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2280A -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2280A
KR20130102280A KR1020120023394A KR20120023394A KR20130102280A KR 20130102280 A KR20130102280 A KR 20130102280A KR 1020120023394 A KR1020120023394 A KR 1020120023394A KR 20120023394 A KR20120023394 A KR 20120023394A KR 20130102280 A KR20130102280 A KR 20130102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oss
piston
inner space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9651B1 (ko
Inventor
이중배
Original Assignee
(주) 이루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루팩 filed Critical (주) 이루팩
Priority to KR102012002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651B1/ko
Publication of KR20130102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B65D83/0016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the contents being forced out through the screw-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는 내부에 상부로 개구되어 화장품이 담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하부케이스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회전에 따라 아래로 이동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담긴 화장품을 압출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Extrusion Type Cosmetic Case}
본 발명은 크림형 화장품을 담는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회전에 의해 화장품이 압출되는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리퀴드 파운데이션이나 비비크림 또는 수분크림, 아이크림 등 다양한 크림타입의 화장품을 담는 케이스로서 일반적으로 넓은 입구를 가지는 팟 타입(pot type)의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팟 타입의 용기를 사용할 경우 화장품이 공기에 직접 접하면 면적이 넓어 화장품의 변질이 빨리 일어났다. 그리고, 사용자는 손으로 내용물을 꺼내기 때문에 손의 세균이 화장품에 들어가기 때문에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원하는 양을 정확히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화장품을 덜어내고, 사용하고 남은 화장품은 버리거나 다시 용기 내에 넣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회전 방식으로 화장품의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가 개발되었다.
도 1은 '회전압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압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는 용기 몸통을 구성하는 하우징(1)에 조립되며 내면에 나선요홈을 갖는 원통부를 일체로 구비한 회전체(3)의 회전으로 나선요홈에 돌기가 끼워진 압축부재(2)가 주름구조의 내용물 수용용기(5)를 밀어 올리게 되면 내용물의 압력에 의하여 코일스프링(9)으로 탄지된 개폐판(7)이 열리면서 내용물이 토출되고 회전체(3)의 회전을 멈추게 되면 개폐판(7)이 코일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하여 내용물 토출공을 폐쇄시키는 것으로 용기내부는 항시 에어리스상태가 되어 내용물의 부패나 변질을 막을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회전체(3)를 돌려 압축부재(2)를 최대로 상승시킨다 하더라도 내용물 수용용기(5)에 담긴 내용물을 모두 배출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화장품을 전부 사용하지 못하고 버릴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수용용기(5)와 수용용기(5)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부재(2) 및 회전체(3) 자체의 부피가 상당하기 때문에 컴팩트한 사이즈로는 제작이 어렵고, 따라서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도 2는 '화장크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크림 용기는 중앙부에 나사봉(11)이 형성된 용기본체(13)와, 화장크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나사봉을 따라 이동되는 피스톤조립체(15)와, 상기 용기본체(13)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피스톤조립체(15)를 나사봉(11)을 따라 이동시키며, 화장크림을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회전체(16)와, 상기 회전체(16)의 회전시 상기 배출공을 개폐시켜 화장크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탄력적으로 작동하는 밸브체(19)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합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6)는 제1회전체(17)와 제2회전체(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회전체(16)의 회전에 따라 상승하는 피스톤조립체(15) 상에 화장크림이 놓여진다. 따라서, 중력에 의해 화장크림이 피스톤조립체(15)와 나사봉(11)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해 용기본체(13) 저부로 흘러나갈 수 있다. 게다가, 화장크림이 용기본체(13) 저부에 쌓이게 될 경우 그 화장크림을 추출해낼 수가 없으므로 화장크림을 일부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화장크림 용기'는 많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제작 비용이 많이 드는 동시에 컴팩트한 사이즈로는 제작이 어려워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특허공개 제10-2003-33438호 특허문헌 2: 실용신안등록 제20-36167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중력에 따른 실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최소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본 발명은 휴대성이 향상된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는 하부케이스, 상부케이스 및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는 내부에 상부로 개구되어 화장품이 담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의 중앙에는 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보스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하부케이스에 대하여 좌 또는 우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면의 중앙에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보스가 삽입되는 나사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상기 내부공간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사봉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담긴 화장품을 압출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가이드의 단면과 대응되는 가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회전에 따른 상기 피스톤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보스의 하부로부터 상기 보스의 중앙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봉은 상기 보스가 상기 나사봉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배출구가 개구될 수 있도록 상기 보스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은 테두리부가 중앙부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가 삽입되는 외부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에 의하면 피스톤이 아래로 이동하며 화장품을 압출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력에 따른 실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에 의하면 피스톤이 아래로 이동하며 화장품을 압출하도록 이루어져 별도의 공기흡입구를 마련할 필요성이 없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에 의하면 최소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컴팩트한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에 의하면 외부케이스를 구비하여 리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회전압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화장크림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의 조립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의 화장품이 압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종단면도; 및
도 7은 외부케이스가 구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의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는 하부케이스(100), 상부케이스(200) 및 피스톤(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상부로 개구되어 화장품이 담기는 내부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공간(110)의 중앙에는 보스(120)가 형성될 수 있다. 보스(120)에는 내부공간(110)에 채워지는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보스(120)는 원기둥으로 이루어지고, 배출구(122)는 보스(120)의 하부로부터 보스(120)의 내부로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하부케이스(100)의 내주면에는 하부케이스(100)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200)는 하부케이스(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케이스(200) 하면의 중앙에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보스(120)가 삽입되는 나사봉(210)이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00)에 대하여 좌 또는 우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200)에는 보스(120)의 배출구(122)와 연통되는 홀(220)이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00) 내부에 담기는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나사봉(210)은 상기 보스(120)가 상기 나사봉(21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보스(120)의 하부로부터 형성되는 배출구(122)가 개구될 수 있도록 상기 보스(120)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피스톤(300)은 하부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300)의 중앙에는 나사봉(210)과 결합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300)은 상부케이스(200)의 회전에 의해 나사봉(210)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며 내부공간(110)에 담긴 화장품을 압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에 의하면, 피스톤(300)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화장품을 압출하므로 중력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 내부의 실링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피스톤조립체(15)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화장품을 압출하는 화장품 케이스는 피스톤 조립체(15)의 상부에 화장품이 위치하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피스톤 조립체(15)와 나사봉(11) 사이, 또는 피스톤 조립체(15)와 용기 본체(13)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화장품이 새어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중력에 따른 실링 문제가 해결되기 때문에 새어나가는 화장품 없이 화장품을 끝까지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의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을 끝까지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공간(110)의 바닥면은 테두리부가 중앙부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지고, 상기 피스톤(300)은 상기 내부공간(110)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아래로 경사진 내부공간(110)의 테두리부분의 화장품이 배출구(122) 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화장품을 상측으로 압출하도록 이루어지는 화장품 케이스에서는 피스톤 조립체(15)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화장품 케이스 내부의 피스톤 조립체 하부(15)에 생기는 빈 공간에 음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흡입구가 필요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피스톤(300)이 아래로 이동하며 화장품을 압출하므로 피스톤(300)의 상부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된다(도 7 참조). 이 때, 피스톤(300)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화장품 케이스 내부에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 사이로 최소한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기흡입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00)에는 하부케이스(100)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13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딩홈(310)이 형성되어 상부케이스(200)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300)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케이스(2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봉이 회전하고, 이 때 가이드(130)가 피스톤(300)의 가이딩홈(310)에 삽입되어 피스톤(300)이 가이딩되며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200)와 상기 하부케이스(100) 사이에는 실링부재(400)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의해 화장품이 변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링부재(400)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링부재(400)는 외부공기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소재로든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의 화장품이 압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부케이스(200)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케이스(20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봉(210)이 함께 회전한다. 이 때, 나사봉(210)에 맞물려있는 피스톤(300)의 가이딩홈(310)이 가이드(130)에 의해 가이딩되어 피스톤(300)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상부케이스(200)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300)이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300)이 나사봉(210)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내부공간(110)에 채워진 화장품에 압력을 가하여 내부공간(110)에 채워진 화장품이 배출(120)구로 이동하고, 상부케이스(200)에 형성된 홀(220)로 배출된다.
이 때, 피스톤(300)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화장품 케이스 내부의 피스톤(300) 상부에는 빈 공간이 생기며, 상기 빈 공간에는 음압이 발생한다. 따라서,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빈 공간을 채운다.
또한, 내부공간(110)에 화장품이 거의 남아있지 않을 때 상부케이스(200)를 계속 회전하면 내부공간(110) 바닥면의 테두리부분에 남아있던 화장품이 내부공간(110)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피스톤(300)의 테두리부분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압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에 의하면, 최소한의 부품을 사용하여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하여 컴팩트한 사이즈의 휴대성이 향상된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외부케이스가 구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의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는 하부케이스(100) 및 상부케이스(200)가 삽입되는 외부케이스(500)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내용물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리필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하우징 2: 압축부재
3: 회전체 5: 수용용기
7: 개폐판 9: 코일스프링
11: 나사봉 13: 용기본체
15: 피스톤조립체 16: 회전체
17: 제 1 회전체 18: 제 2 회전체
100: 하부케이스 110: 내부공간
120: 보스 122: 배출구
130: 가이드 200: 상부케이스
210: 나사봉 220: 홀
300: 피스톤 310: 가이딩홈
400: 실링부재 500: 외부케이스

Claims (7)

  1. 내부에 상부로 개구되어 화장품이 담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보스가 배치되는 하부케이스;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보스가 삽입되는 나사봉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하부케이스에 대하여 좌 또는 우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홀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내부공간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사봉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며 상기 내부공간에 담긴 화장품을 압출하는 피스톤;
    을 포함하는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가이드의 단면과 대응되는 가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회전에 따른 상기 피스톤의 회전이 제한되는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보스의 하부로부터 상기 보스의 중앙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은,
    상기 보스가 상기 나사봉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배출구가 개구될 수 있도록 상기 보스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은,
    테두리부가 중앙부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지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가 삽입되는 외부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KR1020120023394A 2012-03-07 2012-03-07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KR10139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394A KR101399651B1 (ko) 2012-03-07 2012-03-07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394A KR101399651B1 (ko) 2012-03-07 2012-03-07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280A true KR20130102280A (ko) 2013-09-17
KR101399651B1 KR101399651B1 (ko) 2014-05-27

Family

ID=4945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394A KR101399651B1 (ko) 2012-03-07 2012-03-07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6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1012A (zh) * 2018-08-13 2018-11-23 佛山市觉醒自律智能科技有限公司 挤压装置
KR101942666B1 (ko) * 2017-10-17 2019-01-25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가압 플레이트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WO2020213805A1 (ko) * 2019-04-15 2020-10-22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KR102339883B1 (ko) * 2021-07-02 2021-12-15 서우석 누설방지형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082B1 (ko) * 2021-02-15 2022-06-08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441Y1 (ko) 2002-03-14 2002-09-10 강성일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297638Y1 (ko) 2002-07-03 2002-12-12 강성일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JP4774221B2 (ja) * 2005-02-28 2011-09-14 株式会社開伸 内容物押出し容器
KR101207314B1 (ko) * 2010-07-12 2012-12-03 신정욱 화장품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666B1 (ko) * 2017-10-17 2019-01-25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가압 플레이트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CN108861012A (zh) * 2018-08-13 2018-11-23 佛山市觉醒自律智能科技有限公司 挤压装置
WO2020213805A1 (ko) * 2019-04-15 2020-10-22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US11974649B2 (en) 2019-04-15 2024-05-07 Samhwa Co., Ltd Cosmetic container
KR102339883B1 (ko) * 2021-07-02 2021-12-15 서우석 누설방지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651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4980B2 (en) Rotary-push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399651B1 (ko) 하향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KR101508499B1 (ko)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JP5985061B2 (ja) 自動充填及び定量吐出スポイト型容器キャップ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US20210000240A1 (en) Cosmetic container with convenient refill structure
KR101559078B1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101959906B1 (ko) 잔여 내용물의 토출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KR101440010B1 (ko) 다단 나사식 액상화장품용기
RU2225817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жидкости
KR20120077852A (ko) 튜브배출구내 공기역류방지기능을 갖춘 용기
KR101154067B1 (ko) 자동 충전 스포이드
KR20110004036U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KR101399653B1 (ko) 회전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KR20030033438A (ko) 회전압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CN215125164U (zh) 滴管型化妆品容器
KR101151002B1 (ko) 화장품 용기
KR101663206B1 (ko) 디스펜서
KR200398033Y1 (ko) 정량 배출 용기
KR20150044869A (ko) 화장용 튜브용기
US20120048894A1 (en) Hand-operated pump
JP2006036319A (ja) 定量注出器
KR102142999B1 (ko) 회전식 정량 토출 용기
KR101465763B1 (ko)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액체용기
KR20120116260A (ko) 디스펜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