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404A - 트렁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트렁크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9404A KR20130099404A KR1020120020889A KR20120020889A KR20130099404A KR 20130099404 A KR20130099404 A KR 20130099404A KR 1020120020889 A KR1020120020889 A KR 1020120020889A KR 20120020889 A KR20120020889 A KR 20120020889A KR 20130099404 A KR20130099404 A KR 201300994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unk
- opening
- trunk lid
- plate
- base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curved arms fixed on the wing, rolling on a suppor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렁크의 개방작동과 폐쇄작동을 구분하여 각각 별도의 장치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트렁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주동기어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주동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와, 트렁크리드에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암과, 메인암과 종동기어 사이에 설치되고 트렁크리드를 개방할 때에 동력을 차단하고 트렁크리드를 폐쇄할 때에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트렁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주동기어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주동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와, 트렁크리드에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암과, 메인암과 종동기어 사이에 설치되고 트렁크리드를 개방할 때에 동력을 차단하고 트렁크리드를 폐쇄할 때에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트렁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렁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렁크의 개방작동과 폐쇄작동을 구분하여 각각 별도의 장치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트렁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면부에는 일반 소화물 및 비상용 작업공구, 스페어 타이어 등이 보관되는 트렁크룸이 형성되고, 트렁크리드는 이러한 트렁크룸을 커버한다.
트렁크리드는 트렁크용 락킹장치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된다. 이러한 락킹장치를 잠금 해제하기만 하면 작은 힘으로도 쉽게 트렁크리드가 올라가도록 힌지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최근에는 운전석에 락킹버튼이 구비되고, 운전자가 락킹버튼을 조작하면 트렁크용 락킹장치를장치가 트렁크리드를 잠금 해제하여 트렁크리드의 개방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등록특허공보 제10-2988048(1999년 10월 24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개폐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자동차 트렁크 개폐장치는 트렁크리드의 개방작동과 폐쇄작동이 하나의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트렁크리드를 개방할 때마다 2회 이상 모터가 구동되어 트렁크 개폐장치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트렁크의 개방작동과 폐쇄작동을 구분하여 각각 별도의 장치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트렁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주동기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 트렁크리드에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암; 및 상기 메인암과 상기 종동기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트렁크리드를 개방할 때에 동력을 차단하고 상기 트렁크리드를 폐쇄할 때에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종동기어에 연결되고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주동플레이트; 및 상기 주동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메인암에 연결되며 상기 트렁크리드가 개방될 때에 상기 걸림돌기가 통과되고 상기 트렁크리드가 폐쇄될 때에 상기 걸림돌기를 구속하는 가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동플레이트의 테두리에는 상기 종동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턱부의 내벽에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지지부는, 상기 종동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유동홈부; 및 상기 유동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동홈부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출몰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걸림돌기의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대향되는 상기 걸림편의 단부는 곡선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클러치 및 상기 메인암을 덮는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는 클러치의 작동에 의해 트렁크리드가 폐쇄될 때에만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므로 트렁크리드를 열고 닫을 때에 구동되는 모터의 구동회수를 줄일 수 있어 트렁크 개폐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클러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클러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클러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클러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클러치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클러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는, 차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베이스플레이트(10)에 설치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0)와, 모터(3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주동기어(32)와, 베이스플레이트(10)에 설치되고 주동기어(32)와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34)와, 트렁크리드(80)에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암(36)과, 메인암(36)과 종동기어(34) 사이에 설치되고 트렁크리드(80)를 개방할 때에 동력을 차단하고 트렁크리드(80)를 폐쇄할 때에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70)를 포함한다.
트렁크리드(80)가 개방되면 트렁크리드암(50)이 회전되어 로드(38) 및 메인암(36)이 회전되는데, 본 실시예는 클러치(70)에 의해 메인암(36)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이 종동기어(34)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트렁크리드(80)가 개방될 때에 모터(30)가 구동되지 않으며, 주동기어(32)에 트렁크리드(8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아 모터(30)의 구동회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트렁크리드(80)를 폐쇄할 때에는 모터(30)가 구동되고, 주동기어(32), 종동기어(34), 메인암(36), 로드(38) 및 트렁크리드암(50)이 회전되면서 트렁크리드(80)를 회전시켜 폐쇄작동을 행하게 된다.
이때, 트렁크리드(80)를 개방할 때에 구동되는 구동부는 작동되지 않게 되므로 구동부의 작동회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클러치(70)는, 종동기어(34)에 연결되고 걸림돌기(74)가 구비되는 주동플레이트(72)와, 주동플레이트(7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메인암(36)에 연결되며 트렁크리드(80)가 개방될 때에 걸림돌기(74)가 통과되고 트렁크리드(80)가 폐쇄될 때에 걸림돌기(74)를 구속하는 가변지지부(78)를 포함한다.
모터(30)의 동력이 전달되어 주동플레이트(7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걸림돌기(74)와 가변지지부(78)가 간섭되므로 주동플레이트(72)의 동력이 종동플레이트(76)에 전달된다.
종동플레이트(76)에 전달되는 모터(30)의 동력은 메인암(36), 로드(38) 및 트렁크리드암(50)을 통해 트렁크리드(80)에 전달되어 트렁크리드(80)의 폐쇄작동을 행하게 된다.
주동플레이트(72)의 테두리에는 종동플레이트(76)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턱부(74a)가 형성되고, 턱부(74a)의 내벽에 걸림돌기(74)가 형성된다.
주동플레이트(72)는 종동플레이트(76)와 비교하여 지름이 긴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주동플레이트(72)의 테두리에는 링 모양의 턱부(74a)가 형성된다.
따라서 턱부(74a) 내측에는 종동플레이트(76)가 설치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턱부(74a)의 내부에 종동플레이트(7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변지지부(78)는, 종동플레이트(76)에 형성되는 유동홈부(78a)와, 유동홈부(78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동홈부(78a)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출몰되는 걸림편(78b)을 포함한다.
유동홈부(78a)는 종동플레이트(76)의 테두리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부채모양으로 형성되고, 걸림편(78b)은 막대모양으로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유동홈부(78a)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동홈부(78a)는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므로 걸림편(78b)이 유동홈부(78a)의 일측에 배치되면 걸림편(78b)이 유동홈부(78a) 내측에 배치되고, 걸림편(78b)이 유동홈부(78a)의 타측에 배치되면 걸림편(78b)이 유동홈부(78a) 및 종동플레이트(76)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종동플레이트(76)가 일측 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걸림편(78b)이 유동홈부(78a)의 타측에 배치되어 종동플레이트(76)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걸림돌기(74)와 간섭되어 동력전달을 행하게 된다.
걸림돌기(74)의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걸림돌기(74)에 대향되는 걸림편(78b)의 단부는 곡선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주동플레이트(7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걸림돌기(74)의 경사부와 걸리편(78b)의 곡선부에 의해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에는 클러치(70) 및 메인암(36)을 덮는 커버(10a)가 설치되므로 상기한 클러치(70) 및 메인암(36)이 베이스플레이트(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트렁크리드(80)가 개방될 때에는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트렁크리드(80)가 회전되므로 트렁크리드암(50), 로드(38), 메인암(36) 및 종동플레이트(76)가 회전된다.
이때, 종동플레이트(7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걸림편(78b)이 유동홈부(78a) 내측으로 삽입되어 종동플레이트(76)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이 주동플레이트(72)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트렁크 폐쇄작동이 진행되면, 모터(30)가 구동되어 주동기어(32), 종동기어(34) 및 주동플레이트(72)로 전달되는 모터(30)의 동력에 의해 주동플레이트(7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걸림돌기(74)와 걸림편(78b)이 간섭된다.
따라서 걸림편(78b)으로부터 종동플레이트(76)에 전달되는 모터(30)의 동력은 메인암(36), 로드(38) 및 트렁크리드암(50)을 통해 트렁크리드(80)에 전달되어 트렁크의 폐쇄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써, 트렁크의 개방작동과 폐쇄작동을 구분하여 각각 별도의 장치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트렁크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트렁크 개폐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트렁크 개폐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개폐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 플레이트 30 : 모터
32 : 주동기어 34 : 종동기어
36 : 메인암 38 : 로드
50 : 트렁크리드암 70 : 클러치
72 : 주동플레이트 74 : 걸림돌기
74a : 턱부 76 : 종동플레이트
78 : 가변지지부 78a ; 유동홈부
78b : 걸림편 80 : 트렁크리드
32 : 주동기어 34 : 종동기어
36 : 메인암 38 : 로드
50 : 트렁크리드암 70 : 클러치
72 : 주동플레이트 74 : 걸림돌기
74a : 턱부 76 : 종동플레이트
78 : 가변지지부 78a ; 유동홈부
78b : 걸림편 80 : 트렁크리드
Claims (6)
- 차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주동기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
트렁크리드에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암; 및
상기 메인암과 상기 종동기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트렁크리드를 개방할 때에 동력을 차단하고 상기 트렁크리드를 폐쇄할 때에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종동기어에 연결되고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주동플레이트; 및
상기 주동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메인암에 연결되며 상기 트렁크리드가 개방될 때에 상기 걸림돌기가 통과되고 상기 트렁크리드가 폐쇄될 때에 상기 걸림돌기를 구속하는 가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플레이트의 테두리에는 상기 종동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턱부의 내벽에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지부는,
상기 종동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유동홈부; 및
상기 유동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동홈부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출몰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대향되는 상기 걸림편의 단부는 곡선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클러치 및 상기 메인암을 덮는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0889A KR101318717B1 (ko) | 2012-02-29 | 2012-02-29 | 트렁크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0889A KR101318717B1 (ko) | 2012-02-29 | 2012-02-29 | 트렁크 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9404A true KR20130099404A (ko) | 2013-09-06 |
KR101318717B1 KR101318717B1 (ko) | 2013-10-16 |
Family
ID=4945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0889A KR101318717B1 (ko) | 2012-02-29 | 2012-02-29 | 트렁크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871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5225715A1 (de) | 2015-01-05 | 2016-07-07 | Hyundai Motor Company | Antriebsmodul für eine automatische Heckklapp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63386A (ja) * | 1987-12-18 | 1989-06-27 | Nippon Denso Co Ltd | 車両用ドアの開閉装置 |
KR101125016B1 (ko) * | 2009-12-01 | 2012-03-2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트렁크 자동개폐장치 |
-
2012
- 2012-02-29 KR KR1020120020889A patent/KR101318717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5225715A1 (de) | 2015-01-05 | 2016-07-07 | Hyundai Motor Company | Antriebsmodul für eine automatische Heckklappe |
CN105752165A (zh) * | 2015-01-05 | 2016-07-13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电动后备箱的驱动模块 |
US9702180B2 (en) | 2015-01-05 | 2017-07-11 | Hyundai Motor Company | Driving module of power trunk |
DE102015225715B4 (de) | 2015-01-05 | 2024-04-25 | Hyundai Motor Company | Antriebsmodul für eine automatische Heckklap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8717B1 (ko) | 2013-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0979B1 (ko) | 2단 해제용 후드래치 | |
US11136795B2 (en) | Latch apparatus of tailgate for vehicle | |
RU2008144949A (ru) |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 |
CN105673653A (zh) | 锁定装置 | |
KR20140066280A (ko) | 후드 래치 구조 | |
KR20160054990A (ko) | 차량용 아웃사이드 핸들 장치 | |
KR20150139652A (ko) | 개폐유닛과 맨홀의 속뚜껑 | |
US20180283047A1 (en) | Lock knob assembly | |
KR101318717B1 (ko) | 트렁크 개폐장치 | |
JP6338921B2 (ja) | 車両用のドアラッチ装置 | |
KR101125016B1 (ko) | 자동차용 트렁크 자동개폐장치 | |
US20130270779A1 (en) | Chuck For Rotary Power Tool | |
KR101825391B1 (ko) | 후드래치 장치 | |
KR101751264B1 (ko) | 트렁크용 래치장치 | |
KR101882745B1 (ko) | 후드래치 장치 | |
KR20160021401A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KR20160034506A (ko) | 2단 해제용 후드래치 | |
KR20150106293A (ko) |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 |
US11499347B2 (en) | G-sensor for automobile tray | |
KR101653055B1 (ko) | 자동차용 래치장치 | |
KR100666364B1 (ko) | 차량의 2단 센터콘솔 잠금장치 | |
JP2017007522A (ja) | 産業車両におけるバッテリ保持装置 | |
JP6436947B2 (ja) | 調整ロッドクリップ用保持機構 | |
KR20160039715A (ko) | 아웃사이드핸들의 구조 | |
US10208515B2 (en) | Anti-rotation device for a lock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