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950A - 휴대용 좌식 의자 - Google Patents

휴대용 좌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950A
KR20130098950A KR1020130088938A KR20130088938A KR20130098950A KR 20130098950 A KR20130098950 A KR 20130098950A KR 1020130088938 A KR1020130088938 A KR 1020130088938A KR 20130088938 A KR20130088938 A KR 20130088938A KR 20130098950 A KR20130098950 A KR 20130098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seat plate
backrest
support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현 filed Critical 김광현
Priority to KR1020130088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8950A/ko
Publication of KR20130098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08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wood or plastics
    • A47C4/10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wood or plastics with legs pivotably connected to seat or underframe
    • A47C4/12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wood or plastics with legs pivotably connected to seat or underframe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좌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부가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을 좌판부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지지 프레임 및 등받이부가 좌판부에 대해 접철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지지 프레임의 구조상 별도의 고정 부품 없이도 지지 프레임에 대한 회전 구속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 또는 조작 없이도 간단하게 지지 프레임 및 등받이부에 대한 접철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등받이부를 지지 프레임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 상태에 따라 등 지지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 프레임 및 등받이부의 접철 구조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휴대용 좌식 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좌식 의자{Portable Sitting Down Type Chair}
본 발명은 휴대용 좌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부가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을 좌판부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지지 프레임 및 등받이부가 좌판부에 대해 접철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지지 프레임의 구조상 별도의 고정 부품 없이도 지지 프레임에 대한 회전 구속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 또는 조작 없이도 간단하게 지지 프레임 및 등받이부에 대한 접철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등받이부를 지지 프레임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 상태에 따라 등 지지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 프레임 및 등받이부의 접철 구조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휴대용 좌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식 의자는 온돌이나 마루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의자의 다리가 없이 좌판부와 등받이부로 구성되어 바닥에 직접 놓여져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좌식 의자는 사용자가 바닥에 앉을 때 등받이부에 의해서 등을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의 피로를 덜어줄 수 있도록 구성된 바, 특히 온돌이나 마루 등의 주거 환경을 갖는 한국인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일반적으로 밥상에 음식을 놓고 식사하는 한국식 식당 등에서 널리 이용되며, 좌판부와 등받이부에 쿠션이 구비되어 장시간 착석하더라도 피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원룸이나 소형 주택의 거주자가 증가하면서 주택의 실내 공간 활용을 위해 별도의 책상과 의자 대신에 간편한 방식의 좌식 의자가 더욱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좌식 의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운반이나 보관이 용이하지 않아 좌식 의자 자체가 주택 실내 공간의 일부분을 차지하게 되므로, 좌식 의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내 공간을 협소하게 만드는 또 다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최근 여가 활동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캠핑과 같은 다양한 체험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 경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에는 별도의 의자가 마련되지 않아 쾌적한 휴식을 취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오랜 시간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등받이부가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을 좌판부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지지 프레임 및 등받이부가 좌판부에 대해 접철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휴대용 좌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 프레임의 구조상 별도의 고정 부품 없이도 지지 프레임에 대한 회전 구속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 또는 조작 없이도 간단하게 지지 프레임 및 등받이부에 대한 접철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휴대용 좌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등받이부를 지지 프레임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 상태에 따라 등 지지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으며, 아울러 지지 프레임 및 등받이부의 접철 구조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휴대용 좌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의 상면을 향해 접철되거나 또는 상기 좌판부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좌판부의 상면 후단부에 일정 구간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과 함께 접철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함과 동시에 등 지지 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단부에 일정 구간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용 좌식 의자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좌판부의 후단에는 별도의 손잡이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좌판부의 상면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절곡부가 상기 좌판부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지지 고정되며 회전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좌판부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등받이부의 후방면이 상기 절곡부에 의해 지지 고정되며 회전 구속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부가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을 좌판부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지지 프레임 및 등받이부가 좌판부에 대해 접철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의 구조상 별도의 고정 부품 없이도 지지 프레임에 대한 회전 구속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 또는 조작 없이도 간단하게 지지 프레임 및 등받이부에 대한 접철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등받이부를 지지 프레임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 상태에 따라 등 지지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지지 프레임 및 등받이부의 접철 구조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식 의자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식 의자의 접철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식 의자의 등받이부에 대한 각도 변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식 의자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식 의자의 접철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식 의자의 등받이부에 대한 각도 변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식 의자는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접철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좌판부(100), 지지 프레임(400) 및 등받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판부(100)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수평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좌판부(100)의 상면에는 별도의 쿠션(미도시)이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더욱 안락한 착석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400)은 좌판부(100)와 등받이부(300)의 지지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좌판부(100)의 상면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접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지지 프레임(400)은 좌판부(100)의 상면을 향해 접철되거나 또는 좌판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좌판부(100)의 상면 후단부에 일정 구간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형태의 단순 바(bar)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절곡된 형태의 평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좌판부(100)와 등받이부(30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등받이부(300)는 지지 프레임(40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좌판부(100)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400)과 함께 좌판부(100)의 상면을 향해 접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등받이부(300)는 지지 프레임(40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데,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등에 대한 지지 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400)의 타단부에 일정 구간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이러한 등받이부(300)의 전면에는 별도의 쿠션(미도시)이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더욱 안락한 착석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식 의자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부(100)의 상면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400)을 좌판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회전시킴으로써, 등받이부(300)가 좌판부(100)에 대해 대략 직각을 이루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사용 상태를 갖게 되며,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400)을 좌판부(100)의 상면을 향해 접철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등받이부(300)가 좌판부(100)의 상면에 접촉하며 접철되어 휴대 및 운반 상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용 좌식 의자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400)과 등받이부(300)를 좌판부(100)의 상면을 향해 접철시킴으로써, 휴대 및 운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지지 프레임(400) 및 등받이부(300)를 좌판부(1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펼침으로써, 다시 용이하게 의자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좌판부(100)의 후단에는 사용자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별도의 손잡이부(200)가 좌판부(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손잡이부(2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홀(210)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200)가 좌판부(100)의 후단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부(200)를 통해 좌식 의자를 파지하게 되면, 지지 프레임(400)은 좌판부(100)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자중에 의해 좌판부(100)를 향해 저절로 접철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식 의자는 지지 프레임(400)이 좌판부(100)에 대해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지지 프레임(400) 및 등받이부(300)에 대한 별도의 공구 등을 이용한 접철 작업 없이 단순히 좌판부(100)를 파지하여 드는 동작만으로 저절로 지지 프레임(400) 및 등받이부(300)가 접철되는 구조이다.
물론, 이 경우 지지 프레임(400) 및 등받이부(300)는 좌판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상태로 회전한 상태에서, 그 회전 방향으로 회전이 구속되어 의자로서의 지지 구조를 이루게 되며, 특히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등을 등받이부(300)에 접촉시킨 상태로 착석하게 되면, 지지 프레임(400) 및 등받이부(300)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며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게 된다.
지지 프레임(400)의 구조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지지 프레임(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 바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부가 별도의 힌지 브래킷(500)을 통해 좌판부(100)의 상면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프레임(4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좌판부(100)의 상면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410)와, 지지부(410)의 타단에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410)와 절곡부(420)가 이루는 각도는 사용자에게 좀 더 편안한 착석 조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어도 90°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400)은 절곡부(420)가 좌판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지지부(410)가 손잡이부(200)에 의해 지지 고정되며 회전 구속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400)의 지지부(410)와 절곡부(420)를 통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좌판부(100)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핀과 같은 부품 없이도 그 구조상 지지부(410)가 손잡이부(200)에 지지 고정되어 회전 구속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지지부(410)는 좌판부(100)의 상면에 지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좌판부(100)가 사용자의 착석을 위한 영역으로 최대 활용될 수 있도록 별도의 손잡이부(200)에 지지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손잡이부(200)는 단순히 좌식 의자에 대한 파지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지지 프레임(400)에 대한 회전 구속 기능을 아울러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식 의자는 지지부(410)와 절곡부(420)를 갖는 간단한 구조의 지지 프레임(400)을 단순히 좌판부(100)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지지 프레임(400) 및 등받이부(300)를 지지하는 별도의 고정 부품 없이도 지지 프레임(400) 및 등받이부(300)를 지지할 수 있어 의자로서의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아울러, 지지 프레임(400) 및 등받이부(300)를 자중에 의해 간단하게 접철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휴대,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등받이부(300)는 지지 프레임(400)의 절곡부(420) 끝단에 별도의 힌지 브래킷(500)을 통해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등받이부(300)는 지지 프레임(400)이 좌판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등받이부(300)의 후방면이 절곡부(420)에 의해 지지 고정되며 회전 구속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300)는 힌지 브래킷(500)을 통해 지지 프레임(400)의 절곡부(420)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좌판부(100)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의 배치 상태를 변화시키게 되면, 이에 대응하여 등받이부(300)가 회전하며 등에 대한 지지 각도를 저절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좌판부(100)에 착석한 상태에서 허리를 펴며 등을 뒤쪽으로 밀게 되는 경우, 등받이부(300)는 이러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자유 회전하며 사용자의 등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어 사용자의 등을 계속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등받이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300)의 회전축인 힌지 브래킷(500)을 중심으로 상단까지의 거리 X1 보다 하단까지의 거리 X2가 더 크게 형성되도록 지지 프레임(400)의 절곡부(420)에 장착되고, 이에 따라 등받이부(30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자중에 의해 등받이부(300)의 후방면이 절곡부(420)에 의해 지지 고정되며 회전 구속된다. 즉, 등받이부(300)는 지지 프레임(400)이 좌판부(100)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회전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항상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배치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등받이부(300)는 이와 같이 지지 프레임(400)의 절곡부(420)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400)이 상향 돌출되게 회전한 상태에서 항상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아울러 지지 프레임(400)이 좌판부(100)에 회전 접철되는 경우에는 등받이부(300)가 회전하며 좌판부(100)의 상면에 밀착 접촉하게 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접철 상태가 유지되어 좌식 의자의 휴대 및 운반이 더욱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좌판부 200: 손잡이부
300: 등받이부 400: 지지 프레임
410: 지지부 420: 절곡부
500: 힌지 브래킷

Claims (4)

  1.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의 상면을 향해 접철되거나 또는 상기 좌판부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좌판부의 상면 후단부에 일정 구간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과 함께 접철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등받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함과 동시에 등 지지 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단부에 일정 구간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용 좌식 의자.
  2. 제1항에서,
    상기 좌판부의 후단에는 별도의 손잡이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식 의자.
  3. 제2항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좌판부의 상면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절곡부가 상기 좌판부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지지 고정되며 회전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식 의자.
  4. 제3항에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좌판부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등받이부의 후방면이 상기 절곡부에 의해 지지 고정되며 회전 구속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식 의자.
KR1020130088938A 2013-07-26 2013-07-26 휴대용 좌식 의자 KR20130098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938A KR20130098950A (ko) 2013-07-26 2013-07-26 휴대용 좌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938A KR20130098950A (ko) 2013-07-26 2013-07-26 휴대용 좌식 의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634U Division KR20120009008U (ko) 2011-06-21 2011-06-21 휴대용 좌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950A true KR20130098950A (ko) 2013-09-05

Family

ID=4945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938A KR20130098950A (ko) 2013-07-26 2013-07-26 휴대용 좌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89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685A (ko) 2019-08-31 2021-03-10 주식회사 옻향 좌식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685A (ko) 2019-08-31 2021-03-10 주식회사 옻향 좌식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2235B2 (en) iChair
US20130119713A1 (en) Foldable chair
CN108323976B (zh) 一种便携式椅垫及一种椅子
US20130193722A1 (en) Foldable Chair
KR101854574B1 (ko) 좌판이 슬라이딩 되는 접철식 의자
US9888777B2 (en) Foldable bench
JP3803642B2 (ja) 収納式椅子
KR20130098950A (ko) 휴대용 좌식 의자
KR101069192B1 (ko) 가슴받이와 팔받이 및 발받침으로 사용가능한 상하 회동형 신체지지부를 구비한 의자
US20090127892A1 (en) Chair capable of being adjusted as a chaise
KR20120009008U (ko) 휴대용 좌식 의자
KR20140058198A (ko)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의자
KR102184949B1 (ko) 회전 소파
KR200380543Y1 (ko) 좌식의자
US20130119739A1 (en) Foldable Chair
US6345861B1 (en) Compact transportable folding chair
KR200414598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US20130119740A1 (en) Foldable chair
JP2011212377A (ja) 椅子
JP5510954B2 (ja) 椅子及び椅子のフック
KR101704640B1 (ko) 의자
US20190110602A1 (en) Back support including armpit support parts
KR200421523Y1 (ko) 유아용 식탁의자
JP3199745U (ja) 小物載置装置及び該小物載置装置を備えるソファー又は椅子
JP3197667U (ja) 携帯可能な折りたたみ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