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185A - 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 of building and cleaning method of build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 of building and cleaning method of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185A
KR20130107185A KR1020120103198A KR20120103198A KR20130107185A KR 20130107185 A KR20130107185 A KR 20130107185A KR 1020120103198 A KR1020120103198 A KR 1020120103198A KR 20120103198 A KR20120103198 A KR 20120103198A KR 20130107185 A KR20130107185 A KR 20130107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robot assembly
cleaning robot
wip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1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62182B1 (en
Inventor
김균태
한재구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30107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1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1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from below, e.g. by floors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B08B3/042Cleaning travelling work the loose articles or bulk material travelling gradually through a drum or other container, e.g. by helix or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6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with means for maintaining alignment between wheels and t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Manipulator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cleaning the surface of a building having the moving preventio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leaning robot assembly using a crane device having a vertical extension rail and a method for cleaning the surface of a building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damage to the wall of a building by preventing a cleaning robot assembly from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CONSTITUTION: A device (500) for cleaning the surface of a building having the moving preventio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leaning robot assembly using a crane device having a vertical extension rail comprises a cleaning robot assembly (1), a lifting crane, and a lifting rail (60). The cleaning robot assembly jets a washing solution to the wall (700) of a building through a nozzle member and wipes the wall of the building using a wiper blade. The lifting crane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lifts up and dow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using a cable (201). The lifting rail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guides the lifting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Description

연직한 연장레일을 구비한 크레인장치를 이용한 청소로봇 조립체의 요동방지 설치구조를 가지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외벽면의 청소방법{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 of Building and Cleaning Method of Building}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 of Building and Cleaning Method of Building}

본 발명은 빌딩 등과 같은 건물 외벽면을 따라 하강하면서 건물의 창문이나 외벽 표면 등의 건물 외벽면에 세척액을 분사하고 닦아 내어 청소하는 청소로봇 조립체를 구비한 건물 외벽면의 청소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물 외벽면의 청소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건물 외벽면의 상단에 청소로봇 조립체를 설치할 때, 건물 외벽면에 설치되는 승하강 레일과 연속될 연직한 연장레일을 구비하고 있는 크레인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청소로봇 조립체가 건물 외벽면에 설치된 승하강 레일에 결합될 때까지 청소로봇 조립체를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청소로봇 조립체가 건물 외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강하여 승하강 레일과 결합되게 하고, 그에 따라 청소로봇 조립체의 요동으로 인하여 유리창 등이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가 건물 외벽면에 존재하는 유리창의 창틀 등과 같은 돌출된 부분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돌출된 부분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깨끗하게 건물의 외벽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외벽면의 청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leani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having a cleaning robot assembly for cleaning and spraying and wiping the cleaning liquid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such as a window or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while descending along the outer wall surface, such as a building, and the building using the same The method for cleaning the outer wall surface, specifically, when install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on the top of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by using a crane device having a vertical extension rail to be continuous with the elevating rail installed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In the process of lower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until the cleaning robot assembly is coupled to the lifting rail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is stably lowered and coupled with the lowering rail without shak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refore, the glass windows, etc. are damaged in advance due to the shaking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At the same time, the cleaning robot assembly has a structure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protruding portion such as the window frame of the glass window existing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o that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can be cleaned cleanly despite the presence of the protruding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exterior wall cleaning device and a cleaning method of a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using the same.

최근에는 빌딩 등과 같은 건물이 매우 높은 층수를 가지는 고층으로 건설되는 경우가 많고, 그 외벽면이 유리로 이루어진 경우도 매우 많다. 이와 같이 고층 빌딩을 포함하는 건물에서 유리, 외면 등의 외벽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장치로서, 다양한 구조의 자동화된 청소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buildings such as buildings are often constructed with high floors having a very high number of floors, and the outer walls are often made of glass. As a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outer wall surfaces such as glass and outer surfaces in buildings including high-rise buildings, automated cleaning apparatuses having various structures have been proposed.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건물 외벽면의 청소장치(이하, "청소장치"라고 약칭함)는, 건물의 옥상에서 아래로 늘어뜨린 케이블 등에 의하여 건물의 외벽면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면서, 외벽면에 물을 분사하고, 외벽면에 묻은 물을 와이퍼부재로 긁어내거나 또는 회전 브러쉬로 닦아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6311호에는 이와 같이 회전 브러쉬로 건물의 유리창을 닦아 내는 청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In general, the cleaning device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ereinafter abbreviated as "cleaning device") is moved from top to bottom along the exterio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by a cable or the like hanging down from the roof of the building, the exterior wall surface It works by spraying water on the surface and scraping off the water on the outer wall with a wiper or wiping with a rotary brush.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36311 discloses a cleaning device for wiping the windows of a building with a rotating brush in this way.

이러한 청소장치를 건물 외벽면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건물의 옥상에서 아래로 케이블을 늘어뜨려서 청소장치를 승하강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단순히 케이블을 늘어뜨리게 되면, 청소장치가 건물 외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자칫 청소장치의 요동으로 인하여 유리창 등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청소장치에 구비된 와이퍼부재 등이 건물 외벽면에 밀착되지 않게 되어 제대로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installation of the cleaning devic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s mentioned above, the cleaning device is raised and lowered by hanging the cable down from the roof of the building. Because it can't be prevented from shaking in one direction, the glass window can be damaged due to the shaking of the cleaning device, and the wiper member of the cleaning device is not adher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o that it can not be cleaned properly.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더 나아가, 종래의 청소장치는 건물 외벽면에 세척액을 분사하고 이를 닦아내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건물 외벽면에 분사된 후의 폐세척액이 완전히 닦아지지 않고 방치되어 그대로 거리로 낙하함으로써 도로를 지나가는 보행자에게 큰 해를 끼치거나 도로를 더럽히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폐세척액이 건물 외벽면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리는 경우에는 건물 외벽면의 또다른 오염을 야기하게 되는데, 종래의 청소장치에는 이와 같이 건물 외벽면에 분사되어 외벽면에 묻어 있던 먼지 및 기타 오염물질이 포함된 폐세척액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다. Furthermore, although the conventional cleaning device is described as spraying and wiping the cleaning liqui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waste washing liquid after spraying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left unattended without falling off, and falls to the street as it is to the pedestrian passing the road. It causes great harm and defiles the roads. In addition, when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s dow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t causes another contamina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the conventional cleaning device, the dust and other contaminants spray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re buried on the outer wall. There is no configuration at all capable of safely processing the contained waste washing liquid.

한편, 대부분의 건물 외벽면에는 유리창 사이에 존재하는 창틀로 인한 돌출된 부분 등과 같이 튀어나온 돌출부가 존재하는데, 종래의 청소장치에서는 이러한 돌출부로 인하여 청소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되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방안이 종래 기술에서는 제시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protrudes, such as a protruding portion due to the window frame existing between the glass window, but in the conventional cleaning device, such a portion due to such a protrusion does not completely clean the occurrence occurs In the prior art, there is no solution to this problem.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6311호(2011. 12. 17. 공개) 참조.Se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36311 (published Dec. 17, 201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빌딩 등과 같은 건물의 외부에 설치하여 옥상에서 늘어뜨린 케이블을 이용하여 청소로봇 조립체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유리창이나 외벽 등의 건물 외벽면을 청소하되, 청소로봇 조립체가 건물 외벽면에 설치된 승하강 레일에 결합될 때까지 청소로봇 조립체를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청소로봇 조립체가 건물 외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강하여 승하강 레일과 결합되게 만들므로써 청소로봇 조립체의 요동으로 인하여 유리창 등이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과 동시에, 청소로봇 조립체에 구비된 와이퍼 블레이드가 건물 외벽면에 안정적으로 밀착하여 깨끗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and solv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glass window while moving dow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using a cable laid down on the roof of the building, such as a building, etc. In the process of lower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until the cleaning robot assembly is coupled to the lifting rail installed on the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the cleaning robot assembly swing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It stably lowers to be combined with the lifting rails to prevent damage to the glass windows due to the shaking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and at the same time, the wiper blades provided o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reliably adhere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uilding exterior walls to ensure clean cleaning To provide a device for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장치로서, 청소를 위하여 건물 외벽면으로 뿌려져서 오염물질을 함유하게 된 폐세척액을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는 구성을 청소로봇 조립체에 구비함으로써, 폐세척액의 방치로 인한 보행자의 불편함 야기, 건물 외벽면의 재오염 발생, 환경오염 유발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device, by the cleaning robot assembly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that can safely collect the waste washing liquid spray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or the cleaning, containing contaminants, causing inconvenience to pedestrians due to the neglect of the waste washing liqui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ilding exterior wall cleaning device that can solve problems such as recontamination of the exterio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d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외벽면에 돌출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청소가 미진한 부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돌출부의 존재 때문에 작업 정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돌출부의 존재로 인하여 이미 청소된 부분이 재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로봇 조립체를 구비한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incomplete cleaning even when there is a protrusion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so that no work stop occurs due to the presence of the protrusion, and the already cleaned portion due to the presence of the protrus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ding exterior wall cleaning device having a cleaning robot assembly that can prevent contamination.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건물 외벽면을 닦아 내는 청소로봇 조립체와, 건물에 설치되어 청소로봇 조립체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크레인과, 건물 외벽면에 연직하게 설치되고 청소로봇 조립체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승하강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는, 건물의 외벽면에 접촉하여 오염물질을 긁어내는 와이퍼 블레이드 및 세척액을 분사하는 노즐부재를 구비한 와이퍼장치와, 상기 와이퍼장치가 결합되어 있고 건물 외벽면을 마주하여 하강하게 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하강 크레인은, 케이블지지 프레임과, 상기 케이블지지 프레임에 강결되어 결합되어 있고 청소로봇 조립체가 승하강 레일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에서 청소로봇 조립체가 요동하지 않은 채 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요동방지 횡프레임과, 청소로봇 조립체와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을 풀어주거나 당기는 권취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요동방지 횡프레임은, 케이블지지 프레임과 직교하여 강결 결합되어 있는 직교 수평부재와, 상기 직교 수평부재의 양단에서 각각 연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강결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고 건물 외벽면에 설치되는 승하강 레일과 연속되도록 위치하게 되며 청소로봇 조립체에 구비된 바퀴부재가 결합되어 연직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연장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면의 청소장치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for wip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elevating crane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to raise and lower the cleaning robot assembly, and installed vertically on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It comprises a lifting rail for guiding the lift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is a wiper device having a wiper blade for contact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scrape off contaminants and a nozzle member for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and the wiper device is coupled and descends fac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cluding a body; The lifting and lowering crane is rigidly coupled to the cable support frame and the cable support frame, and the swing preventing transverse frame for guid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to be lowered without swinging before the cleaning robot assembly is coupled to the lifting rail. And a cable connected to the cleaning robot assembly and a winding device for releasing or pulling the cable; The oscillation preventing side frame is an orthogonal horizontal member that is rigidly coupled and orthogonally coupled to a cable support frame,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in a rigid state and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orthogonal horizontal member and install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Positione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falling rail and the wheel member provided i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is provided with a cleaning device for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ension rail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위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퍼장치를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후퇴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와이퍼장치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와이퍼장치의 전후진과 동시에 본체에 대해 수직하게 승하강하는 상대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와이퍼장치 이동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건물 외벽면에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상기 본체와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가 서로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함께 하강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해 외벽면을 청소하다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와이퍼장치의 하강이 방해되는 위치가 되면,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가 상기 본체를 따라 상승하도록 상대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 및 상기 와이퍼장치는 수직 높이가 변하지 않지만 본체는 계속 하강하는 상태가 됨과 동시에, 상기 와이퍼장치가 후퇴하여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건물 외벽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상기 와이퍼장치가 후퇴하여 와이퍼 블레이드가 돌출부에 닿지 않게 되면,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는 상기 본체가 이동하던 방향으로 가속하여 하강하고;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의 하강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가 돌출부를 지나친 후에는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가 본체를 따라 상승하도록 상대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 및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수직 높이가 변하지 않지만 본체는 계속 하강하는 상태가 됨과 동시에, 상기 와이퍼장치가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전진하여 와이퍼 블레이드가 돌출부를 지난 위치의 수직 높이를 유지한 채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전방단부가 외벽면에 닿게 되며; 와이퍼 블레이드의 전방단부가 외벽면에 닿은 상태에서는 본체 및 와이퍼장치 이동부재가 함께 하강하게 됨으로써; 건물 외벽면에 돌출부가 존재하여도 본체가 정지하지 않고 계속 하강할 수 있어, 돌출부의 존재로 인하여 돌출부 위쪽의 건물 외벽면이 다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wiper device is coupled to the wiper device to move forward or reverse the building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d the relative movement to move up and down perpendicularly to the body at the same time as the back and forth of the wiper device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wiper device moving member coupled to the main body so that it can be; In the part where the protrusion is not present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main body and the wiper moving member are lowered together while being fixed to each other to clean the outer wall by the wiper blade, and the lowering of the wiper device is prevented by the protrusion. When the position of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is moved relative to the rising along the main body,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and the wiper device does not change the vertical height, but the main body continues to descend and at the same time, the wiper device is retracted The wiper blade is away from the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When the wiper device is retracted so that the wiper blade does not touch the protrusion, the wiper moving member accelerates and desc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moves; After the wiper blade passes the protrusion by the lowering of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moves relative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and the wiper blade do not change the vertical height, but the main body continues. At the same time as the lowering state, the wiper device advances toward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such that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touches the outer wall surface while the wiper blade maintains the vertical height at the position past the protrusion; When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the main body and the wiper moving member is lowered together; Even if a protrusion is present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main body may continue to descend without stopping, and thus, the presence of the protrusion may prevent the building outer wall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from being contaminated again.

또한 위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퍼장치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아래 위치에 구비되며 노즐구가 형성되어 있어 건물 외벽면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노즐부재와, 상기 노즐부재의 아래 위치에 구비되어 건물 외벽면에서 긁어내진 폐세척액을 수집하는 폐세척액 수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강에 의해 상기 와이퍼장치가 하강하면서 상기 노즐부재로부터 건물 외벽면으로 분사된 세척액을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오염물질과 함께 긁어내어 청소하게 되며,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해 긁어내진 폐세척액과 오염물질은 상기 폐세척액 수집부재에 의해 회수하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wiper device, the nozzle member is provided at a position below the wiper blade and is formed with a nozzle hole for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and provided at the position below the nozzle member outer wall A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on member for collecting the waste washing liquid scraped from the cotton; As the wiper device descends due to the lowering of the main body, the wiper blade scrapes and cleans the cleaning liquid sprayed from the nozzle member to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and the waste washing liquid and the contaminant scraped off by the wiper blade are cleaned. It may have a configuration to be recovered by the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on member.

특히, 이 경우, 상기 블레이드 장착부재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장착되어 있는 블레이드 고정부재와, 상기 블레이드 고정부재의 후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후방지지부재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부재와 상기 후방지지부재 사이의 간격에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 고정부재를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상기 노즐부재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복수개의 노즐구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노즐관과, 상기 노즐관의 횡방향 양단부와 각각 결합하여 상기 노즐관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브레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브레킷에는 원호형의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노즐관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가이드핀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장공에 끼워져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이 결합브레킷의 원호형 장공을 따라 왕복하여 움직이도록 상기 노즐관이 선회됨에 따라 노즐구로부터의 세척액의 분사 방향이 위아래로 변화되면서 건물 외벽면의 상하로 세척액을 뿌리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폐세척액 수집부재는, 폐세척액 저장탱크와 연통되어 있는 폐세척액 회수홈통과, 판부재로 이루어져 건물 외벽면 방향의 세척액 회수홈통의 전면에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해 긁어내진 폐세척액을 상기 폐세척액 회수홈통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In particular, in this case, the blade mounting member is divided into a blade holding member to which the wiper blade is disposed and moun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rear supporting member arranged to be spaced behind the blade holding member; The gap between the blade holding member and the rear support member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spring member having elasticity is provided to push the blade fixing member toward a building outer wall surface by an elastic force, and further, the nozzle member may be provided. And a nozzle tube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coupling bracket for fixing the nozzle tube by being coupled to both transverse ends of the nozzle tube, respectively; The joining bracket is formed with an arc-shaped long hole, and guide pin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nozzle tube, and the guide pins are fitted into the long holes, so that the guide pins are used to form the arc-shaped holes of the joining bracket. As the nozzle tube is pivoted so as to reciprocate along, the spraying direction of the washing liquid from the nozzle hole may be changed up and down, and the washing liquid may be sprayed up and down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on member is composed of a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ng trough communicating with the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 and a plate member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washing liquid collecting trough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waste washing liquid scraped off by the wiper blad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to guide the flow to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trough.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청소로봇 조립체를 이용한 건물 외벽면의 청소방법이 제공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에는 레일결합 구동장치를 설치하고; 건물에는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크레인을 설치하며; 건물 외벽면에는 청소로봇 조립체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승하강 레일을 연직하게 설치하고; 상기 연장레일을 상기 승하강 레일과 연속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일결합 구동장치가 상기 연장레일을 지나 상기 승하강 레일로 진입하여 상기 승하강 레일을 따라 움직이게 되어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가 건물 외벽면을 마주한 상태로 하강하면서 건물 외벽면을 청소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로봇 조립체를 이용한 건물 외벽면의 청소 방법이 제공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ing method for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us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specifically, the cleaning robot assembly is provided with a rail coupling driving device; A building elevating crane for elevat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Vertically installing a lifting rail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ith the extension rail positioned continuously with the elevating rail, the rail coupling driving device enters the elevating rail through the extension rail and moves along the elevating rail to move the cleaning robot assembly to the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There is provided a cleaning method of a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using a cleaning robot assembly, wherein the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is cleaned while descending in a state facing the surface.

이러한 본 발명의 청소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면판과 후면판을 포함하고 있어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내부 공간을 가지는 상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2개의 폐세척액 저장탱크가 이격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폐세척액 저장탱크 사이는 서로 연통관으로 이어져 있는 구성을 가지도록 하며, 건물 외벽면에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가 건물 외벽면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가 서로에 대해 위치 고정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건물 외벽면의 전면에 밀착되어 있고, 상기 브러쉬가 건물 외벽면을 털어낼 수 있도록 건물 외벽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가 함께 등속도로 하강하여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건물 외벽면의 전면을 긁으면서 아래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브러쉬의 회전에 의하여 건물 외벽면을 청소하는 단계; 건물 외벽면에 존재하는 돌출부에 의해 브러쉬의 하강이 방해가 되는 위치가 되면, 상기 브러쉬 이동부재의 작동에 의해 돌출부를 타넘을 수 있는 위치로 상기 브러쉬가 후퇴하는 단계; 브러쉬가 돌출부를 타넘어 간 후에는 상기 브러쉬 이동부재에 의해 브러쉬가 건물 외벽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전진하는 단계; 상기 본체가 하강하는 중에 와이퍼장치의 하강이 방해되는 위치가 되면, 상기 본체와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가 서로에 대해 위치 고정되어 있던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가 상기 본체를 따라 상승하도록 상대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 및 상기 와이퍼장치(10)는 수직 높이가 변하지 않는 상태가 되지만 본체는 계속 등속도로 하강하는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와이퍼장치가 건물 외벽면으로부터 후퇴하여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건물 외벽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단계; 본체는 계속 등속도로 하강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장치가 후퇴하여 와이퍼 블레이드가 돌출부에 닿지 않게 되면,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는 상기 본체가 이동하던 방향으로 가속하여 하강하는 단계;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의 가속된 하강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가 돌출부를 지나친 직후에는,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는 가속된 하강을 멈추고, 본체를 따라 위쪽으로 상승하도록 상대운동함으로써,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 및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수직 높이가 변하지 않지만 상기 본체는 계속 등속으로 하강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와이퍼장치가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전진하여 와이퍼 블레이드가 돌출부를 지난 직후의 위치에서 수직 높이를 유지한 채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전방단부가 건물 외벽면에 닿게 되는 단계; 와이퍼 블레이드의 전방단부가 건물 외벽면에 닿은 후,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는 상기 본체가 이동하던 방향으로 가속하여 하강하는 단계; 및 상기 본체 및 와이퍼장치 이동부재가 함께 하강하면서 건물 외벽면을 청소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건물 외벽면에 돌출부가 존재하여도 본체가 정지하지 않고 계속 하강할 수 있어, 돌출부의 존재로 인하여 돌출부 위쪽의 건물 외벽면이 다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clea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ncludes a front plate and a back plate, and is made of a box-shaped member having an inner space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and inside the body, two waste washing liqui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torage tank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two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s have a conduit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part where no protrusions exist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is dispos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the main body and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is fixed to each other, the wiper bla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building outer wall, the brush touches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to shake off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In the state, the main body and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is lowered at the same speed with the wiper blale Degas the step of cleaning the outer wall surface, by building and at the same time moving down standing scratch the front of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to the rotation of the brush; Retracting the brush to a position where the lowering of the brush is prevented by the protrusion existing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position where the brush can be overrun by the operation of the brush moving member; Advancing the brush to clea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y the brush moving member after the brush has moved over the protrusion; When the lowering of the wiper device is hindered while the main body is lowered, the state where the main body and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are fixed to each other is released so that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moves up along the main body. By moving,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and the wiper device 10 is in a state where the vertical height does not change, but the main body continues to descend at constant speed, and at the same time, the wiper device retreats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the wiper blade. Moving away from the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If the wiper device is retracted while the main body continues to descend at a constant speed so that the wiper blade does not touch the protrusion, the wiper moving member accelerates and desc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moves; Immediately after the wiper blade passes the protrusion by the accelerated lowering of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stops the accelerated lowering and moves relative to the upward direction along the main body, thereby moving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and the The wiper blade does not change its vertical height, but the main body continues to descend at constant speed, and the wiper device moves forward towar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keeping the vertical height at the position just after the wiper blade passes the protrusion.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is in contact with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After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touches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accelerates and desc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moves; And clean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ile the main body and the wiper moving member are lowered together, so that the main body can be continuously lowered without stopping even if the protrusion is present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upper part of the protrusion is caused by the presence of the protrusi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again.

본 발명의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에서는 요동방지 횡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청소로봇 조립체가 승하강 레일에 결합될 때까지 청소로봇 조립체를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청소로봇 조립체가 건물 외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매우 효율적으로 방지하게 되며, 따라서 청소로봇 조립체가 요동에 의해 건물 외벽면과 충돌하는 것과 그에 따른 손상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청소로봇 조립체에 구비된 바퀴부재를 매우 용이하게 승하강 레일에 삽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the building exterior wall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is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in the process of lower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until the cleaning robot assembly is coupled to the elevating rail by providing a swing preventing transverse frame. It is very efficient to prevent swinging, thus prevent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from colliding with the building exterior wall due to rocking and the occurrence of the damage. The wheel member provided i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lifting rail. The effect of being able to insert is exhibited.

또한 본 발명의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에서는, 청소로봇 조립체의 레일결합 구동장치에 복수개의 바퀴부재를 구비하고 있되, 상기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복수개의 바퀴부재가 탄성을 가지도록 하고, 청소로봇 조립체의 본체로부터 복수개의 바퀴부재가 돌출되는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복수개의 바퀴부재들이 적어도 승하강 레일의 채널 공간 내면 중에서 건물 외벽면과 마주보는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는 항상 밀착된 상태가 되므로, 승하강 레일의 채널 공간 내에서의 유격으로 인하여 와이퍼 블레이드 전방단부가 건물 외벽면과 접촉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안정적이고 충실하게 건물 외벽면을 와이퍼 블레이드가 긁어서 청소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복수개의 바퀴부재를 밴드가 감고 있는 형태의 캐터필러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위와 같은 승하강 레일의 채널 공간 내에서의 유격으로 인한 문제점 제거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In addition, in the building exterior wall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coupling driving device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so that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in the direction of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elasticity, By varying the height at which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protrude from the main body,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are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hannel space of the elevating rail facing the building outer wall, the elevating rail Since the phenomenon in which the wiper blade front end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not generated due to the play in the channel space of the channel space, the wiper blade can be cleaned by scraping the building outer wall stably and faithfully. In particular, by producing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in the form of a caterpillar of the form of the band wound around the problem of the problem caused by the clearance in the channel space of the elevating rail as described above is further improved.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청소로봇 조립체에 의하면, 폐세척액 수집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해 긁어내진 폐세척액을 이러한 폐세척액 수집부재를 이용하여 수집하게 되므로, 오염물질이 포함된 폐세척액이 무방비 상태로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폐세척액이 건물 외벽면을 타고 흘러내려서 건물 외벽면을 다시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cleaning robo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on member may be provided, and the waste washing liquid scraped off by the wiper blade is collected by using the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on member, and thus, waste washing liquid containing contaminants.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arded in this unprotected state, and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revent the waste washing liquid from flowing dow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re-contaminat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로봇 조립체에 의하면, 와이퍼 블레이드가 건물의 외벽면을 닦으면서 하강하다가 돌출부를 만나게 되면, 와이퍼 블레이드가 후퇴하여 돌출부를 지나간 후 다시 건물 외벽면으로 진출하여 건물 외벽면에 접촉하여 하강하면서 청소를 하면서도, 무거운 중량체로 이루어진 본체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이러한 진퇴 작동과 무관하게 계속하여 등속도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돌출부로 인한 본체의 갑작스런 정지로 인한 정지충격이 와이퍼부재에 가해지지 않게 되고, 정지충격으로 인하여 와이퍼 블레이드로부터 물이 위쪽 유리창으로 튀어서, 청소되었던 부분이 다시 오염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leaning robo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per blade descends while cleani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d meets the protrusion, the wiper blade retreats, passes through the protrusion, and then advances back to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to contact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While lowering and cleaning, the body of heavy weight continues to descend at constant speed regardless of this retraction operation of the wiper blades. Therefore, the stop shock due to the sudden stop of the main body due to the protrusion is not applied to the wiper member, and the stop impact can prevent the water from splashing from the wiper blade to the upper windshield, thereby causing contamination of the cleaned part again. The effect that there is is exer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청소로봇 조립체가 하강하다가 돌출부를 만나더라도 정지하지 않고 계속하여 하강하게 되므로, 작업정지로 인한 작업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도 증대되어 경제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eaning robot assembly descends and continues to descend without stopping even when it meets the protrus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work speed due to work stoppage,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is increased to improve the economic efficiency.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를 건물 방향에서 바라본 형태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청소장치에 구비된 청소로봇 조립체가 건물 외벽면에 설치된 승하강 레일로 진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상태에 후속하여 승하강 레일로 진입한 본 발명의 청소로봇 조립체가 승하강 레일을 따라 하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b는 승하강 레일에 레일결합 구동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3a의 원 S부분의 개략적인 상세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에서, 청소로봇 조립체만을 분리하여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참고적으로 요동방지 횡프레임이 구비되지 아니한 경우일 때 요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청소로봇 조립체에서, 바퀴부재가 구비된 양방향 댐퍼장치만을 독립적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선 R-R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원 E 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9는 승하강 레일에 바퀴부재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면 청소로봇 조립체에 구비된 와이퍼장치만을 분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대응되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면 청소로봇 조립체만을 도시하되, 본체의 후면판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각각 도 11에 대응되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구비된 건물 외벽면 청소로봇 조립체의 본체에서 세척액 저장탱크와 폐세척액 저장탱크를 제거한 상태에서 전면판의 배면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건물 외벽면으로부터 후퇴하지 아니하는 구성을 가진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가 돌출부를 지나서 하강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2는 각각 본 발명에서 건물 외벽면 청소로봇 조립체가 유리창의 전면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2의 선 K-K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전방단부가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의 전방단부보다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폐세척액 회수홈통은 돌출부를 벗어나도록 후퇴해 있고 와이퍼 블레이드는 전방단부가 유리창에 닿아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와이퍼 블레이드가 하강하여 돌출부에 닿은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와이퍼 블레이드가 돌출부에 닿지 않도록 후퇴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6은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의 돌출길이를 길게 만든 실시예에서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이 휨변형되면서 돌출부를 통과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ilding exterior wall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rm viewed from a building direc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robot assembly provided in the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enters the lifting rail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igure 3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robo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ends along the lifting rail following the state of Figure 2 entering the lifting rail.
Figure 3b is a schematic detailed view of the circle S portion of Figure 3a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il coupling drive unit is coupled to the elevating rail.
4 and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is separated and viewed in different directions.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1, which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rocking when the anti-sway horizontal frame is not provided.
Figure 7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dependently showing only the two-way damper device with a wheel member.
FIG. 7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RR of FIG. 7A.
FIG. 8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portion E of FIG. 4.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member is inserted into the elevating rail.
Figure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wiper device separated from the building exterior wall cleaning robo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ure 5, showing only the building exterior wall cleaning robo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 plate of the main body is removed.
12 to 15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11, in the state of the front plate in the state in which the washing liquid storage tank and the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 are removed from the main body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cleaning robot assembly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IG. 16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where the wiper blade descends past the protrusion in a state where the wiper blade does not retreat from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17 to 22 are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along the line KK of FIG. 12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ilding exterior wall cleaning robot assembly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window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is more protruded toward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han the front end of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and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trough is retracted out of the protrusion The wiper blade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ront end touching the windowpane.
FIG. 24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per blade is lowered to reach the protrus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3.
FIG. 25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per blade is retracted so as not to contact the protrusion subsequent to the state shown in FIG. 24.
FIG. 26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passes through a protrusion while bending deformation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is lengthen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건물 외벽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단순히 건물의 외부 벽면을 의미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의 창문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In particular, the term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is used herein, which is used not only to mean an exterior wall surface of a building, but also to include a window of a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500)(이하, "청소장치(500)"라고 약칭함)를 건물 방향에서 바라본 형태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청소장치(500)에 구비된 청소로봇 조립체(1)가 건물 외벽면(700)에 설치된 승하강 레일(60)로 진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승하강 레일(60)로 진입한 본 발명의 청소로봇 조립체(1)가 승하강 레일(60)을 따라 하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원 S부분의 개략적인 상세도로서 승하강 레일(60)에 레일결합 구동장치(8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청소장치(500)에서, 청소로봇 조립체(1)만을 분리하여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ilding exterior wall cleaning apparatus 500 (hereinafter, abbreviated as "cleaning apparatus 500") in a form viewed from a build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l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provided in the apparatus 500 enters the elevating rail 60 installed on the outer wall 700 of the building. 3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of the present invention entering the elevating rail 60 descends along the elevating rail 60, and FIG. 3B is a circle S portion of FIG. 3A. As a detailed view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rail coupling drive unit 80 is coupled to the elevating rail 60. 4 and 5 are respectively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device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separated and viewed in different directions.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500)는, 건물 외벽면(700)에 세척액을 분사하고 와이퍼 블레이드로 세척액을 긁어냄으로써 건물 외벽면을 닦아 내는 청소로봇 조립체(1)와, 건물에 설치되어 케이블(201)을 이용하여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1)를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는 승하강 크레인과, 건물 외벽면(700)에 연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1)가 맞물리게 되어 청소로봇 조립체(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승하강 레일(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cleaning devic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for wiping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by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on the building outer wall 700 and scraping the cleaning liquid with the wiper blade, and the building, Installed on the elevating crane which lowers or raises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by using a cable 201, and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building outer wall 700, and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engaged to be cleaned. It comprises a lifting rail 60 for guiding the lifting of the robot assembly (1).

도 4 및 도 5에 상세히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청소로봇 조립체(1)는, 건물의 외벽면(700)에 접촉하여 외벽면의 표면에 묻은 오염물질을 긁어내어 제거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세척액을 분사하는 노즐부재를 구비한 와이퍼장치(10)와, 상기 와이퍼장치(10)가 결합되어 있고 건물 외벽면(700)을 마주하여 하강하게 되는 본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0)는 와이퍼장치(10) 및 후술하는 와이퍼 이동장치(30)가 결합되는 부재이다. 도 5에서는 후술하는 연결이동판(19)과 와이퍼 이동부재(30)의 구조가 보이도록, 연결이동판(19) 및 와이퍼 이동부재(30)의 수평판(32)을 덮고 있는 덮개부재(39)를 생략하였으며, 세척액 등이 튀어 들어오지 않도록 와이퍼 이동부재(30)의 수직이동판(31)을 감싸서 보호하는 주름형 신축보호부재(38)는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청소로봇 조립체(1)에는 레일결합 구동장치(80)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결합 구동장치(80)에는 바퀴부재(81)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결합 구동장치(8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4 and 5,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per blade and the cleaning liquid for contacting the outer wall surface 700 of the building to scrape and remove contaminants on the surface of the outer wall surface It comprises a wiper device (10) having a nozzle member for spraying, and the main body (20) which is coupled to the wiper device 10 is lowered facing the building outer wall (700). The main body 20 is a member to which the wiper device 10 and the wiper moving device 30 described later are coupled. In FIG. 5, the cover member 39 covering the horizontal plate 32 of the connection moving plate 19 and the wiper moving member 30 to show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moving plate 19 and the wiper moving member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pleated stretch protection member 38 for wrapping and protecting the vertical movable plate 31 of the wiper moving member 30 to prevent the cleaning solution from splashing out is illustrated in dashed lines. On the other hand,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ail coupling drive device 80, the rail coupling drive device 80 is provided with a wheel member (81).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ail coupling driving device 80 will be described later.

우선 승하강 크레인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승하강 크레인은, 건물에 설치되어 케이블(201)을 이용하여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1)를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는 장치로서, 건물에 설치되는 케이블지지 프레임(200)과, 건물 외벽면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의 돌출 단부에서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에 대해 직교하여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1)가 승하강 레일(60)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1)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요동방지 횡프레임(210)과, 상기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1)와 연결되는 케이블(201)과, 상기 케이블(201)을 풀어주거나 당기는 권취장치(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rst, the elevating crane, the elevating crane is a device that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to lower or raise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using the cable 201, the cable support frame 200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 And the cable support frame 200 are integrally orthogonally coupled to each other at a protruding end of the cable support frame 200 protruding outside the building outer wall, and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mounted on the elevating rail 60. The anti-shake horizontal frame 210 which guides the lowering while preventing the rocking robot assembly 1 from shaking in the state before being coupled, and supported by the cable support frame 200 and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ble 201 to be connected, and a winding device 230 for releasing or pulling the cable 201.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은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일측 단부가 건물 외벽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에는 케이블(201)을 지지하기 위한 도르래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이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됨에 있어서, 건물의 횡방향(도 1의 화살표 P-P 방향)으로 상기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것처럼 청소로봇 조립체(1)가 연직방향으로 하강하면서 건물 외벽면의 청소를 수행한 후에는,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이 건물의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청소된 부분에 이웃한 위치에서 또다시 청소로봇 조립체(1)가 연직방향으로 하강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청소장치(500)에는 횡방향 이동프레임(231)과 횡이동 레일(23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의 하부에 횡방향 이동프레임(231)을 설치하고, 건물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횡이동 레일(232)을 설치하여 상기 횡방향 이동프레임(231)에 구비된 이동바퀴가 상기 횡이동 레일(232)을 따라 건물의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의 횡방향 이동 구성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In detail, the cable support frame 200 is a structure installed on a roof of a building, and one end thereof protrudes outward from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cable support frame 200 has a pulley for supporting the cable 201. It is provided.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le support frame 200 is installed on the roof of a building, etc., so that the cable support frame 200 can m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uilding (arrow PP direction of Figure 1) Can be. That is, after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cleans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while desc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later, the cable support frame 200 mov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uilding, and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cleaned portion. In agai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to be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lean. To this end,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cleaning apparatus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horizontal frame 231 and a horizontal rail (232). Specifically,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231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ble support frame 200, the horizontal rail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movement frame 231 to be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provided in the transverse movement frame 231 The wheel may be configured to m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uilding along the transverse rail (232). However, the transverse movement configuration of the cable support frame 20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한편, 본 발명에서, 건물 외벽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의 일측 단부에는 요동방지 횡프레임(210)이 강결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요동방지 횡프레임(210)은, 횡방향으로 즉, 건물 외벽면(700)과 나란하되 건물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지지 프레임(200)과 직교한 상태로 강결 구조로 결합되는 직교 수평부재(211)와, 상기 직교 수평부재(211)의 양단에서 각각 연직한 방향으로 강결구조로 결합되어 있고 건물 외벽면에 설치되는 승하강 레일(60)과 연속되도록 위치하게 되며 레일결합 구동장치(80)가 결합되어 연직하게 움직이도록 가이드하는 연장레일(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건물 외벽면(700)과 마주하고 있으면서 건물의 폭 방향(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직교 수평부재(211)가, 건물 외벽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의 단부에 직교한 방향으로 강결 형태 즉, 회전이 가능하지 아니한 형태로 일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직교 수평부재(211)의 양단에는 각각 연직하게 배치된 연장레일(212)이 강결된 상태로 일체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연장레일(212) 사이에 횡방향으로 보강빔(213)을 더 배치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end of the cable support frame 200 protruding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is coupled to the rocking prevention horizontal frame 210 in a rigid form, the rocking prevention horizontal frame 210 Is, orthogonal horizontal member 211 parallel to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700, bu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uilding and coupled in a rigid structure in a state orthogonal to the cable support frame 200, and the orthogonal Both ends of the horizontal member 211 are coupled in a rigid structure in a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are positione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elevating rail 60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rail coupling driving device 80 is coupled and moves verticall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xtension rail 212 to guide to be. That is, the orthogonal horizontal member 211 facing the building outer wall 700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lateral direction) of the building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cable support frame 200 protruding in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outward direction. In the orthogonal direction, the rigidity form, that is, is integrally coupled in a form that is not possible to rotate, and both ends of the orthogonal horizontal member 211 is integrally coupled in a rigid state in each of the extension rails 212 disposed vertically. . If necessary, the reinforcing beam 213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two extension rails 212 as shown in the figure.

상기 연장레일(212)은 후술하는 승하강 레일(6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데, 후술하는 것처럼 승하강 레일(60)과 마찬가지로, 상기 연장레일(212) 역시 사각형 단면의 채널 공간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지며 외부에서 건물 외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청소로봇 조립체(1)에 구비된 바퀴부재(81)가 삽입된 상태로 연장레일(212)을 따라 연직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절취부(61)가 연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청소로봇 조립체(1)의 바퀴부재(81)는 상기 연장레일(212)의 채널 공간 내에 위치하게 되고, 바퀴부재(81)와 정착된 양방향 댐퍼장치(82)의 바퀴장착빔(810)은 상기 절취부(61)를 통해서 본체(20) 방향으로 뻗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청소로봇 조립체(1)는, 건물 외벽면에 대한 청소를 개시하기 전의 상태에서 본 발명에의 청소로봇 조립체(1)에 구비된 바퀴부재(81)는 항상 연장레일(212)과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되며, 청소로봇 조립체(1)가 승하강할 때 바퀴부재(81)는 연장레일(212)을 따라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The extension rail 212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elevating rail 60 to be described later, like the elevating rail 60 as described later, the extension rail 212 is also a member having a channel space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cutout 61 is vertical to move vertically along the extension rail 212 with the wheel member 81 provided i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nserted in the direction from the outside towar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t is formed long in the direction. Accordingly, the wheel member 81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positioned in the channel space of the extension rail 212, and the wheel mounting beam 810 of the bidirectional damper device 82 fixed to the wheel member 81 It extends toward the main body 20 through the cutout 61. Thus,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member 81 provided i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before the cleaning of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is always extended rail 212 ), And the wheel member 81 moves along the extension rail 212 whe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raised and lowered.

아래에서는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승하강 크레인에 의해 청소로봇 조립체(1)를 건물 외벽면에 설치하고 승하강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면에 대한 청소를 시작하려면, 건물 외벽면에 설치되는 승하강 레일(60)의 상단에서, 상기 연장레일(212)은 상기 승하강 레일(60)과 연속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즉, 후술하는 것처럼, 청소로봇 조립체(1)를 이용하여 건물 외벽면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장레일(212)이 상기 승하강 레일(60)의 상단에서 서로 연속되는 위치에 있도록 승하강 크레인을 움직여야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에 걸쳐져 있는 케이블(201)의 하단에 청소로봇 조립체(1)가 결합되어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의 건물 외벽면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연직 아래쪽에 청소로봇 조립체(1)가 매달려 있되, 상기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에는 직교 수평부재(211)와 연장레일(212)로 이루어진 요동방지 횡프레임(210)이 강결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1)의 바퀴부재(81)는 연장레일(212)과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청소로봇 조립체(1)가 케이블(201)에 매달려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장레일(212)은 건물 외벽면에 설치된 승하강 레일(60)과 연속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installing and lift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y the elevating cran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3A, and 3B. To start clean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op of the elevating rail 60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extension rail 212 is positione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elevating rail (60). do. That is, as described later, in order to clean the building outer wall us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the elevating crane so that the extension rail 212 is in a position continuous with each other at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rail (60). You have to mov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able 201 spanning the cable support frame 200 to protrude outside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of the cable support frame 200.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suspended on the vertical bottom of the, the cable support frame 200 is coupled to the rocking prevention horizontal frame (210) consisting of an orthogonal horizontal member 211 and an extension rail (212) in a rigid state In addition, the wheel member 81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coupled to the extension rail 212,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suspended on the cable 201. In addition, the extension rail 212 is in a position continuous with the elevating rail 60 installed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이러한 상태에서, 권취장치(230)가 작동하여 케이블(201)을 풀어주게 되면 청소로봇 조립체(1)의 자중에 의해 청소로봇 조립체(1)가 하강하게 된다. 즉, 연장레일(212)에 삽입되어 있는 바퀴부재(81)가 상기 연장레일(212)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움직이게 되어 청소로봇 조립체(1)가 하강하는 것이다. 만일 요동방지 횡프레임(210)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면, 청소로봇 조립체(1)가 아직 승하강 레일(60)에 결합되지 않고 건물 상부에서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는 전후로 요동할 위험이 매우 크다. 도 6에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참고적으로 요동방지 횡프레임(210)이 구비되지 아니한 경우일 때 요동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요동방지 횡프레임(210)이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청소로봇 조립체(1)가 아직 승하강 레일(60)에 결합되지 않고 단순히 케이블(201)에 매달려 있는 상태라면, 도 6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바람이나 청소로봇 조립체(1)의 무게 불균형 등에 의해 건물 외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건물 외벽면과의 충돌에 의해 건물 외벽면 또는 청소로봇 조립체(1)에 손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승하강 레일(60)에 청소로봇 조립체(1)가 결합되는 데에도 매우 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winding device 230 is operated to release the cable 201,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That is, the wheel member 81 inserted into the extension rail 212 is moved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extension rail 212 so that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lowered. If the swing preventing side frame 210 is not provided,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not yet coupled to the elevating rail 60, and the risk of swinging back and forth is very high when the building robot is suspend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1, and for reference, a diagram for showing a state of rocking when the anti-shaft horizontal frame 210 is not provided. As shown in Figure 6, if the anti-sway transverse frame 210 is not provided, i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not yet coupled to the elevating rail 60, but simply hanging on the cable 201,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6, it may sw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due to wind or unbalanced weight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and thus the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or cleaning by collision with the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Not only does damage occur to the robot assembly 1, but also very difficult difficulties may occur i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coupled to the elevating rail 60.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에 강결되어 있는 요동방지 횡프레임(21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케이블(201)의 감김상태가 풀리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20)의 바퀴부재(81)가 연장레일(212)과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청소로봇 조립체(1)가 하강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요동방지 횡프레임(210)은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에 강결되어 있으므로, 요동방지 횡프레임(210) 및 이를 이루고 있는 연장레일(212)은 요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청소로봇 조립체(1)의 본체(20)는, 위와 같이 요동하지 아니하는 요동방지 횡프레임(210)에 구비된 연장레일(212)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로, 도 6의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요동이 발생하지 아니한 채 안정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ti-vibration transverse frame 210 is secured to the cable support frame 20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ound state of the cable 201 is released, as shown in Figure 2 of the main body 20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descends while the wheel member 81 is coupled to the extension rail 212.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anti-overturning side frame 210 is rigid to the cable support frame 200, the anti-overturning side frame 210 and the extension rail 212 constituting it do not swing. Therefore, the main body 20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guided by the extension rail 212 provided in the swing-free transverse frame 210 that does not swing as described above, as shown by the dotted line of FIG. The same type of fluctuations do not occur and fall down stably.

한편,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면에 대한 청소를 수행하려면, 상기 연장레일(212)은 건물 외벽면에 설치되는 승하강 레일(60)의 상단에서, 서로 연속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즉, 연장레일(212)의 내부 채널과 승하강 레일(60)의 내부 채널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장레일(212)이 승하강 레일(60)의 상단에 연속하게 위치하는 것이다. 연장레일(212)이 승하강 레일(60)의 상단에서 연속된 상태가 변화되지 않도록 임시로 레일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장레일(212)과 승하강 레일(60)을 결합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판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연결부재를 제작하여 상기 판부재를 연장레일(212)과 승하강 레일(60)에 걸쳐서 배치한 후, 판부재의 양단을 각각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연장레일(212)과 승하강 레일(60) 각각에 결합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연장레일(212)과 승하강 레일(60)을 서로 결합하는 방식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above, to perform the cleaning of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rails 212 are positione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at the top of the elevating rail 60 is installed on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do. That is, the extension rail 212 is continuously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rail 60 so that the inner channel of the extension rail 212 and the inner channel of the elevating rail 6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couple the extension rail 212 and the lifting rail 60 temporarily using a rail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extension rail 212 does not change the continuous state at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rail 60. For example, after the rail connecting member is manufactured using the plate member, the plate member is disposed over the extension rail 212 and the elevating rail 60, and then both ends of the plate member are fastened with bolts or the like. A method of coupling to each of the extension rails 212 and the lifting rails 60 may be used. However, the manner in which the extension rails 212 and the lifting rails 60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연장레일(212)이 승하강 레일(60)의 상단에 연속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청소로봇 조립체(1)는 계속 하강하게 되고, 청소로봇 조립체(1)의 레일결합 구동장치(80)에 구비된 바퀴부재(81)는 연장레일(212)을 벗어남과 동시에 승하강 레일(60)로 삽입되어 이동하게 된다. 레일결합 구동장치(80)의 바퀴부재(81)가 연장레일(212)을 벗어나서 승하강 레일(60) 속으로 삽입되면, 요동방지 횡프레임(210)의 도움이 없어도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청소로봇 조립체(1)는 승하강 레일(60)을 따라 안정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1 and 2, with the extension rail 212 continuously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elevating rail 60,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continues to descend and the rail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The wheel member 81 provided in the coupling driving device 80 is inserted into the elevating rail 60 while moving out of the extension rail 212. When the wheel member 81 of the rail coupling driving device 80 is inserted into the elevating rail 60 out of the extension rail 212, cleaning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3A without the help of the anti-sway horizontal frame 210. The robot assembly 1 is stably lowered along the elevating rail 6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청소장치(500)에서는 요동방지 횡프레임(210)을 구비함으로써, 청소로봇 조립체(1)가 승하강 레일(60)에 결합될 때까지 청소로봇 조립체(1)를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요동이 발생하는 것을 매우 효율적으로 방지하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로봇 조립체(1)가 요동에 의해 건물 외벽면과 충돌하는 것과 그에 따른 손상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청소로봇 조립체(1)에 구비된 레일결합 구동장치(80)의 바퀴부재를 매우 용이하게 승하강 레일(60)에 삽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device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ng preventing transverse frame 210 to lower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until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coupled to the lifting rail 60. The oscillation is prevented from occurring in a very efficient mann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can b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due to the oscillation and the resulting damage, and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The wheel member of the rail coupling driving device (80) provided in the)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lifting rail (60).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청소로봇 조립체(1)에 구비되는 레일결합 구동장치(8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청소장치(500)에서는, 요동방지 횡프레임(210)의 연장레일(212), 및 건물 외벽면(700)에 연직하게 설치된 승하강 레일(60)과 결합되어 청소로봇 조립체(1)가 연직하게 움직이게 하는 레일결합 구동장치(80)가, 건물 외벽면(700) 방향으로 청소로봇 조립체(1)에 구비되어 있다. Hereinafter, a rail coupling driving device 80 provided i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ure 4, in the cleaning device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extension rail 212 of the anti-vibration transverse frame 210, and the elevating rail (6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uilding outer wall (700). And a rail coupling driving device 80 for vertically mov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the building outer wall 700.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결합 구동장치(80)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바퀴부재(8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각각의 바퀴부재(81)는 양방향 댐퍼장치(82)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는 바퀴부재(81)가 구비된 양방향 댐퍼장치(82)만을 독립적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선 R-R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양방향 댐퍼장치(82)는, 바퀴부재(8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바퀴장착빔(810)과, 상기 바퀴장착빔(810)과 결합되며 바퀴장착빔(810)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각각 바퀴장착빔(810)을 길이 방향 양측에서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가압부재(821)가 구비되어 있으며 본체(20)에 결합되는 탄성설치빔(8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탄성설치빔(820)에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에는 길이 방향으로 2개의 탄성가압부재(821)가 배치되어 있으며, 2개의 바퀴장착빔(810) 사이를 이어주는 가교부가 상기 2개의 탄성가압부재(82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탄성설치빔(820)의 관통공을 가로질러 통과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양방향 댐퍼장치(82)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2개의 탄성가압부재(821)에 의해 상기 바퀴장착빔(810)은, 연장레일(212) 및 승하강 레일(60)의 구배에 대응하여 탄성을 가지면서 본체(20) 방향으로 후퇴하거나 또는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전진할 수 있게 된다. 즉, 복수개의 바퀴부재(81)는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면서 본체(20)에 설치되는 것이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rail coupling drive 80 comprises one or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81, each wheel member 81 is mounted to the two-way damper device 82 It is preferable. FIG. 7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bidirectional damper device 82 having the wheel member 81 independently, and FIG. 7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R-R of FIG. 7A.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idirectional damper device 82 includes a wheel mounting beam 810 to which the wheel member 81 is rotatably coupled, and a wheel mounting beam 810 coupled to the wheel mounting beam 810. An elastic pressing member 821 is formed of a spring for pressing the wheel mounting beams 810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and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installation beam 820 coupled to the main body 20. . 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elastic installation beam 820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penetrat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wo elastic pressing member 821 is disposed in the through-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2 The bidirectional damper device 82 has a structure in which a cross-linking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two wheel mounting beams 81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elastic installation beam 820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elastic pressing members 821. Is composed. Therefore, the wheel mounting beam 810 is retracted by the two elastic pressing members 821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while having elasticity corresponding to the gradient of the extension rail 212 and the elevating rail 60. You will be able to move forward toward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That is,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81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 while having elasticity in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direction.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레일결합 구동장치(80)에 구비된 복수개의 바퀴부재(81)는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본체(20)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양방향 댐퍼장치(82)의 길이가 달라서 본체(20)의 전면으로부터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바퀴부재(81)가 돌출되어 있는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이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81 provided in the rail coupling driving device 80 preferably have different heights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20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at is, since the length of the bidirectional damper device 82 is different, the height at which the wheel member 81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0 toward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is different.

도 8에는 도 4의 원 E 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승하강 레일(60)에 바퀴부재(8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도록 연직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승하강 레일(60)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채널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채널형태의 승하강 레일(60)에는 외부에서 건물 외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본체(20)의 바퀴부재(8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절취부(61)가 연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양방향 댐퍼장치(82)에 장착된 바퀴부재(81)는, 승하강 레일(60)의 최상단에서부터 연직하게 끼워져서 상기 승하강 레일(60)의 채널 공간 내에 위치하게 되고, 바퀴부재(81)와 정착된 양방향 댐퍼장치(82)의 바퀴장착빔(810)은 도 3a, 도 3b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절취부(61)를 통해서 본체(20) 방향으로 뻗어 있게 된다. 물론 바퀴부재(81)가 연장레일(212)에 결합되어 있을 때에도, 위와 마찬가지로 바퀴부재(81)와 정착된 양방향 댐퍼장치(82)의 바퀴장착빔(810)은 연장레일(212)의 절취부를 통해서 본체(20) 방향으로 뻗어 있게 된다. FIG. 8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circle E portion of FIG. 4,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show a state in which the wheel member 80 is inserted into the elevating rail 60. have. As shown in the figure, the elevating rail 60 is made of a member in the form of a channel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elevating rail 60 of the channel form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20 Cutting portion 61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wheel member 81 can be inserted. Accordingly, the wheel member 81 mounted on the bidirectional damper device 82 is vertically fitted from the top of the elevating rail 60 to be positioned in the channel space of the elevating rail 60, and the wheel member 81 is disposed. The wheel mounting beam 810 of the bidirectional damper device 82 is fixed and extends toward the main body 20 through the cutout 61 as shown in FIGS. 3A, 3B, and 9. Of course, even when the wheel member 81 is coupled to the extension rail 212, the wheel mounting beam 810 of the two-way damper device 82 is fixed to the wheel member 81 as described above, the cut portion of the extension rail 212 It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through.

이와 같이 바퀴부재(81)가 연장레일(212) 및 승하강 레일(60)의 채널 공간 내에 위치함에 있어서, 횡방향으로는 채널 공간 내에 유격이 있어도 무방하지만 건물 외벽면 방향 즉, 도 9의 화살표 G-G 방향으로 바퀴부재(81)와 승하강 레일(60)의 내면 사이에는 유격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도 9의 화살표 G-G 방향으로 바퀴부재(81)와 승하강 레일(60)의 내면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는 경우, 결국 본체(20)에 구비된 와이퍼장치(10)의 와이퍼 블레이드(110) 전방단부와 건물 외벽면에 유격이 존재하게 되고, 그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건물 외벽면을 닦아내지 못하는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건물 외벽면은 건물 시공상의 오차 등으로 인하여 완벽한 수직면을 이루기가 어렵고 전방으로 볼록하게 되어나 반대로 오목하게 되어 소정의 구배가 존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건물 외벽면에 부착 설치되는 승하강 레일(60) 역시 구배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단순히 바퀴부재(81)가 승하강 레일(60)의 채널 공간에 위치하였을 때, 자칫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도 9의 화살표 G-G 방향으로 바퀴부재(81)와 승하강 레일(60)의 채널 내면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As the wheel member 81 is located in the channel space of the extension rails 212 and the elevating rails 60, there may be a play in the channel spa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ut the building outer wall direction, that is, the arrow of FIG. 9. It is preferable that there is no play between the wheel member 8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levating rail 60 in the GG direction. If there is play between the wheel member 8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levating rail 6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GG of FIG. 9, the wiper blade 110 front of the wiper device 10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is eventually formed. This is because the clearance is present at the end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us the wiper blade 110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cannot be wiped off. On the other h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difficult to form a perfect vertical surface due to errors in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and convex forward, but concave conversely, there may be a predetermined gradient, and thus the elevating rail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 60) Since there may also be a gradient, when the wheel member 81 is simply located in the channel space of the elevating rail 60, as shown above, the wheel member 81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GG of FIG.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re is a play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hannel of the falling rail 60.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레일결합 구동장치(80)에 복수개의 바퀴부재(81)를 구비함에 있어서,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복수개의 바퀴부재(81)가 탄성을 가지도록 하고, 본체(20)로부터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복수개의 바퀴부재(81)가 돌출되는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복수개의 바퀴부재(81)들이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승하강 레일(60)의 채널 공간 내면 중 도 9의 화살표 G-G 방향의 어느 한쪽 면에는 항상 밀착된 상태가 되므로, 승하강 레일(60)의 채널 공간 내에서의 유격으로 인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10) 전방단부가 건물 외벽면과 접촉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바퀴부재(81)들의 돌출 높이가 달라서 바퀴부재(81)가 접촉하고 있는 승하강 레일(60)의 채널 공간 내면이 서로 다르게 되므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는 2개의 바퀴부재(81)가 포개져 있는 상태로 도시된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81 are provided in the rail coupling driving device 80,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81 may have elasticity in the building outer wall direction, and the building may be constructed from the main body 20. By varying the height at which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81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wall surfac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81 i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GG of FIG. 9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channel space of the elevating rail 60. Since one surface is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henomenon that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11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due to the clearance in the channel space of the elevating rail 60 does not occur. Since the inner height of the channel space of the elevating rail 60 that the wheel member 81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cause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of the wheel member 81 is different, as shown in FIG. The wheel member 81 is shown in a superimposed state.

특히,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바퀴부재(81)를 밴드가 감고 있는 형태의 캐터필러 형태로 제작하게 되면, 위와 같은 승하강 레일(60)의 채널 공간 내에서의 유격으로 인한 문제점 제거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바퀴부재(81)에는 띠형태의 밴드가 감겨져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승하강 레일(60)의 채널 공간 내에서의 유격으로 인한 문제점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wheel member 81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aterpillar of a band wound form, there is a problem elimination effect due to the clearance in the channel space of the elevating rail 60 as described above It is further improved. That is,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81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band-shaped band is wound, and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a problem caused by play in the channel space of the elevating rail 60 may be more effectively eliminated. It can be.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로봇 조립체(1)에 구비된 와이퍼장치(10)만을 분리하여 개략적인 사시도의 형태로 보여주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청소로봇 조립체(1)에 구비되는 와이퍼장치(10)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the wiper device provided i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showing only the wiper device 10 provided i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 embodiment of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퍼장치(10)는, 후술하는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와 결합되어 있는 연결이동판(19)에 설치되어 있고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건물 외벽면 방향 즉, 전면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블레이드 장착부재(140)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아래쪽 위치에 구비되어 건물의 외벽면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노즐부재(120)와, 상기 노즐부재(120)의 아래쪽 위치에 구비되어 있어 건물 외벽면에서 긁어내진 폐(廢)세척액을 수집하는 폐세척액 수집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 장착부재(140)에는 건물 외벽면에 접촉하여 외벽면에 묻은 물질과 세척액을 긁어내도록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10)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per device 10 is installed on the connecting plate 19 coupled to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wiper blade 110 is provided in the building outer wall direction, that is, the front direction It is provided at the blade mounting member 140, the lower position of the wiper blade 110, the nozzle member 120 for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d the lower position of the nozzle member 120 There is a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on member 130 for collecting the waste washing liquid scraped from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Specifically, the blade mounting member 140 is provided with a wiper blade 110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o scrape the material and the cleaning liquid on the outer wall surface. The wiper blade 110 may be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건물 외벽면에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 장착부재(140)는,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가로 배치되어 구비되어 있는 블레이드 고정부재(114)와 후방설치부재(113)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부재(114)와 상기 후방지지부재(113) 사이의 간격에는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부재(115)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부재(11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 고정부재(114)를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상기 블레이드 고정부재(114)의 전방에 구비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건물의 외벽면에 닿았을 때는, 건물의 외벽면에 구배가 존재하더라도 지속적인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the blade mounting member 140 is provided with a wiper blade 110 arranged horizontally so that the wiper blade 110 can be st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It is divided into a blade fixing member 114 and the rear mounting member 113, the spring member 115 having elasticity in the interval between the blade fixing member 114 and the rear support member 113 is provided Have In such a configuration, the blade fixing member 114 is continuously pushed towar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ed spring member 115, and thus, the wiper blad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blade fixing member 114. When 110) touches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even if there is a gradient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lose contact.

특히, 이와 같이 스프링부재(115)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10)에 대해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는 구성은, 후술하는 것처럼 건물 외벽면에 존재하는 돌출부를 지나갈 때 매우 유용하다. 청소로봇 조립체(1)가 하강하다가 돌출부를 만나게 되었을 때,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의 바로 위쪽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가 건물 외벽면에 닿지 않은 상태에 있을 경우, 스프링부재(115)의 가압력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가 후술하는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의 전방단부보다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건물 외벽면의 청소가 진행될 때,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가 건물 외벽면에 닿아서 가압되어 밀착됨으로써 스프링부재(115)는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되고, 그에 따라 후술하는 것처럼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의 전방단부 역시 건물 외벽면에 닿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폭방향으로 후방설치부재(113)의 양측에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전방가이드 봉(119)이 구비되어 있고, 블레이드 고정부재(114)의 폭방향 양측이 각각 상기 전방가이드 봉(119)에 끼워져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고정부재(114)와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스프링부재(115)에 의해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가압되어 밀려가거나 또는 스프링부재(115)를 압축하도록 후퇴할 때 상기 전방가이드 봉(119)을 따라서 가이드된 상태로 움직이게 구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118은 전방가이드 봉(119)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 고정부재(114)가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전진조절 스톱퍼(118)이다. In particular, the configuration in which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wiper blade 110 by the spring member 115 in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direction is very useful when passing through the protrusions existing on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lowered and meets the protrusion,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110 is not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o that the wiper blade 110 can be lowered to just above the protrusion. If pres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110 protrudes further toward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direction than the front end of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115.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cleaning of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proceeds,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110 is pressed against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to be in close contact, so that the spring member 115 is in a compressed state, and thu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ront end of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is also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the front guide rods 119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rear installation member 113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direction, and both sides of the blade fixing member 114 in the width direction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front side. It is fitted to the guide rod 119, the blade holding member 114 and the wiper blade 110 is pushed by the spring member 115 in the direction of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or to be retracted to compress the spring member 115. When the front guide rod 119 is configured to move in a guided state. Reference numeral 118 denotes a forward adjustment stopper 118 provided in the front guide rod 119 to restrict excessive movement of the blade fixing member 114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퍼장치(10)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아래쪽에는, 노즐구가 형성되어 있어 노즐구를 통해서 세척액을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분사하는 노즐부재(120)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방지지부재(113)에 수직설치판(116)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노즐부재(120)가 상기 수직설치판(116)의 전면에 구비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per device 10, a nozzle hole is formed below the wiper blade 110, and the nozzle member 120 is provided to spray the cleaning liquid toward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through the nozzle hole. .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is a vertical mounting plate 116 is connected to the rear support member 113, the nozzle member 120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vertical mounting plate 116.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부재(120)는 세척액의 분사 방향이 상하로 변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노즐부재(120)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복수개의 노즐구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노즐관(121)과, 상기 노즐관(121)의 횡방향 양단부와 각각 결합하여 상기 노즐관(121)을 상기 수직설치판(116)에 설치하는 결합브레킷(122)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브레킷(122)에는 원호형의 장공(123)이 형성되어 있고, 노즐관(121)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가이드핀(124)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핀(124)이 상기 장공(123)에 끼워져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모터 등의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노즐관(121)을 선회시키게 되면, 가이드핀(124)이 결합브레킷(122)의 원호형 장공(123)을 따라 왕복하여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라 노즐구로부터의 세척액의 분사 방향이 위아래로 변화되면서 건물 외벽면의 상하로 넓은 범위에 고르게 세척액을 뿌릴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member 120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spraying direction of the washing liquid up and down. That is,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nozzle member 120 ext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nozzle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nozzle tube 121 and the both ends of the nozzle tube 12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may be composed of a coupling bracket 122 for coupling to the nozzle tube 121 to the vertical installation plate 116, respectively, the coupling bracket 122 is formed in the arc-shaped long hole 123 is formed The guide pins 124 may be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nozzle tube 12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guide pins 124 may be fitted into the long holes 123.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nozzle tube 121 is rotated by using a power device such as a motor, the guide pin 124 reciprocates along the arc-shaped long hole 123 of the coupling bracket 122 and accordingly the nozzle As the spraying direction of the washing liquid from the sphere is changed up and dow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shing liquid can be sprayed evenly over a wide range up and dow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본 발명의 청소로봇 조립체(1)가 건물의 외벽면을 마주하여 수직하게 하강하면서, 노즐구로부터 건물 외벽면으로 분사된 세척액을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긁어내게 되는데, 그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110)에 의해 긁어내진 폐세척액에는 외벽면에 묻어 있던 먼지 및 기타 오염물질이 포함된다. 이러한 폐세척액이 그대로 거리로 낙하하는 경우 건물 아래를 지나가는 보행자에게 큰 해를 끼치게 될 뿐만 아니라 도로로 더럽히게 된다. 또한 아직 청소하지 않은 건물 외벽면을 더 오염시키게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폐세척액의 방치로 인한 오염 유발을 방지하도록 본 발명의 청소로봇 조립체(1)의 와이퍼장치(10)에는, 건물의 외벽면에서 긁어내진 폐세척액을 수집하는 폐세척액 수집부재(130)가 더 구비되어 있다. As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ends vertically fac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wiper blade 110 scrapes off the cleaning liquid sprayed from the nozzle port to the building outer wall, thereby wiper blade 110. The waste washing liquid scraped off by) contains dust and other contaminants on the outer wall. If these waste liquors fall into the street, they will not only cause pedestrians passing under the building, but will also be polluted by the road. It can also contaminate the exterior walls of buildings that have not yet been cleaned. In this way, in the wiper device 10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on member 130 for collecting the waste washing liquid scraped off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installed to prevent contamination caused by the waste washing liquid. It is further provided.

상기 폐세척액 수집부재(130)는 노즐부재(120)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폐세척액 수집부재(130)는,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과 폐세척액 회수홈통(132)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폐세척액 회수홈통(132)이 상기 노즐부재(120)의 아래쪽에서 상기 수직설치판(116)의 전면에 구비되고, 건물 외벽면 방향의 세척액 회수홈통(132)의 전면에는 판부재로 이루어진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이 구비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은 폐세척액 회수홈통(132)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가 층을 이루어서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의 전방단부가 건물 외벽면에 접촉하는 것이 폐세척액의 흐름 유도에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은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마찬가지로 고무판 등의 탄성부재로 제작될 수 있다. The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on member 130 is positioned below the nozzle member 120. Specifically, the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ng member 130 is a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and a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ng gutter 132.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trough 132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installation plate 116 at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member 12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washing liquid recovery trough 132 towar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s a plate member.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In particular,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may be inclined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ng trough 132, and 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layers may be provided. The front end of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is more preferable for inducing the flow of waste washing liquid, and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is a rubber plate or the like as the wiper blade 110. It can be made of an elastic member.

상기 와이퍼장치(10)에 위와 같은 구성의 폐세척액 수집부재(130)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110)에 의해 긁어내진 폐세척액은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을 타고 흘러내려 폐세척액 회수홈통(132)으로 모이게 되고, 후속하여 상기 폐세척액 회수홈통(132)과 연통된 폐세척액 저장탱크(22)로 모이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오염물질이 포함된 폐세척액이 무방비 상태로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폐세척액이 건물 외벽면을 타고 흘러내려서 건물 외벽면을 다시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wiper device 10 is provided with the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on member 13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aste washing liquid scraped off by the wiper blade 110 flows down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to waste washing liquid. It is collected in the collecting trough 132, it may be configured to subsequently collect in the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 22 in communication with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trough (132).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ste washing liquid containing contaminants from being discarded in an unprotected state, and to prevent the waste washing liquid from flowing down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to re-dirt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도 11에는 본체(20)를 이루는 후면판(29)을 제거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1에서는 후술하는 연결이동판(19)과 와이퍼 이동부재(30)의 구조가 보이도록, 연결이동판(19)과 와이퍼 이동부재(30)의 수평판(32)을 덮고 있는 덮개부재(39)와, 와이퍼 이동부재(30)의 수직이동판(31)을 감싸서 보호하기 위한 주름형 신축보호부재(38)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편의상 요동방지 횡프레임(210) 역시 도시를 생략하였다. FIG.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ack plate 29 constituting the main body 20 is removed. For reference, in FIG. 11, the cover member covering the horizontal plate 32 of the connection moving plate 19 and the wiper moving member 30 to show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moving plate 19 and the wiper moving member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39) and the pleated stretch protection member 38 for wrapping and protecting the vertical moving plate 31 of the wiper moving member 30 are omitted. In addition, for convenience, the swing frame 210 is also omitted.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폐세척액 저장탱크(22)는 본체(20)에 설치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본체(20)의 전면판(28)과 후면판(29)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폐세척액 저장탱크(22)가 위치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본체(20) 내에 또다른 구성을 더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목적으로, 폐세척액 저장탱크(22)를 두개의 탱크로 구분하여 본체(20)의 횡방향으로 2개의 탱크를 이격한 상태로 배치하고 있는데, 이 경우 2개의 폐세척액 저장탱크에 균등하게 폐세척액이 저장될 수 있도록 2개의 폐세척액 저장탱크 사이는 서로 연통관(25)으로 이어져 있다. 만일 2개의 폐세척액 저장탱크가 서로 연통되어 있지 않게 되면 2개의 폐세척액 저장탱크(22)에 담겨지는 폐세척액의 양이 달라질 수 있고, 이 경우, 2개의 폐세척액 저장탱크 간의 무게가 달라져서 본체(20)가 더 무거운 폐세척액 저장탱크(22) 방향으로 기울어져 불안정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서로 이격된 2개의 폐세척액 저장탱크(22) 사이를 연통관(25)에 의해 연통시켜두면, 2개의 폐세척액 저장탱크 중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어 폐세척액이 유입되더라도 연통관(25)을 통해 다른 한쪽의 탱크로 유입되어, 2개의 폐세척액 저장탱크(22)에 담기는 폐세척액의 양이 균등하게 되며, 따라서 2개의 폐세척액 저장탱크(22) 간의 무게 차이로 인한 불안정한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 22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 Specifically, the waste washing liquid may be disposed in an internal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plate 28 and the rear plate 29 of the main body 20. Storage tank 22 may be located.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securing a space to install another configuration in the main body 20, the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 22 is divided into two tank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In this case, the two tank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two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mmunication tube 25 so that the waste washing liquid is equally stored in the two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s. If the two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s are not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amount of the waste washing liquid contained in the two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s 22 may vary, and in this case, the weight between the two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s is changed so that the main body ( 20) may be inclined toward the heavier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 22, resulting in an unstable state. However, i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 22 spaced apart as described above by the communication tube 25, even if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s into one of the two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 through the communication tube (25) The amount of waste washing liquid flowing into the other tank and contained in the two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s 22 becomes equal, and thus, an unstable condi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weight between the two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s 22 occurs. It can be blocked at source.

더 나아가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에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노즐부재(120)를 통해서 분사될 세척액이 담겨져 있는 세척액 저장탱크(26)도 배치될 수 있다. Furth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washing liquid storage tank 26 containing the washing liquid to be sprayed through the nozzle member 12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2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청소로봇 조립체(1)에는, 건물 외벽면을 향하여 상기 와이퍼장치(10)를 전,후진하게 만들고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건물 외벽면의 돌출부에 닿게 되었을 때 와이퍼 블레이드의 하강은 정지시키지만 본체(20)는 정지하지 않고 계속하여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퍼장치(10)가 본체(20)에 대해 상대운동할 수 있게 만드는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가 구비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per device 1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ward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and the wiper blade is lowered when the wiper blade 110 touches the protrusion of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is provided to allow the wiper device 10 to move relative to the main body 20 so that the main body 20 can be continuously lowered without stopping.

도 12 내지 도 15에는 각각 상기한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의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하여, 세척액 저장탱크(26)와 폐세척액 저장탱크(22)를 제거하고 본체(20)의 전면판(29)과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와 와이퍼장치(10)만을 남겨둔 상태로 전면판(29)의 배면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12 to 15, the washing liquid storage tank 26 and the waste washing liquid storage tank 22 are removed to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in detail, respectively, and the front plate 29 of the main body 20 is shown. ), And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and the wiper device 10 is shown as viewed from the rear direction of the front plate 29.

앞서 언급한 것처럼,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는 상기 와이퍼장치(10)를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후퇴시킴과 동시에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 자체는 본체(20)에 대해 수직하게 승하강하도록 상대운동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와이퍼 이동부재(30)가 수직이동판(31)과 수평판(32)이 결합된 ㄱ자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20)에는 수직레일(2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직이동판(31)은 상기 수직레일(21)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를 수직하게 승하강시키는 방식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는 운동변환기구(mechanism)를 이용하였다. 즉, 본체(20)의 전면판(28)의 배면측에 제1회전모터(M1) 및 상기 제1회전모터(M1)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축(23)을 설치하고, 상기 제1회전축(23)과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축(23)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운동변환부재(미도시)를 수직이동판(31)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운동변환부재에 의해 제1회전모터(M1)와 제1회전축(23)의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수직이동판(31)이 수직레일(21)을 따라 수직하게 승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도 12는 수직이동판(31)이 아직 움직이지 아니하여,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가 본체(20)에 고정되어 있되 와이퍼장치(10)는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진출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 있던 수직이동판(31)이 본체(20)에 대해 상대이동하여 와이퍼 이동부재(30)가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게 되는 운동변환부재 자체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s mentioned above,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advances the wiper device 10 toward the building outer wall or vice versa, and at the same time,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itself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20. Relativ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wiper moving member 30 is composed of an L-shaped member in which the vertical moving plate 31 and the horizontal plate 32 are coupled, and the main rail 20 has a vertical rail 21. It is provided, the vertical movable plate 31 has a configuration that moves along the vertical rail (21).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as a method of raising and lowering the wiper moving member 30 vertically, a motion conversion mechanism (mechanism)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into a linear motion was used. That is, a first rotary motor M1 and a first rotary shaft 23 rotated by the first rotary motor M1 ar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plate 28 of the main body 20, and the first rotary shaft is installed. The first rotation shaft 23 is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23 is rotated by installing a motion conversion member (not shown) on the vertical moving plate 31 to move linearly along the rotation axis, the first rotation by the motion conversion member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motor M1 and the first rotary shaft 23 is converted into a linear movement so that the vertical movable plate 31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rail 21. 12 shows that the vertical moving plate 31 has not yet moved, so that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is fixed to the main body 20, but the wiper device 10 has moved towar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IG. 1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wiper moving member 30 is raised by moving the vertical movable plate 31 in the state shown in FIG. 12 relative to the main body 20. Since the motion conversion member itself is combined with the rotating shaft to linearly mov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에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상기 와이퍼장치(10)를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후퇴시킬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평판(32)의 상면에 또다른 제2회전모터(M2)와, 상기 제2회전모터(M2)에 의해 회전되는 제2회전축(27)이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와이퍼장치(10)에 연결된 연결이동판(19)이 상기 제2회전축(27)의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하도록 결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이동판(19)에도, 수직이동판(31)과 유사하게 상기 제2회전축(27)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운동변환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제2회전축(27)이 회전하게 되면, 연결이동판(19)이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진출하거나 또는 후퇴하게 되며, 그에 따라 연결이동판(19)에 결합되어 있는 와이퍼장치(10)가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진출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건물 외벽면과 밀착하거나 또는 와이퍼장치(10)가 뒤로 후퇴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건물 외벽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24는 상기 수평판(32)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이동판(19)이 전후진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수평레일(24)이다. 즉,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이동판(19)은 상기 수평레일(24)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수평레일(24)에 의해 가이드되어 전후진하는 것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 있던 와이퍼 이동부재(30)의 작동에 의해 연결이동판(19)과 와이퍼장치(10)가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부터 후퇴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상태에 있던 와이퍼 이동부재(30)의 와이퍼 이동부재(30)가 본체(20)에 대해 하강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하여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가 다시 본체(20)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that can advance or reverse the wiper device 10 in the direction of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as mentioned above,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Another second rotary motor M2 and a second rotary shaft 27 rotated by the second rotary motor M2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plate 32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wiper device ( The connecting moving plate 19 connected to the 10 is coupled to the linear movement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ry shaft (27). Similar to the vertical movable plate 31, the connection movable plate 19 also includes a motion converting member (not shown) that linearly moves along the rotating shaft when the second rotating shaft 27 is rotated. When the 27 is rotated, the connecting movable plate 19 enters or retracts towar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us the wiper device 10 coupled to the connecting movable plate 19 moves towar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wiper blade 1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r the wiper device 10 retreats backward so that the wiper blade 110 is moved away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the drawing, the member number 24 is a horizontal rail 24 installed in the horizontal plate 32 to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onnecting plate 19. That is,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connecting plate 19 is movably coupled to the horizontal rail 24, is guided by the horizontal rail 24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oving plate 19 and the wiper device 10 retreat from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wiper moving member 30 in the state shown in FIG. The wiper moving member 30 of the wiper moving member 30 in the state shown in FIG. 14 is moved relative to the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0 so that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again mov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0. It shows a fixed state.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로봇 조립체(1)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편의상 건물의 외벽면으로서 유리창(100)을 예로 들어 설명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건물 외벽면에 돌출부가 존재할 때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가 움직이는 상태를 우선 설명한다. Cleaning robot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operate in the manner described below.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glass window 100 will be described as an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s an example. Prior to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wiper blade moves when a protrusion is present on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will be described first.

도 16에는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건물 외벽면으로부터 후퇴하지 아니하는 구성을 가진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건물 외벽면의 돌출부를 지나서 하강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16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wiper blade 110 descends past the protrusion of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while the wiper blade 110 does not retreat from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

도 16에서 "위치(a)"라고 표시된 상태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건물의 유리창(100) 표면을 긁으면서 아래로 이동하다가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b)"라고 표시된 상태와 같이, 건물 외벽면에 존재하는 돌출부, 예를 들어, 유리창 사이에 존재하는 창틀로 인한 돌출된 부분 등과 같은 돌출부(300)에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걸린 후에도 계속하여 하강하게 되면, 고무나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탄성을 가지는 와이퍼 블레이드(110)는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c)"의 상태와 같이 변형되면서 돌출부(300)를 타고 넘어가서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어 "위치(d)"라고 표시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를 지나면서 그 형상이 원상 복귀될 때, 그 충격으로 인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10)에 묻어 있던 물기 내지 물방울이, 이미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지나가서 청소가 완료된 유리창 즉, 와이퍼 블레이드(110) 위쪽의 유리창으로 튀게 되고, 그에 따라 청소가 완료되었던 유리창이 다시 더럽혀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형상이 원상 복귀되어 유리창(100)의 표면에 닿게 되는 지점이 돌출부(300)의 아래쪽으로 일정 거리(도 16에서 도면부호 L-1로 표시된 거리) 떨어진 위치가 되며, 그에 따라 돌출부(300)의 바로 아래쪽의 일정 거리(도 16에서 도면부호 L-1로 표시된 거리) 부분은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그 뿐만 아니라, 도 16에서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무작정 돌출부(300)를 타넘어가는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손상될 수도 있으며, 돌출부(300)의 연직방향 폭이 넓을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타넘어가지 못할 수도 있으며, 무리하게 돌출부(300)를 타넘어가더라도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거리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As shown in FIG. 16, the wiper blade 110 moves downward while scratching the surface of the glass window 100 of the building, and as shown by the position “b” shown in solid lines. If the protrusion continues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or example, the protrusion 300 due to the window frame existing between the windows, such as the wiper blade 110 is still lowered after being caught, the rubber or synthetic resin produced And the elastic wiper blade 110 is deformed in the state of "position (c)" shown by the dotted line, and is carried over to the protrusion 300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again, and is marked as "position (d)". It is in the same state. However, when the shape of the wiper blade 110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while passing through the protrusion 300, water or droplets, which are buried in the wiper blade 110 due to the impact, have already passed by the wiper blade 110. The glass window is cleaned, that is, the glass window on the wiper blade 110 is splashed, thereby causing the phenomenon that the glass window that has been cleaned is dirty again. In addition, the point where the shape of the wiper blade 1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and touches the surface of the glass window 100 becomes a position away from the protrusion 3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istanc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L-1 in FIG. 16). Therefore, a certain distance (distanc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L-1 in FIG. 16) immediately below the protrusion 300 has a problem that the cleaning is not mad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6, when the wiper blade 110 accidentally passes over the protrusion 300, the wiper blade 110 may be damaged, and when the vertical width of the protrusion 300 is wide, the wiper The blade 110 may not be burnt, and even if the burnt over the protruding portion 300 forcibly,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distance for cleaning is not increased.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에 닿은 후에 와이퍼 블레이드(110)를 후퇴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후퇴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려면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에 닿았을 때 청소로봇 조립체의 하향 이동을 정지시켜야 한다. 그런데, 청소로봇 조립체(1)가 하강하는 중에 정지시키는 것은 또다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청소로봇 조립체(1)의 본체(20) 내에는 저장탱크 등 여러 가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당한 자체 중량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중량체인 청소로봇 조립체(1)는 빌딩의 옥상에서 늘어뜨린 케이블 등에 매달려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청소로봇 조립체(1)가 하강하는 중에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를 만나서 청소로봇 조립체(1)의 이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중량물인 청소로봇 조립체(1)의 정지로 인한 충격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110)에도 충격이 가해져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불규칙하게 움직이게 되고, 결국 와이퍼 블레이드(110)에 묻어 있던 물기가, 이미 청소가 완료된 위쪽 유리창으로 튀게 되어 다시 더럽혀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In order to solve this, it may be considered to retreat the wiper blade 110 after the wiper blade 110 touches the protrusion 300, but in this case, the wiper blade 110 may have a time to retreat. When the blade 110 touches the protrusion 300,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should be stopped. By the way, stopping while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lowering causes another problem. In the main body 20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various devices such as storage tanks are installed and thus have a considerable weight. The heavy chain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suspended from a cable hanging from a roof of a building. It is a state. Therefore, when the wiper blade 110 meets the protrusion and stops the movement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while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lowered, an impact due to the stop of the heavy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generated. Accordingly, the wiper blade 110 is also impacted, so that the wiper blade 110 moves irregularly, and eventually, the water remaining on the wiper blade 110 is splashed onto the upper windshield, which has been cleaned. Will occur.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를 지나간 후에는 다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유리창쪽으로 전진해야 하므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를 지난 직후에도 다시 청소로봇 조립체(1)가 정지해야 하고, 그에 따라 위와 같은 와이퍼 블레이드(110)로부터 상향으로의 물 튀김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이미 청소된 유리창의 재오염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청소로봇 조립체(1)가 하강하다가 돌출부(300)를 만날 때 마다 정지하였다가 다시 하강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작업속도가 저하되고 경제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per blade 110 must move forward toward the window after the wiper blade 110 passes through the protrusion 300,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again operates immediately after the wiper blade 110 passes through the protrusion 300. Should be stopp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splashing phenomenon from the wiper blade 110 as described above upward, re-contamination of the already cleaned glass window occurs. In addition, i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descends and repeats the operation of stopping and lowering each time it meets the protrusion 300, the working speed is lowered and economical efficiency is lowered.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장치(10)를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후퇴시킴과 동시에 본체(20)에 대해 수직하게 상대운동하여 움직이는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도 16에서 보여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moves forward by moving relative to the main body 20 while moving the wiper device 10 toward the building outer wall direction or vice versa. Since it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hown in FIG.

도 17 내지 도 26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청소로봇 조립체(1)가 유리창(100)의 전면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2의 선 K-K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7 to 26 are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K-K of FIG. 12,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windshield 100, respectively.

본 발명의 청소로봇 조립체(1)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유리창(100)을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긁으면서 하강하는 도중에 돌출부(300)를 만나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로 인하여 하강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면, 와이퍼 블레이드(110)는 그 하강을 정지하게 되지만 본체(20)는 정지하지 않고 계속 하강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는 돌출부(300)로 인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하강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돌출부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 감지센서"는 본체(20)에 구비되어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아래 위치(더 구체적으로는 폐세척액 회수홈통(132)의 아래 위치)에서 유리창(100) 방향으로 신호를 보내어 돌출부(300)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인지하는 방식을 통해서, 돌출부(300)의 존재를 인식하게 되는 형식의 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접촉센서로 이루어져서 폐세척액 회수홈통(132)의 하면에 부착됨으로써 돌출부(300)와 폐세척액 회수홈통(132) 사이에 위치하여 폐세척액 회수홈통(132)이 돌출부(300)에 접촉되었을 때 그 접촉 사실을 인지하거나 폐세척액 회수홈통(132) 간의 거리를 인지함으로써, 돌출부(300)의 존재를 인식하게 되는 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Cleaning robot assembly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wiper blade (110) while scratching the wiper blade 110 while lowering the encounter with the protrusion 300, the wiper blade 110 is difficult to lower due to the protrusion In this case, the wiper blade 110 stops descending, but the main body 20 has a configuration that continues to descend without stopping.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whether the wiper blade 110 is in a state in which it cannot be lowered due to the protrusion 300. The "protrusion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to send a signal in the direction of the glass window 100 from the lower position of the wiper blade 110 (more specifically, the lower position of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trough 132) to protrude ( Through a method of recognizing the signal reflected from the 300, it may be made of a sensor of the type that recognizes the presence of the protrusion 300, it is made of a contact sensor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trough 132, the protrusion 300 ) And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gutter 132 is located between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gutter 132 and the protrusion 300 by recognizing the contact or the distance between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gutter 132, It may also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will recognize the existence of 300.

한편,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체(20)와 와이퍼장치(10) 사이에는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에는 상기 와이퍼장치(10)를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후퇴시킬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는, 본체(20)에 볼 때 본체(20)에 대해 수직하게 승하강하는 형식으로 상대운동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20 and the wiper device 10,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in the direction of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It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advanced or retreat in reverse. In addition,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move relative to the main body 20 in the vertical rising and lowering when viewed from the main body 20.

우선 "정상 청소상태"에서는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와 본체(20)는 서로에 대해 잠겨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는 본체(20)에 대해 수직하게 상대운동하지 않는 상태로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정상 청소상태"에서 상기 와이퍼장치(10)는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전진되어 있다. 즉,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에 결합된 연결이동판(19)이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진출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건물 외벽면과 밀착된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정상 청소상태"는 도 12 및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First, in the "normal cleaning state",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and the main body 20 are in a locked state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at is,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is in a state in which the relative movement is not perpendicular to the main body 20. However, in the "normally clean state", the wiper device 10 is advanced toward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hat is, the connecting movable plate 19 coupled to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is advanced towar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o that the wiper blade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is "normal cleaning state" is shown in FIGS. 12 and 17.

이와 같은 "정상 청소상태"에서는, 청소로봇 조립체(1)가 하강할 때 본체(20)와 와이퍼 이동부재(30), 그리고 와이퍼장치(10)가 모두 동일한 속도로 함께 하강하게 되고, 하강 과정에서 노즐부재(120)의 노즐구로부터 유리창(100)으로 세척액이 분사되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세척액과 함께 유리창(100)에 있던 오염물을 긁어내어 청소하게 되며, 오염물이 포함된 폐세척액은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에 의해 흐름을 유도하여 폐세척액 회수홈통(132)으로 수집된다. In this "normal cleaning state", whe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lowered, the main body 20, the wiper moving member 30, and the wiper device 10 are all lowered together at the same speed, and in the lowering process As the cleaning liquid is sprayed from the nozzle hole of the nozzle member 120 to the glass window 100, the wiper blade 110 scrapes and cleans the contaminants in the glass window 100 together with the cleaning liquid. The flow is guided by th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and collected in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trough 132.

위와 같이 "정상 청소상태"를 유지하여 통상적인 유리창(100)의 청소작업이 진행되다가, 후속하여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건물 외벽면의 돌출부(300)에 폐세척액 회수홈통(132)이 닿아서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하강에 돌출부(300)가 장애로 되는 상태가 되면, 이러한 상태를 "돌출부 감지센서(미도시)"가 인지하게 되는데, "돌출부 감지센서"에 의해 이와 같이 돌출부(300)가 와이퍼장치(10)의 하강에 장애로 되는 상태를 인지하면, 와이퍼 이동부재(30)와 본체(20) 사이의 잠김상태가 해제되면서,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가 되어 와이퍼 이동부재(30)는 수직 높이를 계속 유지한 채 본체(20)만이 계속 하강하게 된다. 즉, 돌출부(300)에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닿게 되는 위치에 이르게 되면, 제1회전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제1회전축(23)이 회전하여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퍼 이동부재(30)의 수직이동판(31)이 수직레일(21)을 따라 수직하게 본체(20)의 위쪽으로 상승하도록 움직이게 되어,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결과적으로 와이퍼 이동부재(30)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퍼장치(10)는 돌출부(300)로 인하여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 상태의 수직 높이를 유지하고 있고, 본체(20)만이 독자적으로 계속 하강하는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가 시작되는 것이다. 이 때 본체(20)가 등속도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ile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glass window 100 is maintained by maintaining the "normal cleaning stat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8,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trough 132 contacts the protrusion 300 of the building outer wall. When the protrusion 300 becomes in a state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wiper blade 110 falls, this state is recognized by the "protrus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which is thus projected by the "protrusion detection sensor". Recognizing the state that the obstacles to the lowering of the wiper device 10, the locked state between the wiper moving member 30 and the main body 20 is released, and becomes the "original lowering state of the primary body only" The wiper moving member 30 continues to descend only the main body 20 while maintaining the vertical height. That is, when the wiper blade 110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300, the first rotating shaft 23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first rotating motor M1, and thus, as shown in FIG. 13, the wiper moving member ( The vertical moving plate 31 of 30 is moved to rise upwardly of the main body 20 vertically along the vertical rail 21, and consequently the wiper connected to the wiper moving member 30 as shown in FIG. The device 10 maintains the vertical height of the state which is no longer lowered due to the protrusion 300, and starts the "original lowering state of the primary body only" in which only the main body 20 continues to descend independently.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main body 20 to descend at a constant speed.

이와 같은 본체(20)만이 독자적으로 하강하는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와이퍼 이동부재(30)는 본체(20)에 대해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대운동을 하게 되어 와이퍼 이동부재(30)와 와이퍼장치(10)는 마치 원래의 수직 높이를 유지한 채로 정지해있고 본체(20)만이 계속 하강하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가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돌출부(300)가 와이퍼장치(10)의 하강에 장애로 되는 상태에 이르게 되면, 와이퍼 이동부재(30)가 본체(20)를 따라 상승하도록 상대운동을 시작하게 되어, 와이퍼 이동부재(30)와 와이퍼장치(10)는 하강이 중지된 위치를 고수하게 되지만 본체(20)는 정지하지 않고 계속하여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하강하다가 돌출부(300)가 와이퍼장치(10)의 하강에 장애로 되는 위치에 상태에 이르게 되더라도 본체(20)는 하강하던 속도를 유지하면서 계속 할 수 있으므로, 본체(20)의 정지로 인한 출렁거림 등의 정지 충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정지 충격으로 인한 와이퍼 블레이드(110)로부터의 물 튀김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이미 청소가 완료된 위쪽 유리창에 세척액이 묻게 되는 재오염 발생이 방지된다. While only the main body 20 is in the " originally lowered state of the first main body only " which descends independently, the wiper moving member 30 is moved relative to the main body 20 in the upward direction to move the wiper moving member. 30 and the wiper device 10 are in a state of being stopped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vertical height, and only the main body 20 continues to descen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otrusion 300 reaches a state where the lowering of the wiper device 10 is lowered, the relative movement is started so that the wiper moving member 30 rises along the main body 20, and the wiper moves. The member 30 and the wiper device 10 hold the position where the lowering is stopped, but the main body 20 is continuously lowered without stopping.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wiper blade 110 descends and the protrusion 300 reaches a state where the obstacle to the lowering of the wiper device 10 reaches the state, the main body 20 can continue while maintaining the speed of descending, As the impact of stopping of the main body 20 is not generated due to the slack and the splashing of the wiper blade 110 due to the stopping impact does not occur, the cleaning liquid is buried in the upper windshield already cleaned. Pollution is prevented.

한편,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가 시작되면 본체(20)만이 하강이 시작됨과 동시에, 와이퍼장치(10)는 후퇴하기 시작한다. 즉, 건물 외벽면의 돌출부(300)가 와이퍼장치(10)의 하강에 장애로 되는 위치에 이르렀다는 것을 돌출부 감지센서가 인지하게 되면, 제2회전모터(M2)가 구동 개시하여 제2회전축(27)을 회전시킴에 따라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에 결합된 연결이동판(19)이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부터 후퇴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에서는 도 14 및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유리창(100)으로부터 돌출부(300)의 돌출 높이(t)를 초과한 길이로 후퇴하게 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에서는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 높이(t)를 초과하는 길이로 후퇴하게 되며, 이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후퇴하는 동안에도 와이퍼 이동부재(30)와 본체(20)간의 상대이동이 진행되어 본체(20)는 정지하지 않고 계속 하강한다. 도 19에 도시된 점선은, 도 18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위치를 참고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riginal lowering state of the first main body only" starts, only the main body 20 starts to descend, and the wiper device 10 starts to retreat. That is, when the protrusion detecting sensor recognizes that the protrusion 300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has reached a position where the lowering of the wiper device 10 occurs, the second rotary motor M2 starts to drive and the second rotary shaft ( By rotating 27, the connecting moving plate 19 coupled to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starts to retreat from the direc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us, in the " primary descending state of the primary body only ", the wiper blade 110 retracts from the window 100 to a length exceeding the protruding height t of the protrusion 300 as shown in FIGS. 14 and 19. do. 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 primary descending state of the primary body only ", the wiper blade 110 is retracted to a length exceeding the protrusion height t, and thus the wiper while the wiper blade 110 is retracted in this way.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moving member 30 and the main body 20 proceeds and the main body 20 continues to descend without stopping. The dotted line shown in FIG. 19 shows the posi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18 for reference.

본 발명에 따른 청소로봇 조립체(1)에는 하강하는 와이퍼장치(10)에 대해 돌출부(300)가 장애로 된다는 것이라는 것을 인지하는 "돌출부 감지센서"와 더불어,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가 돌출부(300)에 닿지 않도록 충분히 후퇴하였는지를 인지하는 "후퇴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후퇴감지센서"를 통해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후퇴한 것으로 인지하게 되면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가 종료되고 "제1차 와이퍼 이동부재의 가속 하강 상태"가 시작되어 와이퍼장치(10)의 후퇴는 정지됨과 동시에, 와이퍼 이동부재(30)는 본체(20)에 대해 상승하던 상대운동을 멈추고, 다시 본체(20)가 이동하던 방향으로 하강하는 상대운동을 하기 시작한다. 즉, 후퇴감지센서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후퇴한 것으로 인지되면,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가 종료되고 "제1차 와이퍼 이동부재의 가속 하강 상태"가 시작되어, 제1회전모터(M1)는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제1회전축(23)을 회전시켜 와이퍼 이동부재(30)의 수직이동판(31)이 수직레일(21)을 따라 수직하게 본체(20)에 대해 아래쪽으로 움직이도록 상대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차 와이퍼 이동부재의 가속 하강 상태"에서는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후퇴는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110, together with the "protrusion detection sensor" recognizing that the protrusion 300 is obstructed with respect to the descending wiper device 10. "Retreat detection sensor" (not shown) is provided to recognize whether the retracted enough to not reach the 300, through the "retreat detection sensor" is recognized that the wiper blade 110 has been retracted so as not to catch the protrusion 300. In this case, the "original lowering state of the primary body only" ends and the "acceleration lowering state of the first wiper moving member" starts, and the retraction of the wiper device 10 is stopped, and the wiper moving member 30 The relative motion that has been raised relative to the main body 20 is stopped, and the relative motion that desc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20 moves again starts. That is, when it is recognized by the retreat detection sensor that the wiper blade 110 is retracted so as not to be caught by the protrusion 300, the "original lowering state of the primary body only" ends and the acceleration of the first wiper moving member is terminated. The lowering state "is started, and the first rotary motor M1 is drive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rotate the first rotary shaft 23 so that the vertical movable plate 31 of the wiper moving member 30 is along the vertical rail 21. The relative movement to move downward relative to the body 20 vertically. In such an "accelerated lowering state of the first wiper moving member", the retraction of the wiper blade 110 may be no longer performed.

한편, "제1차 와이퍼 이동부재의 가속 하강 상태"에서 와이퍼 이동부재(30)는 본체(20)가 하강하는 속도보다 더욱 빠르게 하강하도록 상대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에서는 본체(20)만이 하강하는 상태였으므로, 이동하던 방향 즉, 하강방향으로 볼 때, 본체(20)는 와이퍼 이동부재(30)보다 더 앞선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제1차 와이퍼 이동부재의 가속 하강 상태"에서는 와이퍼 이동부재(30)가 본체(20)의 이동방향으로 더 빠르게 가속운동을 시작함으로써, 계속하여 하강하고 있던 본체(20)의 이동거리를 따라잡게 되는 것이다. 도 20에는 이와 같이 "제1차 와이퍼 이동부재의 가속 하강 상태"에서 와이퍼 이동부재(30)가 가속 하강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에 닿지 않은 상태로 지나가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서 점선은 도 19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위치를 참고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ccelerated lowering state of the first wiper moving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iper moving member 30 moves relative to the body 20 to descend faster than the speed at which it descends. Because, in the " original lowering state of the first main body only, " only the main body 20 is in the lowering state, when viewed in the moving direction, that is, in the lowering direction, the main body 20 is positioned ahead of the wiper moving member 30. Will be in. Therefore, in the "accelerated lowering state of the first wiper moving member", the wiper moving member 30 starts the acceleration motion faster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thereby mov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main body 20 which has been continuously lowered. To catch up. FIG. 20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wiper moving member 30 accelerates and lowers in the "accelerated lowering state of the first wiper moving member" so that the wiper blade 110 passes without reaching the protrusion 300. In FIG. 20, the dotted line shows the posi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19 for reference.

와이퍼 이동부재(30)가 가속 하강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에 닿지 않은 채로 돌출부(300)를 완전히 지나간 직후에는 와이퍼 이동부재(30)는 가속 하강하던 것을 멈추고 반대 방향으로 본체(20)에 대해 상대이동하게 되어, 와이퍼 이동부재(30)와 와이퍼장치(10)는 돌출부(300)를 지나간 위치의 수직 높이를 계속 유지하되, 본체(20)는 정지하지 않고 계속하여 하강하게 된다. 즉, "제2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가 시작되면 와이퍼 이동부재(30)는 가속 하강을 멈추고, 제1회전모터(M1)와 제1회전축(23)의 작동에 의해 와이퍼 이동부재(30)가 적극적으로 본체(20)로부터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대운동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Immediately after the wiper moving member 30 accelerates and descends so that the wiper blade 110 completely passes the protrusion 300 without touching the protrusion 300, the wiper moving member 30 stops accelerating and stop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20), the wiper moving member 30 and the wiper device 10 continues to maintain the vertical height of the position passing through the protrusion 300, the main body 20 is continuously lowered without stopping. . That is, when the "original lowering state only the secondary body" starts, the wiper moving member 30 stops the acceleration lowering, and the wiper moving member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rotating motor M1 and the first rotating shaft 23) 30 is actively starting to move relative to the direction to rise from the main body 20.

이와 같이 "제2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로 다시 진입할 수 있도록 청소로봇 조립체(1)에는 "돌출부 통과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이러한 "돌출부 통과 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를 통과하였음을 인지하게 되면, 와이퍼 이동부재(30)는 가속 하강을 멈추고, 적극적으로 본체(20)로부터 상승하게 되어 본체(20)의 이동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As such,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passage detection sensor” so that the robot robot 1 can enter the “secondary body-only descending state” as described above. Upon recognizing that the blade 110 has passed through the protrusion 300, the wiper moving member 30 stops accelerating and actively moves up from the main body 20 to be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Will move.

앞서 살펴본 것처럼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를 지나치도록 와이퍼 이동부재(30)가 가속 하강하는 동안에도 본체(20)는 계속하여 하강하고 있는데,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를 지난 상태에서는,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유리창(100)에 닿도록 전진할 필요가 있으며,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전진하는 동안에는 비록 본체(20)는 계속 하강하여 그 위치가 점점 아래로 내려가더라도,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 바로 아래의 수직 높이에 계속 위치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 와이퍼 이동부재(30)가 능동적으로 본체(20)의 하강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대운동하는 "제2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로 다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wiper moving member 30 accelerates and descends so that the wiper blade 110 passes the protrusion 300, the main body 20 continues to descend, and the wiper blade 110 moves the protrusion 300. In the last state, it is necessary to advance the wiper blade 110 so that it touches the windshield 100, while the main body 20 continues to descend so that its position gradually goes down while the wiper blade 110 is advanced, The wiper blade 110 should continue to be positioned at the vertical height just below the protrusion 300. In order to make such a state, the wiper moving member 30 actively reenters the " independently lowered state of the secondary body only " which is relatively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따라서 이와 같이 "제2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가 되면, 본체(20)는 계속 하강함과 동시에, 와이퍼 이동부재(30)는 능동적으로 본체(20)의 이동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므로써,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마치 와이퍼 이동부재(30)와 와이퍼장치(10)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아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의 바로 아래 위치에 머무르고 있고, 단지 본체(20)만이 하강하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가 된다. "제2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가 시작되면, 제2회전모터(M2)와 제2회전축(27)이 작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유리창(100)을 향하여 전진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가 돌출부(300)의 바로 아래쪽 위치에서 유리창(100)에 닿게 된다. 즉, 제2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에서는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유리창(100)으로 전진하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the "secondary main body only descends" in this manner, the main body 20 continues to descend and the wiper moving member 30 actively mov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Thus, as shown in FIG. 21, the wiper moving member 30 and the wiper device 10 are not lowered any more, and thus the wiper blade 110 stays at the position just below the protrusion 300, and only the main body 20. ) Only appears to be descending. When the "original lowering state only the secondary body" starts, the second rotary motor (M2) and the second rotary shaft 27 is operated, accordingly the wiper blade 110 is advanced toward the glass window (100)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110 is in contact with the glass window 100 at a position directly below the protrusion 300. That is, the wiper blade 110 advances to the window 100 in the original lowered state of the secondary body only.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돌출부(300) 바로 아래 위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하강하지 않는 채 유리창(100)으로 전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돌출부(300)의 바로 아래쪽 위치부터 다시 와이퍼 블레이드(110)에 의한 청소를 시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소로봇 조립체(1)에 의하면, 돌출부(300)의 바로 아래쪽에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완벽한 청소를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참고로 도 21에서 점선은 도 20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per blade 110 in the position just below the protrusion 300 as described above is advanced to the glass window 100, and thus from the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protrusion 300 to the wiper blade 110 again. Cleaning can be start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portion that is not cleaned immediately under the protrusion 300 to achieve a more perfect cleaning. For reference, the dotted line in FIG. 21 illustrates a posi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20.

본 발명에는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유리창(100)에 접촉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는 "와이퍼 접촉센서"(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와이퍼 접촉센서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가 유리창(100)에 닿는 것을 인지하게 되면, 다시 "제2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가 종료되고 "제2차 와이퍼 이동부재의 가속 하강 상태"가 시작된다. 즉,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가 유리창(100)에 닿게 되면, "제2차 와이퍼 이동부재의 가속 하강 상태"가 시작되어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퍼 이동부재(30)는 본체(20)가 이동하던 방향으로 가속도를 가지고 빠르게 하강하게 된다. 즉,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가 유리창(100)에 닿은 상태에서, 본체(20)에 대해 와이퍼 이동부재(30)가 상승하도록 작동하던 제1회전모터(M1)와 제1회전축(23)이 반대방향으로 작동하게 되어 와이퍼 이동부재(30)가 본체(20)에 대해 하강하도록 상대운동하면서 와이퍼 이동부재(30)가 빠르게 가속하여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차 와이퍼 이동부재의 가속 하강 상태에서도,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가 유리창(100)에 닿아 있으므로, 와이퍼 블레이드(110)에 의한 유리창(100)의 청소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도 22에서 점선은, 도 21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iper contact sensor" (not shown) that can recognize that the wiper blade 110 in contact with the window 100,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110 by the wiper contact sensor When it is recognized that it reaches 100, the " original lowering state only of the secondary body " ends again and the " accelerated lowering state of the secondary wiper moving member " starts again. That is, when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110 touches the glass window 100, the "accelerated lowering state of the second wiper moving member" starts and the wiper moving member 30 is the main body 20 as shown in FIG. ) Will descend quickly with acceleration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110 touches the window 100, the first rotation motor M1 and the first rotation shaft 23 operated to raise the wiper moving member 3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0. ) Is op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le the wiper moving member 30 moves relative to the main body 20 to descend, the wiper moving member 30 accelerates and descends quickly. Even in the acceleration lowering state of the secondary wiper moving member, since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110 touches the glass window 100, the cleaning of the glass window 100 by the wiper blade 110 is continuously performed. For reference, the dotted line in FIG. 22 illustrates a posi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21.

이와 같은 와이퍼 이동부재(30)의 적극적인 가속 하강에 의해 와이퍼 이동부재(30)가 "정상청소상태"가 되는 위치에 이르게 되면, 본체(20)에 대한 와이퍼 이동부재(30)의 상대이동은 멈추고, 와이퍼 이동부재(30)는 본체(20)에 다시 고정되어 상대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서 "정상청소상태"가 시작되어 와이퍼 이동부재(30)와 본체(20)가 함께 동일한 속도로 하강하여 유리창을 청소하게 된다. When the wiper moving member 30 reaches a position where the wiper moving member 30 becomes a "normal cleaning state" by the aggressive acceleration and fall of the wiper moving member 30,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wiper moving member 3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0 is stopped. , The wiper moving member 30 is fixed to the main body 20 again so that the relative movement is not made, the "normal cleaning state" is started, the wiper moving member 30 and the main body 20 are lowered together at the same speed and the glass window Will be cleaned.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로봇 조립체(1)는,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유리창(100)을 닦으면서 하강하다가 돌출부(300)를 만나게 되면,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후퇴하여 돌출부(300)를 지나간 후 다시 유리창(100)에 접촉하여 하강하면서 청소를 하면서도, 무거운 중량체로 이루어진 본체(20)는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이러한 작동과 무관하게 계속하여 등속도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20)의 갑작스런 정지로 인한 정지충격이 와이퍼 블레이드(110)에 가해지지 않게 되고, 정지충격으로 인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10)로부터 물이 위쪽 유리창(100)으로 튀어서, 청소되었던 부분이 다시 오염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per blade 110 descends while cleaning the window 100 and encounters the protrusion 300, the wiper blade 110 retreats to protrude ( While passing through 300 and cleaning while lowering again to contact the glass window 100, the main body 20 made of a heavy weight is continuously lowered at a constant speed irrespective of this operation of the wiper blade (110). Accordingly, the stop shock due to the sudden stop of the main body 20 is not applied to the wiper blade 110, and the water splashes from the wiper blade 110 to the upper windshield 100 due to the stop shock, thereby contaminating the cleaned p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from occurring.

한편,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는 돌출부(300)가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하강에 장애가 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돌출부 감지센서(미도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를 회피하기 위하여 후퇴할 때 돌출부(300)에 닿지 않도록 충분히 후퇴하였는지를 인지하는 "후퇴감지센서(미도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후퇴한 후 다시 하강할 때 돌출부(10)를 완전히 지나쳐서 하강하였는지를 인지하는 "돌출부 통과 감지센서(미도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를 완전히 지나쳐서 하강한 후 다시 유리창쪽으로 전진할 때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유리창(100)에 닿았는지를 인지하는 "와이퍼 접촉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 감지센서", "후퇴감지센서", "돌출부 통과 감지센서" 및 "와이퍼 접촉센서"들은 인식상황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다양한 공지의 물체인식 센서 기술을 활용하며 별도의 독립된 센서가 각각의 상황을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1개의 센서 또는 복합센서군(이하 "복합센서군"이라고 칭함)으로 구성되어 상기의 모든 상황(돌출부에 의해 와이퍼장치의 하강에 지장이 발생하는 상황, 와이퍼부재가 충분히 후퇴되어 있는 상황, 돌출부를 통과한 상황, 와이퍼부재가 유리창에 닿아 있는 상황)을 인지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센서군"은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말단에서 전방위로 신호를 보내어 돌출부(300) 또는 유리창(100)으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인지하는 방식을 통해서, 돌출부(300)의 존재를 인식하거나 유리창(100)과의 접촉을 인식하게 되는 형식의 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압력변화 등을 센싱하여 돌출부(300) 또는 유리창(100)의 접촉여부를 인지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센서군"은 상기의 다양한 인지방법이 복합적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센서들은 본체(20)에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protrusion sensor (not shown) and the wiper blade 110 avoid the protrusion 300 to detect whether the protrusion 300 interferes with the lowering of the wiper blade 110. "Retreat detection sensor (not shown)" for recognizing whether the retractor is sufficiently retracted so as not to touch the protrusion 300 when retreating, and whether the wiper blade 110 descends after passing the protrusion 10 completely when retreating. "Protrusion passage detection sensor (not shown)", the wiper contact to recognize that the wiper blade 110 has touched the glass window 100 when the wiper blade 110 descends completely past the protrusion and then advances back toward the glass window Sensor (not shown) ”. The "protrusion sensor," "retraction sensor," "protrusion sensor," and "wiper contact sensor" are describ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situation, but using a variety of known object recognition sensor technology and separate independent sensors It can be configured to recognize each situation, it is composed of one sensor or composite sensor group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osite sensor group") to all the above situation (the situation where the obstacles in the lowering of the wiper device by the protrusions) , The state that the wiper member is sufficiently retracted, the stat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otrusion, the state that the wiper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glass window). The “composite sensor group” recognizes the presence of the protrusion 300 or through the manner of recognizing a signal reflected from the protrusion 300 or the window 100 by sending a signal omnidirectionally from the end of the wiper blade 110. It may be made of a sensor of the type that recognizes the contact with the 100, it may be able to recognize the contact of the protrusion 300 or the glass window 100 by sensing the pressure change. Preferably, the "composite sensor group" is a combination of the above various recognition methods. Such sensors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폐세척액 회수홈통(132)의 하면이 돌출부(300)에 접촉되었을 때, 와이퍼장치(10)가 후퇴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유리창(100)으로부터 멀어지기 시작하는 것으로 묘사하였다. 이러한 경우, 부득이하게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폐세척액 회수홈통(132) 사이의 작은 높이에서는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유리창(100)에 닿지 않게 되어 그 부분에 대한 유리창(100)의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폐세척액 회수홈통(132) 사이의 높이가 크지 않고, 또 일반적으로 돌출부(300)의 바로 윗면에는 유리창(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몰딩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미청소 영역의 존재는 무시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위와 같은 미청소 영역이 발생하는 것마저도 완전히 예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trough 132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300, the wiper device 10 is retracted and the wiper blade 110 starts to move away from the glass window 100 Depicted. In this case, the wiper blade 110 does not touch the window 100 at a small height between the wiper blade 110 and the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ng gutter 132, so that the cleaning of the window 100 for the portion is not performed. Will not. Since the height between the wiper blade 110 and the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ng gutter 132 is not large, and generally there is a molding for fixing the glass window 300 on the immediately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00, Existence can be ignor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the occurrence of the above-mentioned uncleaned region can be completely prevented by us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도 17 내지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가 건물 외벽면에 닿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와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의 전방단부가 건물 외벽면으로 돌출된 높이가 대략 동일할 수도 있지만, 앞서 언급한 것처럼,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가 건물 외벽면에 닿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스프링부재(115)의 가압력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가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의 전방단부보다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을 수도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가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의 전방단부보다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실시예의 경우에도, "정상 청소상태"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상태와 마찬가지로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와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의 전방단부가 모두 유리창(100)에 닿은 상태가 된다. 17 to 22, when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110 is not in contact with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110 and the front end of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Although the height protruding to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may be approximately the same, as mentioned above, when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110 is not in contact with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the wiper is press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115. The front end of the blade 110 may be more protruded toward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han the front end of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Even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wiper blade 110 protrudes more toward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tha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the wiper is similar to the state shown in FIG. 17 in the "normal cleaning state". The front end of the blade 110 and the front end of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are in contact with the glass window 100.

청소로봇 조립체(1)가 "정상 청소상태"로 하강하다가 폐세척액 회수홈통(132)의 하면이 돌출부(300)에 접촉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가 시작되면서 와이퍼장치 이동부재(30)에 결합된 연결이동판(19)이 후퇴하기 시작하고 그에 따라 폐세척액 회수홈통(132) 역시 후퇴하게 되는데,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결합되어 있는 블레이드 고정부재(114)는,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스프링부재(115)에 의해 가압력을 받고 있으므로, 폐세척액 회수홈통(132)은 후퇴하더라도 와이퍼 블레이드(110)는 여전히 그 전방단부가 유리창(300)에 닿아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에 있으므로 와이퍼 이동부재(30)는 그 위치를 고수하지만 본체(20)는 정지하지 않고 계속 하강한다. 도 23에는 이와 같이 도 18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가 시작되어 폐세척액 회수홈통(132)은 돌출부를 벗어나도록 후퇴해 있고 와이퍼 블레이드(110)는 여전히 그 전방단부가 유리창(300)에 닿아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2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Whe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descends to the "normal cleaning st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ng trough 132 contacts the protrusion 300, as described above, the "original lowering state of the primary body only" starts. While the connection moving plate 19 coupled to the wiper device moving member 30 starts to retreat,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trough 132 is also retracted, and the blade fixing member 114 to which the wiper blade 110 is coupled ) Is pressurized by the spring member 115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o that the wiper blade 110 still has its front end in contact with the glass window 300 even when the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ng trough 132 is retracted. Will be maintained. At this time, since the wiper moving member 30 adheres to the position because it is in the " originally lowered state only of the primary body ", the main body 20 continues to descend without stopping. In FIG. 23, the " primary descending state of the first body only " is started following the state shown in FIG. 18 so that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trough 132 is retracted to be out of the protrusion and the wiper blade 110 is still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is shown corresponding to FIG. 23 showing a state where the front end touches the window 300.

앞서 도 17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 높이 이상으로 후퇴하게 되고, 후속하여 "제1차 와이퍼 이동부재의 가속 하강 상태"가 시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에서 폐세척액 회수홈통(132)이 돌출부(300)를 지나갈 정도로 후퇴한 후에는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가 일시 중지되어, 본체(20)와 와이퍼 이동부재(30)가 함께 하강하거나 또는 "와이퍼 이동부재의 추가 가속 하강 상태"가 진행된다. 도 24에는 이와 같이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가 일시 중지되어 본체(20)와 와이퍼 이동부재(30)가 함께 하강하거나 또는 "와이퍼 이동부재의 추가 가속 하강 상태"가 진행되어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에 닿은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폐세척액 회수홈통(132)은 돌출부(300)를 벗어난 상태로 후퇴하고 와이퍼 블레이드(110)는 스프링부재(115)에 의해 가압되어 그 전방단부가 유리창(100)에 닿은 상태에서는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가 일시 중지되어 본체(20)와 와이퍼 이동부재(30)가 서로 고정되어 함께 하강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유리창(100)을 긁으면서 내려오거나 또는 전술한 "제1차 와이퍼 이동부재의 가속 하강 상태"처럼 와이퍼 이동부재(30)가 본체(20)를 따라 하강하도록 상대운동하게 되어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유리창(100)을 긁으면서 내려와서 도 24에 도시된 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가 유리창(100)에 닿은 채로 와이퍼장치(10)가 하강하게 되어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의 바로 윗부분의 유리창까지도 닦아 내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의 바로 윗부분의 유리창까지도 닦아낸 도 24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에 닿지 않도록 후퇴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 25에 도시되어 있다. 도 25에서 점선은 도 24의 상태를 참고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2, the wiper blade 110 retreats above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in the " primary descending state of the primary body only " and subsequently the " primary wiper moving member " 23, bu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3, after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trough 132 retreats so as to pass through the protrusion part 300 in the " originally lowered state of the first body only " The "original lowering state of the primary body only" is paused, and the main body 20 and the wiper moving member 30 are lowered together or the "additional acceleration lowering state of the wiper moving member" is advanced. In FIG. 24, the " primary descending state of the primary body only " is temporarily suspended so that the main body 20 and the wiper moving member 30 descend together, or the “additional acceleration lowering state of the wiper moving member” proceed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is shown showing the blade 110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The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ng trough 132 is retracted out of the protrusion 300 and the wiper blade 110 is pressed by the spring member 115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waste washing liquid is pressed by the spring member 115. Only the original lowered state "is paused and the main body 20 and the wiper moving member 30 are fixed to each other and lowered together so that the wiper blade 110 descends while scratching the window 100 or the above-described" first order ". As shown in FIG. 24, the wiper moving member 30 moves relative to the main body 20 to descend along the main body 20 such that the wiper blade 110 descends while scratching the windshield 100. It will come. Therefore, the wiper device 10 is lowered while the front end of the wiper blade 110 is in contact with the glass window 100 so that the wiper blade 110 may wipe off the glass window directly above the protrusion 300. Thus, subsequent to the state shown in FIG. 24 in which the wiper blade 110 also wiped the glass window directly above the protrusion 300, the wiper blade 110 was retracted so as not to contact the protrusion 300. A cross-sectional side view is shown in FIG. 25. The dashed line in FIG. 25 illustrates the state of FIG. 24 for reference.

이와 같이 짧은 간격에 대해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유리창에 밀착한 상태로 하강한 후, 돌출부 감지센서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에 닿게 되는 것을 인지하게 되면, 잠시 멈춰있던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가 재시작하여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20)는 계속 하강하고 와이퍼 블레이드(110)는 돌출부(300)를 지나갈 수 있도록 후퇴하게 된다.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를 지나갈 수 있도록 후퇴한 후에는,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를 지나서 하강하게 되고, 다시 돌출부(300) 아래 위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유리창에 접촉하여 청소가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이 후퇴한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를 지나가는 작동부터는 앞서 도 17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After the wiper blade 110 descends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window for such a short interval, when the wiper blade 110 recognizes that the wiper blade 110 touches the protrusion 300 by a protrusion sensor, The original lowering state of the primary body only "is restarted so that the main body 20 continues to descend as shown in FIG. 25 and the wiper blade 110 retreats to pass through the protrusion 300. After the wiper blade 110 is retracted to pass through the protrusion 300, the wiper blade 110 descends past the protrusion 300, and again the wiper blade 110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below the protrusion 300. Cleaning is performed in contact with the wiper blade 110, and thus the repetition of the wiper blade 110 passing through the protrusion 30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2.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위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폐세척액 회수홈통(132) 사이의 작은 높이에서 유리창(100)의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3 to 25,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phenomenon that the window 100 is not cleaned at a small height between the wiper blade 110 and the waste washing liquid collecting trough 132. It becomes possible.

한편, 일반적으로 돌출부(300)의 돌출 높이는 대략 예상할 수 있거나 또는 사전이 미리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의 구성을 더욱 간소화시킨 아래의 구조에 의해서도 돌출부(300) 위쪽에 유리창 청소가 미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앞서 도 17 내지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와이퍼 블레이드(110)의 전방단부와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의 전방단부가 건물 외벽면으로 돌출된 높이가 대략 동일하게 만들되,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의 돌출길이를 길게 하여 청소로봇 조립체(1)가 하강할 때 폐세척액 회수홈통(132)이 돌출부(300)에 전혀 걸리지 않는 위치에 있게 만드는 것이다. 도 26에는 이와 같이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의 돌출길이를 길게 만든 실시예에서 폐세척액 흐름가이드 판(131)이 휨변형되면서 돌출부(300)를 통과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general,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300 can be roughly expected or often known in advance. In this case, the window structure can be prevented from cleaning up on the protrusion part 300 even by the following structure further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height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wiper blade 110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protrude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low guide plate 131 is long so that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trough 132 is in a position not caught at all by the protrusion 300 whe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descends. FIG. 26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passes through the protrusion 300 while being deflected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is long. It is.

폐세척액 흐름가이드판(131)은 와이퍼 블레이드(110)와 마찬가지로 고무나 합성수지 등과 같이 탄성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26에 도시된 것처럼 폐세척액 흐름가이드판(131)의 돌출길이를 길게 하여 청소로봇 조립체(1)가 하강할 때 폐세척액 회수홈통(132)이 돌출부(300)에 전혀 걸리지 않는 위치에 있게 만들게 되면, 청소로봇 조립체(1)가 하강하다가 돌출부(300)를 만나게 되더라도 폐세척액 흐름가이드판(131)은 휨변형되면서 돌출부(300)를 타 넘어가게 되고,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에 의해 하강이 저지되는 위치까지 "정상 청소상태"가 계속 유지되어 돌출부(300)의 바로 위쪽 유리창(100) 부분까지 와이퍼 블레이드(110)에 의해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돌출부(300)에 닿게 되는 시점에서 "제1차 본체만의 독자 하강 상태"가 시작되는 것이다. Like the wiper blade 110,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may be made of an elastic plate member such as rubber or synthetic resin. As shown in FIG. 26,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is cleaned by lengthening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If the waste washing liquid recovery trough 132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where the robot assembly 1 is lowered to the protrusion 300 at all,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descends and meets the protrusion 300, even though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s. The guide plate 131 is deflected while the protrusion 300 is overrun, and the "normal cleaning state" is continuously maintained until the wiper blade 110 is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by the protrusion 300 to protrude 300. Cleaning may be made by the wiper blade 110 up to the portion of the windshield 100 directly above. That is,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6, the "original lowering state of the primary body only" starts when the wiper blade 110 touches the protrusion 300.

비록 위와 같은 실시예에서 폐세척액 흐름가이드판(131)이 휨변형되면서 폐세척액 흐름가이드판(131)에 묻어 있던 폐세척액이 위쪽의 유리창(300)으로 튈 수 있지만, 폐세척액 흐름가이드판(131)의 위쪽은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막고 있고, 또 유리창에 튄 폐세척액은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닦아내므로 유리창(100)의 재오염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Although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is deflect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waste washing liquid buried in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may be lifted into the upper glass window 300, but the waste washing liquid flow guide plate 131 The wiper blade 110 is blocked at the upper side, and since the wiper blade 110 is wiped off, the waste washing liquid splashed on the glass window does not cause recontamination of the glass window 100.

10: 와이퍼장치
20: 본체
30: 와이퍼 이동부재
110: 와이퍼 블레이드
10: wiper device
20: main body
30: wiper moving member
110: wiper blade

Claims (6)

건물 외벽면(700)을 닦아 내는 청소로봇 조립체(1)와, 건물에 설치되어 청소로봇 조립체(1)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크레인과, 건물 외벽면(700)에 연직하게 설치되고 청소로봇 조립체(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승하강 레일(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1)는, 건물의 외벽면(700)에 접촉하여 오염물질을 긁어내는 와이퍼 블레이드(110) 및 세척액을 분사하는 노즐부재를 구비한 와이퍼장치(10)와, 상기 와이퍼장치(10)가 결합되어 있고 건물 외벽면(700)을 마주하여 하강하게 되는 본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1)에는 레일결합 구동장치(8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승하강 크레인은, 건물에 설치되는 케이블지지 프레임(200)과, 상기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에 강결되어 결합되어 있고 청소로봇 조립체(1)가 승하강 레일(60)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에서 청소로봇 조립체(1)가 요동하지 않은 채 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요동방지 횡프레임(210)과, 청소로봇 조립체(1)와 연결되는 케이블(201)과, 상기 케이블(201)을 풀어주거나 당기는 권취장치(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요동방지 횡프레임(210)은, 케이블지지 프레임(200)과 직교하여 강결 결합되어 있는 직교 수평부재(211)와, 상기 직교 수평부재(211)의 양단에서 각각 연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강결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고 건물 외벽면에 설치되는 승하강 레일(60)과 연속되도록 위치하게 되며 청소로봇 조립체(1)에 구비된 상기 레일결합 구동장치(80)가 결합되어 연직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연장레일(2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면의 청소장치.
A cleaning robot assembly (1) for wiping out the building exterior wall (700), a lifting crane (3) installed in the building to raise and lower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and installed vertically on the building exterior wall (700) and the cleaning robot assembly. It comprises a lifting rail 60 for guiding the lifting of (1);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ncludes a wiper device 10 having a wiper blade 110 for contacting an outer wall 700 of a building to scrape off contaminants, and a nozzle member for spraying a cleaning liquid, and the wiper device ( 10) is coupled and comprises a main body 20 which is lowered facing the building outer wall 700;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provided with a rail coupling drive (80);
The elevating crane is a cable support frame 200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the cable support frame 200 is rigidly coupled to the state before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coupled to the elevating rail (60). Anti-sway horizontal frame 210 for guid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to descend without shaking, the cable 201 connected to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and a winding device for releasing or pulling the cable 201. 230, including;
The oscillation preventing horizontal frame 210 is orthogonal to the cable support frame 200 is orthogonal horizontal member 211 is rigid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orthogonal horizontal member 211 and rigid It is coupled to the state and positione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elevating rail 60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rail coupling drive unit 80 provided i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coupled to guide to move vertically Cleaning device for a building outer wall surface comprising an extension rail (2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의 하부에는 횡방향 이동프레임(231)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 이동프레임(231)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건물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횡이동 레일(232)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동프레임(231)이 상기 횡이동 레일(232)을 따라 건물의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면의 청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transverse moving frame 231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cable support frame 200;
The transverse movement frame 231 is further provided with a transverse rail 232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building so as to be movably coupled,
The transverse movement frame 231 is cleaning device for the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m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uilding along the transverse rail (23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결합 구동장치(80)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바퀴부재(81)를 포함하고, 각각의 바퀴부재(81)는 양방향 댐퍼장치(82)에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양방향 댐퍼장치(82)는, 바퀴부재(8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바퀴장착빔(810)과, 상기 바퀴장착빔(810)과 결합되며 바퀴장착빔(810)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각각 바퀴장착빔(810)을 길이 방향 양측에서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가압부재(821)가 구비되어 있으며 본체(20)에 결합되는 탄성설치빔(820)으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설치빔(820)에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에는 길이 방향으로 2개의 탄성가압부재(821)가 배치되어 있으며;
2개의 바퀴장착빔(810) 사이를 이어주는 가교부가 상기 2개의 탄성가압부재(82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탄성설치빔(820)의 관통공을 가로질러 통과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면의 청소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ail coupling driving device 80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81, and each wheel member 81 is mounted to the bidirectional damper device 82.
The two-way damper device 82, the wheel mounting beam 810, the wheel member 81 is rotatably coupled, the wheel mounting beam 810 is coupled to the both sides of the wheel mounting beam 8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lastic pressing member 821 is formed of a spring for pressing the wheel mounting beams 810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mposed of an elastic mounting beam 820 coupled to the main body 20;
The elastic installation beam 82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wo elastic pressing members 821 ar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having a structure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elastic installation beam 820 so that the cross-linking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two wheel mounting beam 810 is located between the two elastic pressing member 821. Cotton clean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결합 구동장치(80)에 구비된 복수개의 바퀴부재(81)는 건물 외벽면 방향으로 본체(20)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면의 청소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81) provided in the rail coupling driving device (80) is a cleaning device for a building outer wall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20 in the direction of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결합 구동장치(80)에 구비된 복수개의 바퀴부재(81)에는 띠형태의 밴드가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면의 청소장치.
The method of claim 3,
Cleaning device for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band-shaped band is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81 provided in the rail coupling drive device (80).
건물 외벽면을 마주하여 하강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와 결합되어 있으며, 건물 외벽면에 전방단부가 접촉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된 와이퍼 블레이드(110)를 구비하여,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10)에 의해 건물 외벽면의 오염물질을 긁어내는 와이퍼장치(10)와;
건물의 외벽면(700)에 접촉하여 오염물질을 긁어내는 와이퍼 블레이드(110) 및 세척액을 분사하는 노즐부재를 구비한 와이퍼장치(10)와, 상기 와이퍼장치(10)가 결합되어 있고 건물 외벽면(700)을 마주하여 하강하게 되는 본체(20)가 구비되어 있는 건물 외벽면 청소로봇 조립체(1)를 이용한 건물 외벽면 청소방법으로서,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1)에는 레일결합 구동장치(80)를 설치하고;
건물에는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1)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크레인을 설치하며;
건물 외벽면(700)에는 청소로봇 조립체(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승하강 레일(60)을 연직하게 설치하되;
상기 승하강 크레인은, 건물에 설치되는 케이블지지 프레임(200)과, 상기 케이블지지 프레임(200)에 강결되어 결합되어 있고 청소로봇 조립체(1)가 승하강 레일(60)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에서 청소로봇 조립체(1)가 요동하지 않은 채 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요동방지 횡프레임(210)과, 청소로봇 조립체(1)와 연결되는 케이블(201)과, 상기 케이블(201)을 풀어주거나 당기는 권취장치(230)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요동방지 횡프레임(210)은, 케이블지지 프레임(200)과 직교하여 강결 결합되어 있는 직교 수평부재(211)와, 상기 직교 수평부재(211)의 양단에서 각각 연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강결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고 청소로봇 조립체(1)에 구비된 상기 레일결합 구동장치(80)가 결합되어 연직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연장레일(212)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연장레일(212)을 상기 승하강 레일(60)과 연속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일결합 구동장치(80)가 상기 연장레일(212)을 지나 상기 승하강 레일(60)로 진입하여 상기 승하강 레일(60)을 따라 움직이게 되어 상기 청소로봇 조립체(1)가 건물 외벽면(700)을 마주한 상태로 하강하면서 건물 외벽면(700)을 청소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로봇 조립체를 이용한 건물 외벽면의 청소 방법.
A main body 20 descending fac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0, and provided with a wiper blade 110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front end is in contact with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by the wiper blade 110 to scrape off the contaminants on the building outer wall surface. A wiper device 10;
The wiper device 10 having a wiper blade 110 for contacting the exterior wall surface 700 of the building to scrape off contaminants and a nozzle member for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and the wiper apparatus 10 are coupled to the exterio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cleaning method using a building exterior wall surface cleaning robot assembly (1) having a main body (20) which is lowered facing (700),
A rail coupling driving device (80) is installed i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A building elevating crane for elevat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The building outer wall 700 vertically installs a lifting rail 60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The elevating crane is a cable support frame 200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the cable support frame 200 is rigidly coupled to the state before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coupled to the elevating rail (60). Anti-sway horizontal frame 210 for guid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to descend without shaking, the cable 201 connected to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and a winding device for releasing or pulling the cable 201. To include 230;
The oscillation preventing horizontal frame 210 is orthogonal to the cable support frame 200 is orthogonal horizontal member 211 is rigid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orthogonal horizontal member 211 and rigi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xtension rail (212) that is coupled in the state and provided so that the rail coupling drive (80) provided in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is coupled to move vertically;
In the state where the extension rail 212 is positione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elevating rail 60, the rail coupling drive unit 80 enters the elevating rail 60 through the extension rail 212 and the The building using the cleaning robot assembly, which moves along the elevating rail 60 to clean the building outer wall 700 while the cleaning robot assembly 1 descends while facing the building outer wall 700. How to clean the outer wall surface.
KR1020120103198A 2012-03-21 2012-09-18 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 of Building and Cleaning Method of Building KR10136218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8890 2012-03-21
KR1020120028890 2012-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185A true KR20130107185A (en) 2013-10-01
KR101362182B1 KR101362182B1 (en) 2014-02-13

Family

ID=4963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198A KR101362182B1 (en) 2012-03-21 2012-09-18 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 of Building and Cleaning Method of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18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0180A1 (en) * 2017-11-27 2019-05-31 高建文 Improved support bracket structure for deploying-stowing type suspension apparatus
CN114148921A (en) * 2021-11-15 2022-03-08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南宁供电局 Transformer suspended core maintenanc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5774A (en) * 1971-01-20 1973-02-13 R Fannon Automatic window washer
JP2980498B2 (en) * 1993-10-20 1999-11-22 日本ビソー株式会社 Exterior wall cleaning robot
KR100901326B1 (en) * 2008-12-30 2009-06-09 박팔태 Apparatus for cleaning outer wall and window of building
KR101181540B1 (en) * 2010-06-14 2012-09-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Cleaning Exterior Wall of Build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0180A1 (en) * 2017-11-27 2019-05-31 高建文 Improved support bracket structure for deploying-stowing type suspension apparatus
CN114148921A (en) * 2021-11-15 2022-03-08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南宁供电局 Transformer suspended core maintenan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182B1 (en)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139B1 (en) Method for cleaning surface of building
KR101308976B1 (en) 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 of building
KR101621442B1 (en) Washing apparatus of expansion joint
KR1012760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Surface of Building
CN106388724B (en) Glass curtain wall cleaning robot
KR100898982B1 (en) An automatic washing device for a tunnel and a sound proof wall
EP3597491B1 (en) A washing arrangement for washing a surface of a target device and method for washing a surface of a target device using said washing arrangement
KR101054653B1 (en) Building Exterior Cleaning Robot
JPWO2019077757A1 (en) Non-contact wall cleaning device
KR101362182B1 (en) 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 of Building and Cleaning Method of Building
JP2016067902A (en) Solar panel cleaning device
KR1012760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Surface of Building
JP2014121680A (en) Cleaning apparatus
KR100852714B1 (en) An automatic washing device for a tunnel
KR101308974B1 (en) 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 of building
KR101308975B1 (en) 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 of building
CN113520207A (en) Cleaning robot with curtain wall surface detection function and working method
KR101571481B1 (en)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133173B1 (en) 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 of building
CN114286767A (en) Cleaning unit and method for cleaning an optical sensor device
KR102574919B1 (en) Roof lidar sensor cleaning device for automobiles
KR101857016B1 (en) Separated Apparatus and Method with Obstacle Avoiding Function for Cleaning an Window
KR101805517B1 (en) Integral Apparatus and Method with Obstacle Avoiding Function for Cleaning an Window
KR20230090580A (en) Sensor protection device and controlling system thereof
KR101826757B1 (en) Apparatus for cleaning window of building out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