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581A - 외부 디바이스와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디바이스와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581A
KR20130104581A KR1020120026197A KR20120026197A KR20130104581A KR 20130104581 A KR20130104581 A KR 20130104581A KR 1020120026197 A KR1020120026197 A KR 1020120026197A KR 20120026197 A KR20120026197 A KR 20120026197A KR 20130104581 A KR20130104581 A KR 20130104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nformation
devices
external device
fun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7792B1 (ko
Inventor
김대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792B1/ko
Priority to EP12182565.7A priority patent/EP2640036B1/en
Priority to US13/602,981 priority patent/US10075504B2/en
Publication of KR20130104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상의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조합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을 상기 디바이스에 등록하고, 등록된 동작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부 디바이스와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n operation by sharing a function of an external device}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전자 기기들은 제품 출시할 당시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자원의 기능에 한정되어 고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TV, 스마트폰, 냉장고 등은 각각의 고유의 기능을 실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 기기들은 제품 출시 시점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작하므로, 제품 출시 이후에 새로운 기능을 수용할 수 없다. 최근 다양한 전자 기기들 간에 자원의 상호 공유함으로써 전자기기의 기능을 간접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을 공유 실행함으로써 수행되는 동작을 등록하고, 등록된 상기의 동작을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을 공유 실행함으로써 수행되는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그 동작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상의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조합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을 상기 디바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동작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된 동작 수행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상의 다수의 디바이스들간에 기능을 공유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이 조합됨으로써 정의된 동작이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정의하는 동작 정의 파일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결과에 따라서 상기 동작 정의 파일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정보에 대응하여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상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조합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을 상기 디바이스에 등록하는 동작 등록부; 및 상기 등록된 동작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수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상의 다수의 디바이스들간에 기능을 공유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는,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이 조합됨으로써 정의된 동작이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정의하는 동작 정의 파일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결정결과에 따라서 상기 동작 정의 파일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정보를 독출부; 및 상기 독출된 정보에 대응하여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디바이스들의 기능을 공유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어느 디바이스에 등록하기 위한 충분한 사전 지식을 갖추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그 디바이스의 설치된 환경에 최적화된 동작을 등록 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등록된 동작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서로 유기적으로 기능을 공유할 수 있다. 아울러, 디바이스의 동작을 지속적으로 변경 또는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동작을 기대하는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이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정의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정의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동작을 등록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동작을 등록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등록된 동작을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동작의 수행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정의 파일의 동작 정보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작업은 기능과 동작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능과 동작을 예시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기능이란 디바이스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자원의 실행에 대응한다. 예컨대, TV가 구비한 하드웨어 자원으로서는 튜너, 디코더 및 프로세서, 영상신호 출력 유닛, 음성신호 출력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스피커 등이 있다. TV의 기능은 튜너에 대응하는 방송신호 수신기능, 디코더 및 프로세서에 대응하는 영상 및 음성신호의 복호화 기능, 영상신호 출력 유닛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 프로세싱 및 출력기능, 음성신호 출력 유닛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 프로세싱 및 출력기능,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디바이스는 그 디바이스에 등록된 동작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동작이란 전술한 기능을 적어도 하나 이상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동작의 등록이란, 그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가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고, 그 디바이스는 저장된 정보에 따라서 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하나의 동작은 다수의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수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동작을 선택하면, 선택된 동작에 포함된 각 기능들이 선택된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에 따라서 실행된다. 디바이스에는 제조자가 제품 출시 당시에 등록한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TV의 동작 중 방송시청 동작은 방송신호 수신기능, 영상 및 음성신호의 복호화 기능, 영상 및 음성신호의 프로세싱 및 출력 기능, 영상 및 음성의 재생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TV의 다른 동작으로는 채널 변경, 녹화 등의 동작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이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00)은 디바이스들(110) 및 동작 정의 서버(120)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들(110)은 제1 디바이스(111), 제2 디바이스(112) 및 제3 디바이스(113)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들(110) 각각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들(110)은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한다.
제1 디바이스(111)는 TV, 제2 디바이스(112)는 프린터, 제3 디바이스(111)는 스마트폰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TV(111)의 관점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
TV(111)는 네트워크를 통해 프린터(112) 및 스마트폰(113)을 검출한다. TV(111)는 검출된 프린터(112) 및 스마트폰(113)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예컨대, TV(111)는 프린터(112)의 인쇄기능과 스마트폰(113)의 카메라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것으로 가정한다. TV(111)는 프린터(112) 및 스마트폰(113)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였으나, 프린터(112) 및 스마트폰(113)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동작이 등록되어 있지 않다. TV(111)에 프린터(112) 또는 스마트폰(113)로부터 획득한 기능을 활용하는 동작을 등록된다면, 프린터(112) 또는 스마트폰(113)과 기능을 공유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TV(111)는 설치환경에 최적화 되었다고 볼 수 있다.
TV(111)는 동작 정의 서버(120)에 동작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즉, TV(111)는 프린터(112)의 인쇄기능과 스마트폰(113)이 카메라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동작을 TV(111)에 등록하기 위하여, 동작 정의 서버(120)에 동작 정보를 요청한다. TV(111)는 동작 정보를 요청하면서, 프린터(112) 및 스마트폰(113)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동작 정의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술한 TV(111)의 기능들, 프린터(112)의 프린팅 기능, 스마트폰(113)의 카메라 기능에 대한 정보를 동작 정의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정의 서버(120)는 제조자가 미리 입력해 놓은 다수의 동작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동작 정의 서버(120)이 저장하고 있는 동작들은 TV(111),프린터(112),스마트폰(113)에 대한 동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동작 정의 서버(120)는 다른 가전기기들로서 셋탑박스, 홈시어터, 에어컨, 냉장고 등에 대한 동작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동작 정의 서버(120)에 저장된 동작정보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을 공유 실행함으로써 실행되는 동작을 포함한다. 동작 정의 서버(120)는 TV(111)의 동작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TV(111)에 동작 정보를 제공한다. 동작 정의 서버(120)는 디바이스들(110)의 기능들에 기초하여, TV(111)가 실행가능한 동작 정보를 제공한다. 동작 정의 서버(120)가 제공하는 동작 정보는 TV(111)가 프린터(112) 또는 스마트폰(113)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동작 정의 서버(120)는 TV(111)의 기능과 프린터(112)의 기능이 조합된 동작을 TV(111)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동작 정의 서버(120)는 TV(111)에 '프린터를 이용한 스크린 샷 인쇄'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정의 서버(120)는 TV(111)의 기능과 스마트폰(113)의 기능이 조합된 동작을 TV(111)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동작 정의 서버(120) TV(111)에 '스마트폰을 이용한 CCTV'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TV(111)는 동작 정의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동작 정보에 따라서 새로운 동작을 TV(111)에 등록한다. TV(111)는 프린터(112) 또는 스마트폰(113)와 연동하여 새롭게 등록된 동작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방송 시청 중에 TV(111)의 스크린 샷 인쇄 동작을 선택함으로써, 특정 방송신호의 프레임을 프린터(112)를 통해 인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CCTV' 동작을 실행하여 스마트폰(113)의 카메라를 CCTV로 활용하고, 스마트폰(113)이 촬영한 영상을 TV(111)에서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린터(112)와 스마트폰(113)에도 새로운 동작이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디바이스들(110)간에 유기적으로 자원을 공유하여 수행되는 소정의 동작들이 각 디바이스들(110)에 등록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각 디바이스들(110)의 동작을 개별적, 수동적으로 등록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작 등록을 위해 충분한 지식을 갖지 않는 사용자라도 동작 정의 서버(120)를 통해 디바이스들(110)의 동작 등록이 가능하다. 디바이스들(110)은 고정적인 동작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등록된 동작을 수행 가능하다. 아울러, 디바이스들(110)은 동작 등록을 통해 디바이스가 설치된 환경에 최적화될 수 있다. 이상의 예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제 2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제 1 실시예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TV(111)가 프린터(112) 및 스마트폰(113)을 검출하고, 프린터(112) 및 스마트폰(113)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였다. 그러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정의 서버(120)가 디바이스들(110)을 검출하고, 디바이스들(110)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하, 제 2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동작 정의 서버(120)는 디바이스들(120)을 검출한다. 동작 정의 서버(120)는 검출된 디바이스들(120)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예컨대, 동작 정의 서버(120)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메세지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디바이스들(120)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정의 서버(120)는 획득된 기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TV(111)가 프린터(112) 또는 스마트폰(113)과 기능을 공유함으로써 수행가능한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가 동작 정의 서버(120)에 존재하는지 결정한다. 예컨대, 동작 정의 서버(120)는 TV(111)가 수행가능한 동작으로서 '프린터를 이용한 스크린 샷 인쇄 동작'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CCTV 동작'이 존재하는 것을 파악한다. 동작 정의 서버(120)는 '프린터를 이용한 스크린 샷 인쇄 동작'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CCTV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디바이스들(110)에 전송한다. 동작 정의 서버(120)는 위 동작들을 정의하는 정보를 TV(111)에만 전송할 수도 있다.
TV(111)는 동작 정의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터를 이용한 스크린 샷 인쇄 동작'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CCTV 동작'을 TV(111)에 등록한다. TV(111)가 등록된 동작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 사용자 인터페이스(220), 제어부(230), 저장부(240) 및 기능모듈들(250)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200)가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는 표준화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인터페이스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는 사용자에게 디바이스(200)를 조작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는 사용자로부터 디바이스(200)의 조작에 대한 소정의 요청사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동작을 등록할 것에 대한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저장부(240)는 기능정보 저장부(241) 및 동작 정보 저장부(242)를 포함한다.
기능정보 저장부(241)는 디바이스(200)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기능에 대한 정보란, 소정의 기능을 정의하기 위한 정보로서 기능의 식별자, 기능의 클래스, 입력데이터 타입 및 출력데이터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식별자는 기능을 식별하기 위하여 할당된 정보로, 예컨대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사용할 수 있다. 기능의 클래스는 유사한 기능들을 군집화한 분류체계를 의미한다. 동일한 클래스에 속하는 기능들은 서로 호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서로 상이한 디바이스들 간에 동일한 클래스에 속하는 기능을 네트워크 기반으로 공유함으로써 그 디바이스들은 상호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예컨대, 클래스는 영상 출력, 음성 출력, 무선통신, 표준입력, 표준출력, 유선통신저속, 유선통신고속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 타입은 입력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컨대, 입력데이터의 비트열이 복수개의 서로 상이한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경우, 입력데이터 타입를 통해 각 데이터의 크기 및 배열을 파악할 수 있다. 출력데이터 타입은 출력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입력데이터 타입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디바이스(200)의 기능에 대한 정보는 제조자에 의해 기능정보 저장부(241)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기능정보 저장부(241)는 디바이스(200)과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들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들의 기능에 대한 정보의 획득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기능정보 저장부(241)는 디바이스(200)의 기능에 대한 정보와 외부 디바이스들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외부 디바이스들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그 외부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 정보를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디바이스 식별자 정보는 디바이스별로 할당되는 고유의 정보로서, 예컨대 MAC 주소(Medium Access Control Address) 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0)을 이용하여 기능정보 저장부(241)에 저장된 디바이스(200)의 기능들을 공유기능과 비공유 기능으로 등록할 수 있다. 공유기능이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의 요청 따라서 실행 가능한 기능을 말한다. 즉, 디바이스(200)의 공유 기능은 외부 디바이스의 동작 수행을 위하여 외부 디바이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반대로, 비 공유기능이란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실행할 수 없도록 등록된 기능을 말한다. 디바이스(200)는 비공유기능을 외부 디바이스들에게 공개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정보 저장부(242)는 디바이스(200)에 등록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즉, 디바이스(200)는 동작 정보 저장부(242)에 저장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소정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에 대한 정보는 동작을 구성하는 각 기능들의 실행 순서와 각 기능 실행의 시작 및 종료시간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가 수행 가능한 동작이 다수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동작 정보 저장부(242)에는, 각 동작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동작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기능모듈들(250)은 디바이스(200)의 기능들에 대응하는 하드웨어 자원을 의미한다. 디바이스(200)의 기능은 기능모듈들(250)을 구동함으로써 실행된다.
제어부(230)는 디바이스 검출부(231), 기능정보 획득부(232), 요청 메세지 생성부(233), 동작 정보 요청부(234), 동작 등록부(235), 동작 수행부(236)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검출부(23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을 통해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들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디바이스 검출부(231)는 외부 디바이스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메세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 검출 메세지의 브로드 캐스팅을 통해, 디바이스(200)의 네트워크 접속을 외부 디바이스들에게 알릴 수 있다. 디바이스 검출부(231)은 검출 메세지 대한 응답을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함으로서 외부 디바이스들을 검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 검출부(231)는 UPnP(Universal Plag and Play)등의 표준화된 디바이스 검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기능정보 획득부(232)는 검출된 외부 디바이스들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기능정보 획득부(232)는 외부 디바이스들에게 기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기능정보 요청 메세지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전송한다. 기능정보 획득부(232)는 기능 요청 메세지에 대한 응답으로 기능 정보 메세지를 수신한다. 기능 정보 메세지는 외부 디바이스들의 공유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기능 정보 메세지는 기능의 식별자, 기능의 클래스, 입력데이터 타입 및 출력데이터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메세지 생성부(233)는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를 검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를 생성한다.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는 디바이스(200)에 동작 등록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동작 정의 서버에 요청하는 메세지다.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가 포함하는 정보는 네트워크에 어떠한 외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결정된다.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는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각각의 기능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청 메세지 생성부(233)는 기능 정보 저장부(241)에 저장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를 생성한다.
동작 정보 요청부(234)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을 통해 생성된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를 동작 정의 서버에 전송한다.
동작 등록부(235)는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 대한 동작 정의 서버의 응답메세지에 기초하여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등록한다. 동작 정의 서버는 제조자가 입력한 동작 정의 파일에서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 대응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독출한다. 동작 정의 서버의 응답메세지는 동작 정의 파일에서 독출된 정보를 포함한다. 동작 등록부(235)가 디바이스(200)에 등록하는 동작은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을 포함한다. 즉, 동작 정의 서버의 응답메세지는 디바이스(200)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외부 디바이스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조합한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작 수행부(236)는 동작 등록부(235)가 등록한 동작을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수행한다.
동작 정의 서버의 응답메세지는 동작에 대한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 정보는 디바이스(200)에 응답메세지에 포함된 동작이 어떠한 동작인지를 사용자에게 설명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설명정보는, 등록될 동작들의 목록, 동작 수행을 위해 연동이 필요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 동작의 실행 방법, 동작의 수행의 예시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동작 등록부(235)는 응답메세지에 포함된 동작 설명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동작 설명 정보를 참조하여, 디바이스(200)에 등록가능한 동작을 파악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0)을 통해서 등록을 원하는 동작 선택한다. 동작 등록부(235)는 사용자의 동작 선택한 동작을 디바이스(200)에 등록한다. 즉, 동작 등록부(235)는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을 동작 저장부(242)에 저장한다.다만, 실시예의 변경에 따라서 사용자의 동작 선택을 생략하고, 동작 등록부(235)가 응답 메세지에 포함된 동작 정보를 전부 디바이스(200)에 등록할 수도 있다.
동작 수행부(236)는 사용자가 요청한 동작을 수행한다. 동작 수행부(236)는 동작 저장부(235)에 저장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그 동작을 수행한다. 동작 수행부(236)가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동작 수행부(236)는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을 실행할 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수행부(236)는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에 포함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데 있어, 기능 정보 저장부(241)을 참조하여 선택된 동작에 포함된 소정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 클래스 값을 갖는 다른 기능들을 읽어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동작 수행부(236)는 선택된 동작에 포함된 소정의 기능과 호환 가능한 다른 기능들을 기능 정보 저장부(241)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기능들이란 외부 디바이스들의 기능 일 수 있다. 동작 수행부(236)는 동작에 포함된 소정의 기능을 동일한 기능 클래스 값을 갖는 다른 기능들로 대체함으로써 동작들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200)의 기능 A와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B가 모두 display 클래스에 속한다고 가정한다. 디바이스(200)는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능 A 대신에 기능 B를 외부 디바이스와 공유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수행부(236)는 디바이스(200)에 등록된 동작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에 포함된 기능들을 파악하고, 파악된 각 기능들을 동일한 기능클래스에 속하는 다른 기능들로 대체함으로써 새로운 동작들을 구성할 수 있다. 동작 수행부(236)는 새롭게 구성된 동작들을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작 수행부(236)는 새롭게 구성된 동작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동작들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200B)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B), 사용자 인터페이스(220B), 제어부(230B), 저장부(240B) 및 기능모듈들(250B)을 포함한다.
디바이스(200B)의 제어부(230A)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되므로, 도 2A의 디바이스(200)의 설명을 참조한다.
제어부(230B)는 결정부(231B), 동작 등록부(232B), 동작 수행부(233B)를 포함한다.
결정부(231B)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B)를 통해 동작 정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디바이스(200B)의 기능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결정부(231B)는 기능 정보 저장부(241B)에 저장된 디바이스(200B)의 기능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B)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상호 비교한다. 이를 통해 결정부(231B)는 수신한 정보가 정의하는 동작이 디바이스(200B)의 기능을 포함하는 동작인지를 결정한다.
동작 등록부(232B)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B)를 통해 수신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이 디바이스(200B)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그 정의된 동작을 등록한다. 동작 등록부(232B)는 등록할 동작을 동작 정보 저장부(242B)에 저장한다. 동작 등록부(232B)가 디바이스(200B)에 등록하는 동작은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을 포함한다. 즉, 동작 정의 서버의 응답메세지는 디바이스(200)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외부 디바이스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조합한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동작 수행부(233B)에 대한 설명은 도 2A의 디바이스(200)에 대한 설명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정의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동작 정의 서버(3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 사용자 인터페이스(320), 동작정의 DB(330),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작 정의 서버(310)가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는 표준화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인터페이스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는 디바이스(200)가 전송한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는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디바이스(200)에 전송한다.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 대한 설명은 도 2A를 참조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는 동작 정의 서버(300)의 조작을 위한 입력수단 및 출력수단을 포함한다.
동작정의 DB(330)는 동작 정의 파일을 저장한다. 동작 정의 파일은 소정의 디바이스가 수행가능한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동작 정의 파일은 단일의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동작 정의 파일은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연동을 통해서 수행가능한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작 정의 파일에 저장된 동작들은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을 조합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조자는 동작 정의 파일을 제작 및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 제조자는 새로운 디바이스가 출시되면, 새로운 디바이스의 기능을 고려하여 동작 정의 파일을 업데이트 한다. 동작 정의 파일에는 도 2A 및 도 2B의 설명에서 전술한 동작의 설명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340)는 결정부(341), 독출부(342), 응답 메세지 생성부(343)를 포함한다.
결정부(34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을 통해 수신한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가 동작 정의 파일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결정부(341)는 동작 정의 파일 상의 동작에 포함된 기능을 요청 메세지에 포함된 기능의 목록과 서로 비교한다. 결정부(341)는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 포함된 기능의 목록이 동작 정의 파일 상의 어느 동작에 포함된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동작 정의 파일 상의 해당 동작을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결정한다.
독출부(342)는 결정부(341)의 결정결과에 기초하여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동작 정의 파일에서 독출한다. 독출부(342)는 동작에 대한 정보로서 디바이스(200)와 외부 디바이스 각각의 기능을 조합한 정보를 독출한다. 독출부(342)는 동작의 설명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응답 메세지 생성부(342)는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세지를 생성한다. 응답 메세지는 독출부(342)가 독출한 정보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는 생성된 응답 메세지를 디바이스(200)에 전송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정의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을 참조하면, 동작 정의 서버(300B)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B), 사용자 인터페이스(320B), 저장부(330B), 제어부(340B)를 포함한다. 도 3A의 동작 정의 서버(300)와 중복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저장부(330B)는 동작정의 DB(331B), 기능 정보 저장부(332B), 동작 정보 저장부(333B)를 포함한다.
기능 정보 저장부(332B)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들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기능 정보 저장부(332B)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각 디바이스들의 디바이스 식별자와 기능의 식별자를 상호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동작 정의 서버(300B)는 기능 정보 저장부(332B)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상의 소정의 디바이스가 어떠한 기능을 구비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동작 정보 저장부(333B)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각 디바이스들에 등록된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즉, 각 디바이스들이 현재 수행가능한 동작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동작 정의 서버(300B)는 소정의 디바이스에게 새로운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디바이스가 새로운 동작을 등록하면 동작 정보 저장부(333B)에 새롭게 등록된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동작 정보 저장부(333B)에 저장한다. 이를 통해 동작 정보 저장부(333B)는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디바이스에게 전송시, 그 디바이스에 기 등록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제외하고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동작 정의 서버(300B)가 동작 정보 저장부(333B)를 구비하지 않고, 동작 정의 파일에서 독출된 정보를 모두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340B)는 디바이스 검출부(341B), 기능 정보 획득부(342B), 결정부(343B), 독출부(344B)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검출부(341B)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B)을 통해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검출한다. 디바이스 검출부(341B)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디바이스를 검출하기 위한 메세제를 네트워크에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바이스 검출부(341B)는 네트워크 상에 새롭게 설치된 디바이스가 자신의 접속을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알리기 위한 메세지를 수신함으로서, 새롭게 설치된 디바이스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B)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디바이스(200B)는 네트워크 접속을 알리는 메세지를 브로드 캐스팅하고, 디바이스 검출부(341B)는 그 메세지를 수신함으로써 디바이스(200B)를 검출한다. 디바이스 검출부(341B)는 기능 정보 저장부(332B) 또는 동작 정보 저장부(333B)를 참조하여, 다수의 디바이스들 중에서 신규 설치된 디바이스가 무엇인지 식별할 수 있다. 디바이스 검출부(341B)는 UPnP(Universal Plag and Play)등의 표준화된 디바이스 검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기능 정보 획득부(342B)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42B)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들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기능 정보 획득부(342B)는 디바이스 검출부(341B)가 검출한 디바이스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기능 정보 획득부(342B)는 획득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디바이스 식별자와 연계하여 기능 정보 저장부(332B)에 저장한다. 기능정보 획득부(342B)는 검출된 디바이스들에게 기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기능정보 요청 메세지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10B)를 통해 전송한다. 기능정보 획득부(342B)는 기능 요청 메세지에 대한 응답으로 기능 정보 메세지를 수신한다. 기능 정보 메세지는 외부 디바이스들의 공유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기능 정보 메세지는 기능의 식별자, 기능의 클래스, 입력데이터 타입 및 출력데이터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부(343B)는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이 조합됨으로써 정의된 동작이 동작 정의 파일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결정부(343B)는 디바이스 검출부(341B)에 의해 새롭게 검출된 디바이스 및 기존에 검출된 디바이스의 기능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동작이 동작 정의 파일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부(343B)는 적어도 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이 조합됨으로써 정의된 동작이 동작 정의 파일에 존재하는 경우, 그 동작이 해당 디바이스에 이미 등록된 동작인지 여부를 동작 정보 저장부(333B)를 참조하여 판단할 수 있다. 결정부(343B)는 해당 디바이스에 이미 등록된 동작 이외에 다른 동작이 동작 정의 파일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동작 정의 서버(300B)는 디바이스에게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독출부(344B)는 결정부(343B)의 결정결과에 기초하여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를 동작 정의 파일에서 독출한다. 독출부(344B)는 동작의 설명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동작 정의 서버(300B)는 독출부(344B)가 독출한 정보에 의해 정의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에 전송한다. 동작 정의 서버(300B)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동작 정의 서버(300B)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그 동작을 수행가능한 디바이스를 특정하여 전송 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동작을 등록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의 설명에서는 도 2A의 디바이스(200)의 설명과 중복하는 내용을 생략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 상에는 디바이스(200)와 외부 디바이스들(210)이 존재한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들(2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로서, 디바이스(200)과 구비한 기능이 서로 상이한 것으로 가정한다. 즉, 디바이스(200)의 기능은 'Func.14','Func.15','Func.16', 외부 디바이스(211)의 기능은 'Func.4','Func.5', 다른 외부 디바이스(212)의 기능은 'Func.6' 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디바이스(200)에는 제조자가 제품 출시 당시에 등록한 동작들이 'OP.1'과 'OP.2'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OP.1'은 'Func.14 → Func.15 → Func.16'를 순서대로 실행하는 동작을, 'OP.2'는 'Func.16 → 14'를 순서대로 실행하는 동작이라고 가정한다. 외부 디바이스들(210)에 등록된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디바이스(200)의 관점에서 동작 등록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들(210)을 검출한다(S401).
디바이스(200)는 외부 디바이스(210)이 검출되면, 외부 디바이들(210) 각각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402). 즉, 디바이스(200)는 외부 디바이들(210)의 기능 'Func.4','Func.5','Func.6'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디바이스(200)는 획득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디바이스(200)는 외부 디바이스들(21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를 생성한다(S403). 예컨대,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는 디바이스(200) 및 외부 디바이스들(210) 각각의 기능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는 기능 디바이스(200)의 기능 'Func.14','Func.15','Func.16'과 외부 디바이스(211)의 기능 'Func.4','Func.5' 및 다른 외부 디바이스(212)의 기능 'Func.6'의 목록을 포함한다.
디바이스(200)는 생성된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를 동작 정의 서버(300)에 전송한다(S403).
디바이스(200)는 동작 정의 서버(300)로부터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 대응하는 응답메세지를 수신한다(S404). 여기서, 응답 메세지는 새로운 동작으로 'OP.3'와 'OP.4'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OP.3'는 'Func.3 → Func.15 → Func. 16'으로 구성된다. 'OP.4'는 기능 'Func.6 → Func.14 → Func.4'로 구성된다. 응답 메세지는 'OP.3' 및 'OP.4'에 대한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응답메세지에 포함된 설명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05).
디바이스(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을 디바이스(200)에 등록한다(S406). 여기서, 사용자는 'OP.3'의 동작만을 선택한 것으로 가정한다. 디바이스(200)는 'OP.3'에 대한 정보를 디바이스(200)에 저장하고, 'OP.4'에 대한 정보를 폐기 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동작을 등록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의 설명에서는 도 2B의 디바이스(200B)의 설명과 중복하는 내용을 생략한다. 또한 도 4A의 설명과 중복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디바이스(200B)는 디바이스(200B)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조합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수신한다(S401B).
디바이스(200B)는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디바이스(200B)의 기능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402B).
디바이스(200B)는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이라고 결정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을 디바이스(200B)에 등록한다(S403B).
디바이스(200B)는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기능도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이 아니라고 결정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를 폐기한다(S404B).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의 설명에서, 도 3A의 동작 정의 서버(300)와 중복하는 내용은 생략한다. 아울러, 디바이스(200) 및 외부 디바이스(210)의 기능에 대한 예시는 도 4A의 설명을 이어서 계속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동작 정의 서버(300)는 디바이스(200)로부터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다(S501).
동작 정의 서버(300)는 동작 정의 파일에서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 대응하는 동작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S502). 즉 동작 정의 파일에서 OP.3과 OP.4가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 대응하는 동작이라고 결정한다.
도 9를 참조하여, 동작 정의 파일에서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는 디바이스(200) 및 외부 디바이스들(210) 각각의 기능에 대한 목록으로서 'Func.14-16'과 'Func.3-6'를 포함한다.
동작 정의 파일은 동작 'OP.3-7'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동작 OP.3은 'Func.3,15,16'으로 구성된다. 'Func. 3,5,16'은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의 기능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동작 정의 서버(300)는 동작 정의 파일 상의 OP.3가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 대응하는 동작이라고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동작 정의 서버(300)는 OP.4도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 대응하는 동작이라고 결정한다. 반면에, OP.5는 'Func.15,17,1' 로 구성된다.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는 Func 17, Func 1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동작 정의 서버(300)는 OP.5는 동작 정보 요청메세지에 대응하는 동작이 아니라고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동작 정의 서버(300)는 동작 정의 파일 상의 'OP.6-7'가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에 대응하지 않는 동작이라고 결정한다.
동작 정의 서버(300)는 동작 정의 파일에서 대응하는 동작 정보가 있으면,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독출한다(S503). 동작 정의 파일에서 OP.3 및 OP.4에 대한 정보를 독출한다. 독출한 정보는 OP.3와 OP.4의 설명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정의 서버(300)는 독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세지를 생성한다(S504).
동작 정의 서버(300)는 응답 메세지를 디바이스(200)에게 전송한다(S505).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의 설명에서, 도 3B의 동작 정의 서버(300B)와 중복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동작 정의 서버(300B)는 네트워크상의 디바이스들을 검출한다(S501B). 디바이스(200B) 및 외부 디바이스(210)을 검출한다.
동작 정의 서버(300B)는 검출된 디바이스들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502B). 디바이스(200B) 및 외부 디바이스(210)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만약, 기존의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200B)가 신규 설치된 경우에는, 동작 정의 서버(300B)는 디바이스(200B)의 기능에 대한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다.
동작 정의 서버(300B)는 적어도 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이 조합됨으로써 정의된 동작이 동작 정의 파일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S503B).
동작 정의 서버(300B)는 결정결과에 따라서 동작 정의 파일에서 적어도 둘이상의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정보를 독출한다(S504B).
동작 정의 서버(300B)는 상기 독출된 정보에 대응하여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소정의 디바이스에 전송한다(S505B). 여기서 소정의 디바이스는 네크워크 상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들 전부일 수 있다, 또는 소정의 디바이스는 그 동작이 수행 가능한 디바이스로 특정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등록된 동작을 디바이스가 실행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B의 설명과 중복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는 도 2A에 도시된 디바이스(200)일 수도 있고, 도 2B에 도시된 디바이스(200B)일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디바이스(200)으로 표기한다.
디바이스(200)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OP.3의 실행을 요청받는다(S601). 즉, 사용자는 디바이스(200)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 중에서 OP.3를 선택하였다.
디바이스(200)는 OP.3의 정보를 동작 정보 저장부(242)를 이용해 파악한다(S602). 디바이스(200)는 OP.3에 포함된 'Func.3'이 외부 디바이스(211)의 기능임을 파악한다.
디바이스(200)는 'Func.3'의 실행을 외부 디바이스(211)에 요청한다(S603).여기서, 디바이스(200)는 외부 디바이스(211)과 상호 인증을 수행하여 'Func.3'의 실행 권한을 획득 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외부 디바이스(211)로부터 'Func.3'의 실행 결과를 수신한다(S604). 디바이스(200)는 외부 디바이스(211)로부터 수신한 'Func.3'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나머지 기능들 'Func.15' 및 'Func.16'을 실행한다. 이를 통해 디바이스(200)는 OP.3의 실행을 완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유 프로그램(700)은 동작 메니저(705), 기능메니저(710) 및 실행로더(720)를 포함한다.
공유 프로그램(700)은 디바이스(200)에 상주하여 백그라운드(background) 방식으로 구동되는 데몬(daemon)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기능메니저(710)는 기능정보 저장부(241)에 저장된 기능을 관리하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기능메니저(710)는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 기능정보 저장부(241)에 그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기능메니저(710)는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디바이스 식별자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공유 프로그램(700)은 기능 메니져(710)를 이용하여 기능정보 저장부(241)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고, 디바이스(200)의 기능 및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동작 메니저(705)는 동작 정보 저장부(242)에 저장된 동작을 관리한다. 동작 메니저(705)는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을 참조하여 동작 정보 요청 메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메니저(705)는 동작 정의 서버(300)로부터 디바이스(200)과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의 조합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을 디바이스(200)에 등록한다. 즉 동작 메니저(705)는 동작 정보 저장부(242)에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동작 메니저(705)는 동작에 대한 설명 정보를 동작 정보 저장부(242)에 함께 저장 할 수 있다.
실행로더(720)는 사용자의 요청한 동작을 수행한다. 실행로더(720)는 동작 메니저(705)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동작에 대한 정보를 동작 정보 저장부(242)에서 판독한다. 실행로더(720)는 사용자가 실행 요청한 동작이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은 도 1의 제 1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제 1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제 2 실시예에 대한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설계변경 가능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동작 수행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세탁기 장치가 '세탁' 동작을 수행하고, '세탁' 동작의 마지막 단계에서 TV장치와 연동하여, 세탁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세탁' 동작에 대한 정보는 기능 'Func.1 →Func.2→Func.3→Func.4'의 일련의 기능의 실행을 정의한다. 여기서, Func.1은 세정을 실행하는 기능, Func.2는 헹굼을 실행하는 기능, Func.3는 탈수를 실행하는 기능을 의미하고, Func.4는 영상 및 음성 출력기능으로 가정한다.
'세탁' 동작에 대한 정보는 각 기능에는 실행시간을 규정한다. 예컨대,'세탁' 동작에 대한 정보를 통해 Func.1 및 Func.2는 각 15분씩, Func.3는 5분, Func.4는 10초간 실행시간이 규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세탁' 동작에 대한 정보는 각 기능의 실행순서를 규정하기 위하여 시퀀스 넘버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각 기능은 홀수 넘버에서 시작되고, 등록된 기능 실행 시간 이후 짝수 번호로 끝나게 된다. 세탁기 장치에 상주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로더는 각 기능의 실행이 완료되면 시퀀스 카운트를 증가시켜 다음 홀수 기능을 실행하도록 한다.
실행로더는 초기 시퀀스 넘버가 1번으로 등록된 기능 Func.1을 15분간 실행한다. 'Func.1'은 실행이 종료되면 시퀀스 카운터를 +1 한다. 실행로더는 시퀀스 카운터를 +1 하여, Func.2를 15분간 실행한다. 'Func.2'는 실행이 종료되면 시퀀스 카운터를 +1 한다. 실행로더는 시퀀스 카운터를 +1 하여, Func.3를 5분간 실행한다. 'Func.3'은 실행이 종료되면 시퀀스 카운터를 +1 한다. 실행로더는 시퀀스 카운터를 +1 하여, Func.4를 10초간 실행할 것을 TV 장치에게 요청한다. 즉, '세탁완료'의 영상 메세지 및 알림음성의 입력데이터를 TV장치에게 전송한다.TV 화면에 '세탁 완료'의 영상 및 알림음성을 10초간 출력한다. Func4.는 실행이 완료되면 시퀀스 카운터를 +1 한다. 세탁기 장치는 TV장치로부터 출력데이터로서 영상 및 음성 츨력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세지를 수신한다. 실행로더는 시퀀스 카운터를 +1하고 더 실행할 기능이 없음을 확인하면 '세탁' 동작 수행을 종료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Claims (19)

  1. 네트워크상의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조합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을 상기 디바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동작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수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으로 결정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을 상기 디바이스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수행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결과에 따라서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수행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검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기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각각의 기능에 대한 목록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수행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정보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을 상기 사용자에게 설명하기 위한 설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수행 방법.
  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설명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을 상기 디바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수행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작 수행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네트워크상의 다수의 디바이스들간에 기능을 공유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이 조합됨으로써 정의된 동작이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정의하는 동작 정의 파일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결과에 따라서 상기 동작 정의 파일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정보에 대응하여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정보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 중 소정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목록을 포함하는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디바이스와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 중 다른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조합됨으로써 정의된 동작이 상기 동작 정의 파일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독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메세지를 상기 소정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정보 제공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상에서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에게 각각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정보 제공 방법.
  11. 네트워크상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조합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을 상기 디바이스에 등록하는 동작 등록부; 및
    상기 등록된 동작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등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으로 결정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을 상기 디바이스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결과에 따라서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는 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검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청부는 상기 획득된 기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각각의 기능에 대한 목록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정보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을 상기 사용자에게 설명하기 위한 설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설명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등록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의해 정의된 동작을 상기 디바이스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7. 네트워크상의 다수의 디바이스들간에 기능을 공유하여 수행되는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이 조합됨으로써 정의된 동작이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정의하는 동작 정의 파일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결정결과에 따라서 상기 동작 정의 파일에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정보를 독출부; 및
    상기 독출된 정보에 대응하여 동작을 정의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정의 서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 중 소정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목록을 포함하는 메세지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소정의 디바이스와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 중 다른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조합됨으로써 정의된 동작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정의 서버.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검출하는 디바이스 검출부; 및
    검출된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에게 각각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메세지를 전송하는 기능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정의 서버.
KR1020120026197A 2012-03-14 2012-03-14 외부 디바이스와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57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197A KR101857792B1 (ko) 2012-03-14 2012-03-14 외부 디바이스와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12182565.7A EP2640036B1 (en) 2012-03-14 2012-08-31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 fun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performing an operation
US13/602,981 US10075504B2 (en) 2012-03-14 2012-09-04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 fun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performing an op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197A KR101857792B1 (ko) 2012-03-14 2012-03-14 외부 디바이스와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581A true KR20130104581A (ko) 2013-09-25
KR101857792B1 KR101857792B1 (ko) 2018-05-14

Family

ID=47074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197A KR101857792B1 (ko) 2012-03-14 2012-03-14 외부 디바이스와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75504B2 (ko)
EP (1) EP2640036B1 (ko)
KR (1) KR101857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454A (ko) * 2013-09-12 2015-03-20 (주)스피치이노베이션컨설팅그룹 멀티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접속 방법
KR102264050B1 (ko) * 2014-11-28 2021-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들 간에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142001A (zh) * 2015-06-26 2015-12-09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截图的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7101A1 (fr) * 1999-11-18 2001-05-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de connexion reseau et systeme reseau l'utilisant
US7089313B2 (en) * 2002-07-25 2006-08-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tocol independent communication system for mobile devices
EP1705576A1 (en) * 2004-01-06 2006-09-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vice cooperation service system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ed in the system
US8312132B2 (en) * 2004-08-20 2012-11-13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Context data in UPNP service information
EP1768323A1 (en) * 2005-09-27 2007-03-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s for feature sharing between mobile devices
JP2009159188A (ja) * 2007-12-26 2009-07-16 Hitachi Ltd コンテンツ表示用サーバ
JP2010044679A (ja) * 2008-08-18 2010-02-2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10020694A (ko) 2009-08-24 2011-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기능 공유 방법 및 장치
CA2709651C (en) * 2010-06-07 2011-11-29 Guest Tek Interactive Entertainment Ltd. Hospitality media system operated by mobile device
KR101660747B1 (ko) * 2010-11-09 201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0036A1 (en) 2013-09-18
US20130246611A1 (en) 2013-09-19
US10075504B2 (en) 2018-09-11
EP2640036B1 (en) 2020-07-22
KR101857792B1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1735B2 (en) Application discovery
US20160241893A1 (en) Media Player Including Automatic Configuration
EP24241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KR20130066069A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043856B2 (en) Remote control of program receiving devices
US20140310741A1 (en) System for sharing data via cloud server and method thereof
US20130097645A1 (en) Seamless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cheme
KR101775026B1 (ko) 페어 플레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6348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device through home network
CN108432256B (zh) 第二屏幕装置上的交互式应用服务器
JP6116240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25675B2 (ja) データ共有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857792B1 (ko) 외부 디바이스와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9787741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00218698A1 (en) Apparatus for managing sensory data based on cloud and method of managing sensory data based on cloud
US100797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y of devices on a network
US201000887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ervice based on objects for implementing different functions of service
US20230135220A1 (en) Methods for providing light 5g ar/mr devices by running ar/mr processing on 5g edge servers/cloud including simplified dynamic scene updates
KR20210014582A (ko) 다중경로 무선 제어기
KR101928368B1 (ko) 디바이스간의 자원 공유 방법
CN114630134B (zh) 一种针对新增码流的处理方法和系统
US11647178B2 (en) Digital television rendering verification
US201700781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networking and controlling unique network-capable devices
US8943247B1 (en) Media sink device input identification
KR102443628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