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402A - 맨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맨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402A
KR20130099402A KR1020120020885A KR20120020885A KR20130099402A KR 20130099402 A KR20130099402 A KR 20130099402A KR 1020120020885 A KR1020120020885 A KR 1020120020885A KR 20120020885 A KR20120020885 A KR 20120020885A KR 20130099402 A KR20130099402 A KR 20130099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ontroller
valve body
manhole cover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세계주철
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세계주철, 강민수 filed Critical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9402A/ko
Publication of KR20130099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36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with overflow or explosion control means, e.g. check or relief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맨홀용 안전장치는 맨홀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맨홀본체를 맨홀뚜껑이 설치되는 것을 구비한 맨홀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맨홀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맨홀뚜껑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스프링지지부가 맨홀뚜껑에 형성되고, 맨홀 내에서 외부로 물을 흐르게 함과 아울러 외부의 물이 맨홀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밸브체가 상기 맨홀뚜껑의 배출구에 배치되고, 볼트의 선단부가 다수의 스프링지지부에 각각 형성된 삽입구멍으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밸브체와 결합되고, 상기 밸브체를 닫히게 하는 스프링이 다수의 볼트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볼트의 볼트머리와 상기 맨홀뚜껑의 스프링지지부의 하부 사이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밸브체를 닫히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제어기와 송신기를 구비한 방수형 위험감지구가 맨홀본체의 내부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위험감지구의 제어기와 연결된 다수의 전극봉이 상기 위험감지구의 외측 하부면에 돌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며, 다수의 전극봉과 제어기로 맨홀 내의 수위를 단계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송신기가 맨홀 내의 수위를 외부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맨홀 내의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가 다수의 감지봉 중의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맨홀 내에서 물이 차올라서 맨홀뚜껑 위치 이상으로 차오르면 맨홀 내의 물이 밸브체를 개방하여 맨홀뚜껑의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맨홀뚜껑의 하부면에 작용하는 수압을 줄일 수 있어 맨홀뚜껑이 수압으로 인하여 솟아오르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맨홀 내의 수위가 위험 수위가 되었을 때에 전극봉이 이를 감지하고 제어기가 수위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송신기로 보내서 송신기가 관리자에게 위험신호를 송출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위험 상태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맨홀뚜껑을 관리할 수 있어 맨홀 내의 과도한 수압으로 인하여 맨홀뚜껑이 심하게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으며, 맨홀 내에 가스가 발생되면 가스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기가 가스 잔존 여부를 송신기로 전기적 신호를 보내서 송신기가 맨홀 외부에 있는 작업자에게 위험신호를 송출할 수 있기 때문에, 맨홀 내로 들어가려는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맨홀용 안전장치{MANHOLE SAFETY DEVICE}
본 발명은 맨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 내에 유입된 물의 수압에 의해 맨홀뚜껑이 이탈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거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맨홀은 지하의 하수관, 수도관, 지하 매설 케이블 및 포장도로 등을 검사하거나, 지하를 청소하기 위하여 사람이 출입하는 구멍이며, 관의 굵기나 방향이 바뀌는 곳, 길이가 긴 직선부의 중간 등에 설치된다.
종래에는 맨홀의 상부 둘레면에 맨홀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맨홀본체를 맨홀뚜껑으로 덮는 구조이며, 맨홀뚜껑 위로 차량이 지나갈 때에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맨홀뚜껑의 이탈이 발생되기 때문에, 맨홀뚜껑을 맨홀본체와 견고하게 결합하여 맨홀뚜껑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맨홀뚜껑 자체의 무게로 맨홀 내의 수압을 누르고 있을 경우, 맨홀 내의 수압이 위험 압력 이상으로 작용함에 따라 이 압력으로 인하여 맨홀뚜껑이 솟아올라서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게 되며, 또한 맨홀뚜껑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맨홀뚜껑과 맨홀본체 사이에 구비하고 있더라도 맨홀 내의 수압이 위험 압력 이상으로 작용함에 따라 맨홀본체와 함께 맨홀뚜껑이 솟아올라서 더욱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더우기 종래에는 맨홀 내의 물이 위험 수위 이상으로 차오를 때 맨홀뚜껑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위험 수위를 알리는 수단이 없었으며, 맨홀 내에 잔존하는 독성 가스를 감지하는 수단이 없어 관리자가 맨홀 내를 편리하게 드나들면서 점검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 내에 유입된 물을 외기로 배출함으로써 맨홀 내의 수압으로 인하여 맨홀뚜껑이 솟아오르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며, 맨홀 내의 수위가 위험 수위가 되었을 때에 관리자에게 위험을 알림으로써 수압에 의해 맨홀뚜껑이 이탈하는 것을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고, 맨홀 내에 유독 가스가 잔존하였을 때에 관리자에게 위험을 알림으로써 맨홀 내의 유독 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맨홀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맨홀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맨홀본체를 맨홀뚜껑이 설치되는 것을 구비한 맨홀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맨홀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맨홀뚜껑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스프링지지부가 맨홀뚜껑에 형성되고, 맨홀 내에서 외부로 물을 흐르게 함과 아울러 외부의 물이 맨홀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밸브체가 상기 맨홀뚜껑의 배출구에 배치되고, 볼트의 선단부가 다수의 스프링지지부에 각각 형성된 삽입구멍으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밸브체와 결합되고, 상기 밸브체를 닫히게 하는 스프링이 다수의 볼트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볼트의 볼트머리와 상기 맨홀뚜껑의 스프링지지부의 하부 사이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밸브체를 닫히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맨홀용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기와 송신기를 구비한 방수형 위험감지구가 맨홀본체의 내부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위험감지구의 제어기와 연결된 다수의 전극봉이 상기 위험감지구의 외측 하부면에 돌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며, 다수의 전극봉과 제어기로 맨홀 내의 수위를 단계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송신기가 맨홀 내의 수위를 외부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맨홀 내의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가 다수의 감지봉 중의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맨홀용 안전장치는 맨홀 내에서 물이 차올라서 맨홀뚜껑 위치 이상으로 차오르면 맨홀 내의 물이 밸브체를 개방하여 맨홀뚜껑의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맨홀뚜껑의 하부면에 작용하는 수압을 줄일 수 있어 맨홀뚜껑이 수압으로 인하여 솟아오르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맨홀 내의 수위가 위험 수위가 되었을 때에 전극봉이 이를 감지하고 제어기가 수위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송신기로 보내서 송신기가 관리자에게 위험신호를 송출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위험 상태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맨홀뚜껑을 관리할 수 있어 맨홀 내의 과도한 수압으로 인하여 맨홀뚜껑이 심하게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맨홀 내에 가스가 발생되면 가스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기가 가스 잔존 여부를 송신기로 전기적 신호를 보내서 송신기가 맨홀 외부에 있는 작업자에게 위험신호를 송출할 수 있기 때문에, 맨홀 내로 들어가려는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맨홀용 안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맨홀용 안전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맨홀용 안전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맨홀용 안전장치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맨홀용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안전장치는 맨홀(1)의 상부에 있는 맨홀본체(2)를 닫아놓는 맨홀뚜껑(3)이 맨홀(1) 내의 수압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맨홀(1) 내의 수압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체(4)가 상기 맨홀뚜껑(3)에 설치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맨홀(1)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3a)가 맨홀뚜껑(3)에 형성되고, 상기 맨홀뚜껑(3)의 배출구(3a)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스프링지지부(3b)가 상기 맨홀뚜껑(3)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맨홀(1) 내에서 외부로 물을 흐르게 함과 아울러 외부의 물이 맨홀(1)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밸브체(4)가 상기 맨홀뚜껑(3)의 배출구(3a)에 배치되어 상기 맨홀뚜껑(3)의 배출구(3a)를 단속하게 된다.
볼트(4a)의 선단부가 다수의 스프링지지부(3b)에 각각 형성된 삽입구멍(3c)으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밸브체(4)의 하부면에 체결되어 다수의 볼트(4a)가 상기 밸브체(4)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맨홀뚜껑(3)에 형성되는 배출구(3a)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4)는 상기 배출구(3a)의 형태에 맞추어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체(4)를 닫히게 하는 스프링(4b)이 다수의 볼트(4a)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볼트(4a)의 볼트머리와 상기 맨홀뚜껑(3)의 스프링지지부(3b)의 하부 사이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스프링(4b)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밸브체(4)가 상기 맨홀뚜껑(3)의 배출구(3a)를 닫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밸브체(4)가 상기 맨홀(1) 내의 수압으로 인하여 개방되고, 상기 밸브체(4)를 개방하는 수압이 상기 맨홀(1) 내에서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스프링(4b)에 의해 상기 맨홀뚜껑(3)의 배출구(3a)를 닫게 되는 바, 맨홀(1) 내에 물이 유입되어 맨홀뚜껑(3)의 내부면까지 수위가 상승하여 맨홀(1) 내로 계속 유입되는 물과 맨홀뚜껑(3)의 무게로 인하여 맨홀(1) 내의 수압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밸브체(4)가 상승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맨홀뚜껑(3)의 배출구(3a)가 개방되면서 맨홀(1)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맨홀뚜껑(3)의 하부에 작용하는 수압을 떨어뜨릴 수 있어 맨홀뚜껑(3)이 수압으로 인하여 솟아올라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맨홀뚜껑(3)이 주행하는 차량 등의 충격으로 인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맨홀뚜껑(3)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맨홀본체(2)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된 걸이부(2a)에 걸리는 이탈방지구(5)가 설치되고, 상기 이탈방지구(5)가 상기 맨홀뚜껑(3)과 이탈방지볼트(6)로 결합되어 맨홀뚜껑(3)이 충격 등으로 인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맨홀(1) 내의 수위가 위험 수위로 상승하면 맨홀(1)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알려서 맨홀뚜껑(3)의 상태를 확인시켜서 맨홀뚜껑(3)의 이탈을 예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7a)와 송신기(7b)를 구비한 방수형 위험감지구(7)가 상기 맨홀본체(3)의 내부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위험감지구(7)의 제어기(7a)와 연결된 다수의 전극봉(8)이 상기 위험감지구(7)의 외측 하부면에 돌출 설치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그러면 다수의 전극봉(8)과 제어기(7a)에 의해 맨홀(1) 내의 수위가 단계적으로 감지되는 바, 다수의 전극봉(8) 중의 하나에 물이 닿으면 제어기(7a)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송신기(7b)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송신기(7b)가 상기 제어기(7a)의 신호를 받아서 맨홀(1) 내의 수위를 외부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출하게 된다.
물론 관리자에게는 상기 위험감지구(7)의 송신기(7b)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수신기로 입력된 위험 상황을 관리자의 모니터 또는 휴대폰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기 맨홀(1) 내에 가스가 발생되면 유독 가스의 발생으로 인하여 맨홀(1)에 무심코 들어가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위험할 수 있으므로, 맨홀(1) 내로 들어가려는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홀(1) 내의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7d)가 다수의 감지봉(7c) 중의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위험감지구(7)의 제어기(7a)와 연결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그러면 상기 가스감지센서(7d)와 제어기(7a)에 의해 맨홀(1) 내의 가스가 감지되는 바, 상기 맨홀(1) 내에 유독 가스가 발생되면 상기 가스감지센서(7d)에서 검출된 신호를 제어기(7a)가 인식하여 상기 송신기(7b)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송신기(7b)가 상기 제어기(7a)의 신호를 받아서 맨홀(1) 내의 가스 잔존 여부를 외부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출하게 된다.
물론 상기 수위감지센서(7c)와 가스감지센서(7d)는 다양한 방식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와 같이 전극봉 방식의 수위감지센서 이외에도 맨홀 내의 물의 부력으로 상승하는 뜨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뜨개의 위치를 감지하는 뜨개감지부가 구비되는 것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맨홀뚜껑의 이탈방지용 안전장치는 맨홀(1) 내의 수위가 상승하면 위험감지구(7)의 전극봉(7c)에 물이 닿게 되고, 전극봉(7c)에 물이 닿게 되면 제어기(7a)가 이를 인식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송신기(7b)로 출력하게 되고, 송신기(7b)가 상기 제어기(7a)의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서 외부의 관리자에게 신호를 송신하게 되어 일차적으로 맨홀뚜껑(3)의 위험을 예방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맨홀(1) 내의 물이 계속해서 상승하여 맨홀뚜껑(3)의 하부면을 가압할 경우, 맨홀(1) 내의 수압을 떨어뜨리기 위하여 밸브체(4)가 상승하여 맨홀(1)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이차적으로 맨홀뚜껑(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맨홀용 안전장치는 일차적으로 맨홀뚜껑(3)의 이탈을 예방하게 되고, 이차적으로 맨홀뚜껑(3)이 수압으로 솟아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우기 맨홀(1) 내의 유독 가스가 발생하여 잔존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스감지센서(7d)에서 검출된 신호를 제어기(7a)가 인식하여 상기 송신기(7b)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송신기(7b)가 상기 제어기(7a)의 신호를 받아서 맨홀(1) 내의 가스 잔존 여부를 외부의 작업자에게 알리게 된다.
1 : 맨홀 2 : 맨홀본체
2a : 걸이부 3 : 맨홀뚜껑
3a : 배출구 3b : 스프링지지부
3c : 삽입구멍 4 : 밸브체
4a : 볼트 4b : 스프링
5 : 이탈방지구 6 : 이탈방지볼트
7 : 위험감지구 7a : 제어기
7b : 송신기 7c : 전극봉
7d : 가스감지센서

Claims (3)

  1. 맨홀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맨홀본체를 맨홀뚜껑이 설치되는 것을 구비한 맨홀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맨홀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맨홀뚜껑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스프링지지부가 맨홀뚜껑에 형성되고, 맨홀 내에서 외부로 물을 흐르게 함과 아울러 외부의 물이 맨홀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밸브체가 상기 맨홀뚜껑의 배출구에 배치되고, 볼트의 선단부가 다수의 스프링지지부에 각각 형성된 삽입구멍으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밸브체와 결합되고, 상기 밸브체를 닫히게 하는 스프링이 다수의 볼트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볼트의 볼트머리와 상기 맨홀뚜껑의 스프링지지부의 하부 사이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밸브체를 닫히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맨홀용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기와 송신기를 구비한 방수형 위험감지구가 맨홀본체의 내부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위험감지구의 제어기와 연결된 다수의 전극봉이 상기 위험감지구의 외측 하부면에 돌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수의 전극봉과 제어기에 의해 맨홀 내의 수위가 단계적으로 감지되고,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어기의 신호를 받아서 맨홀 내의 수위를 외부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안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맨홀 내의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가 다수의 감지봉 중의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스감지센서와 제어기에 의해 맨홀 내의 가스가 감지되고,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어기의 신호를 받아서 맨홀 내의 가스 잔존 여부를 외부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용 안전장치.
KR1020120020885A 2012-02-29 2012-02-29 맨홀용 안전장치 KR20130099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885A KR20130099402A (ko) 2012-02-29 2012-02-29 맨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885A KR20130099402A (ko) 2012-02-29 2012-02-29 맨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402A true KR20130099402A (ko) 2013-09-06

Family

ID=4945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885A KR20130099402A (ko) 2012-02-29 2012-02-29 맨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940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4687C2 (ru) * 2018-08-16 2020-10-2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Го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Крышка люка смотрового колодца подземных коммуникаций
CN111947038A (zh) * 2020-07-27 2020-11-17 上海申欣优达环保科技有限公司 燃气管道阀井、及燃气泄漏的检测装置的安装方法
KR20210140864A (ko)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이도 스마트 맨홀 덮개
KR102566029B1 (ko) * 2023-05-09 2023-08-11 경상북도 경주시 스마트 맨홀 뚜껑 및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을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4687C2 (ru) * 2018-08-16 2020-10-2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Го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Крышка люка смотрового колодца подземных коммуникаций
KR20210140864A (ko)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이도 스마트 맨홀 덮개
CN111947038A (zh) * 2020-07-27 2020-11-17 上海申欣优达环保科技有限公司 燃气管道阀井、及燃气泄漏的检测装置的安装方法
KR102566029B1 (ko) * 2023-05-09 2023-08-11 경상북도 경주시 스마트 맨홀 뚜껑 및 상기 스마트 맨홀 뚜껑을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9402A (ko) 맨홀용 안전장치
KR101787965B1 (ko) 가스 배관의 수봉변 감지 장치
CA2647095C (en) Inflatable fluid conduit plug
CN107407453B (zh) 安全系统
KR102452846B1 (ko) 맨홀 내 작업자 안전을 위한 점검차량
KR102112281B1 (ko)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EP2662501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leak protection of a supply water installation
KR102020427B1 (ko) 수봉변 감시 장치
KR101188986B1 (ko) 안전 발판부가 구비된 지하매설 작업탱크용 진입커버
EP3204562B1 (en) Assembly of a sewer and a sewer blockage detection system
KR102119115B1 (ko)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20040104093A (ko)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JP2015081193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20140005465A (ko) 스트레이너 유지 관리 장치
US20210010682A1 (en) Connector for a water system
KR101239105B1 (ko) 격막튜브 팽창 감지 수단을 구비한 밀폐식 팽창탱크
CN105987741A (zh) 涵洞水位报警系统及方法
KR200482015Y1 (ko) 선박용 탱크의 레벨스위치 보호덮개
KR100505998B1 (ko) 구조물 변형측정용 안전진단장치
KR101312435B1 (ko) 지하매설물 통신을 위한 통신용 안테나모듈
AU2018361642B2 (en) Connector for a water system
CN203269259U (zh) 罐笼防溜车检测报警装置
CN220202926U (zh) 一种具有积水指示功能的市政工程用井盖
JP5918085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2508454B1 (ko) 시설물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