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688B1 -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 same - Google Patents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688B1
KR101736688B1 KR1020160125515A KR20160125515A KR101736688B1 KR 101736688 B1 KR101736688 B1 KR 101736688B1 KR 1020160125515 A KR1020160125515 A KR 1020160125515A KR 20160125515 A KR20160125515 A KR 20160125515A KR 101736688 B1 KR101736688 B1 KR 101736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unit
component
information
consu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8180A (en
Inventor
김동현
김양환
고석호
이훈봉
한종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5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688B1/en
Publication of KR2016011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1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6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적어도 제 1 에너지 발생부가 포함되며, 전기요금 정보 또는 전기요금 이외의 정보가 포함되는 에너지 정보를 송신 가능한 유틸리티 네트워크; 상기 에너지발생부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비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 정보를 수신 가능한 가정용 네트워크; 상기 에너지 소비부와 관련하여, 상기 에너지 정보를 인식하는 에너지 측정부; 및 상기 에너지 소비부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에너지 소비부의 작동에 관련한 정보를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 정보가 온피크 시간 구간에서, 상기 에너지 소비부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의 기능은 제한되고, 상기 일 컴포넌트의 제한된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서, 상기 일 컴포넌트의 제한된 기능에 대응하여 상기 에너지 소비부의 구동시간 또는 출력이 조절되며, 상기 에너지 소비부의 구동시간 조절은, 상기 에너지 소비부 또는 상기 일 컴포넌트의 구동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소비부의 출력 조절은, 상기 온피크 시간 구간 종료 시, 상기 온피크 시간 구간일 때의 상기 일 컴포넌트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a first energy generation unit, a utility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energy information including electricity rate information or electric fee information; At least one energy consuming unit consuming energy generated in the energy generating unit, the home network capable of receiving the energy information; An energy measuring unit,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energy consuming unit, for recognizing the energy information; And an energy management unit that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energy consuming unit and manag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nergy consuming unit, wherein, in the energy peak period of the energy information, the function of one component constituting the energy consuming unit is limited Wherein the driving time or the output of the energy consuming part is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limited function of the one component in order to replace the limited function of the one component and the driving time adjustment of the energy consuming part is controlled by the energy consuming part or the one component Wherein the output adjustment of the energy consuming part includes increasing the output of the one component at the end of the on peak time interval and during the on peak time interval.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 same}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공급자는 전기, 물, 가스 등과 같은 에너지원(Energy source)을 단순히 공급만하고, 수요처는 공급받은 에너지원을 단순히 사용만 하였다. 따라서, 에너지 생산, 분배, 또는 에너지 사용 등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관리가 수행되기 어려웠다. Suppliers simply supply energy sources such as electricity, water, and gas, and demanders simply use the supplied energy sources. Therefore, effective management in terms of energy production, distribution, or energy use is difficult to perform.

즉, 에너지는 에너지 공급자로부터 다수의 수요처를 향하여 분산되는, 즉 중앙에서 주변부로 퍼져나가는 방사형구조이고, 수요자 중심이 아닌 단방향의 공급자 중심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In other words, energy is a radial structure that is distributed from an energy supplier to a large number of consumers, that is,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and is characterized by a one-way supplier center rather than a consumer center.

전기에 대한 가격의 정보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력거래소를 통하여 제한적으로만 알 수 있었고, 가격제도 또한 사실상의 고정가격제이기 때문에 가격변화를 통한 수요자에 대한 인센티브와 같은 유인책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Th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can not be known in real time, but it can be seen only through the power exchange, and because the price system is also a fixed price system, incentives such as incentives for consumers through price changes can not be used There was also a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해주는 수평적, 협력적, 분산적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has been a lot of efforts recently to implement a horizontal, cooperative and distributed network that can efficiently manage energy and enable interaction between a consumer and a supplier.

본 발명은, 에너지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전기요금 및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twork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managing an energy source, and reducing electric charges and energy consum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적어도 제 1 에너지 발생부가 포함되며, 전기요금 정보 또는 전기요금 이외의 정보가 포함되는 에너지 정보를 송신 가능한 유틸리티 네트워크; 상기 에너지발생부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비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 정보를 수신 가능한 가정용 네트워크; 상기 에너지 소비부와 관련하여, 상기 에너지 정보를 인식하는 에너지 측정부; 및 상기 에너지 소비부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에너지 소비부의 작동에 관련한 정보를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 정보가 온피크 시간 구간에서, 상기 에너지 소비부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의 기능은 제한되고, 상기 일 컴포넌트의 제한된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서, 상기 일 컴포넌트의 제한된 기능에 대응하여 상기 에너지 소비부의 구동시간 또는 출력이 조절되며, 상기 에너지 소비부의 구동시간 조절은, 상기 에너지 소비부 또는 상기 일 컴포넌트의 구동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소비부의 출력 조절은, 상기 온피크 시간 구간 종료 시, 상기 온피크 시간 구간일 때의 상기 일 컴포넌트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a first energy generation unit, and is capable of transmitting energy information including electricity rate information or electric fee information, ; At least one energy consuming unit consuming energy generated in the energy generating unit, the home network capable of receiving the energy information; An energy measuring unit,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energy consuming unit, for recognizing the energy information; And an energy management unit that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energy consuming unit and manag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nergy consuming unit, wherein, in the energy peak period of the energy information, the function of one component constituting the energy consuming unit is limited Wherein the driving time or the output of the energy consuming part is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limited function of the one component in order to replace the limited function of the one component and the driving time adjustment of the energy consuming part is controlled by the energy consuming part or the one component Wherein the output adjustment of the energy consuming part includes increasing the output of the one component at the end of the on peak time interval and during the on peak time interval.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원을 효율적으로 생산, 사용, 분배, 저장 등을 할 수 있게 되어, 에너지원의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duce, use, distribute, and store an energy source, thereby effectively managing the energy source.

또한, 공급자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 정보를 이용하여 가정 내의 전기제품을 구동 및 제어할 수 있으며, 에너지 사용요금 또는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rive and control the electric appliances in the home using the energ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upplier,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nergy usage fee or power consum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로 제공되는 전력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소비 전력 변화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소비부의 일 실시예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소비부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소비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om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ower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power consumption changes provided to a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n energy consum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energy consum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energy consum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기, 물, 가스 등과 같이 에너지원(Energy source)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에너지원은, 발생량 또는 사용량 등이 계측(meter)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에너지원은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SOURCE라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에너지원으로서 일 례로 전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며, 본 명세의 내용은 다른 에너지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network system is a system for managing energy sources such as electricity, water, and gas. The energy source means that the generated amount or the used amount can be measured. Therefore, the energy source can be SOURCE not mentioned above. Hereinafter, electricit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energy source, and the contents of this specifica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other energy sources.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Power plant)를 포함한다. 상기 발전소는,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을 통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와, 친환경 에너지인 수력, 태양광, 풍력 등을 이용한 발전소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network system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power plant that produces electricity. The power plant may include a power plant that generates electricity through thermal power generation or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a power plant that uses eco-friendly energy such as hydroelectric power, solar power, and wind power.

그리고, 상기 발전소에서 발생된 전기는 송전선을 통하여 전력소(substation)로 송전되고, 전력소에서는 변전소로 전기를 송전하여 전기가 가정이나 사무실 같은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power plant is transmitted to a substation through a transmission line, and electric power is transmitted to a substation in a power station so that electricity is distributed to consumers such as a home or an office.

그리고, 친환경 에너지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도 변전소로 송전되어 각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변전소에서 송전된 전기는 전기저장장치를 거쳐서 또는 직접 사무실이나 각 가정으로 분배된다. Electricity generated by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is also transmitted to the substation and distributed to each customer. Electricity transmitted from the substation is distributed through an electric storage device or directly to the office or each household.

가정용 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도 태양광이나 PHEV(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에 장착된 연료전지 등을 통하여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거나, 저장하거나, 분배하거나, 남는 전기를 외부에 되팔 수도 있다. In the home using a home network (HAN, home area network), electric power can be produced, stored, distributed, or distributed through a solar cell or a fuel cell mounted on a PHEV (Hybrid Electric Vehicle) The remaining electricity can be return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수요처(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전기 사용량 또는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전기 공급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스마트 미터(Smart meter)와, 다수의 수요처의 전기 사용량 또는 상기 다수의 수요처의 전기 공급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장치(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가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work system may include a smart meter for real-time grasping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by the customer (home or office) or the amount of electricity supplied to the customer, in real time, And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icity supplied in real time.

또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장치(EMS: Energy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에너지와 관련(에너지의 생성, 분배, 사용, 저장 등)하여,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의 작동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적어도 컴포넌트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work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energ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can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components in relation to energy (generation, distribution, use, storage, etc.) of the energ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may generate at least instructions related to operation of the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는 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능 또는 솔루션을 에너지관리기능(Energy Management Function) 또는 솔루션(Energy Management Solution)으로 언급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function or a solution performed by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may be referred to as an energy management function or an energy management solution.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별도의 구성으로 하나 이상이 존재하거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 또는 솔루션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may be included in one or more components in a separate configuration, or may be included as an energy management function or solution in one or more component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컴포넌트 들에 의해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발전소, 변전소, 전력소, 에너지관리장치, 가전제품, 스마트 미터, 축전기, 웹 서버, 계측장치, 홈 서버 등이 네트워크 시스템의 컴포넌트 들이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a plurality of components. For example, power plants, substations, power stations, energy management devices, household appliances, smart meters, capacitors, web servers, measuring devices, and home servers are components of the network system.

또한, 본 발명에서, 각 컴포넌트는 다수의 세부 컴포넌트 들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일 례로, 일 컴포넌트가 전기제품인 경우, 마이컴, 히터, 디스플레이 등이 세부 컴포넌트일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can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detailed components. For example, when one component is an electrical product, the microcomputer, the heater, the display, and the like may be detailed components.

즉, 본 발명에서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것이 컴포넌트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포넌트 들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리고, 두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everything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may be a component, and these components constitute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wo components can communicate by communication means.

또한, 하나의 네트워크(network)는 하나의 컴포넌트일 수 있거나, 다수의 컴포넌트로 구성될 수 있다. Further, one network may be a single component o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통신 정보가 에너지원과 관련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에너지 망(Energy grid)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a network system in which communication information is related to an energy source may be referred to as an energy grid.

일 실시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틸리티 네트워크(UAN: Utility Area Network: 10)와, 가정용 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 20)로 구성될 수 있다.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가정용 네트워크(20)는 통신수단에 의해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할 수 있다. The network system of one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a utility network (UAN) 10 and a home network (HAN) 20. The utility network 10 and the home network 20 can be wired or wirelessly communicated by communication means.

본 명세서에서, 가정은, 사전적 의미의 가정 뿐만 아니라, 건물, 회사 등 하나 이상의 특정 컴포넌트가 포함되는 집단을 의미한다. 그리고, 유틸리티는 가정 외부에서 하나 이상의 특정 컴포넌트가 포함되는 집단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assumption means a group including one or more specific components such as a building, a company, and the like, as well as assumptions of a dictionary meaning. A utility is a group that includes one or more specific components outside the home.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11)와, 에너지를 분배 또는 전달하는 에너지분배부(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12)와,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13)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14)와, 에너지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15)를 포함한다. The utility network 10 includes an energy generation component 11 for generating energy, an 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12 for distributing or transferring energy, and an energy storage unit An energy storage component 13 for managing energy, an energy management component 14 for managing energy, and an energy metering component 15 for measuring energy related information.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경우, 에너지를 소비하는 컴포넌트는 에너지소비부일 수 있다. When one or more components of the utility network 10 consume energy, the energy consuming component may be an energy consuming part.

상기 에너지발생부(11)는 일 례로 발전소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분배부(12)는 상기 에너지발생부(11)에서 생성된 에너지 및/또는 에너지저장부(13)에 저장된 에너지를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소비부(26)로 분배 또는 전달한다. 상기 에너지분배부(12)는 송전기, 변전소, 전력소 등일 수 있다. The energy generating unit 11 may be, for example, a power plant. The energy distribution unit 12 distributes or delivers the energy generated by the energy generation unit 11 and / or the energy stored in the energy storage unit 13 to the energy consumption unit 26 consuming energy. The energy distribution unit 12 may be a power transmission unit, a substation, a power station, or the like.

상기 에너지저장부(13)는 축전지 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에너지와 관련하여, 에너지발생부(11), 에너지분배부(12), 에너지저장부(13), 에너지소비부(26) 중 하나 이상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적어도 특정 컴포넌트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The energy storage unit 13 may be a battery and the energy management unit 14 may include an energy generation unit 11, an energy distribution unit 12, an energy storage unit 13, an energy consumption unit 26). ≪ / RTI > The energy management unit 14 may generate at least instruc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pecific component.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에너지관리장치 일 수 있으며,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하거나, 다른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측정부(15)는 에너지의 발생, 분배, 사용, 저장 등과 관련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일 례로 계측장치(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일 수 있다. The energy management unit 14 may be an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may exist in a separate configuration or may be included as an energy management function in another component. The energy measurement unit 15 may measu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generation, distribution, use, storage, etc. of energy, and may be, for example,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는, 터미널 컴포넌트(미도시)를 통하여 정보를 송신하거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특정 컴포넌트에서 생성 또는 전달된 정보는, 터미널 컴포넌트를 통하여 송신되거나 다른 컴포넌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utility network 10 can transmit information or receive information via a terminal component (not shown). That is, the information generated or transmitted by the specific components constituting the utility network 10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component or receive information from other components.

또한,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두 개의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wo components constituting the utility network 10 can communicate by communication means.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와, 에너지를 분배하는 에너지분배부(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22)와,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23)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와,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를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25)와,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소비부(Energy consumption component: 26)와, 다수의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중앙관리부(Central management component: 27) 및 에너지 망 보조부(Energy Grid Assistance Component: 28)를 포함한다. The home network 20 includes an 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 for generating energy, an 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22 for distributing energy, an energy storage component 22 for storing energy, 23, an 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 for managing energy, an energy metering component 25 for measuring energy related information, and an energy consumption component 26, a central management component 27 and an energy grid assistance component 28 for controlling a number of components.

상기 에너지발생부(11), 에너지분배부(12), 에너지저장부(13), 에너지관리부(14) 및 에너지측정부(15)를 제 1 에너지발생부, 제 1 에너지분배부, 제 1 에너지저장부, 제 1 에너지관리부 및 제 1 에너지측정부라 이름하고, 상기 에너지발생부(21), 에너지분배부(22), 에너지저장부(23), 에너지관리부(24) 및 에너지측정부(25)를 제 2 에너지발생부, 제 2 에너지분배부, 제 2 에너지저장부, 제 2 에너지관리부 및 제 2 에너지측정부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nergy generation unit 11, the energy distribution unit 12, the energy storage unit 13, the energy management unit 14, and the energy measurement unit 15 are connected to a first energy generation unit, a first energy distribution unit, The energy storage unit 22, the energy storage unit 23,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and the energy measurement unit 25, which are referred to as a storage unit, a first energy management unit, and a first energy measurement uni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nergy generation unit, a second energy distribution unit, a second energy storage unit, a second energy management unit, and a second energy measurement unit.

상기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는 가정용 발전기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23)는 축전지일 수 있고,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는 에너지관리장치 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25)는 에너지의 발생, 분배, 사용, 저장 등과 관련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일 례로 스마트 미터(Smart meter)일 수 있다. The 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 may be a household power generator and the energy storage component 23 may be a battery and the 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 may be an energy management device. The energy metering component 25 may measure information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distribution, use, storage,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energy metering component 25 may be a smart meter.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일 례로 전기제품 또는 전기제품을 구성하는 히터, 모터,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너지소비부(26)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energy consuming unit 26 may be, for example, a heater, a motor, a display, etc. constituting an electric product or an electric product. It is to be noted that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kind of the energy consuming section 26 in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may exist in a separate configuration or may be included in at least one component as an energy management function.

상기 에너지발생부(21), 상기 에너지분배부(22), 에너지저장부(23)는 개별적인 컴포넌트이거나, 단일의 컴포넌트를 구성할 수 있다. The energy generating unit 21, the energy distributing unit 22, and the energy storing unit 23 may be individual components or a single component.

상기 중앙관리부(27)는 일 례로 다수의 전기제품(Appliance)을 제어하는 홈 서버 일 수 있다.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may be, for example, a home server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appliances.

상기 에너지 망 보조부(28)는, 상기 에너지 망을 위해 추가적인 기능을 하면서, 본래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 망 보조부는 웹 서비스 제공부(일 례로 컴퓨터 등),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텔레비전 등일 수 있다. The energy network auxiliary unit 28 is a component having an original function while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for the energy network. For example, the energy network sub-unit may be a web service provisioning (e.g., a computer), a mobile device, a television,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두 개의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The two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20 can be communicated by communication means.

위에서 언급된 에너지 발생부(11, 21), 에너지 분배부(12, 22), 에너지 저장부(13, 23), 에너지 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에너지소비부(26) 및 중앙관리부(27)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둘 이상이 단일의 컴포넌트를 구성할 수 있다. The energy distributing units 12 and 22, the energy storing units 13 and 23, the energy managing units 14 and 24, the energy measuring units 15 and 25,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6 and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may exis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wo or more may constitute a single component.

예를 들어, 에너지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및 중앙관리부(27)가 각각 단일의 컴포넌트로 존재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미터, 에너지관리장치 및 홈서버로 구성되거나, 에너지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중앙관리부(27)가 기구적으로 단일의 장치를 이룰 수 있다. For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units 14 and 24, the energy measurement units 15 and 25, and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exist as a single component, and each of the smart meters,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Or the energy management units 14 and 24, the energy measurement units 15 and 25, and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may constitute a single apparatus.

또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다수 개의 컴포넌트 및/또는 통신수단에서 그 기능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에너지관리부와, 에너지측정부 및 에너지소비부에서 순차적으로 에너지 관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Further, in performing a single function, the functions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in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 or communication means. For example, an energy management function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in a separate energy management unit, an energy measurement unit, and an energy consumption unit.

본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복수의 유틸리티 네트워크(10)가 단일의 가정용 네트워크(20)와 통신할 수 있고, 단일의 유틸리티 네트워크(10)가 복수의 가정용 네트워크(20)와 통신할 수 있다. In this network system, a plurality of utility networks 10 can communicate with a single home network 20, and a single utility network 10 can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home networks 20.

또한, 유틸리티 네트워크와 가정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특정 기능의 컴포넌트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발생부 또는 에너지소비부 등은 복수 개일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mponents of a specific function configuring the utility network and the home network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energy generating unit or the energy consuming unit may be plura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om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20)에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로부터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력 및/또는 전기요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에너지 측정부(25), 일례로 스마트 미터와, 상기 에너지 측정부(25) 및 전기제품과 연결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부(24)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3, the home network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ergy measurement unit 25 that can measure power and / or electricity charges supplied to the homes from the utility network 10 in real time For example, a smart meter, the energy measurement unit 25, and an energy management unit 24 connected to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한편, 각 가정의 전기요금은 시간당 요금으로 과금되며, 전력소비량이 급격하게 증대되는 시간구간에서는 시간당 전기요금이 비싸지며, 전력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심야시간과 같은 때에는 시간당 전기요금이 저렴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ity rate of each household is charged at an hourly rate, and the electricity rate per hour becomes high at a time interval in which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is rapidly increased, and the electricity rate per hour may become low at the time of the midnight at which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is relatively low .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에너지소비부(26)로서의 전기제품, 즉 세탁기(100), 냉장고(200), 건조기(300), 조리기기(400) 또는 에어컨(500)과 같은 전기제품과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energy consuming unit 26 through the network in the home such as the washing machine 100, the refrigerator 200, the dryer 300, the cooking appliance 400, And can be used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가정에서의 통신은 Zigbee, wifi와 같은 무선 방식 또는 전력선 통신 방식 (PLC, Power line communication)와 같은 유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하나의 가전기기는 다른 가전기기들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Communication in the home can be done through wired such as Zigbee, wifi,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one household appliance can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other household appliance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에 제공되는 전력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소비 전력 변화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ower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power consumption changes provided to a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유틸리티 네트워크(10) 또는 가정용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특정 컴포넌트에는 통신 수단을 통하여 에너지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로부터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기량 또는 전기요금 정보는 상기 에너지 관리부(24) 또는 에너지 측정부(25)에 수신될 수 있다.Energy information can b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for the specific components constituting the utility network 10 or the home network 20. For example, the electricity amount or electricity bill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utility network 10 to each household may be received by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or the energy measurement unit 25. [

일 례로, 전기와 관련한 정보에는, 전기 요금(Time-based Pricing) 및 전기요금 이외의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전기 요금 이외의 정보에는, 에너지저감(curtailment), 긴급상황(Grid emergency), 망 안전(grid reliability), 발전량(Energy Amount), 작동 우선 순위(operation priority) 등이 있다. For example, information relating to electricity includes information other than time-based pricing and electricity rates. The information other than the above electric bill includes energy curtailment, grid emergency, grid reliability, energy amount, operation priority, and the like.

이러한 정보는, 이전의 정보를 토대로 미리 생성된 스케줄 정보(scheduled information)와, 실시 간으로 변동되는 실시 간 정보(real time information)로 구분될 수 있다. 스케줄 정보와 실시 간 정보는 현재 시간 이후(미래)의 정보 예측 여부에 의해서 구분될 수 있다. Such information can be divided into scheduled information generated in advance based on previous information and real time information that varies in real time.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information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diction of the information after the present time (future).

상기 에너지 정보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되거나, 실제 Price가 송수신되거나, 다수 개로 레벨화되어 송수신될 수 있다. The energy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as a true or false signal such as a Boolean on a network system, an actual price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or a plurality of levels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또한, 상기 에너지 정보는,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변화 패턴에 따라서 TOU(time of use) 정보이거나, CPP(critical peak pattern) 정보이거나, RTP(real time pattern)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The energy information may be time of use (TOU) information, critical peak pattern (CPP) information, or real time pattern (RTP) information according to a change pattern of data over time.

상기 TOU 정보에 의하면, 시간에 따라 데이터가 단계적으로 변화된다. 상기 CPP 정보에 의하면, 데이터가 시간에 따라 단계 또는 실시간으로 변화되며, 특정 시점에 강조(emphasis)가 표시된다. 상기 RTP 정보에 의하면, 시간에 따라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변화된다. According to the TOU information, data is changed stepwise according to time. According to the CPP information, the data changes stepwise or real-time with time, and emphasis is displayed at a specific time point. According to the RTP information, data changes in real time.

에너지 정보가 전기요금 정보인 경우, 상기 전기 요금에 관련한 정보는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전기요금 정보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되거나, 실제 Price가 송수신되거나, 다수 개로 레벨화되어 송수신될 수 있다. If the energy information is electricity rat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icity rate may vary. The electricity bil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as a true or false signal such as a Boolean on a network system, a real price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or a plurality of levels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도 4에는, 특정 컴포넌트, 예를 들어 전기제품의 에너지 관련정보(전력 정보), 즉 전기제품의 구동에 관한 정보값이 레벨화 되어 수신되는 일례를 도시한다. 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energy related information (electric power information) of a specific component, for example, an electric product, i.e., information values regarding driving of the electric product is leveled and received.

상기 전기제품의 구동에 관한 레벨화된 정보값이 일정한 기준값(S)을 초과하는 시간 구간은 온피크(on-peak) 시간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기준값(S)의 미만인 시간 구간은 오프피크(off-peak) 시간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time interval in which the leveled information value regarding the driving of the electric appliance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 may be defined as an on-peak time interval, and a time interval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S is off Can be defined as an off-peak time interval.

상기 구동에 관한 정보값은 전기요금, 전력량, 전기요금의 변화율, 전력량의 변화율, 전기요금의 평균값 및 전력량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기준값(S)은 평균값, 소정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평균값, 소정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기준 변화율(일 례로: 단위 시간 당 소비전력량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information value regarding the driving may be at least one of an electric charge, a power amount, a rate of change of the electric charge, a rate of change of the electric power amount, an average value of the electric charge and an average value of the electric power amount. The reference value S may be at least one of an average value, an average value of a minimum value and a maximum value of power information during a predetermined section, and a reference change rate of power information during a predetermined section (for example, a slope of power consumption amount per unit time).

상기 기준값(S)은 실시 간으로 설정하거나,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준값(S)은 유틸리티 네트워크에서 설정되거나, 가정용 네트워크(소비자직접입력, 에너지관리부, 중앙관리부 등에서 입력)에서 설정될 수 있다. The reference value S may be set in real time or may be set in advance. The reference value S may be set in a utility network, or may be set in a home network (input by a consumer direct input, energy management unit, central management unit, etc.).

정리하면,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은 비교적 비싼 전기요금(또는 전력량 수요과다)으로 전기제품을 구동가능한 시간구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오프피크 시간구간은 비교적 싼 전기요금(또는 전력량 수요부족)으로 전기제품을 구동가능한 시간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In summary, the on-peak time period may mean a time period during which an electric appliance can be driven with a relatively high electricity rate (or excess power demand), and the off-peak time period may be a relatively low electricity rate It may mean a time interval during which the electric appliance can be driven.

그리고, 전력공급원의 입장에서 보면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은 전력수요가 집중하는 시간구간이기 때문에 오프피크 시간구간으로 전력수요를 분산시킬 필요가 있는 시간구간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된다.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lectric power source, the on-peak time period is a time period in which power demand is concentrated, and therefore, it means a time period in which it is necessary to disperse the electric power demand in the off-peak time period.

상기 특정 컴포넌트, 예를 들어 에너지소비부(26)로서의 전기제품(100,200,300,400,500))이 on-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출력을 0으로 하거나(정지 또는 정지상태유지) 출력을 저감하여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When the on-peak is recognized (for example, when the electric appliance 100, 200, 300, 400 or 500 as the energy consuming unit 26) recognizes the on-peak (for example, the recognition time)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lowered.

한편, 상기 전기제품(100,200,300,400,500)이 off-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기제품(100,200,300,400,500)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증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ical products 100, 200, 300, 400, and 500 recognize off-peaks (for example, when they recognize), the output can be increased. In this case, the electric power consumed by the electric appliances (100, 200, 300, 400, 500) can be increased.

상기 에너지저감(curtailment) 정보는, 컴포넌트가 정지되거나 전기요금을 적게 쓰는 모드와 관련한 정보이다. 상기 에너지저감 정보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일 례로 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될 수 있다.The energy curtailme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a mode in which the component is stopped or the electricity fee is reduced. The energy reduc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as a true or false signal, for example, as a Boolean on a network system.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에너지저감 정보를 인식하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출력을 0으로 하거나(정지 또는 정지상태유지) 출력을 저감할 수 있다.When the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the energy reduction information, the output can be set to 0 (stop or stop) and the output can be reduced as described above.

상기 긴급상황(Grid emergency) 정보는, 정전 등과 관련한 정보로서, 일 례로 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정전 등과 관련한 정보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컴포넌트의 신뢰성과 관련성이 있다. The emergency information (Grid emergency) is information related to a power failure or the like, and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s a true or false signal, for example, as a Boolea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wer failure or the like is related to the reliability of components using energy.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긴급상황 정보를 인식한 경우, 즉시 shut down될 수 있다. If the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the emergency information, it can be shut down immediately.

상기 망 안전(grid reliability) 정보는, 공급 전기량의 많고 적음에 관한 정보 또는 전기의 품질에 관한 정보로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망 안전 정보는, 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 또는 컴포넌트(일 례로 전기제품)로 공급되는 AC전원의 주파수를 통하여 인식될 수 있다.The grid reliability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electricity supplied or the amount of electricity supplied or the quality of electricity. The network security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through a true or false signal, such as a Boolean, or a frequency of an AC power source supplied as a component (e.g., an electrical product).

즉, 컴포넌트로 공급되는 AC 전원의 기준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가 감지되면 공급 전기량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고, AC 전원의 기준 주파수 보다 높은 주파수가 감지되면 공급 전기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That is, if the frequency lower than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component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lied electricity quantity is small. If a frequency higher than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AC power supply is detect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upplied electricity quantity is large.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망 안전 정보 중에서 전기량이 적음을 인식하거나 전기 품질이 좋지 않다는 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경우에 따라서, 출력 0으로 하거나(정지 또는 정지상태유지) 출력을 저감하거나 출력을 유지하거나 출력을 증가할 수 있다.When the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that the amount of electricity is low among the network safety information or recognizes that the electrical quality is not good, the specific component may set the output 0 (stop or stop) Or to maintain the output or to increase the output.

발전 전기량 과다 정보(information)는, 발전량에 비하여 에너지를 소비하는 컴포넌트의 전기 사용량이 적어, 잉여 전기가 발생되는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일 례로 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될 수 있다. Generated electricity quantity excess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state where surplus electricity is generated because the electricity consumption of the component consuming energy is smaller than the electricity generation amount and can be transmitted or received as a true or false signal such as a Boolean.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발전 전기량 과다 정보를 인식한 경우,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When the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the electricity generation amount excess information, the output can be increas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소비부의 일 실시예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n energy consum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20) 시스템에는, 에너지소비부(26)로서의 세탁기(100)와, 가정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80)과, 상기 전력 공급원(8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량 또는 상기 세탁기(100)에서 사용되는 전기량을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25) 및 상기 세탁기(100)의 작동과 관련한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부(24)가 포함된다.5, the home network system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hing machine 100 as an energy consuming unit 26, a power supply source 80 for supplying power to the home, An energy measuring unit 25 for measuring an amount of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washing machine 80 or an amount of electricity used in the washing machine 100 and an energy managing unit 24 for managing energ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00.

도 5에는, 상기 세탁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에너지관리부(26)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에너지관리부(24)를 대신하여 상기 중앙관리부(27) 또는 에너지 망 보조부(28)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5 shows the energy management unit 26 a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00.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may be replaced with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or the energy network auxiliary unit 28 .

상기 세탁기(100)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세탁수를 가열하는 가열장치(120)와, 상기 세탁기(100)의 세탁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130)와, 상기 세탁기(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140)와, 온수를 저장할 수 있는 온수 탱크(150) 및 세탁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가 포함된다.The washing machine 100 includes a heating device 120 for heating the washing water to supply hot water, a timer 130 for measuring the washing time of the washing machine 100, A hot water tank 150 capable of storing hot water, and a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00.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00,

상기 가열장치(120)는 상기 세탁기(100)를 구성하는 다수의 에너지소비부 중 일 에너지소비부로서, 상대적으로 전력 소비량이 많은 컴포넌트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120)는 히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는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하여 발열될 수 있다. 가열된 세탁수는 세탁 성능의 향상에 기여한다.The heating device 120 may be understood as a component having relatively high power consumption as one energy consuming part among a plurality of energy consuming parts constituting the washing machine 100. The heating device 120 may include a heater, and the heater may generate heat to heat the washing water. The heated washing water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the washing performance.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가열장치(120)가 구동되면, 상기 세탁기(100)에서 소비되는 전기량에 따른 전기요금은 상대적으로 비싸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탁기(100)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제한되며, 에너지를 공급하는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전력수요의 집중이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When the heating device 120 is driven in the on-peak time interval, the electric char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in the washing machine 100 becomes relatively expensive. Therefore, the efficient use of energy by the washing machine 100 is limite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oncentration of power demand is concentrated in the view of a supplier that supplies energy.

결국,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세탁기(100)의 소비전력이 저감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장치(120)의 구동은 제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열장치(120)의 구동을 제한하는 경우, 사용자가 요구하는 세탁 성능의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다.As a result,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washing machine 100 during an on peak time interval, the driving of the heating device 120 may be limited. However, when the driving of the heating device 120 is restricted, it may become difficult to secure the washing performance required by the user.

이 경우, 상기 세탁기(100)는 상기 가열장치(120)의 기능을 제한하는 대신에, 특정 행정(코스)에 따라 미리 정해진 세탁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60℃의 세탁수로 1시간을 세탁하는 것으로 설정되는 세탁 코스를 온피크 시간구간에서는 25℃의 세탁수로 1시간 20분을 세탁하는 코스로 조정(대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shing machine 100 may increase the predetermined washing time according to a specific stroke (course) instead of limiting the function of the heating device 120. For example, a washing course set to be washed with washing water at 60 ° C for one hour may be adjusted (replaced) to a washing course at 25 ° C for 1 hour and 20 minutes during an on peak time period.

물론, 조정된 코스로 구동되는 경우의 소비 전력은 이전의 코스로 구동되는 경우의 소비 전력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power consumption when driving with the adjusted course can be made lower than the power consumption when driving with the previous course.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이 인식되면, 상기 에너지 관리부(24)는 상기 세탁 코스를 조정하도록 상기 제어부(110)에 소정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on-peak time period is recognized,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may transmit a predetermined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10 to adjust the washing course.

한편, 온피크 시간구간에서 상기 구동모터(140)의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수 행정에서 상기 구동모터(140)의 rpm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대체하여 상기 구동모터(140)의 구동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 of the driving motor 140 may be limited in the on-peak time period. For example, the rpm of the driving motor 140 may be reduced in the dewatering stroke, and the driving time of the driving motor 140 may be increased instead.

상기 온수탱크(150)에는, 오프피크 시간구간 동안 세탁수가 가열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150)는 온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에 대하여 단열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In the hot water tank 150, the wash water can be heated and stored during the off peak time period. The hot water tank 150 may be maintained in an adiabatic state with respect to the outside to maintain the hot water state.

상기 온피크 시간구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가열장치(120)를 이용하여 세탁수를 가열하는 대신에, 상기 온수탱크(150)에 저장된 온수를 이용하여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on-peak time period comes,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heating unit 120 to perform washing using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50, instead of heating the washing water using the heating unit 120 .

이와 같이, 전력 소비가 많은 일 에너지소비부의 기능(작동)을 제한하는 반면, 세탁기의 세탁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체 기능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전기를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the function (operation) of the energy consuming part having a large power consumption is restricted, while the replacement function is performed in order to secure the washing performance of the washing machin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소비부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energy consum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20) 시스템에는, 에너지소비부(26)로서의 냉장고(200)와, 가정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80)과, 상기 전력 공급원(8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량 또는 상기 냉장고(200)에서 사용되는 전기량을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25) 및 상기 냉장고(200)의 작동과 관련한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부(24)가 포함된다.6, the home network system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rigerator 200 as an energy consuming unit 26, a power supply source 80 for supplying power to the home, An energy measuring unit 25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refrigerator 80 or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in the refrigerator 200 and an energy management unit 24 for managing energ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200.

도 6에는, 상기 세탁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에너지관리부(24)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에너지관리부(24)를 대신하여 상기 중앙관리부(27) 또는 에너지 망 보조부(28)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6 shows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a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00.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may be replaced with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or the energy network auxiliary unit 28, .

상기 냉장고(200)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동하기 위하여 소정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20)와, 상기 냉동 사이클(100)의 구동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130)와, 상기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의 제상을 위한 제상히터(240)와, 상기 냉동 사이클의 구동에 의하여 생성된 냉기를 저장하는 축냉부(250) 및 냉장고(2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10)가 포함된다.The refrigerator 200 includes a compressor 220 for compressing a predetermined refrigerant to drive a refrigeration cycle, a timer 130 for measuring a driving time of the refrigeration cycle 100, A defrost heater 240 for defrosting, a cooling unit 250 for storing cool air generated by driving the refrigeration cycle, and a control unit 21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200.

상기 압축기(220) 및 제상히터(240)는 각각 상기 냉장고(200)를 구성하는 에너지소비부로서, 상대적으로 전력 소비가 큰 컴포넌트로 이해될 수 있다.The compressor 220 and the defrost heater 240 are energy consuming parts constituting the refrigerator 200, respectively, and can be understood as a component having relatively high power consumption.

온피크 시간구간이 도래하면, 상기 압축기(220)의 기능은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2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으로써, 상기 압축기(220)의 냉력(압축기의 입력일)을 낮출 수 있다. When the on peak time interval comes, the function of the compressor 220 may be limited. That is, by controlling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mpressor 220, the cooling power (input date of the compressor) of the compressor 220 can be lowered.

그리고, 상기 압축기(220)의 냉력을 낮출 경우, 상기 냉장고(200)의 냉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압축기(220)의 운전율 (즉, 전체 시간에 대한 압축기의 on 시간비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When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220 is lowered,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refrigerator 200 may be lowered. In order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cooling performance, the operation rate of the compressor 220 (that is, the on time ratio of the compressor with respect to the entire time) can be increased.

물론, 상기 압축기(220)의 운전율을 상승시키는 데 필요한 전력은 상기 압축기(220)의 냉력을 높이는 데 필요한 전력보다 적게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power required to raise the operation rate of the compressor 220 may be less than the power required to increase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220.

한편, 상기 제상히터(240)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다만, 전력 소비가 높은 상기 제상히터(240)의 작동을 제한하는 대신에, 사방 밸브를 이용한 역 냉동사이클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증발기의 제상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 of the defrost heater 240 can be limited. However, instead of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defrost heater 240 with a high power consumption, the defrosting effect of the evaporator can be obtained by driving the reverse refrigeration cycle using the four-way valve.

물론, 소정 시간동안 상기 역 냉동사이클을 구동하는 데 소비되는 전력은 상기 제상히터(240)의 작동을 위하여 소비되는 전력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power consumed for driving the reverse refrigeration cycle for a predetermined time may be lower than the power consumed for operating the defrost heater 240.

오피피크 시간구간에, 상기 축냉부(250)는 냉동 사이클에 의하여 형성되는 일부의 냉기를 저장할 수 있다. 냉기의 용이한 저장을 위하여, 상기 축냉부(250)에는 단열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During the peak time period, the cold storage unit 250 may store a part of the cold storage formed by the refrigeration cycle. For easy storage of cold air, a heat insulating structure may be applied to the cold storage part 250.

온피크 시간구간이 도래하면, 상기 압축기(220)를 구동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것에 대신하여, 상기 축냉부(250)에 저장된 냉기를 이용하여 냉장고를 냉각시킬 수 있다.The refrigerator can be cooled by using the cold air stored in the cold storage part 250 instead of driving the compressor 220 to generate cold air.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소비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energy consum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20) 시스템에는, 에너지소비부(26)로서의 건조기(300)와, 가정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80)과, 상기 전력 공급원(8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량 또는 상기 건조기(300)에서 사용되는 전기량을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25) 및 상기 냉장고(200)의 작동과 관련한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부(24)가 포함된다.7, the home network system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yer 300 as an energy consuming unit 26, a power supply source 80 for supplying power to the home, An energy measuring unit 25 for measuring an amount of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refrigerator 80 or an amount of electricity used in the dryer 300 and an energy managing unit 24 for managing energ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200.

도 7에는, 상기 건조기(3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에너지관리부(24)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에너지관리부(24)를 대신하여 상기 중앙관리부(27) 또는 에너지 망 보조부(28)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7 shows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a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yer 300.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may be replaced by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or the energy network auxiliary unit 28, .

상기 건조기(300)에는, 포량의 건조를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장치(320)와, 상기 건조기(200)의 작동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330)와, 상기 건조기(300) 내부로 건조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팬 모터(340) 및 건조기(3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10)가 포함된다.The dryer 300 includes a heating device 320 for heating the air to dry the laundry 300, a timer 330 for measur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dryer 200, And a control unit 31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an motor 340 and the dryer 300 for circulation.

상기 가열장치(320)는 상기 건조기(300)를 구성하는 에너지소비부로서, 상대적으로 전력 소비가 큰 컴포넌트로 이해될 수 있다.The heating device 320 is an energy consuming part of the dryer 300, and can be understood as a component having relatively high power consumption.

온피크 시간구간이 도래하면, 상기 가열장치(320)의 기능은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장치(3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스위치-오프 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온의 공기가 형성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When the on-peak time period comes, the function of the heating device 320 may be limited. That is, the current applied to the heating device 320 can be switched off. In this case, formation of hot air can be limited.

다만, 상기 가열장치(320)의 작동을 off 할 경우, 건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팬 모터(340)의 회전수를 상승시키거나 상기 팬 모터(340)의 구동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건조기(300) 내부에 순환하는 공기의 양이 증대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device 320 is turned off, the drying performance may be lowered. In order to prevent such deterioration of drying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an motor 340 or to increase the driving time of the fan motor 340. In this case, the amount of air circulating inside the dryer 300 can be increased.

물론, 상기 팬 모터(340)의 회전수를 높이거나, 팬 모터(340)의 구동시간을 증가시키는 데 필요한 전력은 상기 가열장치(320)를 on 시키는 데 필요한 전력보다 적게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power required to increas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an motor 340 or increase the driving time of the fan motor 340 may be less than the power required to turn on the heating device 320.

이와 같은 구성 및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전기제품의 구동과 관련한 에너지 관리 및 사용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nergy management and use efficiency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electric product can be improved.

10 : 유틸리티 네트워크 20 : 가정용 네트워크
24 : 에너지관리부 25 : 에너지측정부
26 : 에너지소비부 100 : 세탁기
200 : 냉장고 300 : 건조기
10: utility network 20: home network
24: Energy management unit 25: Energy measurement unit
26: Energy consumption unit 100: Washing machine
200: Refrigerator 300: Dryer

Claims (4)

적어도 제 1 에너지 발생부가 포함되며, 전기요금 정보 또는 전기요금 이외의 정보가 포함되는 에너지 정보를 송신 가능한 유틸리티 네트워크;
상기 제 1 에너지 발생부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소비하는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비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 정보를 수신 가능한 가정용 네트워크;
상기 에너지 소비부와 관련하여, 상기 에너지 정보를 인식하는 에너지 측정부; 및
상기 에너지 소비부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에너지 소비부의 작동에 관련한 정보를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 정보가 온피크 시간 구간에서, 상기 에너지 소비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컴포넌트들 중 상대적으로 전력 소비량이 많은 일 컴포넌트의 출력이 저감되고,
상기 일 컴포넌트의 저감된 출력을 대체하기 위해서, 상기 일 컴포넌트의 저감된 출력에 대응하여 상기 에너지 소비부의 구동시간 또는 출력이 조절되며,
상기 에너지 소비부의 구동시간 조절은, 상기 에너지 소비부 또는 상기 일 컴포넌트의 구동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소비부의 출력 조절은, 상기 온피크 시간 구간 종료 시 상기 일 컴포넌트의 출력을, 상기 온피크 시간 구간일 때의 상기 일 컴포넌트의 출력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A utility network including at least a first energy generating unit and capable of transmitting energy information including electricity rate information or information other than electric charges;
A home network including at least one energy consuming unit consuming energy generated in the first energy generating unit and capable of receiving the energy information;
An energy measuring unit,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energy consuming unit, for recognizing the energy information; And
And an energy management unit communicable with the energy consumption unit and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nergy consumption unit,
The output of one component having a relatively high power consumption among a plurality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nergy consuming unit is reduced in an on peak time interval of the energy information,
The drive time or output of the energy consuming part is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reduced output of the one component to replace the reduced output of the one component,
Wherein the driving time adjustment of the energy consuming portion includes increasing the driving time of the energy consuming portion or the one component,
Wherein the output adjustment of the energy consuming section includes increasing the output of the one component at the end of the on peak time interval beyond the output of the one component at the on peak time interv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비부는 세탁기이며, 상기 일 컴포넌트는 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ergy consuming portion is a washing machine and the one component is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dru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비부는 냉장고이며, 상기 일 컴포넌트는 압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ergy consuming portion is a refrigerator and the one component is a compres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비부는 세탁기이며, 상기 일 컴포넌트는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ergy consuming portion is a washing machine, and the one component is a heater for heating washing water.
KR1020160125515A 2016-09-29 2016-09-29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 same KR101736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515A KR101736688B1 (en) 2016-09-29 2016-09-29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515A KR101736688B1 (en) 2016-09-29 2016-09-29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280A Division KR20110139040A (en) 2010-06-22 2010-06-22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180A KR20160118180A (en) 2016-10-11
KR101736688B1 true KR101736688B1 (en) 2017-05-29

Family

ID=5716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515A KR101736688B1 (en) 2016-09-29 2016-09-29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6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636B1 (en) 2016-09-13 2020-0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462A (en) 1998-12-08 2002-02-15 Tetsuo Toshima Power utilization method adjusting various characteristics on power supply side and power demand side at any time for maximizing efficiency of system
KR100701110B1 (en) * 2002-03-28 2007-03-30 로버트쇼 컨트롤즈 캄파니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O2010031027A2 (en) 2008-09-15 2010-03-18 General Electric Company Energy management of household appliances
JP2010067114A (en) 2008-09-12 2010-03-25 Yokogawa Electric Corp Production energy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462A (en) 1998-12-08 2002-02-15 Tetsuo Toshima Power utilization method adjusting various characteristics on power supply side and power demand side at any time for maximizing efficiency of system
KR100701110B1 (en) * 2002-03-28 2007-03-30 로버트쇼 컨트롤즈 캄파니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10067114A (en) 2008-09-12 2010-03-25 Yokogawa Electric Corp Production energy management system
WO2010031027A2 (en) 2008-09-15 2010-03-18 General Electric Company Energy management of household appli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180A (en)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0011A (en) Network system and energy consumption component
KR101927744B1 (en) A network system
KR101736688B1 (en)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 same
KR101677767B1 (en) A network system
KR101625689B1 (en) Network system
KR20110139040A (en)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 same
KR101897818B1 (en) Network system
KR20140032717A (en) Refrigerator
KR101617469B1 (en) A network system
KR101611624B1 (en) Home appliance and Network system
KR101802094B1 (en) Network system
KR101656884B1 (en) A network system
KR101788861B1 (en) A network system
KR101626992B1 (en) A network system
KR101605209B1 (en) Network system
KR101882509B1 (en)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20163B1 (en) A network system
KR101821815B1 (en) A network system
KR101801978B1 (en) Network system
KR101915817B1 (en) A network system
KR101918297B1 (en) Electric Product
KR101897819B1 (en) A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20709A (en) Network system and energy consumption component
KR101644654B1 (en) Network system and a component thereof
KR101967469B1 (en) Electric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