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720A -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720A
KR20130106720A KR1020120028475A KR20120028475A KR20130106720A KR 20130106720 A KR20130106720 A KR 20130106720A KR 1020120028475 A KR1020120028475 A KR 1020120028475A KR 20120028475 A KR20120028475 A KR 20120028475A KR 20130106720 A KR20130106720 A KR 20130106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window
frame member
ho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길
Original Assignee
김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길 filed Critical 김영길
Priority to KR1020120028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6720A/ko
Publication of KR20130106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2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igid or slid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환기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창틀에 결합될 수 있고 내부가 관통되어 있는 틀 부재, 창호지를 포함하고, 상기 틀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한 층으로 형성된 필터부, 상기 필터부와 마주하고 상기 틀 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환기공이 형성된 환기부, 그리고 상기 필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환기부와 마주하고 상기 틀 부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기 장치{VENTILATION APPARATUS FOR WINDOW}
본 발명은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은 그 기능의 하나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창을 닫아 놓은 채, 실내를 장기간 밀폐시킨 상태에서 생활을 하다 보면, 실내공기가 오염되고, 이러한 오염된 실내공기는 인체에 많은 질병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실내와 외부를 통풍시켜 공기를 자주 환기함으로써, 실내에 각종 오염 물질들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 창문은 창문을 열고 환기를 시키는 경우에 강한 바람이 유입되거나 외부의 빗물이나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창문의 경우에는 단순히 외부 공기가 내부로 통해 유입되는 과정에서 매연이 함유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므로, 환기 자체의 기능을 상실할 뿐만 아니라 더 심할 경우에는 실내공기보다 더 나쁜 외부공기가 유입될 우려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212호 (2005.02.21.)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8349호 (2011.06.01.) 등록특허공보 제10-0656141호 (2006.12.05.)
본 발명은 필터부의 창호지를 외부요건으로부터 보호하고,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환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는, 내부가 관통된 틀 부재, 창호지를 포함하고, 상기 틀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한 층으로 형성된 필터부, 상기 필터부와 마주하고 상기 틀 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환기공이 형성된 환기부, 그리고 상기 필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환기부와 마주하고 상기 틀 부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는, 세로바와 가로바를 포함하며, 상기 세로바와 상기 가로바가 격자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틀 부재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세로바와 상기 가로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창호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창호지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끼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호지의 상부측과 하부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은 상기 세로바와 상기 가로바의 일면과 타면 또는 일면과 타면 중 선택된 어느 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기부는, 상기 틀 부재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환기공이 형성된 환기 몸체 및 상기 환기공을 가리며, 상기 환기 몸체의 외부면에 결합된 처마부를 포함하며, 상기 처마부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처마부의 일측은 상기 환기 몸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처마부의 타측은 상기 환기 몸체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처마부의 내부면과 상기 환기 몸체의 외부면이 마주하는 부분에 지그재그 형태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폐 가능하게 상기 틀 부재에 연결하는 경첩, 그리고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도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구멍을 열고 닫는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틀 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창틀에 걸릴 수 있는 걸림 부재 및 상기 틀 부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에 배치된 가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는, 양측이 개방된 환기 통로를 갖는 틀 부재, 상기 틀 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환기 통로 일측을 막으며 환기공이 형성된 환기부, 상기 틀 부재의 타측에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환기 통로 타측을 막으며 구멍이 형성된 개폐부, 그리고 창호지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 통로에 배치되며 외부면이 상기 환기 통로의 내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내부에 정화 공간이 형성된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화 공간은 상기 환기공과 연통되어 있고, 상기 구멍은 상기 환기 통로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환기부는, 환기 몸체, 상기 환기 몸체에 장착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환기공이 형성된 환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부는, 상기 환기관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고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복수의 리브가 배치된 연장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환기공 또는 상기 구멍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있는 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세로바와 가로바를 포함하며 상기 세로바와 상기 가로바가 격자 형태로 각각 결합되어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제1 창살과 제2 창살, 그리고 상기 제1 창살과 상기 제2 창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창호지가 상기 지지부의 외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창호지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끼움바를 포함하고, 상기 창호지와 마주하는 상기 제1 창살, 상기 제2 창,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는 상기 끼움바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에 장착된 상기 창호지는 상기 환기 통로와 상기 정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환기 통로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틀 부재에는 실내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내 유입공에 설치된 실내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창호지의 미세 구멍을 통과하면서 환기가 이루어지므로 창문이 열려 있음에도 창문이 닫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외 공기가 제1 및 제2 환기공으로 유입될 때 처마부와 환기 몸체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의 리브를 통과하게 되므로 실외에서 발생한 낙엽, 쓰레기 따위의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또한, 실외에서 발생한 미세 먼지의 경우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리브를 통과하면서 걸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브는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리브에 의하여 실외에서 발생한 소음이 처마부와 환기 몸체 사이를 통과할 때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처마부가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빗물과 같은 유체는 처마부를 타고 자연스럽게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빗물 따위의 오수가 제1 및 제2 환기공으로 유입되지 않아 필터부의 창호지가 오수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바에 의하여 창호지를 지지부에 고정하게 되므로 창호지를 지지부에 고정하기 위한 풀과 같은 접착제의 사용이 배제되어 환기 장치는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창호지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1 내지 제3 끼움홈에 끼움바를 끼움 결합하면서 창호지를 지지부에 고정하므로 창호지 교체에 따른 작업 효율이 향상되며, 창호지 교체에 따른 작업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 설치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환기 장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환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Ⅳ-Ⅳ선을 따라 환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A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한 환기부가 생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환기 장치를 확대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환기 장치에 연장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환기 장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Ⅲ-Ⅲ선을 따라 환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환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100)는 창틀, 벽에 설치되어 실내외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틀 부재(10), 필터부(20), 환기부(30), 그리고 개폐부(40)를 포함한다. 한편, 환기 장치(100)는 사람이 출입하는 출입문(도시하지 않음)에도 설치될 수 있다.
틀 부재(10)는 창문(2)을 달기 위한 틀인 창틀(1)에 설치된다. 틀 부재(10)는 창문(2)이 창틀(1)에 장착된 상태에서 창틀(1)에 결합된다. 그러나 창문(2)이 창틀(1)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창틀(1)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틀 부재(10)는 창틀(1)이 아닌 벽에 걸릴 수 있다.
이와 같은, 틀 부재(10)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바(12)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수평바(11)가 서로 연결되어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틀 부재(10)의 내부는 관통되어 있다. 틀 부재(10)의 외부 둘레면은 창틀(1)의 내부면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틀 부재(10)의 일면은 실내 공간을 향하고, 틀 부재(10)의 타면은 실외를 향한다. 그러나, 틀 부재(10)의 일면은 실외를 향하고, 타면은 실내를 향할 수도 있다.
틀 부재(10)의 외부 둘레면과 창틀(1)의 내부면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밀폐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밀폐부재는 고무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틀 부재(10)는 창틀(1)의 내부면에 설치되지 않고, 창틀(1)에 걸릴 수 있다. 이때 틀 부재(10)는 건물(도시하지 않음)의 내부에서 창틀(1)에 걸린다. 그러나 창틀(1)이 설치된 벽면에 걸릴 수도 있다. 틀 부재(10)와 창틀(1)이 마주하는 면에는 창틀(1)에 걸리는 걸림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돌출되어 있다. 걸림 부재는 벽면에 리벳, 볼트, 못 따위로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걸림 부재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틀 부재(10)는 목재, 합성수지, 알루미늄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틀 부재(10)의 내부를 폐쇄하여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필터부(20)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터부(20)는 지지부(21), 창호지(22), 그리고 끼움바(214)를 포함한다. 필터부(20)는 틀 부재(10)에 내부에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부(21)는 창호지(22)를 틀 부재(10)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외곽바(211), 가로바(212), 그리고 세로바(213)를 포함한다.
외곽바(211)는 틀 부재(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외곽바(211)는 틀 부재(10)의 내부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즉, 외곽바(211)의 외부 둘레면은 틀 부재(10)의 내부면에 접해 있다. 외곽바(211)와 틀 부재(10)의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해 고무 따위로 이루어진 밀폐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외곽바(211)는 틀 부재(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있다. 외곽바(211)는 틀 부재(10)에서 분리 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실내를 향하는 외곽바(211)의 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끼움홈(21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끼움홈(211a)은 외곽바(211)의 일면과 타면에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끼움홈(211a)은 3/4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끼움홈(211a)는 외곽바(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다. 그러나 외곽바(211)는 생략될 수 있다.
가로바(212)와 세로바(213)는 복수로 이루어져 간격을 두고 외곽바(211)의 틀 내부에 위치한다. 복수의 가로바(212)와 세로바(213)는 격자 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가로바(212)와 세로바(213)의 양끝은 외곽바(211)의 내부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외곽바(211)가 생략된 경우 가로바(212)와 세로바(213)의 끝은 틀 부재(10)의 내부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바(212)와 세로바(213)중 어느 하나만 틀 부재(10)의 내부면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바(212)와 세로바(213)의 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및 제3 끼움홈(212a, 21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끼움홈(212a, 213a)은 가로바(212)와 세로바(213)의 일면과 타면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및 제3 끼움홈(212a, 213a)은 3/4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및 제3 끼움홈(212a, 213a)은 가로바(212)와 세로바(213)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다. 외곽바(211), 가로바(212), 그리고 세로바(213)는 플라스틱,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창호지(22)는 틀 부재(10)의 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실내의 환기,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지부(21)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창호지(22)에는 창호지의 특성상 미세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미세한 구멍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내부 공기가 창호지(22)를 통과할 수 있다.
창호지(22)는 지지부(21)의 제1 내지 제3 끼움홈(211a, 212a, 213a)이 형성된 지지부(21)의 일면에 접해 있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끼움홈(211a, 212a, 213a)이 지지부(21)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형성된 경우 창호지(22)는 지지부(21)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위치한다.
한편, 먼지가 다소 큰 경우, 먼지가 창호지(22)의 미세한 구멍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큰 먼지가 창호지(22)를 통과할 수 있도록, 창호지(22)에는 통로(221)가 형성된다. 통로(221)의 직경은 2MM 내지 3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통로(221)의 직경을 한정하지 않는다. 통로(221)의 직경은 환기 장치(10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통로(221)는 창호지(22)가 지지부(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창호지(22)의 상부측에 형성된다. 그러나 통로(221)는 창호지(22)의 하부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통로(221)는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창호지(22)는 백색이며 투명도가 좋다. 창호지(22)는 빛이 약간 누르스름하고 줄진 결이 뚜렷하다. 창호지(22)를 통하여 환기 장치(100)는 전통문화나 유물 등 전통적으로 전해 내려오는 것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인 전통미를 취할 수 있다. 더욱이, 창호지(22)의 표면에는 동식물의 그림이 그려져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기 장치(100)의 전통미를 더할 수 있다. 아울러, 창호지(22)는 필터 역할을 하게 되어 창호지(22)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끼움바(214)는 창호지(22)를 지지부(21)에 고정하는 것으로 환봉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끼움바(214)는 제1 내지 제3 끼움홈(211a, 212a, 213a)의 개방된 곳을 통하여 제1 내지 제3 끼움홈(211a, 212a, 213a)의 내부로 끼워진다. 끼움바(214)는 창호지(22)를 감싸면서 제1 내지 제3 끼움홈(211a, 212a, 213a)에 끼워져 창호지(22)를 지지부(21)에 견고히 결합한다. 끼움바(214)는 가로바(212)와 세로바(213)에 먼저 결합된 다음 외곽바(211)에 결합되어 창호지(22)를 지지부(21)에 팽팽하게 결합한다. 끼움바(214)는 지지부(2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창호지(22)를 끼움바(214)로 지지부(21)에 고정할 때, 지지부(21)가 틀 부재(1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지지부(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창호지(22)가 지지부(21)에 고정되면 지지부(21)가 틀 부재(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21)가 틀 부재(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창호지(22)가 끼움바(214)로 지지부(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움바(214)를 제1 내지 제3 끼움홈(211a, 212a, 213a)에 끼움 결합하면서 창호지(22)를 지지부(21)에 고정할 수 있어 풀 따위의 접착제가 필요하지 않다. 이에 따라 전문 기술이 없는 일반 사용자들이 손쉽게 창호지를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부(20)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틀 부재(10)의 타면에 위치하며, 필터부(20)의 창호지(22)를 보호하는 환기부(30)에 대하여 설명한다.
환기부(30)는 환기 몸체(31), 처마부(32), 그리고 리브(33a, 33b)를 포함한다.
환기 몸체(31)는 얇은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환기 몸체(31)는 틀 부재(10)의 타면에 장착되어 내측면이 필터부(20)와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환기 몸체(31)의 외곽 부분이 틀 부재(10)의 타면에 결합된다. 환기 몸체(31)는 실리콘, 리벳, 볼트 따위로 틀 부재(10)에 고정될 수 있다. 틀 부재(10)에 고정된 환기 몸체(31)의 외측면은 실외를 향한다. 이에 따라 환기 몸체(31)의 외측면은 창문(2)과 마주하며, 내측면은 필터부(20)와 마주한다.
환기 몸체(31)가 틀 부재(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측 부분과 하부측 부분에는 제1 및 제2 환기공(311, 3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환기공(311)은 환기 몸체(31) 상부측에 위치한다. 즉, 제1 및 제2 환기공(311, 312)은 환기 몸체(31)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아울러, 제1 환기공(311)은 창호지(22)의 통로(221)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그러나 제2 환기공(312)이 창호지(22)의 통로(221)와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환기 몸체(31)는 금속, 유리, 아크릴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처마부(32)는 환기 몸체(31)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환기공(311, 312)을 은폐시킨다. 처마부(32)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처마부(32)의 상부측은 환기 몸체(31)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측은 환기 몸체(31)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때 처마부(32)의 하부측은 제1 및 제2 환기공(311, 312) 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처마부(32)의 내측면은 제1 및 제2 환기공(311, 312)과 마주한다. 아울러, 처마부(32)의 양단부 또한 환기 몸체(31)와 연결되어 있다.
환기 몸체(31)의 제1 및 제2 환기공(311, 312)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거나, 건물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공기는 필터부(20)를 통과한다.
처마부(32)가 제1 및 제2 통로(221)를 은폐하고 있어 빗물 및 오수와 같은 유체가 제1 및 제2 환기공(311, 312)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유체가 필터부(20)에 접촉되지 않는다. 유체가 필터부(20)에 접촉되지 않아 유체에 의하여 창호지(2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처마부(32)는 환기 몸체(31)와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리브(33a, 33b)는 처마부(32)의 내측면과 환기 몸체(31)의 외측면 사이에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리브(33a)는 처마부(32)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제2 리브(33b)는 제1 리브(33a)와 떨어져 있으며 환기 몸체(31)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제1 리브(33a)는 환기 몸체(31)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제2 리브(33b)는 처마부(32)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리브(33a, 33b)는 곡면 형태로 형성하여 제1 및 제2 환기공(311, 312)으로 유입되는 소음이 처마부(32)와 환기 몸체(31) 사이에서 체류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리브(33a, 33b)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소음이 체류하게 되어 제1 및 제2 환기공(311, 312)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절감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리브(33a, 33b)는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기부(30)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필터부(20)를 보호하면서, 필터부(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40)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폐부(40)는 틀 부재(10)의 일면에 위치하여 실내를 향하며, 도어(41), 손잡이(414), 경첩(413), 그리고 조절 부재(42)를 포함한다. 그러나 조절 부재(42)는 생략될 수 있다.
도어(41)는 얇은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어(41)는 틀 부재(10)의 일면에 장착되어 필터부(20)와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이에 따라 도어(41)의 내측면은 필터부(20)와 마주하고, 도어(41)의 외측면은 건물의 내부를 향한다. 그러나 환기부(30)가 생략된 경우 도어(41)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틀 부재(10)의 타면에 환기부(30) 대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어(41)의 일측 가장자리는 경첩(413)으로 틀 부재(10)에 연결되어 있다. 도어(41)는 경첩(413)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41)는 틀 부재(10)의 일면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41)가 열리면 필터부(20)가 노출된다. 도어(41)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도어(41)의 외측면 일측에는 손잡이(4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414)의 형상과 모양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어(41)가 틀 부재(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측 부분과 하부측 부분에는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의 직경은 4MM 내지 5MM 이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의 크기를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의 직경은 환기 장치(10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은 도어(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멍(411)은 도어(41)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제2 구멍(412)은 도어(41)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구멍(411)은 창호지(22)의 통로(221)와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어(41)를 통하여 틀 내부(10)가 보일 수 있도록 도어(41)는 투명한 유리, 아크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어(41)가 투명하게 형성되면 환기 장치(100) 외부에서 틀 내부(10)가 보일 수 있다. 이때 필터부(20)의 창호지(22)가 노출되어 환기 장치(100)는 전통미를 부각 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어(41)는 금속, 목재 따위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조절 부재(42)는 얇은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구멍(411, 412) 부분에 위치한다. 조절 부재(42)는 도어(41)의 내측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절 부재(42)는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을 열고 닫는다. 조절 부재(42)에는 제1 및 제2 구멍(411, 412)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조절 구멍(421)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조절 구멍(421)의 직경은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의 직경과 동일하다. 그러나, 조절 구멍(421)은 조절 부재(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조절 부재(42)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조절 구멍(421)과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의 중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 구멍(421)과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의 중첩 정도에 따라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의 크기가 조절된다.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의 크기가 조절되면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조절 구멍(421)이 제1 및 제2 구멍(411, 412)과 중첩되지 않고, 도어(41)의 표면과 중첩되면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은 폐쇄된다.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이 폐쇄되면 외부공기는 실내로 유입되지 않고, 실내 공기는 실외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틀 부재(10)의 내부에는 필터부(20)를 통과하여 개폐부(40)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가열장치가 온(ON) 오프(OFF)를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컨트롤는 가열장치가 3분 동안 가열되고 1분 동안 정지하도록 컨트롤러 할 수 있다.
또한, 틀 부재(10)에는 실내 유입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실내 유입공을 통하여 실내의 공기가 틀 부재(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아울러, 실내 유입공에는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도시하지 않음)가 위치할 수 있다. 필터는 위 실시예에서 설명한 필터부(20)와 동일 유사하다.
또한, 개폐부(40)에는 휀(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휀은 틀 부재(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킨다. 즉, 휀의 구동에 의하여 실외 공기는 환기부(30)를 통하여 틀 부재(10) 내부로 유입되고, 실내 공기는 실내 유입공을 통하여 틀 부재(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공기는 필터부(20)와 필터에 의하여 정화된다. 정화된 공기는 지속적인 휀의 구동에 의하여 실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실내의 공기가 실내 유입공으로 유입되므로 실내 공기는 순환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100)는 건물 신축 또는 리모델링 공사 시 설치된다. 필터부(20), 개폐부(40) 및 환기부(30)가 틀 부재(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틀 부재(10)는 창틀(1)의 내부에 장착된다. 그러나 틀 부재(10)는 걸이 부재를 용이하여 창틀(1)에 걸릴 수 있다. 틀 부재(10)를 장착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틀 부재(10)를 장착할 때 개폐부(40)는 실내를 향하도록 하고, 환기부(30)는 실외를 향하도록 하여 창틀(1)에 장착한다. 틀 부재(10)가 창틀(1)에 장착될 때 창문(2)은 창틀(1)에서 어느 정도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창문(2)은 창틀(1)에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틀 부재(10)는 창틀(1) 이외에도 출입문(도시하지 않음) 또는 벽에 설치될 수 있다.
틀 부재(10)에 벽에 설치될 경우 제1 및 제2 환기공(311, 312)에는 건물 외부와 연결하는 배관(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된다.
틀 부재(10)가 창틀(1)에 장착되면 창문(2)이 열려 있으므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필터부(20)를 통과하면서 환기가 이루어진다. 이때 창문(2)이 열려 있어도 필터부(20)에 의하여 창문(2)이 닫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실외 공기는 제1 및 제2 환기공(311, 312)을 통하여 틀 부재(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틀 부재(10)로 유입된 공기는 창호지(22)의 미세한 구멍을 통과하게 된다. 창호지(22)를 통과한 실외 공기는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된다. 이때 가열장치가 작동 상태를 유지하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가열되어 실내로 유입된다. 가열된 공기에 의하여 환기 장치(100) 장치는 공기를 정화한 동시에 온풍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내 공기는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을 통하여 틀 부재(10) 내부로 유입되고, 틀 부재(10)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창호지(22)의 미세한 구멍을 통과한다. 창호지(22)를 통과한 실내 공기는 제1 및 제2 환기공(311, 312)을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면서 환기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실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때 실내와 실외 공기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실내 공기는 제1 구멍(411)과 제1 환기공(311)을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고, 실외 공기는 제2 환기공(312)과 제2 구멍(412)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된다. 즉, 따뜻한 공기는 제1 구멍(411)과 제1 환기공(311)을 통하여 이동하고, 차가운 공기는 제2 환기공(312)과 제2 구멍(412)을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계절에 따라 실내 및 실외 공기가 이동하는 부분은 달라질 수 있다.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창호지(22)의 미세 구멍을 통과하면서 환기가 이루어지므로 창문(2)이 열려 있음에도 창문(2)이 닫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환기 정도를 조절해야 할 경우 조절 부재(42)의 위치를 변경하면 조절 구멍(421)과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의 중첩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조절 구멍(421)과 제1 및 제2 구멍(411, 412)의 중첩 정도가 많아지면 환기량은 많아진다. 이와 반대로 조절 구멍(421)과 제1 미 제2 구멍(412)의 중첩 정도가 작아지면 환기량이 감소된다. 이와 같이 환기량을 조절하여 실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더불어, 실내에서 발생한 먼지 따위는 제1 구멍(411), 창호지(22)의 통로(221) 및 제1 환기공(311)을 통하여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실내에서 발생한 먼지가 통로(221)를 통과하게 되므로 창호지(22)에 걸리지 않고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실외 공기가 제1 및 제2 환기공(311, 312)으로 유입될 때 처마부(32)와 환기 몸체(31)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의 리브(33a, 33b)를 통과하게 되므로 실외에서 발생한 낙엽, 쓰레기 따위의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또한, 실외에서 발생한 미세 먼지의 경우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리브(33a, 33b)를 통과하면서 걸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브(33a, 33b)는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리브(33a, 33b)에 의하여 실외에서 발생한 소음이 처마부(32)와 환기 몸체(31) 사이를 통과할 때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처마부(32)가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빗물과 같은 유체는 처마부(32)를 타고 자연스럽게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빗물 따위의 오수가 제1 및 제2 환기공(311, 312)으로 유입되지 않아 필터부(20)의 창호지(22)가 오수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는다.
아울러, 창호지(22)를 교체해야 할 경우, 개폐부(40)의 도어(41)를 개방한 뒤 필터부(20)를 틀 부재(10) 내부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끼움바(214)를 제1 내지 제3 끼움홈(211a, 212a, 213a)에서 분리한다. 끼움바(214)가 제1 내지 제3 끼움홈(211a, 212a, 213a)에서 분리되면 창호지(22)를 지지부(21)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창호지(22)를 지지부(21)에 위치 시킨 다음 끼움바(214)를 제1 내지 제3 끼움홈(211a, 212a, 213a)에 결합하여 창호지(22)를 지지부(21)에 고정한다. 이때 가로바(212) 부분에 끼움바(214)를 먼저 끼움 결합하고 세로바(213)에 끼움바(214)를 결합한다. 그리고 외곽바(211) 부분에 끼움바(214)를 끼움 결합한다. 이와 같은 끼움바(214)의 결합 순서는 작업 상황 및 창호지(22)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끼움바(214)를 제1 내지 제3 끼움홈(211a, 212a, 213a)에 끼움 결합하게 되어 풀과 같은 접착제의 사용이 배제되어 친환경적이다. 창호지(22)가 지지부(21)에 고정되면 필터부(20)를 틀 부재(10)의 내부에 장착한다.
한편, 필터부(20)를 틀 부재(10)에서 분리하지 않고, 창호지(22)를 교체할 수 있다. 즉, 지지부(21)가 틀 부재(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끼움바(214)를 지지부(21)에서 분리하여 창호지(22)를 교체한다. 창호지(22) 교체는 실내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창호지(22)를 교체한 뒤 개폐부(40)의 도어(41)를 닫으면 창호지(22) 교체 작업이 완료된다.
아울러, 필터부(20)의 창호지(22)가 틀 부재(10)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개폐부(40)의 도어(41)를 통해 노출되므로 환기 장치(100)는 전통미가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부(30)가 생략된 경우, 환기 장치(100)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환기부(30) 위치에 개폐부(40)와 동일한 개폐부(40)가 설치된다. 그리고 개폐부(40)에는 창문(2)과 연결된 배관(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을 통하여 실외 공기가 틀 부재(10) 내부에 위치한 필터부(20)와 개폐부(40)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공기가 개폐부(40)와 필터부(20) 및 배관을 통하여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기 장치(100)가 벽면에 설치될 경우 액자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창호지(22)의 미감이 개폐부(40)의 도어(41)를 통하여 노출되므로 창호지(22)를 통한 전통미가 높아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환기 장치(100)가 창틀(1), 출입문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어 액자로 이용되면서 환기를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환기 장치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500)는 베란다와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벽면, 또는 베란다와 실외를 구획하는 창 따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틀 부재(510), 환기부(520), 개폐부(530), 필터부(50), 그리고 휀(550)을 포함한다. 그러나 휀(550)은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틀 부재(510)는 한 쌍의 수직바와 한 쌍의 수평바가 서로 연결되어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수직바와 수평바가 서로 연결되어 틀 부재(510)의 내부는 관통된다. 즉, 틀 부재(510)의 내부에는 양측이 개방된 환기 통로(511c)가 형성된다.
아울러, 환기 통로(511c)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가열 장치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러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가열 장치는 작동한다. 예컨대, 가열 장치는 컨트롤러에 의하여 3분 작동 1분 정지를 반복적으로 실시한다.
이와 같은 틀 부재(51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틀 부재(10)의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틀 부재(5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환기부(520)는 틀 부재(5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환기 통로(511c)의 일측을 막는 것으로 환기 몸체(521) 및 환기관(522)을 포함한다.
환기 몸체(521)는 틀 부재(510)의 일측에 장착되어 환기 통로(511c)의 일측을 막는다. 이때 환기 통로(511c)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환기 몸체(521)의 중앙에는 환기공(522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환기 몸체(521)는 금속, 유리, 아크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환기관(522)은 환기공(522a)에 설치되어 있다. 환기관(522)의 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환기관(522)은 환기 통로(511c)를 외부와 연통시킨다. 이때 환기관(522)의 일측은 환기 몸체(521)의 내부면에서 환기 통로(511c)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환기관(522)의 타측은 환기 몸체(521)의 외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관(522)의 타측에는 연장관(523)이 장착될 수 있다. 연장관(523)은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환기관(522)에 연장관(523)이 설치될 경우 환기 장치(500)는 벽면에 설치되지 않고 창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장관(523)의 끝은 창틀에 설치된 창을 관통하여 창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창이 열린 상태에서 연장관(523)의 끝이 창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관(523)의 내부에는 리브(523a)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브(523a)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리브(33a, 33b)의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리브(523a)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개폐부(530)는 틀 부재(510)의 타측에 장착되어 환기 통로(511c)의 타측을 막는 것으로, 도어(531), 경첩(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조절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도어(531)는 얇은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어(531)는 틀 부재(510)의 타측에 위치한다. 도어(531)의 일측 가장자리는 틀 부재(510)의 타측에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어(531)는 경첩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환기 통로(511c)의 타측을 개방할 수 있다. 도어(531)를 개방할 때 사용자가 도어(531)를 잡을 수 있도록 도어(531)의 타측에는 손잡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531)를 통하여 환기 통로(511c)가 환기 장치(500)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아크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도어(531)는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도어(531)의 가운데 부분에는 환기 통로(511c)를 실내 공간과 연통시키는 구멍(531a)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531a)은 원형 또는 장홀 형태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멍(531a)이 장홀 형태로 형성될 경우 도어(531)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구멍(531a)은 도어(531)의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의 구멍(531a)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체(532)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장홀 형태의 구멍(도시하지 않음)에는 관체(532)가 설치되지 않는다. 아울러, 원형의 구멍(531a)에도 관체(532)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관체(532)는 도어(531)의 외부면에서 실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환기 통로(511c)의 공기가 관체(532)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실내의 공기가 관체(532)를 통하여 환기 통로(511c)로 유입될 수도 있다.
한편, 구멍(531a)에는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조절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 부재는 도 1 내지 도 7 도시한 조절 부재(42)와 대체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조절 부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필터부(50)는 환기 통로(511c)에 위치하여 환기관(522)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다. 필터부(50)의 외부면은 환기 통로(511c)의 내부면, 환기 몸체(521) 내부면 그리고, 도어(531)의 내부면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필터부(5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내부에는 정화 공간(5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필터부(50)는 환기 통로(511c)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을 여과하는 것으로, 지지부(51), 창호지(52), 그리고 끼움바(53)를 포함한다.
지지부(51)는 정화 공간(51a)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 창살(511), 제2 창살(512), 그리고 연결부(513)를 포함한다.
제1 창살(511)과 제2 창살(512)은 가로바(511a, 512a)와 세로바(도시하지 않음)가 서로 연결되어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창살(511)과 제2 창살(512)은 간격을 두고 마주하여 제1 창살(511)과 제2 창살(512)의 사이에는 정화 공간(51a)이 형성된다.
마주하는 제1 창살(511)과 제2 창살(512)을 연결부(513)가 연결한다. 연결부(513)는 제1 창살(511)과 제2 창살(5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제1 창살(511)은 환기 몸체(521)와 마주하고, 제2 창살(512)은 도어(531)와 마주한다. 그러나, 제1 창살(511)이 도어(531)와 마주하고, 제2 창살(512)이 환기 몸체(521)와 마주할 수 있다. 제1 창살(511)은 환기관(522)의 일측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창살(511)에는 환기관(522)이 일측이 관통한다. 그러나, 제2 창살(512)이 환기 몸체(521)와 마주할 경우 환기관(522)의 일측은 제2 창살(512)을 관통한다.
아울러, 제1 창살(511)과 제2 창살(512)의 가로바(511a, 512a)와 세로바의 외부면, 그리고 연결부(513)의 외부면에는 각각 끼움홈(511b, 51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연결부(513)의 외부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지지부(51)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지지부(21)의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51)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창호지(52)는 지지부(51)의 외부면에 위치하며 정화 공간(51a)과 환기 통로(511c)를 구획하며,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한다. 이와 같은 창호지(52)는 복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창호지(52)가 환기 통로(511c)에 위치하면서 환기 몸체(521)와 도어(531)에 의해 환기 장치(200) 외부와 차단되어 외부 요건으로부터 창호지(52)가 보호된다. 외부 요건은 창호지(52)에 가해지는 충격, 창호지(52)에 젖게 하는 물 따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지(52)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창호지(22)의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창호지(5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끼움바(53)는 지지부(51) 외부면에 위치한 창호지(52)를 지지부(51)의 가로바(511a, 512a)와 세로바에 형성된 끼움홈(511b, 512b)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끼움바(53)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끼움바(53)의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끼움바(5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휀(550)은 환기 통로(511c)에 위치한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휀(550)은 환기 통로(511c)의 공기를 실내로 보낸다. 그러나, 실내의 공기를 환기 통로(511c)로 보내어 건물 외부로 보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휀(550)은 관체(532)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휀(550)은 환기관(522)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관체(532)가 생략된 경우, 휀(550)은 도어(531)의 구멍(531a)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틀 부재(5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 유입공(51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유입공(510a)에는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을 거르는 실내 필터부(510b)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실내 필터부(510b)의 구성과 작용은 전술된 필터부(50)와 동일한 것으로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다시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5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500)는 베란다와 실내를 구획하는 벽면 또는 베란다와 건물 외부를 구획하는 창에 설치될 수 있다. 환기 장치(500)가 벽면에 설치될 경우, 벽면에 실내와 베란다 연통시키는 연통홀을 형성한다.
벽면에 연통홀이 형성되면 환기 장치(500)를 실내에서 벽면에 위치시킨다. 이때 환기관(522)의 타측을 연통홀로 삽입시킨다. 환기관(522)을 연통홀에 삽입 시킴으로써 환기 장치(500)를 벽면에 고정하게 되어 환기 장치(50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환기 장치(500)를 벽면에 견고히 설치하기 위하여 틀 부재(510)와 벽면에 볼트 따위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환기관(522)에 연장관(523)이 설치된 경우, 환기 장치(200)는 베란다와 건물 외부를 구획하는 창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창에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창에 형성된 구멍에 환기관(522)의 타측을 삽입시켜 건물 외부로 노출시킨다. 창의 구멍에 환기관(522)을 삽입하므로 환기 장치(500)를 창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환기 장치(5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틀 부재(510)와 창 사이에 흡착판(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창을 열고 창틀에 환기 장치(5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환기관(522)은 열린 창과 창틀 사이를 통하여 건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기 장치(500)가 설치되면 휀(550)을 가동한다. 휀(550)의 가동으로 환기 통로(511c)의 공기가 관체(532)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 공기는 실내 유입공(510a)을 통하여 환기 통로(511c)로 유입된다.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은 실내 필터부(510b)에 의해 정화된다.
이때 휀(550)이 지속적으로 가동하게 되면 환기 통로(511c)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실외 공기가 환기관(522)을 통하여 정화 공간(51a)으로 유입될 수 있다. 환기관(522)으로 유입된 공기는 정화 공간(51a)을 거쳐 미세 구멍을 갖는 필터부(50)의 창호지(52)를 통하여 환기 통로(511c)로 유입된다.
공기가 창호지(52)를 통과할 때 창호지(52)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창호지(52)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이 정화 공간(51a)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실내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이물질에 의한 혐오감이 발생하지 않는다.
창호지(52)를 통과하여 환기 통로(511c)로 유입된 공기는 정화된 깨끗한 공기이다. 필터부(50)를 통하여 환기 통로(511c)로 유입된 공기와 실내 필터부(510b)를 통하여 환기 통로(511c)로 유입된 공기는 관체(532)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기 장치(500)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실내의 탁한 공기를 맑은 공기로 바꾸게 된다. 또한, 실내 공기가 환기 장치(500)로 유입된 관체(532)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유입되므로 실내 공기 순환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환기 장치(500)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된 공기는 실내 공기를 환기하면서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휀(550)의 가동을 멈추면 자연적인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실내외 공기가 환기 장치(500)의 통과하면서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환기 통로(511c)에 설치된 가열 장치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는 가열될 수 있다. 가열된 공기에 의하여 환기 장치(500)는 온풍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휀(550)에 의하여 정화된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고, 실내로 유입된 공기는 출입문 틈새로 배출되거나, 틈새로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연장관(523)이 설치된 경우, 연장관(523) 내부에 설치된 리브(523a)들은 연장관(523)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절감하는 동시에 이물질 유입을 차단한다.
아울러, 휀(550)의 설치 상태에 따라 또는 휀(550)이 가동하는 방향에 따라 실내 공기가 실외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휀(550)이 가동하면 실내 공기는 구멍(531a)을 통하여 환기 통로(511c)로 유입되고, 환기 통로(511c)로 유입된 공기는 미세 구멍을 갖는 필터부(50)의 창호지(52)를 통과하여 정화 공간(51a)으로 유입된다. 정화 공간(51a)으로 유입된 공기는 환기공(522a)을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필터부(50)의 창호지(52)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필터부(20)의 창호지(22)와 같이 교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지(52)의 교체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창호지(22)의 교체 방법과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지(52)의 교체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창틀 2: 창문
100, 500: 환기 장치
10, 510: 틀 부재
11: 수평바 12: 수직바 510c: 환기 통로
20, 50: 필터부
21, 51: 지지부 211: 외곽바 211a: 제1 끼움홈 212: 가로바 212a: 제2 끼움홈 213: 세로바 213a: 제3 끼움홈 214, 513: 끼움바
51a: 정화 공간 511: 제1 창살 512: 제2 창살 511a: 가로바 511b: 끼움홈 513: 연결부
22, 52: 창호지 221: 통로
30, 520: 환기부
31, 521: 환기 몸체 311: 제1 환기공 312: 제2 환기공
522: 환기관 522a: 환기공 523: 연장관 523a: 리브
32: 처마부
33a: 제1 리브 33b: 제2 리브
40, 530: 개폐부
41, 531: 도어 411: 제1 구멍 412: 제2 구멍 413: 경첩 414: 손잡이
531a: 구멍 532: 관체
42: 조절 부재 421: 조절 구멍
550: 휀

Claims (16)

  1. 내부가 관통된 틀 부재,
    창호지를 포함하고, 상기 틀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한 층으로 형성된 필터부,
    상기 필터부와 마주하고 상기 틀 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환기공이 형성된 환기부, 그리고
    상기 필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환기부와 마주하고 상기 틀 부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개폐부
    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필터부는,
    세로바와 가로바를 포함하며, 상기 세로바와 상기 가로바가 격자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틀 부재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세로바와 상기 가로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창호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창호지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끼움바
    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창호지의 상부측과 하부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환기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끼움홈은 상기 세로바와 상기 가로바의 일면과 타면 또는 일면과 타면 중 선택된 어느 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환기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환기부는,
    상기 틀 부재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환기공이 형성된 환기 몸체 및
    상기 환기공을 가리며, 상기 환기 몸체의 외부면에 결합된 처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처마부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처마부의 일측은 상기 환기 몸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처마부의 타측은 상기 환기 몸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환기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처마부의 내부면과 상기 환기 몸체의 외부면이 마주하는 부분에 지그재그 형태로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환기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폐 가능하게 상기 틀 부재에 연결하는 경첩, 그리고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도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구멍을 열고 닫는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환기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틀 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창틀에 걸릴 수 있는 걸림 부재 및
    상기 틀 부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에 배치된 가열 장치
    를 더 포함하는 환기 장치.
  10. 양측이 개방된 환기 통로를 갖는 틀 부재
    상기 틀 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환기 통로 일측을 막으며 환기공이 형성된 환기부,
    상기 틀 부재의 타측에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환기 통로 타측을 막으며 구멍이 형성된 개폐부, 그리고
    창호지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 통로에 배치되며 외부면이 상기 환기 통로의 내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내부에 정화 공간이 형성된 필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정화 공간은 상기 환기공과 연통되어 있고, 상기 구멍은 상기 환기 통로와 연통되어 있는
    환기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환기부는,
    환기 몸체,
    상기 환기 몸체에 장착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환기공이 형성된 환기관
    을 포함하는
    환기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환기부는,
    상기 환기관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고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복수의 리브가 배치된 연장관을 더 포함하는
    환기 장치.
  13. 제10항에서,
    상기 환기공 또는 상기 구멍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있는 휀을 더 포함하는 환기 장치.
  14. 제10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필터부는,
    세로바와 가로바를 포함하며 상기 세로바와 상기 가로바가 격자 형태로 각각 결합되어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제1 창살과 제2 창살, 그리고 상기 제1 창살과 상기 제2 창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창호지가 상기 지지부의 외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창호지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끼움바
    를 포함하고,
    상기 창호지와 마주하는 상기 제1 창살, 상기 제2 창,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는 상기 끼움바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에 장착된 상기 창호지는 상기 환기 통로와 상기 정화 공간을 구획하는
    환기 장치.
  15. 제10항에서,
    상기 환기 통로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 장치를 더 포함하는 환기 장치.
  16. 제10항에서,
    상기 틀 부재에는 실내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내 유입공에 설치된 실내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환기 장치.
KR1020120028475A 2012-03-20 2012-03-20 환기 장치 KR20130106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475A KR20130106720A (ko) 2012-03-20 2012-03-20 환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475A KR20130106720A (ko) 2012-03-20 2012-03-20 환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720A true KR20130106720A (ko) 2013-09-30

Family

ID=4945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475A KR20130106720A (ko) 2012-03-20 2012-03-20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67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891A (ko) 2016-08-17 2018-02-27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액티브 스타일러스 펜, 이를 갖는 터치 센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센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891A (ko) 2016-08-17 2018-02-27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액티브 스타일러스 펜, 이를 갖는 터치 센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센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09266A (ja) 空気自動浄化窓
CN107036223A (zh) 多功能室内新风空调设备
CN108291737A (zh) 通风并生物净化环境内外空气的模块及相关方法
ES2926657T3 (es) Un sistema de ventana de techo con una unidad de ventilación montada adyacente a la ventana de techo, una estructura de techo que incluye un sistema de ventana de techo, un método para proporcionar un sistema de ventana de techo y un método para adaptar un sistema de ventana de techo
KR20010096630A (ko) 에너지 절약형 다기능 환기 창호
KR20200113529A (ko) 실내 환기 및 공기정화 창문
CN106014156B (zh) 一种多功能空气净化智能通风窗
CN106152329A (zh) 太阳能保温窗及节能通风空调系统
DK180278B1 (en) A roof window system comprising a ventilation assembly with an exhaust device
KR20130106720A (ko) 환기 장치
RU136541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60134503A (ko) 사계절용 실내공기 환기와 정화 및 자동 시스템의 이중복합창
CN210483135U (zh) 一种通风采光的建筑物
KR200418516Y1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RU120691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534370B1 (ko) 커튼월 구조를 갖는 환기 시스템
RU91412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KR200424327Y1 (ko) 환기장치
KR100670668B1 (ko) 공기 공급장치
RU2267593C1 (ru) Ок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CN205579747U (zh) 自浸百叶式空气净化窗
KR101480323B1 (ko) 기존 건축물을 활용한 실내환기 장치.
KR100763418B1 (ko) 환기장치
CN110847456A (zh) 建筑立面框架及建筑立面系统
KR102586808B1 (ko) 공기청정기 겸용 환기시스템 프레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