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539A - 침대 겸 책상 유니트 - Google Patents

침대 겸 책상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539A
KR20130106539A KR1020120028152A KR20120028152A KR20130106539A KR 20130106539 A KR20130106539 A KR 20130106539A KR 1020120028152 A KR1020120028152 A KR 1020120028152A KR 20120028152 A KR20120028152 A KR 20120028152A KR 20130106539 A KR20130106539 A KR 20130106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sk
bed
rotary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414B1 (ko
Inventor
최원
Original Assignee
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 filed Critical 최원
Priority to KR1020120028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414B1/ko
Priority to PCT/KR2013/001863 priority patent/WO2013141504A1/ko
Publication of KR2013010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47C17/62Table beds; Billiard table beds, or lik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 겸 책상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고시원을 비롯한 협소한 실내 공간에서 취침시 필요한 침대, 공부에 필요한 책상, 침대 위에서의 식사나 기타 작업을 위한 테이블을 일체로 조합하여 필요에 따라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베이스(12) 상부에 매트리스(14)가 구비된 침대(10)와 상기 침대(10)의 아래쪽에 이격 배치되는 책상(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대 겸 책상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침대(10)의 베이스(12)에는 회전판(30)이 회동아암(32)에 의해 등판이나 테이블 또는 보조 베이스로 전환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책상(20)에는 상판(22)이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로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책상으로 사용시에는 회전판(30)을 세워서 의자용 등판이 되게 함과 아울러 책상 상판(22)을 상부 위치에 오도록 하고, 침대로 사용시에는 책상 상판(22)을 하부 위치에 오도록 하고 회전판(30)을 책상 상판(12) 위에 안치시키며, 테이블로 사용시에는 회전판(30)을 매트리스(12) 상부에 매트리스와 평행이 되도록 수평으로 회동시켜 용도에 따란 전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침대 겸 책상 유니트 {A Bed and Desk unit}
본 발명은 침대, 책상, 침상용 테이블 등의 용도로 신속 간단하게 기능과 형태를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침대 겸 책상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고시원이나 기숙사 등을 비롯한 협소한 실내 공간에서 안락한 취침에 필요한 침대, 공부에 필요한 책상, 식사나 기타 간단한 작업을 위한 침상용 테이블을 일체로 조합하여 필요에 따라 침대나 책상 또는 테이블로 신속·간편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침대의 베이스에 회전판이 회동아암에 의해 등판이나 테이블 또는 보조 베이스로 전환가능하게 설치되고, 책상에는 상판이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판과 상판의 위치조절에 의해 구조와 기능이 전환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시원이나 기숙사, 원룸 등과 같은 공간은 비교적 공간이 협소하게 만들어져 있는데, 이와 같은 제한된 실내공간을 보다 폭넓게 활용하기 위한 방편으로 책상과 침대 또는 침대와 소파를 겸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제608537호, 특허 제669365호 및 특허 제1009226호에 개시된 침대 겸용 책상은 평상시 책상으로 사용하다가 취침을 하고자 할 경우 책상 상판(테이블)을 180°회동시켜 상판의 저면에 위치한 매트리스가 상부로 오도록 되어 있다.
또, 특허 제658514호의 수납장과 책상을 겸비한 침대는 상부에 침대가 형성되고, 침대의 하부에 책상과 수납장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상,하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허 제1077019호의 책상 기능을 구비한 침대는 침대 프레임의 고정판을 분할시켜 사용자가 고정판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매트리스를 L자 형상으로 접어 머리판에 지지되는 등받이부와 둔부를 지지하는 쿠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종래기술 외에도 침대와 책상을 겸하도록 된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으나, 이들을 대체로 너무 무겁고 부피가 크며, 책상과 침대가 일체로 이루어져 이의 운반, 조립 및 사용자가 원할 경우 실내에서의 이동배치가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시원이나 기숙사를 비롯한 비교적 협소한 실내 공간에서 취침시 필요한 침대, 공부에 필요한 책상, 침대 위에서의 식사나 기타 작업을 위한 침상용 테이블을 일체로 조합하여 필요에 따라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책상과 침대가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져 운반 및 이동배치가 용이한 침대 겸 책상 유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상부에 매트리스가 구비된 침대와 상기 침대의 아래쪽에 이격 배치되는 책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대 겸 책상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베이스에는 회전판이 회동아암에 의해 등판이나 테이블 또는 보조 베이스로 전환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책상에는 상판이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책상으로 사용시에는 회전판을 세워서 등판이 되게 하고, 책상 상판을 상부 위치에 오도록 하고, 침대로 사용시에는 책상 상판을 하부 위치에 오도록 하고, 회전판을 책상 상판 위에 안치시키며, 테이블로 사용시에는 테이블을 매트리스 상부에 매트리스와 평행이 되도록 수평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용도에 따란 전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침대 겸 책상 유니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상판은 높낮이 조절기구에 의해 하한 위치와 상한 위치의 2위치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기구는 책상의 내면판에 고정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핀 고정된 2개의 평행 아암과, 상기 평행 아암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판이 부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기에 상기 평행 아암 하단과 수직 프레임 상단부 사이에는 가스실린더를 더 부착하여 책상 상판의 상승동작시 책상 상판이 무겁더라도 이 가스실린더의 작용에 의해 쉽게 들어올릴 수 있고, 책상 상판을 하강시킬 경우에도 가스실린더가 완충기능을 발휘하여 부드럽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책상 상판의 하한 위치와 상한 위치에는 조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스톱퍼가 책상의 측판 쪽에 내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책상에는 책꽃이 또는 책장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는 보조 쿠션이 부착되고, 상기 회전판의 회동시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판을 테이블로 사용시에는 상기 회전판과 회동 아암 사이에 고정용 핀을 끼워 회전판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침대 겸 책상 유니트는 고시원이나 하숙집 등과 같은 좁은 거주공간에서 하나의 가구로 적어도 3가지의 용도로 전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거주성(편의성)의 향상은 물론 좁은 공간에 3개의 가구를 각각 배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좁은 실내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가구의 구입비용 또한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침대 겸 책상 유니트의 사시도로서, 침대로 사용시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대 겸 책상 유니트에서 책상에서 공부를 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침대 겸 책상 유니트에서 침대 위에 테이블을 펼쳐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책상 상판이 상부 위치에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책상 상판이 하부 위치에 내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회전판의 회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침대 겸 책상 유니트의 구조 및 다양한 변화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베이스(12) 상부에 매트리스(14)가 구비된 침대(10)와, 상기 침대(10)의 아래쪽에 이격 배치되는 책상(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대 겸 책상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침대(10)의 베이스(12)에는 회전판(30)이 회동아암(32)에 의해 등판이나 테이블 또는 보조 베이스로 전환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책상(20)에는 상판(22)이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침대(10)의 길이 즉, 머리에서부터 아래쪽 까지의 길이는 대략 1.5m로, 일반 침대에 비해 50cm정도 짧게 만들어져 있는데, 이는 회전판(30)을 보조 베이스로 하여 침대(10)의 아래쪽에 같은 높이가 되도록 배치할 경우, 일반 침대와 동일한 길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침대(10)의 높이 즉, 베이스(12)의 바닥에서부터 매트리스(14)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대략 40~45cm로, 이는 책상으로 사용시 침대(10)의 아래부분이 의자의 시트 쿠션이 되는 것을 감안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침대(10)의 폭은 싱글 침대를 기준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더블사이즈로 넓게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침대의 폭에 따라서 책상의 좌우 폭 또한 그에 맞추어 제작한다.
본 발명에서 책상(20)은 상판(22)이 높낮이 조절기구(24)에 의해 하한 위치와 상한 위치의 2위치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높낮이 조절기구(24)는 일종의 4절 링크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는 도 4 및 도 5의 상,하 승강상태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책상의 내면판(21)에 고정되는 프레임(23)에 2개의 평행 아암(25,26)이 상,하로 배치되어 회동가능하도록 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평행 아암(25,26)의 상단은 각각 상판(22)의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22a)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 책상(20)의 상판(22)이 상기 평행 아암(25,26)의 회동동작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하부의 평행 아암(26) 하단과 프레임(23) 상단부 사이에는 가스실린더(27)가 부착되어 있어 책상 상판(22)의 상승동작시 책상 상판(22)이 무겁더라도 이 가스실린더(27)의 작용에 의해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책상 상판을 하강시킬 경우에도 가스실린더(27)가 완충기능을 발휘하여 부드럽게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책상 상판(22)의 하한 위치와 상한 위치에는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스톱퍼(28)가 책상의 측판(29) 쪽에 내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판(22)의 앞 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28)는 고정식이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은 분리식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식인 경우에는 하나만을 위 또는 아래에 형성된 고정구멍(29a,29b)에 선택적으로 끼워서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책상(20)에는 책꽃이 또는 책장(40)이 더 구비되며, 집중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29)을 넓게 즉,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공부를 할 때 시선이 옆으로 분산되는 것을 막고 외부의 시선이 책상 안쪽으로 들어오는 것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침대(10)의 베이스(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30)은 베이스(12)의 측면에 설치된 회동축(31)을 중심으로 회동아암(32)이 회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회동아암(32)의 타단에서도 또 다른 회동축(33)이 설치되어 있어 회전판(30)이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침대로 사용시에는 침대 아래쪽에 베이스(12)와 같은 높이로 깔리는 보조 베이스로 사용되게 되고, 책상으로 사용시에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수직상태 또는 상부가 약간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세워서 등판으로 사용하게 되며, 테이블로 사용시에는 뒤집어서 수평이 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판(30)과 회동 아암(32) 사이에 각도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핀(38)을 끼워 회전판(3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판(30)의 일면에는 보조 쿠션(35)이 부착되어 있으며, 회전판(30)의 회동시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 구멍(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판(30)의 측부 즉, 회동 아암(32)의 상부 회동축(33)에 축결합되는 부분에는 원형 플랜지(37)가 부착되어 있고, 이 원형 플랜지(37)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 즉, 회전판(30)이 대체로 수평을 이루는 각도와 회전판(30)이 의자 등판을 이루는 각도에서 회동되지 않고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핀 구멍(37a,37b,37c)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회동 아암(32)에도 상기 핀 구멍(37a,37b,37c)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의 걸이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판(30)을 소정의 각도에 세팅시킨 상태에서 고정용 핀(38)을 상기 걸이 구멍(32a)과 핀 구멍(37a,37b,37c)중의 어느 하나의 중심을 일치시켜 끼워주면 회전판(30)을 임의의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면 중 부호 16는 베이스(12) 상에 설치된 스톱퍼 브라켓으로, 회전판(30)이 의자 등판으로 사용될 때와 침상 테이블로 사용될 때 회동 아암(32)이 소정의 각도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침대로 사용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 상판(22)을 하부 위치에 오도록 하고, 회전판(30)을 책상 상판(22) 위에 안치시켜 보조 베이스로 사용하면 회전판(30)의 일측에 부착된 보조 쿠션(35)이 상부에 위치하면서 침대(10)의 베이스(12) 위에 깔린 매트리스(14)와 동일한 높이가 되게 됨으로써 그 위에 요 또는 패드를 깔고 다리를 뻗고 누워서 수면을 취하거나 편하게 쉴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을 책상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0)을 세워서 매트리스(14)의 위에 대략 수직상태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0)의 상부가 뒤로 약간 젖혀진 상태가 되도록 하고, 책상 상판(22)을 상부 위치에 오도록 전환한 상태에서 침대의 매트리스(14) 끝 부분에 걸터앉으면 책상(20)에서 책을 보거나 공부를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0)을 침대(10)의 매트리스(14) 상부에 매트리스(14)와 평행이 되도록 수평으로 전환시킨 후, 회전판(30) 일면의 딱딱한 면이 상부로 위치하도록 하여 고정용 핀(38)을 걸어주면 회전판(30)이 테이블 상판이 되어 매트리스(14) 위에 양반다리를 하고 앉아서 식사를 하거나 기타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판(30)의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에 의해 침대 위에 앉아서 그림을 그리거나 제도를 하기 위한 이젤 또는 제도판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회전판(30) 자체를 철판 등으로 제작하여 자석스티커 등을 착탈시키면서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침대 겸용 책상 유니트는 침대와 책상이 별도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침대의 길이도 일반 침대보다 짧게 만들어져 있으므로 중량도 가볍고 부피도 적어 이의 운반이나 배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좁은 실내공간에서 사용자가 책상 상판의 높이조절과 회전판을 회동시켜주는 동작만으로도 책상에서 침대로 침대에서 테이블로 그리고 그 반대로 얼마든지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므로 거주성(편의성)의 향상은 물론 고시원이나 기숙사 등과 같이 좁은 공간에 3개의 가구를 각각 배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좁은 실내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가구의 구입비용 또한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10 : 침대 12 : 베이스
14 : 매트리스 20 : 책상
21 : 내면판 22 : 상판
23 : 수직프레임 24 : 높낮이 조절기구
25,26 : 평행아암 27 : 가스실린더
28 : 스톱퍼 29 : 측판
29a,29b : 고정구멍 30 : 회전판
31 : 회동축 32 : 회동아암
32a : 걸이구멍 33 : 회동축
35 : 보조 쿠션 36 : 손잡이 구멍
37 : 원형 플랜지 37a,37b,37c : 핀 구멍
38 : 고정용 핀 40 : 책장(또는 책꽂이)

Claims (8)

  1. 베이스(12) 상부에 매트리스(14)가 구비된 침대(10)와 상기 침대(10)의 아래쪽에 이격 배치되는 책상(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대 겸 책상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침대(10)의 베이스(12)에는 회전판(30)이 회동아암(32)에 의해 등판이나 테이블 또는 보조 베이스로 전환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책상(20)에는 상판(22)이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로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책상으로 사용시에는 회전판(30)을 세워서 의자용 등판이 되게 함과 아울러 책상 상판(22)을 상부 위치에 오도록 하고, 침대로 사용시에는 책상 상판(22)을 하부 위치에 오도록 하고 회전판(30)을 책상 상판(12) 위에 안치시키며, 테이블로 사용시에는 회전판(30)을 매트리스(12) 상부에 매트리스와 평행이 되도록 수평으로 회동시켜 용도에 따란 전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 책상 유니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22)은 높낮이 조절기구(24)에 의해 하한 위치와 상한 위치의 2위치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기구(24)는 책상의 내면판(21)에 고정되는 수직프레임(23)과, 상기 수직프레임(23)에 회동가능하게 핀 고정된 2개의 평행 아암(25,26)과, 상기 평행 아암(25,26)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판(22)이 부착되는 프레임(22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 책상 유니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평행 아암(26) 하단과 수직 프레임(23) 상단부 사이에는 가스실린더(27)가 부착되어 있어 책상 상판(22)의 상승동작시 책상 상판(22)이 무겁더라도 이 가스실린더(27)의 작용에 의해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책상 상판을 하강시킬 경우에도 가스실린더(27)가 완충기능을 발휘하여 부드럽게 하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 책상 유니트.
  4. 청구항 1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22)의 하한 위치와 상한 위치에는 조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스톱퍼(28a,28b)가 책상의 측판(29) 쪽에 내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 책상 유니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책상(20)에는 책꽃이 또는 책장(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 책상 유니트.
  6. 상기 회전판(30)의 일면에는 보조 쿠션(35)이 부착되고, 상기 회전판(30)의 회동시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 구멍(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 책상 유니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2)에는 회전판(30)이 의자 등판으로 사용될 때와 침상 테이블로 사용될 때 회동 아암(32)이 소정의 각도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16)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30)과 회동 아암(32) 사이에는 고정용 핀(38)에 의해 회전판(3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 책상 유니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30)의 측부에는 원형 플랜지(37)가 부착되어 회동 아암(32)의 상부 회동축(33)에 축결합되며, 상기 원형 플랜지(37)에는 회전판(30)이 수평을 이루는 각도와 회전판(30)이 의자 등판을 이루는 각도에서 회동되지 않도록 핀 구멍(37a,37b,37c)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 아암(32)에는 상기 핀 구멍(37a,37b,37c)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의 걸이 구멍(32a)이 형성되어 회전판(30)을 소정의 각도에 세팅시킨 상태에서 고정용 핀(38)을 상기 걸이 구멍(32a)과 핀 구멍(37a,37b,37c)중의 어느 하나의 중심을 일치시켜 끼워 회전판(30)을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 책상 유니트.
KR1020120028152A 2012-03-20 2012-03-20 침대 겸 책상 유니트 KR101403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152A KR101403414B1 (ko) 2012-03-20 2012-03-20 침대 겸 책상 유니트
PCT/KR2013/001863 WO2013141504A1 (ko) 2012-03-20 2013-03-07 침대 겸 책상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152A KR101403414B1 (ko) 2012-03-20 2012-03-20 침대 겸 책상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539A true KR20130106539A (ko) 2013-09-30
KR101403414B1 KR101403414B1 (ko) 2014-06-03

Family

ID=49222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152A KR101403414B1 (ko) 2012-03-20 2012-03-20 침대 겸 책상 유니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3414B1 (ko)
WO (1) WO201314150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643A (ko) * 2014-11-06 2016-05-17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다용도 가구
CN108903445A (zh) * 2018-06-29 2018-11-30 广东知识城运营服务有限公司 一种能变成椅子的买菜车
KR102220249B1 (ko) * 2019-10-01 2021-02-25 김권호 다기능 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6873B (zh) * 2020-12-08 2023-06-23 广东中泰家具集团有限公司 一种便于办公组合床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103Y1 (ko) * 1982-10-15 1984-10-13 김동윤 책상을 겸한 침대
US5522097A (en) 1994-01-27 1996-06-04 Ciccotelli; Anthony J. Convertible counter-couch-bed unit
US5893182A (en) 1997-05-23 1999-04-13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Combination item of furniture and foldable sleeper bed
KR200280463Y1 (ko) 2002-04-06 2002-07-02 박일랑 책상겸용 수납식 침대
KR200332622Y1 (ko) 2003-08-19 2003-11-07 김윤호 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643A (ko) * 2014-11-06 2016-05-17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다용도 가구
CN108903445A (zh) * 2018-06-29 2018-11-30 广东知识城运营服务有限公司 一种能变成椅子的买菜车
KR102220249B1 (ko) * 2019-10-01 2021-02-25 김권호 다기능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414B1 (ko) 2014-06-03
WO2013141504A1 (ko)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643B1 (ko) 기능성 침대
US20100107932A1 (en) Table device
CN106667121B (zh) 一种多功能沙发床
RU2018114994A (ru) Универсальное,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и перестраиваемое кресло-кровать с откидной спинкой и подставкой для ног
WO2010030896A3 (en) Hospital chair beds with articulating foot sections
KR101403414B1 (ko) 침대 겸 책상 유니트
KR100924616B1 (ko) 다용도 책상
JP2013031577A (ja) ソファ兼ベッド機能を有する多用途家具
JP2011224072A (ja) パソコンの台
CN205493270U (zh) 一种带可调节桌板的床
KR20130040487A (ko) 2인용 일체형 책걸상
US8662466B2 (en) Multi-functional mobile laptop desk
KR20140008054A (ko) 의자로 변형되는 테이블
KR101274910B1 (ko) 소파 겸 침대기능을 갖는 다용도 가구
KR200463570Y1 (ko) 테이블 겸용 침대
KR101423870B1 (ko) 침대 및 테이블을 겸용하는 다용도 가구
JP6456626B2 (ja) デスクシステム
CN206699866U (zh) 一种可矫正坐姿的儿童学习桌
KR200466444Y1 (ko) 선반이 구비된 침대
KR20100028201A (ko) 의자를 수납하는 책상
KR20120008126A (ko) 테이블로 변환 가능한 벤치
TWI589252B (zh) 躺椅裝置
EP2685870A1 (en) Inclination device for furniture
US20230015770A1 (en) Portable floating table supported by counterweight
KR20070104199A (ko) 서랍이 있는 침대 겸용 소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