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097A - 자동차의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097A
KR20130106097A KR1020120027742A KR20120027742A KR20130106097A KR 20130106097 A KR20130106097 A KR 20130106097A KR 1020120027742 A KR1020120027742 A KR 1020120027742A KR 20120027742 A KR20120027742 A KR 20120027742A KR 20130106097 A KR20130106097 A KR 20130106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ens
light
reflecto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6471B1 (ko
Inventor
이혁민
이현수
박인흠
방명극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7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471B1/ko
Priority to CN201310054200.0A priority patent/CN103322485B/zh
Publication of KR2013010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3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cylindrical faces, e.g. rod lenses, toric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광원에서 생성된 빛이 렌즈로 직접 조사되는 타입의 조명 장치에서 소정의 시그널 존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 장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렌즈와, 상기 빛을 생성하여 상기 렌즈로 직접 조사하는 광원이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상기 빛을 상기 렌즈로 반사하는 반사부가 상기 광원으로부터 하측에 돌출 형성된 광원지지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 장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렌즈와, 상기 빛을 생성하여 상기 렌즈로 직접 조사하는 광원이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광원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되는 방열장치와, 상기 광원으로부터 하측에서 상기 방열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상기 빛을 상기 렌즈로 반사하는 반사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명 장치{LAMP APPARATUS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에서 생성된 빛이 렌즈로 직접 조사되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에는 야간 주행시 앞을 환하게 비추어 운전자가 노면 및 장애물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램프가 구비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통상의 헤드램프는, 빛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하는 렌즈를 포함한다.
통상의 헤드램프는, 외부로 배광되는 빛이 노면을 향하도록 낮게 배광되는 로우빔모드와, 외부로 배광되는 빛이 높게 배광되는 하이빔모드로 작동된다.
상기 헤드램프는 주행 자동차의 운전자에게는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방을 주행하는 자동차(선행차 및 대향차)의 운전자에게는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면, 전방을 주행하는 자동차가 없을 때에는 상기 헤드램프를 상기 하이빔모드로 하여 시인성을 확보하고, 전방을 주행하는 자동차가 있을 때에는 상기 로우빔모드로 하여 전방을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아야 한다.
최근에는, 카메라센서를 이용하여 전방을 주행하는 자동차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상기 전방을 주행하는 자동차와의 거리 및 각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헤드램프의 빔패턴이 자동으로 가변되는 어댑티브 헤드램프가 개발되어, 주행 자동차의 운전자로 하여금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전방을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에게는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상기 렌즈로 반사하는 반사부를 더 설치하여서, 상기 렌즈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이 소정의 시그널 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주행 자동차의 운전자로 하여금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전방을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에게는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광원에서 생성된 빛이 렌즈로 직접 조사되는 타입의 조명 장치에서 소정의 시그널 존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 장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렌즈와, 상기 빛을 생성하여 상기 렌즈로 직접 조사하는 광원이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상기 빛을 상기 렌즈로 반사하는 반사부가 상기 광원으로부터 하측에 돌출 형성된 광원지지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 장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렌즈와, 상기 빛을 생성하여 상기 렌즈로 직접 조사하는 광원이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광원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되는 방열장치와, 상기 광원으로부터 하측에서 상기 방열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상기 빛을 상기 렌즈로 반사하는 반사경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명 장치는, 광원이 렌즈로 빛을 직접 조사하도록 하고, 반사부가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빛을 상기 렌즈로 반사하여서, 상기 렌즈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이 소정의 시그널 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가 광원이 배치된 광원지지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오차가 최소화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가 상기 광원으로부터 렌즈로 직접 조사되는 빛의 일부가 아닌 상기 렌즈의 둘레 외측을 향해 조사되는 빛을 상기 렌즈로 반사하기 때문에, 노면을 비추는 광량이 감소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이 스위치 온 상태에서 항시 점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시그널 존이 항시 형성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 장치에서 빛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 장치에서 빛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 장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렌즈(10)와, 상기 빛을 생성하여 렌즈(10)로 직접 조사하는 광원(25)이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20)와, 지지플레이트(20)가 결합되는 광원지지체(30)를 포함한다.
광원지지체(30)에는 광원(25)에서 생성된 상기 빛을 렌즈(10)로 반사하는 반사부(32)가 광원(25)으로부터 하측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광원지지체(30)에는 전방을 주행하는 차량(선행차 및 대향차)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광원(25)에서 생성된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부(34)가 지지플레이트(20) 및 반사부(32) 사이에 더 형성된다.
또한, 내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그 오목한 내부에 광원지지체(30)가 설치되는 하우징(40)과, 하우징(40)의 전방에 결합되고 렌즈(10)와 결합되는 렌즈홀더(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40)은 자동차의 전방에서 자동차의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 장치가 상기 자동차의 전방에 배치되게 된다.
광원지지체(30)는 하우징(40) 내에 결합되어 광원(25)에서 생성된 빛이 렌즈(10)로 직접 조사될 수 있도록 지지플레이트(20)를 지지한다.
렌즈(10)는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자동차의 전방에서 볼 때 렌즈(10)를 통해 광원(25)이 보이게 배치된다.
광원(25)은 생성된 빛을 렌즈(10)로 직접 조사할 수 있도록, 렌즈(10)로부터 후방에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10)의 중심과 축방향으로 일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플레이트(20)는 광원(25)이 렌즈(10)의 중심과 축방향으로 일치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광원(25)을 결합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25)은 LED로 구비된다. 이러한 경우 지지플레이트(20)는 상기 LED가 장착되는 기판이 될 수 있다.
반사부(32)는 광원(25)에서 생성된 빛을 렌즈(10)로 반사하여서, 렌즈(10)로부터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이 소정의 시그널 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반사부(32)는 광원(25)의 빛 중 렌즈(10)를 통과하는 빛이 아닌 렌즈(10)의 둘레 외측을 향해 조사되는 빛을 렌즈(10)로 반사하여서 상기 시그널 존이 형성되록 한다. 즉, 반사부(32)는 광원(25) 및 렌즈(10) 사이에서, 렌즈(10)로 직접 조사되는 광원(25)의 빛의 일부를 차단하여 렌즈(10)로 반사하는 것이 아니라, 렌즈(10)로 직접 조사되지 않는 빛을 렌즈(10)로 반사하기 때문에, 광원(25)으로부터 렌즈(10)로 직접 조사되는 빛의 양이 줄어들지 않게 되어, 노면을 비추는 광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반사부(32)는 광원(25) 및 렌즈(10) 사이에 배치되어서, 광원(25)으로부터 렌즈(10)의 둘레 외측을 향해 조사되는 빛을 상향시켜서 렌즈(10)로 반사한다.
반사부(32)는 광원(25)으로부터 렌즈(10)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져서 배치되며, 빛을 반사하는 상측면이 포물선(parabola) 형태로 함입된다.
반사부(32)가 상기 시그널 존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조립오차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즉, 반사부(32)로부터 렌즈(10)로 반사되어 렌즈(10)의 외부로 출광되는 빛은, 렌즈(10)의 중심축을 지나는 수평선에 대해 약 2~4도 방향으로 출광되어야 하는 바, 반사부(32)의 배치 각도가 미세한 오차를 발생하여도 상기 시그널 존이 형성되지 않게 되는 우려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 반사부(32)는 광원(25)이 배치되는 광원지지체(30)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광원(25)에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반사부(32)가 렌즈홀더(50)에 조립되는 경우나 반사부(32)가 하우징(40)에 결합되는 별도의 구조물에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조립공수가 줄어들어서 조립오차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차단부(34)는 반사부(32)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지지플레이트(20)의 전방에 배치되며, 광원(25)에서 생성된 빛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광원(25)보다 약간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차단부(34)는 렌즈(10)로 직접 조사되는 광원(25)의 빛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동차에는 광원(25)을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스위치(미도시)가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스위치 온(ON) 상태에서 광원(25)은 점등되고, 상기 스위치 오프(OFF) 상태에서 광원(25)은 소등된다.
사용자가 자동차 운행 중 야간이나 시계가 확보되지 않는 곳을 주행할 때에는, 광원(25)을 점등시키기 위해 상기 스위치 온 상태로 주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25)은 상기 스위치 온(ON) 상태에서 항시 점등되어 있게 된다. 즉, 최근의 헤드램프는 광원(25)을 복수의 LED로 구비하여서, 상기 복수의 LED 중 일부를 점등시키고 소등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주변의 상황에 맞게 빛의 패턴을 가변시키게 되는 데, 광원(25)이 소등되는 경우에 반사부(32)도 빛을 렌즈(10)로 반사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시그널 존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광원(25)은 상기 스위치 온 상태에서 항시 점등되어 있도록 하여서 상기 스위치 온 상태에서는 항시 반사부(32)가 광원(25)의 빛을 렌즈(10)로 반사하여 상기 시그널 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반사부(32) 및 차단부(34)가 광원지지체(30)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사부(32)를 렌즈홀더(50)에 결합하거나 하우징(40)에 설치되는 별도의 구조물에 형성하지 않고, 광원(25)이 지지되는 구조물에 인접하게 배치하기 위해, 반사부(32) 및 차단부(34)가 반드시 광원지지체(30)에 일체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즉, 광원지지체(30)는 광원(25)을 냉각시키기 위해 지지플레이트(20)가 결합되는 방열장치(30)일 수 있다. 방열장치(30)는 광원(25)에서 생성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해 열전도율이 좋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서, 하우징(40) 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부(32)는 광원(25)으로부터 하측에서 방열장치(30)에 결합되어 광원(25)에서 생성된 상기 빛의 일부를 렌즈(10)로 반사하는 반사경(32)일 수 있으며, 차단부(34)는 방열장치(30) 및 반사경(32) 사이에 결합되어 광원(25)에서 생성된 상기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셔터(34)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명 장치는, 광원(25)이 렌즈(10)로 빛을 직접 조사하도록 하고, 반사부(32)가 광원(25)에서 생성된 빛을 렌즈(10)로 반사하여서, 렌즈(10)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이 소정의 시그널 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반사부(32)가 광원(25)이 배치된 광원지지체(3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오차가 최소화된다.
또한, 반사부(32)가 광원(25)으로부터 렌즈(10)로 직접 조사되는 빛의 일부가 아닌 렌즈(10)의 둘레 외측을 향해 조사되는 빛을 렌즈(10)로 반사하기 때문에, 노면을 비추는 광량이 감소되지 않는다.
또한, 광원(25)이 스위치 온 상태에서 항시 점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시그널 존이 항시 형성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렌즈 20: 지지플레이트
25: 광원 30: 광원지지체, 방열장치
32: 반사부, 반사경 34: 차단부, 셔터
40: 하우징 50: 렌즈홀더

Claims (16)

  1.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렌즈;
    상기 빛을 생성하여 상기 렌즈로 직접 조사하는 광원이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상기 빛을 상기 렌즈로 반사하는 반사부가 상기 광원으로부터 하측에 돌출 형성된 광원지지체;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지지체에는,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상기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반사부 사이에 더 형성되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광원 및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렌즈의 둘레 외측을 향해 조사되는 상기 광원의 빛을 상기 렌즈로 반사하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렌즈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져서 배치되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스위치 온(ON) 상태에서 항시 점등되어 있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
  9.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렌즈;
    상기 빛을 생성하여 상기 렌즈로 직접 조사하는 광원이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광원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되는 방열장치;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하측에서 상기 방열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상기 빛을 상기 렌즈로 반사하는 반사경;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열장치 및 반사경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상기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셔터;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상기 광원 및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상기 렌즈의 둘레 외측을 향해 조사되는 상기 광원의 빛을 상기 렌즈로 반사하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렌즈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져서 배치되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스위치 온(ON) 상태에서 항시 점등되어 있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20120027742A 2012-03-19 2012-03-19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1416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742A KR101416471B1 (ko) 2012-03-19 2012-03-19 자동차의 조명 장치
CN201310054200.0A CN103322485B (zh) 2012-03-19 2013-02-20 汽车灯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742A KR101416471B1 (ko) 2012-03-19 2012-03-19 자동차의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097A true KR20130106097A (ko) 2013-09-27
KR101416471B1 KR101416471B1 (ko) 2014-07-08

Family

ID=4919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742A KR101416471B1 (ko) 2012-03-19 2012-03-19 자동차의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16471B1 (ko)
CN (1) CN1033224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5942B2 (en) 2014-06-02 2018-11-13 Hyundai Mobis Co., Ltd. Lamp apparatus for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0136B2 (ja) * 2007-05-17 2012-07-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JP5652996B2 (ja) * 2008-11-12 2015-01-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CN201382350Y (zh) * 2009-04-07 2010-01-13 吉林东光瑞宝车灯有限责任公司 投影式汽车前照灯
CN202165968U (zh) * 2011-08-04 2012-03-14 吉林小糸东光车灯有限公司 Led全反射汽车前照灯近光灯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5942B2 (en) 2014-06-02 2018-11-13 Hyundai Mobis Co., Ltd. Lamp apparatus for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22485B (zh) 2017-04-19
CN103322485A (zh) 2013-09-25
KR101416471B1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9261B2 (en) Vehicular lamp
US8511874B2 (en) Vehicle lamp
JP6214446B2 (ja) 車載用前照灯
KR20120131534A (ko) 차량용 헤드램프 장치
KR101410878B1 (ko) 자동차용 전조등
JP2010212089A (ja) 車両用灯具
EP2075500B1 (en) Vehicle headlamp
US11168860B1 (en) Automotive lamp
EP2075501B1 (en) Vehicle headlamp
KR101307976B1 (ko) 다중 led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led 헤드램프
EP2187117B1 (en) Vehicle headlamp
US8485704B2 (en) Lamp unit and vehicle lamp
KR20150068117A (ko) 차량용 헤드 램프
EP2988059A1 (en) Vehicle light
KR101486817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416469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1416471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20140133063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50070551A (ko) 차량용 헤드 램프
JP6244614B2 (ja) 車両用前照灯
KR101500387B1 (ko) 헤드 라이트 모듈
KR20150068118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807120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50068143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60023201A (ko) 차량용 헤드라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