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182A - Cooling device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Cooling device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182A
KR20130099182A KR1020137016519A KR20137016519A KR20130099182A KR 20130099182 A KR20130099182 A KR 20130099182A KR 1020137016519 A KR1020137016519 A KR 1020137016519A KR 20137016519 A KR20137016519 A KR 20137016519A KR 20130099182 A KR20130099182 A KR 20130099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air
intake
elevato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5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15734B1 (en
Inventor
요시유키 우치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9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1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7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Ventil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번잡한 보수 작업이 불필요하고, 필요한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기기를 냉각하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시의 주행풍에 의한 공기류를 상기 기기의 내부로 도입하는 흡기부와, 상기 기기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기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와, 상기 흡기부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류 내에 포함되는 이물을 상기 이물에 작용하는 원심력 및 중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이물분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흡기부는 상기 이물분리수단에 의해 상기 이물이 분리되고, 당해 분리 전보다 이물함유량이 감소한 상기 공기류를 상기 기기의 내부로 도입하는 구성으로 한다.It provides an elevator cooling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complicated maintenance work and obtains the required cooling effect. To this end, in an elevator cooling apparatus for cooling a device provided in an elevator car, an air intake unit for introducing air flow due to the running wind at the time of elevating the car into the inside of the device, And an exhaust unit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and a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provided in the intake unit and separat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stream using at least one of centrifugal force and gravity acting on the foreign matter. The intake unit is configured to introduce the air stream into which the foreign matter is separated by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and the foreign matter content of which is less than before the separation.

Figure P1020137016519
Figure P1020137016519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 {COOLING DEVICE FOR ELEVATOR}Elevator cooling device {COOLING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device of an elevator.

종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 설치된 제어기판 등의 기기를 냉각하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방열핀이나 냉각팬 혹은 엘리베이터칸 주행시에서의 주행풍을 취입하는 덕트 등을 이용한 것이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s an elevator cooling device for cooling equipment such as a control board installed in an elevator car, for example, a heat radiating fin, a cooling fan, or a duct for blowing running wind at the time of driving a car is used.

이와 같은 종래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의 대표예를 도 12에 나타낸다. 이 도 12에서, 1은 도시하지 않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의 예를 들면 상부에 설치된 조립상자이다. 이 조립상자(1) 내에는, 예를 들면 회로기판 등의 발열기기인 냉각대상물(2)이 수납되어 있다. 조립상자(1)의 일측면에는 흡기구(3)가 마련되어 있다. 이 흡기구(3)에는 흡기중의 모래 먼지 등의 이물을 없애기 위한 흡기필터(21)가 장착되어 있다. 조립상자(1)의 타측면에는 배기구를 겸한 배기팬(22)이 장착되어 있다. 이 배기팬(22)은 전동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 배기팬(22)이 회전하면, 냉각대상물(2)로부터 발(發)하게 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조립상자(1)로부터 배기된다. 그러면, 조립상자(1) 내의 기압이 저하하기 때문에, 흡기구(3)로부터 외기(外氣)가 조립상자(1) 내로 흡기된다. 이 때, 흡기필터(21)에 의해 흡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은 포획된다.A typical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cooling apparatus of an elevator is shown in FIG. In FIG. 12, 1 is an assembly box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of the elevato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In this assembly box 1, the cooling object 2 which is a heat generating apparatus, such as a circuit board, is accommodated, for example. An inlet port 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ssembly box 1. This intake port 3 is equipped with an intake filter 21 for removing foreign matter such as sand dust during intake. On the other side of the assembly box 1, an exhaust fan 22 serving as an exhaust port is mounted. This exhaust fan 22 is generally driven to rotate by an electric motor. When the exhaust fan 22 rotates, the air whose temperature rises due to heat generated from the cooling target object 2 is exhausted from the cabinet 1. Then, since the air pressure in the assembly box 1 falls, outside air is taken in from the intake port 3 into the assembly box 1. At this tim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intake air is captured by the intake filter 21.

또, 종래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의 다른 예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에는, 엘리베이터칸에 탑재된 회로기판을 냉각하는 팬장치를 엘리베이터칸에 마련하고, 이 팬장치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전동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롤러 가이드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것에 의해 회전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방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이 특허문헌 1에는,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시에 주행풍을 취입함과 아울러, 취입된 주행풍을 배출하는 복수의 흡배구(吸排口)와, 엘리베이터칸에 탑재된 회로기판에 주행풍을 유도하는 통풍덕트를 엘리베이터칸에 마련한 것도 개시되어 있다.Moreover, as another example of the conventional cooling apparatus of an elevator, what is disclosed by patent document 1 is known. In Patent Document 1, a fan device for cooling a circuit board mounted on a car is provided in a car, and the fan device is electrically driven along a guide rail to mechanically transmit rotation of a roller guide for guiding the car to move up and down. The heat radiating device of the elevator which rotates is disclosed. In addition, 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running wind in a plurality of inlet and outlets for discharging the traveling wind, and a circuit board mounted in the car. Also disclosed is a ventilating duct to guide the car.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01-341962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41962

그렇지만, 이와 같은 종래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방열핀을 이용한 것은 열전도에 의한 열의 확산과 방열핀 주변의 공기의 자연대류에 의해 냉각대상의 열을 방산(放散)한다. 따라서, 냉각대상의 발열량에 따른 체적을 가지는 냉각핀이 필요하고, 냉각대상의 발열량이 커지면 냉각핀의 사이즈가 커져, 넓은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elevator cooling apparatus, the use of heat radiation fins dissipates heat to be cooled by diffusion of heat due to heat conduction and natural convection of air around the heat radiation fin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 cooling fin having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heat to be cooled is required, and when the amount of heat to be cooled is increased, the size of the cooling fin is increased and a large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또, 종래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냉각팬을 이용한 것은 엘리베이터칸 밖으로부터 강제적으로 공기를 취입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칸 밖의 공기에는 모래 먼지 등의 이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밖으로부터 취입한 공기에 포함되는 모래 먼지 등의 이물이 냉각팬에 의해 냉각대상으로 불어 내지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팬에 이물이 부착·퇴적하여 냉각능력이 저하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 냉각대상인 회로기판에 이물이 부착·퇴적했을 경우에는, 먼지 및 수분이나 탄화물 등에 의해 전기회로가 트랙킹하여 기기의 고장을 초래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cooling device of an elevator, the use of a cooling fan is forcibly blowing air from the outside of the car. The air outside the car may contain foreign matter such as sand dust. For this reason, foreign matters, such as sand dust contained in the air blown in from the outside of a car, are blown to a cooling object by a cooling fan.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matter adheres to and accumulates on the fan, resulting in a decrease in cooling capacity. In addition, when foreign matter adheres to and accumulates on the circuit board to be cool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ic circuit is tracked by dust, moisture, carbides, or the like, resulting in a failure of the equip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칸 밖으로부터 취입한 공기에 포함되는 모래 먼지 등의 이물에 의한 트러블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기구에 공기중의 이물을 없애기 위한 필터를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필터에 이물이 많이 부착하면 막혀, 공기유입량이 감소하여 냉각능력이 저하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이 필터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필터의 교환이나 청소 등의 보수가 필요하여, 번잡한 수고가 많이 걸린다는 과제가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troubles as foreign matters such as sand dust contained in the air blown in from the outside of the ca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when a filt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in the air is provided at the inlet port. There is.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if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adheres to the filter, it is clogged and the air flow rate decreas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cooling capacity. In order to prevent the clogging of the filt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filter regularly or to clean the filter, which takes a lot of troublesome labor.

또, 특허문헌 1에 나타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에서는, 롤러 가이드의 회전을 회전전달기구를 통하여 냉각팬으로 기계적으로 전달하여, 냉각팬을 회전시키는 동력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냉각팬이나 회전전달기구에서 가동부가 많이 존재하고, 이들 가동부에서는 마모가 발생한다. 따라서, 마모한 부품의 교환 등의 보수가 필요하여, 번잡한 수고가 많이 걸린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엘리베이터칸 승강시의 주행풍을 취입하기 위한 복수의 흡배구를 가지는 통풍덕트를 엘리베이터칸에 마련하는 취지도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풍덕트는 많은 부재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칸 자중(自重)이 증가해 버린다고 하는 과제나, 제조에 많은 비용이 들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Moreover,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cooling apparatus shown in patent document 1, the rotation of a roller guide is mechanically transmitted to a cooling fan via a rotation transmission mechanism, and it is set as the power which rotates a cooling fan. For this reason, many moving parts exist in a cooling fan and a rotation transmission mechanism, and abrasion occurs in these moving part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intenance such as replacement of worn parts is necessary, and a lot of troublesome labor is required. In addition, Patent Document 1 also describes the purpose of providing a car with a ventilation duct having a plurality of air intakes and outlets for blowing in the running wind during the car lift. However, such a ventilation duct requires a large number of members,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weight of a car and a cost in manufacturing.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번잡한 보수 작업이 불필요하고, 필요한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얻는 것이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such a subject, Comprising: It is obtaining the elevator cooling apparatus which does not require complicated maintenance work and can acquire the required cooling effect.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기기를 냉각하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시의 주행풍에 의한 공기류(空氣流)를, 상기 기기의 내부로 도입하는 흡기부와, 상기 기기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기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와, 상기 흡기부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류 내에 포함되는 이물을 상기 이물에 작용하는 원심력 및 중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이물분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흡기부는 상기 이물분리수단에 의해 상기 이물이 분리되어 당해 분리 전보다 이물함유량이 감소한 상기 공기류를 상기 기기의 내부로 도입하는 구성으로 한다.An elevat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vator cooling apparatus for cooling a device provided in an elevator car, wherein the air flow due to the running wind at the time of the elevator car is raised inside the device. At least one of a centrifugal force and a gravity force applied to the foreign matter, an intake par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apparatus, an exhaust part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apparatus to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and a foreign matter provided in the intake part and acting on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stream.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is separated by using any one, and the intake unit is configured to introduce the air flow in which the foreign matter is separated by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and the foreign matter content is reduced than before the separation.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에서는, 번잡한 보수 작업이 불필요하고, 필요한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In the elevat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licated maintenance work is not necessary, and the cooling effect required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냉각대상물을 내부에 수납한 조립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엘리베이터칸 주행중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엘리베이터칸 정지중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실제로 가동중의 엘리베이터에 탑재하여 냉각대상물의 온도변화를 계측했을 때의 구성 조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의 도 4의 구성 조건에서의 계측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엘리베이터칸 주행중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엘리베이터칸 정지중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엘리베이터칸 주행중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엘리베이터칸 정지중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box which accommodated in the inside the cooling object which applied the cool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explaining the flow of air in the cage running of the assembly box to which the cool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s applied.
It is a front view explaining the flow of air in the cage | basket | car stop of the assembly box to which the cool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s applied.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structural conditions at the time of mounting the elevator cool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n the elevator currently operating,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a cooling object.
It is a graph which shows the measurement result in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FIG. 4 of the cool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box to which the cool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s applied.
It is a front view explaining the flow of air in the cage running of the assembly box to which the elevator cool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s applied.
It is a front view explaining the flow of air in the cage | basket | car stop of the assembly box to which the cool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s applie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box to which a cool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a front view explaining the flow of air in the cage running of the assembly box to which the elevator cool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is applied.
It is a front view explaining the flow of air in the cage | basket | car stop of the assembly box to which the cool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is applied.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box to which a conventional cooling device of an elevator is applied.

본 발명을 첨부의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각 도면을 통해서 동일 부호는 동일 부분 또는 상당히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or equivalent par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appropriately simplified or omitted.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이 실시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사시도를 나타낸다.1 to 5 relate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box to which the cool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applied to FIG.

이 도 1에서, 1은 도시하지 않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의 예를 들면 상부에 설치된 조립상자이다. 이 조립상자(1)는 대략 직방체(直方體) 모양의 상자체이다. 그리고, 이 조립상자(1) 내에는, 예를 들면 회로기판 등의 발열기기인 냉각대상물(2)이 수납되어 있다. 조립상자(1)의 하면의 일측단에는 흡기구(3)가 마련되어 있다. 이 흡기구(3)에는 흡기후드(hood)(4)가 장착되어 있다. 이 흡기후드(4)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기후드(4)는 원호 모양으로 굽혀진 흡기부 도풍판(導風板)(4a)을 가지고 있다.In FIG. 1, 1 is an assembly box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of the elevato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This assembling box 1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In the assembling box 1, the cooling object 2 which is a heat generating apparatus, such as a circuit board, is accommodated, for example. An inlet port 3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ssembly box 1. This intake port 3 is equipped with an intake hood 4. This intake hood 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intake hood 4 has an intake portion guide plate 4a bent in an arc shape.

흡기후드(4)는 대략 반원형의 원호 부분이 아래쪽으로 되고, 직경 부분이 위쪽으로 되도록 하여, 조립상자(1)의 흡기구(3)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 흡기후드(4)의 대략 반원형의 직경 부분 가운데, 한쪽의 반경 측이 흡기구(3)에 할당되고, 다른 쪽의 반경 측은 조립상자(1)의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나온 위치가 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흡기후드(4)에서의, 이 조립상자(1)의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나온 위치가 되도록 배치된 다른 쪽의 반경 측은 위쪽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이 개구부가 유입면(5)을 형성하고 있다.The intake hood 4 is attached to the intake port 3 portion of the assembly box 1 with the semi-circular circular arc portion downward and the diameter portion upward. At this time, of the substantially semi-circular diameter portions of the intake hood 4, one radial side is assigned to the intake port 3, and the other radial side is disposed so as to be outward from the side of the assembly box 1. . And the other radial sid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come the position which emerged out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is assembly box 1 in the intake hood 4 is open toward upper direction. This opening forms the inflow surface 5.

흡기후드(4) 내의 흡기구(3) 측의 단부에는 이물분리판(6)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흡기부 도풍판과 이물분리판이 이루는 각(7)이 예각이 되도록 직판(直板) 모양의 이물분리판(6)이 흡기후드(4)의 원호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이물분리판(6)과 흡기부 도풍판(4a)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공간의 가장 이물분리판(6) 가깝게 되는 부분의 흡기부 도풍판(4a)에는 개구부인 기류진행방향 배출구(8a)가 마련되어 있다. 또, 흡기후드(4)의 양측(조립상자(1)의 전면(前面) 측 및 후면(後面) 측)의 흡기구(3) 측의 반은 개구부로 되어 있으며, 기류진행 측면방향 배출구(8b)가 형성되어 있다.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plate 6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intake hood 4 on the side of the intake port 3. Here,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plate 6 in the form of a straight plate protrudes inward from the arc side of the intake hood 4 so that the angle 7 formed between the intake portion guide plate and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plate becomes an acute angle. In addition, the air inflow direction discharge port serving as an opening is formed in the intake part guide plate 4a of the portion closest to the foreign matter separator plate 6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oreign material separator 6 and the intake part guide plate 4a. 8a) is provided. In addition, half of the intake port 3 side of both sides of the intake hood 4 (front side and rear side of the assembly box 1) is an opening portion, and the air flow progressing side outlet 8b is provided. Is formed.

조립상자(1) 내의 측면에는 내부 도풍판(9)이 흡기구(3) 위쪽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내부 도풍판(9)은, 여기에서는 단면이 전체 원의 4분의 1의 원호 모양이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An inner guide plate 9 is moun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assembly box 1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intake port 3. This inner light guide plate 9 is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may be an arc shape of one quarter of the whole circle here.

조립상자(1)의 전면 및 후면의 상단에는 개구부인 배기구(1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배기구(10)의 외측에는 배기후드(11)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들 배기후드(11)는 각 배기구(10)의 상방 측을 덮는 상면 및 각 배기구(10)의 개구면과 평행한 면의 2면으로 이루어진다. 각 배기구(10)의 좌우 양측과 하방 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배기면(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배기후드(11)는 위쪽으로부터의 주행풍(13)이 배기구(10)로부터 직접 유입하여, 기류의 방향성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정류(整流) 작용을 담당하고 있다(기류의 일방향성). 또, 배기후드(11)는 배기구(10)로부터 이물을 조립상자(1) 내부로 취입하기 어렵게 하는 기능도 가진다.The exhaust port 10 which is an opening part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assembly box 1, respectively. An exhaust hood 11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se exhaust ports 10, respectively. These exhaust hoods 11 consist of two surfaces, the upper surface which covers the upper side of each exhaust port 10, and the surface parallel to the opening surface of each exhaust port 10. As shown in FIG.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lower side of each exhaust port 10 are opened, and the exhaust surface 12 is formed. These exhaust hoods 11 are responsible for the rectifying action to prevent the running wind 13 from the upper side from flowing directly from the exhaust port 10 and thus losing the directivity of the airflow (unidirectionality of airflow). In addition, the exhaust hood 11 also has a function of making it difficult to blow foreign matter into the cabinet 1 from the exhaust port 10.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엘리베이터칸 주행중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것이 도 2이다. 엘리베이터칸이 상승하면 엘리베이터칸에 설치된 조립상자(1)도 엘리베이터칸과 함께 상승한다. 따라서, 조립상자(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주행풍(13)이 흐른다. 이 주행풍(13)이 흡기후드(4)의 유입면(5)에 닿으면, 기압의 차이로부터 흡기후드(4)의 흡기부 도풍판(4a)의 원호 모양의 형태에 따라서 기류가 유도된다. 그 때, 기류중에 포함되는 공기와 비교하여 질량이 큰 모래 먼지나 쓰레기류 등의 이물의 궤도는 자중과 원심력에 의해, 원호 모양의 궤도의 외측 가까이로 휘어진다(원심분리 작용). 즉, 유입하는 공기의 흐름(14) 중의 이물은 흡기부 도풍판(4a)의 내벽을 따라서 선회하며, 이물분리판(6)과 흡기부 도풍판(4a)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공간으로 유도된다.Fig. 2 illustrates the flow of air during car run of the assembly box to which the cooling device of the elev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When the car rises, the assembly box 1 installed in the car also rises with the car. Therefore, the traveling wind 13 flow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relative to the assembly box 1. When this traveling wind 13 touches the inflow surface 5 of the intake hood 4, airflow is induced from the difference in air pressure in accordance with the arc-shaped shape of the intake portion guide plate 4a of the intake hood 4. . At that time, the trajectory of foreign matter such as sand dust or garbage having a large mass compared to the air contained in the airflow is bent near the outer side of the arc-shaped trajectory by self-weight and centrifugal force (centrifugal action). That is, the foreign matter in the inflowing air stream 14 is rotat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take portion guide plate 4a and is led 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plate 6 and the intake portion guide plate 4a. .

이렇게 하여, 이물분리판(6)과 흡기부 도풍판(4a)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공간으로 유도된 이물함유량이 많은 공기는 기류진행방향 배출구(8a)로부터 주로 배출된다(배출구 진행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15)). 기류진행방향 배출구(8a)로부터 배출되지 않았던 기류의 상당수는 위쪽 방향으로 진행되어, 흡기구(3)로부터 조립상자(1) 내부로 들어간다(조립상자 내 도입풍(16)). 한편, 기류진행방향 배출구(8a) 및 흡기구(3)로 유도되지 않은 나머지의 기류는 기류진행 측면방향 배출구(8b)로부터 배출된다(배출구 측면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17)). 이 때, 중력에 의해 흡기후드(4) 및 흡기부 도풍판(4a)의 저부에 머문 이물을 기류진행 측면방향 배출구(8b)로부터 배출하면서 배기된다(이물의 배출작용). 흡기구(3)로부터 조립상자(1) 내부에 진입한 기류는 내부 도풍판(9)에 의해 진행방향을 바꾸어, 냉각대상물(2)로 불어 내진다. 이렇게 하여, 조립상자(1) 내로 도입된 공기류에 의해, 효율적으로 냉각대상물(2)을 냉각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air having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s guided 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plate 6 and the intake portion guiding plate 4a is mainly discharged from the airflow progress direction discharge port 8a (air in the discharge port progress direction). (15). Many of the airflows which have not been discharged from the airflow direction discharge port 8a proceed upwards and enter the inside of the cabinet 1 from the inlet port 3 (introduction wind 16 in the cabinet). On the other hand, the remaining air flow that is not guided to the air flow direction discharge port 8a and the inlet port 3 is discharged from the air flow progress side direction discharge port 8b (flow of air 17 in the discharge port side direction). At this time, the foreign matter stayed at the bottom of the intake hood 4 and the intake portion guide plate 4a by gravity is discharged while discharging from the airflow advancing lateral discharge port 8b (discharge action of foreign matter). The air flow entering the inside of the assembly box 1 from the inlet port 3 is changed by the inner guiding plate 9 and blown into the cooling object 2. In this way, the cooling object 2 can be cooled efficiently by the airflow introduced into the assembly box 1.

그리고, 냉각대상물(2)에 의해 따뜻하게 된 공기는 보다 기압이 낮은 배기구(10)로부터 배출된다. 배기후드(11)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배기후드(11)로부터 외부의 주행풍(13)과 합류한다(유출하는 공기의 흐름(18)).The air warmed by the cooling object 2 is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10 having a lower air pressur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hood 11 joins with the outside traveling wind 13 from the exhaust hood 11 (flow of air 18 flowing out).

이와 같이 하여, 우선,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이 상승할 때의 주행풍(13)이 위쪽으로부터 닿는 바람을 취입하는 흡기후드(4) 및 조립상자(1) 내부에 바람을 취입하는 흡기구(3)에 의해, 조립상자(1)의 내부로 도입된다. 이 도입의 과정에서, 원호 모양의 흡기부 도풍판(4a)에 의해, 기류의 방향이 위쪽 방향으로 바뀌어짐과 아울러, 원심분리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류중의 이물이 분리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물분리판(6)에 의해, 조립상자(1) 내로 도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이 제거된다. 이물분리판(6)에 의해 제거된 이물은 흡기후드(4)의 유입면(5)으로부터 들어간 기류의 일부에 의해서, 주된 기류의 진행방향에 있는 기류진행방향 배출구(8a) 및 주된 기류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는 기류진행 측면방향 배출구(8b)로부터 배출된다. 즉, 흡기후드(4)의 원호 모양의 흡기부 도풍판(4a), 이물분리판(6) 및 기류진행방향 배출구(8a) 및 기류진행 측면방향 배출구(8b)는 주행풍(13)으로부터 이물을 분리하는 이물분리수단을 구성하고 있다.In this way, first, the air intake hood 4 which blows the wind which the traveling wind 13 when the car of the elevator ascends from the upper side, and the intake port 3 which blows air into the assembly box 1 inside. It introduces into the inside of the assembly box 1 by this. In the course of this introduction, the direction of the airflow is changed upward by the arc-shaped intake portion guide plate 4a, and foreign matter in the airflow is separated using the principle of centrifugal separation. Finally, the foreign matter is removed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ssembly box 1 by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plate 6. The foreign matter removed by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plate 6 is caused by the part of the airflow entering from the inflow surface 5 of the intake hood 4, and the airflow progress direction outlet 8a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airflow and the progress of the main airflow. It discharges from the airflow progressing side direction discharge port 8b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That is, the arc-shaped intake portion guide plate 4a,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plate 6, and the air flow direction discharge port 8a and the air flow direction side discharge port 8b of the intake hood 4 are separated from the running wind 13. It constitutes a foreign matter separation means for separating the.

이렇게 하여, 주행풍(13)의 도입 과정에서 이물이 제거된 공기는 조립상자(1) 내에서 내부 도풍판(9)에 의해서 냉각대상물(2)로 불어 내진다. 그리고, 냉각대상물(2)을 냉각하여 따뜻해진 공기는 조립상자(1)의 상측 가까이에 있는 배기구(10)로부터 조립상자(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일련의 강제적인 공기의 흐름에 의해, 냉각이 행해진다.In this way, the air from which foreign matters were removed in the course of introducing the traveling wind 13 is blown into the cooling object 2 by the inner guiding plate 9 in the assembly box 1. Then, the air warmed by cooling the cooling target object 2 is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10 near the upper side of the assembly box 1 to the outside of the assembly box 1. Cooling is performed by this series of forced air flows.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엘리베이터칸 정지중에서의 공기의 흐름은 도 3과 같이 된다. 엘리베이터칸이 정지하여 주행풍이 없는 경우는, 조립상자(1) 내부의 냉각대상물(2)의 발열에 의해 발생하는 자연대류에 의해 배열(排熱)을 행한다. 주행풍을 받아 강제적인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풍량은 적게 되지만, 자연대류에 의해, 하부의 흡기구(3)로부터 외기를 도입함과 아울러(정지시에 유입하는 공기의 흐름(19)), 상부의 배기구(10)로부터 배열하는 공기의 흐름(정지시에 유출하는 공기의 흐름(20))을 확보하여, 열이 체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엘리베이터칸이 정지중은 주행풍이 상부로부터 닿지 않기 때문에, 배기구(10)로부터 배출된 난기(暖氣)는 위쪽 방향으로 올라간다. 여기서, 각 배기구(10)의 좌우 양측은 개방되도록 배기후드(11)는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행풍이 없는 경우의 자연대류에 의한 난기가 배기 후 즉시 위쪽 방향으로 올라가서, 조립상자(1) 내부에서 난기가 체류하기 어려워지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flow during the stop of the car of the assembly box to which the cooling device of the elev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car stops and there is no travel wind, the arrangement is performed by natural convection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on of the cooling object 2 inside the cabinet 1.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forced air flow is generated by the running wind, the air volume decreases. However, natural convection introduces outside air from the lower intake port 3, and the flow of air flowing in at the time of stopping (19 )) And the flow of air (the flow 20 of air flowing out at the time of stopping) arranged from the upper exhaust port 10 can be secured, and heat can be prevented from remaining. Since the running wind does not touch the upper part while the car is stopped, the warm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10 rises upward. Here, the exhaust hood 1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exhaust port 10 are opened. For this reason, the warming up by natural convection in the absence of running wind rises upward immediately after exhausting, and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warming up to stay inside the cabinet 1.

주행풍 혹은 자연대류를 이용하여 소망의 배열 효과를 얻으려면, 흡기구(3)로부터 배기구(10)까지의 일련에 있어서 일정한 단면적을 가지는 풍로를 확보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풍로란, 예를 들면 도 1에서는 주행풍이 유입하는 조립상자(1)와 흡기후드(4)가 이루는 유입면(5)으로부터 조립상자(1)와 배기후드(11)가 이루는 배기면(12)의 일련의 풍로를 가리킨다. 필요한 단면적은 흡기구(3)·배기구(10)의 수나 면적, 냉각대상물(2)의 발열량이나 형상·배치 등의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열유체해석 시뮬레이션이나 실험 등의 수단에 의해 도출(導出)할 수 있다.In order to obtain a desired arrangement effect by using the traveling wind or natural convec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to ensure a passage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al area in the series from the intake port 3 to the exhaust port 10. This air path is, for example, in FIG. 1, the exhaust surface 12 formed by the assembly box 1 and the exhaust hood 11 from the inflow surface 5 formed by the assembly box 1 and the intake hood 4 through which the running wind flows. A series of tracks. The required cross-sectional area can be derived by means of thermofluid analysis simulation or experiment on the basis of parameters such as the number and area of the intake port 3 and the exhaust port 10,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cooling object 2, and the like. Can be.

도 4는 이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실제로 가동중의 엘리베이터에 탑재하여, 냉각대상물의 온도변화를 계측했을 때의 구성 조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계측에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에서는, 냉각효과를 높이기 위해 흡기부를 2개소, 배기부를 4개소 마련하고 있다. 또, 풍로(風路) 단면적과 냉각효과의 비교를 하기 위해, 조건 A에 대해서 풍로 단면적을 1.5배로 한 조건 B의 구성에서도 동시에 계측했다. 조건 C는 흡기부 구조의 차이에 의한 영향의 비교용이다. 이 조건 C에서는, 흡기부에 본원 발명에 관한 이물분리수단은 마련하지 않고, 주행풍의 역류방지를 위한 후드만을 배기부에 마련하고, 풍로 단면적은 조건 A와 동일하게 했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condition when the cooling device of the elevator of this embodiment is actually mounted in an elevator in operation and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cooling target object is measured. In the cooling device of an elevator used for this measurement, in order to improve a cooling effect, two intake parts and four exhaust parts are provided. In addition, in order to compare a cross section of a wind path and a cooling effect, it measured simultaneously also in the structure of the condition B which made the air path cross section 1.5 times the condition A. Condition C is for comparison of influence by the difference in intake structure. In this condition C,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not provided in the intake section, but only a hood for preventing the reverse flow of running wind was provided in the exhaust section, and the air passage cross section was made the same as condition A.

도 5에 도 4의 구성 조건에서의 24시간 분의 계측결과를 나타낸다. 계측대상은 케이스 내부의 프린트 기판의 실장(實裝) 부품(전해 콘덴서)의 표면온도로 했다. 케이스 내부의 통전(通電) 상태에 변화는 없고, 계측대상의 발열량은 시종 일정하다. 또, 엘리베이터 상태는 가속도 센서 출력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다. 이 가속도 센서 출력은 0.00(V)을 중심으로 진동하고 있는 출력 곡선이다. 그리고, 이 진동의 진폭이 작은 전반 약 10시간은 정지시간대이며, 진동이 격렬해지는 후반 약 14시간은 주행 시간대이다.The measurement result for 24 hours in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FIG. 4 is shown in FIG. The measurement object was made into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ounting component (electrolytic capacito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side a case. There is no change in the energized state inside the case, and the calorific value of the measurement target is always constant. In addition, the elevator state is represen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output. This acceleration sensor output is an output curve oscillating around 0.00 (V). The first half of the time when the amplitude of the vibration is small is the stop time zone, and the second half of the time when the vibration is intense is about 14 hours.

이 도 5의 그래프에 있어서, 전체 시간대에 3 ~ 4℃ 정도의 온도 진폭이 있는 것은, 엘리베이터칸의 주행풍 외에, 승강로 안을 부정기적으로 불어 내는 바람이 있는 것에 의하는 것이다. 우선, 조건 A와 조건 B로 대비해 본다. 계측값의 평균 온도로 비교하면, 조건 B는 조건 A와 비교하여 정지시간대는 약 1℃ 낮고, 주행 시간대는 2℃ 이상 낮은 결과가 되었다. 즉, 풍로 단면적이 넓은 것이 기류에 의한 배열 효과가 높고, 주행풍의 혼잡에 의한 냉각효과가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이 24시간의 평균 온도차는 1℃ 이상이 된다.In the graph of FIG. 5, the temperature amplitude of about 3 to 4 ° C. in all the time zones is due to the wind blowing irregularly in the hoistway in addition to the running wind of the car. First, prepare under condition A and condition B. When compared with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measured value, the condition B compared with condition A resulted in the stop time zone being about 1 degreeC low, and the running time zone being 2 degreeC or more low.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wid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passage has a higher arrangement effect due to airflow, and the higher cooling effect due to congestion of running wind. In addition,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of 24 hours becomes 1 degreeC or more.

다음으로, 조건 A와 조건 C로 대비해 보면,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조건 A와 조건 B와의 대비의 중간적인 결과였다. 즉, 조건 C가 조건 A와 비교해서, 정지시간대는 약 0.5℃ 정도 낮고, 주행 시간대는 1℃ 정도 낮은 결과가 되었다. 이 주된 이유로서는, 조건 A는 조건 C와 비교하여 흡기부의 풍로 형상의 만곡이나 이물분리판에 기인하는 흡기 저항이 높아지는 점 및 조건 A는 이물을 포함하는 기류를 도중에 배기하기 때문에, 조건 C와 비교하여 냉각대상에 닿는 풍량이 감소하는 점, 의 2점에 의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관한 이물분리수단을 구비한 흡기부를 이용하여, 이물분리수단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와 동등 이상의 냉각효과를 얻으려면, 통풍로저항과 도중 배기에 의한 풍량의 감소량을 고려한 풍로 단면적의 설정이 필요하다라고 하는 것을 알 수 있다.Next, when compared with condition A and condition C, although illustration is abbreviate | omitted, it was an intermediate result of contrast with condition A and condition B. In FIG. That is, compared with condition A, condition C was about 0.5 degreeC in stop time zone, and the driving time period was about 1 degreeC low. As the main reason, the condition A is compared with the condition C because the air intake resistance due to the curvature of the air intake portion or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plate is higher than the condition C, and the condition A exhausts the air flow containing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middl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air volume reaching the cooling target is reduced by two points.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 cooling effect equivalent to or more than the case of not using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by using the intake section provided with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ir passage cross-sectional area taking into account the air passage resistance and the amount of decrease in the amount of air flow due to the middle exhaust. It turns out that setting of is necessary.

또한, 여기에서는, 직판 모양의 이물분리판(6)을 흡기부 도풍판과 이물분리판이 이루는 각(7)이 예각이 되도록 마련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물분리판(6)을 예를 들면 'L'자형이나 원호형으로 굽힌 것으로 하고, 흡기부 도풍판과 이물분리판이 이루는 각(7)을 예를 들면 직각 정도로 하도록 해도 된다.Here,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plate 6 in the form of a straight plate was provided so that the angle 7 formed by the intake portion guide plate and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plate was acute. In this regard,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plate 6 may be bent in an 'L' shape or an arc shape, for example, and the angle 7 formed between the intake part guide plate and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plate may be, for example, at a right angle.

또, 여기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상부에 조립상자(1)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조립상자(1)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칸의 하강시에 받는 바람을 취입하는 방향(상부 설치시와는 반대의 아래쪽 방향)으로 흡기후드(4)의 방향을 바꾸고, 배기후드(11)에 대해서는 하강시의 주행풍이 배기구(10)로부터 조립상자(1) 내로 취입되지 않는 방향(상부 설치시와는 반대의 아래쪽 방향)으로 바꾸는 것이 생각된다.In addition, the case where the assembly box 1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a car was demonstrated. When installing the assembly box 1 in the lower part of a car, the direction of the intake hood 4 is changed in the direction which blows in the wind received at the time of descending of the car (down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upper installation), With respect to the exhaust hood 11, it is conceivable to change the traveling wind at the time of descending from the exhaust port 10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not blown into the cabinet 1 (downward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upper installation).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 설치된 기기인 조립상자(내의 냉각대상물)를 냉각하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로서,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시의 주행풍에 의한 공기류를 기기의 내부로 도입하는 흡기부와, 기기의 내부의 공기를 기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와, 흡기부에 마련되고, 공기류 내에 포함되는 이물을, 이물에 작용하는 원심력 및 중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이물분리수단을 구비하며, 흡기부는 이물분리수단에 의해 이물이 분리되어 당해 분리 전보다 이물함유량이 감소한 공기류를 기기의 내부로 도입하는 것이다.The elevator cool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n elevator cooling device that cools an assembly box (a cooling object inside) that is a device installed in an elevator car. At least one of a centrifugal force and gravity acting on the intake part to introduce the air inlet, the exhaust part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device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and the foreign matter provided in the intake part and included in the air flow. It is provided with a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for separating, and the intake unit is to introduce the air flow in which the foreign matter is separated by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and the foreign matter content is reduced than before the separation.

또, 이물분리수단은 분리한 상기 이물을 공기류의 일부와 함께, 기기의 내부를 경유시키지 않고, 기류진행방향 배출구 및 기류진행 측면방향 배출구로부터 기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discharges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together with a part of the airflow from the airflow direction outlet port and the airflow direction side outlet port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device.

이 때문에, 주행풍을 활용한 강제 공냉시에 있어서, 메인턴넌스가 필요한 필터 등을 이용하지 않고 이물함유량을 줄인 공기로 기기의 냉각이 가능하다. 또, 이 때, 분리한 먼지 등의 이물은 풍압에 의해 기기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기기의 분해를 수반하는 번잡한 오버홀(overhaul)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거나, 또는, 작업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냉각용의 전원이나 마모부를 가지는 동력원이 불필요하고, 자연공냉 이상으로부터 강제공냉에 상당하는 정도까지의 냉각효과가 얻을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 자원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흡기로부터 배기까지의 도풍로는 기기의 내부와 외부의 일부에만 부재를 추가하는 것으로 구성 가능하기 때문에, 기기 외부에 덕트 등을 마련하여 바람을 수집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구성요소가 적고, 제조에 필요한 비용을 저감하며, 자원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in the forced air cooling utilizing the traveling wind, the device can be cooled by air having reduced foreign matter content without using a filter or the like requiring maintenance. In addition, at this time, since foreign matters such as the separated dust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by the wind pressure, complicated overhaul accompanying disassembly of the apparatus can be made unnecessary, or the work load can be reduced. . In addition, a power source for cooling and a power source having wear parts are unnecessary, and a cooling effect can be obtained from natural air cooling or more to equivalent to forced air cooling, and energy saving and resource saving can be achieved. In addition, since the duct from the intake to exhaust can be constituted by adding members only to a part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evice, there are fewer components in comparison with the method of collecting wind by providing a duct outside the device, The cost required for manufacturing can be reduced, and the resource can be saved.

실시형태 2.Embodiment 2 Fig.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형태 2는, 상술한 실시형태 1의 구성에서의 이물분리수단을 복수 마련하도록 한 것이다. 즉, 이 실시형태 2에서는, 주행풍의 유입면으로부터 조립상자 내로의 흡기구에 이를 때까지의 풍로에 복수 단계(여기에서는 3단계)의 이물분리수단을 마련하고 있다.Embodiment 2 demonstrated here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means in the structure of Embodiment 1 mentioned above. That is, in this Embodiment 2,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means of a plurality of steps (here 3 steps) is provided in the air path from the inflow surface of a running wind to the inlet port into a cabinet.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것이다. 도 6에 이 실시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 2에는 복수의 이물분리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즉, 흡기후드(4)에는 흡기부 도풍판(4a), 이물분리판(6) 및 기류진행방향 배출구(8a) 및 기류진행 측면방향 배출구(8b)의 세트(set)가 복수(여기에서는 3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세트는 다른 세트와 연결되어 일련의 풍로로 되어 있다. 즉, 유입면(5)이 형성되어 있는 1번째의 세트의 유출 측과 2번째의 세트의 유입 측이 연결되고, 2번째의 세트의 유출 측과 3번째의 세트의 유입 측이 연결되며, 3번째의 세트의 유출 측은 조립상자(1)의 하면에 마련된 흡기구(3)와 연결되어 있다.6 to 8 relate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box to which the cool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That is, the intake hood 4 has a plurality of sets of the intake portion guide plate 4a,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plate 6, and the airflow direction directional outlet 8a and the airflow side lateral outlet 8b. Dog) These sets are connected to other sets to form a series of air paths. That is, the outlet side of the 1st set and the inflow side of the 2nd set in which the inflow surface 5 is formed are connected, the outflow side of the 2nd set and the inflow side of the 3rd set are connected, 3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set is connected to the inlet port 3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ssembly box 1.

이와 같이 흡기후드(4)는 수평방향으로 약간 길게 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구(3)는 조립상자(1) 하면의 측면 가까이가 아니고, 조립상자(1) 하면의 거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실시형태 1에서는 마련하고 있던 내부 도풍판(9)은 이 실시형태 2에서는 마련하지 않았다.Thus, since the intake hood 4 is slightly long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intake port 3 is located near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ssembling box 1, not near the side surface of the assembling box 1. For this reason, the internal guide plate 9 provided in Embodiment 1 was not provided in this Embodiment 2. As shown in FIG.

또한,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1,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엘리베이터칸 주행중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것이 도 7이다. 엘리베이터칸이 상승하면 조립상자(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주행풍(13)이 흐른다. 그리고, 이 주행풍(13)은 흡기후드(4)의 유입면(5)으로부터 취입되며, 1번째의 흡기부 도풍판(4a)의 원호 모양의 형태에 따라서 기류가 유도된다. 그 때,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원심분리 작용과 이물분리판(6)에 의해, 기류중의 이물이 분리되어, 기류진행방향 배출구(8a) 및 기류진행 측면방향 배출구(8b)로부터 배출된다.Fig. 7 illustrates the flow of air during car run of the assembly box to which the cooling device of the elev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When the car rises, the traveling wind 13 flow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relative to the assembly box 1. The running wind 13 is blown in from the inflow surface 5 of the intake hood 4, and the air flow is guided in accordance with the arc shape of the first intake portion guide plate 4a. At that time,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stream is separated by the centrifugal action and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plate 6, and is discharged from the air flow direction discharge port 8a and the air flow direction side discharge port 8b.

기류진행방향 배출구(8a) 및 기류진행 측면방향 배출구(8b)로부터 배출되지 않았던 기류는, 일단, 위쪽 방향으로 진행되고, 다음의 2번째의 세트(이물분리수단)로 유입한다. 그리고, 1번째와 동일하게 하여, 1번째의 이물분리수단에서는 전부 제거되지 않았던 공기중의 이물을 제거한다. 또, 동일하게 하여, 3번째의 세트(이물분리수단)에 있어서, 전의 2개의 세트(이물분리수단)에서는 전부 제거되지 않았던 공기중의 이물을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3단계의 이물분리수단으로의 이물제거과정을 거친 기류는 흡기구(3)로부터 조립상자(1) 내로 도입된다.The airflow which has not been discharged from the airflow progress direction discharge port 8a and the airflow advance side discharge port 8b is once advanced upwards and flows into the next second set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The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that has not been completely removed by the first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is removed. Similarly, in the third set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foreign matters in the air that have not been completely removed in the previous two sets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are removed. In this way, the airflow which has undergone the foreign matter removal process to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in three stages is introduced into the assembly box 1 from the inlet port 3.

또한, 이 후에 계속되는 냉각대상물(2)의 냉각의 과정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the cooling of the cooling object 2 continued after this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1,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8은 이 실시형태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엘리베이터칸 정지중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엘리베이터칸 정지중에서의 공기의 흐름은 실시형태 1과 거의 동일하다. 단, 이물분리수단의 수만큼 기류진행 측면방향 배출구(8b)(및 기류진행방향 배출구(8a))가 있기 때문에, 흡기후드(4)의 유입면(5)에 더하여, 이들 복수의 기류진행 측면방향 배출구(8b) 등으로부터 외기가 도입되는 점은 실시형태 1과는 다르다.Fig. 8 shows the flow of air during the stop of the car of the assembly box to which the cooling device of the elevator in this embodiment is applied. The air flow during the car stop is almost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in addition to the inflow surface 5 of the intake hood 4, these plural airflow progressing sides are provided because there are airflow progressing lateral direction outlets 8b (and airflow progressing direction outlets 8a) as many as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The point where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from the directional discharge port 8b or the like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또한, 흡기부인 흡기후드(4)에 마련하는 이물분리수단의 수는 목적에 따라 몇 단계라도 된다. 그리고, 이물분리수단을 복수 단계 마련하는 경우에는, 1단마다 분리 대상으로 하는 이물의 종류(분진의 지름이나 중량 등)에 의해서, 흡기부 도풍판(4a)이 만드는 원호의 반경 치수를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흡기부 도풍판(4a)이 만드는 원호의 중심으로부터, 대략 수직 하부로 정류 부재를 마련하여, 흡기후드(4) 내의 기류의 궤적이 확실히 크랭크 모양이 되도록 해도 된다.The number of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provided in the intake hood 4, which is the intake portion, may be any number of steps depending on the purpose.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are provided, the radial dimension of the circular arc made by the intake portion guide plate 4a is changed by the type of foreign matter (dust, weight, etc.) to be separated for each stage. You may also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even if the rectify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vertical lower part from the center of the circular arc which each intake part guide plate 4a makes, the trajectory of the airflow in the intake hood 4 will be made into a crank shape certainly. do.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는 실시형태 1의 구성에서의 이물분리수단을 복수 연결해 마련한 것이다. 이 때문에,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데 더하여, 이물분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oling device of an elevator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is provided by connecting two or mor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means in the structure of Embodiment 1. As shown in FIG. For this reason, the same effect as that of Embodiment 1 can be exhibited, and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ability can be improved.

실시형태 3.Embodiment 3:

상술한 실시형태 1 및 2는 원심력 및 중력을 이용하여, 공기중으로부터 이물을 분리하는 것이었다. 이것에 대해,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형태 3은 흡기부에서, 원심력에 의한 작용은 이용하지 않고, 중력을 주로 이용하여 공기중으로부터 이물을 분리하도록 한 것이다.Embodiments 1 and 2 described above were to separate foreign matter from the air by using centrifugal force and gravity. On the other hand, in Embodiment 3 described here, the foreign matter is separated from the air by using gravity mainly without using the action of centrifugal force in the intake section.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것이다. 도 9에 이 실시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 3에서는, 냉각대상물(2)이 수납된 조립상자(1)의 하면의 아래쪽에 흡기후드(4)가 마련되어 있다. 이 흡기후드(4)는 조립상자(1)의 하면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흡기부 도풍판(4a)을 가지고 있다. 즉, 흡기부 도풍판(4a)은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기후드(4)(흡기부 도풍판(4a))에 의해 형성되는 흡기부의 풍로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불어 내는 도풍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흡기부 도풍판(4a)은 조립상자(1)의 양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이 흡기부 도풍판(4a)의 돌출부에 위쪽으로부터의 주행풍(13)이 닿으면, 기압차에 의해, 흡기후드(4)에 의해 형성된 조립상자(1)의 하부의 도풍로로 주행풍(13)이 도입된다.9 to 11 are related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box to which the cool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applied. In this Embodiment 3, the intake hood 4 is provid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assembly box 1 in which the cooling object 2 is accommodated. The intake hood 4 has an intake portion guide plate 4a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ssembly box 1. That is, the intake part guide plate 4a is arrange | position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In addition, the air passage of the intake portion formed by the intake hood 4 (intake portion guide plate 4a) has a guiding path structure that blows linearly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intake portion guide plate 4a protrudes outward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assembly box 1. When the traveling wind 13 from the upper part touches the protrusion part of the intake part guide plate 4a, the traveling wind (in the lower part of the assembly box 1 formed by the intake hood 4) is driven by the air pressure difference. 13) is introduced.

또, 조립상자(1)의 하면에는 흡기구(3)가 마련되어 있다. 흡기후드(4) 내를 대략 수평방향으로 불어 내는 공기류에서, 공기류중의 이물은 자중에 작용하는 중력으로 아래쪽에 강하하면서, 주로 직선적으로 불어낸다. 한편, 조립상자(1)의 하면의 근방 즉 위쪽에 있는 이물의 적은 공기의 일부는 보다 기압이 낮아 조립상자(1) 내로 흡기구(3)로부터 유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이물에 작용하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이물을 많이 포함한 공기는 배출되고, 포함되는 이물이 비교적 적은 공기가 흡기구(3)로부터 조립상자(1) 내로 도입된다.Moreover, the inlet port 3 is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assembly box 1. In the airflow blowing the inside of the intake hood 4 in the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foreign matter in the airflow descends downwardly by gravity acting on its own weight, and is blown mainly linearly. On the other hand, a small part of the air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ssembly box 1, i.e., the upper part, has a lower air pressure and flows in from the inlet port 3 into the assembly box 1. In this way, by the action of gravity acting on the foreign matter, ai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and air containing relatively few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into the cabinet 1 from the intake port 3.

또한, 다른 구성은 내부 도풍판(9)이 마련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여 실시형태 1과 거의 동일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other structur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1 except the internal guide plate 9 is not provided,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엘리베이터칸 주행중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것이 도 10이다. 엘리베이터칸이 상승하면 조립상자(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주행풍(13)이 흐른다. 그리고, 이 주행풍(13)은 흡기부 도풍판(4a)의 돌출부에 닿아, 흡기후드(4)에 의해 형성된 조립상자(1)의 아래쪽의 도풍로로 도입된다. 그리고 상술한 같은 이물에 작용하는 중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이물을 많이 포함하는 아래쪽의 공기는 배출되며, 포함되는 이물이 비교적 적은 위쪽의 공기는 흡기구(3)로부터 조립상자(1) 내로 도입된다.Fig. 10 illustrates the flow of air during car run of the assembly box to which the cooling device of the elev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When the car rises, the traveling wind 13 flow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relative to the assembly box 1. Then, the traveling wind 13 touches the protrusion of the intake portion guiding plate 4a and is introduced into the guiding path below the assembly box 1 formed by the intake hood 4. Then, by using the action of gravity acting on the same foreign matter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ai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and the upper air hav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foreign matter included is introduced into the cabinet 1 from the intake port 3. .

또한, 이 후에 계속되는 냉각대상물(2)의 냉각의 과정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the cooling of the cooling object 2 continued after this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1,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11은 이 실시형태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적용한 조립상자의 엘리베이터칸 정지중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엘리베이터칸 정지중에서의 공기의 흐름은 실시형태 1과 거의 동일하다. 자연대류에 의해, 조립상자(1)의 아래쪽의 흡기후드(4) 및 흡기구(3)로부터 외기가 취입되고, 조립상자(1)의 상부의 배기구(10)로부터 난기가 배출된다.Fig. 11 shows the flow of air during the car stop of the assembly box to which the cooling device of the elevator in this embodiment is applied. The air flow during the car stop is almost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By natural convection, outside air is blown in from the intake hood 4 and the intake port 3 below the assembly box 1, and warm air is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10 at the top of the assembly box 1.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흡기구(3)에 이물 분리용의 그물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intake port 3 may be provided with a net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는, 실시형태 1의 구성에서의 이물분리수단의 구성에 대신하여, 이물분리수단을, 공기류의 경로를 수평방향에서 직선 모양으로 형성하는 도풍판을 구비하고, 이물에 작용하는 중력을 이용하여, 공기류 내에 포함되는 이물을 도풍판에 의해 형성된 공기류의 경로에 대해서 연직 아래쪽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분리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실시형태 1의 구성에서의 메리트는 답습(踏襲)한 채로, 간결한 구성으로,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를 얻을 수 있다.The cool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is equipped with the guide plate which forms the foreign matter separation means in a straight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tead of the structure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means in the structure of Embodiment 1, By using gravity acting on the foreign matter,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flow is separated by guiding it downward perpendicularly to the path of the airflow formed by the guiding plate. For this reason, the merit in the structure of Embodiment 1 can be obtained with the concise structure, with a merit in the structure of Embodiment 1, and the cool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an aim at space saving.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 1 및 2에 있어서, 일련의 통풍로 단면적이 동일하면, 이물분리수단의 수가 1단인 경우와 비교해서 복수 단인 경우가 흡기부(유입부)의 공기 저항이 커진다. 이 때문에, 공기 저항을 낮게 하려면 단면적을 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어, 구성 스페이스나, 부재 사용량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또, 실시형태 3의 기류가 직선적으로 불어 내는 흡기부인 경우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는 이물이 조립상자(1) 내부로 출입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공간을 절약하고, 단순한 형상이며, 또한, 적은 부재 사용량으로 냉각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정을 근거로 하여, 이상의 실시형태 1에서 3의 구성 가운데, 이물분리 기능을 우선하는지, 공간절약성을 우선하는지 등의 목적에 따라서, 적절한 구성을 선택할 수 있다. 즉, 흡기부의 이물분리수단의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이물을 분리하는 능력을 요구에 따라 바꿀 수 있다.In addition, in Embodiment 1 and 2 demonstrated above, when a series of ventilation path cross sections are the same, the air resistance of an intake part (inflow part) becomes large in the case where it is multiple stage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foreign material separation means is one stage. For this reason, in order to make air resistance low, it is necessary to make larger cross-sectional area, and it causes an increase in a constituent space and member usage. Moreover, when the airflow of Embodiment 3 is an intake part which blows linearly, a foreign material easily enters and leaves the inside of the cabinet 1 by the flow of air. However, the cooling device can be configured with a space saving, a simple shape, and a small amount of member usage. Based on such a situation, the appropriate structure can be selected from the structure of Embodiment 1-3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objective, such as giving priority to a foreign material separation function or space saving. That is, by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of the intake section, the ability to separate foreign matter can be changed as required.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 설치된 기기를 냉각하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n elevator cooling device for cooling equipment installed in an elevator car.

1 조립상자 2 냉각대상물
3 흡기구 4 흡기후드
4a 흡기부 도풍판 5 유입면
6 이물분리판 7 흡기부 도풍판과 이물분리판이 이루는 각
8a 기류진행방향 배출구 8b 기류진행 측면방향 배출구
9 내부 도풍판 10 배기구
11 배기후드 12 배기면
13 주행풍 14 유입하는 공기의 흐름
15 배출구 진행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
16 조립상자 내 도입풍
17 배출구 측면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
18 유출하는 공기의 흐름
19 정지시에 유입하는 공기의 흐름
20 정지시에 유출하는 공기의 흐름
21 흡기필터 22 배기팬
1 Assembly box 2 Cooling object
3 Intake vent 4 Intake hood
4a Air intake guide plate 5 Inlet side
6 Foreign matter separator 7 Angle between the intake part guide plate and foreign matter separator
8a air flow outlet 8b air flow side outlet
9 Internal shroud 10 Exhaust vent
11 Exhaust Hood 12 Exhaust Side
13 Running wind 14 Flowing air
15 Flow of air in outlet direction
16 Introduction wind in the assembly box
17 Flow of air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side
18 Outflowing Air Flow
19 Flow of air entering at stop
20 Flow of air flowing out at stop
21 Intake Filter 22 Exhaust Fan

Claims (8)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기기를 냉각하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시의 주행풍에 의한 공기류(空氣流)를 상기 기기의 내부로 도입하는 흡기부와,
상기 기기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기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와,
상기 흡기부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류 내에 포함되는 이물을 상기 이물에 작용하는 원심력 및 중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이물분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흡기부는 상기 이물분리수단에 의해 상기 이물이 분리되어 당해 분리 전보다 이물함유량이 감소한 상기 공기류를 상기 기기의 내부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
In the elevator cooling apparatus for cooling the equipment provided in the car of the elevator,
An air intake unit for introducing an air flow due to the running wind at the time of getting on and off the car to the inside of the device;
An exhaust unit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device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It is provided in the intake unit, foreign matter separation means for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flow using at least one of the centrifugal force and gravity acting on the foreign matter,
And said intake portion introduces said air stream into which said foreign matter is separated by said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and the foreign matter content of said foreign material is reduced than before said separ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분리수단은 상기 분리한 상기 이물을 상기 공기류의 일부와 함께, 상기 기기의 내부를 경유시키지 않고 상기 기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discharges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together with a part of the air stream to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apparatus.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이물분리수단은 상기 공기류의 경로를 연직 아래쪽에 만곡한 원호 모양으로 형성하는 도풍판(導風板)을 구비하고, 상기 이물에 작용하는 원심력 및 중력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류 내에 포함되는 상기 이물을 상기 도풍판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공기류의 경로에 대해서 연직 아래쪽 또한 외주 가까이에 유도하는 것에 의해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guiding plate (板 風 형성) to form a path of the air flow curved in the vertical downward, and is included in the air flow by using the centrifugal force and gravity acting on the foreign matter The foreign matter is separated by inducing the foreign matter near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rtical to the path of the air flow formed by the guide pla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는 상기 이물분리수단을 복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intake unit is an elevator coo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이물분리수단은 상기 공기류의 경로를 수평방향에서 직선 모양으로 형성하는 도풍판을 구비하고, 상기 이물에 작용하는 중력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류 내에 포함되는 상기 이물을 상기 도풍판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공기류의 경로에 대해서 연직 아래쪽으로 유도하는 것에 의해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means includes a guiding plate which forms a path of the air flow in a straight lin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oreign matter included in the air flow is formed by the guiding plate using gravity acting on the foreign matter. Cooling device of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separated by guiding the vertical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path of the air flow.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흡기부에 의해 상기 기기의 내부로 도입된 상기 공기류를 상기 기기의 내부의 냉각대상으로 유도하는 도풍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 guiding mean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device to guide the air flow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device by the intake unit to a cooling target in the inside of the device.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주행풍이나 이물이 상기 배기부로부터 상기 기기의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흡기부로부터 상기 배기부에 이르는 공기류의 일방향성을 확보하는 배기후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exhaust part is provided with an exhaust hood which prevents the traveling wind or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device from the exhaust part and secures one-way of the air flow from the intake part to the exhaust part. Chiller.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는 상기 배기부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said intake portion is disposed below said exhaust portion.
KR1020137016519A 2010-11-26 2010-11-26 Cooling device for elevator KR10151573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71113 WO2012070145A1 (en) 2010-11-26 2010-11-26 Cooling device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182A true KR20130099182A (en) 2013-09-05
KR101515734B1 KR101515734B1 (en) 2015-04-27

Family

ID=46145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519A KR101515734B1 (en) 2010-11-26 2010-11-26 Cooling device for elevato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44556B1 (en)
JP (1) JP5617931B2 (en)
KR (1) KR101515734B1 (en)
CN (1) CN103228564B (en)
WO (1) WO201207014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5777B (en) * 2015-07-15 2019-06-14 三菱电机株式会社 Casing device is arranged in the stop of elevator
CN114122453B (en) * 2022-01-28 2022-04-08 氢山科技有限公司 Hydrogen energy forklift fuel cel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776983A1 (en) * 1978-01-11 1980-11-07 Завитель Lift cabin
ES2046617T3 (en) * 1989-09-22 1994-02-01 Inventio Ag DEVICE FOR VENTILATION OF FAST RUN ELEVATOR CABINS.
JPH0848478A (en) * 1994-08-04 1996-02-20 Tetsuo Ikoma Air-conditioner for inside of elevator cage
JPH08188361A (en) * 1995-01-10 1996-07-23 Otis Elevator Co Basket room of elevator with ventilating device
DE19528407B4 (en) * 1995-08-02 2006-05-1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ilter unit for a vehicle heating or air conditioning unit
EP1057768B1 (en) * 1998-12-25 2007-03-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ontrol apparatus
JP4570198B2 (en) * 2000-04-11 2010-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ab
JP2001341962A (en) 2000-05-31 2001-12-11 Mitsubishi Electric Corp Radiator for elevator
JP2002128402A (en) * 2000-10-23 2002-05-09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2004269244A (en) * 2003-03-12 2004-09-30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 device of elevator
JP2006124070A (en) * 2004-10-27 2006-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with air cleaning function
JP4734570B2 (en) * 2006-08-09 2011-07-27 国立大学法人北見工業大学 Cyclone separation device and residential air supply ho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4556A4 (en) 2017-11-15
CN103228564B (en) 2015-07-08
WO2012070145A1 (en) 2012-05-31
JP5617931B2 (en) 2014-11-05
EP2644556A1 (en) 2013-10-02
EP2644556B1 (en) 2019-12-25
CN103228564A (en) 2013-07-31
JPWO2012070145A1 (en) 2014-05-19
KR101515734B1 (en)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70869B (en) Wind turbine tower or a segment of a wind turbine tower with a door having a door frame
DK173022B1 (en) Radial fan with integrated dirt separator
JP2008281286A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19504273A (en) Passive roof exhaust system
JP2013506591A (en) Suction device in vehicle air conditioner
JP6436748B2 (en) Sinter cooler
CN107270353A (en) Range hood
JP2008192443A (en) Air cooling device, and air cooling method
JP2010080456A (en) Electronic unit
CN1974248B (en) An assembly for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of a driving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KR20130099182A (en) Cooling device for elevator
JP5157762B2 (en) Blower
CN104289043A (en) Wind and sand proof mechanical filter for rail vehicles
CN106276446B (en) Elevator control gear
KR20190060837A (en) Pellet dryer with exit sign
CN209355721U (en) A kind of recyclable device cooling for water
US20110195653A1 (en) Inverter building
CN107906937A (en) A kind of integrated form negative pressure water eliminator device
JP2005087852A (en) Mist recovery device
EP3192740B1 (en) Drain hole orifice device
CN104053955B (en) Air conditioner
JPWO2013150617A1 (en) Elevator equipment
KR10219284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CN206585451U (en) A kind of water proof and dust proof frequency converter
CN102282427A (en) Ventilation fan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air supply and air dischar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