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540A -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540A
KR20130106540A KR1020120028154A KR20120028154A KR20130106540A KR 20130106540 A KR20130106540 A KR 20130106540A KR 1020120028154 A KR1020120028154 A KR 1020120028154A KR 20120028154 A KR20120028154 A KR 20120028154A KR 20130106540 A KR20130106540 A KR 20130106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age
water
drainage chamb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식
Original Assignee
이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식 filed Critical 이광식
Priority to KR102012002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6540A/ko
Publication of KR20130106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에서 빠져나온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발명한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주면을 상부로 신장시켜 내측에 화분(C) 거치영역(12)이 형성되도록 한 오목접시 형태의 받침용기(11)의 중앙을 하방으로 함몰시켜 함몰부(14)를 형성하고, 함몰부(14)의 내측에 거치영역(12)과 통하는 배수실(14a)을 마련하며, 함몰부(14)의 일측에 배수구(15)를 설치하여 배수구(15)를 통해 배수실(14a)로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통을 분리·결합하여 물을 배출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구에 연결 호스를 연결하면 배수실에 집수된 물이 지속적으로 배출되므로 관리상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분 받침대{a flowerpot supporter}
본 발명은 화분 받침대에 관한 발명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화분에서 빠져나온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발명한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양한 화초를 식재재해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화분은 도기나 수지제품 등으로 제조되며, 화분의 저부에는 공급된 물을 배출시켜 주기 위한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다.
시중에는 다양한 형태의 화분 받침대가 제공되고 있는데, 상기 화분 받침대는 배수공을 통해 빠져나온 이물질이나 물기가 바닥에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수분의 배출이 비교적 적은 소형의 화분을 받쳐주기 위한 화분 받침대는 별도의 배수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대형 화분은 수분의 배출이 많기 때문에 별도의 배수수단을 설치하여 물기로 인해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해주도록 하고 있는데, 종래의 화분 받침대에 적용되는 배수수단은 받침용기에 낙수공을 형성하고 낙수공의 저부에 분리가능한 배수통을 슬라이드 결합시켜서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화분 받침대는 배수통에 물이 차면 배수통을 화분 받침대로부터 분리하여 물을 비운 후 다시 화분 받침대에 결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이 매우 번거로을 뿐만 아니라 자칫하면 물이 배수통에서 넘쳐 화분 주위를 오손시키게 되며, 또한, 화분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많을 경우에는 배수통을 비우는 사이에도 물이 흘러내려 화분 주위를 오손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화분 받침대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별도의 배수실이 구비되게 하고 배수실로 집수된 물은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화분 주변에 물이 흘러 주변을 오손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주면을 상부로 신장시켜 내측에 화분 거치영역이 형성되도록 한 오목접시 형태의 받침용기의 중앙을 하방으로 함몰시켜 함몰부를 형성하고, 함몰부의 내측에 거치영역과 통하는 배수실을 마련하며, 함몰부의 일측에 배수구를 설치하여 배수구를 통해 배수실로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화분 받침대는 별도의 배수실이 구비되게 하여 어느 정도의 물을 집수할 수 있도록 하고 배수실로 집수된 물은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한 것으로, 배수통을 분리·결합하여 물을 배출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구에 연결 호스를 연결하면 배수실에 집수된 물이 지속적으로 배출되므로 관리상의 편익을 제공하며, 자칫하여 물이 넘쳐 주변을 오손시키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줄 수 있는 등 본 발명은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발명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화분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화분 받침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1 내지 도 2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화분 받침대(1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주면을 상부로 신장시켜 내측에 화분(C) 거치영역(12)이 형성되도록 한 오목접시 형태의 받침용기(11)의 중앙을 하방으로 함몰시켜 함몰부(14)를 형성하고, 함몰부(14)의 내측에 거치영역(12)과 통하는 배수실(14a)을 마련하며, 함몰부(14)의 일측에 배수구(15)를 설치하여 배수구(15)를 통해 배수실(14a)로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구성한다.
상기 받침용기(11)의 저부에는 복수의 캐스터(13)를 설치하여 화분 받침대(10)의 이동편이성을 확보해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구(15)에는 연결 호스(H)를 연결하여 배수실(14a)에 집수된 물을 배출하게 되는데, 배수구(15)에는 통상의 개폐밸브(미도시됨)를 설치하여 배수실(14a)에 집수된 물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배수구(15)를 구성할 경우 화분 받침대(10)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화분(C)의 배수공을 통해 빠져나온 수분이 받침용기(11) 중앙에 형성된 함몰 배수실(14a)에 집수되도록 하고, 배수실(14a)로 집수된 물은 배수구(15)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 것으로, 배수구(15)에 연결 호스(H)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면 배수실(14a)에 집수된 물이 연결 호스(H)를 통해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별다른 관리를 요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방으로 함몰된 배수실(14a)을 구비하여 어느 정도의 물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화분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많더라도 물이 넘치는 경우를 방지하여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구(15)에 개폐밸브를 설치하면 배수실(14a)에 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개폐밸브를 조작하여 물을 배출시키므로 연결 호스(H)의 사용을 제한하여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은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10: 화분 받침대 11: 받침용기
12: 거치영역 13: 캐스터
14: 함몰부 14a: 배수실
15: 배수구 C : 화분
H: 연결 호스

Claims (2)

  1. 외주면을 상부로 신장시켜 내측에 화분(C) 거치영역(12)이 형성되도록 한 오목접시 형태의 받침용기(11)의 중앙을 하방으로 함몰시켜 함몰부(14)를 형성하고, 함몰부(14)의 내측에 거치영역(12)과 통하는 배수실(14a)을 마련하며, 함몰부(14)의 일측에 배수구(15)를 설치하여 배수구(15)를 통해 배수실(14a)로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5)의 단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여 배수실(14a)에 집수된 물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KR1020120028154A 2012-03-20 2012-03-20 화분 받침대 KR20130106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154A KR20130106540A (ko) 2012-03-20 2012-03-20 화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154A KR20130106540A (ko) 2012-03-20 2012-03-20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540A true KR20130106540A (ko) 2013-09-30

Family

ID=4945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154A KR20130106540A (ko) 2012-03-20 2012-03-20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65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5790A (zh) * 2014-05-23 2014-08-13 成都人和瑞祥信息工程有限公司 庭院盆景盆具和地下水隔距自吸密封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5790A (zh) * 2014-05-23 2014-08-13 成都人和瑞祥信息工程有限公司 庭院盆景盆具和地下水隔距自吸密封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86028A1 (en) Sprout lid for container
JP2016123418A (ja) 植物用の貯水部を有するポット
JP2019534040A5 (ko)
GB2545163A (en) A plant growing system for static solution hydroponics
CN211406971U (zh) 一种便于浇灌的日用陶瓷花盆
CN203554955U (zh) 一种具有排水功能的花盆
KR200412714Y1 (ko) 돌출부 및 급수구가 형성된 이중 화분
KR20130106540A (ko) 화분 받침대
JP3162718U (ja) 植え鉢
KR101643649B1 (ko) 벽면 녹화용 화분
CN205961985U (zh) 具有照明的蓄水花盆
KR20110005110U (ko) 화분용 수조
JP6338058B2 (ja) 土保水量表示付きの遠隔自然給水の鉢
KR20130004575U (ko) 다단식 화분대
KR20100007706U (ko) 물받이 일체형 화분
CN206586040U (zh) 一种渗灌节水花盆
CN202617777U (zh) 一种室内花盆
JP6559508B2 (ja) 植物栽培装置における排水装置
KR200368043Y1 (ko)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연결상자
KR102653506B1 (ko) 자동 관수 화분
CN107624422A (zh) 可蓄水的花盆结构
KR20140090916A (ko) 멀티 화분 시스템
US1879784A (en) Flowerpot support and irrigating device
TWM547246U (zh) 豆芽培育裝置
KR101152363B1 (ko) 화분 속받침대와 이를 내장한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