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862A - An electric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n electric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862A
KR20110042862A KR1020090099719A KR20090099719A KR20110042862A KR 20110042862 A KR20110042862 A KR 20110042862A KR 1020090099719 A KR1020090099719 A KR 1020090099719A KR 20090099719 A KR20090099719 A KR 20090099719A KR 20110042862 A KR20110042862 A KR 20110042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network system
supply network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7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37620B1 (en
Inventor
이훈봉
이군석
김양환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9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620B1/en
Publication of KR2011004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8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6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PURPOSE: An electric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compare the predicted necessary power amount and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CONSTITUTION: A power smart meter(20) performs two way communication with a power supply. The electricity smart meter measures the electricity in real time. An energy management devic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ity smart meter.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compares the power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with the external power informatio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Description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n Electric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An electric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기제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과 각 전기제품의 소모전력 또는 소모예상전력을 실시간으로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전기제품의 소모전력량을 제어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pecifically, the power supplied to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for supplying power to an electrical product and a power consumption or an estimated power consumption of each electrical product are compared in real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vention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electrical appliances.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전제품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사무기기등과 같은 전기제품이 작동하기 위한 전력은 일반적으로 한국전력공사에서 운영하는 전력발전소와, 송전선로, 그리고, 배선선로의 순서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이 특징이다. Electric power for the operation of electrical appliances such as home appliances used in homes or office equipment used in offices is generally supplied through a power plant operated by KEPCO, a transmission line, and a wiring line. It is characteristic.

이는 분산전원이 아닌 중앙전원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에서 주변부로 퍼져나가는 방사형구조이고, 수요자 중심이 아닌 단방향의 공급자 중심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central power source, not a distributed power source, a radial structure that spreads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and is characterized by a unidirectional supplier center rather than a consumer center.

또한, 그 기술기반은 아날로그 또는 전자기계적이고, 사고시 수동적으로 복구되어야하고, 설비 또한 수동적으로 복구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technology base is analog or electromechanical,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restored manually in case of an accident, and the equipment must also be restored manually.

전기에 대한 가격의 정보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력거래소 를 통하여 제한적으로만 알 수 있었고, 가격제도 또한 사실상의 고정가격제이기 때문에 가격변화를 통한 수요자에 대한 인센티브와 같은 유인책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Th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is not only available in real time, but also limitedly through the power exchange, and since the price system is also a fixed price system, incentives such as incentives to consumers through price changes cannot be used. There was also a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에너지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지능형 전력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improve energy efficiency, research on smart grids (intelligent power grid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recently.

스마트 그리드라 함은 현대화된 전력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과 복합을 통하여 구현된 차세대 전력시스템 및 이의 관리체제를 의미한다. The smart grid refers to the next generation power system and its management system that are realized through the convergence and complex of modern power technology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전력망은 중앙에 집중되고 생산자가 통제하는 수직적, 중앙 집중적인 네트워크인 반면에, 스마트 그리드는 공급자에게 덜 집중되어 있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해주는 수평적, 협력적, 분산적 네트워크이다. As mentioned above, the current grid is a centralized, producer-controlled, vertical, centralized network, whereas the smart grid is less focused on suppliers and horizontal, collaborative to enable interaction between consumers and suppliers. It is an enemy, decentralized network.

스마트 그리드에서는 모든 전기기기, 전력저장장치 및 분산된 전원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스마트 그리드를 "에너지 인터넷"으로 부르기도 한다. The smart grid is sometimes called the "energy internet" because all electrical devices, power storage devices and distributed power supplies are networked to enable interaction between consumers and suppliers.

한편, 이러한 스마트 그리드가 가정이나 빌딩과 같은 전력수요자 입장에서 구현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가전기기 및 복수개의 가전기기가 연결되는 네트워크가 일방적으로 전력을 받기만 하는 것에서 벗어나서 전력공급원과 전력정보에 관하여 양방향 통신을 해야 한다는 필요성과, 이러한 양방향 통신을 위한 새로운 장치들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alize such a smart grid from the perspective of a power consumer such as a home or a building, it is necessary to bidirectionally communicate with a power supply source and power information, instead of unilaterally receiving power from an individual home appliance and a network to which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are connected. And the need for new devices for this two-way communication.

또한, 전기제품의 사용시 실시간으로 전력요금을 판단하고, 전력요금의 피크 타임을 인식하게 하여, 그 시간에서의 전기제품의 사용을 가급적 자제시킴으로써 전기요금을 절약 할 수 있는 가정용 또는 업무용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for home or business that can reduce the electricity bill by judging the electricity bill in real time and recognizing the peak time of the electricity bill at the time of use of the electric product, and refraining from using the electrical appliance at that time as much as possible. And the need for its operation was raised.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정 또는 사업장 내에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하는 전기제품의 실시간 소모전력 또는 예상필요전력과 공급되는 전력을 인식 후 비교하여 소모되는 전력 및 전기요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et this ne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and electricity bills by recognizing and comparing the real-time power consumption or expected power supply and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using the power supplied in the home or workpla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복수개의 전기제품이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전기제품을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control method of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and supply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상기 전력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전기요금 및 전력소모를 절약하기 위한 에너지 관리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an energy management mode is selected for saving electric charges and power consumption in the power network system;

상기 에너지 관리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전력공급네트워크시스템내로 공급되는 전력량 또는 전력공급시간대와, 상기 전력공급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전기제품의 작동순위 설정여부 및 설정된 작동순위에 따라 구동중인 전기제품의 소모전력량을 제어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When the energy management mode is selecte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electric appliance being drive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or the time of power supply, whether to set the operation priority of the electrical applianc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network, and the set operation priority. It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to control.

상기 에너지 관리모드가 선택된 경우, When the energy management mode is selected,

사용자가 예상 필요 전력량 또는 전기요금을 설정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set an expected required amount of electricity or an electric charge;

상기 예상 필요전력량 또는 전기요금을 설정한 경우에는 연결된 전기제품간의 작동의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priority of the operation between the connected electric appliances is set when the expected amount of electric power or the electric charge is set;

우선순위가 설정된 경우 실시간으로 상기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과 예상소모전력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in consideration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when the priority is set.

상기 예상소모전력은 상기 전력공급네트워크의 제어부에 누적된 전기제품의 요일별 또는 계절별 사용빈도 및 사용시 소모전력의 평균치에 의하여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is characterized by the day of the week or seasonal use frequency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accumulated in the control unit of the power supply network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power consumption during use.

연결된 전기제품간의 작동 우선 순위가 설정된 경우에서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In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priority between the connected electrical appliances is se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includes:

연결된 전기제품의 수를 파악하는 단계와;Identifying the number of connected electrical appliances;

동작의 우선순위 및 각 전기제품에서의 전력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iorities of operation and power information in each electric appliance;

상기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과 예상소모전력을 비교하여 공급되는 전력이 커서 잉여전력이 발생하는 경우, 전력재판매 여부를 판단하여 잉여전력을 축전하거나 또는 잉여전력을 전력회사로 재판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surplus power is generated by compar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with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o resell the power, accumulate surplus power or resell surplus power to the power compan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잉여전력을 축전하거나 전력회사로 재판매하는 단계 이후에, 지속적으로 전기제품의 작동우선순위의 변경이 있는지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예상 소모전력을 조절하고, 그 조절된 값과 공급전력을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복수개의 전기제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fter the step of accumulating surplus power or reselling it to a utility compan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operational priority of the electric appliance continuously, an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is adjusted, and the adjusted value and supply power are continuously adjusted. In comparison,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are controlled.

상기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과 예상소모전력을 비교한 결과, 예상소모전력이 커서 전력이 부족한 경우,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with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when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is large and the power is insufficient,

전기제품간의 작동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단계와;Identifying operational priorities between electrical appliances;

작동중인 전기제품 중 최후 순위의 전기제품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last-ranked electrical appliance among the electrical appliances in operation.

최후 순위 전기제품의 동작 정지 이후, 공급되는 전력량과 예상 필요전력량을 다시 비교한 결과 전력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After the shutdown of the last-ranked electrical applian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supply is insufficien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stimated power required again,

작동 중인 전기제품 중 그 다음 최후 순위의 전기제품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next highest priority electrical appliance among the electrical appliances in operation.

최후 순위 전기제품 동작 정지 이후, 공급되는 전력량과 예상 필요전력량을 다시 비교한 결과 잉여전력이 발생하고, After the shutdown of the last-ranked electrical appliance, surplus power is generat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stimated power required again.

잉여전력량과 작동 정지 명령이 내려진 전기제품 중 최선순위 전기제품의 예상 필요 전력량을 비교하여 잉여전력량이 더 큰 경우,When surplus power is larger than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of the highest rated electrical appliance of the ordered shutdown,

작동 정지 명령이 내려진 전기제품 중 최선순위 전기제품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by operating the highest priority electrical appliances of the ordered to stop operation.

전기제품간의 작동 우선순위가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It is determined that the priority of operation between electrical appliances is not set,

공급되는 전력량과 예상필요전력량을 비교하여 공급전력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각 전기제품별로 최소 전력소모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power supply is insufficient by compar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and the expected amount of pow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operate in the minimum power consumption mode for each electrical product.

전기제품간의 작동 우선순위가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It is determined that the priority of operation between electrical appliances is not set,

공급되는 전력량과 예상 필요전력량을 비교하여, 공급전력량이 남아서 잉여전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력 재판매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에 따라서 잉여전력을 축전하거나 잉여전력을 전력회사로 재판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surplus power is generated due to the remaining amount of supply power, the surplus power is stored or the surplus power is resold to the power company according to whether the power resale function is selected.

상기 에너지 관리모드가 선택되었으나, 사용자가 예상 필요 전력량 또는 전기요금을 설정하였는지 판단한 결과, 그러한 설정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If the energy management mode is selected, but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set an expected required amount of electricity or an electric charge, it is determined that such setting is not made.

각 전기제품별로 기본설정모드로 운전하는 단계와;Operating in a basic setting mode for each electric product;

현재 시간이 전력소모피크타임인지 판단하여 전력소모피크타임으로 판단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하여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ime is the power consumption peak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informing the user through the alarm if it is determined as the power consumption peak time.

본 발명은 전력공급원과;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upply;

상기 전력공급원과 양방향 통신을 하며 실시간으로 전력을 계측하는 전력스마트 미터와;A power smart meter that perform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power supply and measures power in real time;

상기 전력스마트 미터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전기제품에 대한 전력정보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정보를 비교하여 복수개의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장치를 포함하되,And an energy management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smart met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by comparing the power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with the power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한 예상필요전력량과 공급전력량을 비교하여 공급전력량이 적은 경우 복수개의 전기제품의 설정된 작동우선순위에 따라서 전기제품을 작동시키거나 또는 공급전력량의 부족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compares the estimated required power amount and the power supply amount set by the user to operate the electric products according to the set operating priority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products or notify the lack of power supply when the supply power amount is sma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는 사용자가 설정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The energy management device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setting information by a user;

실시간 전력소모량 및 누적된 전기제품의 사용정보에 따른 예상전력소모량을 표시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expected power consumption amount according to real-time power consumption amount and accumulated us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상기 전력스마트 미터 및 복수개의 전기제품과 통신을 하는 통신부와;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power smart meter and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상기 입력부 및 표시부, 그리고 통신부,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의 동작 및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input unit, a display unit, a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and supply of pow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는 복수개의 전기제품 중 전원공급이 끊임없이 공급되어야 하는 전기제품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electrical appliances that the power supply must be constantly supplied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잉여전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의 명령에 의하여 이를 축전하도록 상기 스마트 미터 및 상기 에너지관리장치와 연결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surplus power is generate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orage battery connected to the smart meter an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to accumulate it by the command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가정내에 공급되는 전력을 사용하는 전기제품의 실시간 소모전력 또는 예상필요전력과 공급되는 전력을 인식 후 비교하여 소모되는 전력 및 전기요금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and electric charges by recognizing and comparing the real-time power consumption or the expected power required with the power supplied to the home appliance using power supplied in the hom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스마트 그리드의 개략도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그리드는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 또는 수력발전을 통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소와,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 또는 풍력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소와 풍력발전소를 포함한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mart grid, which includes a power plant that generates power through thermal, nuclear, or hydro, a solar power plant using wind or wind power as renewable energy, and a wind power plant. .

그리고, 상기 화력발전 또는 원자력발전소 또는 수력발전소는 송전선을 통하여 전력소로 전력을 보내고, 전력소에서는 변전소로 전기를 보내어 전기가 가정이나 사무실 같은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hermal power plant or nuclear power plant or hydroelectric power station transmits power to a power station through a transmission line, and the power station sends electricity to a substation so that the electricity is distributed to a demand destination such as a home or an office.

그리고, 신재생 에너지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도 변전소로 보내져 각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변전소에서 송전된 전기는 전력저장장치를 거쳐서 삼무실이나 각 가정으로 분배된다.The electricity produced by the renewable energy is also sent to substations to be distributed to each customer. The electricity transmitted from the substation is distributed to the office or each household via the power storage device.

가정용 전력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도 태양광이나 PHEV(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에 장착된 연료전지를 통하여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전기를 자체공급할 수 있고, 남는 전기는 외부에 되팔수도 있다. Even in homes that use the Home Area Network (HAN), it is possible to supply electricity by producing electricity by itself through fuel cells mounted on solar power or 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The remaining electricity can also be sold outside.

그리고, 사무실이나 가정에는 스마트 스마트 미터가 마련되어서 각 수요처에서 사용되는 전력 및 전기요금을 실시간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현재 사용되는 전력량 및 전기요금을 인지하여 상황에 따라 전력소모량이나 전기요금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In addition, smart smart meters are installed in offices and homes so that users can grasp the power and electricity rates used by each user in real time. Measures to reduce the

한편, 상기 발전소, 전력소, 저장장치 및 수요처는 양방향 통신이 되기 때문에 수요처에서 일방적으로 전기를 받도록 하는 것만을 떠나서, 수요처의 상황을 저장장치, 전력소, 발전소로 통지함으로써 수요처의 상황에 맞게 전기 생산 및 전기분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ower plant, power station, storage device and the source of demand ar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nly the unilaterally receive electricity from the source of demand, and notify the storage, power station, and power plant of the demand source to produce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ource of demand. Electric distribution can be performed.

한편, 상기 스마트 그리드에서는 수요처의 실시간 전력관리 및 소요전력의 실시간 예측을 담당하는 에너지관리장치(EMS, Energy Management System) 및 전력 의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스마트 미터(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Meanwhile, in the smart grid, an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which is responsible for real-time power management and real-time prediction of power consumption, and a smart meter (AMI), which measures power consumption in real time, are pivotal. Play the role of person.

여기서 스마트 그리드 하에서의 스마트 미터는 오픈 아키텍쳐를 근거로 하여 소비자를 통합하려는 기반기술로서 소비자에게는 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전력공급자에게는 시스템상의 문제를 탐지하여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Here, smart meters under the smart grid are the foundation technologies for integrating consumers on the basis of open architecture, providing consumers with the efficient use of electricity, and providing power suppliers with the ability to operate systems efficiently by detecting system problems. do.

여기서, 오픈아키텍쳐란 일반적인 통신망과는 달리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서 전기기구가 어느 제조업체에서 제조되었는지 상관없이 모든 전기기구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을 의미한다. Here, the open architecture, unlike a general communication network, refers to a standard that allows all electric device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regardless of which manufacturer the electric device is manufactured in a smart grid system.

따라서, 상기 스마트 그리드에서 사용되는 스마트 미터는 "가격 대 장치(Prices to Devices)" 와 같은 소비자 친화적인 효율성 개념을 가능케 한다. Thus, smart meters used in the smart grid enable a consumer friendly efficiency concept such as "Prices to Devices".

즉, 전력시장의 실시간 가격신호가 각 가정에 설치된 에너지관리장치(EMS)를 통하여 중계되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각 전기장치와 통신을 하며 이를 제어하므로 사용자는 에너지관리장치(EMS)를 보고 각 전기장치의 전력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소모전력량이나 전기요금 한계설정 등과 같은 전력정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That is, the real-time price signal of the electric power market is relayed through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installed in each home, an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communicates with and controls each electric device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By recognizing the power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device and performing the power information processing such as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or the electric charge limit setting based on the power information, energy and cost can be saved.

여기서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와, 상기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와 양방향 통신을 하여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에서 취합된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에너지관리장치(EMS)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is a local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used in the office or at home, and the local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by perform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o proces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local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entral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스마트 그리드에서 공급자와 수요자간의 전력정보에 관한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실시간 전력망 반응"을 현실화 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피크 수요(peak demand)를 맞추는데 소요되는 높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The smart grid enables real-time communication of power information between suppliers and consumers, enabling "real-time grid response" to be realized, thereby reducing the high cost of meeting peak demand.

도2는 스마트 그리드의 주요 수요처인 가정에서의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10)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10)은 각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 및 전기요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미터(20)와, 상기 스마트 미터(20)와 연결되며 가전장치와 같은 복수개의 전기장치와 연결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장치(EMS)(30)을 구비한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10 in a home, which is a major demand source of a smart grid, wherein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10 is a smart device capable of measuring power and electricity rates supplied to each home in real time. A meter 20 and an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is connected to the smart meter 20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such as home appliances and control their operation.

여기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는 현재의 전기 소모상태 및 외부의 환경(온도, 습도)를 표시하는 화면(31)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입력버튼(32) 등을 구비한 단말기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has a screen 31 for displaying the current state of electricity consumption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temperature, humidity), and provides an input button 32 or the like which can be operated by a user. It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a terminal provided.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다시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냉장고, 세탁기 및 건조기, 에어컨, TV 또는 조리기기와 같은 전기제품과 연결되어, 이들과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된다.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is connected to electrical appliances such as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nd a dryer, an air conditioner, a TV, or a cooking appliance through a network inside the home, thereby performing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m.

이러한 통신은 무선 또는 PLC와 같은 유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Such communication may be via wireless or wired, such as a PLC.

그리고, 각 전기제품들도 다른 전기제품들과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해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ical appliances ar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other electrical appliances so that communication is possible.

도3은 본 발명의 에너지관리장치(EMS)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터치패널(33)을 구비한 단말기 형태를 띠고 있다. Figure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is in the form of a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33.

상기 터치패널(33)에는 현재 전기사용량, 및 전기요금, 그리고 누적된 히스 토리에 의하여 예상되는 예상요금 및 이산화 탄소 발생량과 같은 금일의 에너지 정보와, 현재 시간 구간의 전기요금 및, 다음 시간구간의 전기요금 그리고, 전기요금이 변하는 시간대를 포함하는 실시간 에너지 정보 및 날씨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31)이 표시된다. The touch panel 33 includes current energy information such as current electricity consumption, electricity rate, estimated charge and carbon dioxide generation amount estimated by accumulated history, electricity rate of the current time interval, and next time interval. A screen 31 is displayed in which real-time energy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including an electricity rate and a time zone in which the electricity rate changes are displayed.

그리고, 터치패널의 화면(31)은 각 가전기기의 시간대별 전력소모량 및 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포함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screen 31 of the touch panel includes a graph showing power consumption by time zone of each home appliance and a change thereof.

이러한 화면(31)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기제품의 동작 등을 설정할 수 있는 버튼부(32)가 마련된다.One side of the screen 31 is provided with a button unit 32 that allows the user to se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f necessary.

이러한 버튼부(32)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기가 사용하고자하는 전력량 또는 전기요금의 한계를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설정에 따라 에너지관리장치(EMS)(30)는 각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By using the button unit 32, the user can set a limit of the amount of electricity or electricity bill that he or she wants to use, and according to this setting,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electric product. Will be.

도4는 스마트 그리드 하에서의 전력공급원과, 가정 내의 전기제품에 대한 전력공급을 담당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4 show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that is responsible for power supply for a power supply under a smart grid and electrical appliances in a home.

여기서, 전력공급원은 일반적인 발전장비(화력, 원자력, 수력)을 구비하거나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지열)등을 이용한 발전장비등을 구비한 전력회사(50)가 될 수 있고 , 또한, 각 가정에 구비될 수 있는 자가 태양광발전시설(51)과, 연료전지 차나 또는 가정에 구비될 수 있는 연료전지를 포함하고 있다.Here, the power supply source may be a power company 50 having general power generation equipment (fire power, nuclear power, hydropower) or power generation equipment using renewable energy (solar, wind, geothermal) and the like. It includes a self-photovoltaic facility 51 that can be provided in each home, and a fuel cell that can be provided in a fuel cell car or a home.

이러한 전력공급원은 상기 스마트 미터(20)와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 미터(20)는 잉여전력을 축전할 수 있는 축전지(40) 및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와 연결된다.The power supply source is connected to the smart meter 20, the smart meter 2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40 an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that can store the surplus power.

여기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의 구성을 보면, 제어부(35) 및 입력부(38), 통신부(34), 표시부(39)를 포함하고 있다. 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the control unit 35, the input unit 38, the communication unit 34, the display unit 39 is included.

상기 통신부(34)는 가정내의 전기제품, 즉, 냉장고(101), 세탁기 또는 건조기(102), 그리고, 공기조화기(103), 조리기기(104) 등과 통신을 하며, 이들의 전력정보 및 구동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34 communicates with electrical appliances in a home, that is, a refrigerator 101, a washing machine or a dryer 102, an air conditioner 103, a cooking appliance 104, and the like, and power information and driving thereof. It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입력부(38)에 의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정보 및 기존에 누적된 전기제품의 동작 및 전력사용 히스토리 정보, 그리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들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전기제품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들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5 grasps the sett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by the input unit 38, the operation and power usage history information of the existing electric products, and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 real time, and obtains these information. Processing in real time controls the operation of electrical appliances and controls the power supplied to these electrical appliances.

또한, 잉여전력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잉여전력을 전력회사에 재판매하도록 지시하거나 축전지(40)에 축전되도록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when surplus power is generated, the surplus power is instructed to be resold to the power company or to the storage battery 40.

상기 도4에서의 에너지관리장치(EMS)(130)는 상기 전기제품들과 별도로 마련되는 무선 또는 유선 단말기를 상정한 것이다.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130 of FIG. 4 assumes a wireless or wired terminal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s.

그러나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 중 냉장고(101)와 같이, 24시간 계속 동작되어야 하는 전기제품 내부에 에너지관리장치(EMS)(30)를 마련하고, 이러한 전기제품의 제어부(101a)와 별도로 에너지 관리장치(EMS)(30)의 제어부(35), 통신부(34), 입력부(38), 표시부(39)를 마련하여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에 의하여 모든 전기제품의 동작신호 및 전력정보가 송수신되고 처리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ure 5, such as the refrigerator 101 of the electrical applianc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is provided in the electrical appliance that must be operated continuously for 24 hours, the control unit 101a of such electrical appliances Separately, the control unit 35, the communication unit 34, the input unit 38, and the display unit 39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are provided so that the electric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may It is also conceivable for the operation signal and power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processed.

위와 같은 에너지 관리장치(EMS)(30)의 위치를 제외하고는 그 동작은 도4에 서 이루어지는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Except for the location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 4,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6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6 to 11 show the control flow of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각 전기제품을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면(S601), 에너지관리장치(EMS)에서는 전기 절약 또는 전기요금 절약을 위한 에너지 관리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602). As shown in FIG. 6, when a user selectively operates each electric product as needed (S601),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determines whether an energy management mode for saving electricity or saving electricity is selected (S602). ).

여기서, 에너지 관리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다시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사용자에 의하여 예상필요전력량 또는 전력요금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S603). In this c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nergy management mode is selected, the EMS again determines whether the required amount of power or the electric charge is set by the user (S603).

즉, 사용자가 하루에 얼마 이하의 전력 또는 전력요금만 소비되도록 명시적인 의사표시를 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has made an explicit intention of expressing only how much power or electric charge is consumed per day.

그러한 예상필요전력량 또는 전력요금이 설정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복수개의 전기제품간의 작동우선순위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S60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pected required amount of power or electricity charge is se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priority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is set (S604).

즉, 예를 들어, 냉장고의 경우 24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작동되어 저장물을 냉동보관 또는 냉장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1순위로 설정하고, 그 다음은 필요에 따라서, TV, 공기조화기, 세탁기 순 등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That is, for example, a refrigerator is continuously operated for 24 hours, so that the storage must be stored in the refrigerator or refrigerated, and is set in the first order, followed by a TV, an air conditioner, a washing machine, and so on. Will be set.

이와 같이 설정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소모전력량 이상으로 전력이 소모되는 경우, 최후 작동순위를 갖는 전기제품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전력소모를 최소화 시키기 위함이다. The reason for setting as described above is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having the last operation order or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when power is consumed more than the power consumption set by the user.

따라서, 전기제품간의 작동 우선순위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고, 설정이 되었 다면, 현재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전기제품 중 작동 중인 전기제품의 수를 파악한다(S605).Therefo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priority between the electrical appliances is set, and if it is set, grasp the numb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in operation among the electrical appliances current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S605).

그리고,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전기제품들의 동작의 우선 순위 및 각각의 전기제품에서 사용되는 전력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스마트 미터로 송신하는 과정을 거친다(S606). In addition,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EMS) receives the priority of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and the power information used in each electrical appliance, and passes the process to the smart meter (S606).

이와 같이 동작의 우선순위 및 전력정보 송수신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공급전력량을 판단하여,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되는 전력량과 현재 예상 필요전력량을 비교하여 공급전력량이 남는지 또는 부족한지 판단한다(S701).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is continuously determined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priority information and power information, and as shown in FIG. ).

여기서 예상 필요전력량은 사용자가 에너지관리장치(EMS)를 통하여 기 설정한 전력량을 의미한다. Here, the expected amount of power means the amount of power previously set by the user through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그리고, 공급받은 전력량은 전력회사에서 공급받은 전력량 뿐만 아니라 수요처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한 풍력, 태양광, 또는 연료전지등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includes not only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by the power company, but also the power supplied from wind, solar, or fuel cells produced by the customer.

공급전력량과 예상필요전력량을 비교하여 판단결과, 공급전력량이 커서 잉여전력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이러한 잉여전력을 전력회사로 판매하기 위한 기능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S702), 그 결과 판매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잉여전력을 전력회사로 판매하는 과정을 거친다(S703).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ower supply with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surplus power has been generated due to a large supply power, it is determined whether a function for selling such surplus power to the power company is selected (S702), and as a result, the sales function If set, the surplus power is sold to the electric power company (S703).

한편, 판매기능이 설정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이러한 잉여전력을 수요처에 마련되는 축전지에 축전하여 비상시 필요한 경우 공급전력으로 사용하면 될 것이다(S704). On the other hand, if the sales function is not set, such surplus power will be stored in the storage battery provided in the demand source, and may be used as a supply power in case of emergency (S704).

그리고, 이와 같이 잉여전력 판매 또는 축전 과정이 종료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전기제품간의 작동 우선순위를 지속적으로 판단하고, 그 우선순위의 변경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거친다(S705). Then, even after the surplus power sale or power storage process is completed, the operation priority between the electrical products is continuously determined, and whether or not the priority is changed (S705).

한편,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전력량과 예상필요전력량을 비교하여, 부족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전기제품간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고(S801), 현재 작동중인 전기제품 중 최후순위의 전기제품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그 전력소모 최소화 운전을 수행한다(S802).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 by comparing the amount of power supply and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if there is a shortage occurs to determine the priority between the electrical appliances (S801),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products of the last priority among the electrical appliances currently in operation Stop or perform the power consumption minimization operation (S802).

그리고, 정지 또는 전력소모 최소화 대상 전기제품을 에너지관리장치(EMS)에 표시하고 그 전기제품 자체에 부착된 알람/표시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전기제품이 제어대상이 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단계를 거친다(S803). Then, the electric appliances to be stopped or minimized in power consumption are displayed o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and an alarm / display device attached to the electric appliances itself is used to inform the user that the electric appliances have been controlled (S803). ).

이때 에너지관리장치(EMS)에 별도의 알람장치를 장착하여 이를 구동시키는것도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also preferable to install a separate alarm device to driv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예를 들어서, 제1순위가 냉장고, 제2순위가 공기조화기, 제3순위가, 제4순위가 세탁기, 제5순위가 건조기로 작동순위가 설정되고, 상기 모든 전기제품이 작동중인경우, 공급전력이 모자라는 경우, 건조기의 동작을 일시 중지 시키거나, 건조기의 히터의 발열량을 최소화 하는 운전이 이루어지게끔 하는 것이다. For example, if the first priority is set to the refrigerator, the second is the air conditioner, the third is the washing machine, the fourth is the washing machine, the fifth is the dryer, and all the electrical appliances are in operation, When the supply power is insufficient, the operation of the dryer is suspended or the heater is minimized to generate heat.

상기 최후순위의 전기제품에 대한 정지 또는 전력소모 최소화운전이후, 다시 공급전력량과 예상필요전력량을 비교하여(S804), 잉여전력이 발생하고, 그 잉여전력이 정지중 또는 전력소모최소화 운전중인 전기제품 중에 최선순위 전기제품의 예상필요전력량(정지 또는 전력소모최소화 운전 직전의 운전상태를 구현하는데 필요 한 전력량)보다 큰지를 판단하여(S805), 잉여전력이 더 크다면, 그러한 최선순위 제품을 동작시키는 과정을 거친다(S806). After stopping or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for the last-ranked electrical appliance, the supply power and the expected required power are again compared (S804), and surplus power is generated, and the surplus power is stopped or the power consumption is minimized.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the expected amount of power of the highest priority electrical appliance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to implement the operation state immediately before stopping or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S805). Go through the process (S806).

한편, 에너지 관리모드가 선택되고, 예상 필요전력량(전력요금)이 설정되었으나, 전기제품간의 우선순위 설정이 되지 않은 경우,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전력량과 예상필요전력량을 비교하여(S901), 잉여전력이 발생하게 되면, 전력재판매 기능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903), 그 결과에 따라 잉여전력을 축전하거나(S905), 잉여전력을 전력회사에 판매하는 과정을 거친다(S904).On the other hand, if the energy management mode is selected, and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power charge) is set, but the priority between the electrical appliances is not set, as shown in Figure 9 by comparing the power supply and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S901) When the surplus power is gener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wer resale function is selected (S903), the surplus power is stored according to the result (S905), or the surplus power is sold to the power company (S904).

그리고, 잉여전력이 발생하지 않고 오히려 공급전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작동중인 각 전기제품별로 기 설정된 전력최소소모모드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902). In addition, when the surplus power does not occur, but rather the supply power is insufficient, it is preferable to operate in a preset power consumption mode for each electric product in operation (S902).

즉, 이와 같은 경우, 냉장고의 경우, 제상작용의 횟수를 최소화 하고, 공기조화기의 경우, 압축기의 작동빈도가 최소화 되도록 하며, 의류건조기의 경우, 히터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1개만 작동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That is, in such a case, in the case of the refrigerator, the number of defrosting operations is minimized, in the case of the air conditioner, the operation frequency of the compressor is minimized, and in the case of the clothes dryer, when only one heater is configured, only one is operated. The case can be assumed.

그리고, 에너지 관리모드로 설정되었으나, 예상필요전력량(전기요금)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10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각 전기제품별로 표준설정모드로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001). In addition, when the energy management mode is set, but the estimated required power amount (electric charge) is not set,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o operate in the standard setting mode for each electric product as shown in FIG. 10 (S1001).

예를 들어서 공기조화기의 경우, 최저냉방온도가 18도이고, 최고냉방온도가 30도라고 설정된 경우, 표준설정모드에서의 온도는 25도로 하는 것을 말한다. 냉장고의 경우도, 냉장고에서의 제상운전의 횟수가 최저횟수와 최고횟수의 중간정도의 횟수가 되도록 운전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ir conditioner, when the minimum cooling temperature is set to 18 degrees and the maximum cooling temperature is set to 30 degrees, the temperature in the standard setting mode is 25 degrees. In the case of the refrigerator, it can be said that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so that the number of defrosting operations in the refrigerator is about halfway between the minimum and maximum times.

그 밖에, 세탁기나, 조리기기 등에서도 전력소모가 최대가 되는 구간과, 최소가 되는 구간 사이의 중간값 정도가 표준설정모드라고 보면 될 것이다. In addition, a washing machine, a cooking appliance, or the like may be regarded as a standard setting mode in which a median value between a section where the power consumption is maximum and a section that is the minimum is about.

따라서, 이와 같은 표준설정모드로 각 전기제품이 구동 중에, 상기 스마트 미터와 에너지관리장치(EMS)가 현재 시간이 전력소모피크타임(전기요금 누진구간)공급를 판단하여(S1002), 전력소모피크타임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알람이나 기타 시각적인 표시를 통하여 이를 알린다(S1003). Accordingly, the smart meter an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determine the current time is the power consumption peak time (electric charge progressive period) supply while each electric appliance is driven in the standard setting mode (S1002), the power consumption peak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ified of this through an alarm or other visual indication (S1003).

즉,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모전력량이 12시부터 18시 사이에는 최고점에 이르게 되고, 그에 연동되어 시간당 전기요금도 증가하게 되면, 이를 사용자가 인식하게 하여 이를 감안해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 12, when the power consumption reaches the highest point between 12 and 18 o'clock, and the electricity rate per hour increases in conjunction with the power consumption, the user can recognize this and save the electric charge in consideration of this. To guide.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시간이 전력소모피크타임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전기요금을 절약하기 위해 전기제품의 일부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아니면 전력최소소모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current time is the power consumption peak time, and may stop som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or operate in the power consumption mode to save the electric charge.

한편, 도6와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만약에 사용자가 에너지 관리모드 마저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각 전기제품은 현재 시간이 전력소모피크타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사용자가 애초에 설정했던 운전모드대로 운전하게 된다(S1101).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6 and 11, if the user does not even select the energy management mode, each electrical appliance is the operating mode initially set by the user regardless of whether the current time has reached the power consumption peak time As it is driving (S1101).

도1은 스마트 그리드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mart grid.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관리장치의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of th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블록도이다.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제어흐름도이다. 6 to 11 are control flowchart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전력의 시간에 따른 전력사용량 및 전기요금의 그래프이다. 12 is a graph of power consumption and electricity charges over time of electric power.

<본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20: 스마트 미터 30: 에너지관리시스템20: smart meter 30: energy management system

34: 통신부 34: 제어부34: communication unit 34: control unit

38: 입력부 39: 표시부38: input unit 39: display unit

40: 축전지40: storage battery

Claims (16)

복수개의 전기제품이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전기제품을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control method of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and supply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상기 전력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전기요금 및 전력소모를 절약하기 위한 에너지 관리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an energy management mode is selected for saving electric charges and power consumption in the power network system; 상기 에너지 관리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전력공급네트워크시스템내로 공급되는 전력량 또는 전력공급시간대와, 상기 전력공급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전기제품의 작동순위 설정여부 및 설정된 작동순위에 따라 구동중인 전기제품의 소모전력량을 제어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When the energy management mode is selecte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electric appliance being drive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or the time of power supply, whether to set the operation priority of the electrical applianc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network, and the set operation priority.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network system to contro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에너지 관리모드가 선택된 경우, When the energy management mode is selected, 사용자가 예상 필요 전력량 또는 전기요금을 설정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set an expected required amount of electricity or an electric charge; 상기 예상 필요전력량 또는 전기요금을 설정한 경우에는 연결된 전기제품간의 작동의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priority of the operation between the connected electric appliances is set when the expected amount of electric power or the electric charge is set; 우선순위가 설정된 경우 실시간으로 상기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과 예상소모전력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The control method of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in consideration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when the priority is se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예상소모전력은 상기 전력공급네트워크의 제어부에 누적된 전기제품의 요일별 또는 계절별 사용빈도 및 사용시 소모전력의 평균치에 의하여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is a control method of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ed by the average day of the week or season use frequency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accumulated in the control unit of the power supply network and the power consumption during us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연결된 전기제품간의 작동 우선 순위가 설정된 경우에서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In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priority between the connected electrical appliances is se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includes: 연결된 전기제품의 수를 파악하는 단계와;Identifying the number of connected electrical appliances; 동작의 우선순위 및 각 전기제품에서의 전력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iorities of operation and power information in each electric appliance; 상기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과 예상소모전력을 비교하여 공급되는 전력이 커서 잉여전력이 발생하는 경우, 전력재판매 여부를 판단하여 잉여전력을 축전하거나 또는 잉여전력을 전력회사로 재판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When surplus power is generated by compar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with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o resell the power, accumulate surplus power or resell surplus power to the power company. Control method of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잉여전력을 축전하거나 전력회사로 재판매하는 단계 이후에, 지속적으로 전기제품의 작동우선순위의 변경이 있는지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예상 소모전력을 조절하고, 그 조절된 값과 공급전력을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복수개의 전기제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시스템의 제어방법.After the step of accumulating surplus power or reselling it to a utility compan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operational priority of the electric appliance continuously, an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is adjusted, and the adjusted value and supply power are continuously adjusted. The control method of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in comparis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과 예상소모전력을 비교한 결과, 예상소모전력이 커서 전력이 부족한 경우,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with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when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is large and the power is insufficient, 전기제품간의 작동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단계와;Identifying operational priorities between electrical appliances; 작동중인 전기제품 중 최후 순위의 전기제품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시스템의 제어방법.A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last ranked electrical appliance among the electrical appliances in operation.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최후 순위 전기제품의 동작 정지 이후, 공급되는 전력량과 예상 필요전력량을 다시 비교한 결과 전력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After the shutdown of the last-ranked electrical applian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supply is insufficien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stimated power required again, 작동 중인 전기제품 중 그 다음 최후 순위의 전기제품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next highest priority electrical appliance among the electrical appliances in operatio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최후 순위 전기제품 동작 정지 이후, 공급되는 전력량과 예상 필요전력량을 다시 비교한 결과 잉여전력이 발생하고, After the shutdown of the last-ranked electrical appliance, surplus power is generat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stimated power required again. 잉여전력량과 작동 정지 명령이 내려진 전기제품 중 최선순위 전기제품의 예상 필요 전력량을 비교하여 잉여전력량이 더 큰 경우,When surplus power is larger than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of the highest rated electrical appliance of the ordered shutdown, 작동 정지 명령이 내려진 전기제품 중 최선순위 전기제품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by operating the highest rated electrical appliance of a given electrical stop comman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전기제품간의 작동 우선순위가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It is determined that the priority of operation between electrical appliances is not set, 공급되는 전력량과 예상필요전력량을 비교하여 공급전력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각 전기제품별로 최소 전력소모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power supply is insufficient by compar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and the expected amount of power, the control method of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operate in the minimum power consumption mode for each electrical produc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전기제품간의 작동 우선순위가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It is determined that the priority of operation between electrical appliances is not set, 공급되는 전력량과 예상 필요전력량을 비교하여, 공급전력량이 남아서 잉여전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력 재판매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에 따라서 잉여전력을 축전하거나 잉여전력을 전력회사로 재판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When it is determined that surplus power is generated due to the remaining amount of supply power compared to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and the required amount of power, the power characterized by storing surplus power or reselling surplus power to a power company according to whether the power resale function is selected. Control method of supply network system.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에너지 관리모드가 선택되었으나, 사용자가 예상 필요 전력량 또는 전기요금을 설정하였는지 판단한 결과, 그러한 설정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If the energy management mode is selected, but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set an expected required amount of electricity or an electric charge, it is determined that such setting is not made. 각 전기제품별로 기본설정모드로 운전하는 단계와;Operating in a basic setting mode for each electric product; 현재 시간이 전력소모피크타임인지 판단하여 전력소모피크타임으로 판단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하여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time is the power consumption peak time, and if the power consumption peak time is determined, notifying the user through an alarm. 전력공급원과;A power supply source; 상기 전력공급원과 양방향 통신을 하며 실시간으로 전력을 계측하는 전력스마트 미터와;A power smart meter that perform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power supply and measures power in real time; 상기 전력스마트 미터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전기제품에 대한 전력정보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정보를 비교하여 복수개의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장치를 포함하되,And an energy management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smart met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by comparing the power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with the power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한 예상필요전력량과 공급전력량을 비교하여 공급전력량이 적은 경우 복수개의 전기제품의 설정된 작동우선순위에 따라서 전기제품을 작동시키거나 또는 공급전력량의 부족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compares the estimated required power amount and the power supply amount set by the user to operate the electric products according to the set operating priority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products or notify the lack of power supply when the supply power amount is small. Power supply network system.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는 사용자가 설정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The energy management device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setting information by a user; 실시간 전력소모량 및 누적된 전기제품의 사용정보에 따른 예상전력소모량을 표시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expected power consumption amount according to real-time power consumption amount and accumulated us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상기 전력스마트 미터 및 복수개의 전기제품과 통신을 하는 통신부와;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power smart meter and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상기 입력부 및 표시부, 그리고 통신부,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의 동작 및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And an input unit, a display unit, a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and supply of power of the electrical applianc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The energy management device is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는 복수개의 전기제품 중 전원공급이 끊임없이 공급되어야 하는 전기제품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is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electrical product that the power supply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products to be constantly supplied.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잉여전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의 명령에 의하여 이를 축전하도록 상기 스마트 미터 및 상기 에너지관리장치와 연결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And a storage battery connected to the smart meter an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so as to accumulate the power when the surplus power is generated by the command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KR1020090099719A 2009-10-20 2009-10-20 An Electric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376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719A KR101537620B1 (en) 2009-10-20 2009-10-20 An Electric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719A KR101537620B1 (en) 2009-10-20 2009-10-20 An Electric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862A true KR20110042862A (en) 2011-04-27
KR101537620B1 KR101537620B1 (en) 2015-07-17

Family

ID=44048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719A KR101537620B1 (en) 2009-10-20 2009-10-20 An Electric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62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53B1 (en) * 2012-08-09 2013-03-13 대동산전주식회사 The successive load power control method by user built with the real time peak power and electricity fee
WO2013066068A1 (en) * 2011-11-03 2013-05-10 주식회사 우암코퍼레이션 Integrated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mi system
WO2014088197A1 (en) * 2012-12-03 2014-06-12 (주)이젝스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for
CN103918228A (en) * 2011-11-03 2014-07-09 尤庵有限公司 Integrated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MI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247B1 (en) * 2017-08-21 2019-12-04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and Device to manage electric power estimat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and providing demand response and energy saving active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684B1 (en) * 2000-12-01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100467162B1 (en) * 2002-01-22 2005-01-24 주식회사 아니코 Little waves aerator with general electricity and solar light
KR100522793B1 (en) * 2003-01-13 2005-10-18 한화기계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to optimize energy consumption of industrial furnac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6068A1 (en) * 2011-11-03 2013-05-10 주식회사 우암코퍼레이션 Integrated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mi system
CN103918228A (en) * 2011-11-03 2014-07-09 尤庵有限公司 Integrated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MI system
KR101243053B1 (en) * 2012-08-09 2013-03-13 대동산전주식회사 The successive load power control method by user built with the real time peak power and electricity fee
WO2014088197A1 (en) * 2012-12-03 2014-06-12 (주)이젝스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620B1 (en) 2015-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9030A (en) An energy mangement system,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n electric appliance having an energy management function
WO2013057516A9 (en) Smart meter apparatus
KR101537620B1 (en) An Electric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43304A (en) A network system supplying electric pow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42866A (en) A network system supplying electric pow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204044A1 (en) Method of controlling network system
KR101721873B1 (en) Control Method for Electric Device
KR20110119321A (en) An estimating method for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ic device
KR10161996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appliance
KR20120017182A (en) A smart device
KR101678439B1 (en) A movable supplier of electric power
KR101636085B1 (en) Network system and energy consumption component
KR20120016740A (en) Smart device
KR20140032717A (en) Refrigerator
KR20120005188A (en) A control method of a electric appliance
KR101625689B1 (en) Network system
KR20120005666A (en) A control method of a communication component
KR20110042863A (en) A network system supplying electric pow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74954B1 (en) A control method of a communication component
KR10173348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KR101629320B1 (en) A control method of a communication component
KR10166870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KR20110042867A (en) A network system supplying electric pow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60522B1 (en) Controlling mehtod of electric appliance
KR101759747B1 (en) Electric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