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306A - 모바일 전화기 호스팅 미팅 제어 - Google Patents

모바일 전화기 호스팅 미팅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306A
KR20130100306A KR1020137008600A KR20137008600A KR20130100306A KR 20130100306 A KR20130100306 A KR 20130100306A KR 1020137008600 A KR1020137008600 A KR 1020137008600A KR 20137008600 A KR20137008600 A KR 20137008600A KR 20130100306 A KR20130100306 A KR 20130100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room
presentation
mobile phon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1280B1 (ko
Inventor
윌리엄 조지 버테인
워렌 빈센트 바클리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00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모바일 전화기를 이용하여 룸과 연관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여기에 설명된다. 게이트웨이가 모바일 전화기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명령을 수신할 때, 게이트웨이는 그 명령이 룸 명령인지 프레젠테이션 명령인지를 판단한다. 그 명령이 룸 명령이면, 게이트웨이는 룸 구성요소가 룸 명령에 답하게 한다. 수신된 명령이 프레젠테이션 명령이면, 게이트웨이는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가 프레젠테이션 명령에 답하게 한다. 사용자는 모바일 전화기로 혹은 모바일 전화기의 스크린상에 제스처를 형성함으로써, 모바일 전화기의 폰 키들을 이용함으로써 또는 모바일 전화기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과 상호동작함으로써 모바일 전화기에 명령들을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전화기 호스팅 미팅 제어{MOBILE TELEPHONE HOSTED MEETING CONTROLS}
많은 회사들이 직원들과 같은 미팅 참가자들이 미팅을 위해 모이는 전용 미팅 룸을 가진다. 이러한 미팅 룸에는 흔히 제어 유닛이 장착되어 있는데 미팅 참가자는 이 제어 유닛을 통해 그 룸 안에 위치된 프로젝터나 프로젝션 스크린과 같은 다양한 룸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또한 사용자가 룸의 환경 조건을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미팅 룸 안의 조명등을 밝게 하거나 어둡게 하기 위해 제어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미팅 룸들에는 또한 슬라이드 프레젠테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컴퓨터 및 스크린 또는 프로젝터가 장착될 수 있다. 마우스나 키보드와 같은 사용자 입력 장치 또는 별도의 프레젠테이션 리모콘이 프레젠테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미팅 참가자들이 그들 자신의 랩톱 컴퓨터들을 가지고 오며, 프레젠테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미팅 제어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젝터로 플러그인 할 수 있다.
많은 기관에서 직원들이 랩톱 컴퓨터를 휴대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이들 직원들이 종래의 미팅 룸 설비 안에서 슬라이드 프레젠테이션을 제공하며 미팅 제어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이 장착되는 미팅 룸들 안에서 미팅 참가자가 제어 유닛 근처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 종종 사실이다. 결과적으로, 미팅 참가자는 룸 콘트롤들을 변경하기 위해 미팅 룸을 가로지르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그렇게 하도록 부탁해야 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활동은 미팅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여기에 이루어지는 개시는 이러한 것들 및 기타 고려사항들과 관하여 제시된다.
모바일 전화기(여기에서 "전화기(phone)"로 지칭될 수 있는)를 이용하여 미팅 룸과 연관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들이 여기에서 설명된다. 여기에 제시된 기술 및 개념의 활용을 통해, 모바일 전화기와 같은 모바일 기기가 프로젝터나 프로젝션 스크린과 같은 룸 구성요소들 및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미팅 참가자들이 자신들의 모바일 전화기로부터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미팅 참가자들은 더 이상 미팅에서 랩톱 컴퓨터를 가지거나 룸 구성요소들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자신들의 자리를 이탈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여기에 개시된 한 양태에 따르면, 게이트웨이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미팅 룸과 연관된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명령을 수신하면, 게이트웨이는 수신된 명령이 룸과 연관된 룸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룸 명령인지를 판단한다. 룸 구성요소들은 조명 설비, 에어컨, 커튼, 오디오 시스템, 프로젝터, 및 프로젝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명령이 룸 명령이면, 게이트웨이는 룸 구성요소가 룸 명령에 답하게 한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는 룸 제어기로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룸 제어기는 다시 룸 명령이 향했던 룸 구성요소로 명령을 전송한다. 룸 구성요소는 명령 수신 시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게이트웨이가 수신된 명령이 룸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게이트웨이는 수신된 명령이 프레젠테이션과 연관된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명령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들은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 슬라이드 프레젠테이션, 및 프레젠테이션 컴퓨터의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수신된 명령이 프레젠테이션 명령이면, 게이트웨이는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가 프레젠테이션 명령에 답하게 한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는 프레젠테이션 컴퓨터로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프레젠테이션 컴퓨터는 다시 프레젠테이션 명령이 향했던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로 명령을 전송한다.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는 명령 수신 시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게이트웨이로 명령들을 전송하는 모바일 전화기들은, 사용자로부터 룸 구성요소들 및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을 수신하며 게이트웨이로 그 명령들을 전송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전화기의 폰 키들을 이용하거나 모바일 전화기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과 상호동작함으로써 모바일 전화기를 가지고 혹은 모바일 전화기 상의 스크린 상에 제스처를 취함으로써 모바일 전화기에 명령들을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발명 대상은 또한 컴퓨터로 제어되는 장치, 컴퓨터 프로세스, 컴퓨팅 시스템,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제조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이러한 것 및 다양한 다른 특징들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관련 도면들을 검토함으로써 자명해질 것이다.
이 요약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설명되는 선정된 개념들을 간략한 형식으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요약은 청구된 발명 대상의 주요한 특징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식별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이 요약이 청구된 발명 대상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의도된 것도 아니다. 또한 청구된 발명 대상이 이 개시의 어떤 부분에 언급된 어느 또는 모든 단점들을 해결하는 구현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모바일 전화기들이 미팅 룸과 연관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를 예시한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룸 및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모바일 전화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시퀀스를 예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도이다.
도 3(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모바일 전화기의 스크린 상에서 이루어진 제스처가 미팅 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모바일 전화기를 가지고 이루어진 제스처가 미팅 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모바일 전화기를 미팅 룸 게이트웨이에 등록시키기 위해 여기에 개시된 한 프로세스의 양태들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미팅 룸 게이트웨이에 의해 수신되는 모바일 전화기로부터의 명령을 처리하기 위해 여기에 개시된 한 프로세스의 양태들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양태들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팅 시스템의 예시적 컴퓨터 하드웨어 구조를 보이는 컴퓨터 구조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모바일 전화기를 이용하여 룸과 연관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 및 기술들의 구현을 통해, 미팅 룸 안의 참가자들은 모바일 전화기를 이용하여 룸의 조명 및 온도와 같은 미팅 룸의 환경 조건들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참가자들은 또한 같은 모바일 전화기를 이용하여 프레젠테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전화기는 사용자가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룸 제어기 및 룸과 연관된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프레젠테이션 컴퓨터 양자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전화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 모바일 전화기 스크린 상에서 이루어지는 제스처, 및 모바일 전화기 자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가 룸 및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에 관한 추가 세부사항들이 도 1-6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제공될 예정이다.
여기에 기술된 발명 대상은 컴퓨터 시스템 상의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의 실행과 연계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들의 일반적 맥락에서 제시되지만, 당업자는 다른 구현예들이 다른 타입의 프로그램 모듈들과 조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한 추상적 데이터 유형들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및 다른 타입의 구조들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는 여기에 기술된 발명 대상이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또는 프로그래머블 가전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들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것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 일부를 형성하며 예시, 특정 실시예들 또는 예들로서 도시되는 첨부 도면들이 참조된다. 이제 여러 도면들에 걸쳐 유사 참조부호가 유사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모바일 전화기를 사용하여 룸과 연관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 및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특히,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모바일 전화기들이 미팅 룸과 연관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100)를 예시한 시스템 구조도이다. 시스템 구조(100)는 게이트웨이(102), 룸 제어기(104),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 입력 스위치 박스(126), 및 다수의 모바일 전화기들(108A-108N)을 포함한다. 모바일 전화기들(108A-108N)은 집합적으로 모바일 전화기들(108)로 지칭될 수 있다. 개시의 나머지에 걸쳐서, 모바일 전화기들(108A-108N) 중 어느 하나가 모바일 전화기(108)로 지칭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게이트웨이(102), 룸 제어기(104),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 및 입력 스위치 박스(126)가 결합되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미팅 제어기(110)에 의해 나타낸 것과 같은 하나의 개체로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게이트웨이(102), 룸 제어기(104),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 및 입력 스위치 박스(126)는 적절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링크되는 개개의 개체들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룸 제어기(104) 및/또는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는 게이트웨이(102)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게이트웨이(102)는 룸 제어기(104) 및/또는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의 일부이다.
게이트웨이(102) 및 모바일 전화기들(108)은 네트워크(112)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112)는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다른 종류의 광역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네트워크(112)는 또한 PAN(personal area network) 또는 다른 적절한 단거리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이는 블루투스 통신 규격과 같은 적절한 단거리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대안적으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이는 적절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12)는 인터넷일 수 있다. 네트워크(112)는 또한 상술한 다양한 네트워크 유형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102)는 모바일 전화기로부터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고 그 명령이 향하는 구성요소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명령이 향하는 구성요소를 판단할 때, 게이트웨이는 그 명령을 룸 제어기(104)로 보낼지,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로 보낼지 또는 입력 스위치 박스(126)로 보낼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102)는 또한 그 명령이 룸 제어기(104)와 연관된 룸 구성요소로 보내진다고 판단했을 때 룸 제어기(104)로 명령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룸 구성요소는 룸 제어기(104)와 통신가능하게 링크된 미팅 룸 안의 어떤 구성요소이며, 룸 제어기(104)가 룸 구성요소의 어떤 기능에 대해 제어하도록 룸 제어기(104)로부터 룸 명령들을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다. 룸 구성요소들의 예들은 조명 설비, 커튼, 에어컨, 프로젝터, 프로젝션 스크린, 오디오 시스템, 및 입력 스위치 박스를 포함한다. 룸 안의 어떤 구성요소는 그 구성요소의 어떤 기능이 룸 제어기에 의해 제어가능하다면 룸 구성요소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102)는 또한 그 명령이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4)와 연관된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로 보내진다고 판단했을 때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4)로 명령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는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4)와 통신가능하게 링크된 미팅 룸 안의 어떤 구성요소이며,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4)가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의 어떤 기능에 대해 제어하도록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4)로부터 룸 명령들을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들의 예들은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 슬라이드 프레젠테이션, 오디오 시스템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구성요소, 입력 스위치 박스(126)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게이트웨이(102)는 명령이 입력 스위치 박스(126)로 보내진다고 판단했을 때 입력 스위치 박스(126)로 명령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게이트웨이(102)는 또한 오직 리스트 상의 참가자들에게만 그들의 모바일 전화기들로부터 명령을 보낼 권한이 주어질 수 있도록 참가자 리스트를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102)는 참가자의 모바일 전화기(108)를 통해 참가자의 자격을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가자의 자격이 인증되면, 게이트웨이(102)는 그 참가자를 참가지 리스트 상에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등록된 참가자들만이 룸과 연관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낼 수 있다. 참가자 리스트는 워싱턴 주 레이몬드에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사에서 나온 EXCHANGE(교환) 서버 구성요소를 실행하는 서버 컴퓨터와 같이 적절한 일정 및 미팅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서버 컴퓨터 시스템 상에 유지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102)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랩톱 컴퓨터나 데스크톱 컴퓨터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 또는 어떤 다른 컴퓨팅 기기 역시 그 컴퓨팅 기기가 모바일 전화기(108)로부터 명령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룸 구성요소들 및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모바일 전화기(108)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도록 할 수 있는 한 게이트웨이(102)로서 구현될 수 있다.
룸 제어기(104)는 게이트웨이(102)로부터 룸 명령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지시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룸 제어기 애플리케이션(114)을 포함할 수 있다. 룸 명령은 그 룸 명령이 향했던 룸 구성요소가 룸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이다. 예를 들어 룸 명령은 룸 안의 밝기를 높이라는 명령일 수 있다. 이 룸 명령은 룸 안의 하나 이상의 조명 설비들의 밝기가 강해지게 한다. 룸 명령이 모바일 전화기로부터 발부되어야 할 필요가 없으며 게이트웨이(104) 자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룸 제어기 애플리케이션(114)은 수신된 지시들을 실행하며 그에 따라 룸 구성요소가 모바일 전화기(108)로부터 게이트웨이에 의해 수신된 룸 명령에 응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시들은 게이트웨이(102)가 모바일 전화기로부터 수신했던 룸 명령들이나 게이트웨이(102)에 의해 생성되었던 명령들에 해당할 수 있다.
룸 명령들은 룸 구성요소들에 의해 제공된 어떤 기능을 변경하라는 요청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룸 명령은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룸 제어기(104)에 연결된 미팅 룸 안의 조명들(116)의 밝기를 어둡게 하라는 모바일 전화기(108A)로부터의 요청일 수 있다. 룸 명령의 또 다른 예는 룸의 온도를 높이라는 모바일 전화기(108B)로부터의 요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룸 제어기(104)는 룸의 환경 조건들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룸 안에 존재하는 전자적 구성요소들을 세팅하는 일을 담당하는 다양한 룸 구성요소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룸 제어기(104)는 룸에 조명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 설비들(116), 광이 룸의 창을 통해 들어오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커튼들(118), 및 룸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조절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룸의 환경 조건들은 룸 안의 인공 광량, 룸 안의 자연 광량, 룸의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룸 제어기(104)는 또한 룸과 연관된 다른 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룸 제어기(104)는 오디오 시스템(122)의 스위치 온/오프, 룸 안의 스피커 볼륨 조정, 룸 안의 마이크 스위치 온/오프 등을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122)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룸 제어기(104)는 프로젝션 스크린(124)을 하강 및 상승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프로젝션 스크린(124)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룸 제어기(104)는 입력 스위치 박스를 스위치 온/오프하는 것과 같은 입력 스위치 박스(126)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젝터(140)에 의해 프로젝션 스크린(124) 상에 투영되어야 하는 비디오 소스를 선택하는 등과 같은 입력 스위치 박스(126)와 연관된 다른 기능들이 게이트웨이(102)를 직접 통하거나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룸 제어기(104)는 룸 구성요소들과 연관된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룸 제어기(104)는 프로젝션 스크린(124)을 하강하도록 게이트웨이(102)로부터 룸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명령을 수신할 때, 룸 제어기 애플리케이션(114)은 프로젝션 스크린(124)이 하강하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룸 제어기 애플리케이션(114)은 오디오 시스템(122)의 전원을 켜라는 룸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명령을 수신할 때, 룸 제어기 애플리케이션(114)은 오디오 시스템(122)에 전원이 켜지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룸 안의 참가자는 다른 무엇보다 모바일 전화기의 사용을 통해 조명 설비(116), 커튼(118), 온도조절기(120), 오디오 시스템(122), 프로젝션 스크린(124), 입력 스위치 박스(126)와 같은 룸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양태들을 제어할 수 있다.
위에서 간략히 기술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102)는 또한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로부터 오디오 시스템(122)으로 오디오 입력 신호를 보내는 오디오 모듈(미도시) 및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로부터 입력 스위치 박스(126)로 비디오 입력 신호를 보내는 비디오 모듈(미도시)과 같은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와 통신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는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132) 및 적어도 하나의 프레젠테이션(134)과 같은 다른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132)은 게이트웨이(102)로부터 프레젠테이션 명령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132)은 프레젠테이션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명령의 예는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 안에 저장된 프레젠테이션(134)을 시작하라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102)로부터 프레젠테이션 명령을 수신할 때,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는 프레젠테이션(134)을 시작하도록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132)으로 명령을 보낼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명령의 또 다른 예는 프레젠테이션의 볼륨을 소거하는 것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가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로 그 명령을 보낼 수 있으며, 프레젠테이션 컴퓨터는 오디오 모듈에 오디오 시스템(122)으로 오디오 입력 신호를 보내는 것을 중단하라는 명령을 전송으로써 프레젠테이션(134)의 볼륨을 소거시킬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룸 안의 참가자는 단순히 모바일 전화기의 사용을 통해,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132), 프레젠테이션(134), 오디오 시스템(122), 입력 스위치 박스(126) 등과 같은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양태들을 일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132)은 마이크로소프트 사로부터 나온 파워포인트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다른 제조사들로부터의 다른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력 스위치 박스(126)는 프로젝션 스크린(124) 상에 비디오를 투영하기 위해 프로젝터(140)로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스위치 박스(126)는 모바일 전화기로부터 보내지고 입력 스위치 박스(126)로 향하는 명령들에 해당하는 지시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입력 스위치 박스(126)는 룸 제어기(104)나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로부터 그 지시들을 수신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입력 스위치 박스를 스위치 온/오프하는 것과 연관된 명령들이 룸 제어기(104)를 통해 입력 스위치 박스로 전달된다. 프로젝터(140)로 비디오 신호를 보낼 입력 소스를 선택하는 것과 연관된 명령들이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를 통해 입력 스위치 박스(126)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프로젝터(140)로 비디오 신호를 보낼 입력 소스를 선택하는 것과 연관된 명령들이 게이트웨이(102)로부터 직접 입력 스위치 박스(126)로 전달될 수 있다.
모바일 전화기(108)는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의 시퀀스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어떤 종류의 모바일 전화기일 수 있다. 아울러, 모바일 전화기(108)는 제어 애플리케이션(109)을 통해 명령들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전화기(108)는 또한 네트워크(112)를 통해 게이트웨이(102)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 애플리케이션(109)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모바일 전화기(108)를 통해 게이트웨이와 상호동작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전화기(108)는 애플 컴퓨터에서 나온 아이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의 스마트폰, 또는 다른 유형의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폰이다. 적절한 제어 애플리케이션(109)을 이용하여 구성될 때 다른 비스마트폰 모바일 전화기들 역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관한 추가적인 세부사항들이 도 2-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전화기(108)에는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장착된다.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모바일 전화기(108)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 입력 "제스처(gestures)"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전화기(108)에는 다양한 방위 센서들, 주변 광 검출 센서들, 및 모바일 전화기(108)가 그 위치, 방위, 지도 방향, 및 환경 조건들을 검출하게 하는 다른 센서들이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만들어지는 제스처들,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 및 모바일 전화기(108) 자체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제스처들이 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할 때, 룸 및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모바일 전화기(108)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시퀀스를 예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도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팅 룸 안의 참가자들은 미팅 룸 안의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양태들을 제어하기 위해 모바일 전화기(108)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참가자는 제어 애플리케이션(109)이 그들의 모바일 전화기(108) 상에서 실행되게 할 수 있다. 제어 애플리케이션(109)이 실행될 때, 참가자에게는 참가자의 모바일 전화기(108)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선택가능한 아이콘들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이 제시된다. 아이콘들을 선택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을 통해 탐색하여, 참가자는 룸과 연관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전화기(108) 상의 제어 애플리케이션(109)은 참가자에게 세 개의 선택가능한 아이콘들, 룸 제어 아이콘(204), 프레젠테이션 제어 아이콘(206), 및 참가자 관리 아이콘(208)을 제시하는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0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화살표들은 모바일 전화기(108)의 스크린 상에 나타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을 나타낸다. 도 2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연관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상이한 아이콘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룸 제어 아이콘(204)을 선택함으로써 룸 구성요소들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룸 제어 아이콘(204) 선택 시, 모바일 전화기(108)는 하나 이상의 룸 구성요소들과 연관된 선택가능 아이콘들(212-220)을 포함하는 룸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10)을 제시한다. 사용자는 조명 아이콘(212)을 선택함으로써 조명 설비(116)를 제어할 수 있다. 조명 아이콘(212) 선택 시, 모바일 전화기(108)는 조명을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온/오프 아이콘, 광 설비(116)에 의해 제공되는 밝기를 높이기 위한 밝기 아이콘, 및 조명 설비(116)에 의해 제공되는 밝기를 낮추기 위한 딤(dim) 아이콘과 같이 조명 설비(116)의 양태들을 제어하기 위한 선택가능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조명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30)을 제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룸 안의 각각의 조명 설비(116)는 특정 조명 설비(116)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커튼 아이콘(214)을 선택함으로써 미팅 룸 안의 커튼들(118)을 제어할 수 있다. 커튼 아이콘(214)의 선택 시, 모바일 전화기(108)는 커튼(118)을 열기 위한 열기 아이콘 및 커튼(118)을 치기 위한 닫기 아이콘과 같이 커튼들(118)의 양태들을 제어하기 위한 선택가능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커튼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40)을 제시한다.
사용자는 온도 아이콘(216)을 선택함으로써 미팅 룸 안의 온도조절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온도 아이콘(216)의 선택 시, 모바일 전화기(108)는 룸 안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아이콘, 룸 안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아이콘과 같이 온도조절기(120)의 양태들을 제어하기 위한 선택가능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온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50)을 제시한다.
사용자는 또한 오디오 아이콘(218)을 선택함으로써 오디오 시스템(122)를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아이콘(218)의 선택 시, 모바일 전화기(108)는 오디오 시스템(122)을 스위치 온/오프하기 위한 온/오프 아이콘, 볼륨을 높이기 위한 볼륨 업 아이콘, 볼륨을 줄이기 위한 볼륨 다운 아이콘, 및 오디오 시스템(122)의 볼륨을 소거하기 위한 소거 아이콘을 포함하는 오디오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60)을 제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가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를 통해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로부터 오디오 시스템(122)으로 보내지는 오디오 입력 신호들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와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시스템(122)으로 보내지는 오디오 입력 신호들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입력 스위치 아이콘(220)을 선택함으로써 입력 스위치 박스(126)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스위치 아이콘(220)의 선택 시, 모바일 전화기(108)는 어떤 입력 신호가 프로젝터(140)나 다른 디스플레이 기기에 의해 투영되어야 하는지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스위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70)을 제시한다. 입력 스위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70)은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의 비디오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제1입력 신호를 투영하기 위한 입력 1 아이콘, 다른 비디오 소스(128)에 의해 제공되는 제2입력 신호를 투영하기 위한 입력 2 아이콘, 다른 비디오 소스(미도시)에 의해 제공되는 제3입력 신호를 투영하기 위한 입력 3 아이콘, 및 프로젝터(140)를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온/오프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룸과 연관된 다른 구성요소들은 모바일 전화기(108)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선택가능 아이콘들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 및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02) 상의 프레젠테이션 제어 아이콘(206)을 선택함으로써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8)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프레젠테이션 파일들과 같은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프레젠테이션 제어 아이콘(206) 선택에 대응하여, 모바일 전화기(108)는 하나 이상의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들과 연관된 선택가능 아이콘들(224-228)을 포함하는 프레젠테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22)을 제시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입력 스위치 박스(126)는 룸 제어기(104)나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를 통해 입력 스위치 박스(126)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는 입력 스위치 아이콘(220)과 유사한 입력 스위치 아이콘(228)을 선택함으로써 입력 스위치 박스(126)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스위치 아이콘(220)과 관련하여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 스위치 아이콘(228)을 선택하면, 모바일 전화기(108)는 어떤 입력 신호가 프로젝터(140)에 의해 투영되어야 하는지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스위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70)을 제시한다.
프레젠테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22)의 선택에 이어서, 사용자는 프레젠테이션(134)을 로딩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로드 아이콘(224)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프레젠테이션 로드 아이콘(224)을 선택하면, 모바일 전화기(108)는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가 발표하기 위해 선택했던 프레젠테이션(134)을 선택하기 위한 파일 리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80)을 제시할 수 있다. 파일 리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80)은 프레젠테이션(134)을 발표하기 위한 파일 1 아이콘, 제2프레젠테이션(미도시)을 발표하기 위한 파일 2 아이콘, 및 제3프레젠테이션(미도시)을 발표하기 위한 파일 3 아이콘을 포함한다. 리스트화된 파일들은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 모바일 전화기(108), 또는 다른 로컬 혹은 네트워크 액세스 가능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레젠테이션 기능 아이콘(226)을 선택함으로써 로딩된 프레젠테이션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프레젠테이션 기능 아이콘(226)을 선택할 때, 모바일 전화기(108)는 로딩된 프레젠테이션(134) 상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90)을 제시한다. 기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90)은 프레젠테이션(134)의 이전 슬라이드로 이동하기 위한 이전 아이콘, 프레젠테이션(134)의 다음 슬라이드로 이동하기 위한 다음 아이콘, 프레젠테이션(134)의 슬라이드쇼를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 아이콘, 프레젠테이션(134)을 일시정지하기 위한 일지정지 아이콘 및 모바일 전화기(108) 상의 프레젠테이션(134)과 연관된 발표자 노트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발표자 노트 아이콘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미팅 참가자들은 모바일 전화기(108)를 통해 참가자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02) 상의 참가자 관리 아이콘(208)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참가자 관리 아이콘(208)을 선택하면, 모바일 전화기(108)는 참가자 리스트에 참가자를 추가하기 위한 추가 아이콘, 참가자 리스트로부터 참가자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 아이콘, 및 참가자 리스트를 보이기 위한 뷰(view) 아이콘을 포함하는 참가자 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95)을 제시한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참가자 리스트는 서버 기반 일정 및 미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와 같은 적절한 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의 시퀀스는 도시된 대로 모바일 전화기(108)의 터치 스크린 또는 비터치 스크린 상에 제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아이콘들은 터치 스크린 상의 알맞은 위치를 누르고/누르거나 모바일 전화기 상의 버튼들 및/또는 포인팅 기기들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230-295) 내 아이콘들을 선택하면 추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이 제시될 수 있다는 것이 더 인식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전화기(108)의 스크린 상에서 이루어진 제스처들이나 모바일 전화기(108)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제스처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의 일부를 우회하거나 보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룸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스처들의 사용에 관한 상세한 논의가 이하에서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제공된다.
도 3(a)를 참조하여, 모바일 전화기의 스크린 상에서 이루어진 제스처가 미팅 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 도면이 설명될 것이다. 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제스처는 시간에 따라 만들어지는 미리 규정된 모션이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스처는 모바일 전화기(108)의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루어지거나, 3차원 공간 안에서 모바일 전화기(108)를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제스처들을 이용하여 룸과 연관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애플리케이션(109)은 제스처를 검출하여 검출된 제스처가 미팅 룸 안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그 제스처에 해당하는 명령을 게이트웨이(102)로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애플리케이션(109)은 미리 규정된 제스처들 및 해당 룸 명령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모바일 전화기가 제스처를 수신할 때, 제어 애플리케이션(109)은 제스처가 연관된 룸 명령을 판단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안에서 룩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애플리케이션(109)은 사용자가 특정 룸 명령에 해당하는 새로운 제스처를 정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프레젠테이션(134)을 시작하기 위한 룸 명령에 해당하도록 스크린을 두 번 두드리는(태핑하기) 것과 같은 제스처를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전화기(108)의 제어 애플리케이션(109)은 제스처의 형식으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제스처 인식 모드에서 동작해야 할 수 있다. 제스처 인식 모드는 제스처 인식 모드가 동작 중일 때에만 모바일 전화기(108)가 제스처들에 반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모바일 전화기(108)를 이용하거나 그 위에서 이루어진 우발적인 제스처들은 제어 애플리케이션(109)에 의해 실행되지 않을 것이다. 제스처 인식 모드는 모바일 전화기(108) 상의 키를 누르거나 터치 스크린(302)과 같이 다른 알려진 모바일 전화기 사용자 입력 구성요소들을 통해 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 애플리케이션(109)을 제스처 인식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동안 사용자는 로딩된 프레젠테이션(134)을 다음 슬라이드로 이동시키도록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에 명령을 보내기 위해 단순히 자신의 손가락을 모바일 전화기(108)의 스크린(302) 상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비슷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오디오 시스템(122)의 볼륨을 줄이도록 룸 제어기(104)로 명령을 보내기 위해 모바일 전화기(108)의 스크린(302) 상에서 위에서 아래로 자신의 손가락을 슬라이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전화기(108)의 스크린(302) 상에서 이루어지는 제스처는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을 보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전화기(108)의 스크린(302) 상에서 이루어지는 제스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들 상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의해 대표되는 구성요소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룸 안의 조명(116)에 의해 제공되는 밝기를 증가시키고 싶으면, 그 사용자는 조명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30)로 우선 이동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방 안의 조명 설비에 의해 제공된 밝기를 높이기 위해 스크린의 하부에서 상부로 자신의 손가락을 슬라이딩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룸의 밝기를 어둡게 하고자 하면, 그는 광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트롤(230)로 이동한 후 간단히 자신의 손가락을 스크린의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조명(116) 강도의 감소를 일으킬 수 있다. 스크린(302) 위에서 제스처를 만드는 동안 스크린(302) 상의 어떤 아이콘들을 누르는 것을 피하기 위해 사용자는 우선 모바일 전화기(108) 상에서 제스처 인식 모드를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이제 도 3(b)를 참조하여, 모바일 전화기를 가지고 이루어진 제스처가 미팅 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 도면이 기술될 것이다. 도 3(b)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전화기(108)의 스크린(302) 상에서 제스처를 만들고 있지 않고 그보다, 모바일 전화기(108)를 쥔 상태에서 자신의 팔, 손목, 또는 손을 움직이는 등과 같이 모바일 전화기를 가지고 제스처를 만들고 있다. 모바일 전화기(108)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제스처는 예컨대 프레젠테이션(134)의 다음 슬라이드로 이동하라는 명령에 해당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바일 전화기(108)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제스처는 프레젠테이션(134)의 이전 슬라이드로 이동하라는 명령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른 다양한 움직임들이 룸 안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명령들에 해당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모바일 전화기(108) 및 게이트웨이(102)의 동작에 관한 추가 세부사항들이 기술될 것이다. 특히,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모바일 전화기를 게이트웨이(102)에 등록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위에서 간략히 기술된 바와 같이 모바일 전화기(108)는 모바일 전화기(108)가 게이트웨이(102)에 등록되거나 게이트웨이(102)에 의해 인가될 때까지 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도록 허락되지 않을 것이다.
여기에 기술된 로직 동작들은 (1) 컴퓨팅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구현 행위들이나 프로그램 모듈들의 시퀀스 및/또는 (2) 컴퓨팅 시스템 안의 상호연결된 기계 로직 회로들이나 회로 모듈들로 구현된다. 그 구현은 컴퓨팅 시스템의 성능 및 다른 요건들에 좌우되는 선택 사항이다. 따라서, 여기에 기술되는 로직 동작들은 상태 동작들, 구조적 소자들, 행위들, 또는 모듈들이라 다양하게 불린다. 이 동작들, 구조적 소자들, 행위들, 및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용도의 디지털 로직, 및 이들의 어떤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고 여기에 기술된 것보다 많거나 더 적은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이 동작들은 여기에 기술된 실시예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루틴(400)은 모바일 전화기(108)가 게이트웨이(102)를 통해 룸 안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애플리케이션(109)을 시동하라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401)에서 시작된다. 동작(401)으로부터 루틴(400)은 모바일 전화기(108)가 게이트웨이(102)에 연결하라는 요청을 보내는 동작(402)으로 진행한다. 동작(402)으로부터, 루틴(400)은 게이트웨이(102)가 모바일 전화기(108)로부터 연결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404)으로 진행한다.
동작(404)으로부터, 루틴(400)은 게이트웨이(102)가 모바일 전화기(108)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인증 증명을 요청하는 동작(406)으로 진행한다. 인증 증명은 인가된 참가자나 모바일 전화기(108)와 연관된 유저 네임(username) 및 패스워드 또는 기기 식별자("ID")일 수 있다. 동작(406)으로부터 루틴(400)은 모바일 전화기(108)가 인증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408)으로 진행한다. 동작(408)으로부터 루틴(400)은 모바일 전화기(108)가 게이트웨이(102)로 인증 증명을 보내는 동작(410)으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전화기(108)의 사용자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이 보안화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설정함으로써 인증될 수 있다. 동작(410)으로부터 루틴(400)은 게이트웨이(102)가 인증 증명을 수신하는 동작(412)으로 진행한다.
동작(412)으로부터 루틴(400)은 게이트웨이(102)가 수신된 자격을 인증하는 동작(414)으로 진행한다. 이것은 유저 네임 및 패스워드가 유효한지 보거나, 모바일 전화기가 게이트웨이(102)나 네트워크(112)에 등록된 기기인지를 체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증명이 유효하지 않으면 루틴(400)은 게이트웨이(102)가 모바일 전화기(108)가 인증될 수 없다는 통지를 모바일 전화기(108)로 보내는 동작(416)으로 진행한다. 동작(416)으로부터 루틴(400)은 동작(406)으로 돌아간다.
동작(414)에서 게이트웨이(102)가 수신된 인증 증명이 유효하다고 판단한 경우, 루틴(400)은 게이트웨이가 등록된 기기들의 리스트에 그 모바일 전화기를 추가하는 동작(420)으로 진행한다. 등록된 기기들의 리스트는 게이트웨이(102)에 의해 인증되어 있는 모바일 전화기들과 같은 통신 기기들의 리스트이다.
동작(420)으로부터 루틴(400)은 게이트웨이(102)가 모바일 전화기(108)가 게이트웨이(102)에 등록되지 않았다는 통지를 모바일 전화기(108)로 보내는 동작(422)으로 진행한다. 이런 방식으로, 모바일 전화기(108)는 게이트웨이(102)를 통해 룸 안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시작할 수 있도록 지시된다. 동작(422)으로부터 루틴(400)은 모바일 전화기(108)가 모바일 전화기(108)가 등록된다는 통지를 수신하는 동작(424)으로 진행한다.
동작(424)으로부터 루틴(400)은 모바일 전화기(108)가 룸 안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라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426)으로 진행한다. 동작(426)으로부터 루틴(400)은 모바일 전화기(108)가 룸 안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라는 수신된 요청과 연관된 명령을 게이트웨이(102)로 보내는 동작(428)으로 진행한다. 그러면 게이트웨이(102)가 그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이것이 이하에서 도 5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게이트웨이(102)의 동작에 관한 추가 세부사항들이 기술될 것이다. 특히, 도 5는 모바일 전화기(108)로부터의 명령을 처리하기 위해 게이트웨이(102)에 의해 수행되는 루틴(500)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서, 루틴(500)은 게이트웨이(102)가 모바일 전화기(108)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동작(501)에서 시작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명령은 룸 안의 룸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룸 명령,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에 의해 발표되는 프레젠테이션(134)과 같은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명령, 또는 입력 스위치 박스(126)와 같이 입력 스위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스위치 명령일 수 있다.
동작(501)으로부터 루틴(500)은 게이트웨이(102)가 그 명령을 보내는 모바일 전화기(108)가 게이트웨이(102)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동작(502)으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102)는 모바일 전화기(108)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검사함으로써 명령을 보냈던 모바일 전화기(108)를 식별할 수 있다. 모바일 전화기(108)를 식별하면, 게이트웨이(102)는 모바일 전화기(108)가 게이트웨이(102)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모바일 전화기(1080가 게이트웨이(102)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루틴(500)은 게이트웨이(102)가 모바일 전화기(108)가 게이트웨이(102)에 등록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모바일 전화기(108)로 보내는 동작(503)으로 진행한다.
동작(502)에서 게이트웨이(102)가 명령을 보낸 모바일 전화기(108)가 게이트웨이(102)에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루틴(500)은 동작(502)으로부터 게이트웨이(102)가 모바일 전화기(108)로부터 수신된 명령이 룸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동작(504)으로 진행한다. 그 명령이 룸 명령이라고 판단될 때, 루틴(500)은 게이트웨이(102)가 룸 제어기(104)로 그 명령을 전달하는 동작(506)으로 진행한다. 그러면 룸 제어기(104)는 그 명령에 상응하는 지시를 생성하여 그 지시를 알맞은 룸 구성요소로 보낼 수 있다. 알맞은 룸 구성요소는 그러면 모바일 전화기(108)로부터 수신된 명령을 구현할 것이다. 예를 들어 룸 명령이 조명(116)을 어둡게 하라는 요청이면, 게이트웨이(102)는 조명을 어둡게 하라는 요청을 룸 제어기(104)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룸 제어기(104)는 조명(116)에 공급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한 지시를 생성하여 전송으로써 조명 설비(116)의 밝기 감소를 일으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룸 명령이 커튼(118)을 치라는 요청이면, 게이트웨이(102)는 커튼(118)을 치라는 요청을 룸 제어기(104)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룸 제어기(104)는 커튼(118)에 대한 지시를 생성하여 전송으로써 커튼과 연관된 모터가 커튼(118)을 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게이트웨이(102)는 명령이 보내지는 룸 구성요소를 식별하고 모바일 전화기(108)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상응하는 지시를 생성할 수 있다. 지시를 생성할 때, 게이트웨이(102)는 생성된 지시를 룸 제어기(104)로 보낼 수 있다. 룸 제어기(104)는 그러면, 게이트웨이(102)로부터 수신된 지시에 해당하는 지시를 생성하여 적합한 룸 구성요소로 전송으로써 게이트웨이(102)에 의해 보내진 지시에 응답한다.
동작(504)에서 게이트웨이(102)가 그 명령이 룸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루틴(500)은 게이트웨이(102)가 그 명령이 프레젠테이션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동작(508)으로 진행한다. 그 명령이 프레젠테이션 명령이라고 판단될 때, 루틴(500)은 게이트웨이(102)가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를 통해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로 그 명령을 보내는 동작(510)으로 진행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게이트웨이(102)는 그 명령을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로 전달할 수 있으며, 그러면 프레젠테이션 컴퓨터는 모바일 전화기(108)로부터 발부된 프레젠테이션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특정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로의 지시를 생성하여 보낸다. 예를 들어, 프레젠테이션 명령이 프레젠테이션(134)의 다음 슬라이드로 이동하라는 요청이면, 게이트웨이(102)는 그 명령을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로 전송으로써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가 프레젠테이션(134)의 다음 슬라이드로 이동하기 위해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134)으로 지시를 보내어 명령에 응답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프레젠테이션 명령이 프레젠테이션(134)을 로딩하라는 요청이면, 게이트웨이(102)는 그 명령을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는 모바일 전화기(108)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상응하는 지시를 생성하여 프레젠테이션(134)을 로딩하여 그 지시에 응하는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132)으로 보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전화기(108)로부터 하나의 명령을 수신할 때 여러 명령들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102)가 프레젠테이션(134)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수신할 때, 게이트웨이(102)는 룸과 연관되고 프레젠테이션을 발표하는 데에 유용한 다른 구성요소들이 프레젠테이션(134)의 전달을 위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게이트웨이(102)는 모바일 전화기(108)로부터 프레젠테이션(134)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수신할 때 게이트웨이(102)가 수행해야 하는 미리 규정된 동작들의 리스트를 가질 수 있다. 미리 규정된 동작들의 리스트는 프레젠테이션을 시작하기 위해 어떤 구성요소들이 필요한지를 결정하는 것, 그 구성요소들이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파워 온되고 준비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 및 그들이 프레젠테이션에 대해 준비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때 프레젠테이션에 준비하라는 명령을 보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젠테이션(134)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수신한 시간에 프로젝터(140)가 꺼져 있으며 프로젝션 스크린(124)이 올려져 있으면, 게이트웨이(102)는 프레젠테이션(134)을 발표하는 것과 연관된 미리 규정된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룸 제어기(104)에게 프로젝터(140)를 켜고 프로젝션 스크린(124)을 하강시키고, 오디오 시스템(122)의 파워를 켜며, 프레젠테이션 컴퓨터를 입력 스위치 박스(126)의 비디오 입력 소스로서 선택하라는 요청들을 보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가 프레젠테이션(134)을 시작하라는 하나의 명령을 수신할 때, 프레젠테이션(134)은 프로젝터(140)를 통해 프로젝션 스크린(124)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프레젠테이션(134)의 오디오가 오디오 시스템(122)을 통해 나올 수 있다. 이 예로부터 하나 이상의 룸 구성요소들,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들, 및 입력 스위치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명령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동작(508)에서 게이트웨이(102)가 그 명령이 프레젠테이션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루틴(500)은 게이트웨이(102)가 그 명령이 입력 스위치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동작(512)으로 진행한다. 그 명령이 입력 스위치 명령이라고 판단될 때, 루틴(500)은 입력 스위치 박스(126)가 입력 스위치 명령에 응답하게 유도되는 동작(514)으로 진행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게이트웨이(102)는 그 명령을 입력 스위치 박스(126)로 직접, 혹은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나 룸 제어기(104)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입력 스위치 박스(126)가 입력 스위치 명령에 답하게 할 수 있다.
동작(512)에서 게이트웨이(102)가 그 명령이 입력 스위치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루틴(500)은 게이트웨이(102)가 그 명령이 무효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통지를 모바일 전화기(108)로 보내는 동작(512)으로 진행한다. 동작(516)으로부터 루틴(500)은 그것이 종료되는 동작(518)으로 진행한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모바일 전화기의 사용을 언급하지만, 어떠한 모바일 기기라도 여기에 기술된 모바일 전화기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애플 아이패드, 애플 아이터치, 터치 스크린 리모콘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들이 여기에 기술된 모바일 전화기(108)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터(600)를 도시한 전형적인 컴퓨터 구조도가 예시된다. 도 6에 도시된 컴퓨터 구조는 게이트웨이(102), 룸 제어기(104),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 및 모바일 전화기(108)를 구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600)는 중앙 처리 유닛(CPU)(602), RAM(random access memory)(611) 및 ROM(read only memory)(612)을 포함하는 시스템 메모리(604) 및 메모리(604)를 CPU(602)에 연결하는 시스템 버스(606)를 포함한다. 컴퓨터(600)는 하나 이상의 운영체제들(616) 및 프로그램 모듈들(618)을 저장하기 위한 대용량 저장 장치(6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들(618)의 예들은 도 1-5와 관련하여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102)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애플리케이션(109)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 룸 제어기(104), 또는 프레젠테이션 컴퓨터(106)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저장 장치(614)는 버스(606)에 연결된 매스 저장 제어기(미도시)를 통해 CPU(602)에 연결될 수 있다. 대용량 저장 장치(614) 및 그것의 연관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600)에 비휘발성 저장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 포함된 컴퓨터 저장 매체에 대한 내용은 하드 디스크나 CD-ROM 드라이브와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를 언급하지만, 컴퓨터 저장 매체가 컴퓨터(60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모든 이용가능한 컴퓨터 저장 매체일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이나 다른 데이터 같은 정보의 일시적이 아닌 저장을 위해 어떤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착탈형 및 비착탈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반도체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ks), HD-DVD, BLU-RAY 또는 다른 광학 저장부, 마그네틱 카세트, 마그네틱 테이프, 마그네틱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마그네틱 저장 소자,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60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어떤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컴퓨터(600)는 네트워크(112)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컴퓨터들로의 논리 접속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화된 환경 안에서 동작할 수 있다. 컴퓨터(600)는 버스(606)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610)을 통해 네트워크(112)에 연결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610)은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들에 연결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컴퓨터(600)는 또한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게임 제어기 및 모바일 전화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입력 기기들(미도시)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입/출력 제어기(608)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입/출력 제어기(608)는 디스플레이나 다른 종류의 출력 기기(미도시)로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버스(606)는 CPU(602)가 대용량 저장 장치(614)나 다른 컴퓨터 저장 매체로/로부터 코드를 읽게 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비한정적인 것으로서 반도체, 자성 물질, 광학기 등을 포함하는 어떤 적절한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저장 요소들의 형식으로 된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플래시 또는 다른 유형의 기술을 특징으로 하는지를 불문하고 메모리 구성요소들을 나타낼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또한 하드 드라이브들로 구현될지 다른 것들로 구현될지를 불문하고 이차 저장부를 나타낼 수도 있다. 하드 드라이브 구현예들은 반도체를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자기적으로 인코딩된 정보를 저장하는 회전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들(618)은 프로세싱 유닛(602)에 로딩되어 실행될 때 컴퓨터(600)가 룸과 연관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들(618)은 이 내용 전체를 통해 논의된 구성요소들, 플로우들, 및 데이터 구조들을 이용하여 컴퓨터(600)가 전반적 시스템들이나 운영 환경들 안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도구들이나 기법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618)은 프로세싱 유닛(602)에 로딩되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유닛(602) 및 전체 컴퓨터(600)를 범용 컴퓨팅 시스템에서 룸과 연관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도록 맞춤화된 특수 용도의 컴퓨팅 시스템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602)은 임의 개의 트랜지스터들이나 다른 개개 회로 요소들로부터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개별적으로나 집합적으로 임의 개의 상태들을 가질 수 있다. 더 상세히 말하면, 프로세싱 유닛(602)은 프로그램 모듈들(618) 안에 포함된 실행 가능 명령어들에 대응하여 유한 상태 머신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은 프로세싱 유닛(602)이 상태들 사이에서 어떻게 천이하는지를 특정함으로써 프로세싱 유닛(602)을 변형함으로써 프로세싱 유닛(602)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이나 다른 개개 하드웨어 요소들을 바꿀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들(618)의 인코딩은 또한 컴퓨터 저장 매체의 물리적 구조를 바꿀 수 있다. 물리적 구조의 특정 변형은 이 내용의 각종 구현예들 내에서 다양한 요인들에 달려있을 수 있다. 그러한 요인들의 예들은 컴퓨터 저장 매체가 일차 저장부 또는 이차 저장부를 특징으로 하는지 등의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저장 매체를 구현하는 데에 사용되는 기술을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컴퓨터 저장 매체가 반도체 기반 메모리로서 구현되는 경우 프로그램 모듈들(618)은 소프트웨어가 그 안에서 인코딩될 때 반도체 메모리의 물리적 상태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들(618)은 반도체 메모리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 커패시터들, 또는 다른 개개 회로 요소들의 상태를 바꿀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컴퓨터 저장 매체는 자기 또는 광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구현예들에서 프로그램 모듈들(618)은 소프트웨어가 그 안에서 인코딩될 때 자기나 광 매체의 물리적 상태를 바꿀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주어진 자기적 매체 내 특정 위치들의 자기적 특성들을 바꾸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또한 주어진 광 매체 내 특정 위치들의 물리적 특성들이나 특징들을 바꾸어 그 위치들의 광학적 특징들을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리적 매체의 다른 변형들이 본 내용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가능하며, 상술한 예들은 이 논의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만 제공된다.
전술한 사항에 기반하여, 모바일 전화기를 이용해 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들이 여기에 제시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에 제시된 발명 대상이 컴퓨터 구조의 특징들, 방법론적 행위들,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특정되는 언어로 기술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이 여기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 행위들 또는 매체에 꼭 국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특정한 특징들, 행위들 및 매체들은 청구범위를 구현하는 예시적 형태들로서 개시된다.
상술한 발명 대상은 예시로서만 주어지며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예시되고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따르지 않으면서 그리고 이하의 청구범위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기에 기술된 발명 대상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5)

  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룸과 연관된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으로서,
    모바일 기기로부터 룸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명령이 상기 룸과 연관된 룸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룸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명령이 상기 룸과 연관된 룸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룸 명령이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룸 구성요소가 상기 룸 명령에 응답하게 하는 단계,
    상기 명령이 룸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명령이 프레젠테이션과 연관된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이 프레젠테이션과 연관된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명령이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가 상기 프레젠테이션 명령에 응답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모바일 전화기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이 룸 명령도 프레젠테이션 명령도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명령이 입력 스위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이 입력 명령이라고 판단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스위치 구성요소가 상기 입력 명령에 응답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룸 구성요소가 상기 룸 명령에 응답하게 하는 단계는, 상기 룸 명령과 연관된 룸 구성요소를 식별하며 상기 룸 명령과 연관된 상기 룸 구성요소로 상기 룸 명령을 보내도록 구성된 룸 제어기로 상기 룸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룸 명령이 실행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가 상기 프레젠테이션 명령에 응답하게 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젠테이션 명령과 연관된 상기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로 상기 프레젠테이션 명령에 상응하는 지시를 보내도록 구성된 프레젠테이션 컴퓨터로 상기 프레젠테이션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레젠테이션 명령이 실행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전화기로부터 명령을 수신할 경우, 상기 모바일 전화기가 명령을 보내도록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전화기가 명령을 보내도록 인가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모바일 전화기가 명령을 보내도록 인가되어 있지 않다는 응답을 상기 모바일 전화기로 반환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전화기가 명령을 보내도록 인가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명령과 연관된 구성요소가 상기 명령에 응답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룸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명령은 상기 모바일 전화기로 만들어진 제스처 또는 상기 모바일 전화기의 스크린상에 만들어진 제스처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가진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9. 하나 이상의 모바일 전화기를 이용하여 미팅 룸 콘트롤이 제어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모바일 전화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명령이 상기 룸과 연관된 룸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룸 명령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명령이 상기 룸과 연관된 룸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룸 명령이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룸 구성요소가 상기 룸 명령에 응답하게 하고,
    상기 명령이 룸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명령이 프레젠테이션과 연관된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명령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명령이 프레젠테이션과 연관된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명령이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가 상기 프레젠테이션 명령에 응답하게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이 룸 명령이나 프레젠테이션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명령이 입력 스위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명령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명령이 입력 명령이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입력 스위치 구성요소가 상기 입력 명령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룸 구성요소가 상기 룸 명령에 응답하게 하는 것은 상기 룸 명령과 연관된 룸 구성요소를 식별하며 상기 룸 명령과 연관된 상기 룸 구성요소로 상기 룸 명령에 상응하는 지시를 보내도록 구성된 룸 제어기로 상기 룸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룸 명령이 실행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젠테이션 구성요소가 상기 프레젠테이션 명령에 응답하게 하는 것은 상기 프레젠테이션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레젠테이션 컴퓨터로 상기 프레젠테이션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프레젠테이션 명령이 실행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전화기로부터 명령을 수신할 경우, 상기 모바일 전화기가 명령을 보내도록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전화기가 명령을 보내도록 인가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모바일 전화기가 명령을 보내도록 인가되어 있지 않다는 응답을 상기 모바일 전화기로 반환하며,
    상기 모바일 전화기가 명령을 보내도록 인가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명령과 연관된 구성요소가 상기 명령에 응답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전화기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모바일 전화기를 등록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모바일 전화기를 인증하며,
    상기 모바일 전화기를 인증했을 경우, 상기 모바일 전화기를 등록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룸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명령은 상기 모바일 전화기로 만들어진 제스처 또는 상기 모바일 전화기의 스크린상에 만들어진 제스처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37008600A 2010-10-04 2011-08-28 모바일 전화기 호스팅 미팅 제어 기법 KR101771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96,926 US8331908B2 (en) 2010-10-04 2010-10-04 Mobile telephone hosted meeting controls
US12/896,926 2010-10-04
PCT/US2011/049472 WO2012047407A1 (en) 2010-10-04 2011-08-28 Mobile telephone hosted meeting contro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306A true KR20130100306A (ko) 2013-09-10
KR101771280B1 KR101771280B1 (ko) 2017-08-24

Family

ID=4588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600A KR101771280B1 (ko) 2010-10-04 2011-08-28 모바일 전화기 호스팅 미팅 제어 기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331908B2 (ko)
EP (1) EP2625821B1 (ko)
JP (1) JP2013539329A (ko)
KR (1) KR101771280B1 (ko)
CN (1) CN102404450B (ko)
AU (1) AU2011312738B2 (ko)
BR (1) BR112013008069B1 (ko)
CA (1) CA2813378C (ko)
RU (1) RU2595948C2 (ko)
TW (1) TWI559726B (ko)
WO (1) WO20120474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205223C1 (en) 2011-08-09 2013-03-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hysical interaction with virtual objects for DRM
US10019962B2 (en) 2011-08-17 2018-07-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xt adaptive user interface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
US9153195B2 (en) 2011-08-17 2015-10-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contextual personal information by a mixed reality device
WO2013028813A1 (en) * 2011-08-23 2013-02-28 Microsoft Corporation Implicit sharing and privacy control through physical behaviors using sensor-rich devices
WO2013028908A1 (en) 2011-08-24 2013-02-28 Microsoft Corporation Touch and social cues as inputs into a computer
JP5703194B2 (ja) * 2011-11-14 2015-04-15 株式会社東芝 ジェスチャ認識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30091197A (ko) * 2012-02-07 2013-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정 정보 완성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SG2014010144A (en) 2013-02-20 2014-08-28 Panasonic Corp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and program
TWI495395B (zh) 2013-03-11 2015-08-01 Gunitech Corp 控制燈具之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
US20150067536A1 (en) * 2013-08-30 2015-03-05 Microsoft Corporation Gesture-based Content Sharing Between Devices
JP6296813B2 (ja) * 2014-01-30 2018-03-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837042B2 (en) * 2015-11-19 2017-12-05 Viewsonic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jection system with auto-project portable device for displaying images automatically
US10455669B1 (en) 2018-11-28 2019-10-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targeted illumination based on aggregate illumination from multiple light 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3029B1 (en) * 1996-03-14 2001-04-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bined mobile telephone and remote control terminal
JP2002354555A (ja) * 2001-05-23 2002-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US20030103075A1 (en) * 2001-12-03 2003-06-05 Rosselot Robert Charle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conference facilities and equipment
US20030224807A1 (en) * 2002-05-28 2003-12-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presentation equipment
US6792323B2 (en) * 2002-06-27 2004-09-14 Openpeak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controlled residential or non-residential environments
JP4698129B2 (ja) * 2003-03-31 2011-06-08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装置
US20040203387A1 (en) * 2003-03-31 2004-10-14 Sbc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ances with a wireless data enabled remote control
US20050132047A1 (en) * 2003-07-10 2005-06-16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Targeted messag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050226468A1 (en) * 2004-03-30 2005-10-1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context awareness in a wireless system
US20060020816A1 (en) * 2004-07-08 2006-01-26 Campbell John R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uthentication attempts
JP4429837B2 (ja) * 2004-07-29 2010-03-10 大九産業株式会社 遠隔監視用切替装置
US7634802B2 (en) * 2005-01-26 2009-12-15 Microsoft Corporation Secure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plug and play network
TWI273825B (en) * 2005-10-28 2007-02-11 Inventec Appliances Corp Communication mode switching system and method
US7640351B2 (en) 2005-11-04 2009-12-29 Intermatic Incorporated Application updating in a home automation data transfer system
FR2893131A1 (fr) 2005-11-09 2007-05-11 Centre Nat Rech Scient Procede de detection de nanoparticules et ses applications
ES2276617B1 (es) 2005-12-01 2008-06-16 Colaboradores En Tecnologia Para La Empresa, S.L. Sistema de control inalambrico de dispositivos mediante un aparato con telefono movil.
TWI306699B (en) * 2006-01-27 2009-02-21 Wistron Corp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remote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US20070220598A1 (en) * 2006-03-06 2007-09-20 Cisco Systems, Inc. Proactive credential distribution
JP2008035108A (ja) * 2006-07-27 2008-02-14 Kyocera Corp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サーバおよびホームネットワークの制御方法
WO2008091517A1 (en) * 2007-01-19 2008-07-31 Kabushiki Kaisha Toshiba Kerberized handover keying
US8064882B2 (en) * 2007-03-09 2011-11-22 Cisco Technology, Inc. Blacklisting of unlicensed mobile access (UMA) users via AAA policy database
US8538757B2 (en) 2007-05-17 2013-09-17 Redstart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of a list commands utility for a speech recognition command system
JP2009044558A (ja) * 2007-08-09 2009-02-26 Funa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49761A (ja) * 2007-08-21 2009-03-05 Nakayo Telecommun Inc リモート制御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US20090156251A1 (en) * 2007-12-12 2009-06-18 Alan Cannistraro Remote control protocol for media systems controlled by portable devices
US7506259B1 (en) 2008-02-14 2009-03-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mapping of abstract user interface to a mobile device at run time
US9503562B2 (en) * 2008-03-19 2016-11-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personal communication or entertainment device
US9576157B2 (en) * 2008-04-02 2017-02-21 Yougetitback Limited Method for mitigating the unauthorized use of a device
US8150387B2 (en) * 2008-06-02 2012-04-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mart phone as remote control device
US20100122215A1 (en) 2008-11-11 2010-05-13 Qwebl, Inc. Control interface for home automation system
US9342231B2 (en) * 2008-12-29 2016-05-17 Apple Inc. Remote control of a presentation
CN101500036A (zh) * 2009-01-06 2009-08-05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投影仪的显示内容的方法、移动终端及投影仪
EP2556450A4 (en) * 2010-04-09 2017-06-07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media presentation on devices via an information space
US9009810B2 (en) * 2010-05-28 2015-04-1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ctive author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13378C (en) 2018-08-07
BR112013008069B1 (pt) 2022-04-12
EP2625821B1 (en) 2018-09-19
WO2012047407A1 (en) 2012-04-12
AU2011312738B2 (en) 2014-06-12
EP2625821A4 (en) 2017-03-29
RU2595948C2 (ru) 2016-08-27
BR112013008069A2 (pt) 2016-06-14
US20120083244A1 (en) 2012-04-05
CA2813378A1 (en) 2012-04-12
AU2011312738A1 (en) 2013-04-18
KR101771280B1 (ko) 2017-08-24
JP2013539329A (ja) 2013-10-17
CN102404450B (zh) 2014-06-04
TW201216669A (en) 2012-04-16
CN102404450A (zh) 2012-04-04
US8331908B2 (en) 2012-12-11
TWI559726B (zh) 2016-11-21
RU2013114984A (ru) 2014-10-10
EP2625821A1 (en)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1908B2 (en) Mobile telephone hosted meeting controls
US11750734B2 (en) Methods for initiating output of at least a component of a signal representative of media currently being played back by another device
US11429345B2 (en) Remote execution of secondary-device drivers
US11683408B2 (en)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US1024216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smart device
KR101465906B1 (ko)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CN103154856B (zh) 针对手势识别的环境相关动态范围控制
US9389691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ve coupling in response to a gesture
WO2017071077A1 (zh) 界面显示方法及装置
KR20150009064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94815A (ko) 다중 디스플레이 기반 전자 장치
US1027061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imed task
WO2016179912A1 (zh) 一种应用程序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AU20152026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display
KR20200076588A (ko) 헤드 마운트 장치 입력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53498B1 (ko) 기능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56290B1 (ko) 통신 그룹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226817B1 (ko) 콘텐츠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1391553B1 (ko) 스마트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US20170220358A1 (en) Identification and presentation of element at a first device to control a second device
US201700685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413870B2 (en)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ttribute of application based on motion and method thereof
KR20150108591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