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775A -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775A
KR20130100775A KR1020137006286A KR20137006286A KR20130100775A KR 20130100775 A KR20130100775 A KR 20130100775A KR 1020137006286 A KR1020137006286 A KR 1020137006286A KR 20137006286 A KR20137006286 A KR 20137006286A KR 20130100775 A KR20130100775 A KR 20130100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ic frequency
ack
nack
dtx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3391B1 (ko
Inventor
요시히사 키시야마
카즈아키 타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3010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구성되는 시스템대역을 갖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물리 상향 제어채널에서 피드백 제어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마다의 하향링크 공유채널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복조된 하향링크 공유채널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마다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에서 선택된 특정한 기본 주파수 블록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재송 응답 신호를 맵핑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 처리부를 가지며, 상향링크 제어채널 처리부는, 상향링크 제어채널로부터 복수의 할당 리소스를 선택하고,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위상 편이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 및 채널 선택 정보로 규정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주파수 이용 효율 및 피크 데이터 레이트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나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를 채용함으로써,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베이스로 한 시스템의 특징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것이 수행되고 있다. 이 UMTS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더욱의 주파수 이용 효율 및 피크 데이터 레이트의 향상, 지연의 저감 등을 목적으로서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LTE에서는 W―CDMA와는 다르게, 멀티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회선(하향링크)에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베이스로 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향회선(상향링크)에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베이스로 한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절한 무선리소스로 맵핑되어 이동단말장치로부터 무선기지국장치로 송신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유저 데이터(UE(User Equipment)#1, UE#2)는,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할당된다. 또, 제어정보는, 유저 데이터와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는 PUSCH와 시간 다중되고, 제어정보만을 송신하는 경우는,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할당된다. 이 상향링크에서 송신되는 제어정보에는,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나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의 신호에 대한 재송 응답 신호(ACK/NACK) 등이 포함된다.
PUCCH에 있어서는, 전형적으로는 CQI나 ACK/NACK를 송신하는 경우에서 다른 서브프레임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도 2a, b 참조). PUCCH의 서브프레임 구성은, 1 슬롯(1/2 서브프레임)에 7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또, 1 SC―FDMA 심볼은, 12개의 정보 심볼(서브캐리어)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CQI의 서브프레임 구성(CQI 포맷)에서는,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롯 내의 제2 심볼(#2), 제6 심볼(#6)에 참조신호(RS: Reference Signal)가 다중되고, 다른 심볼(제1 심볼(#1), 제3 심볼(#3)∼제5 심볼(#5), 제7 심볼(#7))에 제어정보(CQI)가 다중된다. 또, ACK/NACK의 서브프레임 구성(ACK/NACK 포맷)에서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롯 내의 제3 심볼(#3)∼제5 심볼(#5)에 참조신호가 다중되고, 다른 심볼(제1 심볼(#1), 제2 심볼(#2), 제6 심볼(#6), 제7 심볼(#7))에 제어정보(ACK/NACK)가 다중된다. 1 서브프레임에 있어서는, 상기 슬롯이 2회 반복되고 있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UCCH는 시스템대역의 양단의 무선리소스에 다중되고, 1 서브프레임 내의 다른 주파수대역을 갖는 2 슬롯 간에 주파수 홉핑(Inter―slot FH)이 적용된다.
비특허문헌 1:3GPP, TR25.912 (V7.1.0), "Feasibility study for Evolved UTRA and UTRAN", Sept. 2006
제3 세대의 시스템(W―CDMA)은, 대개 5MHz의 고정대역을 이용하여, 하향회선에서 최대 2Mbps 정도의 전송 레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LTE의 시스템에서는, 1.4MHz∼20MHz의 가변대역을 이용하여, 하향회선에서 최대 300Mbps 및 상향회선에서 75Mbps 정도의 전송 레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또, UMTS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더욱의 주파수 이용 효율 및 피크 데이터 레이트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LTE 후계의 시스템도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LTE 어드밴스트' 또는 'LTE 인핸스먼트'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이하, 'LTE―A'라 한다).
LTE―A 시스템에서는, 더욱의 주파수 이용 효율 및 피크 스루풋 등의 향상을 목표로 하여, LTE보다도 광대역의 주파수의 할당이 검토되고 있다. 또, LTE―A(예를 들면, Rel. 10)에서는, LTE와의 후방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갖는 것이 하나의 요구조건이 되어 있으며, LTE가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갖는 기본 주파수 블록(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을 복수 갖는 송신대역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하향 CC에서 송신한 데이터 채널에 대한 피드백 제어정보는, 단순하게는 CC수배로 증대하게 된다. 또, 이에 더해, 멀티 셀 협조 송수신 기술이나 LTE보다도 많은 송수신 안테나를 이용한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 등의 LTE―A 특유의 기술이 검토되고 있으며,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제어정보의 증대도 생각된다. 이 때문에, 피드백 제어정보의 정보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상향링크 채널에서의 피드백 제어정보의 송신방법의 검토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구성되는 시스템대역을 갖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에서 피드백 제어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장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구성되는 시스템대역에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마다의 하향링크 공유채널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복조된 하향링크 공유채널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마다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에서 선택된 특정한 기본 주파수 블록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재송 응답 신호를 맵핑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 처리부를 가지며, 상향링크 제어채널 처리부는, 상향링크 제어채널로부터 복수의 할당 리소스를 선택하고,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위상 편이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 및 채널 선택 정보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위상 편이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에 더해 채널 선택 정보로 규정하는 추가정보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상향링크 제어채널에서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피드백 제어정보를 기존의 PUCCH 구성을 이용하면서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향링크 제어채널에서 피드백 제어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상향링크의 신호를 맵핑하는 채널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물리 상향 제어채널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특정한 기본 주파수 블록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LTE(Rel. 8)의 Format 1a/1b에서 규정된 재송 응답 신호의 맵핑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송 응답 신호의 송신에 적용하는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송 응답 신호의 송신에 적용하는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송 응답 신호의 송신에 적용하는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송 응답 신호의 송신에 적용하는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기지국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단말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송 응답 신호의 송신에 적용하는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송 응답 신호의 송신에 적용하는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송 응답 신호의 송신에 적용하는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향 CC의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의 신호에 대해서는, 그 피드백 제어정보인 재송 응답 신호(ACK/NACK)가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에서 송신된다. 재송 응답 신호는, 송신신호가 적절하게 수신된 것을 나타내는 긍정응답(ACK: ACKnowledgement) 또는 그것이 적절하게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부정응답(NACK: Negative ACKnowledgement)으로 표현된다.
또, LTE―A 시스템에서는, 더욱의 주파수 이용 효율, 피크 스루풋 등의 향상을 목표로, LTE보다도 광대역인 주파수의 할당이 검토되고 있으며, LTE가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갖는 기본 주파수 블록(CC)을 복수 갖는 송신대역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하향 CC로부터 송신된 PDSCH에 대한 피드백 제어정보인 재송 응답 신호도 복수의 하향 CC에 대해 송신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의 피드백 제어정보의 송신방법으로서는,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여기서는, CC#1, CC#2)마다의 신호에 기초하여, 각 컴포넌트 캐리어의 피드백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는 PUSCH 신호가 없는 경우에, 유저 특유(UE―specific)의 컴포넌트 캐리어(여기서는, CC#1)의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로 맵핑하여 송신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도 3 참조).
또, 상술한 바와 같이, PUCCH에서 송신되는 수신채널 품질정보(CQI) 및 재송 응답 신호(ACK/NACK)는 모두, 12 서브캐리어 대역에서 송신된다. 재송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1 슬롯 내의 7 SC―FDMA 심볼 중, 3 SC―FDMA 심볼이 RS에 이용된다. 1 SC―FDMA 심볼 내에서는 12의 순회 시프트에 의한 직교 CDMA가 규정되어 있으며, 또한, 3 SC―FDMA 심볼에 걸쳐, 시간영역의 직교 부호의 할당을 병용함으로써, 최대 12×3=36 채널을 다중(리소스에 할당)할 수 있다.
그런데, LTE(Rel. 8)에서는,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의 신호에 대한 ACK/NACK(Format 1a/1b)의 통지가 규정되어 있으며(도 4 참조), 이하의 복수 상태를 통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1 코드워드 전송(랭크 1)의 경우는, 'ACK', 'NACK', 'DTX(Discontinuous reception)'의 3개의 상태이며(도 4a 참조), 2 코드워드 전송(랭크 2)의 경우는 'ACK, ACK', 'ACK, NACK', 'NACK, ACK', 'NACK, NACK', 'DTX'의 5개의 상태이다(도 4b 참조).
코드워드는, 채널 부호화(오류 정정 부호화)의 부호화 단위를 지칭하고 있으며, MIMO 다중 전송 적용시는 1 또는 복수 코드워드의 전송을 수행한다. LTE에서는 싱글 유저 MIMO에서는 최대 2 코드워드를 이용한다. 2 레이어 송신의 경우는, 각 레이어가 독립한 코드워드가 되고, 4 레이어 송신의 경우는 2 레이어마다 1 코드워드가 된다.
도 4에 있어서, 'ACK'은 송신 성공, 'NACK'는 오류가 검출된 것, 'DTX'는 데이터가 인식되지 않은 것(응답없음)을 의미한다. DTX는, 'ACK도 NACK도 이동단말장치로부터 통지되지 않은 것'이라는 판정결과이며, 이는 이동단말장치가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할 수 없었던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이동단말장치는, 자국 앞으로 PDSCH가 송신된 것을 검지하지 않기 때문에, 결과로서 ACK도 NACK도 송신하지 않게 된다. 한편, 무선기지국장치는, ACK를 수신하면 다음의 신규 데이터를 송신하지만, NACK나, 응답이 없는 DTX 상태의 경우는, 송신한 데이터의 재송신을 수행하도록 재송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무선기지국장치는, 상향링크에 있어서 ACK/NACK에 할당한 리소스에서의 수신전력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DTX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도 4의 맵핑 테이블에 있어서, '0'은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이동단말장치가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1', '―1', 'j', '―j'는 각각 소정의 위상 상태(비트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도 4a에 있어서, "1", "―1"은 각각 '0', '1'에 상당하고, 1 비트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도 4b에 있어서, "1", "―1", "j", "―j"는, 각각 '00', '11', '10', '01'의 데이터에 상당하고, 2 비트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ACK/NACK(Format 1a/1b)에 있어서는, 최대 2 비트까지의 송신이 가능해져 있다.
그러나, 복수 CC를 이용하여 PDSCH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유저단말(UE)이 CC마다 상기 3 상태(1 코드워드) 또는 5 상태(2 코드워드)를, 특정한 CC(예를 들면, CC#1)의 PUCCH에서 통지하고자 하면, 재송 응답 신호의 비트수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복수의 CC의 하향링크 공유채널의 신호에 대한 재송 응답 신호를, 특정한 CC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집약하여 송신하는 경우에, 해당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있어서 복수의 할당 리소스(채널)를 선택하고, 복수의 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각 상태를, 위상 편이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 및 할당 리소스의 선택위치인 리소스 선택 정보로 규정하는 것을 착안하여, 본원 발명을 완성시켰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LTE―A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나, 본 발명은 LTE―A에 적용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일체로 하여 광대역화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상향링크에서 상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통신시스템이라면, 본 발명을 어떠한 통신시스템에 적용해도 좋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향 CC의 수가 2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향 CC의 수(또는 상향 CC의 수)가 2개(또는 1개)보다 많은 경우라도 적용할 수 있다. 또, 할당 리소스 수가 2개 또는 4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할당 리소스 수는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맵핑하는 피드백 제어정보로서, 재송 응답 신호(ACK/NACK/DTX)에 대해 설명하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도 5는, 제1 기본 주파수 블록(PCC: Primary Component Carrie) 및 제2 기본 주파수 블록(SCC: Secondly Component Carrie)으로 구성되는 시스템대역에 있어서, PCC와 S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규정한 맵핑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이동단말장치는,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재송 응답 신호를 맵핑하고, 무선통신장치에 대해 송신한다.
도 5a는, PCC 및 SCC에 공간 다중(spatial multiplexing)의 적용이 없는 경우(랭크 1)에 있어서, 재송 응답 신호의 송신에 대한 할당 리소스 수가 2개인 경우의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1 CC당 3 상태(ACK, NACK, DTX)가 규정되어 있으며, PCC와 SCC의 상태의 조합으로서 9가지 생각할 수 있다.
도 5a에 있어서, P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3 상태 'ACK', 'NACK', 'DTX'는, 위상 편이 변조(여기서는,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로 규정되고, S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3 상태 'ACK', 'NACK', 'DTX'는, 할당된 2개의 리소스(Ch1, Ch2) 중, 어느 하나의 리소스를 선택했는지의 리소스 선택 정보('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 정보'라고도 한다)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할당 리소스 수가 2개인 경우에는, 리소스 선택 정보로 1 비트의 정보를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와 조합하면 3 비트의 정보를 서포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1 코드워드 전송의 경우에, P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3 상태 'DTX', 'NACK', 'ACK'에 대해, 각각 개별로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를 할당하여 통지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DTX'에 "j(10)", 'NACK'에 "1(00)", 'ACK'에 "―1(11)"의 정보 비트를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PCC의 'DTX'에 대해 단독으로 정보 비트를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DTX' 상태인 것을 개별로 통지(Explicit DTX signaling)할 수 있다.
또한, PCC와 SCC의 쌍방이 'DTX'인 경우에는, 모든 할당 리소스를 "0"으로 하고,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 S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에 대해서는, 1 비트의 리소스 선택 정보로 규정한다. 여기서는, 리소스 선택 정보에 의해 'DTX' 또는 'NACK'의 상태와, 'ACK'의 2 상태가 규정되어 있으며, 개별로 통지 가능한 상태 수가 저감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할당 리소스 중, Ch1를 선택한 경우(Ch1에 비트 정보를 맵핑하여 송신하는 경우)에는, SCC의 상태가 'DTX' 또는 'NACK'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Ch2를 선택한 경우(Ch2에 비트 정보를 맵핑하여 송신하는 경우)에는, 'ACK'의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SCC의 상태에 대해서는, 3 상태에 대해 각각 개별로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ACK'의 상태를 구별할 수 있도록 리소스 선택 정보를 규정하고, 'DTX'와 'NACK'의 상태를 한꺼번에 규정함으로써 보다 비트수를 절약하고 있다.
재송 응답 신호가 'DTX' 또는 'NACK'인 경우에는, 모두 무선기지국장치는 송신한 데이터의 재송신을 수행하도록 재송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DTX와 NACK의 구별을 할 수 없어도 영향은 작다. 한편으로, 재송 응답 신호가 'ACK'인 경우에는, 무선기지국장치가 다음의 신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ACK의 상태를 우선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할당 리소스 수가 2개인(리소스 선택으로 1 비트의 정보를 추가한다) 경우에는, SCC에 있어서 'ACK' 상태를 우선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2개의 할당 리소스에 대해, 위상 편이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로 규정함과 함께 리소스 선택 정보로 규정함으로써, 3 비트의 정보를 서포트할 수 있다. 또, 2개의 할당 리소스의 쌍방에 각각 비트 정보를 할당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일방의 리소스에만 비트 정보를 할당함으로써, 싱글 캐리어 특성을 보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2개의 CC 중, 이동단말장치가 우선적으로 사용(복수의 CC의 재송 응답 신호를 집약)하는 CC(UE―specific CC)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해당 우선시키는 CC(여기서는, PCC)에 대해,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로 규정하고, 다른 CC(여기서는, SCC)에 대해, 리소스 선택 정보에 의해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P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에 대해 많은 비트수를 서포트할 수 있기 때문에, P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상세히 규정하여 통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a에 도시하는 맵핑 테이블에 있어서는, PCC에 대해 'DTX' 상태인 것을 개별로 통지(Explicit DTX signaling)할 수 있도록 서포트할 수 있다.
도 5b는, PCC 및 SCC에 공간 다중(spatial multiplexing)이 적용되는 경우(랭크 2)에 있어서, 재송 응답 신호의 송신에 대한 할당 리소스 수가 2개인 경우의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에 있어서도, PCC의 상태를 위상 편이 변조(여기서는,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로 규정하고, SCC의 상태를 리소스 선택 정보에 의해 규정하고 있다.
2 코드워드 전송의 경우에는, PCC의 각 레이어의 상태에 대해, 'DTX'에는 단독으로 정보 비트를 할당하지 않도록 하여, 4 상태 'ACK, ACK', 'ACK, NACK', 'NACK, ACK', 'NACK, NACK/DTX'에 대해, 개별로 비트 정보를 할당하여 통지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어 1, 레이어 2가, 'ACK, ACK'에는, "―1", 'ACK, NACK'에는 "j", 'NACK, ACK'에는 "―j", 'NACK, NACK' 또는 'DTX'에는 "1"의 비트 정보가 규정되어 있다. 즉, 2 코드워드의 경우, PCC의 'NACK, NACK' 또는 'DTX'의 상태에 대해서는, 하나의 정보 비트 "1"이 할당되어 있으며 개별로 통지 가능한 상태 수가 저감되어 있다. 이와 같이, 2 코드워드 전송의 경우는, PCC의 DTX에는 단독으로 정보 비트를 할당하지 않도록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맵핑 테이블에 있어서는, PCC의 DTX는 1 코드워드의 경우만 단독으로 부호화하여 통지하지만, 2 코드워드의 경우에는 DTX 단독의 통지를 수행하지 않는 구성이 되어 있다.
또, SCC의 각 레이어의 상태에 대해, 2 코드워드 전송의 경우에는, 1 비트의 리소스 선택 정보로 'DTX', 'NACK, NACK', 'NACK, ACK' 또는 'ACK, NACK'의 상태와, 'ACK, ACK'의 2 상태를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DTX 또는 NACK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단독으로 규정하지 않고 개별로 통지 가능한 상태 수를 저감하고, 'ACK, ACK'를 우선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할당 리소스 중, Ch1을 선택한 경우에는, SCC의 상태가 'DTX', 'NACK, NACK', 'NACK, ACK' 또는 'ACK, NACK'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Ch2를 선택한 경우에는, 'ACK, ACK'의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SCC의 상태에 대해서는, 공간 밴드링을 적용하여, 2 코드워드 전송시에는 2 레이어 모두 ACK였던 경우만 ACK를 되돌리고, 그 이외의 경우는 NACK를 되돌리도록 각 상태를 규정할 수 있다.
또, 2 코드워드 전송의 경우에 있어서도,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P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로 규정하고, S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리소스 선택 정보에 의해 규정함과 함께, 'ACK, ACK'를 구별할 수 있도록 비트 정보 및 리소스 선택 정보를 규정함으로써, 비트수의 절약을 도모함과 동시에 피드백 제어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할당 리소스 수가 4개인 경우의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a는, PCC 및 SCC에 공간 다중의 적용이 없는 경우(랭크 1), 도 6b는 PCC 및 SCC에 공간 다중의 적용이 있는 경우(랭크 2)의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 b에서는, P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 'ACK', 'NACK', 'DTX'를 위상 편이 변조(여기서는,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로 규정하고, S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 'ACK', 'NACK', 'DTX'를 할당된 4개의 리소스(Ch1∼Ch4) 중에서, 어느 리소스를 선택했는지의 리소스 선택 정보로 규정하고 있다. 할당 리소스 수가 4개인 경우에는, 리소스 선택 정보로 2 비트의 정보를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와 조합하면 4 비트의 정보를 서포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코드워드 전송의 경우(도 6a 참조)에는, PCC의 3 상태 'DTX', 'NACK', 'ACK'에 대해, 각각 개별로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를 할당하여 통지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DTX'에는 "j(10)", 'NACK'에는 "1(00)", 'ACK'에는 "―1(11)"의 정보 비트를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DTX'에 대해 단독으로 정보 비트를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DTX' 상태인 것의 통지(Explicit DTX signaling)가 가능해져 있다.
또, SCC의 상태에 대해서도, 2 비트의 리소스 선택 정보로 'DTX', 'NACK', 'ACK'의 상태를 규정할 수 있기 때문에, 'DTX', 'NACK', 'ACK'에 대해, 각각 개별로 리소스 선택 정보를 할당하여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할당 리소스(Ch1∼Ch4) 중, Ch1을 선택한 경우에는 SCC의 상태가 'DTX'인 경우이고, Ch2를 선택한 경우에는 SCC의 상태가 'NACK'인 상태이며, Ch3을 선택한 경우에는 'ACK'인 상태인 것을 규정할 수 있다. 이 경우, SCC의 'DTX'에 대해서도 단독으로 정보 비트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1 코드워드 전송의 경우(도 6a 참조)에는, Ch4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2 코드워드 전송의 경우(도 6b 참조)에는, PCC의 각 레이어의 상태에 대해, 'DTX'에는 단독으로 정보 비트를 할당하지 않도록 하여, 4 상태 'ACK, ACK'/'ACK, NACK'/'NACK, ACK'/'NACK, NACK/DTX'에 대해, 개별로 비트 정보를 할당하여 통지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PCC의 레이어 1, 레이어 2가, 'ACK, ACK'에는, "―1", 'ACK, NACK'에는 "j", 'NACK, ACK'에는 "―j", 'NACK, NACK' 또는 'DTX'에는 "1"의 비트 정보가 규정되어 있다. 즉, 2 코드워드의 경우, 'NACK, NACK' 또는 'DTX'의 상태에 대해서는, 하나의 정보 비트 "1"을 할당함으로써, 개별로 통지 가능한 상태 수를 저감하여 비트수의 절약을 도모하고 있다.
또, 할당 리소스 수가 4개인 경우에는 SCC의 각 레이어의 상태에 대해서도, 2 비트의 리소스 선택 정보로 서포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PCC와 동일하게 SCC의 각 레이어의 상태에 대해, 'DTX'에는 단독으로 정보 비트를 할당하지 않도록 하여, 4 상태 'ACK, ACK', 'ACK, NACK', 'NACK, ACK', 'NACK, NACK/DTX'에 대해, 개별로 리소스 선택 정보를 할당하여 통지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할당 리소스 중, Ch1을 선택한 경우에는 SCC의 상태가 'DTX' 또는 'NACK, NACK'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Ch2를 선택한 경우에는 'NACK, ACK'의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Ch3을 선택한 경우에는 'ACK, NACK'의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Ch4를 선택한 경우에는 'ACK, ACK'의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SCC의 상태에 대해서는, 적어도 각 레이어 중 어느 것이 'ACK' 상태인 경우에 구별할 수 있도록, 리소스 선택 정보를 규정하고, 'DTX' 또는 'NACK, NACK'의 상태를 한꺼번에 규정하여 비트수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맵핑 테이블과 다른 맵핑 테이블에 대해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도 8에서는, SCC가 DTX인 경우에 PCC가 LTE(Rel. 8)의 ACK/NACK(Format 1a/1b)의 맵핑 테이블과 동가(同價)가 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PCC 또는 SCC에 대해,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DTX' 상태인 것이 개별로 통지(Explicit DTX signaling) 가능해지도록, PCC의 상태 및 SCC의 상태에 대해, 각각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 및 리소스 선택 정보를 조합하여 규정하고 있다.
도 7은 할당 리소스 수가 2개인 경우의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7a는, PCC에 공간 다중의 적용이 없는 경우(랭크 1), 도 7b는 PCC에 공간 다중의 적용이 있는 경우(랭크 2)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a, b에 있어서는, SCC의 상태에 대해, 랭크 1과 랭크 2의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PCC가 1 코드워드 전송의 경우(도 7a 참조)에는, P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3 상태 'DTX', 'NACK', 'ACK'에 대해, S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각각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 및 리소스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는, SCC가 DTX의 경우에 통지되는 정보가 단독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면, SCC가 'DTX'의 상태인 경우에, PCC의 'NACK'에는 "1", 'ACK'에는 "―1"의 정보 비트를 할당함과 동시에, Ch1을 선택한다(해당 정보 비트를 Ch1로 맵핑한다). 한편, SCC가 'DTX' 이외의 상태인 경우에, PCC의 'NACK'에는 "―j", 'ACK'에는 "j"의 정보 비트를 할당하여 규정한다. 또, PCC의 상태가 'DTX'인 경우에는, SCC의 상태에 따라, "1"의 정보 비트(SCC에 적어도 'NACK'가 포함되는 경우), "―1"(SCC가 'ACK'만인 경우)의 정보 비트를 할당함과 동시에, Ch2를 선택한다(해당 정보 비트를 Ch2로 맵핑한다). 또한, PCC와 SCC의 쌍방이 'DTX'인 경우에는, 모든 할당 리소스를 "0"으로 한다.
이와 같이, PCC의 3 상태 'DTX', 'NACK', 'ACK'에 대해, SCC의 상태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각각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 및 리소스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규정하고, SCC가 DTX인 경우에 통지되는 정보가 단독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설정함으로써, PCC 및 S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보다 상세히 규정하여 통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도 7a에 도시하는 맵핑 테이블을 규정함으로써, SCC가 DTX인 경우에, LTE(Rel. 8)의 ACK/NACK(Format 1a)의 맵핑 테이블(상기 도 4a 참조)과 동가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PCC에 대한 맵핑 테이블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유무에 상관없이 공통화할 수 있으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유무를 전환하는 처리중에 있어서의 통신의 순단(瞬斷)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CC 또는 SCC가 DTX의 상태인 경우의 통지정보를 각각 다른 통지정보와 구별하여 단독으로 규정함으로써,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DTX' 상태인 것의 통지(Explicit DTX signaling)가 가능해진다.
PCC가 2 코드워드 전송의 경우(도 7b 참조)는, PCC의 4 상태 'NACK, NACK' 'NACK, ACK', 'ACK, NACK', 'ACK, ACK'에 대해, SCC의 상태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각각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 및 리소스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규정한다.
구체적으로는, PCC의 4 상태 'NACK, NACK' 'NACK, ACK', 'ACK, NACK', 'ACK, ACK'에 대해, SCC가 'DTX' 또는 'NACK'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각각 "1", "―j", "j", "―1"을 할당함과 동시에, Ch1을 선택한다. 한편, SCC가 'ACK'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Ch2를 선택함과 동시에, PCC가 'NACK'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j", 'ACK, ACK'인 경우에는 "j"를 할당하여 규정한다.
PCC가 'DTX'인 경우에는, 상기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SCC의 상태에 따라 "1"의 정보 비트(SCC에 적어도 'NACK'가 포함되는 경우), "―1"(SCC가 'ACK'만인 경우)의 정보 비트가 할당됨과 동시에, Ch2가 선택된다. 그 때문에, PCC가 랭크 2인 경우라도, PCC의 'DTX'에 대해 단독으로 정보 비트를 할당할 수 있으며,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DTX' 상태인 것을 통지(Explicit DTX signaling)할 수 있다. 또,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맵핑 테이블을 규정함으로써, SCC가 DTX인 경우에, LTE(Rel. 8)의 ACK/NACK(Format 1b)의 맵핑 테이블(상기 도 4b 참조)과 동가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PCC에 대한 맵핑 테이블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유무에 상관없이 공통화할 수 있으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유무를 전환하는 처리중에 있어서의 통신의 순단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할당 리소스 수가 4개인 경우의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도 8에 도시한다.
도 8a는, PCC에 공간 다중의 적용이 없는 경우(랭크 1), 도 8b는 PCC에 공간 다중의 적용이 있는 경우(랭크 2)의 맵핑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8a, b에 있어서는, SCC에 대해, 랭크 1과 랭크 2의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에 있어서, SCC가 'DTX'의 상태인 경우에, PCC의 'NACK'에는 "1", 'ACK'에는 "―1"의 정보 비트를 할당함과 동시에, Ch1을 선택한다. 한편, SCC가 'DTX' 이외의 상태인 경우에, PCC의 'NACK'에는 "―j", 'ACK'에는 "j"의 정보 비트를 할당하여 규정한다. 또, PCC의 상태가 'DTX'인 경우에는, SCC의 상태에 따라, "1"의 정보 비트(SCC에 적어도 'NACK'가 포함되는 경우), "―1"(SCC가 'ACK'만인 경우)의 정보 비트를 할당함과 동시에, Ch1 이외의 Ch를 선택한다. 또한, PCC와 SCC의 쌍방이 'DTX'인 경우에는, 모든 할당 리소스를 "0"으로 한다. 도 8a에 도시하는 맵핑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PCC 또는 SCC가 DTX의 상태인 경우의 통지정보를 각각 다른 통지정보와 구별하여 단독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PCC 및 SCC의 'DTX' 상태인 것을 개별로 통지(Explicit DTX signaling)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b에 있어서, PCC의 4 상태 'NACK, NACK' 'NACK, ACK', 'ACK, NACK', 'ACK, ACK'에 대해, SCC가 'DTX' 또는 'NACK'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각 "1", "―j", "j", "―1"을 할당함과 동시에, Ch1을 선택한다. 한편, SCC가 'ACK'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Ch2를 선택함과 동시에, PCC가 'NACK'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j", 'ACK, ACK'인 경우에는 "j"를 할당하여 규정한다. 또, SCC가 'NACK, ACK'의 경우에는 Ch3을 선택하고, SCC가 'ACK, NACK'인 경우에는 Ch4를 선택함으로써 각 상태를 규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맵핑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PCC 및 S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상세히 규정하여 통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SCC가 DTX인 경우에, LTE(Rel. 8)의 ACK/NACK(Format 1a/1b)의 맵핑 테이블(상기 도 4 참조)과 동가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맵핑 테이블에 있어서, 할당 리소스 수가 2개 또는 4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할당 리소스 수는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 할당 리소스 수는 다양한 관점에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할당 리소스 수의 결정방법의 일 예로서, 코드워드 수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CC와 SCC의 쌍방이 1 코드워드인 경우에 2개의 리소스를 할당(할당 리소스 수 2개), PCC와 SCC의 일방이 1 코드워드, 타방이 2 코드워드인 경우에 3개의 리소스를 할당(할당 리소스 수 3개), PCC와 SCC의 쌍방이 2 코드워드인 경우에 4개의 리소스를 할당(할당 리소스 수 4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드워드 수에 따라 할당할 리소스 수를 결정함으로써, 할당하는 리소스 수를 최저한으로 줄일 수 있다.
이하에, 코드워드 수에 따라 할당 리소스 수가 제어된 맵핑 테이블의 일 예에 대해, 도 12∼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2는 PCC 및 SCC의 쌍방이 1 코드워드인 경우(할당 리소스 수 2개)를 나타내고, 도 13은 PCC와 SCC의 일방이 1 코드워드, 타방이 2 코드워드인 경우(할당 리소스 수 3개)를 나타내고, 도 14는 PCC 및 SCC의 쌍방이 2 코드워드인 경우(할당 리소스 수 4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도 14에서는, SCC가 DTX인 경우에 PCC가 LTE(Rel. 8)의 ACK/NACK(Format 1a/1b)의 맵핑 테이블과 동가가 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적어도 PCC가 1 코드워드인 경우에,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PCC가 'DTX' 상태인 것이 개별로 통지(Explicit DTX signaling) 가능해지도록, PCC의 상태 및 SCC의 상태에 대해, 각각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 및 리소스 선택 정보를 조합하여 규정하고 있다.
PCC 및 SCC가 1 코드워드 전송의 경우(도 12 참조)는, 2개의 리소스를 할당하고, P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 및 S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와 리소스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규정한다. 또, PCC가 DTX인 경우에 통지되는 정보가 단독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면, PCC가 'DTX'의 상태인 경우에, SCC의 'NACK'에는 "1", 'ACK'에는 "―1"의 정보 비트를 할당함과 동시에, Ch2를 선택한다(해당 정보 비트를 Ch2로 맵핑한다). 또, SCC가 'DTX' 또는 'NACK'의 상태인 경우에, PCC의 'NACK'에는 "1", 'ACK'에는 "―1"의 정보 비트를 할당함과 동시에, Ch1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SCC의 'DTX' 또는 'NACK'의 상태에 대해 각각 개별로 정보 비트를 할당하지 않고 규정함으로써 개별로 통지 가능한 상태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SCC가 'ACK'의 상태이고 PCC가 'DTX'가 아닌 경우에는, "j"의 정보 비트를 할당함과 동시에, PCC의 'NACK'에 대해 Ch1을 선택하고, PCC의 'ACK'에 대해 Ch2를 선택한다. 또한, PCC와 SCC의 쌍방이 'DTX'인 경우에는, 모든 할당 리소스를 "0"으로 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맵핑 테이블을 규정함으로써, SCC가 DTX인 경우에, LTE(Rel. 8)의 ACK/NACK(Format 1a)의 맵핑 테이블(상기 도 4a 참조)과 동가로 할 수 있다. 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CC가 DTX의 상태인 경우의 통지정보를 다른 통지정보와 구별하여 단독으로 규정함으로써, 무선기지국장치에 대해 'DTX' 상태인 것을 단독으로 통지(Explicit DTX signaling)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PCC와 SCC의 일방이 1 코드워드, 타방이 2 코드워드인 경우(도 13 참조)는, 3개의 리소스를 할당 P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 및 S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와 리소스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규정한다.
예를 들면, PCC가 2 코드워드 전송, SCC가 1 코드워드 전송의 경우(도 13a 참조)에 있어서, PCC의 4 상태 'NACK, NACK' 'NACK, ACK', 'ACK, NACK', 'ACK, ACK'에 대해, SCC가 'DTX'인 경우에는, 각각 "1", "―j", "j", "―1"을 할당함과 동시에, Ch1을 선택한다. 이로 인해, SCC가 DTX인 경우에, LTE(Rel. 8)의 ACK/NACK(Format 2a)의 맵핑 테이블(상기 도 4b 참조)과 동가로 할 수 있다.
또, PCC가 'DTX' 또는 'NACK'의 상태인 경우에, SCC의 'NACK'에 대해 "1", 'ACK'에 대해 "―1"의 정보 비트를 할당함과 동시에, Ch2를 선택한다. 즉, PCC의 'DTX' 또는 'NACK'의 상태에 대해 각각 개별로 규정하지 않고 통지 가능한 상태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PCC의 'NACK, ACK', 'ACK, NACK'에 대해, 각각 "―j", "j"를 할당함과 동시에, SCC의 'NACK'에는 Ch3을 선택하고, SCC의 'ACK'에는 Ch2를 선택한다. 또, SCC가 'DTX' 이외의 경우에, PCC의 'ACK, ACK'에 대해, Ch3을 선택함과 동시에, SCC의 'NACK'에 대해 "―1"을 할당하고, 'ACK'에 대해 "1"을 할당한다.
PCC가 1 코드워드 전송, SCC가 2 코드워드 전송의 경우(도 13b 참조), PCC가 'DTX'의 상태인 경우에 특정한 Ch(여기서는, Ch2)을 선택하고, 그 이외의 PCC의 상태에 대해서는 다른 Ch을 선택한다. 이로 인해, PCC가 DTX의 상태인 경우의 통지정보를 다른 통지정보와 구별하여 단독으로 규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PCC가 'DTX'의 상태인 경우에 Ch2를 선택함과 동시에, SCC이 3 상태 'NACK, ACK', 'ACK, NACK', 'ACK, ACK'에 대해, 각각 "―j", "j", "―1"을 할당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 PCC가 'DTX'의 상태이며, SCC의 'NACK, NACK', 'DTX'인 경우에는, 모든 할당 리소스를 "0"으로 하여,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 SCC가 'DTX' 또는 'NACK'의 상태인 경우에, PCC의 'NACK'에 대해 "1", 'ACK'에 대해 "―1"의 정보 비트를 할당함과 동시에, Ch1을 선택함으로써 개별로 통지 가능한 상태 수를 저감하고 있다. 또, SCC가 'NACK, ACK', 'ACK, NACK'의 상태인 경우에는, 각각 "―j", "j"의 정보 비트를 할당함과 동시에, PCC의 'NACK'에 대해 Ch3을 선택하고, 'ACK'에 대해 Ch1을 선택한다. 또, SCC의 'ACK, ACK'의 상태인 경우에, Ch3을 선택함과 동시에, PCC의 'NACK'에 대해 "―1"을 할당하고, 'ACK'에 대해 "1"을 할당한다.
PCC 및 SCC의 쌍방이 2 코드워드인 경우(도 14 참조)는, 4개의 리소스를 할당하고, P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 및 SCC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와 리소스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규정한다.
예를 들면, SCC가 'DTX' 또는 'NACK'의 상태인 경우에 Ch1을 선택하고, PCC의 4 상태 'NACK, NACK' 'NACK, ACK', 'ACK, NACK', 'ACK, ACK'에 대해, 각각 "1", "―j", "j", "―1"을 할당한다. 이로 인해, SCC가 DTX인 경우에, LTE(Rel. 8)의 ACK/NACK(Format 2a)의 맵핑 테이블(상기 도 4b 참조)과 동가로 할 수 있다.
또, SCC가 'DTX' 또는 'NACK, NACK' 이외의 경우에, PCC의 'DTX', 'NACK, NACK'에 대해 Ch2를 선택함과 동시에, SCC의 'NACK, ACK', 'ACK, NACK', 'ACK, ACK'에 대해, 각각 "―j", "j", "―1"을 할당함으로써 개별로 통지 가능한 상태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SCC가 'ACK, ACK' 이외의 경우에, PCC의 'NACK, ACK', 'ACK, NACK', 'ACK, ACK'에 대해, 각각, "―j", "j", "―1"을 할당함과 동시에, SCC가 'NACK, ACK'인 경우에는 Ch3을 선택하고, SCC가 'ACK, NACK'의 경우에는 Ch4를 선택한다. 또, PCC가 'DTX' 또는 'NACK, NACK' 이외의 경우에, SCC의 'ACK, ACK'에 대해, "1"을 할당하고, PCC의 'NACK, ACK'에 대해 Ch4를 선택하고, PCC의 'ACK, NACK'에 대해 Ch3을 선택하고, PCC의 'ACK, ACK'에 대해 Ch2를 선택한다.
또한, 도 12∼도 14에서 도시한 맵핑 테이블은 일 예이며, 본원 발명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맵핑 테이블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 코드워드 수와 할당 리소스 수의 관계는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PCC와 SCC의 쌍방이 1 코드워드인 경우에 4개의 리소스를 할당해도 좋으며(도 6 참조), PCC의 SCC의 일방이 1 코드워드, 타방이 2 코드워드인 경우에 2개 또는 4개의 리소스를 할당해도 좋다(도 7, 도 8 참조).
이하에, 상기 실시형태에 도시한 무선통신방법을 적용하는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기지국장치 등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LTE―A 방식의 시스템(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무선기지국 및 이동단말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9를 참조하면서, 이동단말장치(100) 및 무선기지국장치(200)를 갖는 이동통신시스템(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단말장치(100) 및 무선기지국장치(200)를 갖는 이동통신시스템(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이동통신시스템(10)은, 예를 들면, LTE 시스템이 포함되는 시스템이다. 또, 이 이동통신시스템(10)은, IMT―Advanced라 불려도 좋으며, 4G라 불려도 좋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시스템(10)은, 무선기지국장치(200)와, 이 무선기지국장치(200)와 통신하는 복수의 이동단말장치(100(1001, 1002, 1003, … 100n, n은 n>0의 정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무선기지국장치(200)는, 코어 네트워크(40)와 접속된다. 이동단말장치(100)는, 셀(50)에 있어서 무선기지국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40)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동통신시스템(10)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A가,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가 적용된다.
OFDMA는,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캐리어로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SC―FDMA는, 단말마다 연속한 대역으로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멀티 액세스를 실현한다.
여기서,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채널에 대해 설명한다.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이동단말장치(100)의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는 PDSCH, 및 각 이동단말장치로 PDSCH에 있어서의 RB의 할당정보, 데이터 변조방식·채널 부호화율, 재송 관련 정보 등의 L1/L2 제어정보를 통지하는 PDCCH 등이 이용된다. 또, 채널 추정, 수신품질 측정 등에 이용되는 참조신호가 이들의 채널과 함께 송신된다.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이동단말장치(100)의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는 PUSCH, 및 하향 주파수 스케줄링을 위한 채널품질정보(CQI) 보고, 하향 송신 데이터에 대한 ACK/NACK 등의 L1/L2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PUCCH 등이 이용된다. 또, 채널 추정에 이용되는 복조용 참조신호나 채널품질 측정에 이용되는 채널품질 측정용 참조신호가 이들의 채널과 함께 송신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맵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신을 수행하는 이동단말장치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동단말장치로부터 상향링크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가 송신되는 경우에, CAZAC 부호 계열의 순회 시프트를 이용하여 복수 유저 간을 직교 다중하고, 피드백 제어정보인 재송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2개의 CC로부터 수신한 하향링크 공유채널에 대한 재송 응답 신호를 규정하여 송신하는 경우를 나타내나, CC의 수나 피드백 제어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하는 이동단말장치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부는, OFDMA 신호를 복조하는 OFDM 신호 복조부(1401)와, 하향링크 신호에 기초하여 ACK/NACK/DTX를 판정하는 ACK/NACK/DTX 판정부(1402)를 갖고 있다. 송신부는, 제어정보 송신채널 선택부(1201)와,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 처리부(1000)와,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 처리부(1100)와, SRS 처리부(1300)와, 채널 다중부(1202)와, IFFT부(1203)와, CP 부여부(1204)를 갖고 있다.
OFDM 신호 복조부(1401)는, 하향 OFDM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즉, 하향 OFDM 신호로부터 CP를 제거하고, 고속 푸리에 변환하고, BCH 신호 혹은 하향 제어신호가 할당된 서브캐리어를 취출하고, 데이터 복조한다. 복수의 CC로부터 하향 OFDM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CC마다 데이터 복조한다. OFDM 신호 복조부(1401)는, 데이터 복조 후의 하향 신호를 ACK/NACK/DTX 판정부(1402)로 출력한다.
ACK/NACK/DTX 판정부(1402)는, 수신한 하향링크 공유채널 신호(PDSCH 신호)가 오류없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하향링크 공유채널 신호가 오류없이 수신되어 있으면 ACK, 오류가 검출되면 NACK, 하향링크 공유채널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DTX의 각 상태를 판정결과로서 출력한다. 무선기지국장치와의 통신에 복수 CC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는, CC마다 하향링크 공유채널 신호가 오류없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 ACK/NACK/DTX 판정부(1402)는, 코드워드마다 상기 3 상태를 판정한다. 2 코드워드 전송시는 코드워드마다 상기 3 상태를 판정한다. ACK/NACK/DTX 판정부(1402)는, 판정결과를 송신부(여기서는, 제어정보 송신채널 선택부(1201))로 출력한다.
제어정보 송신채널 선택부(1201)는, 피드백 제어정보인 재송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채널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에 포함시켜 송신할지,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에서 송신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송신시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USCH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상향링크 공유채널 처리부(1000)로 출력하고, PUSCH에 재송 응답 신호를 맵핑하여 송신한다. 한편,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USCH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상향링크 제어채널 처리부(1100)로 출력하고, PUCCH에 재송 응답 신호를 맵핑하여 송신한다.
상향링크 공유채널 처리부(1000)는, ACK/NACK/DTX 판정부(1402)의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재송 응답 신호의 비트를 결정하는 제어정보 비트 결정부(1006)와, ACK/NACK 비트 계열을 오류 정정 부호화하는 채널 부호화부(1007),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 계열을 오류 정정 부호화하는 채널 부호화부(1001)와, 부호화 후의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1002, 1008)와, 변조된 데이터 신호와 재송 응답 신호를 시간 다중하는 시간 다중부(1003)와, 시간 다중한 신호에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하는 DFT부(1004)와, DFT 후의 신호를 서브캐리어로 맵핑하는 서브캐리어 맵핑부(1005)를 갖고 있다.
상향링크 제어채널 처리부(1100)는, 재송 응답 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할당 리소스 및 할당정보를 제어하는 채널선택 제어부(1101)와, PSK 데이터 변조를 수행하는 PSK 데이터 변조부(1102)와, PSK 데이터 변조부(1102)에서 변조된 데이터에 순회 시프트를 부여하는 순회 시프트부(1103)와, 순회 시프트 후의 신호에 블록 확산 부호로 블록 확산하는 블록 확산부(1104)와, 블록 확산 후의 신호를 서브캐리어로 맵핑하는 서브캐리어 맵핑부(1105)를 갖고 있다.
채널선택 제어부(1101)는,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재송 응답 신호를 맵핑하는 리소스의 선택 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 5∼도 8, 도 12∼도 14 등에서 도시한 맵핑 테이블과, ACK/NACK/DTX 판정부(1402)의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비트 정보를 맵핑하는 리소스를 선택하고, PSK 데이터 변조부(1102), 순회 시프트부(1103), 블록 확산부(1104) 및 서브캐리어 맵핑부(1105)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PCC 및 SCC가 1 코드워드, 할당 리소스 수가 2개, PCC의 상태가 'NACK', SCC의 상태가 'ACK', 이동단말장치가 도 5a의 맵핑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채널선택 제어부(1101)는, 비트 정보 "1"을 Ch2로 맵핑하는 것을 통지한다. 또한, 이동단말장치는, 맵핑 테이블을 복수 갖고, 복수의 맵핑 테이블을 소정의 조건에 따라 나눠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할당 리소스 수의 결정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미리 설정해 두는 방법, ACK/NACK/DTX 판정부(1402)의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이동단말장치가 선택하는 방법 또는 무선통신장치로부터의 통지에 의해 결정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할당 리소스 수의 결정방법의 일 예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드워드 수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CC와 SCC의 쌍방이 1 코드워드인 경우에 2개의 리소스를 할당하고, PCC와 SCC의 일방이 1 코드워드, 타방이 2 코드워드인 경우에 3개의 리소스를 할당하고, PCC와 SCC의 쌍방이 2 코드워드인 경우에 4개의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PSK 데이터 변조부(1102)는,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채널선택 제어부(1101)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위상 편이 변조(PSK 데이터 변조)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PSK 데이터 변조부(1102)에 있어서, QPSK 데이터 변조에 의한 2 비트의 비트 정보로 변조한다.
순회 시프트부(1103)는,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 Correlation) 부호 계열의 순회 시프트를 이용하여 직교 다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시간영역의 신호를 소정의 순회 시프트량만큼 시프트한다. 또한, 순회 시프트량은 유저마다 다르며, 순회 시프트 번호에 대응지어져 있다. 순회 시프트부(1103)는, 순회 시프트 후의 신호를 블록 확산부(1104)로 출력한다. 블록 확산부(직교 부호 승산수단)(1104)는, 순회 시프트 후의 참조신호에 직교 부호를 승산한다(블록 확산한다). 여기서, 참조신호에 이용하는 0CC(블록 확산 부호 번호)에 대해서는, 상위 레이어로부터 RRC 시그널링 등으로 통지해도 좋으며, 데이터 심볼의 CS에 미리 관련지어진 0CC를 이용해도 좋다. 블록 확산부(1104)는, 블록 확산 후의 신호를 서브캐리어 맵핑부(1105)로 출력한다.
서브캐리어 맵핑부(1105)는, 채널선택 제어부(1101)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 확산 후의 신호를 서브캐리어로 맵핑한다. 또, 서브캐리어 맵핑부(1105)는, 맵핑된 신호를 채널 다중부(1202)로 출력한다.
SRS 처리부(1300)는, SRS 신호(Sounding RS)를 생성하는 SRS 신호 생성부(1301)와, 생성된 SRS 신호를 서브캐리어로 맵핑하는 서브캐리어 맵핑(1302)을 가지고 있다. 서브캐리어 맵핑(1302)은, 맵핑된 신호를 채널 다중부(1202)로 출력한다.
채널 다중부(1202)는, 상향링크 공유채널 처리부(1000) 또는 상향링크 제어채널 처리부(1000)로부터의 신호와, SRS 처리부(1300)로부터의 참조신호를 시간다중하여, 상향 제어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송신신호로 한다.
IFFT부(1203)는, 채널 다중된 신호를 IFFT하여 시간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IFFT부(1203)는, IFFT 후의 신호를 CP 부여부(1204)로 출력한다. CP 부여부(1204)는, 직교 부호 승산 후의 신호에 CP를 부여한다. 그리고, 특정한 CC의 상향링크의 채널을 이용하여 상향 송신신호가 무선통신장치에 대해 송신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도 10에 도시한 이동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무선기지국장치의 기능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이동단말장치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송신부는, 복수의 CC마다 OFDM 신호를 생성하는 OFDM 신호 생성부(2401)를 갖고 있다. OFDM 신호 생성부(2401)는, 다른 하향링크 채널신호 및 상향 리소스 할당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하향 신호를 서브캐리어로 맵핑하고,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하고, CP를 부가함으로써, 하향 송신신호를 생성한다.
수신부는, 수신신호부터 CP를 제거하는 CP 제거부(2204)와, 수신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FFT)하는 FFT부(2203)와, 다중된 신호(PUSCH 신호, PUCCH 신호, SRS 신호)를 분리하는 채널 분리부(2202)와, 패널 분리 후의 신호를 처리하는,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 수신부(2000),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 수신부(2100), SRS 신호 수신부(2300)를 갖고 있다.
상향링크 공유채널 수신부(2000)는, 채널 분리 후의 신호를 디맵핑하는 서브캐리어 디맵핑부(2005)와, 서브캐리어 디맵핑 후의 신호에 대해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하는 IDFT부(2004)와, IDFT된 데이터 신호, 제어신호를 분리하는 제어정보 분리부(2003)와, 분리된 데이터 신호, 제어신호를 각각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부(2002, 2007), 데이터 복조 후의 신호를 채널 복호하는 채널 복호부(2001, 2006)를 갖고 있다.
상향링크 제어채널 수신부(2100)는, 채널 분리 후의 신호를 디맵핑하는 서브캐리어 디맵핑부(2104)와, 서브캐리어 디맵핑 후의 신호에 대해 블록 확산 부호(0CC)로 역 확산하는 역 블록 확산부(2103)와, 역 확산 후에 신호로부터 순회 시프트를 제거하여 대상으로 하는 유저의 신호를 분리하는 순회 시프트 분리부(2102)와,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리소스 후보 정보를 제어하는 채널선택 데이터 검출부(2101)를 갖고 있다.
채널선택 데이터 검출부(2101)는,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재송 응답 신호의 후보정보를 서브캐리어 디맵핑부(2104), 역 블록 확산부(2103), 순회 시프트 분리부(2102)에 통지함과 동시에, 각 CC의 재송 응답 정보를 검출한다. 기지국장치의 맵핑 테이블은, 이동단말장치의 맵핑 테이블과 공통이라면 좋다.
제어정보 송신채널 선택부(2201)는, 피드백 제어정보인 재송 응답 신호의 송신에 사용된 채널을 검출하고, 상향링크 공유채널 수신부(2000) 또는 상향링크 제어채널 수신부(2100)로부터의 출력의 전환을 제어한다. 재송 응답 신호가 PUSCH에 포함시켜 송신된 경우에는, 상향링크 공유채널 수신부(2000)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재송 응답 신호로서 출력한다. 또, 재송 응답 신호가 PUCCH에서 송신된 경우, 상향링크 제어채널 수신부(2100)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재송 응답 신호로서 출력한다.
SRS 신호 수신부(2300)는, 채널 분리 후의 SRS 신호를 디맵핑하는 서브캐리어 디맵핑부(2302)와, 서브캐리어 디맵핑 후의 SRS 신호의 수신품질을 측정하는 SRS 수신품질 측정부(2301)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상기 설명에 있어서의 처리부의 수, 처리수순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면에 도시되는 요소의 각각은 기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각 기능 블록이 하드웨어로 실현되어도 좋으며, 소프트웨어로 실현되어도 좋다. 그 외,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출원은, 2010년 8월 16일 출원의 특원 2010―181944 및 2010년 10월 4일 출원의 특원 2010―225117에 기초한다. 이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Claims (7)

  1.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구성되는 시스템대역에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마다의 하향링크 공유채널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복조된 상기 하향링크 공유채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마다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부;
    상기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에서 선택된 특정한 기본 주파수 블록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상기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재송 응답 신호를 맵핑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 처리부;를 가지며,
    상기 상향링크 제어채널 처리부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채널로부터 복수의 할당 리소스를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위상 편이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 및 채널 선택 정보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리소스의 수 및 코드워드 수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마다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가 규정된 맵핑 테이블을 갖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채널 처리부는 상기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위상 편이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 및 상기 채널 선택 정보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리소스의 수가 상기 코드워드 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채널 처리부는, 상기 제1 기본 주파수 블록 및 상기 제2 기본 주파수 블록이 1 코드워드 전송인 경우, 상기 할당 리소스 수를 2개로 설정하고, 상기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본 주파수 블록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인 ACK, NACK, DTX를 개별로 규정하고, 상기 제2 기본 주파수 블록의 재송 응답 신호인 DTX의 상태를 개별로 규정하지 않고 상태 수를 삭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채널 처리부는, 상기 제1 기본 주파수 블록 및 상기 제2 기본 주파수 블록이 1 코드워드 전송인 경우, 상기 할당 리소스 수를 2개로 설정하고, 상기 맵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본 주파수 블록의 재생 응답 신호인 ACK의 상태를 개별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6.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구성되는 시스템대역에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이동단말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마다의 하향링크 공유채널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공정;
    복조된 상기 하향링크 공유채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마다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판정하는 공정;
    상기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에서 선택된 특정한 기본 주파수 블록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상기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재송 응답 신호를 맵핑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재송 응답 신호를 맵핑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채널로부터 복수의 할당 리소스를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를, 위상 편이 변조에 의한 비트 정보 및 채널 선택 정보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방법.
  7. 제 6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장치는, 상기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재송 응답 신호를 맵핑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할당 리소스의 수 및 코드워드 수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마다의 재송 응답 신호의 상태가 각각 규정된 맵핑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KR1020137006286A 2010-08-16 2011-08-16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KR101623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81944 2010-08-16
JPJP-P-2010-181944 2010-08-16
JPJP-P-2010-225117 2010-10-04
JP2010225117A JP4913896B2 (ja) 2010-08-16 2010-10-04 移動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PCT/JP2011/068548 WO2012023552A1 (ja) 2010-08-16 2011-08-16 移動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775A true KR20130100775A (ko) 2013-09-11
KR101623391B1 KR101623391B1 (ko) 2016-05-23

Family

ID=4560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286A KR101623391B1 (ko) 2010-08-16 2011-08-16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009875B2 (ko)
EP (1) EP2608616B1 (ko)
JP (1) JP4913896B2 (ko)
KR (1) KR101623391B1 (ko)
CN (1) CN103155471B (ko)
BR (1) BR112013003444A2 (ko)
CA (1) CA2807539C (ko)
MY (1) MY166498A (ko)
RU (1) RU2563248C2 (ko)
TW (1) TWI437840B (ko)
WO (1) WO2012023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2197B (zh) * 2016-02-05 2021-10-22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终端及发送方法
EP3678313A4 (en) * 2017-09-01 2021-03-17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5252B2 (en) * 2006-05-18 2012-10-23 Qualcomm Incorporated Interlace-based control channel balanc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218663B2 (en) 2008-07-29 2012-07-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resource allocation for single user MIMO
JP2010181944A (ja) 2009-02-03 2010-08-19 Casio Computer Co Ltd 情報処理装置
JP2010225117A (ja) 2009-03-25 2010-10-07 Fuji Xerox Co Ltd 電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01873706A (zh) * 2009-04-24 2010-10-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多载波系统中反馈确认/未确认消息的方法
US8514883B2 (en) * 2009-04-24 2013-08-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eedback for component carrier aggregation
CN101662833A (zh) * 2009-09-29 2010-03-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混合重传反馈信息分量载波的选择方法及装置
TWI628933B (zh) * 2009-10-01 2018-07-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傳輸上鏈控制資訊的方法及系統
CN101720122B (zh) * 2009-12-28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物理上行控制信道的功率控制方法及基站和终端
US20110268001A1 (en) * 2010-05-03 2011-11-03 Lee Jung A Method of providing acknowledgement feedback for aggregated carr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63248C2 (ru) 2015-09-20
US20130176928A1 (en) 2013-07-11
CN103155471A (zh) 2013-06-12
MY166498A (en) 2018-06-27
TW201220751A (en) 2012-05-16
JP2012065299A (ja) 2012-03-29
EP2608616B1 (en) 2018-05-23
CA2807539A1 (en) 2012-02-23
EP2608616A4 (en) 2015-07-29
JP4913896B2 (ja) 2012-04-11
KR101623391B1 (ko) 2016-05-23
EP2608616A1 (en) 2013-06-26
CN103155471B (zh) 2016-07-06
BR112013003444A2 (pt) 2016-08-02
CA2807539C (en) 2018-06-26
WO2012023552A1 (ja) 2012-02-23
TWI437840B (zh) 2014-05-11
US10009875B2 (en) 2018-06-26
RU2013108745A (ru) 2014-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7368B2 (ja) ユーザ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10064161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5072999B2 (ja) 無線通信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JP5443317B2 (ja) 移動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EP2584826A1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201319789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及び無線リソース割当て方法
CN104509193A (zh) 无线通信方法、无线通信系统、无线基站以及用户终端
KR2008011044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자원 할당 방법 및장치
US20130279440A1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9036592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1623391B1 (ko)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JP5714088B2 (ja) 移動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547864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