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699A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699A
KR20130098699A KR1020120020426A KR20120020426A KR20130098699A KR 20130098699 A KR20130098699 A KR 20130098699A KR 1020120020426 A KR1020120020426 A KR 1020120020426A KR 20120020426 A KR20120020426 A KR 20120020426A KR 20130098699 A KR20130098699 A KR 20130098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unit
groove
driving
jui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to KR1020120020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8699A/ko
Publication of KR20130098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즙부의 상부에 구동부를 갖는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즙부의 승강에 따라 구동부가 온/오프의 신호를 정확히 전달받을 수 있는 안전스위치를 구비한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즙기{squeezer}
본 발명은 착즙부의 상부에 구동부를 갖는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즙부의 승강에 따라 구동부가 온/오프의 신호를 정확히 전달받을 수 있는 안전스위치를 구비한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부에 구동부가 있는 착즙기로서 특허문헌에 공지된 기술이 개재되어 있다.
종래 상부 구동식 주서기는 즙과 찌꺼기를 분리배출하는 착즙부와 그 착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고, 착즙부 상부로 구동부가 설치되고, 그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형성되고, 그 지지수단에는 구동부의 구동수단과 착즙부의 스크루에 형성된 동력전달수단이 연결되는 동력공간이 형성되어, 용기에 형성된 즙배출구와 찌꺼기배출구를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착즙부를 상부로 이동시켜 구동부의 구동수단에 스크루의 동력연결수단을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승강수단은 지지부의 측면에 자유회전되도록 설치되되, 착즙부의 용기 하부를 지지하는 타원형의 승강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승강수단은 양쪽의 승강돌기를 나사 형식으로 돌려서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동이 불편하고, 승강돌기가 용기 하부를 확실히 지지하는지를 느낌으로만 알 수 있어, 승강돌기가 불안전하게 돌려져 있을 때에는 풀려 착즙부가 지지부에서 이탈될 우려가 크다.
또한, 종래의 착즙부가 올바르게 승강해서 스크루의 회전축과 결합 또는 해제되었는지 알 수 없어 전원을 인가한 경우 제대로 착즙 작동을 하지 않거나 파손될 우려가 크다.
또한, 종래의 착즙부는 승강돌기를 돌려 승강시킬 때 착즙부를 잡고 동작시켜야 한다. 만약 착즙부를 잡고 승강돌기를 작동하지 않으면 착즙부가 아래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회전브러시의 브러시 기어와 이 브러시 기어와 맞물리는 중간기어가 즙과 찌꺼기가 배출되는 하단측에 형성되어 있어, 즙이나 찌꺼기가 끼는 경우 맞물림이 원활하지 않아 회전브러시의 회전에 따른 큰 부하가 생겨 하우징과 망드럼의 청소가 잘 되지 않는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5440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544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확한 승강 시에만 구동부가 구동되게 하여 착즙효율 및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킨 착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착즙기는,
즙과 찌꺼기를 분리 배출하는 착즙부; 상기 착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착즙부가 전후로 출납되는 홈이 하부에 형성된 본체; 상기 착즙부를 상기 구동부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착즙부의 상승 또는 하강 후 상기 구동부와 전원을 단속하는 안전스위치를 포함한다.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착즙부가 구동부에 정확히 결합된 경우에만 구동부가 전원을 인가받기 때문에 착즙효율 및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착즙기는,
상기 안전스위치는 상기 홈의 상면에 배치되는 스위치와, 상기 착즙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승 시 상기 스위치를 푸시하는 푸시돌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착즙부의 승강에 따른 안전스위치의 온/오프 할 수 있는 최적의 레이아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착즙기는,
상기 승강부는 상기 홈의 벽면에 형성되는 캠 레일부와, 상기 착즙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밴드부와, 상기 링 밴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캠 레일부를 따라 구르는 롤부로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링 밴드부를 회전시키면 롤부가 캠 레일부를 따라 승강하기 때문에 조작이 간편하고 확실한 상승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착즙부가 구동부에 정확히 결합된 경우에만 안전스위치가 온 되어, 구동부에 전원을 인가하기 때문에 착즙효율 및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착즙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푸시돌기가 착즙부의 상승 시 스위치를 푸시하기 때문에, 착즙부의 승강에 따른 안전스위치의 온/오프 할 수 있는 최적의 레이아웃을 제공한다.
링 밴드부만을 좌우로 회전시키면 롤부가 캠 레일부를 따라 승강하기 때문에 조작이 간편하고 상승 상태를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다.
본체에 대해 착즙부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착즙출납홈에 착즙부를 끼운 후 링 밴드부를 회전시키면 착즙부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의 동작을 정확히 구현시킬 수 있다.
회전브러시구동전달부가 착즙부의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아래로 배출하는 즙이나 찌꺼기가 회전브러시구동전달부로 침투하는 것을 원천 봉쇄할 수 있다.
착즙부가 상승하면 스크루와 회전브러시가 구동부와 정확히 결합 및 맞물리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동력전달기구를 콤팩트화 시켜 전체적으로 소형화 가능하면서 원활한 토크를 제공하여 천천히 회전시켜 마찰열의 영향을 덜 받아 영양소의 파괴가 적어 착즙의 맛을 그냥 먹는 느낌을 줄 수 있다.
투입구 삽입홈과 호퍼 삽입홈이 본체에 형성됨으로써, 착즙부의 임의적 회전(헛돌기)을 억제시킬 뿐만 아니라, 착즙부가 하강시 평판형 호퍼의 밑면이 호퍼 삽입홈의 하면에 안착되어 갑자기 앞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본체와 착즙부가 분리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착즙부가 본체의 착즙출납홈에 수납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찌꺼기통과 착즙통이 배치된 사시도.
도 4는 본체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전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 배면 사시도.
도 6은 착즙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6의 8-8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9는 구동부의 계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10은 승강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
도 11은 링 밴드부와 하우징 간의 결합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12는 회전브러시피동기어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본체와 착즙부가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착즙부가 본체의 착즙출납홈에 수납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찌꺼기통과 착즙통이 배치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체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착즙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8-8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9는 구동부의 계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고, 도 10은 승강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고, 도 11은 링 밴드부와 하우징 간의 결합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회전브러시피동기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외형을 본체(100)와, 본체(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동부(300)와, 본체(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착즙부(500)와, 착즙부(500)를 구동부(300)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부(7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도 5와 같이 전방케이스(110)와, 전방케이스(110)의 배면에 체결되는 후방케이스(130)로 이루어진다.
전방케이스(110)의 하측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들어가는 착즙함몰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즙함몰홈(111)은 착즙부(500)가 전후로 출납되는 착즙출납홈(113)과, 착즙부(500)에서 배출되는 찌꺼기를 담는 찌꺼기통(800)이 전후로 출납되는 통출납홈(115)으로 나뉜다.
착즙함몰홈(111)은 평면에서 볼 때 반원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착즙함몰홈(111)의 상면에는 도 5와 같이 구동부(300)가 장착되는 구동브라켓(150)이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300)는 스크루(550)와 회전브러시(590)를 구동 회전시킨다.
즉, 구동부(3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부(310)와, 모터부(310)의 회전동력을 스크루(550) 및 회전브러시(590)에 전달하는 스크루구동전달부(330) 및 회전브러시구동전달부(350)로 이루어진다.
모터부(310)는 모터(311)와 모터(311)의 회전축을 감속하는 감속기어부(313)로 구성되어 있다.
감속기어부(313)는 모터회전축(312)의 기어(314)와 맞물리는 제1감속기어(315)와, 제1감속기어(315)와 맞물리는 제2감속기어(317)로 구성되어 있다.
스크루구동전달부(330)는 제2감속기어(317)의 회전축(318)에 장착된 스크루구동기어(331)와, 스크루(550)의 회전축(551)의 상단(551b)에 장착된 스크루피동기어(333)로 구성하여 있다.
스크루구동기어(331)와 스크루피동기어(333)는 평면상에 치형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한다(회전축이 서로 일직선상에 놓인 형태를 취한다).
뚜껑(530)의 중심에는 도 7과 같이 스크루피동기어(333)가 노출되는 관통공(533)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브러시구동전달부(35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감속기어(315)의 회전축(316)에 장착되는 회전브러시구동기어(351)와, 회전브러시(59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회전브러시피동기어(353)와, 회전브러시구동기어(351)와 회전브러시피동기어(353)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기어트레인(360)으로 구성하여 있다.
중간기어트레인(360)은 구동브라켓(1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브러시구동기어(351)와 맞물리는 제1중간기어(361)와, 제1중간기어(361)와 회전브러시피동기어(353) 사이를 연결하는 제2중간기어트레인(363)으로 구성하여 있다.
제2중간기어트레인(363)은 후술된 뚜껑(5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제2중간기어트레인(363)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중간기어(361)와 평면상으로 맞물리는 제2-1중간기어(365)와, 제2-1중간기어(365)와 회전브러시피동기어(353) 사이에 연결되는 제2-2중간기어(367)로 구성하여 있다.
제2-2중간기어(367)는 제2-1중간기어(365)의 원둘레와 맞물리는 어퍼 중간기어(367a)와, 회전브러시피동기어(353)와 맞물리는 로어 중간기어(367b)와, 어퍼 중간기어(367a)와 로어 중간기어(367b)를 연결하는 부시축(367b)으로 구성하여 있다.
제2-1중간기어(365)는 평면과 원둘레 모두에 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뚜껑(530)의 상면 일측에는 제2-1중간기어(365)의 회전축(365')이 형성된 제1수용부(366)와, 부시축(367c)의 끼워지는 회전축(367')이 형성된 제2수용부(368)가 배치되어 있다.
제1수용부(366)와 제2수용부(368)의 상면은 커버(369)로 초음파 용접 등으로 고정하는데, 제2수용부(366) 측 커버(369)에는 평면상 치형이 노출되게 개구(369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브러시(590)의 구동부가 모두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착즙에 따른 이물질이 침투하여 낄 우려가 전혀 없어, 회전브러시(590)의 원활한 회전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단계의 기어를 연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모터로 큰 토크를 주어, 스크루(550)를 저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마찰에 의한 열이 착즙에 영향을 최대한 덜 미쳐 영양소의 파괴를 막아 맛이 그대로 먹는 맛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착즙부(500)는 종래 특허문헌 2와 마찬가지로 즙 배출구(511)와 찌꺼기 배출구(513)를 갖는 하우징(510)과, 하우징(510) 상면에 결합되는 투입구(531)를 갖는 뚜껑(530)과, 하우징(510)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크루(550), 스크루(550)와 상호 작용하는 망 드럼(570)과, 하우징(510)과 망 드럼(57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브러시(590)를 구성하여 있다.
하우징(51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제2수용부(368)의 바깥쪽 돌출면이 수용되고 뚜껑(530)과의 조립/분해를 위해 회전하는 회전각도만큼 허용하기 위한 외측 수용안내홈(515)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10)의 바닥면에는 스크루(550)의 회전축(551)의 하단(551a)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망 드럼(57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스크루(550)와 착즙 상호 작용하는 프레임(571)과, 프레임(571)에 설치되는 망(573)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571)의 상단 가장지리에도 제2수용부(368)의 안쪽 돌출면이 수용되고 뚜껑(530)과의 조립/분해를 위해 회전하는 회전각도만큼 허용하기 위한 내측 수용안내홈(575)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브러시(590)는 프레임(591)과, 프레임(591)에 장착된 브러시(593)로 구성되되, 프레임(591)의 상측에는 회전브러시피동기어(353)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승강부(700)는 도 4,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즙출납홈(113)의 벽면에 형성되는 캠 레일부(710)와, 착즙부(5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밴드부(730)와, 링 밴드부(730)에 설치되어 캠 레일부(710)를 따라 구르는 복수의 롤부(750)로 구성하여 있다.
캠 레일부(710)는 롤부(750)의 배치 간격과 개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캠 레일부(710)는 도 10과 같이 제1캠 레일(711), 제2캠 레일(713) 및 제3캠 레일(715)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롤부(750)는 일정 간격으로 링 밴드부(7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3개로 구현되어 있다.
즉, 제1롤(751)은 제1캠 레일(711), 제2롤(753)은 제2캠 레일(713), 제3롤(755)은 제3캠 레일(715)을 따라 구르면서 착즙부(500)를 승강시킨다.
제1~3캠 레일(711)(713)(715) 각각은 제1~3경사 레일(711a)(713a)(715a)과, 제1~3경사 레일(711a)(713a)(715a)의 상단과 연결되는 제1~제3작동 레일(711b)(713b)(715b)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3캠 레일(713)(715)에는 제2,3경사 레일(713a)(715a)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2,3비작동 레일(713c)(715c)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3롤(751)(753)(755)이 제1~3경사 레일(711a)(713a)(715a)을 타고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착즙부(500)를 승강시킨다.
제1~3롤(751)(753)(755)이 제1~3작동 레일(711b)(713b)(715b) 상에 있을 때 착즙부(500)가 상승한 상태로 구동부(300)에 결합된다.
제2,3롤(753)(755)이 제2,3비작동 레일(713c)(715c) 상에 있을 때 착즙부(500)가 하강한 상태로 구동부(300)와 결합이 해제된다.
제2,3비작동 레일(713c)(715c)은 착즙부(500)를 받치는 받침대의 기능도 함께한다.
제1~3작동 레일(711b)(713b)(715b)과 제2,3비작동 레일(713c)(715c)은 수평한 직선 또는 거의 수평에 가까운 직선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 밴드부(730)는 양단을 갖는 링 밴드(731)와, 링 밴드(731)의 양단을 체결하는 체결편(733)과, 체결편(733)에 설치되는 손잡이(73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링 밴드(731)의 양단을 벌린 상태에서, 하우징(510)에 형성된 상단 걸림턱(731a)과 하단 걸림턱(731b) 사이에 끼운 후, 양단을 체결편(733)에 삽입한 후 볼트 등으로 조이면 된다.
상단 걸림턱(731a)은 하우징(510)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한 형태로 해서 링 밴드(731)의 회전 안내와 더불어 링 밴드부(730)가 상승할 때 착즙부(500) 전체를 들어올리기 용이하게 한다.
하단 걸림턱(731b)은 전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지만 단지 아래로 빠지지 않고 회전을 안내하면서 회전량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위해 일정 간격으로 돌출턱(731b)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1과 같이, 돌출턱(731b)은 링 밴드(731)의 하측에 위로 오목한 가이드홈(732)에 놓이게 되면, 돌출턱(731b)은 가이드홈(732)의 상면을 받치고, 가이드홈(732)의 좌우면이 스토퍼의 기능을 한다. 예컨대, 가이드홈(732)의 좌측벽(732a)은 손잡이(735)가 작동하기 전(상승 전)의 스토퍼 위치이고, 가이드홈(732)의 우측벽(732b)은 손잡이(735)가 작동한 후(상승 후)의 스토퍼 위치로 기능한다.
이러한 기능을 바탕으로, 도 3과 같이 손잡이(735)가 작동 전에 가운데 위치에 있게 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링 밴드부(730)의 조작 위치를 쉽게 파악하게 할 수 있는 지시선의 기능을 한다(점선 손잡이는 착즙부를 승강시킨 위치를 나타냄).
하우징(510)의 상단 걸림턱(731a) 위쪽에는 착츱출납홈(113)의 벽면과 선접촉하게 돌출띠(517)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체(100)에 대해 착즙부(50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771)(77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방지부재(771)(773)는 착즙부(500)가 착즙출납홈(113)에 삽입된 후 링 밴드부(730)를 돌렸을 때, 착즙부(500)가 함께 돌아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구성이다.
회전방지부재(771)(773)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즙부(500)의 하우징(510) 외주면의 배면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771)와, 회전방지돌기(771)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착즙함몰홈(111)에 수직하게 형성된 회전방지홈(773)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방지홈(773)이란 전면이 개방된 홈 형태로 파인 것 또는 양쪽에 돌기를 세워 전면과 상하가 개방된 홈 형태 모두를 포함한다.
따라서, 착즙부(500)가 착즙출납홈(113)에 수납되면 회전방지돌기(771)가 회전방지홈(773)에 배치되어, 링 밴드부(730)가 회전할 때 착즙부(500)가 같이 회전하려는 경향이 생기더라도 회전방지홈(773)이 회전방지돌기(771)의 좌우를 구속하고 있어 착즙부(500)의 헛돌기를 방지한다.
한편, 착즙부(500)가 상승하면, 스크루피동기어(333) 및 제1중간기어(361)가 스크루구동기어(331) 및 회전브러시구동기어(351)에 맞물리고, 전원스위치(200)를 ON 하면 구동부(300)가 구동하면서 스크루(550)와 회전브러시(590)를 회전시켜 착즙을 행한다.
그러나, 착즙부(500)가 상승되지 않았는데도 구동부(300)가 구동되면 착즙부(500)가 진동 등에 의해 앞으로 떨어질 것이다.
또한 착즙부(500)의 상승이 덜 되는 경우에는 구동부(300)와의 맞물림이 완전하지 않아 스크루(550)와 회전브러시(590)의 충분한 회전력을 얻지 못해 착즙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맞물린 기어의 마모가 빨라 내구성이 현저히 줄고 다른 부품에도 영향을 미쳐 A/S을 필요로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착즙부(500)의 상승 시 구동부(300)와 전원스위치(200)의 접속을 단속(끊었다 이었다 함)하는 안전스위치(250)를 포함한다.
안전스위치(251)(253)는 구동브라켓(150)에 배치되는 스위치(251)와, 착즙부(500)의 뚜껑(530) 상면에 형성되는 푸시돌기(25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착즙부(500)가 확실히 맞물리는 위치까지 상승되면 푸시돌기(253)는 스위치(251)를 푸시하여 구동부(30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한편, 본체(100)는 기능에 따라 상부는 구동부(300)가 탑재되는 구동탑재본체(A)와, 하부는 착즙함몰홈(111)이 형성된 착즙함몰홈본체(B)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구분에 따르면, 구동탑재본체(A)의 전면에는 착즙부(500)에 형성된 투입구(531)의 배면측이 승강 자유롭게 삽입되는 투입구 삽입홈(117)과, 투입구(531)의 상단에 설치된 평판형 호퍼(532)의 배면측이 삽입되는 호퍼 삽입홈(119)이 형성되어 있다.
투입구(531)의 상단에는 평판형 호퍼(532)가 설치되는데, 평판형 호퍼(532)는 피착즙물을 올려놓고 투입구(531)로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쟁반 기능을 한다.
투입구 삽입홈(117)과 호퍼 삽입홈(119)은 착즙부(500)를 착즙출납홈(113)에 끼울 때 가이드의 역할도 한다.
또한, 호퍼 삽입홈(119)은 착즙부(500)를 착즙출납홈(113)에 끼울 때 착즙부(500) 전체가 안착되게 하는 역할을 하여 상승 작동을 위한 조작시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착즙부(500)가 하강했을 때, 착즙부(500)가 아래로 떨어지면서 호퍼 삽입홈(119)에 평판형 호퍼(532)의 밑면이 안착되어 갑자기 앞으로 이탈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도 한다.
또한, 투입구 삽입홈(117)과 호퍼 삽입홈(119)은 착즙부(500)를 상승시킬 때 어느 정도 좌우를 구속하기 때문에 링 밴드부(730)에 대해 착즙부(50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전방케이스
111 : 착즙함몰홈 113 : 착즙출납홈
115 : 통출납홈 117 : 투입구 삽입홈
119 : 호퍼 삽입홈 130: 후방케이스
150 : 구동브라켓 200 : 전원스위치(파워)
251 : 스위치 253 : 푸시돌기
300 : 구동부 310 : 모터부
311 : 모터 313 : 감속기어부
315 : 제1감속기어 317 : 제2감속기어
330 : 스크루구동전달부 331 : 스크루구동기어
333 : 스크루피동기어 350 : 회전브러시구동전달부
351 : 회전브러시구동기어 353 : 회전브러시피동기어
360 : 중간기어트레인 361 : 제1중간기어
363 : 제2중간기어트레인 365 : 제2-1중간기어
365',367' : 회전축 366 : 제1수용부
367 : 제2-2중간기어트레인 367a : 어퍼 중간기어
367b : 로어 중간기어 367c : 부시축
368 : 제2수용부 369 : 커버
369a : 개구 500 : 착즙부
510 : 하우징 511 : 즙 배출구
513 : 찌꺼기 배출구 515 : 외측 수용안내홈
517 : 돌출띠 530 : 뚜껑
531 : 투입구 532 : 평판형 호퍼
533 : 관통공 550 : 스크루551 : 회전축
551a : 하단회전축 551b : 상단회전축
570 : 망드럼 571 : 프레임
573 : 망 575 : 내측 수용안내홈
590 : 회전브러시 591 : 프레임
593 : 브러시(와이퍼) 700 : 승강부
710 : 캠 레일부 711,713,715 : 제1~3캠레일
711a,713a,715a : 제1~3경사 레일
711b,713b,715b : 제1~3작동 레일 713c,715c : 제2,3비작동 레일
730 : 링 밴드부 731 : 링 밴드
731a : 상단 걸림턱 731b : 하단 걸림턱
732 : 가이드홈 733 : 체결편
735 : 손잡이 750 : 롤부
751,753,755 : 제1~3롤 771 : 회전방지돌기
773 : 회전방지홈 800 : 찌꺼기통
900 : 착즙통 A : 구동탑재본체
B : 착즙함몰홈본체

Claims (3)

  1. 즙과 찌꺼기를 분리 배출하는 착즙부;
    상기 착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착즙부가 전후로 출납되는 홈이 하부에 형성된 본체;
    상기 착즙부를 상기 구동부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착즙부의 상승 또는 하강 후 시 상기 구동부와 전원을 단속하는 안전스위치를 포함하는 착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스위치는 상기 홈의 상면에 배치되는 스위치와, 상기 착즙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승 시 상기 스위치를 푸시하는 푸시돌기로 구성되는 착즙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홈의 벽면에 형성되는 캠 레일부와, 상기 착즙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밴드부와, 상기 링 밴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캠 레일부를 따라 구르는 롤부로 구성되는 착즙기.
KR1020120020426A 2012-02-28 2012-02-28 착즙기 KR20130098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426A KR20130098699A (ko) 2012-02-28 2012-02-28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426A KR20130098699A (ko) 2012-02-28 2012-02-28 착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699A true KR20130098699A (ko) 2013-09-05

Family

ID=4945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426A KR20130098699A (ko) 2012-02-28 2012-02-28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86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7447A1 (zh) * 2015-06-11 2016-12-15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慢速榨汁装置
KR20210115261A (ko) *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착즙 드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7447A1 (zh) * 2015-06-11 2016-12-15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慢速榨汁装置
KR20210115261A (ko) *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착즙 드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8701A (ko) 착즙기
CN108151392B (zh) 碎冰装置
EP2777449B1 (en) Juicer with simpl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housing
KR20130098700A (ko) 착즙기
CN201790542U (zh) 具有旋转滤网的榨汁机
KR20200103103A (ko) 푸드 프로세서
ES2362596B1 (es) Centrifugadora de alto rendimiento.
KR20140018058A (ko) 원액 착즙 주스기
KR20130098699A (ko) 착즙기
WO2012053881A2 (es) Exprimidor de jugos citricos
CN102188152A (zh) 一种挤压式原汁榨汁机
JP4871167B2 (ja) とろろ芋類おろし機
US10098492B2 (en) Juicing device for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citrus fruits and the like
KR20130098697A (ko) 착즙기
CN210094593U (zh) 一种鲜榨果汁自动售卖机的榨汁前处理系统
KR101565870B1 (ko) 상부 구동식 원액기의 본체 탑재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어셈블리
KR101310822B1 (ko) 측면에서 착즙 통을 결합시킬 수 있는 본체를 갖는 착즙기
US20200049395A1 (en) Ice discharg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101565871B1 (ko) 상부 구동식 원액기
KR19980046647A (ko) 착즙 겸용 쥬서(Juicer)
KR20130059615A (ko) 착즙기
CN210810458U (zh) 一种带有榨汁功能的抗菌鲜果杯
KR101267808B1 (ko) 착즙기
KR101565874B1 (ko) 상부 구동식 원액기
MX2007011257A (es) Exprimidor de jug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