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698A -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698A
KR20130099698A KR1020120021398A KR20120021398A KR20130099698A KR 20130099698 A KR20130099698 A KR 20130099698A KR 1020120021398 A KR1020120021398 A KR 1020120021398A KR 20120021398 A KR20120021398 A KR 20120021398A KR 20130099698 A KR20130099698 A KR 20130099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grid
screen
siz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4386B1 (ko
Inventor
황미영
류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21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386B1/ko
Priority to US13/706,923 priority patent/US20130227497A1/en
Publication of KR20130099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로, 표시부와,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그리드 형태로 구성한 대기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Background Display based on Grid}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화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홀드 또는 스크린 세이버 상태에서 출력되는 대기 화면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의 발달로 핸드폰, PDA폰 등을 포함하는 모바일 폰의 사용은 일반화되어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폰의 폴더를 열게 되면 표시창에는 대기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대기화면은 기본적으로 시간, 날짜 등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모바일폰 기기상의 메뉴에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대기화면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있다.
한편, 개성을 중시하는 시대상황의 변화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분야에서도 제조자 위주의 획일적인 제품생산 보다는 사용자 각자가 자신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사용자 위주의 제품생산으로 그 생산 방향이 전환되고 있다. 그 일 예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대기화면이 제조자에 의해 설정된 이미지로 한정되었으나, 근래에는 각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대기 화면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대기 화면 선택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 제작시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들이나 인터넷 등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들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들로 대기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한번에 한장의 고정된 이미지가 대기 화면으로 출력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장시간에 걸쳐 화면이 변경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대기화면을 다른 것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버튼 동작이 수반되게 되어 선택과정에 시간이 소요되고 불편하다. 따라서, 현재의 이동 통신 단말로는 하나의 화면의 배경 형상이나 배경 색깔 등과 같이 화면을 구성하는 일부분을 변경하여 대기화면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는 한계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의 복수 개의 이미지들을 동시에 대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리드 기반으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로, 표시부와,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그리드 형태로 구성한 대기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서 그리드 기반 배경 화면 생성 방법으로, 대기 화면 출력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대기 화면 출력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그리드의 형태로 구성하여 대기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 화면에 표시될 복수 개의 이미지를 동시에 대기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대기 화면 변경시 그 조작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미리 지정된 개수의 이미지를 동시에 대기 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한번에 여러 개의 이미지를 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리드 기반 배경 화면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리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 레이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일 레이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이미지 크기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리드 기반 배경 화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복수 레이어로 구현된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복수 레이어로 구현된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사용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내장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을 그리드 기반으로 구성하여, 다수의 이미지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폰,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이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기 화면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홀드 요청시 출력되는 화면 뿐만 아니라, PC상에서 장시간 사용자의 입력이 없을 경우 스크린 세이버가 구동되는 경우에 출력 화면도 포함될 수 있다. 즉, 해당 PC내 메모리에서 이미지를 불러와서 동적으로 스크린세이버(대기화면)로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액자의 경우도 액자에 표시되는 대상이 그리드 형태의 이미지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리드 기반 배경 화면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는 표시부(110), 입력부(120), 메모리(130), 버퍼(135)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표시부(11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 장치로서,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바이스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이미지를 기본 셀 단위에 기반한 그리드 형태의 동적 화면 내 출력되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그리드의 정의 및 사용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서는 표시부(110) 및 입력부(120)가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터치 스크린과 같이 표시부(110) 및 입력부(120)가 통합된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어 키 버튼 누름시마다 키데이터를 발생하는 키입력부나, 터치 스크린, 마우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110)와 연동되어 제어부(140)가 프로세싱(processing)하는 정보를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그리드 레이아웃을 설정하기 위한 출력 영역 정보, 기본 셀 크기 정보, 랜덤 셀 관련 정보, 출력 이미지 선택 정보, 홀드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아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메모리(130)는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 및 저장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버퍼(135)는 임시 저장 장소로 이미지 설정부(142)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들을 개별 이미지, 개별 이미지의 조합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기 화면 셋 단위로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대기화면 셋은 대기화면에 동시에 출력할 이미지들의 집합을 뜻한다.
제어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 기반 배경 화면 생성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하드웨어 프로세서 또는 이 하드웨어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상세하게는 그리드 레이아웃 설정부(141), 이미지 설정부(142) 및 화면 출력부(143)를 포함한다.
그리드 레이아웃 설정부(141)는 표시부(110)에 출력될 대기 화면의 형태를 설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이미지들을 그리드 기반 형태로 출력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리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드(Grid)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격자 또는 바둑판의 형태로, 화면이 수직 방향의 직선들과 수평 방향의 직선들로 분할되어 생성된 망을 의미한다. 그리고, 망을 형성하는 직사각형들을 셀이라 하고, 이러한 셀들의 집합을 그리드 레이아웃이라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의 길이가 a이고, 세로의 길이가 b인 최소 면적을 가지는 셀(210)을 기본 셀이라 하고, 다수개의 기본 셀들로 이루어진 셀(220)을 랜덤 셀이라 한다.
그리드 레이아웃 설정부(141)는 그리드 레이아웃을 설정하기 위해, 기본 셀의 사이즈, 랜덤 셀의 사이즈 및 그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그리드 레이아웃 설정부(141)는 본 발명에서 화면 전체 또는 화면 일부에 선택적으로 이미지들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출력 영역을 설정한다. 도 3a는 전체 화면이 출력 영역으로 설정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전체 화면의 일부가 출력 영역으로 설정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그리드 레이아웃 설정부(141)에 의한 기본셀 사이즈의 결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그리드 레이아웃 설정부(141)는 기본셀의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해 가로 셀 갯수, 세로 셀 갯수 및 출력 영역값을 획득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로 셀 갯수가 4이고, 세로 셀 갯수가 6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값들을 획득함에 있어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일 예로 디바이스 제조사에 의해 미리 지정된 값으로 정해질 수도 있고,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그리드 레이아웃 설정부(141)는 상기 획득된 값으로 기본 셀의 가로 사이즈 및 세로 사이즈를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한다.
<수학식 1>
셀 가로 사이즈 = 출력 영역의 가로 사이즈 / 가로 셀 갯수
셀 세로 사이즈 = 출력 영역의 세로 사이즈 / 세로 셀 갯수
다음으로, 그리드 레이아웃 설정부(141)에 의한 랜덤 셀 사이즈 및 위치의 결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드 레이아웃 설정부(1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셀 보다 큰 사이즈의 랜덤 셀의 크기 및 위치를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 계산한다.
<수학식 2>
랜덤 셀의 가로 사이즈 = 셀 가로 사이즈 * random value 1
랜덤 셀의 세로 사이즈 = 셀 세로 사이즈 * random value 2
랜덤 셀 X 좌표 = random value 3
랜덤 셀 Y 좌표 = random value 4
상기 <수학식 2>의 random value들은 랜덤 셀의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값으로, 일 예로 정수가 될 수 있다. 즉, 셀 가로 사이즈에 정수배하면 랜덤 셀의 가로 사이즈가 결정되고, 셀 세로 사이즈를 정수배하면 랜덤 셀의 세로 사이즈가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random value는 정수가 아닌 값일 수도 있다. 이러한 random value를 획득하는 것을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일 실시 예로 디바이스 제조사에 의해 미리 지정된 값이 사용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그리드 레이아웃 설정부(1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계산된 기본셀 및 랜덤셀을 하나의 단일 레이어에 구성하거나, 각각 별도의 레이어에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 레이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본셀 및 랜덤셀이 각각 별도의 두 개의 레이어(410, 420)에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레이어 구성의 최소 단위는 기본셀이나, 대기 화면을 구성하는 사진 크기의 최소 단위는 기본 셀 크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대기 화면을 구성하는 사진 크기의 최소 단위를 표시 단위라고 정의하면, 제 1 레이어는 기본셀 4개로 이루어진 제 1 표시 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제 2 레이어는 기본셀 2개로 이루어진 제 2 표시 단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그리드 레이 아웃 설정부(141)는 둘 이상의 레이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 1 레이어는 기본셀을 표시 단위로 하고, 제 2 레이어는 기본셀 2개로 이루어진 랜덤셀을 표시 단위로 하고, 제 3 레이어는 기본셀 4개로 이루어진 랜덤셀을 표시 단위로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일 레이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덤 셀을 먼저 설정하고, 도 5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덤셀이 설정되지 않은 공간에 기본셀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단일 레이어 구성 방법이 복수의 레이어를 이용하는 것보다 메모리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이미지 설정부(142)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이미지 전체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이미지들 중에서 기 설정한 수만큼의 다수의 이미지를 무작위(random)로 선택하여 대기화면 셋으로 구성하여 버퍼(135)에 저장한다. 이때, 이미지 설정부(142)는 대기화면 셋을 미리 다수 개 구성하여 상기 버퍼(135)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사용자가 설정한 한 장의 이미지를 출력하고 다른 사진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직접 이미지 선택 및 저장이 필요한 것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리스트화하여 하나 이상의 대기 화면 셋을 구성하고, 그 중 랜덤으로 타겟 이미지를 기본셀 또는 랜덤셀에 매핑되도록 한다.
화면 출력부(143)는 대기 화면 출력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버퍼(135)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대기 화면 셋을 그리드 레이아웃 설정부(141)에 의해 설정된 그리드 형태로 출력되도록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미지들의 크기는 전술한 셀의 크기보다 큰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화면 출력부(143)는 이미지들을 기본 셀 또는 랜덤셀의 크기에 맞게 크기 조절을 해야한다.
도 6은 이미지 크기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미지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가 가능한데, 첫 번째로 이미지를 원래 크기 그대로 메모리에 로딩(610a)한 후, 작은 이미지(610b)로 리사이징한다. 그리고, 사이즈가 조절된 작은 이미지(610b)를 그리드에 출력한다.
두 번째로, 로딩할 때 옵션으로 사이즈를 주어 작은 이미지(620)만큼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로딩한다. 그리고, 사이즈가 조절된 작은 이미지(620)를 그리드에 출력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이미지를 배경 화면에 출력하는 것으로, 메모리 절감 차원에서 두 번째 방법이 더 바람직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 출력부(143)는 두 개의 레이어(410, 420)를 순차적으로 겹쳐지도록 디스플레이한다. 화면 출력부(143)는 랜덤셀로 구성된 레이어(410)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위에 기본셀로 구성된 레이어(420)를 겹쳐지도록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반대로 기본셀로 구성된 레이어(420)를 디스플레이하고 랜덤셀로 구성된 레이어(410)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화면 출력부(143)는 하나의 레이어에 랜덤셀 및 기본셀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도 5의 (a)와 같이 랜덤셀에 이미지가 우선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도 5의 (b) 및 (c)와 같이 나머지 기본 셀들에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는, 기본셀들에 이미지가 우선 출력되도록 하고, 랜덤셀을 나중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 출력부(143)는 이미지가 출력될 때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어 서서히 등장하도록 할 수 있고, 모든 셀의 출력이 끝나면 루프와 같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지속적인 변화를 줄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리드 기반 배경 화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710 단계에서 그리드 레이아웃을 결정할 변수들을 결정한다. 결정될 변수들은 출력 영역의 크기, 기본셀들의 크기, 랜덤 셀들의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변수들이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값들을 획득함에 있어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일 예로 디바이스 제조사에 의해 설정된 디폴트값으로 정해질 수도 있고,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로부터 설정값 요구 요청에 따라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720 단계에서 대기 화면 출력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대기화면 출력 이벤트는 디바이스의 홀드 상태 요청, PC 등의 스크린 세이버 출력 이벤트 또는 홀드 상태가 아니더라도 스크린이 꺼졌다가 켜지는 이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720 단계의 판단 결과 대기 화면 출력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제어부(140)는 730 단계에서 그리드 레이 아웃을 설정한다. 이는 표시부(110)에 출력될 대기 화면의 형태를 설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이미지들을 그리드 기반 형태로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그리드 레이아웃을 설정하기 위해, 기본셀의 사이즈, 랜덤 셀의 사이즈 및 그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화면 전체 또는 화면 일부에 이미지들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출력 영역을 결정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710 단계에서 획득된 가로 셀 갯수, 세로 셀 갯수 및 출력 영역값을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기본 셀의 크기, 즉 가로 사이즈 및 세로 사이즈를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셀 보다 큰 사이즈의 랜덤 셀의 크기 및 위치를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계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 셀의 사이즈 및 랜덤셀의 크기 및 위치 등이 결정되면 그리드 레이아웃을 통해 출력될 이미지의 갯수가 결정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두 가지 실시 예가 가능한데, 하나는 복수 레이어에 의한 출력 방식과, 단일 레이어에 의한 출력 방식이다. 복수 레이어 출력 방식은 랜덤 셀과 기본 셀을 각각 상이한 레이어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고, 단일 레이어 출력 방식은 랜덤 셀과 기본셀을 하나의 레이어에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740 단계에서 메모리(130)에 저장된 이미지 전체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이미지들 중에서 730 단계에 의해 결정된 수만큼의 다수의 이미지를 무작위(random)로 선택하여 대기화면 셋으로 구성하여 버퍼(135)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대기화면 셋을 미리 다수개를 구성하여 상기 버퍼(135)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130)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리스트화하여 하나 이상의 대기 화면 셋을 구성하고, 그 중 랜덤으로 타겟 이미지를 기본셀 또는 랜덤셀에 매핑되도록 한다. 이때, 이미지들은 기본셀의 크기보다 큰 경우가 많으므로, 이미지들을 기본 셀 또는 랜덤셀의 크기에 맞게 크기 조절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로딩할 때 옵션으로 사이즈를 주어 작은 이미지만큼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로딩한다.
제어부(140)는 750 단계에서 버퍼(135)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그리드 형태로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두 가지 실시 예가 가능한데, 하나는 복수 레이어에 의한 출력 방식과, 단일 레이어에 의한 출력 방식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의 순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710 단계의 그리드 레이 아웃 변수 결정 단계는 720 단계의 대기 화면 출력 이벤트 발생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고, 730 단계 및 740 단계가 720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홀드 요청시의 대기 화면 생성하는 실시 예를 통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복수 레이어로 구현된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810 단계에 홀드 요청이 입력됨에 따라, 이전 홀드 상태이었는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홀드는 홀드 해제하여 홈으로 진입하게 되면 홀드시 대기 화면에 관련된 동작은 중지되고, 다시 홀드 상태가 되면 홀드 대기 화면을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홀드 해제 상태에서 홀드 상태로 변경된 것이라면 그리드 레이아웃을 다시 구성하고, 만약 홀드 상태에서 스크린만 켜진 것이라면 이미지 출력만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820 단계의 판단 결과 이전이 홀드 상태일 경우 870 단계로 진행하여 스크린이 켜짐에 따라 880 단계의 이미지 출력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820 단계의 판단 결과 이전이 홀드 상태가 아닐 경우, 제어부(140)는 그리드 레이아웃을 새롭게 설정하게 된다. 그리드 레이아웃을 설정하기 위해, 기본셀의 사이즈, 랜덤 셀의 사이즈 및 그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화면 전체 또는 화면 일부에 이미지들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출력 영역을 결정한다.
제어부(140)는 830 단계에서 출력 영역을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840 단계에서 출력 이미지 수를 계산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획득된 가로 셀 갯수, 세로 셀 갯수 및 출력 영역값을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기본셀의 크기, 즉 가로 사이즈 및 세로 사이즈를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셀 보다 큰 사이즈의 랜덤 셀의 크기 및 위치를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계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 셀의 사이즈 및 랜덤셀의 크기 및 위치 등이 결정되면 그리드 레이아웃을 통해 출력될 이미지의 갯수가 결정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850 단계에서 하나의 레이어에 기본 셀 레이아웃을 구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860 단계에서 다른 하나의 레이어에 랜덤 셀 레이아웃을 구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870 단계에서 스크린이 켜져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870 단계의 판단 결과 스크린이 켜져 있는 상태일 경우, 제어부(140)는 두 개의 레이어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870 단계의 판단 결과 스크린이 켜져 있지 않은 상태일 경우, 제어부(140)는 스크린이 켜지는지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의 순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복수 레이어로 구현된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910 단계에 홀드 요청이 입력됨에 따라, 이전 홀드 상태이었는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920 단계의 판단 결과 이전이 홀드 상태일 경우 980 단계로 진행하여 스크린이 켜짐에 따라 990 단계의 이미지 출력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920 단계의 판단 결과 이전이 홀드 상태가 아닐 경우, 제어부(140)는 그리드 레이아웃을 새롭게 설정하게 된다.
제어부(140)는 930 단계에서 출력 영역을 계산하고, 940 단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기본셀의 크기 및 랜덤 셀의 크기를 계산하여 그리드 레이아웃을 통해 출력될 이미지의 갯수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단일 레이어에 기본셀 및 랜덤셀이 구성되도록 하기 위해, 우선 950 단계에서 랜덤 셀의 위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960 단계에서 기본 셀의 위치를 설정하는데, 970 단계에서 설정된 기본 셀의 위치가 랜덤셀에 의해 이미 설정된 위치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970 단계의 판단 결과 기본 셀의 위치가 랜덤셀에 의해 설정된 위치일 경우, 제어부(140)는 960 단계에서 기본셀의 위치를 재설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970 단계의 판단 결과 기본셀의 위치가 랜덤셀에 의해 설정된 위치가 아닐 경우, 제어부(140)는 설정된 기본셀의 위치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980 단계에서 스크린이 켜져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980 단계의 판단 결과 스크린이 켜져 있는 상태일 경우, 제어부(140)는 이미지를 단일 레이어를 통해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980 단계의 판단 결과 스크린이 켜져 있지 않은 상태일 경우, 제어부(140)는 스크린이 켜지는지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의 순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표시부와,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양한 사이즈의 이미지를 기본 셀 단위에 기반한 그리드 형태의 동적 화면 내 출력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바이스의 홀드 상태 요청 이벤트, 스크린 세이버 출력 이벤트 또는 표시부가 구동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대기 화면 출력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그리드 형태로 구성한 대기 화면을 생성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리드에 포함되는 셀의 개수, 크기 또는 위치를 결정하는 그리드 레이 아웃 설정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양한 사이즈의 이미지를 셀에 매핑하는 이미지 설정부와,
    상기 이미지 설정부에 의해 매핑된 이미지로 구성되는 상기 그리드 형태의 동적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최소 면적을 가지는 기본 셀과 다수개의 기본 셀들로 이루어진 랜덤 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레이 아웃 설정부는
    화면 전체 또는 화면 일부를 출력 영역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레이아웃 설정부는
    상기 그리드의 가로에 포함되는 기본 셀의 갯수인 가로 셀 갯수, 그리드의 세로에 포함되는 기본 셀의 갯수인 세로 셀 갯수 및 출력 영역값을 획득하고, 가로 셀 사이즈는 상기 출력 영역의 가로 사이즈를 상기 가로 셀 갯수로 나눈 값으로, 세로 셀 사이즈는 상기 출력 영역의 세로 사이즈를 상기 세로 셀 갯수로 나눈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리드 레이아웃 설정부는
    상기 가로 셀 갯수, 상기 세로 셀 갯수 및 출력 영역값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없을 경우 디바이스 제조사에 의해 미리 지정된 값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레이아웃 설정부는
    상기 랜덤 셀의 가로 사이즈 및 세로 사이즈는 각각 상기 기본 셀의 가로 사이즈와 세로 사이즈에 임의의 값을 곱한 값으로 하고, 랜덤 셀의 X좌표 및 Y 좌표는 임의의 값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레이아웃 설정부는
    상기 기본셀 및 랜덤셀을 하나의 단일 레이어 또는 각각 별도의 레이어들에 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설정부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들을 하나 이상의 대기 화면 셋으로 저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설정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전체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이미지들 중에서 기 설정한 수만큼의 다수의 이미지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대기화면 셋으로 구성하여 상기 버퍼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출력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기본 셀 또는 랜덤 셀의 사이즈로 조절된 이미지를 로딩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12.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서 그리드 기반 동적 화면 생성 방법에 있어서,
    대기 화면 출력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대기 화면 출력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이미지를 기본 셀 단위에 기반한 그리드 형태의 동적 화면 내 출력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화면 출력 이벤트는
    디바이스의 홀드 상태 요청 이벤트, 스크린 세이버 출력 이벤트 또는 표시부가 구동되는 이벤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그리드에 포함되는 셀의 개수, 크기 또는 및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다양한 사이즈의 이미지들을 상기 셀에 매핑하는 단계와,
    상기 셀에 매핑된 이미지로 구성되는 상기 그리드 형태의 동적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는
    최소 면적을 가지는 기본 셀과, 다수개의 기본 셀들로 이루어진 랜덤 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화면 전체 또는 화면 일부를 출력 영역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가로에 포함되는 기본 셀의 갯수인 가로 셀 갯수, 세로에 포함되는 기본 셀의 갯수인 세로 셀 갯수 및 출력 영역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가로 셀 사이즈는 상기 출력 영역의 가로 사이즈를 상기 가로 셀 갯수로 나눈 값으로, 세로 셀 사이즈는 상기 출력 영역의 세로 사이즈를 상기 세로 셀 갯수로 나눈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랜덤 셀의 가로 사이즈 및 세로 사이즈는 각각 상기 기본 셀의 가로 사이즈와 세로 사이즈에 임의의 값을 곱한 값으로 하고, 랜덤 셀의 X좌표 및 Y 좌표는 임의의 값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셀이 포함된 레이어와 랜덤셀이 포함된 레이어 중 하나를 먼저 출력한 후, 나머지 하나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방법.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셀 및 랜덤셀이 포함된 단일 레이어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단일 레이어에 랜덤셀을 출력한 후, 상기 출력 영역의 나머지 영역에 기본셀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방법.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셀 또는 랜덤 셀의 사이즈로 조절된 이미지를 로딩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방법.
KR1020120021398A 2012-02-29 2012-02-29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374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398A KR101374386B1 (ko) 2012-02-29 2012-02-29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및 방법
US13/706,923 US20130227497A1 (en) 2012-02-29 2012-12-06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tandby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398A KR101374386B1 (ko) 2012-02-29 2012-02-29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698A true KR20130099698A (ko) 2013-09-06
KR101374386B1 KR101374386B1 (ko) 2014-03-14

Family

ID=4900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398A KR101374386B1 (ko) 2012-02-29 2012-02-29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27497A1 (ko)
KR (1) KR1013743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8879A (zh) * 2017-09-30 2018-02-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图标输出方法和终端
CN109269493A (zh) * 2018-08-31 2019-01-25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及装置、移动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103A (ko) * 2006-12-29 200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의 섬네일 영상을 이용한 영상 편집및 화면 표시 방법
KR20090014731A (ko) * 2007-08-07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적인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및 방법
KR101631912B1 (ko) * 2009-11-03 201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386B1 (ko) 2014-03-14
US20130227497A1 (en)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085B1 (ko)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522399B1 (ko) 휴대 단말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화면 표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KR102207861B1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1452038B1 (ko) 모바일 기기 및 그 화면 제어 방법
RU2704111C1 (ru)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множества окон приложений посредством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US9665247B2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a new skin to a display environment
US2016013979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JP6249652B2 (ja) タッチ機能制御方法及びその電子装置
CN109948581B (zh) 图文渲染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932675B1 (ko)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US9753532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WO2022121903A1 (zh) 桌面整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9600984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vibration by using adjective space on a timeline
CN111127595A (zh) 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3342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30346894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djusting size of screen object
JP5654634B2 (ja) 壁紙画像の設置方法とデジタルメディアコントローラ
CN105373373B (zh) 一种快速生成图标的方法和装置
KR101374386B1 (ko) 그리드 기반 대기 화면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10033784A (ko)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90134370A (ko) 디스플레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콘텐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JP5924168B2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そ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8963854B2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EP3494541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957026B2 (ja) 入力領域の生成方法、生成装置、および生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