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472A - Energy storage system - Google Patents
Energy storag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5472A KR20130105472A KR1020130026481A KR20130026481A KR20130105472A KR 20130105472 A KR20130105472 A KR 20130105472A KR 1020130026481 A KR1020130026481 A KR 1020130026481A KR 20130026481 A KR20130026481 A KR 20130026481A KR 20130105472 A KR20130105472 A KR 201301054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connector
- energy storage
- storage device
- platfor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용량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ergy storage device capable of freely adjusting the capaci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는 첨단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통신 기술)를 활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쌍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해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을 말한다. 즉, 전력 네트워크와 첨단 ICT(양방향 통신, 센서, 컴퓨팅, S/W)를 활용한 에너지의 생성, 공급, 사용체계의 혁신을 통해 전력망의 효율성, 신뢰성, 안정성을 높이고 분산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또한, 녹색전력 IT기술이란 발전소, 송전탑, 전봇대, 그리고 가전제품에 수많은 센서를 설치하여 다양한 전력정보를 자유자재로 생산하고 유통하는 기술을 말한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전력공급체계는 발전사업자가 대용량 전기를 생산하여 고압~중압~저압전기로 바꾸는 송배전과정을 거치며, 발전부문의 제어를 통해 전력의 생산(발전)과 소비(수용)의 균형을 제공하는 전력사업자 중심의 일방적 구조(중앙집중형 전력공급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통적인 전력체계는 물리적 스위치나 아날로그방식의 제어기를 사용함에 따른 원거리 송전이나 지역 전력사업자 간 송배전, 풍력 또는 태양광 등 다양한 분산전원 제어 및 조정, 전력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력수요부문의 통제 필요성 등에 있어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수평적, 협력적, 분산적, 유연적 전력 네트워크가 요구되어 기존의 배전망에 컴퓨터와 통신기술을 접목시키는 것으로부터 시작된 전력망의 스마트화가 송전, 변전, 수요관리 등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Smart Grid' is a next-generation intelligent power grid that uses advance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o exchange information in real time between power suppliers and consumers to optimize energy efficiency. In other words, the efficiency,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power grid are improved and the distributed resources are managed efficiently by innovating the generation, supply and use of energy using the power network and advanced ICT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ensor, will be. In addition, green power IT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that freely manufactures and distributes a variety of electric power information by installing a large number of sensors in power plants, transmission towers, electric poles, and household appliances. The traditional power supply system that has been used up to now is a power generation company that produces large capacity electricity and converts it from high pressure to medium pressure to low pressure electricity. It controls the balance of power generation (generation) and consumption It is a unilateral structure (centralized power supply structure) centered on electric power companies to provide. However, this traditional power system can control and adjust various distributed power sources such as remote transmission using physical switch or analog controll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between local electric power companies, wind or solar power, electric power demand to secure reliability and safety of electric power And the necessity of controlling the sector. As a result, horizontal, cooperative, distributed, and flexible power networks are required. Smartization of the power grid, which began with the integration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to existing distribution networks, is spreading throughout power transmission, substation, and demand management.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산업에 통신, 인터넷, 전기전자, 자동차, 소프트웨어 등의 이종산업이 융합된 매우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개념이다. 또한, 해당국가는 물론 세계적으로 표준화가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전력망 및 다양한 연관분야에서의 혁신이 요구되고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스마트 그리드에 대해 세계 각국은 전력사업자와 정부 주도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The Smart Grid is a very broad and comprehensive concept that combines the power industry with heterogeneous industries such as telecommunications, Internet, electrical and electronic, automotive and software. In addition, there is no standardization in the country as well as in the world. As a result,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implementing policie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on power grids and government initiatives for smart grids that require innovation in the power grid and various related sectors and require large-scale investments.
에너지 저장 장치(ESS ; Energy Storage System)는 스마트그리드의 필수요소로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발전원의 간헐적 출력특성을 단기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발전과 수요의 시차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 기술의 적용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Energy Storage System (ESS) i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Smart Grid. In order to stabilize the intermittent output characteristics of new and renewable power sources such as solar power and wind power in the short term, and to overcome the time lag between power generation and demand, It is necessary to apply
한국공개특허 [2011-0094622]("지능형 전력망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의 보조전원공급장치, 이하 종래기술1)에서는 전력공급원과 양방향 통신을 하며 실시간으로 전력정보를 계측하고 표시하는 계측장치와, 상기 계측장치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정보에 기초하여 가전제품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관리장치가 포함되는 전력공급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정보의 전력공급원을 통해 충전되며, 상기 가전제품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충전된 전기를 상기 가전제품의 작동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Korean Patent Laid-Open No. [2011-009462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uxiliary power supply device for home appliance using intelligent power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a measurement device for bidirectionally communicating with a power source and measuring and displaying power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a power supply network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network and including an energy management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household appliance based on power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is charged through a power source of relatively low price information, There is disclosed an apparatus for selectively supplying electric power to be used as an operating power source for the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이와 같이 종래에 에너지 저장 장치에 관한 기술들이 개시되고 있으나, 종래기술 들은 정해진 용량의 에너지 저장 장치(ESS)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하량이 늘어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용량을 늘려야 할 경우, 필요한 총 용량의 새로운 에너지 저장 장치를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prior art uses an energy storage device (ESS) having a predetermined capacity, when the load is increased and the capaci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is increased, a new total energy of the energy There is a problem of purchasing a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터리,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배터리 플랫폼,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 플랫폼과 착탈 가능한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함으로 저장 용량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an energy storage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storage capacity.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어부가 일체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플랫폼; 및 상기 배터리 플랫폼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외부 기기와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메인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a battery, the energy storage device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attery; At least one battery platform in which the battery and the control unit are integrated; And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platform is provided with a main connector having a detachable structure with an external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 측면에 상기 메인 커넥터와 착탈 가능한 구조로 된 제1 커넥터가 구비되는 배터리 트레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배터리 트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상기 배터리 플랫폼 또는 다른 배터리 트레이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메인 커넥터와 같은 구조의 제2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tray including a battery and having a first connector detachable from the main connector at one side thereof, Preferably,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ttery tray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attery platform or another battery tray and includes a second connector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main connector.
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상기 배터리 플랫폼과 상기 배터리 트레이의 연결 또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 간의 연결은 슬라이드식, 회전식, 끼워맞춤식, 구멍 기준 끼워맞춤식 및 결합기구를 이용한 결합방식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메인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연결 또는 상기 커넥터 간에 서로 연결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liding type, a rotary type, a fitting type, a hole-based fitting type, and a coupling type using a coupling mechanism The main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or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or.
또한, 메인 커넥터,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터리의 전력이 전송되는 배터리 출력용 커넥터; 및 배터리의 상태 정보가 전송되는 데이터 통신용 커넥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at least one of the main connector,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attery output connector to which power of the battery is transmitted; And a data communication connector to which status information of the battery is transmitted; As shown in FIG.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배터리 출력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 Battery Management System); 및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와 부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부하로의 연결을 담당하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제어 신호를 받아 배터리 출력을 차단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RA : Power Relay Assembly);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connected to the battery to control a battery output; And a power relay assembly (PRA)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and locat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load to take charge of connection from the battery to the load and receive a control signal of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to shut off the battery output. ). ≪ / RTI >
또한, 상기 배터리 플랫폼과 상기 배터리 트레이들은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battery platform and the battery trays are vertically connected.
또, 상기 배터리 플랫폼과 상기 배터리 트레이들은 전후좌우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platform and the battery tray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ront-back, left-right direction.
또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는 상기 배터리 플랫폼 및 상기 배터리 트레이와 결합 가능한 받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ergy stora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unit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battery platform and the battery tray.
아울러, 상기 받침부는 상기 메인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와 착탈 가능한 구조로 된 제3 커넥터; 상기 제3 커넥터와 연결되어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출력단자; 및 상기 제3 커넥터와 연결되어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외부통신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portion may include a third connector detachable from the main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 external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to supply power to the outside; And an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에 따르면, 배터리,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배터리 플랫폼,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 플랫폼과 착탈 가능한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함으로 저장 용량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a battery platform, an integrated battery platform including a battery, a power relay assembly, an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a battery tray detachable from the battery platform. The effect of adjusting the storage capacity can be obtained.
상기 배터리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기본용량의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를 사용하다가 용량의 증설이 필요할 경우 상기 트레이를 추가로 설치함으로 용량을 변경할 수 있어 용량 증가에 추가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When the energy storage device of the basic capacity provided by the battery platform is used and capacity expansion is required, the capacity can be changed by further installing the tray, thereby reducing the cost added to the capacity increa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플랫폼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결합방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의 블록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받침부를 포함한 결합 예시도.1 is a block diagram of a battery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battery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hrough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method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to FIG. 10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a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nergy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플랫폼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결합방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의 블록도이며,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받침부를 포함한 결합 예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battery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battery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to 10 illustrate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ample of a connection including a support portion of the device.
일반적으로 스마트그리드를 구축할 경우 에너지절감의 효과가 있다. 즉,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간 양방향 전력거래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는 전기를 자율적, 경제적, 그리고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전력비 감소와 함께 에너지절약에 동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사업자는 예상되는 피크 수요에 일정부분 예비력을 감안하여 필요한 발전설비를 구축한다. 따라서 스마트그리드를 통해 소비자의 전력 사용시간을 분산할 경우 그만큼 발전소 건설이 필요하지 않아 전력사업자는 물론 국가적으로도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Generally, energy saving is effective when smart grid is built. In other words, through bi-directional electric power trading system between electric power supplier and consumer, consumers can use electric power autonomously, economically, and efficiently to reduce energy costs and to participate in energy saving. Generally, an electric utility builds necessary power generation facilities considering a certain reserve potential against expected peak demand. Therefore, if the power grid is used to distribute the power consumption time of the consumer, it is not necessary to construct a power plant, which is expected to result in cost reductions not only for electric power companies but also for the nation.
이러한 스마트 그리드에 사용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ESS : Energy Storage System)는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발전원의 간헐적 출력특성을 단기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발전과 수요의 시차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저장기술의 적용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전력품질 측면에서 플리커, 전압변동 등 전력계통의 운영과 부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이 필요하며, 출력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에너지 저장장치는 운용 목적에 따라 저장매체를 결정할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경제성 여부가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량의 증설이 필요할 경우 트레이만 추가로 설치함으로 용량을 변경할 수 있어 용량 증가에 추가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장치이다.In order to stabilize the intermittent output characteristics of new and renewable power sources such as solar power and wind power in the short term, and to overcome the parallax between power generation and demand, the Energy Storage System (ESS) It is necessary to apply In terms of power quality, technological means are required to suppress variations in active power and reactive power,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operation and load of the power system, such as flicker and voltage fluctuations. In order to minimize output fluctuations, need. Energy storage devices can determine the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operation, but economic feasibility is a major issue at pres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uch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it is an energy storage device capable of changing the capacity by installing only a tray when capacity expansion is required, thereby reducing the cost added to capacity increas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배터리(120), 제어부(110), 배터리 플랫폼(100), 메인 커넥터(1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배터리(120)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 및 제공한다. The
제어부(110)는 배터리(120)의 온도, 전압, 전류 등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며 배터리(120)를 제어한다.The
배터리 플랫폼(100)은 배터리(120)와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배터리 플랫폼(100)은 배터리(120) 및 제어부(11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절연설계가 가능하다. The
메인 커넥터(101)는 전기적으로 외부 기기와 연결 가능한 착탈 구조를 갖고, 배터리 플랫폼(1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제어부(110) 자체를 더 구비하지 않고 배터리(120)만 추가로 연결하는 것으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용량의 확장이 가능하다. 에너지 저장 장치는 경제성 여부가 주요 이슈가 되고 있는 만큼 배터리(120)만 추가하여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는 점은 커다란 경제적 이점이다.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배터리 트레이(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배터리 트레이(200)는 배터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 측면에 메인 커넥터와 착탈 가능한 구조로 된 제1 커넥터(201)가 구비되어 메인 커넥터(101)와 연결이 가능하며, 배터리 트레이(200)의 적어도 다른 하나의 면에는 다른 배터리 트레이(200)의 제1 커넥터(201)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커넥터(202)가 구비된다. 배터리 플랫폼(100)의 메인 커넥터(101)와 배터리 트레이(200)의 제2 커넥터(202)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제1 커넥터(201)는 메인 커넥터(101) 또는 제2 커넥터(202)와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커넥터(101, 201, 202)는 배터리 출력용 커넥터 및 데이터 통신용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배터리 출력용 커넥터는 전력선(400)과 연결되어 배터리의 전력이 전송된다.The battery output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배터리 통신용 커넥터는 통신선(300)과 연결되어 배터리의 온도, 전압, 전류 등의 상태 정보가 전송된다.The battery communication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 Battery Management System)(112)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RA : Power Relay Assembly)(1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111) 배터리(120)와 연결되어 배터리의 온도, 전압, 전류의 이상 유무를 센서를 통하여 모니터링 하며 배터리 충전 상태(SOC : State Of Charge)의 제어 및 배터리(120) 출력을 제어한다.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is connected to the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는(112) 배터리(120)의 양극단에 연결되고, 배터리(120)와 부하 사이에 위치하여 그 연결을 담당하며 배터리 관리 시스템(111)으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배터리 출력을 차단한다.The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저장장치의 배터리 플랫폼(100)과 배터리 트레이(200)의 연결은 슬라이드식, 회전식, 끼워맞춤식, 구멍 기준 끼워맞춤식 및 볼트, 너트 또는 스크류 등의 결합기구를 이용한 결합방식 등 착탈 가능한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여도 가능하며, 메인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연결 또는 상기 커넥터 간에 서로 연결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6 to 7, the connection between the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저장장치의 배터리 플랫폼(100)과 배터리 트레이(200)들은 상하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저장장치의 배터리 플랫폼(100)과 배터리 트레이(200)들은 전후좌우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 또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설치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공간 형태나 크기에 맞추어 배치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성 및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또한, 미사용 모듈은 분리 후 별도 보관이 가능하므로 관리에 편리함을 제공하며, 필요한 용량만큼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정해진 틀에 착탈식으로 용량을 조절하는 방법에 비해 공간활용도가 높다. 아울러, 일부 트레이 문제 발생 시 전체 전원 공급 중단 없이 일부 용량 전력 공급 가능하고, 문제가 발생한 부분만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보수 비용 절감 및 관리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unused modules can be stored separately after separation, providing convenience in management and occupying space as much as necessary, so space utilization is higher than a method of adjusting the capacity by detachably attaching to a predetermined frame. In addition, when some tray problems occur, some capacity power can be supplied without interruption of the entire power supply, and repair and replacement of the problematic part can be performed, thereby reducing maintenance costs and facilitating managemen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는 상기 배터리 플랫폼 및 상기 배터리 트레이와 결합 가능한 받침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최 말단의 커넥터는 다른 커넥터와 연결이 되어있지 않음으로 외부 이물질이나 습기 등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받침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배터리 플랫폼 및 배터리 트레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받침부는 제3 커넥터(501), 외부출력단자(510) 및 외부통신단자(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제3 커넥터(501)는 메인 커넥터(101) 및 제2 커넥터(202)와 착탈 가능한 구조로 되어 배터리 플랫폼(100)과 받침부(500)가 연결될 경우 메인 커넥터(101)와 연결되고, 배터리 트레이(200)와 받침부(500)가 연결될 경우 제2 커넥터(202)와 연결될 수 있다.The
외부출력단자(510)는 제3 커넥터(501)와 연결되어 외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외부통신단자(520)는 제3 커넥터(501)와 연결되어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배터리 플랫폼
101: 메인 커넥터
110: 제어부
111: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112: 배터리 관리 시스템
120: 배터리
200: 배터리 트레이
201: 제1 커넥터
202: 제2 커넥터
300: 통신선
400: 전력선
500: 받침부100: Battery platform
101: Main connector
110:
111: Power relay assembly
112: Battery management system
120: Battery
200: Battery tray
201: first connector
202: second connector
300: Communication line
400: Power line
500:
Claims (9)
상기 배터리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어부가 일체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플랫폼; 및
상기 배터리 플랫폼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외부 기기와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메인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An energy storage device comprising a battery,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attery;
At least one battery platform in which the battery and the control unit are integrated; And
Wherein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platform is provided with a main connector having a detachable structure with an external device.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 측면에 상기 메인 커넥터와 착탈 가능한 구조로 된 제1 커넥터가 구비되는 배터리 트레이;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배터리 트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상기 배터리 플랫폼 또는 다른 배터리 트레이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메인 커넥터와 같은 구조의 제2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2. The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 battery tray including a battery and having a first connector detachable from the main connector at one side thereof;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ttery tray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attery platform or another battery tray and includes a second connector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main connector.
상기 배터리 플랫폼과 상기 배터리 트레이의 연결 또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 간의 연결은 슬라이드식, 회전식, 끼워맞춤식, 구멍 기준 끼워맞춤식 및 결합기구를 이용한 결합방식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메인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연결 또는 상기 커넥터 간에 서로 연결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platform and the battery tray 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tray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sliding type, a rotary type, a fitting type, a hole-based fitting type, and a coupling type using a coupling mechanism. And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or or the connector.
배터리의 전력이 전송되는 배터리 출력용 커넥터; 및
배터리의 상태 정보가 전송되는 데이터 통신용 커넥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where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main connector, the first connector,
A battery output connector to which power of the battery is transmitted; And
A data communication connector through which status information of the battery is transmitted;
And an energy storage device.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배터리 출력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 Battery Management System); 및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와 부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부하로의 연결을 담당하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제어 신호를 받아 배터리 출력을 차단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RA : Power Relay Assembly);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connected to the battery to control a battery output; And
A power relay assembly (PRA)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and locat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load to take charge of connection from the battery to the load an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to shut off the battery output, ;
And an energy storage device.
상기 배터리 플랫폼과 상기 배터리 트레이들은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battery platform and the battery trays are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배터리 플랫폼과 상기 배터리 트레이들은 전후좌우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battery platform and the battery tray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ront-back, left-right direction.
상기 배터리 플랫폼 및 상기 배터리 트레이와 결합 가능한 받침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The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wherein the energy storage device
A pedestal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battery platform and the battery tray;
Further comprising: an energy storage unit for storing energy stored in the energy storing unit.
상기 메인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와 착탈 가능한 구조로 된 제3 커넥터;
상기 제3 커넥터와 연결되어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출력단자; 및
상기 제3 커넥터와 연결되어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외부통신단자;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A third connector detachable from the main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 external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to supply power to the outside; And
An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an energy stora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26972 | 2012-03-16 | ||
KR1020120026972 | 2012-03-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5472A true KR20130105472A (en) | 2013-09-25 |
KR101987805B1 KR101987805B1 (en) | 2019-06-13 |
Family
ID=4945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6481A KR101987805B1 (en) | 2012-03-16 | 2013-03-13 | Energy storag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7805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24937A (en) * | 2016-08-31 | 2018-03-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Energy storage device |
WO2018186581A1 (en) * | 2017-04-07 | 2018-10-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pack having expandable battery module structure |
KR20180113906A (en) * | 2017-04-07 | 2018-10-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Pack with extendible battery module |
WO2019083149A1 (en) * | 2017-10-24 | 2019-05-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ame |
WO2022015064A1 (en) * | 2020-07-14 | 2022-01-2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and vehicle |
KR20220052196A (en) * | 2020-10-20 | 2022-04-27 | 주식회사 와이파워원 | Apparatus and system for multiple wireless battery-charging and charging-control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80516A (en) * | 2020-12-07 | 2022-06-1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A board type ESS battery pack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04930A (en) * | 2007-02-19 | 2008-09-04 | Yoshimichi Hirashiro | Capacitor system |
KR20110037543A (en) * | 2009-10-07 | 2011-04-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pack capable for being extended in capacity |
KR20110094622A (en) | 2010-02-17 | 2011-08-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power suppl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using the smart grid |
KR101108592B1 (en) * | 2008-05-29 | 2012-02-06 | 노던 라이트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 Expandable energy storag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KR20130017110A (en) * | 2011-08-10 | 2013-02-20 | 주식회사 인디랩 | Removable battery device |
-
2013
- 2013-03-13 KR KR1020130026481A patent/KR10198780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04930A (en) * | 2007-02-19 | 2008-09-04 | Yoshimichi Hirashiro | Capacitor system |
KR101108592B1 (en) * | 2008-05-29 | 2012-02-06 | 노던 라이트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 Expandable energy storag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KR20110037543A (en) * | 2009-10-07 | 2011-04-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pack capable for being extended in capacity |
KR20110094622A (en) | 2010-02-17 | 2011-08-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power suppl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using the smart grid |
KR20130017110A (en) * | 2011-08-10 | 2013-02-20 | 주식회사 인디랩 | Removable battery device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24937A (en) * | 2016-08-31 | 2018-03-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Energy storage device |
WO2018186581A1 (en) * | 2017-04-07 | 2018-10-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pack having expandable battery module structure |
KR20180113906A (en) * | 2017-04-07 | 2018-10-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Pack with extendible battery module |
US11264670B2 (en) | 2017-04-07 | 2022-03-01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pack having expandable battery module structure |
WO2019083149A1 (en) * | 2017-10-24 | 2019-05-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ame |
KR20190045723A (en) * | 2017-10-24 | 2019-05-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CN110506345A (en) * | 2017-10-24 | 2019-11-26 | 株式会社Lg化学 |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
US11342623B2 (en) | 2017-10-24 | 2022-05-24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ame |
WO2022015064A1 (en) * | 2020-07-14 | 2022-01-2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and vehicle |
KR20220052196A (en) * | 2020-10-20 | 2022-04-27 | 주식회사 와이파워원 | Apparatus and system for multiple wireless battery-charging and charging-control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7805B1 (en) | 2019-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7805B1 (en) | Energy storage system | |
Keles et al. | A smart building power management concept: Smart socket applications with DC distribution | |
US8307229B2 (en) | Method of measuring power consumption of electric appliance | |
EP2525471B1 (en) | Auxiliary power supply device of home appliances using smart grid | |
JP7046836B2 (en) | Utility meter for using distributed power generators | |
GB2455421A (en) | Storage, distribution and supply of locally generated electricity | |
KR20140137545A (en) | Smart switchgear having energy storage module | |
CN104615104A (en) | Energy source coordination control equipment and distributed type energy source control system | |
JP6115000B2 (en) | Distribution board, distribution board system, stand-alone distribution board | |
KR102040063B1 (en) |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 |
KR20110042866A (en) | A network system supplying electric pow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10042862A (en) | An electric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
Khederzadeh | Frequency control of microgrids by demand response | |
KR101128818B1 (en) | Communication device for smart grid an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ame | |
KR101736688B1 (en) |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 same | |
JP2015019474A (en) | Electric power interchange system and control procedure determination device for electric power interchange system | |
KR101897818B1 (en) | Network system | |
KR101936570B1 (en) | Energy storage system | |
CN110071521B (en) |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and power distribution method | |
KR20110044005A (en) | Synthetic controlling system of home appliances | |
KR101882509B1 (en) |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50072159A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 |
KR20120000308A (en) | A network system | |
KR20110139040A (en) |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 same | |
KR20120000313A (en) | A network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