1 (ko) * 2005-12-28 2006-05-25 정진훈 단일 장치내 증숙,건조,추출을 통한 홍삼제조장치
KR20090012587A (ko) * 2007-07-30 2009-02-04 주식회사 코아파트너스 증삼, 건조, 추출을 겸한 가정용 홍삼제조기 장치
KR20090099226A (ko) * 2008-03-17 2009-09-22 이순한 증삼, 건조, 및 엑기스 추출이 가능한 홍삼제조장치
KR101034688B1 (ko) * 2010-08-19 2011-05-16 손정헌 9증 9포 방식을 이용한 자동 증숙장치 및 상기 증숙장치를 이용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869A1 (ko) * 2016-11-14 2018-05-17 주식회사 라파데오 꿀 성분이 함유된 가공인삼 제조방법
KR20220013930A (ko) * 2020-07-27 2022-02-04 농업회사법인 리본진생 주식회사 흑삼제조용 증숙장치 및 흑삼제조 방법
KR20220045277A (ko) * 2020-10-05 2022-04-12 이상우 보양염소의 사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1318B1 (ko)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984B1 (ko) 식품 및 한약재 자동 증포처리 시스템
CN104756844B (zh) 带芽苗类食品制作功能食品处理机及芽苗类食品制作方法
CN101862125B (zh) 家庭用豆浆机
KR101321318B1 (ko) 홍삼 제조기
CN105433806B (zh) 一种智能全自动咖啡萃取机
JP2013165814A (ja)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飲料製造装置
KR20140061837A (ko) 더치식 커피 추출기
CN103040360A (zh) 高压式泡茶机
CN113069015B (zh) 料理机
CN207042406U (zh) 一种花卉面膜机的搅拌杯
CN107101193B (zh) 湿式桑拿供汽系统
CN206553489U (zh) 一种香原料的浸泡翻转装置
KR20090120660A (ko) 약용성분 자동 추출기
CN106859343A (zh) 一种奶茶搅拌装置
CN208121085U (zh) 一种新型家庭用酱油微型发酵罐
KR20090119048A (ko) 홍삼청국장의 제조방법
KR20090012587A (ko) 증삼, 건조, 추출을 겸한 가정용 홍삼제조기 장치
CN201401835Y (zh) 具有打豆功能的微波炉
KR20090002325U (ko) 가정용 홍삼제조기의 급배수장치
WO2023087541A1 (zh) 一种料理机的快速制浆方法
CN208926038U (zh) 灭酶装置和食物料理机
CN208926039U (zh) 灭酶装置和食物料理机
CN208926040U (zh) 料理机
CN208371636U (zh) 烹饪器具
CN208382744U (zh) 一种黄芪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