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274A -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274A
KR20130107274A KR1020137006348A KR20137006348A KR20130107274A KR 20130107274 A KR20130107274 A KR 20130107274A KR 1020137006348 A KR1020137006348 A KR 1020137006348A KR 20137006348 A KR20137006348 A KR 20137006348A KR 20130107274 A KR20130107274 A KR 20130107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content
display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5001B1 (ko
Inventor
장강원
김응창
이병욱
황정섭
이종성
김선량
송응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0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연결되었을 때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이들 간에 데이터 통신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될 때, 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사용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 권한의 위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MOBILE/PORTABLE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연결되었을 때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이들 간에 데이터 통신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는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전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간에 서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질 때, 양자 간의 데이터 통신에 관한 정보가 상기 이동단말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디스플레이되기 위한 방안이 계속 연구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간에 서로 데이터 통신이 행해질 때, 양자 간의 데이터 통신에 관한 정보가 상기 이동단말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될 때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때, 본 이동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전달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외부 이동단말기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되어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와 연결될 때, 본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될 때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제 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전달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되어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제 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외부 이동단말기와, 제 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사용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될 때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이 정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외부 이동단말기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하여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와 연결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될 때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제 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이 정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되어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제 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외부 이동단말기와, 제 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와 연결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될 때, 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사용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 권한의 위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연결되고 연결해제될 때, 상기 이동단말기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재생이 일시 정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연결되고 연결해제될 때, 단말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도록 상호 접속된 이동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를 도시한다.
도 2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해 살펴본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싱부(140)의 예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이 상기 무선 데이터 포트로 이용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이들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하겠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기 이동단말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면 제한이 없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로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및 텔레비젼(예를 들면, 디지털 TV 또는 스마트 TV) 등(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출력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210)는 무선 인터넷 모듈(213) 및 근거리 통신 모듈(2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음향출력모듈(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 1와 관련하여 전술된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각 해당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상당히 유사하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모두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텔레비전인 경우에는 방송 수신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텔레비전인 경우 필요에 따라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 역시 도 1과 관련하여 전술된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방송 수신 모듈(111)과 동일하거나 상당히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접속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도록 상호 접속된 이동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부(17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접속은 유선 통신으로 접속될 수도 있고,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 인터넷 통신)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들 앞에는 "제 1"이라는 접두어를 사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들 앞에는 "제 2"라는 접두어를 사용하도록 하겠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어부(180)을 각각 제 1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 1 제어부(180)로 호칭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어부(280)을 각각 제 2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 2 제어부(280)로 호칭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제 1 스크린 영상(300)이라고 호칭하겠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서는 제 1 스크린 영상(3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31].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에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스크린 영상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32].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제 1 스크린 영상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사전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접속되었을 때, 제 1 스크린 영상을 위한 모니터 창(400)을 제 2 디스플레이부(251)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모니터 창(400)에 제 1 스크린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S33].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이동단말기의 제 1 스크린 영상(300)과 구별하기 위해, 상기 모니터 창(40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제 2 스크린 영상(500)이라고 호칭하겠다.
상기 모니터 창(400)에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상기 모니터 창(400)은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가 장착된 하우징의 일면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소정 키버튼(130)이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 창(400)에는 상기 소정 키버튼과 동일한 형상의 소프트 키버튼(430)이 해당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상기 소프트 키버튼(430)이 마우스로 클릭될 때 (또는, 제 2 디스플레이부(251)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상기 소프트 키버튼(430)이 터치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소프트 키버튼(430)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조작되었음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100)로 보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작된 소프트 키버튼(430)에 해당하는 상기 소정 키버튼(130)의 조작에 해당하는 특정 기능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실행된 특정 기능에 따른 영상이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제 1 스크린 영상(300)으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제 1 스크린 영상(300)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180)는 상기 전송된 제 1 스크린 영상(300)에 대응되는 제 2 스크린 영상(500)을 상기 모니터 창(40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를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모니터 창(400)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이동단말기(100)를 간접적으로 조작할 수 있고, 상기 간접적으로 조작된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스크린 영상(300)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스크린 영상(500)을 통해 볼 수 있다.
상기 모니터 창(400)이 반드시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가 장착된 하우징의 일면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니터 창(400)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의 형상에 부가하여 다른 아이콘(예를 들면, 창 닫기 아이콘, 창 최소화 아이콘, 창 최대화 아이콘 등)(미도시)이 더욱 도시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모니터 창(400)에는 상기 하우징 일면의 형상 없이 제 2 스크린 영상(500)만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제 1 스크린 영상(30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제 2 스크린 영상(500)으로서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제 1 스크린 영상(300) 및 제 2 스크린 영상(500)은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생성되는 컨텐트 영상을 공유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생성되는 컨텐트 영상은 대기 영상인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생성되는 컨텐트 영상은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모든 기능, 메뉴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영상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제 1 스크린 영상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하는 것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겠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제 1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스크린 영상(300)을 캡처하여 이를 전술한 제 1 스크린 영상(300)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전송된 캡처된 제 1 스크린 영상(300)을 수신하여 이를 제 2 스크린 영상(500)으로서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스크린 영상(300)과 제 2 스크린 영상(500)은 예컨대 줌인 및 줌아웃에 있어서 서로 종속될 수 있다. 즉, 제 1 스크린 영상(300)이 줌인되거나 줌아웃되면 제 2 스크린 영상도 이에 따라 줌인되거나 줌아웃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스크린 영상(300)과 제 2 스크린 영상(500)은 그 내용에 있어도 서로 종속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 입력하는 영상 신호를 제 1 스크린 영상(300)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영상 신호를 제 1 스크린 영상(300)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전송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제 2 디스플레이부(251)의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제 2 스크린 영상(500)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251)는 제 1 제어부(180)가 출력하는 상기 영상 신호를 공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영상 신호를 "공유 영상 신호"라고 칭하겠다.
이 경우에도, 제 1 스크린 영상(300)과 제 2 스크린 영상(500)은 예컨대 줌인 및 줌아웃에 있어서 서로 종속될 수 있다. 즉, 제 1 스크린 영상(300)이 줌인되거나 줌아웃되면 제 2 스크린 영상도 이에 따라 줌인되거나 줌아웃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스크린 영상(300)과 제 2 스크린 영상(500)은 그 내용에 있어도 서로 종속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생성되는 특정 컨텐트 영상에 관한 제 1 영상 신호 및 이와 독립적인 제 2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제 1 영상 신호는 제 1 디스플레이부(151)로 입력하고, 제 2 영상 신호는 제 1 스크린 영상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는 제 1 영상 신호를 제 1 스크린 영상(300)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전송된 제 2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제 2 디스플레이부(251)의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제 2 스크린 영상(500)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 제 1 영상 신호 및 제 2 영상 신호가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된다는 점에서, 제 1 영상 신호 및 제 2 영상 신호는 상기 공유 영상 신호와는 구별되어야 함을 유념해야 한다.
이 경우에는, 제 1 스크린 영상(300)과 제 2 스크린 영상(500)은 예컨대 확대 및 축소에 있어서 서로 독립적일 수 있다. 즉, 제 1 스크린 영상(300)이 줌조절됨에 상관없이 제 2 스크린 영상(500)이 줌조절될 수 있다. 반대로, 제 2 스크린 영상(500)이 줌조절됨에 상관없이 제 1 스크린 영상(300)이 줌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스크린 영상(300)과 제 2 스크린 영상(500)은 그 내용에 있어도 서로 독립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접속됨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스크린 영상(300) 및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모니터 창(400) 및 제 2 스크린 영상(500)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될 때의 제 1 스크린 영상(300) 및 제 2 스크린 영상(500)에 대해 도 5 내지 도 7을 더욱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가 모두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51, 251)가 터치스크린인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은 절대로 아니고, 이들이 터치스크린이 아닌 일반 디스플레이더라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의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제 1 스크린 영상(300)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 상기 모니터 창(400)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모니터 창(400)에 제 2 스크린 영상(50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제 1 스크린 영상(3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여러 메뉴 아이콘들(301, 303, 305, 307) 중에서 멀티미디어 재생 메뉴 아이콘(305)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이 시도될 수 있다[S51].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는 예컨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이 적용된 컨텐트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위한 사용 권한(엄밀히 말하자면, 재생 권한)을 갖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S52].
사용 권한은 크게 "재생 권한"과 "전송 권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재생 권한이라 함은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해당 단말기에서 재생할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하며, 상기 전송 권한이라 함은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해당 단말기에서 다른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위한 재생 권한을 보유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면, 상기 시도된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S53].
그러나,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위한 재생 권한을 보유하는 것으로 파악되면, 상기 시도된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고, 도 6의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을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제 1 스크린 영상(300)으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4].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을 계속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전송 권한을 보유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S55].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상기 전송 권한을 보유하는 것으로 파악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제 1 스크린 영상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56].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도 6의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2 디스플레이부(251)의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제 2 스크린 영상(500)으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7].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오디오 정보를 함께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재생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DRM에 의해 보호되는 컨텐트임을 알리는 제 1 안내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을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제 2 스크린 영상(500)으로 디스플레이할 때, 도 6의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DRM에 의해 보호되는 컨텐트임을 알리는 제 1 안내 정보(520)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제 1 안내 정보(520)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전달 권한을 가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상기 전송 권한을 보유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S58].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도 7의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부(251)의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지 못한다[S59].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상기 전송 권한을 보유하지 않을 때, 상기 모니터 창(400)이 아예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디스플레이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DRM에 의해 사용 제한되는 컨텐트임을 알리는 제 2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도 7의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부(251)의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DRM에 의해 사용 제한되는 컨텐트임을 알리는 제 2 안내 정보(52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2 안내 정보(525)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전달 권한을 가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 대신에 대체 영상의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도 7의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부(251)의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상기 대체 영상이 제 2 스크린 영상(500)으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상기 대체 영상이 제 2 안내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할 수 없을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오디오 정보도 제공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재생될 수 없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오디오도 출력될 수 없을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되고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될 때,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터미디어 컨텐트의 전달 권한을 가지지 않는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상기 모니터 창이 생성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연결된 후에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된 후에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연결되더라도 이상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전송 권한을 보유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8을 더욱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권한을 보유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재생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전송 권한이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가정하겠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될 수 있다[S81].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제 1 스크린 영상(300)으로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제 1 스크린 영상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83].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오디오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권한을 보유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84].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권한을 보유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85].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2 디스플레이부(251)의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오디오 정보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수신한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오디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재생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오디오도 함께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재생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DRM에 의해 보호되는 컨텐트임을 알리는 제 1 안내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안내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자체적으로 생성한 것일 수도 있다.
판단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권한을 보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더라도[S87],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2 디스플레이부(251)의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S88].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DRM에 의해 사용 제한되는 컨텐트임을 알리는 제 2 안내 정보가 제 2 디스플레이부(251)의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 대신에 대체 영상이 제 2 디스플레이부(251)의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2 안내 정보 및 상기 대체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자체적으로 생성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권한을 보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오디오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권한을 보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아예 수신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S89].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을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재생할 수 없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가 상기 대체 영상 및 제 2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 대신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권한을 보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오디오 정보를 아예 수신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오디오를 출력할 수 없다.
도 8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전송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와는 상관없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즉,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에 대한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송 권한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생 권한이 독립적인 것처럼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에 대한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송 권한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생 권한이 종속적인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즉,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에 대한 전송 권한을 가진다는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권한을 가지는 것과 같은 의미일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상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전송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서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재생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전송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연결되었을 때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계속 유지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더욱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도시한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연결되기 전에,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될 수 있다[S91].
그러면, 도 10의 (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1 스크린 영상(300)으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92]. 도 10의 (10-1)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가 제 1 스크린 영상(3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위한 컨트롤 아이콘들(302, 304, 306)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 아이콘들(302, 304, 306)이 제 1 스크린 영상(300)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아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연결되기 전이므로 상기 모니터 창(400)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그 다음,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S93].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전송 권한을 보유하는지를 파악한다[S94].
파악 결과,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전송 권한을 가지고 있으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도 10의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계속 재생하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제 1 스크린 영상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S95].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의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논의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10의 (10-1)의 제 1 스크린 영상(300)에서의 제 1 컨트롤 아이콘(예를 들면 "일시 정지" 아이콘)(304)이 도 10의 (10-2)의 제 1 스크린 영상(300)에서 여전히 디스플레이됨으로써, 도 10의 (10-2)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이 여전히 재생되고 있음을 예시적으로 도시되고 있다.
그러나, 파악 결과,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전송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도 10의 (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S96]. 도 10의 (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 대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중단하는 이유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보려고 의도했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송 권한을 부재로 인해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볼 수 없을 것이다.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상기 전송 권한의 부재로 인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을 볼 수 없음을 인지할 수 있는 시간 간격 동안에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계속 재생된다면,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시간 간격 동안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을 제대로 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것이 단말기 사용자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감상에 유리할 수 있다.
도 10의 (10-1)의 제 1 스크린 영상(300)의 제 1 컨트롤 아이콘(예를 들면 "일시 정지" 아이콘)(304)이 도 10의 (10-3)의 제 1 스크린 영상(300)에서 제 2 컨트롤 아이콘(예를 들면, "재생" 아이콘)(308)로 변함으로써, 도 10의 (10-3)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이 일시 정지되었음이 예시적으로 도시되고 있다.
나중에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예컨대 상기 재생 아이콘(308)이 터치되어 선택됨으로써,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지 않으면서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다시 재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연결되었을 때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계속 유지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도 11 및 도 12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도시한다.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되기 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될 수 있다[S111]. 그러면, 도 12의 (1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1 스크린 영상(300)으로서 재생될 수 있다. 제 1 스크린 영상(3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위한 컨트롤 아이콘들(302, 304, 306)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아직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연결되기 전이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아직 상기 모니터 창(400)이 생성되지 않았다.
그 다음,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고 있는 도중에,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S112].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제 1 스크린 영상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 상기 모니터 창(400)를 생성하고, 상기 제공된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제 2 스크린 영상(500)으로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3].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도 12의 (1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연결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이 일시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4]. 따라서, 재생이 일시 정지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1 스크린 영상 및 제 2 스크린 영상으로서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중단하는 이유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보려고 의도했을 수 있다. 이 때, 단말기 사용자가 시선을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로 이동하는 시간 간격 동안에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계속 재생된다면,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시간 간격 동안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을 제대로 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것이 단말기 사용자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감상에 유리할 수 있다.
도 12의 (12-1)의 제 1 스크린 영상(300)의 제 1 컨트롤 아이콘(예를 들면 "일시 정지" 아이콘)(304)이 도 12의 (12-2)의 제 1 스크린 영상(300)에서 제 2 컨트롤 아이콘(예를 들면, "재생" 아이콘)(308)로 변함으로써, 도 12의 (12-2)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이 일시 정지되었음이 예시적으로 도시되고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예컨대 상기 재생 아이콘(308)이 터치되어 선택됨으로써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재생 아이콘(508)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다시 재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다시 재생되면, 도 12의 (1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상기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더욱 참조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의 제 1 스크린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모니터 창의 배향 방향이 전환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도시한다.
도 14의 (1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제 1 스크린 영상(300)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 상기 모니터 창(400)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모니터 창(400)에 제 2 스크린 영상(5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제 1 스크린 영상(3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메뉴 아이콘(305)이 터치되어 선택됨으로써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될 수 있다[S131].
이 때,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재생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판단한다[S132].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자체에 사전 포함된 디스플레이 방향 정보에 의해 결정되거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하우징의 배향 방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판단 결과, 도 14의 (1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포트레이트(portait) 방향이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포트레이트 방향임을 알리는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1)는 제 1 제어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모니터 창(400)이, 도 14의 (1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제 1 방향(예를 들면, 세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3].
판단 결과, 도 14의 (1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랜드스케이프(portait) 방향이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랜드스케이프 방향임을 알리는 제 2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1)는 제 2 제어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모니터 창(400)이, 도 14의 (1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제 2 방향(예를 들면, 가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4].
이하,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 해제될 때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계속 유지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도 15 및 도 16을 더욱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도시한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S151].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될 수 있다[S152]. 그러면, 도 16의 (1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153].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에 제 1 콘트롤 아이콘( 예를 들면, "일시 정지 아이콘")(304)이 디스플레이됨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현재 재생 중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 때,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S154].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더이상 디스플레이될 수 없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모니터 창(400)이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사라지도록 함으로써,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더이상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연결이 해제됨을 감지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자동으로 일시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중단하는 이유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모니터 창이 사라짐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시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이동하는 시간 간격 동안에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계속 재생된다면,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시간 간격 동안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을 제대로 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것이 단말기 사용자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감상에 유리할 수 있다.
도 16의 (16-1)의 제 1 스크린 영상(300)의 제 1 컨트롤 아이콘(예를 들면 "일시 정지" 아이콘)(304)이 도 16의 (16-2)의 제 1 스크린 영상(300)에서 제 2 컨트롤 아이콘(예를 들면, "재생" 아이콘)(308)로 변함으로써, 도 16의 (16-2)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이 일시 정지되었음이 예시적으로 도시되고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다시 연결될 때,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자동으로 다시 재생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상기 모니터 창(400)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의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상기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17 내지 도 19를 더욱 참조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연결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다른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예를 들면, 프로젝터 등)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상기 모니터 창이 생성되는지 여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를 도시한다.
먼저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201)와 연결되는 것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노트북과 같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2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20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201)는 프로젝터, 듀얼 모니터용 보조 모니터, 디지털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201)가 프로젝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을 계속한다. 제 2 인터페이스부(270)는 D-SUB 커넥터, DVI 커넥터, USB 커넥터, HDMI 커넥터,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의 설정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의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투사할 수도 있고, 또는 제 2 디스플레이의 영상과는 별도의 다른 영상을 투사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편함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256)이라고 호칭하고, 상기 프로젝터(201)가 투사하는 영상을 "프로젝터 영상"(257)이라고 호칭하겠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기 프로젝터(201)에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기 프로젝터(201)에 연결되지 않았다면, 도 19의 (1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서로 연결되었을 때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 상기 모니터 창(400)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 상기 모니터 창(400)이 생성되는 것에 대해서는 앞서 자세히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러나,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기 프로젝터(201)에 연결되었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256)과 상기 프로젝터 영상(257)이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256)과 상기 프로젝터 영상(257)이 동일하다면, 도 19의 (19-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서로 연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 상기 모니터 창(400)이 생성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 상기 모니터 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256)과 동일한 상기 프로젝터 영상(257)에는 상기 모니터 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음이 당연하다.
그러나,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과 상기 프로젝터 영상이 다르다면, 도 19의 (19-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서로 연결되었을 때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 상기 모니터 창(400)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 상기 모니터 창(400)이 디스플레이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256)과는 다른 상기 프로젝터 영상(257)에는 상기 모니터 창(400)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음이 당연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상기 프로젝터(201)과 연결되었을 때, 상기 프로젝터 영상(257)은 예컨대 프리젠테이션 도중에 단말기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람들과 공유될 수 있으므로, 상기 프로젝터 영상(257)에 상기 모니터 창(400)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연결되었음에도 상기 모니터 창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상기 프로젝터(201) 간의 연결로 인해 상기 모니터 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음을 알리는 안내가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도 20 및 도 21을 더욱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부가 정보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부가 정보에 어떤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영화인 경우에는 그 예로서 감독 정보, 출연배우 정보, 및 자막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음악인 경우에는 그 예로서, 작곡가 정보, 작사가 정보, 가수 정보, 및 가사 정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서로 연결된 후에,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될 수 있다[S201].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된 후에 상기 이동단말기(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서로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면, 도 21의 (2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의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을 제 1 스크린 영상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제공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식별자(예를 들면, 파일 이름)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부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메모리부(260)에서 검색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인터넷을 통해 특정 서버에 접속한 후에 상기 접속된 특정 서버에서 검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180)는, 도 21의 (2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 창(400) 상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과 함께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530)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가 정보가 자막 정보 또는 가사 정보인 경우와 같이 상기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시간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재생 시간 정보를 더욱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도 22 및 도 23을 더욱 참조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둘 이상이 기능들이 멀티태스킹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 창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가 구현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도시한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제 1 기능(예를 들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이 실행될 수 있다. 그러면, 도 23의 (2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의 상기 모니터 창(400)에서 제 1 기능 영상 (즉,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제 1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에 제 2 기능(예를 들면, 메시지 보기 실행)이 새롭게 실행되어 제 1 기능과 제 2 기능이 멀티태스킹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도 23의 (2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기능 영상(예를 들면, 메시지 영상)을 제 1 스크린 영상으로서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 1 기능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 2 기능 영상으로 인해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제어부(180)는, 제 1 스크린 영상에 관한 정보로서 제 1 기능 영상 및 제 2 기능 영상 모두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도 23의 (2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능 영상 및 제 2 기능 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1 모니터 창(400) 및 제 2 모니터 창(401)이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80)는, 도 23의 (2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능 영상 및 제 2 기능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상기 모니터 창(400)의 크기가 확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제 1 기능 및 제 2 기능이 멀티태스킹될 때,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에서는 제 1 기능 영상 및 제 2 기능 영상 중 어느 하나는 전부 또는 일부가 디스플레이될 수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51)에서는 제 1 기능 영사이 및 제 2 기능 영상 모두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에 한정되지 않음)의 이동단말기와,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및 텔레비젼(예를 들면, 디지털 TV 또는 스마트 TV) 등(이에 한정되지 않음)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5)

  1.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될 때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이 정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본 이동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전달 권한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이 해제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때, 제 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 창이 생성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모니터 창의 배향 방향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포트레이트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모니터 창이 세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제어하고,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랜드스케이프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모니터 창이 가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른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때 상기 모니터 창이 생성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때, 상기 모니터 창이 생성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의 영상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이 서로 동일하면 상기 모니터 창이 생성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의 영상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이 서로 상이하면 상기 모니터 창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식별자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부가 정보를 검색하여 제 2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재생 기능을 포함한 둘 이상의 기능들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둘 이상의 기능들에 대한 영상들이 상기 모니터 창에서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둘 이상의 기능들에 대한 영상들이 각각을 위한 둘 이상의 모니터 창들에서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3. 제 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외부 이동단말기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하여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와 연결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본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권한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와 연결될 때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이 정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와 연결될 때, 제 2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 창이 생성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향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모니터 창의 배향 방향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포트레이트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모니터 창이 세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제어하고,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랜드스케이프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모니터 창이 가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본 디스플레이 장치에 다른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와 연결될 때 상기 모니터 창이 생성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본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모니터 창이 생성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본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에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의 영상과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이 서로 동일하면 상기 모니터 창이 생성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보조 장치의 영상과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이 서로 상이하면 상기 모니터 창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식별자를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부가 정보를 검색하여 제 2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 재생 기능을 포함한 둘 이상의 기능들이 동시에 실행될 때, 상기 둘 이상의 기능들에 대한 영상들이 상기 모니터 창에서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둘 이상의 기능들에 대한 영상들이 각각을 위한 둘 이상의 모니터 창들에서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이동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될 때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제 1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제 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이 정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25.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재생되어 멀티미디어 컨텐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제 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외부 이동단말기와, 제 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와 연결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정보를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외부 이동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37006348A 2010-08-13 2010-08-13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75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5332 WO2012020863A1 (ko) 2010-08-13 2010-08-13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274A true KR20130107274A (ko) 2013-10-01
KR101775001B1 KR101775001B1 (ko) 2017-09-04

Family

ID=4556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348A KR101775001B1 (ko) 2010-08-13 2010-08-13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65819B2 (ko)
EP (1) EP2605611B1 (ko)
KR (1) KR101775001B1 (ko)
CN (1) CN103155692B (ko)
WO (1) WO20120208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109A (ko) * 2013-08-30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0864A1 (ko) * 2010-08-13 2012-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856355B2 (en) * 2011-05-09 2014-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devices and display devices
KR20140051354A (ko) * 2011-07-29 2014-04-3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자동 연관 및 연결을 허용하는 무선 프레젠테이션 시스템
US8836654B2 (en) * 2011-10-04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 window position and size control in (multi-fold) multi-display devices
KR101140419B1 (ko) * 2011-12-01 2012-05-03 알서포트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캡처 방법
US9654821B2 (en) 2011-12-30 2017-05-16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ed music playback
US20130234984A1 (en) * 2012-03-06 2013-09-12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KR101919788B1 (ko) * 2012-05-31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45812B1 (ko) * 2012-06-08 2019-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20130335340A1 (en) * 2012-06-19 2013-1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display of images received from secondary display devices
US9674587B2 (en) 2012-06-26 2017-06-06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ed music playback including remote add to queue
US20140075377A1 (en) * 2012-09-10 201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necting mobile terminal and external display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CN103092510B (zh) * 2012-12-28 2016-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屏幕共享时应用程序的保护方法
US20140218289A1 (en) * 2013-02-06 2014-08-07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control interface and methods therefor
US9361371B2 (en) 2013-04-16 2016-06-07 Sonos, Inc. Playlist update in a media playback system
US9501533B2 (en) 2013-04-16 2016-11-22 Sonos, Inc. Private queue for a media playback system
US9247363B2 (en) 2013-04-16 2016-01-26 Sonos, Inc. Playback queue transfer in a media playback system
US9684484B2 (en) 2013-05-29 2017-06-20 Sonos, Inc. Playback zone silent connect
US9953179B2 (en) 2013-05-29 2018-04-24 Sonos, Inc. Private queue indicator
US9495076B2 (en) 2013-05-29 2016-11-15 Sonos, Inc. Playlist modification
US9703521B2 (en) 2013-05-29 2017-07-11 Sonos, Inc. Moving a playback queue to a new zone
US10715973B2 (en) * 2013-05-29 2020-07-14 Sonos, Inc. Playback queue control transition
US9735978B2 (en) 2013-05-29 2017-08-15 Sonos, Inc. Playback queue control via a playlist on a mobile device
CN105379231A (zh) * 2013-05-29 2016-03-02 株式会社尼康 电子设备以及程序
US9798510B2 (en) 2013-05-29 2017-10-24 Sonos, Inc. Connected state indicator
US11288030B2 (en) * 2013-08-09 2022-03-29 Lenovo (Singapore) Pte. Ltd. Using information handling device footprint for transfer
US20150046812A1 (en) * 2013-08-12 2015-02-12 Google Inc. Dynamic resizable media item player
KR101670808B1 (ko) * 2013-09-03 201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20825B1 (ko) 2013-09-05 202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의 콘텐트 표시방법
WO2015038151A1 (en) * 2013-09-13 2015-03-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reen orientation
US10296884B2 (en) * 2013-09-30 2019-05-21 Sonos, Inc. Personalized media playback at a discovered point-of-sale display
KR101491378B1 (ko) * 2013-12-20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휴대장치의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조작 장치 및 방법
US10209942B2 (en) * 2014-07-16 2019-02-1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Collaboratively displaying media content using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KR102004881B1 (ko) 2014-08-06 201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901800A (zh) * 2014-08-29 2020-11-06 麦克赛尔株式会社 通信系统
US9565463B2 (en) * 2015-02-25 2017-02-07 Xudong Liu Method for distance based content mirroring and mirroring transfer
US10297002B2 (en) * 2015-03-10 2019-05-21 Intel Corporation Virtual touch pa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isplay
CN105138249A (zh) * 2015-07-20 2015-12-09 天脉聚源(北京)科技有限公司 控制播放操作的方法和装置
CN105796129B (zh) * 2015-08-13 2019-02-05 深圳市理邦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便携式计算机设备和显示其图像顺序的方法
CN105139877B (zh) * 2015-08-20 2017-09-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多媒体播放设备的连接方法、主设备、控制终端及系统
KR102471230B1 (ko) 2016-01-28 2022-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12283B1 (ko) * 2016-02-17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공유 제어 방법
KR102597036B1 (ko) * 2016-10-11 2023-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CN107707972B (zh) * 2017-09-27 2020-12-25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用于屏幕共享的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KR102418297B1 (ko) * 2017-11-01 2022-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알림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11526322B2 (en) * 2018-08-25 2022-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hanced techniques for merging content from separate computing devices
US11349976B2 (en) * 2019-09-12 2022-05-31 Lenovo (Beijing)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ile transmission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ing apparatus
CN113050841A (zh) * 2019-12-26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多窗口的方法、电子设备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106A (ko) * 2000-07-11 2002-01-19 박규진 다중 디스플레이 제어를 통한 온라인 게임기기 및 그 방법
KR20030011146A (ko) * 2003-01-21 2003-02-06 김효덕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 보조장치
KR100606060B1 (ko) * 2004-02-21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57184B1 (ko) * 2004-06-21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와 두개의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JP2006091112A (ja) * 2004-09-21 2006-04-06 Nikon Corp 電子機器
US7558529B2 (en) * 2005-01-24 2009-07-07 Broadcom Corporation Earpiece/microphone (headset) servicing multiple incoming audio streams
US20060203758A1 (en) * 2005-03-11 2006-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for relaying multimedia data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KR20060112893A (ko) * 2005-04-28 2006-11-02 주식회사 팬택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pc에 저장하는 휴대 단말기 및그 방법
US7835505B2 (en) * 2005-05-13 2010-11-16 Microsoft Corporation Phone-to-monitor connection device
US20090262661A1 (en) * 2005-11-10 2009-10-22 Sharp Kabushiki Kaisha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data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data transfer system, data transmission device control program, data receiving device control program,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the programs
KR100744752B1 (ko) * 2006-05-03 2007-08-01 주식회사 케이투이엔지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영상출력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US7546144B2 (en) * 2006-05-16 2009-06-0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playback of song files
KR100816286B1 (ko) * 2006-05-18 2008-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방법
KR101172402B1 (ko) * 2007-02-14 2012-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기기와 디지털 tv 간의 tv 방송 프로그램 연계시청방법과, 그 이동통신기기 및 디지털 tv
US10091345B2 (en) * 2007-09-04 2018-10-02 Apple Inc. Media out interface
JP4908360B2 (ja) * 2007-09-19 2012-04-04 株式会社東芝 携帯情報端末連係システムおよび連係処理プログラム並びに連係処理装置
KR101240543B1 (ko) * 2007-10-01 201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CN101237473B (zh) * 2008-02-27 2012-1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动态实现歌词播放的方法及实现该方法的移动终端和设备
WO2009140583A1 (en) * 2008-05-16 2009-11-19 Magna Electronics Inc. A system for providing and displaying video information using a plurality of video sources
KR100897790B1 (ko) * 2008-08-07 2009-05-15 (주)씨디네트웍스 하드웨어 아이디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방법및 장치
US20100086279A1 (en) * 2008-10-05 2010-04-08 Harris Scott C Video BoomBox
US20100205628A1 (en) * 2009-02-12 2010-08-12 Davis Bruce L Media processing methods and arrangements
JP5608980B2 (ja) * 2009-01-27 2014-10-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書画カメラ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109A (ko) * 2013-08-30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55692A (zh) 2013-06-12
CN103155692B (zh) 2016-08-03
EP2605611B1 (en) 2020-12-23
WO2012020863A1 (ko) 2012-02-16
EP2605611A1 (en) 2013-06-19
US20120040720A1 (en) 2012-02-16
KR101775001B1 (ko) 2017-09-04
US8565819B2 (en) 2013-10-22
EP2605611A4 (en)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001B1 (ko)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605413B1 (en) Mobile terminal, system comprising the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20038541A1 (en)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46779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519452B2 (en)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with associated zooming features
KR10131467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159203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화면 분할 방법
US20120038679A1 (en)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05114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content by the electronic apparatus
KR2011013371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2618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06154A (ko) 화면 방향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98746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46779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9462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콘텐츠 제어 방법
KR20150012639A (ko) 라디오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KR10185243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176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373344B1 (ko) 네트워크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것의 부하 제어 방법
KR10201441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65601A (ko)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3004270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66926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10064632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