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844A -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배신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배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844A
KR20130098844A KR1020127009079A KR20127009079A KR20130098844A KR 20130098844 A KR20130098844 A KR 20130098844A KR 1020127009079 A KR1020127009079 A KR 1020127009079A KR 20127009079 A KR20127009079 A KR 20127009079A KR 20130098844 A KR20130098844 A KR 20130098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guide information
information
fla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가와구치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98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프로그램의 시청 시에 이루어지는 통지를 시청자가 번잡하게 느끼는 일 없이 당해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시청 대상인 대상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영상정보와,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3D 시청에 관련한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제 1 안내정보가 당해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플래그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시청자에게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한 상기 영상정보에 의거하여 프로그램을 출력하며,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2 안내정보의 출력을 억지한다.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배신방법{VIDEO PROCESSING DEVICE, VIDEO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DELIVERY METHOD}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기술, 특히 3D 영상을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년 영화관 등에서 3D 영상의 입체 시 영상을 즐길 기회가 증가하고 있는 것에 수반하여 디지털 텔레비전 등에서도 3D 영상의 프로그램의 방송이 요구되어 오고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 및 평면 영상이 표시될 때, 표시되는 영상이 입체 시 영상 및 평면 시 영상의 어느 것인가를 통지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입력되는 신호가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인가 평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인가를 판정하여, 판정결과에 따른 마크를 생성하고, 표시해야 할 영상과 함께 생성한 마크도 표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신호가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에는 입체영상임을 나타내는 마크(3D 마크)를 생성하고,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생성한 3D 마크를 표시한다.
이에 의해 시청자는 현재 시청하고 있는 영상이 입체영상인가 평면 영상인가를 알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평 7-274216호 공보
상술한 것과 같이 3D 프로그램의 방송의 요망에 의해 향후 3D 영상의 프로그램의 방송이 증가해갈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방송국은 방송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는 당해 프로그램이 3D 영상임을 시청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당해 프로그램이 3D 영상이라는 취지의 영상을 당해 프로그램 내에서 방송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3D 프로그램에 대해서 프로그램 내에서 3D 프로그램이라는 취지의 통지가 이루어지면 좋으나, 반드시 그렇다고는 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시청자에게 3D 프로그램이라는 취지의 통지를 하기 위해서 상기의 특허문헌 1의 기술을 이용하면 프로그램 내에서 3D 영상임을 통지하는 경우에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도 입체영상임을 나타내는 3D 마크를 생성하여,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생성한 3D 마크도 표시하므로 시청자는 2중의 통지를 받게 되어, 3D 프로그램의 시청 시에 이러한 통지가 이루어지는 것을 번거롭게 느낀다.
그래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시청 시에 이루어지는 통지를 시청자가 번거롭게 느끼는 일 없이 당해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로, 시청 대상인 대상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영상정보와,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제 1 안내정보가 당해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수신한 플래그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시청자에게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수신한 상기 영상정보에 의거하여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2 안내정보의 출력을 억지하는 출력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나타내는 구성에 의하면 영상처리장치는 시청 대상인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으로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 경우에는 제 2 안내정보의 출력을 억지하고,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하므로, 당해 대상 프로그램에 대해서 2중의 통지가 이루어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시청자는 3D 프로그램의 시청 시에 이루어지는 통지를 번거롭게 느끼는 일 없이 프로그램을 시청 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텔레비전(100)의 이용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입체 시 화상의 표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Side-by-Side 방식에 의한 영상의 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입체 시를 위한 프레임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디지털 텔레비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포함하는 EIT(130)의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출력처리부(105)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a)는 제 2 안내정보의 표시의 일 예를, (b)는 제 3 안내정보의 표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프로그램의 배신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안내정보를 자 장치에서 생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제 1 판정처리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제 2 판정처리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버퍼 기입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제 1 안내정보가 표시되는 기간이 설정된 경우에서의 제 1 판정처리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 (a)는 다음 프로그램 내에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은 경우에서의 구체적인 예를, (b)는 다음 프로그램 내에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 경우에서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3D 프로그램에서 2D 프로그램으로 전환될 때에 제 3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채널 전환시에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은 경우에서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채널 전환시에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 경우에서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 1 안내정보가 표시되는 기간이 설정되는 경우에 채널 전환시에는 표시기간경과 전일 때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프로그램의 시청형태를 선택하는 경우에서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디지털 텔레비전(1100)의 이용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재생장치(1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콘텐츠 기억부(12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4는 디지털 텔레비전(1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콘텐츠의 재생시에 제 2 안내정보를 자 장치에서 생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재생 처리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콘텐츠의 재생시에서의 안내정보의 출력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디지털 텔레비전(2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버퍼 기입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0 (a)는 2D 프로그램에서 3D 프로그램으로 전환될 때에 제 2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구체 예를, (b)는 2D 프로그램에서 3D 프로그램으로 전환될 때에 제 1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구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3D 프로그램에서 2D 프로그램으로 전환될 때에 제 1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 (a)는 안내 예고 플래그를 이용한 경우에 제 2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구체 예를, (b)는 안내 예고 플래그를 이용한 경우에 제 1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구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안내 중 플래그를 이용한 경우에 제 1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안내 중 플래그를 이용한 경우에 제 2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VideoAttributes에서의 확장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3d 요소(3001)의 내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VideoAttributes의 기술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ERI의 확장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ERI의 기술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H.264/AVC 규격에서 정의되는 frame packing arrangement SEI의 확장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제 1 실시형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영상처리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1. 1 입체 시에 대해서
먼저 입체 시의 원리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입체 시의 실현법으로는 홀로그래피 기술 등의 광선재생방식을 이용하는 방법과 시차 화상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먼저, 첫 번째의 홀로그래피 기술의 특징으로는 인간이 통상 물체를 인식하는 것과 완전히 똑같이 물체를 입체로 재현할 수 있으나, 동화상 생성에 관해서는 기술적인 이론은 확립되어 있으나 홀로그래피용의 동화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방대한 연산량을 수반하는 컴퓨터, 및 1㎜의 사이에 수천 개의 선을 그을 수 있을 정도의 해상도를 갖는 표시장치가 필요하지만, 현재의 기술에서의 실현은 매우 어렵고, 상용으로 실용화되어 있는 예는 거의 없다.
다음에, 두 번째의 시차 화상을 이용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우측 눈과 좌측 눈은 그 위치의 차에 기인하여 우측 눈에서 보이는 상과 좌측 눈에서 보이는 상에는 보이는 방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 차이를 이용하여 인간은 눈에 보이는 상을 입체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시차 화상을 이용하여 입체 표시를 하는 경우에는 인간의 시차를 이용하여 평면의 화상이 마치 입체로 보이도록 하고 있다.
이 방식의 이점은 단지 우측 눈 용과 좌측 눈 용의 2개의 시점의 영상을 준비하는 것만으로 입체 시를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 있으며, 기술적으로는 좌우의 각각의 눈에 대응한 그림을 어떻게 대응한 눈에만 보이도록 할 수 있느냐의 관점에서 계시 분리방식을 비롯한 몇 개의 기술이 실용화되어 있다.
계시 분리방식이란 좌측 눈 용 영상 및 우측 눈 용 영상을 시간 축 방향으로 교호로 표시시키고, 눈의 잔상반응에 의해 좌우의 씬을 뇌 안에서 중첩시켜서 입체영상으로 인식하게 하는 방법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영상처리장치는 3D 영상의 시청이 가능한 텔레비전이며, 도 1 (a)는 당해 영상처리장치의 사용행위에 대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디지털 텔레비전(100)과 3D 안경(200)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가능해진다.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2D 영상 및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며, 수신한 방송파에 포함되는 스트림을 재생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3D 안경(200)을 사용자가 착용함으로써 입체 시를 실현하는 것이다. 3D 안경(200)은 액정 셔터를 구비하고, 계시 분리방식에 의한 시차 화상을 사용자에게 시청하게 한다. 시차 화상이란 우측 눈에 들어오는 영상과 좌측 눈에 들어오는 영상으로 구성되는 1세트의 영상이며, 각각의 눈에 대응한 픽쳐만이 사용자가 눈에 들어오도록 해서 입체 시를 실시하게 한다. 도 1 (b)는 좌측 눈 용 영상의 표시 시를 나타낸다. 화면상에 좌측 눈 용의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순간에 앞에서 설명한 3D 안경(200)은 좌측 눈에 대응하는 액정 셔터를 투과로 하고, 우측 눈에 대응하는 액정 셔터는 차광한다. 동 도면 (c)는 우측 눈 용 영상의 표시 시를 나타낸다. 화면상에 우측 눈 용의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순간에 방금 전과 반대로 우측 눈에 대응하는 액정 셔터를 투광으로 하고, 좌측 눈에 대응하는 액정 셔터를 차광한다.
이상이 영상처리장치의 사용형태에 대한 설명이다.
여기에서는 입체 시에 사용하는 시차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시차 화상 방식은 우측 눈에 들어오는 영상과 좌측 눈에 들어오는 영상을 각각 준비하여, 각각의 눈에 대응한 픽쳐만이 들어가도록 해서 입체 시를 실시하는 방법이다. 도 2는 사용자의 얼굴을 좌측에 나타내고, 우측에는 대상물인 공룡의 골격을 좌측 눈에서 보았을 경우의 예와 대상물인 공룡의 골격을 우측 눈에서 보았을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우측 눈 및 좌측 눈의 투광, 차광이 반복되면 사용자의 뇌 안에서는 눈의 잔상반응에 의해 좌우의 씬의 중첩이 이루어져서 얼굴의 중앙의 연장선상에 입체영상이 존재한다고 인식할 수 있다.
시차 화상 중 좌측 눈에 들어오는 화상을 좌측 눈 화상(L화상)이라고 하고, 우측 눈에 들어오는 화상을 우측 눈 화상(R화상)이라고 한다. 그리고 각각의 픽쳐가 L화상으로 되어 있는 동화상을 레프트 뷰 비디오라고 하고, 각각의 픽쳐가 R화상으로 되어 있는 동화상을 라이트 뷰 비디오라고 한다.
레프트 뷰 비디오와 라이트 뷰 비디오를 합성해서 압축 부호화하는 3D 방식에는 프레임 호환방식과 서비스 호환방식이 있다.
먼저, 첫 번째의 프레임 호환방식은 레프트 뷰 비디오와 라이트 뷰 비디오의 대응하는 각 픽쳐를 각각 정선(skipping) 또는 축소한 다음 하나의 픽쳐로 합성하여 통상의 동화상 압축 부호화를 실시하는 방식이다. 일 예로는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Side-by-Side 방식이 있다. Side-by-Side 방식에서는 레프트 뷰 비디오와 라이트 뷰 비디오의 대응하는 각 픽쳐를 각각 수평방향으로 1/2로 압축한 후에 좌우로 배열함으로써 하나의 픽쳐로 합성한다. 합성된 픽쳐에 의한 동화상은 통상의 동화상 압축 부호화가 이루어져서 스트림화된다. 한편, 재생시는 스트림을 통상의 동화상 압축 부호화방식에 의거하여 동화상으로 복호화된다. 복호화된 동화상의 각 픽쳐는 좌우 화상으로 분할되어서 각각 수평 방향으로 2배로 신장됨으로써 레프트 뷰 비디오와 라이트 뷰 비디오의 대응하는 각 픽쳐를 얻을 수 있다. 얻어진 레프트 뷰 비디오의 픽쳐(L화상)와 라이트 뷰 비디오의 픽쳐(R화상)를 교호로 표시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입체 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프레임 호환방식에는 Side-by-Side 방식 외에 좌우 화상을 상하로 배열하는 Top and Bottom 방식이나 픽쳐 내의 1 라인별로 좌우 화상을 교호로 배치하는 Line Alternative 방식 등이 있다.
다음에, 두 번째의 서비스 호환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서비스 호환방식에서는 레프트 뷰 비디오, 라이트 뷰 비디오를 디지털화하고, 압축 부호화함으로써 얻어지는 비디오 스트림인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과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을 이용한다.
도 4는 서비스 호환방식에 의한 입체 시를 위한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제 2 단째는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이 스트림에는 픽쳐 데이터 I1, P2, Br3, Br4, P5, Br6, Br7, P9라고 하는 픽쳐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픽쳐 데이터는 Decode Time Stamp(DTS)에 따라서 디코드 된다. 제 1 단째는 좌측 눈 화상을 나타낸다. 이렇게 해서 디코드 된 픽쳐 데이터 I1, P2, Br3, Br4, P5, Br6, Br7, P9를 Presentation Time Stamp(PTS)에 따라서 I1, Br3, Br4, P2, Br6, Br7, P5의 순서로 재생함으로써 좌측 눈 화상이 재생되게 된다. 본 도면에서 참조 픽쳐를 갖지 않고 부호화 대상 픽쳐만을 이용하여 픽쳐 내 예측 부호화를 실시하는 픽쳐를 I픽쳐라고 부른다. 픽쳐란 프레임 및 필드의 양자를 포함하는 1개의 부호화의 단위이다. 또, 이미 처리 완료된 1매의 픽쳐를 참조하여 픽쳐 간 예측 부호화하는 픽쳐를 P픽쳐, 이미 처리 완료된 2매의 픽쳐를 동시에 참조하여 픽쳐 간 예측 부호화하는 픽쳐를 B픽쳐, B픽쳐 중에서 다른 픽쳐에서 참조되는 픽쳐를 Br픽쳐라고 각각 불린다.
제 4 단째는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이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는 P1, P2, B3, B4, P5, B6, B7, P8라고 하는 픽쳐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픽쳐 데이터는 DTS에 따라서 디코드 된다. 제 3 단째는 우측 눈 화상을 나타낸다. 이렇게 해서 디코드 된 픽쳐 데이터 P1, P2, B3, B4, P5, B6, B7, P8를 PTS에 따라서 P1, B3, B4, P2, B6, B7, P5의 순서로 재생함으로써 우측 눈 화상이 재생되게 된다. 단, 계시 분리방식의 입체 시 재생에서는 동일한 PTS가 부여된 좌측 눈 화상과 우측 눈 화상의 쌍 중 일방의 표시를 PTS의 간격의 절반의 시간(이하, 「3D 표시 지연」이라고 한다) 분만큼 지연해서 표시한다.
제 5 단째는 3D 안경(200)의 상태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나타낸다. 이 제 5 단째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좌측 눈 화상의 시청시에는 우측 눈의 셔터를 닫고, 우측 눈 화상의 시청시에는 좌측 눈의 셔터를 닫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시간방향의 상관 특성을 이용한 픽쳐 간 예측 부호화에 더하여 시점 간의 상관특성을 이용한 픽쳐 간 예측 부호화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픽쳐는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동일한 표시 시각의 픽쳐를 참조하여 압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선두 P픽쳐는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I픽쳐를 참조하고,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B픽쳐는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Br픽쳐를 참조하며,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2번째의 P픽쳐는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P픽쳐를 참조하고 있다.
그리고 압축 부호화된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 및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 중 단일체로 복호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을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이라고 한다. 또,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 및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 중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개개의 픽쳐 데이터와의 프레임간 상관 특성에 의거하여 압축 부호화되어 있으며,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이 복호 된 후에 복호 가능하게 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펜던트 뷰 스트림”이라고 한다. 또,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스트림은 각각 다른 스트림으로 저장이나 전송되어도 좋고, 예를 들어 MPEG2-TS 등의 동일한 스트림에 다중화되어도 좋다.
1. 2 디지털 텔레비전(100)의 구성
여기에서는 3D 프로그램 및 2D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텔레비전(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구체적으로는 플라스마 텔레비전이며, 2D 영상 및 3D 영상의 디지털 방송파(스트림)를 수신한다. 또,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IP네트워크 및 재생장치와 접속되고, 이들로부터 출력된 2D 영상 및 3D 영상도 표시한다.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신호 입력부(101), 플래그 처리부(102), 프레임 포맷 판정부(103), 프레임 버퍼(104), 출력처리부(105), 안내정보 생성부(106) 및 그래픽스 버퍼(107)로 구성되어 있다.
또, 디지털 텔레비전(100)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시각을 계시하는 기능(이하, 시계부라고 한다)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1) 신호 입력부(101)
신호 입력부(101)는 외부로부터 송출(출력)된 2D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 및 3D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이다. 또, 스트림은 2D 및 3D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영상 스트림과 SI(service information)가 다중화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그 외에 필요에 따라서 음성 스트림이나 자막 스트림, BML(Broadcast Markup Language) 등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이 다중화되어 있다. SI에는 다중화되어 있는 각종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램과 관련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송출(출력)되는 3D 영상의 프레임은 Side-by-Side 방식 등의 3D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Side-by-Side 방식이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좌측 눈 용의 영상(이하, L영상이라고 한다)과 우측 눈 용의 영상(이하, R영상이라고 한다)을 1 프레임 내에 포함하게 하는 방식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송출(출력)되는 프레임의 신호 포맷은 H.264|MPEG4/AVC 규격에 의거한 것이며, 당해 프레임이 2D 영상인가 3D 영상인가, 3D 영상의 경우 Side-by-Side 방식을 포함하는 어느 방식인가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3D 영상정보라 한다)가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형식으로 저장되어서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SI의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I로 EIT(Event Information Table)를 이용한다.
EIT(130)는 도 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테이블 식별(131), 개시 일시(132), 프로그램 길이(133), 콘텐츠 기술자 영역(134), CRC(cyclic redundancy check)(135)를 포함하고 있다.
테이블 식별(131)은 당해 EIT(130)가 현 프로그램에 대한 것인가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것인가를 식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테이블 식별(131)에 설정된 값이 “0x4E”인 경우에는 당해 EIT(130)는 현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며, 설정된 값이 “0x4F”인 경우에는 당해 EIT(130)는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것임을 나타낸다.
개시 일시(132)는 테이블 식별(131)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개시 일시를 나타내고, 프로그램 길이(133)는 테이블 식별(131)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시간 길이를 나타낸다.
CRC(135)에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정정하기 위한 값이 설정된다. 여기서 CRC 방식에 의한 데이터의 오류 검출·정정에 대해서는 기존의 기술이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콘텐츠 기술자 영역(134)에는 당해 EIT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기술자 영역(134)은 기술자 태그(136),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137)를 포함하고 있다. 기술자 태그(136)에는 당해 영역이 콘텐츠 기술자 영역임을 나타내는 값 “0x54”가 설정된다. 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137)는 당해 EIT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사용자에 대해서 3D 안경의 준비를 촉구하는 취지의 내용을 통지하는 정보(이하, 「제 1 안내정보」라 한다)가 당해 프로그램 내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137)에 값 “0x20”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설정되어 있지 않은, 즉 프로그램 내에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 값 “0x2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설정되어 있다, 즉, 프로그램 내에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됨을 나타낸다. 또, 콘텐츠 기술자 영역(134)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당해 프로그램의 연장의 유무, 중단 뉴스의 유무 등도 포함된다. 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137)에는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상기의 2치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고, 2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아무것도 설정되지 않는다. 즉,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의 2치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으면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인 것을,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2D 프로그램인 것을 알 수 있다.
또, EIT(130)는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방송되기에 앞서 방송국 측이 미리 생성하는 것으로 한다.
신호 입력부(101)는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튜너(복조기)(151), NIC(Network Interface Card)(152), 다중화 분리부(153) 및 영상 디코드부(154)를 가지고 있다.
튜너(151)는 디지털 방송파(스트림)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복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NIC(152)는 IP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출력된 스트림을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중화 분리부(153)는 수신한 스트림을 2D 및 3D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영상 스트림과 SI(여기에서는 EIT)로 분리하고, 분리한 영상 스트림을 영상 디코드부(154)에, EIT를 플래그 처리부(102)에 출력한다. 또, 다중화 분리부(153)는 튜너(151)나 NIC(152)로부터의 입력에 더하여 기록매체로부터 스트림을 판독할 수도 있다.
영상 디코드부(154)는 2D 및 3D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영상 스트림을 다중화 분리부(153)로부터 수신하면 수신한 영상 스트림의 디코드를 하는 동시에 영상 스트림 중에 프레임 단위로 저장되어 있는 3D 영상정보를 인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영상 디코드부(154)에 의해 프레임 단위의 영상이 생성된다. 이 경우, 3D 영상의 프레임에서는 Side-by-Side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프레임이며, L화상과 R화상의 구분은 이루어져 있지 않다.
영상 디코드부(154)는 생성한 프레임 단위의 영상을 프레임 버퍼(104)에 기입하고, 인출한 프레임 단위의 3D 영상정보를 프레임 포맷 판정부(103)에 출력한다.
(2) 플래그 처리부(102)
플래그 처리부(102)는 사용자에 대해서 3D 프로그램 혹은 2D 프로그램의 시청에 관한 안내정보를 생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3D 프로그램의 시청에 관한 안내정보는 사용자에 대해서 3D 안경의 준비를 촉구하는 취지의 내용이다(이후, 제 2 안내정보라고 한다). 또, 2D 프로그램의 시청에 관한 안내정보는 사용자에 대해서 3D 안경의 장착의 해제를 촉구하는 취지의 내용이다(이후, 제 3 안내정보라고 한다).
플래그 처리부(102)는 제 1 안내정보 또는 제 2 안내정보의 출력이 이루어졌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통지 플래그를 가지고 있으며, 초기치는 제 1 안내정보 또는 제 2 안내정보의 출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취지를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0”)이다. 또, 통지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 또는 제 2 안내정보의 출력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이하, 현 프로그램에 대한 처리의 경우와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처리의 경우로 나누어서 플래그 처리부(102)의 기능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2-1) 현 프로그램에 대한 처리의 경우
플래그 처리부(102)는 장치에의 전원 투입, 및 채널 전환의 어느 하나가 이루어지면 통지 플래그 및 그래픽스 버퍼(107)를 초기화한다. 여기서, 장치에의 전원 투입시에는 자동 선국 기능에 의해 전회의 전원차단 시에 선국되어 있던 채널을 선택한다.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인가 3D 프로그램인가를 현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설정의 유무에 의해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현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된 값에 따라서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는가 여부를 더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값 “0x20”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가 출력되지 않은 것으로 특정하고,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한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플래그 처리부(102)는 안내정보 생성부(106)에 제 2 안내정보의 생성을 지시하는 취지의 제 1 지시정보를 통지하는 동시에 통지 플래그의 값을 “1”로 변경한다. 플래그 처리부(102)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값 “0x2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가 출력되는 것이라고 특정하고,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동시에 통지 플래그의 값을 “1”로 변경한다.
(2-2)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처리의 경우
플래그 처리부(102)는 동일 채널에서 프로그램이 전환되기 직전(예를 들어 프로그램이 전환되기 1분 전)에 다음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인가 3D 프로그램인가를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설정의 유무에 의해 판단한다. 또, 프로그램이 전환되기 직전, 즉, 당해 판단이 이루어지는 시각은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포함되는 개시 일시와 시계부에서 특정된다. 또, 플래그 처리부(102)는 그래픽스 버퍼(107)의 초기화도 실시한다.
플래그 처리부(102)는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설정이 이루어져 있으면 다음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하고, 또,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된 값과 통지 플래그의 값에 따라서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값 “0x20”이 설정되고, 또한 통지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에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한다고 판단하여 안내정보 생성부(106)에 제 1 지시정보를 통지하는 동시에 통지 플래그의 값을 “1”로 변경한다.
플래그 처리부(102)는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다음 프로그램은 2D 프로그램이라고 특정한다. 다음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이라고 특정하는 경우, 플래그 처리부(102)는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통지 플래그의 값이 “1”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통지 플래그의 값이 “1”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특정한다. 플래그 처리부(102)는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특정하면 안내정보 생성부(106)에 제 3 안내정보의 생성을 지시하는 취지의 제 2 지시정보를 통지하는 동시에 통지 플래그의 값을 “0”으로 변경한다.
이하,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하는가 여부의 판단에 통지 플래그를 이용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통지 플래그에 “1”이 설정되는 것은 상술한 것과 같이 그 시점에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이다. 그리고 통지 플래그에 1이 설정된 후, 3D 프로그램이 계속하는 동안은 그 값은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된 경우에 통지 플래그가 “1”일 때에는 현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이라고 특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프레임 포맷 판정부(103)
프레임 포맷 판정부(103)는 영상 디코드부(154)로부터 수신한 3D 영상정보를 수신하면 그 값에 의거하여 디코드 된 프레임의 영상이 2D 영상인가 3D 영상인가, 또 3D 영상인 경우는 Side-by-Side 방식을 포함하는 어느 방식인가를 판정한다.
프레임 포맷 판정부(103)는 판정 결과를 출력처리부(105)에 통지한다.
(4) 프레임 버퍼(104)
프레임 버퍼(104)는 영상 디코드부(154)에서 디코드 된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다.
(5) 안내정보 생성부(106)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플래그 처리부(102)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한다.
즉, 플래그 처리부(102)로부터 제 1 지시정보를 수신하면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한다.
또, 플래그 처리부(102)로부터 제 2 지시정보를 수신하면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수신한 지시정보에 따라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의 어느 하나를 생성하고, 그래픽스 버퍼(107)에 기입한다.
(6) 그래픽스 버퍼(107)
그래픽스 버퍼(107)는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 생성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래픽스 버퍼(107)는 제 2 안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영역과 제 3 안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영역을 가지고 있다.
(7) 출력처리부(105)
출력처리부(105)는 2D 영상 및 3D 영상 각각에 따른 출력 주기에 의거하여 영상을 출력한다. 또,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생성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 각각을 출력할 영상과 함께 출력한다.
출력처리부(105)는 도 5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영상처리부(161), 프레임 버퍼(162) 및 표시부(163)를 가지고 있다.
(7-1) 프레임 버퍼(162)
프레임 버퍼(162)는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 1 버퍼(171)와 제 2 버퍼(172)를 가지고 있다.
제 1 버퍼(171)는 2D 프로그램의 스트림에 포함되는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버퍼(172)는 L영상 버퍼(173)와 R영상 버퍼(174)를 가지며, 3D 프로그램의 스트림에 포함되는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7-2) 영상처리부(161)
영상처리부(161)는 프레임 버퍼(104)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영상)을 출력하는 것이다. 또,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 제 2 안내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출력해야 할 영상에 당해 제 2 안내정보를 중첩해서 표시되도록 처리를 실행한다(이하, 오버레이 처리라고 한다).
이하에 영상처리부(161)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영상처리부(161)는 처리 대상의 프레임이 2D의 영상인가 3D의 영상인가, 또 3D 영상인 경우는 Side-by-Side 방식을 포함하는 어느 방식인가를 프레임 포맷 판정부(103)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판단한다.
3D 영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영상처리부(161)는 프레임을 2개의 영상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 영상을 확대하여 L영상 및 R영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Side-by-Side 방식이면 좌우로 분할한 영상을 횡 방향으로 확대하고, 또 Top and bottom 방식이면 상하로 분할한 영상을 종 방향으로 확대하여 L영상 및 R영상을 얻는다. 영상처리부(161)는 생성한 L영상을 L영상 버퍼(173)에, 생성한 R영상을 R영상 버퍼(174)에 각각 저장한다.
3D 영상이 아닌, 즉 2D 영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영상처리부(161)는 당해 프레임(영상)을 제 1 버퍼(171)에 저장한다.
또, 전원 투입시 및 채널 전환시에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 제 2 안내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영상처리부(161)는 처리 대상의 프레임(이 경우, L영상, R영상)과 그래픽스 버퍼(107)에 저장되어 있는 제 2 안내정보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제 2 버퍼(172) 내의 소정의 버퍼에 기입한다.
다음 프로그램의 확인시에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 중 어느 하나의 안내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영상처리부(161)는 처리 대상의 프레임과 그래픽스 버퍼(107)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정보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제 1 버퍼(171)에 기입한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부(161)는 소정의 시간(프로그램의 전환시 30초 전)에 그래픽스 버퍼(107)의 제 1 영역에 제 2 안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 대상의 프레임(여기에서는 2D 영상)과 제 2 안내정보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한다. 또, 영상처리부(161)는 프로그램의 전환 시점(다음 프로그램이 개시된 시점)에 그래픽스 버퍼(107)의 제 2 영역에 제 3 안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 대상의 프레임(여기에서는 2D 영상)과 제 3 안내정보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한다. 또, 소정 시간(프로그램의 전환시 30초 전) 및 프로그램의 전환 시점(다음 프로그램이 개시된 시점)은 다음 프로그램 및 현 프로그램 각각에 대한 EIT에 포함되는 개시 일시와 시계부에서 특정된다. 또, 오버레이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5초간에 표시되어야 할 프레임에 대해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를 중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표시 대상의 프레임과 함께 제 2 안내정보나 제 3 안내정보가 5초간 표시된다.
여기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의 표시의 일 예를 도 8 (a) 및 (b)에 나타낸다.
도 8 (a)의 화상(D10)은 제 2 안내정보의 표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화상(D10)에는 상술한 것과 같이 프로그램의 전환시 30초 전부터 5초간의 사이에 출력되어야 할 영상과 함께 제 2 안내정보로 “3D 프로그램이 시작됩니다. 3D 안경을 준비해 주십시오”라고 하는 취지의 메시지(D11)가 표시된다.
도 8 (b)의 화상(D20)은 제 3 안내정보의 표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화상(D20)에는 상술한 것과 같이 프로그램의 전환시 30초 전부터 5초간의 사이에 출력되어야 할 영상과 함께 제 3 안내정보로 “3D 프로그램이 종료합니다. 3D 안경은 필요 없습니다”라고 하는 취지의 메시지(D21)가 표시된다.
(7-3) 표시부(163)
표시부(163)는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스위치(181), 디스플레이(182) 및 전환제어부(183)를 가지고 있다.
스위치(181)는 표시부(163)와의 접속 처로 제 1 버퍼(171) 및 제 2 버퍼(172)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전환제어부(183)는 프레임 포맷 판정부(103)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접속 처가 되는 버퍼의 전환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대상의 프레임이 3D 영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전환제어부(183)는 접속 처가 제 2 버퍼(172)가 되도록 스위치(181)를 제어한다. 출력 대상의 프레임이 2D 영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전환제어부(183)는 접속 처가 제 1 버퍼(171)가 되도록 스위치(181)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182)는 프레임 포맷 판정부(103)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영상의 표시 주기를 변경해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2)는 출력 대상의 프레임이 2D 영상인 경우에는 표시 주기를 60㎐로 하여 스위치(181)의 접속 처인 제 1 버퍼(171)로부터 표시 대상인 2D의 영상을 판독해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82)는 출력 대상의 프레임이 3D 영상인 경우에는 표시 주기를 120㎐로 하여 스위치(181)의 접속 처인 제 2 버퍼(172)의 L영상 버퍼(173) 및 R영상 버퍼(174)로부터 표시 대상인 영상을 교호로 판독해서 표시한다.
또, 출력처리부(105)에서 사용자에 의해 3D의 영상이라도 2D에서의 시청이 선택되어 있는(Side-by-Side 형식인 채로 표시하거나 또는 좌우 절반 중 어느 하나를 확대해서 표시한다) 경우에는 그 선택이 우선되어, 프레임 포맷 판정부(103)의 판단에 상관없이 2D 프로그램의 것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취급해도 좋다.
1. 3 동작
(1) 프로그램의 배신처리에 대해
여기에서는 방송국(도시생략)으로부터 프로그램이 배신(配信, Distribution) 되는 처리의 동작에 대해서 도 9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방송국은 방송 대상의 프로그램을 스트림 형식으로 송출(배신)한다(스텝 S1, S2). 여기서, 송출되는 스트림은 상술한 것과 같이 2D 및 3D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영상 스트림과 SI(여기에서는 EIT)가 다중화되어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스트림을 수신하면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는 영상 스트림을 디코드해서 표시한다(스텝 S3). 이에 의해 디지털 텔레비전(100)에서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프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디지털 텔레비전(100)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또, 도 9에서는 방송국으로부터의 스트림에 의한 프로그램 배신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방송국이 아니라 IP 네트워크와 접속된 장치로부터의 배신이라도 좋다.
(2) 안내정보의 생성에 관한 동작의 개요
여기에서는 안내정보를 자 장치(自 裝置)에서 생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의 개요에 대해서 도 10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플래그 처리부(102)는 전원 투입이 이루어졌는가 또는 채널 전환이 이루어졌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
전원 투입 및 채널 전환의 어느 하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5에서의 「Yes」),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에 대해서 안내정보를 자 장치에서 생성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정처리가 이루어진다(스텝 S10).
전원 투입이 아니고, 또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즉 전원이 ON 상태이고, 또한 채널 전환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5에서의 「No」), 플래그 처리부(102)는 프로그램이 전환하기 직전의 시간대(예를 들어, 프로그램이 전환하기 1분 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5). 또, 여기에서는 이 시간대를 확인시간이라고 한다.
확인시간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15에서의 「Yes」), 다음 프로그램에 대해서 안내정보를 자 장치에서 생성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정처리가 이루어진다(스텝 S20).
확인시간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15에서의 「No」), 제 1 판정처리의 종료 후, 및 제 2 판정처리의 종료 후에 처리는 스텝 S5로 돌아온다.
(3) 제 1 판정처리
여기에서는 도 10의 스텝 S10에 나타내는 제 1 판정처리에 대해서 도 11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플래그 처리부(102)는 통지 플래그를 초기화한다(스텝 S100).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통지 플래그에 값 “0”을 설정한다.
플래그 처리부(102)는 그래픽스 버퍼(107)를 초기화한다(스텝 S105).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그래픽스 버퍼(107)에는 아무것도 기입되지 않은 상태로 한다.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에 대한 EIT를 이용하여 현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0).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이 설정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현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즉 현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110에서의 「Yes」), 플래그 처리부(102)는 당해 프로그램 내에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5).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된 값이 “0x20”인가 “0x21”인가를 판단한다.
프로그램 내에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 즉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된 값이 “0x20”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스텝 S115에서의 「No」)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여 그래픽스 버퍼(107)의 제 1 영역에 저장한다(스텝 S120).
프로그램 내에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 즉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된 값이 “0x21”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115에서의 「Yes」), 및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 제 2 안내정보가 생성되면 플래그 처리부(102)는 통지 플래그의 값을 “1”로 변경한다(스텝 S125).
(4) 제 2 판정처리
여기에서는 도 10의 스텝 S20에 나타내는 제 2 판정처리에 대해서 도 12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플래그 처리부(102)는 그래픽스 버퍼(107)를 초기화한다(스텝 S200).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그래픽스 버퍼(107)에는 아무것도 기입되지 않은 상태로 한다.
플래그 처리부(102)는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EIT를 이용하여 다음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5).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이 설정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즉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205에서의 「Yes」), 플래그 처리부(102)는 통지 플래그의 값이 “1”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10).
값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210에서의 「No」), 플래그 처리부(102)는 다음 프로그램 내에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215).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된 값이 “0x20”인가 “0x21”인가를 판단한다.
다음 프로그램 내에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 즉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된 값이 “0x20”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스텝 S215에서의 「No」),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여 그래픽스 버퍼(107)의 제 1 영역에 저장한다(스텝 S220).
다음 프로그램 내에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 즉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된 값이 “0x21”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215에서의 「Yes」), 및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 제 2 안내정보가 생성되면 플래그 처리부(102)는 통지 플래그의 값을 “1”로 변경한다(스텝 S225).
다음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인, 즉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205에서의 「No」), 플래그 처리부(102)는 통지 플래그의 값이 “1”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30).
값이 “1”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230에서의 「Yes」),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하여 그래픽스 버퍼(107)의 제 2 영역에 저장한다(스텝 S235).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 제 3 안내정보가 생성되면 플래그 처리부(102)는 통지 플래그의 값을 “0”으로 변경한다(스텝 S240).
(5) 버퍼 기입 처리
여기에서는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의 설정의 유무에 따라서 생성된 출력 대상의 프레임을 프레임 버퍼(162)에 기입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13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영상처리부(161)는 전원 투입이 이루어졌는가 또는 채널 전환이 이루어졌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00).
전원 투입 및 채널 전환의 어느 하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300에서의 「Yes」), 영상처리부(161)는 그래픽스 버퍼(107)의 제 1 영역에 제 2 안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05).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305에서의 「Yes」), 영상처리부(161)는 출력 대상의 프레임과 제 1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제 2 안내정보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310), 오버레이 처리가 실시된 출력 대상의 프레임을 프레임 버퍼(162)의 소정의 버퍼에 기입한다(스텝 S315).
전원 투입이 아니고 또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즉 전원이 ON 상태이고 또한 채널 전환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300에서의 「No」), 영상처리부(161)는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정보를 통지하는 시간(예를 들어, 프로그램이 전환되기 30초 전)에 도달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20). 이후에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정보를 통지하는 시간을 통지시간이라고 한다.
통지시간에 도달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320에서의 「Yes」) 처리는 스텝 S305로 이행한다.
통지시간에 도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320에서의 「No」), 영상처리부(161)는 프로그램의 전환시간에 도달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25).
프로그램의 전환시간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325에서의 「Yes」), 영상처리부(161)는 그래픽스 버퍼(107)의 제 2 영역에 제 3 안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30).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330에서의 「Yes」), 영상처리부(161)는 출력 대상의 프레임과 제 2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제 3 안내정보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335), 오버레이 처리가 실시된 출력 대상의 프레임을 프레임 버퍼(162)의 소정의 버퍼에 기입한다(스텝 S340).
그래픽스 버퍼(107)의 제 1 영역에 제 2 안내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305에서의 「No」), 프로그램의 전환시간에 도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325에서의 「No」), 및 그래픽스 버퍼(107)의 제 2 영역에 제 3 안내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330에서의 「No」), 영상처리부(161)는 출력 대상의 프레임을 프레임 버퍼(162)에 기입한다(스텝 S345).
또, 오버레이 처리가 실시되는 프레임이 3D 영상인 경우에는 프레임 버퍼(104)에 저장되어 있는 3D 영상의 프레임을 2개의 영상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 영상을 확대하여 L영상 및 R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L영상 및 R영상의 각각의 프레임에 대해서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 상술한 것과 같이 오버레이 처리는 예를 들어 5초 동안 표시될 프레임에 대해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를 중첩하는 것으로 한다.
1. 4 변형 예
이상, 제 1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변형 예를 생각할 수 있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를 출력 대상의 프레임에 중첩해서 표시하도록 처리를 실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출력 대상인 프레임(2D 프로그램 혹은 3D 프로그램의 영상)을 출력하는 대신에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의 내용을 1 프레임의 화상으로 출력해도 좋다.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의 내용을 자막에 의해 표시해도 좋다.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표시가 아니라 음성에 의해 통지해도 좋다.
또는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의 내용을 디지털 텔레비전(100)과 통신 가능한 휴대단말(휴대형의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기 등)에 송신하여, 휴대단말 측에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자막이나 데이터 방송의 형식으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이들 정보는 영상의 스트림과는 다른 데이터로 당해 영상의 스트림과 다중화되어서 수신된다. 그러므로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채널 전환시나 전원 투입시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이 “0x21”인 경우에는 다중화 분리된 현 프로그램에 대한 제 1 안내정보(자막이나 데이터 방송의 형식에 의한 정보)를 항상 표시해도 좋다.
(2) 제 1 안내정보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표시형태를 특정하고 있지 않았으나, 사용자에 대해서 3D 안경의 준비를 촉구하는 취지의 내용을 통지하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영상, 음성,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좋다. 또는 자막에 의한 통지라도 좋고, 데이터 방송에 의한 통지라도 좋다. 또는 제 1 안내정보의 내용을 디지털 텔레비전(100)과 통신 가능한 휴대단말(휴대형의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기 등)에 송신하여, 휴대단말 측에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 EIT 내에 제 1 안내정보가 표시되는 기간을 설정해도 좋다.
예를 들어, EIT 내에 제 1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의 표시개시시각 및 표시종료시각을 설정한다. 이 경우의 시각은 절대시간이라도 좋고, 프로그램 개시 시각부터의 상대시간이라도 좋다. 이에 의해 프로그램별로 표시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이 경우에서의 제 2 안내정보의 표시의 판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제 2 안내정보의 표시의 유무에 대한 판단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채널 전환 및 전원 투입시의 현 프로그램에 대한 판단, 즉 상술한 제 1 판정처리의 처리 내용이 다르다.
이하, 본 변형 예에서의 제 1 판정처리에 대해서 도 14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스텝 S400에서 S415까지의 처리는 도 11에서 나타내는 스텝 S100에서 S115까지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스텝 S415에서의 판단 결과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로그램 내에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 즉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로 설정된 값이 “0x20”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스텝 S415에서의 「No」),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여 그래픽스 버퍼(107)의 제 1 영역에 저장한다(스텝 S420).
프로그램 내에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 즉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된 값이 “0x21”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415에서의 「Yes」),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재의 시간이 EIT 내에 설정된 표시개시시각 및 표시종료시각에서 정해지는 표시기간을 경과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25).
현재의 시간이 표시기간을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425에서의 「Yes」) 처리는 스텝 S420로 이행한다.
현재의 시간이 표시기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425에서의 「No」), 및 스텝 S420에서 안내정보 생성부(106)에 의해 제 2 안내정보가 생성되면 플래그 처리부(102)는 통지 플래그의 값을 “1”로 변경한다(스텝 S430).
(4)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의 표시는 1회만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를 표시대상이 되는 프로그램에 항상 표시해도 좋다.
한 프로그램 내에서 주기적으로 복수 회 표시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EIT 내에서 제 1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의 표시개시시각 및 표시종료시각의 세트를 복수 개 설정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는 자 장치 내에서 표시주기를 미리 기억해두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 1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의 표시개시시각 및 표시종료시각의 세트가 복수 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재의 시간과 현재의 시간 이후이면서 가장 가까운 표시기간의 차분을 산출하고, 그 결과가 소정의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한다고 판단해도 좋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이란 제 1 안내정보의 표시 간격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적인 값(예를 들어 5분), 또는 표시 간격에 의존하는 값, 예를 들어 그 표시 간격의 절반이나 3분의 2 등과 같은 것이다.
(5) 상기 실시형태에서 다음 프로그램에 대해서 제 2 안내정보는 당해 다음 프로그램이 개시되기 직전에만 표시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동일 프로그램 내에서 프레임 포맷 판정부(103)에 의한 프레임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출력 대상의 프레임이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전환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제 2 안내정보를 작성해도 좋다.
또, 동일 프로그램 내에서 프레임 포맷 판정부(103)에 의한 프레임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출력 대상의 프레임이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전환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3 안내정보를 작성해도 좋다.
이 경우, 영상처리부(161)는 출력 대상의 프레임이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그래픽스 버퍼(107)의 제 1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제 2 안내정보와 출력 대상의 프레임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한다. 또, 영상처리부(161)는 출력 대상의 프레임이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그래픽스 버퍼(107)의 제 2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제 3 안내정보와 출력 대상의 프레임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한다. 또, 플래그 처리부(102)에서는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 제 2 안내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통지 플래그의 값을 “1”로, 제 3 안내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통지 플래그의 값을 “0”으로 각각 설정한다.
(6)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제 2 안내정보의 생성에 대한 판단을 개시 직전(개시 1분 전)에만 실시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시 직전의 판단에 더하여 개시 직후(프로그램 개시시점)에도 제 2 안내정보의 생성에 대한 판단을 해도 좋다. 이 경우, 판단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은 개시되어 있으므로 판단에 이용하는 EIT는 현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 된다. 또, 이 경우, 판단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의 개시 전(여기에서는 30초 전)에 통지하는 내용과 당해 프로그램의 개시시점에서 통지하는 내용과는 다른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개시 전의 내용을 “3D 안경을 준비해 주세요”로 하고, 개시시점의 내용을 “3D 안경을 장착해 주세요”로 한다.
또는 개시 직전의 판단에 대신해서 개시 직후(프로그램 개시시점)에만 제 2 안내정보의 생성에 대한 판단을 해도 좋다.
(7)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채널 전환 및 전원 투입이 이루어지면 현 프로그램에 대한 제 2 안내정보의 생성에 대한 판단만 이루어졌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채널 전환, 전원 투입의 시간에 따라서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에 대한 판단이 아니라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판단을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다음 프로그램 개시까지 나머지 1분이 채 안 되고 있는 경우, 채널 전환 및 전원 투입이 이루어지면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에 대한 제 2 안내정보의 생성에 대한 판단 및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제 2 안내정보의 생성에 대한 판단의 쌍방을 실시한다.
또는 채널 전환, 전원 투입의 시간에 따라서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에 대한 판단 대신에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판단을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다음 프로그램 개시까지 나머지 1분이 채 안 되고 있는 경우, 채널 전환 및 전원 투입이 이루어지면 플래그 처리부(102)는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제 2 안내정보의 생성에 대한 판단을 한다.
(8)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 2 안내정보가 표시되면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고 동일 채널의 시청시에 후속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으로 변경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사상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표시 이후의 프로그램에 대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에 관계없이 제 2 안내정보의 생성은 실시하지 않는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안내정보가 표시된 후에 채널 전환을 하지 않고 시청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후속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 것이면 당해 3D 프로그램의 개시시에는 제 2 안내정보를 통지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통지 플래그는 불필요해진다.
또는 제 2 안내정보를 한 번 표시한 후, 채널 전환을 하지 않고 당해 채널의 시청이 소정 시간(예를 들어 3시간) 경과하면 그 후의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제 2 안내정보의 생성에 대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제 2 안내정보를 통지해도 좋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102)에 대해서 상술한 기능에 동일 채널의 시청이 소정 시간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통지 플래그의 값을 “0”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9) 상기 실시형태에서 채널 전환, 전원 투입시에 현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의 통지가 있는 경우에는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채널 전환, 전원 투입시에서의 현 프로그램의 수신 개시 시간이 현 프로그램의 개시부터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3분)이 경과 하고 있는 시간인 경우에는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해도 좋다.
또는 채널 전환, 전원 투입시에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현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의 통지의 유무에 관계없이 항상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해도 좋다.
(10)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의 표시 시간은 5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시간은 다른 값이라도 좋다.
또는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는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100)의 버튼 등의 조작에 의해 표시 종료의 지시를 접수할 때까지는 표시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영상처리부(161)는 오버레이 처리를 개시하면 사용자로부터의 표시 종료의 지시를 접수할 때까지 당해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한다.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사용자가 3D 안경을 장착했음을 검지하는 검지 기구를 구비하고, 당해 검지 기구가 3D 안경을 장착했음을 검지할 때까지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를 표시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어 3D 안경에는 버튼이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는 3D 안경을 장착한 후 당해 버튼을 누름으로써 3D 안경을 장착했다는 취지의 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디지털 텔레비전(100)의 검지 기구는 3D 안경을 장착했다는 취지의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를 표시한다. 또는 3D 안경은 3D 안경을 장착함으로써 사람의 얼굴의 일부가 접촉되었음을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당해 센서에 의해 사람의 얼굴의 일부가 접촉되었음을 검지하면 3D 안경을 장착했다는 취지의 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해도 좋다.
또, 예를 들어 검지 기구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당해 카메라에 비추어진 사용자의 얼굴 부분에 3D 안경을 검출하는 것도 실현할 수 있다.
(1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면 현 프로그램에 대한 제 2 안내정보의 생성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판단에 더하여 제 3 안내정보의 생성에 대한 판단도 실시해도 좋다.
이하, 이 경우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도 11에 나타내는 처리의 흐름의 변경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출력 중의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가 2D 프로그램인가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식별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1의 제 1 판정처리에서 스텝 S110에 나타내는 판단 처리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 현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이 아닌, 즉 현 프로그램은 2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110에서의 「No」), 플래그 처리부(102)는 보유하고 있는 프로그램 식별 정보가 3D 프로그램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102)에서 프로그램 식별 정보가 3D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즉 채널 전환 전의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하고, 그래픽스 버퍼(107)에 저장한다. 그 후, 플래그 처리부(102)는 프로그램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내용을 채널 전환 후의 프로그램에 대한 것으로 갱신한다.
영상처리부(161)는 채널 전환시에 제 2 안내정보가 그래픽스 버퍼(107)의 제 1 영역에 저장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제 3 안내정보가 제 2 영역에 저장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저장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하여 처리가 이루어진 출력 대상의 프레임을 프레임 버퍼(162)에 기입한다.
(12) 상기 실시형태에서 EIT 내에 설정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값 “0x20”, “0x21”)는 3D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었지만, 2D 프로그램용에 대한 값( “0x30”, “0x31”)을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으로 해서 더 추가해도 좋다. 예를 들어 “0x30”는 2D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값이며, “0x31”은 2D 프로그램을 나타내고, 또한 당해 프로그램 내에 있어 제 3 안내정보에 상당하는 정보(이하, 제 4 안내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 및 다음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인가 3D 프로그램인가의 판단은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된 선두 4 비트가 값 “2”를 나타내는지 값 “3”을 나타내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 플래그 처리부(102)에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된 값이 “0x30”인가 “0x31”인가를 판단하고, 0x30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 안내정보 생성부(106)에 의해 제 3 안내정보가 생성된다.
(13) 상기 실시형태에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는 대상의 프로그램의 처음에 통지가 있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상의 프로그램의 시작시에서의 통지의 유무 외에 당해 프로그램의 종료시에 3D 프로그램이 종료하는 취지의 통지의 유무를 나타내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는 값 “0x20”, “0x21”외에 값 “0x22”, “0x23”를 구비한다. 값 “0x22”는 대상의 프로그램의 종료시에만 통지가 있음을 나타내고, “0x23”는 대상의 프로그램의 시작 및 종료시의 쌍방에서 통지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 디지털 텔레비전(100)의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이 “0x22”인 경우에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고, 제 3 안내정보는 생성하지 않도록 동작한다. 또,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이 “0x23”인 경우에는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의 양쪽 모두 생성하지 않도록 동작한다.
(1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전원 투입 및 채널 전환의 어느 하나라 이루어지면 바로 현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가 여부의 판단을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래그 처리부(102)는 전원 투입 및 채널 전환의 어느 하나가 이루어진 후, 소정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채널 전환의 지시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경우에 상기 판단을 실시한다고 해도 좋다. 이는 시청자에 의한 서핑 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은 시청 대상의 프로그램이 확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판단을 하는 것은 쓸데없게 된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서핑 행위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즉 시청 대상의 프로그램이 확정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현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가 여부의 판단을 함으로써 서핑 행위 중에서의 쓸데없는 처리를 없앨 수 있어서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1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제 1 안내정보 및 제 2 안내정보를 표시한 후, 3D 영상의 출력 처리, 즉 L영상 및 R영상을 교호로 출력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제 1 안내정보 및 제 2 안내정보를 표시한 때 시청자에게 시청 상태를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시청 상태의 선택이란 예를 들어 입체 시로 시청하는, 2D 영상으로 시청하는, 및 L영상 및 R영상으로 분할하기 전의 프레임 그 자체를 시청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3D 영상으로 시청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3D 영상으로 L영상 및 R영상이 교호로 표시된다. 그 상세한 동작은 상술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2D 영상으로 시청하는 것이 선택되면 영상처리부(161)는 3D 영상의 프레임을 2개의 영상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 영상 중 하나의 영상(예를 들어, L영상의 기초가 되는 화상)을 확대하여 출력 대상의 영상(L영상)을 생성하여 제 1 버퍼(171)에 기입한다. 또, 표시부(163)는 2D 영상으로 시청하는 것이 선택되면 프레임 포맷 판정부(103)의 판정 결과에 관계없이 출력 주기를 변경하지 않고, 즉 60㎐인 채로 제 1 버퍼(171)에 기입된 영상(L영상)을 출력한다.
분할 전의 프레임 그 자체를 시청하는 것이 선택되면 영상처리부(161)는 3D 영상의 프레임을 분할하지 않고 제 1 버퍼(171)에 기입한다. 또, 표시부(163)는 분할 전의 프레임 그 자체를 시청하는 것이 선택되면 프레임 포맷 판정부(103)의 판정 결과에 관계없이 출력 주기를 변경하지 않고, 즉 60 ㎐인 채로 제 1 버퍼(171)에 기입된 영상(분할 전의 영상)을 출력한다.
(16)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가 표시되는 소정의 통지시간은 다음 프로그램 개시 30초 전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정의 통지시간은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정보의 생성의 필요와 불필요의 판단 이후이며, 다음 프로그램의 개시 전이면 언제라도 좋다.
또는 소정의 통지시간은 다음 프로그램의 개시 직후라도 좋다.
(17) 상기 실시형태에서 다음 프로그램에 대해서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하는가 여부의 판단에 통지 플래그의 값을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해 판단에 현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이용하라도 좋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값이 설정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은 2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한다. 즉, 플래그 처리부(102)는 제 3 안내정보는 생성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 즉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한다고 특정한다. 플래그 처리부(102)는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한다고 특정하면 안내정보 생성부(106)에 제 2 지시정보를 통지하는 동시에 통지 플래그의 값을 “0”으로 변경한다.
(18) 상기 실시형태에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되는 값은 “0x20”, “0x21” 중 어느 하나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되는 값은 EIT 내, 특히 콘텐츠 기술자 내에서 설정되는 다른 정보와 구별할 수 있는 값이면 좋다.
(19)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 예를 조합해도 좋다.
1. 5 구체 예
여기에서는 각 안내정보의 출력에 대해서 구체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1) 다음 프로그램의 판단에 대해서
다음 프로그램의 판단시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도 15 (a), (b) 및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도 15 (a),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3, t13에서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으로부터 3D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한다. 또, 도 1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23에서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으로부터 2D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한다.
(1-1) 제 2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도 15 (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1 시점(시간 t3의 1분 전)에서 플래그 처리부(102)는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EIT의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이용하여 다음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가, 및 3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는 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그 값은 “0x20”로 한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102)는 다음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통지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102)에서 다음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통지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으므로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시간 t2(시간 t3의 30초 전)에서 영상처리부(161)는 생성된 제 2 안내정보와 출력 대상의 영상 프레임을 중첩해서 표시부(163)에 출력한다. 또, 도 15 (a)에서는 편의상 1매의 프레임 대해서 제 2 안내정보를 중첩하고 있으나, 상술한 것과 같이 시간 t2에서 5초간으로 표시되는 프레임 모두에 대해서 제 2 안내정보가 중첩된다.
(1-2) 제 1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도 15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11 시점(시간 t13의 1분 전)에서 플래그 처리부(102)는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EIT의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이용하여 다음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가 및 3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는 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그 값은 “0x21”로 한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102)는 다음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통지한다고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102)에서 다음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통지된다고 판단되었으므로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는 제 2 안내정보는 생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시간 t13에서 영상처리부(161)는 영상 프레임(제 1 안내정보가 표시되는 2D 영상의 프레임)을 표시부(163)에 출력한다. 또, 도 15 (b)에서는 이 2D 영상의 프레임은 1매만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소정의 매수가 출력된다.
(1-3) 제 3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도 1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21 시점(시간 t23의 1분 전)에서 플래그 처리부(102)는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EIT의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이용하여 다음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가 및 3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는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102)는 다음 프로그램은 2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102)에서 다음 프로그램은 2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되었으므로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시간 t22 (시간 t23의 30초 전)에서 영상처리부(161)는 생성된 제 3 안내정보와 출력 대상의 영상 프레임을 중첩해서 표시부(163)에 출력한다. 또, 도 16에서는 편의상 1매의 프레임에 대해서 제 3 안내정보를 중첩하고 있으나, 상술한 것과 같이 시간 t22에서 5초간으로 표시되는 프레임 모두에 대해서 제 3 안내정보가 중첩된다.
(2) 현 프로그램의 판단에 대해
현 프로그램의 판단시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도 17에서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2-1)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만을 이용하는 경우
여기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31에서 채널 A로부터 채널 B로의 채널 전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31 시점에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면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에 대한 EIT의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이용하여 현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가 및 3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는 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그 값은 “0x20”로 한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통지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102)에서 현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통지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으므로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영상처리부(161)에서는 생성된 제 2 안내정보와 출력 대상의 영상 프레임을 중첩해서 표시부(163)에 출력한다. 또, 도 17에서는 편의상 1매의 프레임 대해서 제 2 안내정보를 중첩하고 있으나, 상술한 것과 같이 시간 t31에서 5초간으로 표시되는 프레임 모두에 대해서 제 2 안내정보가 중첩된다.
(2-2)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와 표시기간을 이용하는 경우
여기에서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와 표시기간을 이용하는 경우의 안내정보의 표시에 대해서 표시기간의 경과 후와 표시기간의 경과 전으로 경우를 분류하여 설명한다.
(표시기간의 경과 후)
여기에서는 도 1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41에서 채널 A로부터 채널 B로의 채널 전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또, 시간 t41은 채널 B에서 방송 중의 3D 프로그램에 대한 제 1 안내정보의 표시기간이 경과 한 후의 시간인 것으로 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41 시점에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면 플래그 처리부(102)는 채널 B의 현 프로그램에 대한 EIT의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이용하여 현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가 및 3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는 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그 값은 “0x21”로 한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통지한다고 판단하면 제 1 안내정보의 표시기간은 경과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제 1 안내정보의 표시기간은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102)에서 제 1 안내정보의 표시기간은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으므로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영상처리부(161)에서는 생성된 제 2 안내정보와 출력 대상의 영상 프레임을 중첩해서 표시부(163)에 출력한다. 또, 도 18에서는 편의상 1매의 프레임 대해서 제 2 안내정보를 중첩하고 있으나, 상술한 것과 같이 시간 t41에서 5초간으로 표시되는 프레임 모두에 대해서 제 2 안내정보가 중첩된다.
(표시기간의 경과 전)
여기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51에서 채널 A로부터 채널 B로의 채널 전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또, 시간 t51은 채널 B에서 방송 중의 3D 프로그램에 대한 제 1 안내정보의 표시기간이 경과하기 전의 시간인 것으로 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51 시점에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면 플래그 처리부(102)는 채널 B의 현 프로그램에 대한 EIT의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이용하여 현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가, 및 3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는 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그 값은 “0x21”로 한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102)는 현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통지한다고 판단하면 제 1 안내정보의 표시기간은 경과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플래그 처리부(102)는 제 1 안내정보의 표시기간은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102)에서 제 1 안내정보의 표시기간은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었으므로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시간 t52에서 영상처리부(161)는 영상 프레임(제 1 안내정보가 표시되는 2D 영상의 프레임)을 표시부(163)에 출력한다. 또, 도 19에서는 이 2D 영상의 프레임은 1매만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표시기간 내에 출력되어야 할 매수의 2D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된다.
(3) 프로그램의 시청형태의 선택에 대해
프로그램의 시청형태의 선택에 대해서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는 제 1 안내 표시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제 1 안내정보는 안경의 준비를 촉구하는 메시지, 입체 시 하는 것을 지시하는 버튼(B100), 2D 영상으로 시청하는 것을 지시하는 버튼(B101), 및 L영상 및 R영상으로 분할하기 전의 프레임 그 자체를 시청하는 것을 지시하는 버튼(B103)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제 1 안내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버튼(B100)이 눌러진, 즉 입체 시 하는 것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시청 대상의 3D 프로그램을 통상과 같이 L영상 및 R영상을 교호로 표시한다.
또, 사용자 조작에 의해 버튼(B101)이 눌러진, 즉 3D 프로그램을 2D 영상으로 시청하는 것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예를 들어 L영상의 프레임만을 표시한다. 또,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L영상의 프레임이 아니라 R영상의 프레임만을 표시해도 좋다.
또, 사용자 조작에 의해 버튼(B102)이 눌러진, 즉 분할하기 전의 프레임 그 자체를 시청하는 것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디지털 텔레비전(100)은 분할 전의 프레임, 예를 들어 Side-by-Side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을 표시한다.
2. 제 2 실시형태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방송파 또는 IP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프로그램에 대해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이용하였으나, 여기에서는 녹화된 프로그램에 대해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디지털 텔레비전(1100)은 재생장치(1200)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1200)에 녹화된 프로그램, 예를 들어 3D 프로그램을 재생함으로써 디지털 텔레비전(1100)에서는 3D 영상이 표시된다. 또, 여기에서는 재생장치와 디지털 텔레비전의 조합을 영상처리장치라고 한다.
2. 1 재생장치(1200)의 구성
여기에서는 녹화된 프로그램(콘텐츠)의 재생에 관한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재생장치(1200)는 도 2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콘텐츠 기억부(1201), 재생제어부(1202), 지시 접수부(1203), HDMI 송신부(1204), 플래그 처리부(1205), 안내정보 생성부(1206), 그래픽스 버퍼(1207), 영상 디코드부(1208), 프레임 버퍼(1209), 프레임 포맷 판정부(1210) 및 출력처리부(1211)로 구성되어 있다.
(1) 콘텐츠 기억부(1201)
콘텐츠 기억부(1201)는 도 2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콘텐츠 데이터(녹화된 프로그램의 스트림)와 메타데이터(파일속성정보)로 이루어지는 세트를 복수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 콘텐츠 기억부(1201)는 예를 들어 재생장치(1200)에 내장되어 있는 기록매체라도 좋고, SD카드와 같은 착탈 가능한 기록매체라도 좋다.
메타데이터는 예를 들어 ETSI TS 102 822 (텔레비전 Anytime) 규격에 의거한 것이며, 녹화된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프로그램명과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ETSI TS 102 822의 AV Attribute를 확장하여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추가한다.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값 “0x20”및 “0x21”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고,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아무것도 설정되지 않는다. 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포함하는 AV Attribute는 프로그램을 녹화할 때에 생성되어 기록되는 것으로 한다.
(2) 재생제어부(1202)
재생제어부(1202)는 콘텐츠 기억부(1201)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프로그램)의 재생에 관한 제어를 실행한다.
재생제어부(1202)는 지시 접수부(1203)로부터 프로그램명의 일람표시를 요구하는 취지의 일람표시요구를 접수하면 콘텐츠 기억부(1201)에 기억되어 있는 각 메타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명을 취득한다. 재생제어부(1202)는 취득한 각 프로그램명으로 이루어지는 일람표를 생성하고, 생성한 일람표를 그래픽스 버퍼(1207)에 기입한다. 또, 재생제어부(1202)는 일람표를 출력하도록 출력 지시를 출력처리부(1211)에 출력한다.
재생제어부(1202)는 지시 접수부(1203)로부터 일람표 나타난 프로그램명으로부터 하나의 프로그램을 선택한 취지의 선택 지시를 접수하면 접수한 선택 지시에 의해 나타나는 선택된 하나의 프로그램명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메타데이터를 플래그 처리부(1205)에 출력한다.
그 후, 재생제어부(1202)는 당해 하나의 프로그램명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스트림)를 영상 디코드부(1208)에 출력한다.
(3) 플래그 처리부(1205)
플래그 처리부(1205)는 재생제어부(1202)로부터 재생 대상의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면 그래픽스 버퍼(1207)를 초기화한다. 또, 플래그 처리부(1205)는 수신한 메타데이터의 내용에 의거하여 재생 대상의 콘텐츠가 2D 프로그램인가 3D 프로그램인가의 판단과, 3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의 통지가 있는가 여부의 판단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1205)는 먼저 수신한 메타데이터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이 설정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값이 설정되어 있는, 즉 재생 대상의 콘텐츠가 3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플래그 처리부(1205)는 당해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된 값에 따라서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1205)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값 “0x20”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콘텐츠는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가 출력되지 않는 것으로 특정하고,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한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플래그 처리부(1205)는 안내정보 생성부(1206)에 제 2 안내정보의 생성을 지시하는 취지의 제 1 지시정보를 통지한다. 플래그 처리부(1205)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값 “0x2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콘텐츠는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가 출력되는 것이라고 특정하고,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4) 안내정보 생성부(1206)
안내정보 생성부(1206)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안내정보 생성부(106)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5) 그래픽스 버퍼(1207)
그래픽스 버퍼(1207)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그래픽스 버퍼(107)와 동일한 영역에 더하여 재생제어부(1202)에서 생성된 프로그램명의 일람표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도 가지고 있다.
(6) 영상 디코드부(1208)
영상 디코드부(1208)는 재생제어부(1202)로부터 재생 대상의 콘텐츠 데이터(스트림)를 수신하면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의 디코드를 실행하는 동시에 영상 스트림 중에 프레임 단위로 저장되고 있던 3D 영상정보를 인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영상 디코드부(1208)에 의해 프레임 단위의 영상이 생성된다. 이 경우, 3D 영상의 프레임에서는 Side-by-Side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프레임이며, L화상과 R화상의 구분은 이루어져 있지 않다.
영상 디코드부(1208)는 디코드한 영상 스트림을 프레임 버퍼(1209)에 저장하고, 취득한 3D 영상정보를 프레임 포맷 판정부(1210)에 출력한다.
(7) 프레임 버퍼(1209)
프레임 버퍼(1209)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프레임 버퍼(104)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8) 프레임 포맷 판정부(1210)
프레임 포맷 판정부(1210)는 영상 디코드부(1208)에서 3D 영상정보를 수신하면 그 값에 의거하여 디코드 된 프레임의 영상이 2D 영상인가 3D 영상인가, 또 3D 영상인 경우는 Side-by-Side 방식을 포함하는 어느 방식인가를 판정한다.
(9) 출력처리부(1211)
출력처리부(1211)는 프레임 버퍼(1209)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을 판독한다.
그리고 프레임 포맷 판정부(1210)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당해 프레임이 2D 영상인가 3D 영상인가, 3D 영상의 경우 Side-by-Side 방식을 포함하는 어느 방식인가 등을 나타내는 영상정보를 HDMI VSI(Vendor Specific InfoFrame)에 부가하고, 판독한 프레임과 함께 HDMI 송신부(1204)를 개재하여 디지털 텔레비전(1100)에 출력한다.
또, 출력처리부(1211)는 콘텐츠 재생 개시시에 안내정보 생성부(1206)에서 제 2 안내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처리 대상의 프레임과 그래픽스 버퍼(107)에 저장되어 있는 제 2 안내정보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하고, 그 처리 결과에 의해 얻어진 프레임과 영상정보가 부가된 HDMI VSI를 HDMI 송신부(1204)를 개재하여 디지털 텔레비전(1100)에 출력한다.
여기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콘텐츠 재생시에서의 오버레이 처리에서도 예를 들어 5초 동안 표시될 프레임에 대해서 제 2 안내정보를 중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표시 대상의 프레임과 함께 제 2 안내정보가 5초간 표시된다.
또, 오버레이 처리를 할 때에 콘텐츠에 따라서는 선두 프레임에서부터 3D 영상인 경우나, 재생 개시부터 5초간의 사이에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출력처리부(1211)는 프레임 포맷 판정부(1210)의 판정 결과에 의해 오버레이 처리 대상의 프레임이 2D 영상인가 3D 영상인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2D 영상의 프레임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출력처리부(1211)는 그 프레임에 제 2 안내정보를 그대로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한다. 3D 영상의 프레임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출력처리부(1211)는 Side-by-Side 방식 등의 방식에 따라서 제 2 안내정보를 축소하고, 분할 전의 L영상 및 R영상 각각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한다.
또, 출력처리부(1211)는 재생제어부(1202)로부터 출력 지시를 접수하면 그래픽스 버퍼(1207)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명의 일람표를 HDMI 송신부(1204)를 개재하여 디지털 텔레비전(1100)에 출력한다.
(10) 지시 접수부(1203)
지시 접수부(1203)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재생에 관한 지시를 접수한다. 구체적으로는 지시 접수부(1203)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일람표시를 요구하는 취지의 지시를 접수하면 일람표시요구를 재생제어부(1202)에 출력한다. 또, 지시 접수부(1203)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하나의 프로그램을 선택한 취지의 지시를 접수하면 선택 지시를 재생제어부(1202)에 출력한다.
(11) HDMI 송신부(1204)
HDMI 송신부(1204)는 HDMI 규격에 의거하여 재생제어부(1202) 및 출력처리부(121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표시 대상이 되는 영상의 프레임 및 HDMI VSI)를 디지털 텔레비전(1100)에 송신한다. 또, HDMI 규격에 대해서는 이미 알고 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2. 2 디지털 텔레비전(1100)의 구성
여기에서는 재생장치(1200)에서 재생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지털 텔레비전(1100)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디지털 텔레비전(100)과 동일한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디지털 텔레비전(1100)은 도 2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신호 입력부(1101), 프레임 포맷 판정부(1103), 프레임 버퍼(104) 및 출력처리부(1105)로 구성되어 있다.
또, 디지털 텔레비전(1100)에는 제 1 실시형태의 디지털 텔레비전(100)과 동일하게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시계부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1) 신호 입력부(1101)
신호 입력부(1101)는 재생장치(1200)로부터 송출된 HDMI 규격의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신호 입력부(1101)는 도 2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HDMI 수신부(1151)를 가지고 있다.
HDMI 수신부(1151)는 HDMI 규격의 신호, 여기에서는 2D 영상이나 3D 영상을 구성하는 신호 및 HDMI VSI를 수신한다.
HDMI 수신부(1151)는 수신한 2D 영상이나 3D 영상의 신호를 프레임 버퍼(1104)에 기입한다. 또, HDMI 수신부(1151)는 수신한 HDMI VSI를 프레임 포맷 판정부(1103)에 출력한다.
(2) 프레임 버퍼(1104)
프레임 버퍼(1104)는 재생장치(1200)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여기에서는 2D 영상, 3D 영상 및 프로그램명의 일람표)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다.
(3) 프레임 포맷 판정부(1103)
프레임 포맷 판정부(1103)는 HDMI 수신부(1151)로부터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HDMI VSI를 수신하면 수신한 HDMI VSI에 포함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프레임의 영상이 2D 영상인가 3D 영상인가, 또 3D 영상인 경우는 Side-by-Side 방식을 포함하는 어느 방식인가를 판정한다.
프레임 포맷 판정부(1103)는 판정 결과를 출력처리부(1105)에 통지한다.
(4) 출력처리부(1105)
출력처리부(1105)는 2D 영상 및 3D 영상 각각에 따른 출력 주기에 의거하여 영상을 출력한다.
출력처리부(1105)는 도 24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영상처리부(1161), 프레임 버퍼(162) 및 표시부(163)를 가지고 있다.
또, 영상처리부(1161) 이외의 구성요소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영상처리부(1161)에 대해서 설명한다.
영상처리부(1161)는 처리 대상의 프레임이 2D의 영상인가 3D의 영상인가, 또 3D 영상인 경우는 Side-by-Side 방식을 포함하는 어느 방식인가를 프레임 포맷 판정부(1103)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판단한다.
3D 영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영상처리부(1161)는 프레임을 2개의 영상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 영상을 확대하여 L영상 및 R영상을 생성한다. 영상처리부(1161)는 생성한 L영상을 L영상 버퍼(173)에, 생성한 R영상을 R영상 버퍼(174)에 각각 저장한다.
3D 영상이 아닌, 즉 2D 영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영상처리부(1161)는 당래 프레임(영상)을 제 1 버퍼(171)에 저장한다.
또, 프로그램명의 일람표시를 실행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2D 영상의 표시와 동일한 동작을 한다.
2. 3 동작
이하,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른 점인 녹화된 프로그램(콘텐츠)의 재생에 관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재생시에서의 판단 처리에 대해
여기에서는 재생 대상이 되는 콘텐츠(녹화된 프로그램)의 선택 및 선택된 콘텐츠에 대해서 제 2 안내정보의 생성의 필요와 불필요를 판단하는 재생시의 판단 처리에 대해서 도 25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재생장치(1200)의 재생제어부(1202)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일람표시요구를 접수하면 콘텐츠 기억부(1201)에 기억되어 있는 각 메타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명을 취득하여 일람표를 생성하고, 디지털 텔레비전(1100)에서는 재생장치(1200)에서 생성된 프로그램명의 일람표를 표시한다(스텝 S500).
재생제어부(1202)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일람 표시된 프로그램명으로부터 하나의 프로그램의 선택을 접수하면(스텝 S505) 선택된 하나의 프로그램명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510).
플래그 처리부(1205)는 재생제어부(1202)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면 그래픽스 버퍼(1207)를 초기화한다(스텝 S515). 플래그 처리부(1205)는 수신한 메타데이터의 내용에 의거하여 재생 대상의 콘텐츠가 2D 프로그램인가 3D 프로그램인가, 즉 수신한 메타데이터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이 설정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20).
값이 설정되어 있는, 즉 재생 대상의 콘텐츠가 3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스텝 S520에서의 「Yes」) 플래그 처리부(1205)는 당해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된 값에 따라서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1205)는 설정되어 있는 값이 “0x20”인가 “0x21”인가를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1205)에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값 “0x20”이 설정되어 있는, 즉, 제 1 안내정보가 출력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스텝 S525에서의 「No」) 안내정보 생성부(1206)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530).
플래그 처리부(1205)에서 수신한 메타데이터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즉 재생 대상의 콘텐츠가 2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스텝 S520에서의 「No」), 및 플래그 처리부(1205)에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값 “0x21”이 설정되어 있는, 즉 제 1 안내정보가 출력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스텝 S525에서의 「Yes」) 처리는 종료한다.
(2) 재생 처리
여기에서는 상기의 판단 처리 후에 선택된 콘텐츠의 재생에 관한 동작에 대해서 도 26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출력처리부(1211)는 재생 개시시에 제 2 안내정보가 그래픽스 버퍼(107)에 저장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00).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600에서의 「Yes」), 출력처리부(1211)는 영상 디코드부(1208)로부터 수신한 프레임과 그래픽스 버퍼(107)에 저장되어 있는 제 2 안내정보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605). 구체적으로는 출력처리부(1211)는 오버레이 처리 대상의 프레임이 2D 영상인가 3D 영상인가에 따른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한다.
출력처리부(1211)는 오버레이 처리가 실시된 프레임을 디지털 텔레비전(1100)에 출력한다(스텝 S610).
출력처리부(1211)는 재생 개시부터 소정 시간(여기에서는 5초)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15).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615에서의 「No」), 처리는 스텝 S605로 돌아간다.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615에서의 「Yes」), 출력처리부(1211)는 오버레이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프레임을 디지털 텔레비전(1100)에 출력한다(스텝 S620).
이때, 디지털 텔레비전(1100)에서는 표시부(163)는 프레임 포맷 판정부(1103)의 판정 결과에 따른 출력 주기로 재생장치(1200)로부터 출력된 프레임을 표시한다. 또, 재생장치(1200)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이 3D 영상의 프레임인 경우에는 수신한 프레임을 2개의 영상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 영상을 확대하여 L영상 및 R영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3D 영상의 프레임이 Side-by-Side 방식으로 생성되고 있는 경우에는 수신한 프레임을 좌우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 영상을 횡 방향으로 확대하여 L영상 및 R영상을 얻는다.
2. 4 변형 예
이상, 제 2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변형 예가 생각된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재생장치(1200)는 제 2 안내정보를 출력 대상의 프레임에 중첩해서 표시하도록 처리를 실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생장치(1200)는 제 2 안내정보를 출력 대상인 콘텐츠의 프레임과 중첩해서 출력하는 대신에 제 2 안내정보의 내용을 1 프레임의 화상으로 출력해도 좋다.
또는 재생장치(1200)는 제 2 안내정보의 내용을 자막에 의해 표시해도 좋다.
또는 재생장치(1200)는 표시가 아니라 음성에 의해 통지해도 좋다.
또는 제 2 안내정보의 내용을 디지털 텔레비전(1200)와 통신 가능한 휴대단말(휴대형의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기 등)에 송신하고, 휴대단말 측에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2) 제 1 안내정보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표시형태를 특정하고 있지 않았지만, 사용자에 대해서 3D 안경의 준비를 촉구하는 취지의 내용을 통지하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영상, 음성, 및 이들의 조합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좋다. 또는 자막에 의한 통지라도 좋고, 데이터 방송에 의한 통지라도 좋다. 또는 제 1 안내정보의 내용을 디지털 텔레비전(1200)와 통신 가능한 휴대단말(휴대형의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기 등)에 송신하고, 휴대단말 측에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 2 안내정보의 표시시간은 5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시간은 다른 값이라도 좋다.
또는 제 2 안내정보는 사용자로부터의 표시 종료의 지시를 접수할 때까지는 표시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영상처리부(1161)는 오버레이 처리를 개시하면 사용자로부터의 표시 종료의 지시를 접수할 때까지 당해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한다.
또는 재생장치(1200)는 사용자가 3D 안경을 장착했음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설치하고, 당해 검지부가 3D 안경을 장착했음을 검지할 때까지 제 2 안내정보를 표시한다고 해도 좋다. 또, 구체적인 예시에 대해서는 상술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재생장치(1200)는 제 1 안내정보 및 제 2 안내정보를 디지털 텔레비전(1100)에 출력한 후, 디지털 텔레비전(1100)에 3D 영상의 출력, 즉 L영상 및 R영상을 교호로 출력시켰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생장치(1200)는 제 1 안내정보 및 제 2 안내정보를 표시한 때, 디지털 텔레비전(1100)에 3D 영상의 출력을 시키기 전에 시청자에게 시청형태를 선택하게 해도 좋다. 시청형태의 선택이란 예를 들어 입체 시 하는 2D 영상으로 시청하는 것 및 L영상 및 R영상으로 분할하기 전의 프레임 그 자체를 시청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또, 상세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 예로 설명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6) 상기 제 2의 실시형태에서 디지털 텔레비전(1100)과 재생장치(1200)는 개별의 장치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텔레비전(1100)과 재생장치(1200)를 조합해서 하나의 장치, 예를 들어 녹화기능이 부여된 텔레비전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이때, 프로그램을 녹화할 때에는 녹화 기능이 부여된 텔레비전은 녹화 대상의 프로그램(콘텐츠)에 대응하는 EIT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을 메타데이터에 기록하고, 당해 메타데이터와 녹화 대상의 프로그램을 대응시켜서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이에 의해 콘텐츠 기억부(1201)에 기억되고 있는 콘텐츠뿐만이 아니라 콘텐츠 기억부(1201)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와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도 5에 나타내는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해서도 상기 제 2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7) 상기 제 2의 실시형태에서 디지털 텔레비전(1100)의 신호 입력부(1101)를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신호 입력부(101)에 HDMI 수신부(1151)를 부가한 것으로 치환해도 좋다.
(8)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 예를 조합해도 좋다.
2. 5 구체적인 예
여기에서는 녹화된 프로그램(콘텐츠)의 재생시에서의 각 안내정보의 출력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재생장치(1200)는 도 2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프로그램명의 일람표인 콘텐츠 일람표(D100)를 디지털 텔레비전(1100)에 의해 표시한다.
이때, 3D 프로그램인 콘텐츠 A(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이 “0x20”)가 선택되면 제 1 안내정보에 의한 통지는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디지털 텔레비전(1100)은 선택된 콘텐츠 A의 재생 개시시에 제 2 안내정보를 출력 대상의 영상 프레임(예를 들어, 2D 영상의 프레임)에 중첩해서 표시한다. 또, 도 27에서는 편의상 1매의 프레임 대해서 제 2 안내정보를 중첩하고 있으나, 상술한 것과 같이 재생 개시부터 5초간으로 표시되는 프레임 모두에 대해서 제 2 안내정보가 중첩된다.
또, 3D 프로그램인 콘텐츠 C(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이 “0x21”)가 선택되면 제 1 안내정보에 의한 통지는 이루어지므로 디지털 텔레비전(1100)의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콘텐츠의 재생 개시시에 디지털 텔레비전(1100)은 영상 프레임(제 1 안내정보가 표시되는 2D 영상의 프레임)을 표시한다. 또, 도 27에서는 이 2D 영상의 프레임은 1매만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표시기간 내에 출력되어야 할 매수의 2D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된다.
3. 제 3 실시형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이 포함되는 스트림과는 별개의 데이터인 SI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포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프레임이 포함되는 스트림에 설정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3. 1 디지털 텔레비전(2100)의 구성
여기에서는 3D 프로그램 및 2D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일 예로 디지털 텔레비전(2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디지털 텔레비전(100)과 동일한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디지털 텔레비전(2100)은 구체적으로는 플라스마 텔레비전이며, 2D 영상 및 3D 영상을 송출하는 디지털 방송파(스트림)를 수신한다. 또 디지털 텔레비전(2100)은 IP네트워크 및 재생장치와 접속되고, 이들로부터 출력된 2D 영상 및 3D 영상도 표시한다.
디지털 텔레비전(2100)은 도 2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신호 입력부(2101), 플래그 처리부(2102), 프레임 포맷 판정부(103), 프레임 버퍼(104), 출력처리부(2105), 안내정보 생성부(106) 및 그래픽스 버퍼(107)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 입력부(2101), 플래그 처리부(2102) 및 출력처리부(2105)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신호 입력부(2101), 플래그 처리부(2102) 및 출력처리부(2105)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디지털 텔레비전(2100)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시계부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1) 신호 입력부(2101)
신호 입력부(2101)는 외부로부터 송출(출력)된 2D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 및 3D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이다. 또, 스트림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2D 및 3D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영상 스트림과 SI가 다중화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그 외에 필요에 따라서 음성 스트림이나 자막 스트림, BML 등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이 다중화되어 있다. SI에는 다중화되어 있는 각종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 송출(출력)되는 3D 영상의 프레임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Side-by-Side 방식 등의 3D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송출(출력)되는 프레임의 신호 포맷에 대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H.264|MPEG4/AVC 규격에 의거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신호 포맷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3D 영상정보가 SEI 형식으로 저장되어서 포함된다. 또, SEI 형식의 데이터에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도 저장되어 있다.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가 취할 수 있는 값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0x20” 및 “0x21” 중 어느 하나이고, 그 값이 의미하는 것에 대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프레임이 속하는 프로그램은 2D 프로그램임을 나타낸다. 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는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방송될 때에 SEI 형식의 데이터에 저장되는 것으로 한다.
신호 입력부(101)는 도 2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튜너(복조기)(151), NIC(Network Interface Card)(152), 다중화 분리부(153) 및 영상 디코드부(2154)를 가지고 있다.
영상 디코드부(2154)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이하 영상 디코드부(2154)의 기능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영상 디코드부(2154)는 2D 및 3D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영상 스트림을 다중화 분리부(153)로부터 수신하면 수신한 영상 스트림의 디코드를 실행하는 동시에 영상 스트림 중에 프레임 단위로 저장되어 있는 SEI 형식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취득한 SEI 형식의 데이터를 플래그 처리부(2102)에 출력하고, 또, 취득한 SEI 형식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3D 영상정보를 프레임 포맷 판정부(103)에 출력한다.
영상 디코드부(154)는 생성한 프레임 단위의 영상을 프레임 버퍼(104)에 기입한다. 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영상 디코드부(154)에 의해 생성된 3D 영상의 프레임에 대해서는 Side-by-Side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프레임이며, L화상과 R화상의 구분은 이루어져 있지 않다.
(2) 플래그 처리부(2102)
플래그 처리부(2102)는 사용자에 대해서 제 2 안내정보 또는 제 3 안내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플래그 처리부(2102)는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지 플래그를 가지고 있으며, 초기치는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취지를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0”)이다. 또, 통지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에는 제 2 안내정보가 출력되었음을 나타낸다.
이하, 전원 투입시 및 채널 전환에서의 처리의 경우와 동일 채널에서의 프로그램 전환시에서의 처리의 경우를 나누어서 플래그 처리부(2102)의 기능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2-1) 전원 투입시 채널 전환시의 처리의 경우
플래그 처리부(2102)는 장치에의 전원 투입 및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면 통지 플래그 및 그래픽스 버퍼(107)를 초기화한다.
플래그 처리부(2102)는 수신되고 있는 프레임이 포함되는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인가 3D 프로그램인가를 영상 디코드부(2154)로부터 수신한 SEI 형식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설정의 유무에 의해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2102)는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SEI 형식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된 값에 따라서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2102)는 SEI 형식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값 “0x20”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가 출력되지 않는 것으로 특정하고,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한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플래그 처리부(2102)는 안내정보 생성부(106)에 제 2 안내정보의 생성을 지시하는 취지의 제 1 지시정보를 통지하는 동시에 통지 플래그의 값을 “1”로 변경한다. 플래그 처리부(2102)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값 “0x2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가 출력되는 것이라고 특정하고,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동시에 통지 플래그의 값을 “1”로 변경한다.
(2-2) 동일 채널 내에서의 프로그램 전환시의 처리의 경우
플래그 처리부(2102)는 동일 채널에서 프로그램이 전환되면 전환된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인가 3D 프로그램인가를 영상 디코드부(2154)로부터 수신한 SEI 형식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설정의 유무에 의해 판단한다. 또, 프로그램이 전환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은 대상의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포함되는 개시 일시와 시계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또, 플래그 처리부(2102)는 그래픽스 버퍼(107)의 초기화도 실시한다.
플래그 처리부(2102)는 전환된 프로그램에 대한 SEI 형식의 데이터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설정이 이루어져 있으면 당해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하고, 또, 당해 프로그램에 대한 SEI 형식의 데이터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로 설정된 값과 통지 플래그의 값에 따라서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2102)는 전환된 프로그램에 대한 SEI 형식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값 “0x20”이 설정되고, 또한 통지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에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한다고 판단하며, 안내정보 생성부(106)에 제 1 지시정보를 통지하는 동시에 통지 플래그의 값을 “1”로 변경한다.
플래그 처리부(2102)는 전환된 프로그램에 대한 SEI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당해 프로그램은 2D 프로그램이라고 특정한다. 당해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이라고 특정하는 경우, 플래그 처리부(2102)는 통지 플래그의 값에 의거하여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하는가 여부를 특정한다. 플래그 처리부(2102)는 통지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에는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통지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에는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한다고 특정한다. 플래그 처리부(2102)는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한다고 판단하면 안내정보 생성부(106)에 제 3 안내정보의 생성을 지시하는 취지의 제 2 지시정보를 통지하는 동시에 통지 플래그의 값을 “0”으로 변경한다.
(3) 출력처리부(2105)
출력처리부(2105)는 2D 영상 및 3D 영상 각각에 따른 출력 주기에 의거하여 영상을 출력한다. 또,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당해 제 2 안내정보 및 해당 제 3 안내정보 각각을 출력해야 할 영상과 함께 출력한다.
출력처리부(2105)는 도 28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영상처리부(2161), 프레임 버퍼(162) 및 표시부(163)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 버퍼(162) 및 표시부(163)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영상처리부(2161)에 대해서 설명한다.
영상처리부(2161)는 프레임 버퍼(104)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영상)을 출력하는 것이다. 또,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 제 2 안내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출력해야 할 영상과 당해 제 2 안내정보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하고, 오버레이 처리가 실시된 영상을 출력한다.
이하에 영상처리부(2161)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영상처리부(2161)는 처리 대상의 프레임이 2D의 영상인가 3D의 영상인가, 또 3D 영상인 경우는 Side-by-Side 방식을 포함하는 어느 방식인가를 프레임 포맷 판정부(103)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판단한다.
3D 영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영상처리부(2161)는 프레임을 2개의 영상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 영상을 확대하여 L영상 및 R영상을 생성한다. 영상처리부(2161)는 생성한 L영상을 L영상 버퍼(173)에, 생성한 R영상을 R영상 버퍼(174)에 각각 저장한다.
3D 영상이 아닌, 즉 2D 영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영상처리부(2161)는 당해 프레임(영상)을 제 1 버퍼(171)에 저장한다.
또, 전원 투입시 및 채널 전환시에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 제 2 안내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영상처리부(2161)는 처리 대상의 프레임(이 경우, L영상, R영상)과 그래픽스 버퍼(107)에 저장되어 있는 제 2 안내정보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제 2 버퍼(172) 내의 소정의 버퍼에 기입한다.
동일 채널에서의 프로그램 전환시에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 중 어느 하나의 안내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영상처리부(21619)는 처리 대상의 프레임과 그래픽스 버퍼(107)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정보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처리 대상의 프레임의 저장 처인 버퍼에 기입한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부(2161)는 동일 채널에서의 프로그램 전환시에 그래픽스 버퍼(107)의 제 1 영역에 제 2 안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 대상의 프레임과 제 2 안내정보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한다. 또, 영상처리부(2161)는 동일 채널에서의 프로그램 전환시에 그래픽스 버퍼(107)의 제 2 영역에 제 3 안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 대상의 프레임과 제 3 안내정보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한다. 또, 프로그램의 전환 시점은 대상의 프로그램에 대한 EIT에 포함되는 개시 일시와 시계부에 의해 특정된다. 또, 오버레이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5초 동안 표시될 프레임에 대해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를 중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표시 대상의 프레임과 함께 제 2 안내정보나 제 3 안내정보가 5초간 표시된다.
3. 2 동작
여기에서는 디지털 텔레비전(2100)에서 각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에 관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1) 개요
여기에서는 안내정보를 자 장치에서 생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의 개요에 대해서 도 10에 나타내는 흐름도로부터 변경된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흐름도로부터의 변경점은 스텝 S15이다.
도 10의 스텝 S15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플래그 처리부(102)가 프로그램이 전환하기 직전의 시간대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했다. 여기에서는 이 스텝 S15의 판단 내용을 플래그 처리부(2102)는 동일 채널에서의 프로그램의 전환 시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변경한다.
(2) 제 1 판정처리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 1 판정처리는 도 11에 나타내는 제 1 판정처리와 같은 처리의 흐름이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3) 제 2 판정처리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 2 판정처리는 도 12에 나타내는 제 2 판정처리 내에서의 “다음 프로그램”을 “전환 후의 프로그램”으로 변경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4) 버퍼 기입 처리
여기에서는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의 설정의 유무에 따라서 생성된 출력 대상의 프레임을 프레임 버퍼(162)에 기입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29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영상처리부(2161)는 전원 투입이 이루어졌는가 또는 채널 전환이 이루어졌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00).
전원 투입 및 채널 전환의 어느 것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700에서의 「Yes」), 영상처리부(2161)는 그래픽스 버퍼(107)의 제 1 영역에 제 2 안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05).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705에서의 「Yes」), 영상처리부(2161)는 출력 대상의 프레임과 제 1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제 2 안내정보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710), 오버레이 처리가 실시된 출력 대상의 프레임을 프레임 버퍼(162)의 소정의 버퍼에 기입한다(스텝 S715).
전원 투입이 아니고, 또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즉 전원이 ON상태이고, 또한 채널 전환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700에서의 「No」), 영상처리부(2161)는 동일 채널에서 프로그램의 전환 시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20).
프로그램의 전환 시간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720에서의 「Yes」), 영상처리부(2161)는 그래픽스 버퍼(107)에 제 2 안내정보 또는 제 3 안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25).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725에서의 「Yes」), 영상처리부(2161)는 출력 대상의 프레임과 그래픽스 버퍼(107)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정보에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730), 오버레이 처리가 실시된 출력 대상의 프레임을 프레임 버퍼(162)의 소정의 버퍼에 기입한다(스텝 S735).
그래픽스 버퍼(107)에 제 2 안내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705에서의 「No」), 프로그램의 전환 시간에 도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720에서의 「No」), 및 그래픽스 버퍼(107)에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 모두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725에서의 「No」), 영상처리부(2161)는 출력 대상의 프레임을 프레임 버퍼(162)에 기입한다(스텝 S740).
또, 오버레이 처리가 실시되는 프레임이 3D 영상인 경우에는 프레임 버퍼(104)에 저장되어 있는 3D 영상의 프레임을 2개의 영상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 영상을 확대하여 L영상 및 R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L영상 및 R영상의 각각의 프레임에 대해서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 상술한 것과 같이 오버레이 처리는 예를 들어 5초 동안 표시될 프레임에 대해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를 중첩한 것으로 한다.
3. 3 변형 예
이상, 제 3의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변형 예를 생각할 수 있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디지털 텔레비전(2100)은 동일 채널에서 프로그램이 전환되는 시점에서 전환 후의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인가 3D 프로그램인가, 3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의 전환의 직전(예를 들어, 1분 전)에 이러한 판단을 해도 좋다.
이 경우, 프로그램의 전환의 직전의 프레임 내의 SEI 형식의 데이터에는 안내 예고 플래그를 부여하여 값이 “0”인 경우에는 전환 후의 프로그램에 대한 제 1 안내정보의 통지는 이루어지지 않고, 값이 “1”인 경우에는 전환 후의 프로그램에 대한 제 1 안내정보의 통지가 이루어진다. 또, 안내 예고 플래그에 값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환 후의 프로그램은 2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2102)는 프로그램의 전환 1분 전이 되면 수신한 프레임에 대해서 SEI 형식의 데이터에 안내 예고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플래그 처리부(2102)는 설정되어 있는 값이 1인가 0인가를 판단한다. 설정되어 있는 값이 0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플래그 처리부(2102)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한다고 판정한다. 1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플래그 처리부(2102)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또, 안내 예고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통지 플래그의 값에 의거하여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의 동작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 SEI 형식의 데이터에 대해서 대응하는 프레임이 제 1 안내정보를 통지하고 있는 중인가, 이미 통지가 완료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안내 중 플래그를 더 설정해도 좋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2102)는 전원 투입 후 및 채널 전환 후에 수신한 프레임의 안내 중 플래그에 설정된 값에 의거하여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래그 처리부(2102)는 안내 중 플래그의 값이 제 1 안내정보를 통지하고 있는 중임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 2 안내정보의 생성은 실시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안내 중 플래그의 값이 제 1 안내정보의 통지가 완료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 2 안내정보의 생성을 실시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3) 상기의 안내 예고 플래그 및 안내 중 플래그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와는 개별의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서 안내 예고 플래그 및 안내 중 플래그에 상당하는 값을 개별적으로 할당해도 좋다.
(4) 상기 안내 중 플래그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 “0x21”을 할당해도 좋다.
이 경우, 3D 프로그램 중에 제 1 안내정보를 통지하고 있는 프레임에만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을 “0x21”로 하고, 다른 프레임에서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을 “0x20”으로 설정한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전원 투입시, 및 채널 전환시에는 수신한 프레임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이 “0x20”의 경우에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고, “0x21”의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에 의한 안내 중이므로 제 2 안내정보는 생성하지 않는다.
어느 채널을 시청 중에 2D 프로그램에서 3D 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을 검지, 즉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프레임에서 설정되어 있는 프레임으로의 변화를 검지하면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 설정되어 있는 값이 “0x20”인 경우에는 디지털 텔레비전은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고, “0x21”인 경우에는 디지털 텔레비전은 제 2 안내정보는 생성하지 않는다.
또, 이 경우에 제 1 안내정보를 통지하고 있는 모든 프레임에 대해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으로 “0x21”을 설정해도 좋다. 또는 제 1 안내정보를 통지하고 있는 모든 프레임 중 일부의 프레임, 예를 들어 제 1 안내정보를 통지하고 있는 모든 프레임에 대해서 일정 간격으로 출현하는 프레임에 대해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으로 “0x21”을 설정해도 좋다.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디지털 텔레비전(2100)은 제 2 안내정보를 출력 대상의 프레임에 중첩해서 표시하도록 처리를 실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텔레비전(2100)은 제 2 안내정보를 출력 대상인 콘텐츠의 프레임과 중첩해서 출력하는 대신에 제 2 안내정보의 내용을 1 프레임의 화상으로 출력해도 좋다.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2100)은 제 2 안내정보의 내용을 자막에 의해 표시해도 좋고, 데이터 방송의 형식으로 표시해도 좋다.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2100)은 표시가 아니라 음성에 의해 통지해도 좋다.
또는 제 2 안내정보의 내용을 디지털 텔레비전(2100)과 통신 가능한 휴대단말(휴대형의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기 등)에 송신하고, 휴대단말 측에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6) 제 1 안내정보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형태를 특정하고 있지 않았지만, 사용자에 대해서 3D 안경의 준비를 촉구하는 취지의 내용을 통지하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영상, 음성, 및 이들의 조합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좋다. 또는 자막에 의한 통지라도 좋고, 데이터 방송에 의한 통지라도 좋다. 또는 제 1 안내정보의 내용을 디지털 텔레비전(2100)과 통신 가능한 휴대단말(휴대형의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기 등)에 송신해, 휴대단말 측에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7)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 2 안내정보의 표시 시간은 5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시간은 다른 값이라도 좋다.
또는 제 2 안내정보는 사용자로부터의 표시 종료의 지시를 접수할 때까지는 표시되는 것이라고 해도 좋다. 이 경우, 영상처리부(2161)는 오버레이 처리를 개시하면 사용자로부터의 표시 종료의 지시를 접수할 때까지 당해 오버레이 처리를 실행한다.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2100)은 사용자가 3D 안경을 장착했음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설치하고, 당해 검지부가 3D 안경을 장착했음을 검지할 때까지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를 표시한다고 해도 좋다. 또, 구체적인 예시에 대해서는 상술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8)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디지털 텔레비전(2100)은 제 1 안내정보 및 제 2 안내정보를 표시한 후, 3D 영상의 출력 처리, 즉 L영상 및 R영상을 교호로 출력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텔레비전(2100)은 제 1 안내정보 및 제 2 안내정보를 표시한 때에 시청자에게 시청형태를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시청형태의 선택이란 예를 들어 입체 시, 2D 영상으로 시청, 및 L영상 및 R영상으로 분할하기 전의 프레임 그 자체를 시청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또, 상세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 예로 설명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9)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 예를 조합한다고 해도 좋다.
3. 4 구체적인 예
여기에서는 각 안내정보의 출력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1) 프로그램 개시에서의 판단에 대해
프로그램 개시시의 판단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도 30 (a), (b), 도 3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도 30 (a),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100, t101에서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에서 3D 프로그램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한다. 또, 도 3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200에서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에서 2D 프로그램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한다.
(1-1) 제 2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도 30 (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100 시점에서 플래그 처리부(2102)는 시간 t100에서 개시된 프로그램에 대한 SEI 형식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이용하여 당해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가 및 3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는 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그 값은 “0x20”으로 한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2102)는 당해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며,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통지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2102)에서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통지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으므로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영상처리부(2161)는 생성된 제 2 안내정보와 출력 대상의 영상 프레임을 중첩해서 표시부(163)에 출력한다. 또, 도 30 (a)에서는 편의상 1매의 프레임 대해서 제 2 안내정보를 중첩하고 있으나, 상술한 것과 같이 제 2 안내정보의 통지 개시부터 5초간으로 표시되는 프레임 모두에 대해서 제 2 안내정보가 중첩된다.
(1-2) 제 1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도 30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101 시점에서 플래그 처리부(2102)는 시간 t101에서 개시된 프로그램에 대한 SEI 형식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이용하여 당해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가 및 3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는 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그 값은 “0x21”로 한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2102)는 당해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통지한다고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2102)에서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통지된다고 판단되었으므로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는 제 2 안내정보는 생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시간 t101 이후에 영상처리부(2161)는 영상 프레임(제 1 안내정보가 표시되는 2D 영상의 프레임)을 표시부(163)에 출력한다. 또, 도 30 (b)에서는 이 2D 영상의 프레임은 1매만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소정의 매수가 출력된다.
(1-3) 제 3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도 3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200 시점에서 플래그 처리부(2102)는 시간 t200에서 개시된 프로그램에 대한 SEI 형식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이용하여 당해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가 및 3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에는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2102)는 당해 프로그램은 2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2102)에서 프로그램은 2D 프로그램이라고 판단되었으므로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영상처리부(2161)는 생성된 제 3 안내정보와 출력 대상의 영상 프레임을 중첩해서 표시부(163)에 출력한다. 또, 도 31에서는 편의상 1매의 프레임 대해서 제 3 안내정보를 중첩하고 있으나, 상술한 것과 같이 제 3 안내정보의 통지 개시부터 5초간으로 표시되는 프레임 모두에 대해서 제 3 안내정보가 중첩된다.
(2) 안내 예고 플래그를 이용한 프로그램의 판단에 대해
안내 예고 플래그를 이용한 프로그램의 판단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도 32 (a),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도 32 (a),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301, t311에서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에서 3D 프로그램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한다.
(2-1) 제 2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도 32 (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300 시점(시간 t301의 1분 전)에서 플래그 처리부(2102)는 수신한 프레임에 대한 SEI 형식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안내 예고 플래그를 이용하여 시간 t301에서 개시되는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가 및 3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안내 예고 플래그에는 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그 값은 “0”으로 한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2102)는 당해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통지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2102)에서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통지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으므로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시간 t301의 시점에서 영상처리부(2161)는 생성된 제 2 안내정보와 출력 대상의 영상 프레임을 중첩해서 표시부(163)에 출력한다. 또, 도 32 (a)에서는 편의상 1매의 프레임 대해서 제 2 안내정보를 중첩하고 있으나, 상술한 것과 같이 제 2 안내정보의 통지 개시부터 5초간으로 표시되는 프레임 모두에 대해서 제 2 안내정보가 중첩된다.
(2-2) 제 1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도 32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310 시점(시간 t311의 1분 전)에서 플래그 처리부(2102)는 수신한 프레임에 대한 SEI 형식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안내 예고 플래그를 이용하여 시간 t311에서 개시되는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가 및 3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안내 예고 플래그에는 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그 값은 “1”로 한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2102)는 다음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통지한다고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2102)에서 프로그램은 3D 프로그램이고, 또한 제 1 안내정보는 통지된다고 판단되었으므로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는 제 2 안내정보는 생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시간 t311 이후에 영상처리부(2161)는 영상 프레임(제 1 안내정보가 표시되는 2D 영상의 프레임)을 표시부(163)에 출력한다. 또, 도 32 (b)에서는 이 2D 영상의 프레임은 1매만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소정의 매수가 출력된다.
(3) 안내 중 플래그를 이용한 프로그램의 판단에 대해
안내 중 플래그를 이용한 프로그램의 판단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도 33, 3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도 33, 3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400, t401에서 채널 A로부터 채널 B로의 채널 전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3-1) 제 1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도 3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400 시점에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면 플래그 처리부(2102)는 채널 전환 후에 수신한 프레임의 SEI 형식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안내 중 플래그를 이용하여 당해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서 제 1 안내정보에 의해 3D 안경의 준비를 촉구하는 취지의 내용을 안내 중이거나 또는 이미 안내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안내 중 플래그에는 안내 중을 나타내는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2102)는 채널 전환 시점에서 제 1 안내정보에 의한 안내가 이루어진 것이라고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2102)에서 채널 전환 시점에서 제 1 안내정보에 의한 안내가 이루어진 것이라고 판단되었으므로 안내정보 생성부(106)에서는 제 2 안내정보는 생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시간 t400에서 영상처리부(2161)는 영상 프레임(제 1 안내정보가 표시되는 2D 영상의 프레임)을 표시부(163)에 출력한다. 또, 도 33에서는 이 2D 영상의 프레임은 1매만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표시기간 내에 출력되어야 할 매수의 2D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된다.
(3-2) 제 2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도 3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시간 t401 시점에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면 플래그 처리부(2102)는 채널 전환 후에 수신한 프레임의 SEI 형식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안내 중 플래그를 이용하여 당해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서 제 1 안내정보에 의해 3D 안경의 준비를 촉구하는 취지의 내용을 안내 중인가 또는 이미 안내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안내 중 플래그에는 안내가 완료했음을 나타내는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플래그 처리부(2102)는 채널 전환 시점에서 제 1 안내정보에 의한 안내가 이미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플래그 처리부(2102)에서 채널 전환 시점에서는 이미 제 1 안내정보에 의한 안내는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었으므로 안내정보 생성부(106)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영상처리부(2161)에서는 생성된 제 2 안내정보와 출력 대상의 영상 프레임을 중첩해서 표시부(163)에 출력한다. 또, 도 34에서는 편의상 1매의 프레임에 대해서 제 2 안내정보를 중첩하고 있으나, 상술한 것과 같이 시간 t400에서 5초간으로 표시되는 프레임 모두에 대해서 제 2 안내정보가 중첩된다.
4. 변형 예
이상, 각 실시형태 및 그 변형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 및 그 변형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변형 예를 생각할 수 있다.
(1)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방송국별로 데이터 방송으로 제 2 안내정보 및 제 3 안내정보를 제공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방송국은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해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이 “0x20”인 경우에 당해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 방송에 제 2 안내정보를 포함해서 당해 데이터 방송을 송신한다. 디지털 텔레비전의 안내정보 생성부는 수신한 스트림에 대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의 값이 “0x20”이고, 또한 통지 플래그가 0이라고 플래그 처리부에서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트림과 함께 수신한 데이터 방송에 포함되는 제 2 안내정보를 취득한다.
또, 3D 프로그램에서 2D 프로그램으로 전환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안내정보 생성부는 스트림과 함께 수신한 데이터 방송에 포함되는 제 3 안내정보를 취득한다.
(2)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3D 프로그램 대응의 디지털 텔레비전(이하, 3D 텔레비전라고 한다)에서의 안내정보 표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3D 프로그램 비 대응의 디지털 텔레비전(이하, 2D 텔레비전라고 한다)에 대해서 이하와 같은 대응을 해도 좋다.
2D 텔레비전에서는 예를 들어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참조하여 표시 대상의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그 취지의 통지, 또는 당해 장치는 3D 프로그램의 표시에는 대응하고 있지 않다는 취지의 통지를 한다. 이 경우, 2D 텔레비전에서는 예를 들어 3D 프로그램의 영상으로 L영상 및 R영상으로의 분할 전의 프레임(영상)을 출력한다.
또는 3D 텔레비전가 안내정보의 생성의 필요와 불필요 판단에서 참조하는 데이터 항목과는 다른 데이터 항목을 참조해서 상기 어느 하나의 통지를 해도 좋다.
또는 프로그램 내에서의 통지를 데이터 방송의 형식으로 실시하는 경우에는 2D 텔레비전용 및 3D 텔레비전용의 데이터 방송 형식의 데이터를 개별로 준비하고, 디지털 텔레비전측에서는 자기의 기능(3D 대응인가 여부)에 따라서 사용해야 할 데이터 방송 형식의 데이터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3D 텔레비전용의 데이터 방송 형식의 데이터에는 제 1 안내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2D 텔레비전용의 데이터 방송 형식의 데이터에는 표시 대상의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이라는 취지의 정보, 또는 당해 장치는 3D 프로그램의 표시에는 대응하고 있지 않다는 취지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하, 2D 텔레비전와 3D 텔레비전에서 다른 안내를 통지하는 구조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3D 텔레비전만으로 기동되는 대체 스트림을 지정하는 새로운 기술자를 EIT에 추가한다.
새로운 기술자에는 조건 플래그, 유효 비디오 플래그, 유효 음성 플래그, 유효 데이터 플래그, 유효 데이터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다.
조건 플래그는 당해 기술자가 유효가 되는 조건을 나타내는 것이며, 예를 들어 값 “0x01”은 수신기가 3D 텔레비전임을 나타낸다. 즉, 수신기가 3D 텔레비전인 경우에 당해 기술자가 유효가 되는 것을 나타낸다.
유효 비디오 플래그는 조건 플래그를 만족하는 경우에(즉, 수신기가 3D 텔레비전인 경우에) 우선하는 영상 컴포넌트(상기 실시형태의 제 1 안내정보에 상당)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유효 비디오 플래그의 값 “1”인 경우에는 우선하는 영상 컴포넌트가 존재함을 나타내고, 값 “0”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유효 음성 플래그는 조건 플래그를 만족하는 경우, 우선하는 음성 컴포넌트(상기 실시형태의 제 1 안내정보에 상당)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유효 음성 플래그의 값 “1”인 경우에는 우선하는 음성 컴포넌트가 존재함을 나타내고, 값 “0”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유효 데이터 플래그는 조건 플래그를 만족하는 경우, 우선하는 데이터 컴포넌트(상기 실시형태의 제 1 안내정보에 상당)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유효 데이터 플래그의 값 “1”인 경우에는 우선하는 데이터 컴포넌트가 존재함을 나타내고, 값 “0”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 유효 데이터 식별자는 유효 데이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우선하는 데이터 컴포넌트의 데이터 부호화형식을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예를 들어, 값 “0x0007”은 데이터 부호화형식이 데이터 방송임을 나타내고, 값 “0x0008”는 데이터 부호화형식이 자막임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새로운 기술자를 EIT에 추가함으로써 수신기 측(3D 텔레비전)에서는 유효 영상 플래그, 유효 음성 플래그 및 유효 데이터 플래그의 각 값을 체크함으로써 3D 프로그램 내에 제 1 안내정보(영상에 의한 통지, 음성에 의한 통지, 데이터 방송, 또는 자막)에 의한 통지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안내정보에 의한 통지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해서 통지한다.
또, 상기의 새로운 기술자는 EIT 대신에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에 추가되어도 좋다.
(3)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 송출(출력)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영상 스트림의 신호 포맷은 H.264|MPEG4/AVC 규격에 의거한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송출(출력)되는 스트림의 신호 포맷은 MPEG2, VC1, AVS 등의 규격에 의거한 것이라도 좋다.
(4)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기술한 정보로 EIT를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기술한 정보로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를 이용하라도 좋다.
예를 들어, PSI로 PMT(Program MAP Table)를 이용하라도 좋다. 이 경우, PMT 내에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기술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는 EIT 대신에 SDT(Service Description Table)를 이용하라도 좋다. 이 경우, SDT 내에 존재하는 서비스별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를 기술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5) 상기 제 2의 실시형태에서 파일속성정보로 ETSI TS 102 822 규격을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일속성정보는 다른 규격에 의거한 것이나 독자 형식의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ISO_IEC_14496-12 규격이라도 좋다. 또, 그 외에 BDA(Blu-ray Disc Association), SDA(SD Association), DVD Forum 등의 규격에 의거한 것이라도 좋다.
(6)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제 1 안내정보의 통지의 유무에 대한 판정은 스트림과 다중화된 PSI 또는 SI의 정보에 의거하여 순차 이루어졌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처리장치(디지털 텔레비전)는 미리 상기 SI 또는 다른 형식의 정보로 이루어지는 전자 프로그램표(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기억해 두고, 전자 프로그램표를 이용하여 수신한 스트림의 프로그램 내에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
(7) 상기 제 2의 실시형태에서 디지털 텔레비전(1100)과 재생장치(1200)는 개별의 장치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텔레비전(1100)과 재생장치(1200)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장치라고 해도 좋다.
(8)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디지털 텔레비전은 방송파의 수신, IP네트워크로부터 프로그램의 수신 및 기록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의 취득의 각각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이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9) 상기 실시형태에서 프레임 버퍼는 제 1 버퍼와 제 2 버퍼(L영상 버퍼, R영상 버퍼)는 물리적으로 다른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버퍼, L영상 버퍼, R영상 버퍼가 물리적으로는 공통이고, 시분할로 절환되어서 이용되는 형태라도 좋다.
(10)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D 영상의 출력 주기는 1/60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D 영상은 다른 출력 주기(예를 들어, 1/50초)라도 좋다. 이 경우, 3D의 출력 주기는 2D 영상의 출력 주기의 절반(예를 들어, 1/100초)이 된다.
(11)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Side-by-Side와 같은 프레임 호환방식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한 종류인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프로그램 및 영상 배신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인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프로그램 및 영상 배신방법은 서비스 호환방식으로 2D 프로그램, 3D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12)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영상처리장치는 디지털 텔레비전(1100)과 재생장치(1200)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생장치(1200) 대신에 셋탑 박스(STB)를 이용하라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어 STB는 콘텐츠 기억부(1201), 재생제어부(1202), 지시 접수부(1203) 및 영상 디코드부(1208) 대신에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신호 입력부(101)를 설치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13)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는 ETSI TS 102 822 (텔레비전 Anytime) 규격에 의거한 메타데이터에 저장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는 이하와 같은 형태라도 좋다.
(13-1) VideoAttributes의 확장
ETSI TS 102 822 Part3-1 규격에서 정의되는 AVAttributes 중의 VideoAttributes에 도 3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3D 프로그램에 관한 요소(이하, 3D요소라고 한다)(3001)를 추가한다. 3d 요소(3001)는 그 일 예를 도 3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format 속성(3010)과 explanation 속성(3011)으로 구성되어 있다. format 속성(3010)은 3D 프로그램 등의 형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2D 프로그램임을 나타내는 “2D”,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이고, Side-by-Side 형식임을 나타내는 “side-by-side”,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이고, 그 코덱 형식이 H.264/MVC임을 나타내는 “mvc”등의 값이 기술된다. explanation 속성(3011)에서는 프로그램 내에서의 제 1 안내정보의 유무가 기술된다. 예를 들어, “false”이면 제 1 안내정보가 프로그램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true”이면 제 1 안내정보가 프로그램 내에 존재하는 것을 각각 나타낸다.
도 37에 기술 예를 나타낸다. 이 기술 예에서는 기술 요소(3020)에서 대응하는 3D 프로그램의 형식이 “Side-by-Side”이고, 프로그램 중에 제 1 안내정보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13-2) ERI의 확장
또는 메타데이터는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기능 사양 스트리밍 기능 사양서 코덱편”규격에서 정의하는 ERI 문서라도 좋다. 이 경우, 도 3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ERI 문서(3000) 내의 “stereoscopic_info”에 explanation 요소(3030)를 추가한다. explanation 요소(3030)는 프로그램 내에서의 제 1 안내정보의 유무를 나타내고, “false”이면 제 1 안내정보가 프로그램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true”이면 제 1 안내정보가 프로그램 내에 존재하는 것을 각각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39의 기술 예에서는 기술 요소(3031)에 의해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형식은 “Side-by-Side”이고, 기술 요소(3033)에 의해 대응하는 프로그램 내에 제 1 안내정보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explanation 요소(3030), 즉 도 39의 기술 요소(3033)에 의해 프로그램 내에서의 제 1 안내정보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기술 요소(3032)를 이용하여 값이 “partial3d_start2d”, 즉 프로그램 내에 2D 영상과 3D 영상이 혼재하고, 서두가 2D 영상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가 프로그램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해도 좋다.
(14)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 3D 프로그램 식별플래그는 이하와 같이 저장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4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H.264|MPEG4/AVC 규격에서 정의되는 frame packing arrangement SEI에 explanation_exists 요소(3501)와 explanation_active 요소(3502)를 추가한다.
explanation_exists 요소(3501)는 대응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내에서의 제 1 안내정보의 유무를 나타내고, 값이 0이면 제 1 안내정보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값이 1이면 제 1 안내정보가 존재하는 것을 각각 나타낸다.
또, explanation_active 요소(3502)는 대응하는 프레임에서 제 1 안내정보를 표시 중인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값이 0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는 표시 중이 아닌 것을, 값이 1인 경우에는 제 1 안내정보가 표시 중인 것을 각각 나타낸다.
(15)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수법의 순서를 기술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기억해 두고,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이 메모리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판독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의 수법이 실현되도록 해도 좋다.
또, 당해 수법의 순서를 기술한 프로그램을 기록매체에 저장하고, 반포하도록 해도 좋다.
(16)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관한 각 구성은 집적회로인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실현되어도 좋다. 이들 구성은 1 칩화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 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에서는 LSI라고 표현하였으나, 회로의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서는 IC(Integrated Circuit),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로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또,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집적회로화를 실시해도 좋다. 또,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할 수 있는 FPGA(Field Progra㎜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ReConfigurable Processor)를 이용하라도 좋다. 또는 이들의 기능 블록의 연산은 예를 들어 DSP(Digital Signal Processor)나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이용하여 연산할 수도 있다. 또, 이들 처리 스텝은 프로그램으로 기록매체에 기록해서 실행함으로써 처리할 수도 있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로 치환되는 집적회로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을 집적화해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 있을 수 있다.
(17) 본 발명에서의 판단수단은 상기 실시형태 각각에서 나타내는 플래그 처리부에 상당한다. 또, 본 발명에서의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실시형태 각각에서 나타내는 안내정보 생성부와 출력처리부의 조합에 상당한다.
(18)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 예를 조합한다고 해도 좋다.
5. 보충
(1)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영상처리장치는 시청 대상인 대상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영상정보와,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3D시청에 관련하는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제 1 안내정보가 당해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수신한 플래그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시청자에게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수신한 상기 영상정보에 의거하여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2 안내정보의 출력을 억지하는 출력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영상처리장치는 시청 대상인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으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 경우에는 제 2 안내정보의 출력을 억지하고,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하므로 당해 대상 프로그램에 대해서 2겹의 통지가 이루어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시청자는 3D 프로그램의 시청 시에 이루어지는 통지를 번거롭게 느끼는 일 없이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2) 여기서 상기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정보에 의거한 프로그램과 함께 생성한 상기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한다고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영상처리장치는 프로그램의 출력 중에 제 2 안내정보도 출력하므로 시청자는 프로그램의 시청과 함께 제 2 안내정보에 의한 통지도 알 수 있다.
(3) 여기서 상기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제 2 안내정보가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영상 상에 오버레이 표시되도록 당해 제 2 안내정보를 상기 영상에 중첩해서 출력한다고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영상처리장치는 제 2 안내정보를 텔롭(telop) 표시에 의해 통지하므로 시청자의 시청을 차단하는 일 없이 통지할 수 있다.
(4) 여기서 상기 소정의 안내는 상기 3D 프로그램의 시청용의 안경의 준비를 촉구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라고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영상처리장치는 제 1 안내정보 및 제 2 안내정보에 의해 시청자에게 3D 안경의 준비를 재촉하므로 시청자는 3D 프로그램의 시청의 준비를 개시할 수 있다.
(5) 여기서 상기 플래그정보는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출력될 예정인 시간대를 나타내는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시간정보가 나타내는 시간대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안내정보의 출력의 가부를 판단한다고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영상처리장치는 제 1 안내정보가 출력되는 시간대에 의거하여 제 1 안내정보의 출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시청자가 시청을 개시한 시점이 이미 제 1 안내정보가 출력되는 시간대를 경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영상처리장치는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하므로, 시청자는 시청 대상의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통지를 확실히 수신할 수 있다.
(6) 여기서 시청자의 선국 조작에 의해 선국된 채널, 또는 전원 투입시에 자동 선국 기능에 의해 선국된 채널에서의 영상정보의 수신이 개시되는 경우, 상기 판단수단은 채널이 선국되고 나서 또는 전원이 투입되고 나서 최초로 상기 3D 프로그램이 수신되면 당해 3D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상기 시간정보가 나타내는 시간대에 의거하여 당해 제 1 안내정보의 통지의 타이밍을 이미 지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및 상기 플래그정보가 당해 3D 프로그램에 대한 제 1 안내정보가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당해 3D 프로그램에 대해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다고 판단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영상처리장치는 채널의 선국 시 및 전원 투입시에 최초로 수신된 3D 프로그램에 대해서 판단수단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 1 안내정보 및 제 2 안내정보의 어느 하나를 확실히 통지할 수 있다.
(7) 여기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시간정보가 나타내는 시간대가 상기 3D 프로그램의 출력 중에 당해 제 1 안내정보가 항상 출력될 예정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안내정보는 통지된다고 판단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영상처리장치는 시간정보가 나타내는 시간대에 의거하여 항상 제 1 안내정보가 출력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확실히 제 2 안내정보의 출력을 억지할 수 있다.
(8) 여기서 시청자의 선국 조작에 의해 선국된 채널, 또는 전원 투입시에 자동 선국 기능에 의해 선국된 채널에서의 영상정보의 수신이 개시되는 경우, 상기 판단수단은 채널이 선국되고 나서 또는 전원이 투입되고 나서 최초로 상기 3D 프로그램이 수신되면 상기 시간정보가 나타내는 시간대가 상기 3D 프로그램의 출력 중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주기적으로 출력될 예정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당해 주기에 의거하여 상기 3D 프로그램이 최초로 수신된 이후, 처음으로 제 1 안내정보가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 길이가 기준 시간 길이를 넘고 있을 때는 상기 제 1 안내정보는 통지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상기 시간 길이가 상기 기준 시간 길이를 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 1 안내정보는 통지된다고 판단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영상처리장치는 채널의 선국 시 및 전원 투입시에 최초로 3D 프로그램이 수신된 시점과 제 1 안내정보의 출력 주기로부터 제 2 안내정보에 대해서 출력을 실시할지 출력을 억지할지를 특정할 수 있다.
(9) 여기서 상기 3D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보유된 녹화 콘텐츠이며,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3D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영상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녹화 콘텐츠에 포함되는 상기 영상 스트림을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수신하기에 앞서 상기 3D 프로그램에 대한 상기 플래그정보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한 후에 상기 녹화 콘텐츠의 출력을 개시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영상처리장치는 기록매체에 보유되고 있는 녹화 콘텐츠에서 제 1 안내정보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녹화 콘텐츠의 출력에 앞서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하므로, 시청자는 녹화 콘텐츠의 시청 시에는 제 1 안내정보 및 제 2 안내정보의 어느 하나의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10) 여기서 상기 플래그정보는 상기 대상 프로그램과 대응된 부가정보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대상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영상 스트림과 상기 부가정보가 다중화된 것이며, 상기 수신수단은 수신한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 스트림과 상기 부가정보로 분리함으로써 상기 플래그정보를 취득한다고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영상처리장치는 영상 스트림과 플래그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다중화된 영상정보로부터 플래그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11) 여기서 상기 영상정보는 영상 스트림이며, 상기 영상 스트림은 상기 대상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플래그정보는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 각각에 부수하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이며, 상기 수신수단은 수신한 각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플래그정보를 추출한다고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영상처리장치는 영상 프레임에 부수하는 데이터로부터 플래그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12) 여기서 상기 영상정보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되고 있는 것이며,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출력제어수단에서 출력 중의 프로그램에 후속하는 다음 프로그램을 상기 대상 프로그램으로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다음 프로그램의 개시 전의 소정 시간대, 또는 상기 다음 프로그램의 개시시에 생성한 상기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한다고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영상처리장치는 다음 프로그램에 대해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당해 다음 프로그램의 개시 전에 사전에 판단할 수 있다.
(13) 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프로그램을 배신하는 장치에서 이용되는 배신방법은 시청 대상이 되는 대상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영상정보와,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제 1 안내정보가 당해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가 여부에 따라서 수신 측에서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정보의 생성의 필요와 불필요를 나타내는 플래그정보를 배신하는 배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신방법은 영상정보와 플래그정보를 배신하므로 수신 측에서는 제 1 안내정보가 당해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가 여부에 따라서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정보의 생성의 필요와 불필요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측에서는 대상 프로그램에 대해서 2중의 통지를 막을 수 있으므로 시청자는 3D 프로그램의 시청 시에 이루어지는 통지를 번거롭게 느끼는 일 없이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영상처리장치는 3D 영상 및 2D 영상의 쌍방을 표시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100 디지털 텔레비전
101 신호 입력부
102 플래그 처리부
103 프레임 포맷 판정부
104 프레임 버퍼
105 출력처리부
106 안내정보 생성부
107 그래픽스 버퍼
151 튜너
152 NIC
153 다중화 분리부
154 영상 디코드부
161 영상처리부
162 프레임 버퍼
163 표시부
171 제 1 버퍼
172 제 2 버퍼
173 L영상 버퍼
174 R영상 버퍼
181 스위치
182 디스플레이
183 전환제어부

Claims (17)

  1. 시청 대상인 대상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영상정보와,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3D시청에 관련하는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제 1 안내정보가 당해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수신한 플래그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시청자에게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수신한 상기 영상정보에 의거하여 프로그램을 출력하며,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2 안내정보의 출력을 억지하는 출력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정보에 의거한 프로그램과 함께 생성한 상기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제 2 안내정보가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영상 상에 오버레이 표시되도록 당해 제 2 안내정보를 상기 영상에 중첩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안내는 상기 3D 프로그램의 시청용 안경의 준비를 촉구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정보는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출력될 예정인 시간대를 나타내는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시간정보가 나타내는 시간대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안내정보의 출력의 가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시청자의 선국 조작에 의해 선국된 채널, 또는 전원 투입시에 자동 선국 기능에 의해 선국된 채널에서의 영상정보의 수신이 개시되는 경우에,
    상기 판단수단은,
    채널이 선국되고 나서 또는 전원이 투입되고 나서 최초로 상기 3D 프로그램이 수신되면,
    당해 3D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상기 시간정보가 나타내는 시간대에 의거하여 당해 제 1 안내정보의 통지의 타이밍이 이미 지났다고 판단하는 경우 및 상기 플래그정보가 당해 3D 프로그램에 대한 제 1 안내정보가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당해 3D 프로그램에 대해서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시간정보가 나타내는 시간대가 상기 3D 프로그램의 출력 중에 있어서 당해 제 1 안내정보가 항상 출력될 예정임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안내정보는 통지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시청자의 선국 조작에 의해 선국된 채널, 또는 전원 투입시에 자동 선국 기능에 의해 선국된 채널에서의 영상정보의 수신이 개시되는 경우,
    상기 판단수단은,
    채널이 선국되고 나서 또는 전원이 투입되고 나서 최초로 상기 3D 프로그램이 수신되면,
    상기 시간정보가 나타내는 시간대가 상기 3D 프로그램의 출력 중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주기적으로 출력될 예정임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당해 주기에 의거하여 상기 3D 프로그램이 최초로 수신된 이후, 처음으로 제 1 안내정보가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 길이가 기준 시간 길이를 넘은 때에는 상기 제 1 안내정보는 통지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상기 시간 길이가 상기 기준 시간 길이를 넘지 않은 때에는 상기 제 1 안내정보는 통지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3D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보유된 녹화 콘텐츠이며,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3D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영상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녹화 콘텐츠에 포함되는 상기 영상 스트림을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수신하기에 앞서 상기 3D 프로그램에 대한 상기 플래그정보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한 후에 상기 녹화 콘텐츠의 출력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정보는 상기 대상 프로그램과 대응된 부가 정보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대상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영상 스트림과 상기 부가 정보가 다중화된 것이며,
    상기 수신수단은 수신한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 스트림과 상기 부가 정보로 분리함으로써 상기 플래그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는 영상 스트림이며,
    상기 영상 스트림은 상기 대상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플래그정보는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 각각에 부수하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이며,
    상기 수신수단은 수신한 각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플래그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되고 있는 것이고,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출력제어수단에서 출력 중의 프로그램에 후속하는 다음 프로그램을 상기 대상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출력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안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다음 프로그램의 개시 전의 소정 시간대 또는 상기 다음 프로그램의 개시시에 생성한 상기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3. 영상처리장치에서 이용되는 영상처리방법으로,
    시청 대상인 대상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영상정보와,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3D시청에 관련하는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제 1 안내정보가 당해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스텝과,
    수신한 플래그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시청자에게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스텝과,
    수신한 상기 영상정보에 의거하여 프로그램을 출력하며,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상기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2 안내정보의 출력을 억지하는 출력제어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4. 영상처리장치에서 이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시청 대상인 대상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영상정보와,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3D시청에 관련하는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제 1 안내정보가 당해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스텝과,
    수신한 플래그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시청자에게 통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스텝과,
    수신한 상기 영상정보에 의거하여 프로그램을 출력하며,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제 2 안내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안내정보가 통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2 안내정보의 출력을 억지하는 출력제어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5. 프로그램을 배신하는 장치에서 이용되는 배신방법으로,
    시청 대상이 되는 대상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영상정보와, 상기 대상 프로그램이 3D 프로그램인 경우에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제 1 안내정보가 당해 영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가 여부에 따라서 수신 측에서 소정의 안내를 시청자에게 통지하는 정보의 생성의 필요와 불필요를 나타내는 플래그정보를 배신하는 배신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신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 및 상기 플래그정보는 방송국으로부터 배신되는 것이며,
    상기 플래그정보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및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신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록매체이고,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기록매체에 보유되어 있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플래그정보는 상기 콘텐츠와 대응된 메타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신방법.
KR1020127009079A 2010-09-03 2011-08-30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배신방법 KR201300988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97376 2010-09-03
JP2010197376 2010-09-03
PCT/JP2011/004846 WO2012029293A1 (ja) 2010-09-03 2011-08-30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配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844A true KR20130098844A (ko) 2013-09-05

Family

ID=4577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079A KR20130098844A (ko) 2010-09-03 2011-08-30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배신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20200679A1 (ko)
EP (1) EP2613540A1 (ko)
JP (1) JPWO2012029293A1 (ko)
KR (1) KR20130098844A (ko)
CN (1) CN102598685A (ko)
AR (1) AR082879A1 (ko)
BR (1) BR112012010500A2 (ko)
MX (1) MX2012004224A (ko)
RU (1) RU2012118039A (ko)
TW (1) TW201229564A (ko)
WO (1) WO20120292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37800C2 (ru) * 2008-12-19 2015-01-1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ложения трехмерной графики на трехмерное видеоизображение
EP2887687A1 (en) * 2013-12-23 2015-06-24 Thomson Licensing Distribution of audiovisual content for display devices
WO2016017945A1 (en) 2014-07-29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of pairing the same with electronic device
KR102437104B1 (ko) * 2014-07-29 2022-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전자 기기와 페어링하는 방법 및 장치
JP6892935B2 (ja) * 2018-02-05 2021-06-23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エンタテインメント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10362352A (zh) * 2019-06-14 2019-10-22 深圳市富途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引导信息的展示方法及装置
WO2022256189A1 (en) * 2022-05-20 2022-12-08 Innopeak Technology, Inc. Hand gesture detection methods and systems with optimized hand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2556B2 (ja) 1994-03-30 2002-10-07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装置
JP5011842B2 (ja) * 2006-06-22 2012-08-29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再生装置
WO2010064448A1 (ja) * 2008-12-05 2010-06-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立体映像再生装置、立体映像再生システム、立体映像再生方法、および立体映像再生用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10500A2 (pt) 2016-03-15
CN102598685A (zh) 2012-07-18
TW201229564A (en) 2012-07-16
JPWO2012029293A1 (ja) 2013-10-28
MX2012004224A (es) 2012-05-22
WO2012029293A1 (ja) 2012-03-08
AR082879A1 (es) 2013-01-16
US20120200679A1 (en) 2012-08-09
RU2012118039A (ru) 2014-10-10
EP2613540A1 (en)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4198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ethod providing two-dimensional image and 3D image integration service, and 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1789636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659152B2 (en) Reception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for program content type
JP5870272B2 (ja) 映像処理装置
US20120033034A1 (en)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KR20130098844A (ko)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배신방법
CA28985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3-dimensional broadcasting signal
US20140089962A1 (en) Image playback device, image playback method, image playback program, image transmission device,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image transmission program
KR20140105367A (ko) 재생장치, 송신장치, 재생방법 및 송신방법
JP5952451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20130113883A1 (en) Receiving device and output method
US20120113220A1 (en) Video output device, video output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JP5684415B2 (ja) デジタル放送信号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信号受信方法
JP5961717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送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