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672A - 다기능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672A
KR20130107672A KR1020120029629A KR20120029629A KR20130107672A KR 20130107672 A KR20130107672 A KR 20130107672A KR 1020120029629 A KR1020120029629 A KR 1020120029629A KR 20120029629 A KR20120029629 A KR 20120029629A KR 20130107672 A KR20130107672 A KR 20130107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ir
chair
exercise
scaf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지인휘트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지인휘트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지인휘트니스
Priority to KR1020120029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7672A/ko
Publication of KR20130107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09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for anchoring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다기능 운동 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운동 기구는, 사용자가 앉는 의자; 및 상기 의자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발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 유닛은, 유닛 플레이트; 상기 유닛 플레이트 상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발판; 및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발판에 연결되며, 상기 발판들의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운동 기구{Exerci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기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앉은 상태에서 다리 운동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나아가 단순한 다리 운동 외에도 다른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우 두 개의 발판에 양 발을 위치시켜 번갈아 내디디면서 운동하는 이른 바 스텝 운동 기구는 제자리에서 계단이나 산을 오르내리는 것과 같은 운동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스텝 운동 기구는 운동이 부족한 현대인들에게 짧은 시간동안 많은 운동량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생활체육의 보급을 위해 공원이나 실외 체육시설에 스텝 운동 기구를 많이 보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텝 운동 기구의 선행기술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9357호, 제20-0416280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스텝 운동 기구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일어 선 상태에서 두 개의 발판을 밟으면서 운동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일어서기에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등이 이용하기 힘들어 그 효율성이 떨어지며, 단순한 다리 운동 외에는 다른 운동 효과를 함께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한 새로운 타입의 구조 개선이 요구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09357 등록실용신안 제20-041628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앉은 상태에서 다리 운동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나아가 단순한 다리 운동 외에도 다른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사용자가 앉는 의자; 및 상기 의자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발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 유닛은, 유닛 플레이트; 상기 유닛 플레이트 상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발판; 및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발판에 연결되며, 상기 발판들의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운동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의자와 상기 발판 유닛이 일체로 지지되는 한 쌍의 레일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레일 플레임의 단부에는 휠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의자를 상기 레일 프레임에 지지하는 의자 지지프레임; 및 상기 발판 유닛을 상기 레일 프레임이 지지하는 유닛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손잡이; 및 상기 한 쌍의 손잡이와 상기 발판 유닛을 연결하는 로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앉은 상태에서 다리 운동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나아가 단순한 다리 운동 외에도 다른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 이미지이다.
참고로, 도 2는 도 1의 운동기구의 사용 상태 이지미인데 편의를 위해 도 2에는 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지 않았으며, 도면 참조부호는 도 1에만 부여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다기능 운동 기구는, 의자(110), 발판 유닛(120), 그리고 한 쌍의 레일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의자(110)는 사용자가 앉는 자리이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스텝 운동 기구는 사용자가 일어 선 상태에서 두 개의 발판을 밟으면서 운동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일어서기에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등이 이용하기 힘들어 그 효율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의자(110)에 앉은 상태에서 운동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예컨대, 허리가 아픈 사람이 다리 운동을 하고자 할 때에도 본 실시예의 다기능 운동 기구를 사용할 수 있어 효율성이 좋다.
따라서 의자(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11)가 높고 좌판(112)의 측부에 격벽(113)이 있는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 안정적인 자세로서 의자(110)에 앉아 운동을 즐길 수 있다.
이러한 의자(110)는 의자 지지프레임(115)을 통해 레일 프레임(13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발판 유닛(120)은 실질적으로 발을 대고 가압하면서 다리 운동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발판 유닛(120)은 의자(110)에 대해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발판 유닛(120)은 유닛 플레이트(121)와, 유닛 플레이트(121) 상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발판(122)과, 유닛 플레이트(121)와 한 쌍의 발판(122)에 연결되며, 발판(122)들의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지지부(123)를 포함한다.
유닛 플레이트(121)는 약간 경사진 상태로 비스듬히 배치된다. 유닛 플레이트(121)가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도록, 유닛 플레이트(121)는 유닛 지지프레임(124)에 의해 레일 프레임(130) 상에 지지된다. 유닛 지지프레임(124)은 그 양단부가 유닛 플레이트(121)와 레일 프레임(130)에 각각 용접될 수 있다.
한 쌍의 발판(122)은 의자(110)에 앉은 사용자가 자신의 양발을 올려 지지하는 부분이다.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 쌍의 발판(122)에는 미끄럼 방지수단(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수단은 고무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한 쌍의 탄성지지부(123)는 발판(122)들의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1에서 오른 발을 가압하여 오른쪽 발판(122)이 A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또한 왼 발의 가압을 해제하여 왼쪽 발판(122)이 B 방향으로 원상태 복귀되도록 발판(122)들의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한 쌍의 탄성지지부(123)는 실린더나 쇼버로 적용될 수 있다.
한 쌍의 탄성지지부(123)는 유닛 플레이트(121)의 중앙 브래킷(125)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장착된다.
한편, 의자(110)와 발판 유닛(120)은 한 쌍의 레일 프레임(130)에 일체로 지지된다. 다시 말해, 의자(110)와 발판 유닛(120)은 한 쌍의 레일 프레임(130)과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이들은 한 몸체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레일 프레임(130)의 단부에는 휠(140)이 휠 브래킷(1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다기능 운동 기구를 옮기고자 할 때는 발판 유닛(120) 쪽을 들어 한 쌍의 레일 프레임(130)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하여 지면에 휠(140)만이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휠(140)을 통해 다기능 운동 기구를 옮기면 된다. 따라서 위치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휠(140)에는 브레이크 장치가 마련되어 임의 회전을 구속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외에도 본 실시예의 다기능 운동 기구에는 한 쌍의 손잡이(150)가 더 마련된다. 한 쌍의 손잡이(150)는 로프(151)에 의해 발판 유닛(120)과 연결되는데, 운동 시 중심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다기능 운동 기구의 사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의자(110)에 착석하여 자세를 잡은 상태에서 양 발을 한 쌍의 발판(122)에 올린다.
그런 다음, 양손으로 한 쌍의 손잡이(150)를 잡아 안정적인 자세를 취한 후에, 도 2의 이미지처럼 양 발을 번갈아 가면서 가압한다.
그러면 탄성지지부(123)에 의해 한 쌍의 발판(122)이 도 1에서 A 방향 혹은 B 방향으로 움직이게 됨으로써 다리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앉은 상태에서 다리 운동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나아가 단순한 다리 운동 외에도 다른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의자(110)가 의자 지지프레임(115)을 통해 레일 프레임(130) 상에 결합되기는 하되 레일 프레임(130)에는 다수의 통공(161)이 형성되고 통공(161)을 통해 의자 지지프레임(115)은 볼트(162)로 레일 프레임(130) 상에 결합된다.
이처럼 레일 프레임(130)에 다수의 통공(161)을 만들어 볼트(162) 결합시키는 경우, 여러 개의 통공(161)을 선택하여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의자(110)와 발판 유닛(120) 간의 상대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의자 120 : 발판 유닛
121 : 유닛 플레이트 122 : 발판
123 : 탄성지지부 124 : 유닛 지지프레임
130 : 레일 프레임 140 : 휠
150 : 손잡이

Claims (5)

  1. 사용자가 앉는 의자; 및
    상기 의자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발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 유닛은,
    유닛 플레이트;
    상기 유닛 플레이트 상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발판; 및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발판에 연결되며, 상기 발판들의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와 상기 발판 유닛이 일체로 지지되는 한 쌍의 레일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다기능 운동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일 플레임의 단부에는 휠이 마련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를 상기 레일 프레임에 지지하는 의자 지지프레임; 및
    상기 발판 유닛을 상기 레일 프레임이 지지하는 유닛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 운동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손잡이; 및
    상기 한 쌍의 손잡이와 상기 발판 유닛을 연결하는 로프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운동 기구.
KR1020120029629A 2012-03-23 2012-03-23 다기능 운동 기구 KR20130107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629A KR20130107672A (ko) 2012-03-23 2012-03-23 다기능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629A KR20130107672A (ko) 2012-03-23 2012-03-23 다기능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672A true KR20130107672A (ko) 2013-10-02

Family

ID=49630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629A KR20130107672A (ko) 2012-03-23 2012-03-23 다기능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76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2197A (zh) * 2016-12-01 2017-02-22 东莞市天合机电开发有限公司 一种腿部肌肉锻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2197A (zh) * 2016-12-01 2017-02-22 东莞市天合机电开发有限公司 一种腿部肌肉锻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6207B1 (en) Hi-rise walker
JPWO2010140560A1 (ja) 移乗・移動装置
CA2391048C (en) Rehabilitation chair
US20170042334A1 (en) Activating platform
CN109330780B (zh) 一种老年人中风用康复设备
CN109200536B (zh) 一种上下肢体同步康复训练装置
CN203263669U (zh) 一种具有助行康复功能的儿童轮椅
JP2021019852A (ja) 下肢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KR20190035553A (ko)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
CN204380107U (zh) 适用于老年人、残疾人的健身床
JP2014171492A (ja) 運動用器具
KR101990270B1 (ko)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
TW201717883A (zh) 健身器
CN211383653U (zh) 一种用于膝关节运动开发的漫步机
KR20100133323A (ko) 트위스트운동 및 다리운동 겸용 복부운동기구
KR20130107672A (ko) 다기능 운동 기구
CN210751128U (zh) 一种神经内科康复护理装置
CN211797588U (zh) 一种康复用行走辅助装置
CN209828117U (zh) 一种新型坐推器
CN203988894U (zh) 多功能电动舒压机
CN203264168U (zh) 一种躺姿健身自行车
KR20170093347A (ko) 고령친화 보행운동기기
CN204582437U (zh) 手足训练器
CN215385719U (zh) 一种基于轮椅式的步行康复器
KR101078622B1 (ko) 다리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