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743A - 크림핑 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 크림핑 방법 및 크림핑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림핑 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 크림핑 방법 및 크림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743A
KR20130097743A KR1020137005573A KR20137005573A KR20130097743A KR 20130097743 A KR20130097743 A KR 20130097743A KR 1020137005573 A KR1020137005573 A KR 1020137005573A KR 20137005573 A KR20137005573 A KR 20137005573A KR 20130097743 A KR20130097743 A KR 20130097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sleeve
spherical element
crimping
ja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또마 부아뱅
파트리끄 레자르
Original Assignee
볼호프 오탈루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호프 오탈루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볼호프 오탈루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30097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02Riveting procedures
    • B21J15/04Riveting hollow rivets mechanically
    • B21J15/043Riveting hollow rivets mechanically by pulling a mand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1/00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1/00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11/005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expanding or cri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45Blind rivets fastened by a pull - mandrel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04Construction of the ma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95Mounting of ball-joints, e.g. fixing them to a connecting 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96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by de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Prosthes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Dowels (AREA)

Abstract

슬리브 (5) 내에 장착되고 일 단부에서 구형 요소 (2) 로 끝나는 스템 (1) 을 포함하는, 크림핑될 구형 요소 (2) 구비 기구용 크림핑 시스템은, 슬리브 (5) 의 베어링 플랜지 (8) 상에 지지되도록 의도된 모루 (101), 및 상기 구형 요소 (2) 를 포위하도록 구성된 죠 시스템 (103, 103a, 103b) 을 구비하는 견인 수단 (10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림핑 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 크림핑 방법 및 크림핑 시스템{DEVICE WITH A SPHERICAL ELEMENT TO BE CRIMPED, CRIMPING METHOD AND CRIMPING SYSTEM}
본 발명은, 제 1 단부에서 구형 요소로 끝나는 스템 (stem) 을 포함하는, 크림핑 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관된 크림핑 방법 및 크림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형 요소 구비 기구는 제 1 단부에, 예를 들어 볼 형상의 구형 요소가 구비된 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형 요소 구비 기구의 제 1 예가 도 1 에 도시되고, 스템 (1) 을 포함하며, 이 스템은 스템의 종 방향 축 (A1) 을 따라서 연속하여 구형 요소 (2), 베어링 요소 (3) 및 실린더 (4) 를 구비한다. 이 구형 요소 구비 기구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상에 크림핑되도록 의도되고, 실린더 (4) 에 의해서 형성된 스템의 단부는, 베어링 요소 (3) 가 플레이트와 접촉할 때까지 플레이트 내의 구멍 안으로 삽입된다. 플레이트 내의 구멍의 치수는 스템 (1) 의 실린더 (4) 의 치수에 대해서 상보적이어서 베어링 요소 (3) 는 플레이트에 대해서 접한다. 다음으로, 실린더 (4) 는 비드 (bead) 를 형성하도록 변형되며, 이 비드의 치수는 플레이트 내의 관통 보어 직경보다 커 구형 요소 구비 기구를 플레이트 상에 크림핑한다. 이 기술은, 플레이트의 제 1 측면이 상기 기구의 삽입을 위해서 이용되고, 플레이트의 제 2 측면은 기구를 크림핑 하기 위하여 상기 기구의 스템의 변형을 허용하여, 상기 기구가 크림핑되어야 하는 플레이트의 대향하는 두 측면에의 접근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구형 요소 구비 기구의 제 2 예가 도 2 에 도시된다. 이 구형 요소 구비 기구는, 스템 (1) 의 실린더 (4) 가 나사가공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1 의 기구와 다르다. 이런 나사가공은, 구형 요소 구비 기구가 일단 플레이트 내 구멍 안으로 삽입되면, 이 구형 요소 구비 기구를 너트에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기술은, 플레이트의 두 측면에 접근하는 것 외에, 조작자가 구형 요소 구비 기구를 고정하기 위해서 몇 단계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나사 조임은 기계적 저항성과 관련하여 크림핑 만큼 신뢰성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구형 요소 구비 기구가 큰 진동을 겪는 플레이트 상에 볼트로 나사 조임되면, 구형 요소 구비 기구의 원하지 않는 나사 풀림으로 이어져서 구형 요소 구비 기구가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형 요소 구비 기구는 많은 분야에서 이용된다. 이는, 차량의 해치백, 문, 트렁크 등과 같은 요소의 개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잭을 위한 고정 인터페이스에서 발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보지않고 (blindly) 즉, 상기 구형 요소 구비 기구가 고정되어야 할 플레이트의 양 측면으로 접근을 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는 구형 요소 구비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고, 특히, 기구가 스템이 삽입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그 종 방향 축을 따라서, 스템 상에 슬리브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영역, 크림핑 비드가 형성될 오목 영역, 및 베어링 플랜지를 연속적으로 포함하고, 스템의 구형 요소가 베어링 플랜지에서 돌출된다는 점에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형 요소 구비 기구를 구멍을 구비한 지지체와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 즉 상기 베어링 플랜지가 상기 지지체와 접촉할 때까지 구형 요소의 반대편 단부를 통하여 상기 구형 요소 구비 기구를 상기 지지체 내 구멍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 및 비드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오목 영역 내의 슬리브를 변형시키도록 상기 구형 요소에 견인력을 가하면서, 유지력을 가하여 상기 베어링 플랜지가 상기 지지체 상에 가압되게 함으로써 상기 기구를 크림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슬리브 내에 장착되고 일 단부에서 구형 요소로 끝나는 스템을 포함하는 크림핑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용 크림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슬리브의 베어링 플랜지 상에 지지되도록 의도된 모루와, 상기 구형 요소를 포위하도록 구성된 죠 시스템을 구비하는 견인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장점 및 특징은, 비제한적 예로 주어지고 포함된 도면에 제공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진다.
도 1 및 도 2 는 구별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구형 요소 구비 기구의 두 가지 타입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요소 구비 기구의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기구에서 이용되는 것과 같은 구형 요소 구비 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 은 각각 구형 요소 및 이 구형 요소와 연관된 스템을 구비하는 구형 요소 구비 기구의 다른 실시예,
도 7 은 도 3 의 구형 요소 구비 기구를 지지체 상에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방법의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은 크림핑된 지지체 상에 위치된 구형 요소 구비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견인 수단의 하나의 죠와 모루의 가동부가 제거된, 크림핑될 기구용 크림핑 시스템의 3 차원 도면,
도 10 은 제거된 죠가 더해진, 도 9 의 크림핑 시스템의 3 차원 도면,
도 11 은 크림핑 시스템의 죠에 중점을 둔 도면,
도 12 는 모루의 가동부가 더해진, 도 10 의 크림핑 시스템의 3 차원 도면,
도 13 은 도 12 의 모루의 몸체 상에 장착된 잠금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는 개방 위치에 있는 견인 수단의 두 개의 죠의 개략도,
도 15 는 폐쇄 위치에 있는 견인 수단의 두 개의 죠의 개략도.
도 3 내지 도 6 에서, 크림핑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는 구형 요소 (2) 로 끝나는 스템 (1) 을 포함한다. 이 스템 (1) 은, 바람직하게는 구형 요소 (2) 반대 측의 제 2 단부에서, 그 몸체가 변형가능한 부분을 갖는 슬리브 (5) 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 (5) 는 그 종 방향 축 (A2) 을 따라서 그 양 원위 단부가 개구된 배럴을 형성하고, 그래서 상기 종 방향 축 (A2) 은 슬리브 (5) 를 형성하는 관통 또는 미관통 구멍의 축과 동일 선상이 된다.
스템 (1) 은 슬리브 (5) 안으로 삽입된다. 슬리브 (5) 는, 그 종 방향 축 (A2) (도 3 및 도 5 ) 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슬리브 (5) 를 스템 (1) 상에 조립하기 위한 조립 영역 (6), 오목 영역 (7) 및 베어링 플랜지 (8) 를 구비한다 . 베어링 플랜지 (8) 는 바람직하게는 슬리브 (5) 의 전체 외부 주변부 상에서 돌출된다. 스템 (1) 의 구형 요소 (2) 는 베어링 플랜지 (8) 에서 슬리브 (5) 로부터 돌출된다. 즉, 슬리브 (5) 는 그 단부 중 어느 하나에서 베어링 플랜지 (8) 를 포함하고, 구형 요소 (2) 는 슬리브 (5) 의 종 방향 축 (A2) 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플랜지 (8) 로부터 돌출하여 구형 요소가 파지될 수 있다.
오목 영역 (7) 은 크림핑 비드의 형성을 위한 것이고, 따라서 이것은 변형이 가능하다. 즉, 오목 영역 (7) 은 조립 영역 (6) 및 베어링 플랜지 (8) 를 형성하는 것보다 더 가단성 (malleable) 있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특정 경우에 따르면,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5) 는 단지 하나의 재료로 형성된다. 이 경우, 슬리브 (5) 의 종 방향 축 (A2) 에 수직하는 방향 (D1) 으로, 그리고 슬리브 (5) 의 종 방향 축 (A2) 에 대한 D1 의 회전에 따른, 오목 영역 (7) 에서의 재료 두께는, 방향 (D1) 으로 그리고 축 (A2) 둘레의 D1 의 회전에 따른 슬리브 (5) 의 다른 영역 (5) 에서의 재료 두께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스템 (1) 및 슬리브 (5) 는 바람직하게는 강,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또는 황동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만들어진다.
슬리브 (5) 는 조립 영역 (6) 에서, 예를 들어 슬리브 (5) 를 용접, 마찰 고정 (friction fitting), 스웨이징 (swaging) 또는 스냅 리벳팅 (snap riveting) 함으로써 스템과 조립될 수 있다.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에 도시된 스템 (1) 은 바람직하게는 나사가공되어 제 1 나사선을 형성하는 부분 (9) 을 포함한다. 이 나사가공된 부분 (9) 은 스템 (1) 의 종 방향 축 (A1) 을 따른 그 몸체를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구형 요소 (2) 반대 측의 스템 (1) 의 제 2 단부에 형성된다. 그러면, 조립 영역 (6) 은 슬리브 (5) 내측에서 제 2 상보적 나사선을 포함한다. 스템 (1) 은 조립 영역 (6) 내에서 슬리브 (5) 에 나사조임식으로 장착된다. 즉, 스템의 제 1 나사선은 조립 영역 (6) 내에 만들어진 슬리브 (5) 에 상보적인 제 2 나사선과 협력한다.
조립 영역 (6) 은 슬리브 (5) 의 외측 표면 상세 스웨이징 (swaging) 될 수 있다. 이 스웨이징 프로세스는 제 1 및 제 2 나사선의 융합을 조력하면서 스템 (1) 을 슬리브 (5) 에 종국적으로 고정시키는 가공 경화 (work hardening) 를 허용한다.
변형 형상에 따르면, 스템 (1) 은 위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나사가공된 부분을 포함하고, 슬리브 (5) 내 측의 조립 영역 (9) 은 매끄럽다. 스템 (1) 과 슬리브 (5) 의 조립 공정 동안에, 슬리브 (5) 는 조립 영역 내의 그 외측 표면 상에 스웨이징 프로세스를 받아 조립을 잠금하기 위하여 슬리브 (5) 의 재료가 스템의 나사가공된 부분의 나사선 안으로 흐른다.
크림핑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스템 (1) 및 슬리브 (5) 를 분리하여 제조하고, 다음으로 이들을 조립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조립 전에, 슬리브 (5) 와 스템 (1) 은 특히 내부식성 표면 처리법 (anti-corrosion surface treatment) 에 의해서 처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크림핑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는, 그 두 구성 요소, 즉 스템 (1) 및 슬리브 (5) 가 분리되어 처리되었으므로, 양호한 내부식성을 갖는, 이용 준비된 제품이다.
좀더 전반적으로, 조립은, 구형 요소 (2) 반대 측의 스템 (1) 의 제 2 단부를 플랜지 (8) 를 포함하는 슬리브 (5) 의 단부를 통해서 삽입하고, 다음으로 이들을 나사조임 또는 다른 조립 수단에 의해서 조립 영역 (6) 에서 서로에게 고정시킴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 에서와 같이, 스템 (1) 은, 조립 영역 (6) 을 대향하도록 의도된, 스템 (1) 의 몸체의 부분 (9) (나사가공되거나 그렇지 않은) 과 구형 요소 (2) 사이에 베어링 요소 (3)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베어링 요소 (3) 는, 바람직하게는, 주어진 스템 (1) 과 슬리브 (5) 에 대해서 조립 영역 (6) 이 스템 (1) 의 대응하는 부분 (9) 을 향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허용한다 (도 3 및 도 5). 실제로, 스템 (1) 과 슬리브 (5) 의 조립 공정 동안에, 베어링 요소 (3) 는, 예를 들어 도 3 에서 슬리브 (5) 내측 숄더에 의해서 형성된 또는 도 5 에서 베어링 플랜지 (8) 상에 형성된 대응하는 베어링 영역과 접촉하여, 조립, 예를 들어 스웨이징 프로세스를 위한 스템 (1) 과 슬리브 (5) 의 정확한 위치를 보장한다. 도 3 에서의 실시예가, 베어링 요소 (3) 를 감추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더 선호될 것이고, 이 실시예에 따르면 스템이 구형 요소 (2) 로부터 제 1 직경과 다음으로 제 1 직경보다 작은 제 2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직경의 변화가 슬리브의 숄더 상에 대한 지지를 허용한다.
사실, 베어링 요소 (3) 및 이와 관련된 베어링 영역은 슬리브 (5) 를 스템 (1) 과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 수단으로서 작동하여, 슬리브와 스템이 좀더 용이하게 솝-어셈블링 (shop-assembled)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른 정렬 수단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 (1) 은 구형 요소 (2) 반대 측의 스템의 제 2 단부에서 그 몸체의 외측 표면 상에, 바람직하게는 널링 가공되고 스템 (1) 을 조립 영역 (6) 내에서 슬리브 (5) 에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의도된 부분 (9) 을 포함한다. 널링 가공된 부분 (9) 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나선형 슬롯을 형성하도록 스템 (1) 의 제 1 나사선 상에 형성되고, 스템 (도 6) 의 종 방향 축 (A1) 과 평행한 복수의 종 방향 슬롯 (slots)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나사선은 조립 영역 (6) 내에 형성된 슬리브 (5) 의 제 2 나사선과 협력한다. 도 5 에서, 기구가 조립될 때, 널링 가공된 부분 (9) 은 슬리브 (5) 의 조립 영역 (6) 을 향하고, 슬리브 (5) 의 오목 영역 (7) 의 일 부분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조립되면, 이 연장부는 스템 (1) 과 슬리브 (5) 의 양호한 배치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음으로 슬리브 (5) 와 스템 (1) 은 스웨이징 프로세스에 의해서 종국적으로 서로 고정된다.
스템 (1) 의 나사선과 종 방향 슬롯의 특징적인 교차에 의해서 형성된, 나선형 슬롯의 기능은 스템 (1) 상에 대한 슬리브 (5) 의 조립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종 방향 슬롯은 스템 (1) 에 대한 슬리브 (5) 의 회전 방지 (anti-rotation) 효과를 보장하고, 나선형 슬롯은 슬리브 (5) 의 적출 방지 (anti-extraction) 효과를 보장한다. 따라서, 크림핑되면, 널링 가공된 부분 (9) 은 기구의 양호한 기계적 저항성을 보장한다.
실시예와 이들의 변형예에 적용가능한 조립체의 변형예에 따르면, 슬리브 (5) 는 그 종 방향 축 (A2) 을 따른 그 두 원위 단부에서 개방된다. 스템 (1) 은 베어링 플랜지 (8) 을 통해서, 구형 요소 (2) 반대 측의 스템의 제 2 단부가, 플랜지 (8) 반대 측의 상기 슬리브 (5) 의 단부에서 슬리브 (5) 를 지나서 돌출될 때까지 삽입된다. 다음으로, 스템 (1) 의 이 제 2 단부는, 슬리브 (5) 의 종 방향 축 (A2) 에 수직한 평면에서 베어링 플랜지 (8) 반대 측의 슬리브의 단부에서, 슬리브 (5) 의 단면 치수보다 더 큰 치수의 헤드 (10) (도 5) 를 형성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스템 (1) 의 헤드 (10) 는 조립 영역 (6) 내에서 슬리브 (5) 의 지지면 (11) 상에 지지된다. 예를 들어, 지지면 (11) 은 베어링 플랜지 (8) 반대 측의 슬리브 (5) 의 단부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 헤드 (10) 는, 크림핑될 때 또는 후에 스템 (1) 이 뽑히게 되는 위험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뽑히게 되는 위험은 이 변형 형태와 제 1 또는 제 2 바람직한 실시예를 결합함으로써, 특히 스웨이징 프로세스와의 조합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구형 요소 (2) 및 스템 (1) 의 일 부분의 치수가 슬리브 (5) 의 내부 치수 보다 적은 특별한 경우, 즉 구형 요소 (2) 및 스템 (1) 의 적어도 일 부분이 슬리브 (5)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 구형 요소 (2) 반대 측의 스템 (1) 의 제 2 단부는 스템 (1) 의 기계 가공 시에 직접적으로 형성된 헤드 (1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헤드 (10) 의 치수는, 베어링 플랜지 (8) 반대 측의 슬리브 (5) 의 단부에서 그리고 슬리브 (5) 의 축 (A2) 에 수직하는 평면에서, 슬리브 (5) 의 단면 치수보다 크다. 따라서, 스템 (2) 은, 구형 요소 (2) 의 측 상에서, 베어링 플랜지 (8) 반대 측의 슬리브 (5) 의 단부를 통해서, 헤드 (10) 가 조립 영역 (6) 내의 슬리브 (5) 의 지지면 (11) 에 대해서 지지될 때까지 그리고 구형 요소 (2) 가 플랜지 (8) 를 포함하는 슬리브 (5) 의 측 상에서 돌출될 때까지, 슬리브 (5)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템 (1) 의 헤드 (10) 는 슬리브 (5) 상에 지지되고, 크림핑될 때 또는 후에 스템 (1) 이 뽑히게 되는 위험을 제한한다. 뽑히게 되는 위험은 이 변형 형태를 제 1 및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와 결합함으로써, 특히, 스웨이징 프로세스와의 조합으로, 개선될 수 있다.
헤드 (10) 를 구비한 또는 구비하지 않은 스템 (1) 의 변형 형태에 따르면, 스템 (1) 은 스템 (1) 에 형성되고, 조립 영역 (6) 을 향하고, 슬리브 (5) 를 형성하는 재료로 채워진 홈부 (12) (도 3 내지 도 6)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필요하다면, 홈부 (12) 는 헤드 (10) 와 널링 가공된 부분 사이에 형성된다 (도 5). 홈부 (12) 의 기능은 슬리브 (5) 의 스템 (1) 과의 조립을 향샹시키는 것이고, 특히 슬리브 (5) 를 스웨이징하는 경우에 있어서, 스템 (1) 의 적출 방지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실제로, 조립 영역 (6) 내에서 스템 (1) 과 슬리브 (5) 를 스웨이징하는 것은 홈부 (12) 에서 슬리브 (5) 의 재료를 밀어내는 (drive out)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또한 크림핑 시 또는 후에 스템 (1) 이 뽑히게 되는 저항을 향상시킨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슬리브 (5) 의 스템 (1) 과의 조립은 스웨이징 프로세스에 의해서 실시된다. 다음으로, 슬리브 (5) 는 하나 이상의 공정으로 스템 상에서 두 다이 (dies) 에 의해서 다른 각도에 따라서, 조립 영역 (6) 에서 슬리브 (5) 의 외측 직경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크림핑된다. 스템 (1) 상에서 슬리브 (5) 를 스웨이징할 때, 슬리브 (5) 를 형성하는 재료가, 필요한 경우, 한편으로는 널링 가공된 또는 나사가공된 부분 (9) 및 다른 한 편으로는 홈부 (12) 에 들어가 이들을 채운다. 이것은 조립 영역 내의 재료를 가공 경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조립 영역 (6) 을 향하는 스템 (1) 의 특정 디자인 및 가공 경화된 재료는, 기구를 형성하는 두 구성 요소가 회전 및/또는 적출될 때 매우 저항성이 큰 기계적 조립체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크림핑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는, 특히, 구형 요소 (2) 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기구 안으로 스냅될 수 있는 볼 조인트 커플링, 힌지 또는 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자동차 산업에 특별히 적합하다.
지지체 (13) 와, 상기한 바와 같은, 크림핑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를 위한 크림핑 방법이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다. 지지체 (13) 는 구멍 (13a), 바람직하게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이 구멍 안으로 구형 요소 구비 기구가 구형 요소 (2) 반대 측의 단부를 거쳐서 베어링 플랜지 (8) 가 지지체 (13) 와 접촉할 때까지 삽입된다. 물론, 베어링 플랜지 (8) 의 지지면이 지지체 (13) 와 접촉할 수 있도록, 지지체 (13) 의 구멍 (13a) 은, 슬리브 (5) 의 종 방향 축 (A2) 에 수직한 평면에서, 베어링 플랜지 (8) 를 제외하고, 슬리브 (5) 의 치수에 비하여 더 큰 치수를, 그리고, 슬리브 (5) 의 종 방향 축 (A2) 에 수직한 평면에서, 플랜지 (8) 의 치수에 비하여 작은 치수를 갖는다. 다음으로, 구형 요소 구비 기구는, 크림핑 비드 (15) 를 형성하기 위하여 오목 영역 (7) 에서 슬리브 (5) 를 변형시키도록 견인력 (화살표 (F3)) 을 구형 요소 (2) 에 가하면서, 유지력 (화살표 (F1, F2)) 을 가하여 베어링 플랜지 (8) 가 지지체 (13) 에 가압됨으로써 크림핑될 수 있다. 견인력은 바람직하게는 유지력과 반대 방향으로 가해진다. 실제로, 견인력과 유지력의 조합은 오목 영역 (7) 의 변형에 의해서 조립 영역 (6) 을 지지체 (13) 에 더 가깝게 할 것이다. 즉, 크림핑 비드 (15) 는 슬리브의 축 (A2) 에 수직한 평면에서, 같은 평면에서의 구멍 치수보다 더 큰 치수를 갖는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 영역 (7) 의 변형은 크림핑 비드 (15) 를 형성하며, 그 기능은 기구를 지지체 (13) 상에 유지하는 것이다. 즉, 지지체 (13) 는 비드 (15) 와 베어링 플랜지 (8) 사이에 유지된다.
스템 (1) 의 구형 요소 (2) 의 바람직한 구 또는 볼 형상은, 구형 요소 (2) 를 감싸도록 의도된, 예를 들어 죠 시스템 (14a, 14b) 을, 특히 스템 (1) 의 나머지 부분과의 접점에서 이용하여, 구형 요소에 작용되는 견인을 돕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지력은, 베어링 플랜지 (8) 에 대하여 지지되고, 스템 (1) 의 구형 요소에 견인력이 가해질 때 베어링 플랜지 (8) 를 지지체 (13) 에 대해서 가압하는 모루 (도시 안됨) 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견인력은 슬리브 (5) 의 종 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체 (13) 의 구멍 (13a) 안으로 삽입되도록 의도된 기구의 단부는, 실질적으로 말단이 절단된 형상을 갖는, 또한 파이럿 테이퍼 (pilot taper) 라고도 불리는, 챔퍼 (chamfer) 를 포함한다. 챔퍼는 기구의 지지체 내로의 도입을 돕는다.
이러한 기구 및 이의 크림핑 방법은 단지 플레이트의 일 측에 접근하면서 크림핑 프로세스를 허용한다.
스템 및 구형 요소는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단체 (monobloc) 요소이다.
바람직하게,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 (1) 은 조립 영역 및 구형 요소 사이에 위치하고 구형 요소 (2) 를 향해서 수렴하는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한다. 사실, 이 부분은 크림핑 프로세스를 한정하기 위하여 견인 공정 동안에 멈춤부를 형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즉, 스템은, 조립 영역과 구형 요소 사이에, 크림핑 프로세스 동안에 멈춤부로 기능하여 멈춤부가 슬리브 (5) 의 변형을 멈추게 하기 위하여 모루와 협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적어도 일 부분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멈춤부는 스템 (1) 의 멈춤부 부분에서 환상의 돌출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 돌출부의 일 면은, 구형 요소 (2) 를 구비하는 스템 (1) 의 일 부분이 연장되는 베어링 플랜지 (8) 의 상측 면과 같은 높이를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리브 내에 장착되며 일 단부에서 구형 요소로 끝나는 스템을 포함하는, 크림핑 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용 크림핑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크림핑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다. 크림핑 시스템은, 반복 가능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3 차원 공간에서 구형 요소를 자리잡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핑 시스템은 모루 (101) 를 포함한다. 이 모루 (101) 는 슬리브 (5) 의 베어링 플랜지 (8) 상에 지지되는 것이 의도된다. 사실, 도 9 에서, 모루 (101) 는 플랜지 (8) 의 일 면 상에서 지지되고, 이 면으로부터, 플랜지 (8) 로부터 먼 그 자유 단부에 구형 요소 (2) 를 구비하는 스템이 연장된다.
크림핑 시스템은 구형 요소 (2) 를 포위하도록 구성된 죠 (jaw) 시스템 (103) 을 포함하는 견인 수단 (102) 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크림핑 프로세스 동안에, 죠는 구형 요소 (2) 를 포위하여 스템을 파지하고 스템에 견인력을 가하며, 슬리브 (5) 는 플랜지 (8) 상에 지지되는 모루 (101) 에 의해서 정 위치에 유지된다.
용어 "포위하다 (enclose) "는 죠가 구형 요소를 내포하도록 구형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좁은 폭으로 둘러싸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죠의 형상은 반복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형 요소를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크림핑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를 크림핑하는 프로세스로부터 구형 요소를 삽입하는 문제가 뒤따른다. 실제로, 구형 요소 (2) 는 스템의 크림핑 시스템 안으로의 삽입을 어렵게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죠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서로 관절에 의해서 결합하는 적어도 두 개의 죠를 포함한다.
도 10 에서, 죠 시스템은 두 개의 죠 (103a, 103b) 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두 개의 죠 (103a, 103b) 는 폐쇄 위치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폐쇄 위치에서, 크림핑 될 기구가 도입되는 면은 개구 (103c) 를 포함하고, 이 개구는, 두 개의 죠에 의해서 규정되고 개구 (103c) 가 그 내부로 개방된 주 공동의 내측에 배열되는 구형 요소의 제거를 방지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크림핑 프로세스 동안에, 구형 요소의 최선의 유지를 보장하기 위해서, 두 개의 죠 (103a, 103b) 각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템 및 구형 요소 그들의 접합부에서의 이들의 외형선 (outline) 에 따라서 형성된 개방 공동 (open cavity) (14) (도 11) 을 포함하고, 공동 (104) 은, 죠 (103a, 103b) 의 폐쇄 위치에서 그 구형 요소에 의해서 크림핑될 기구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죠 (103a, 103b) 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두 개의 개방 공동 (104) 은 상기 주 공동을 규정한다. 즉, 두 개의 개방 공동 (104) 은 구형 요소와 스템의 부분 틀 (mold) 을 제공한다.
죠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두 개의 죠 (103a, 103b) 에 의해서 형성된 각도는 두 개의 죠 (103a, 103b) 사이에 구형 요소를 삽입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하고, 죠 (103a, 103b)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죠 시스템은, 구형 요소와 베어링 플랜지 사이에 위치된 스템의 일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 개구 (103a)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죠 (103a, 103b) 는, 죠 (103a, 103b) 사이에 구형 요소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방 위치 와, 견인 수단 (102) 의 이동에 따라서 구형 요소가 이동되는 폐쇄 위치를 규정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서 회전하도록 (A4)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복귀 수단 (도시 안됨) 은 상기 죠를 개방 위치를 향해서 계속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견인 수단 (102) 은 바람직하게는 종 방향 축 (A3) 을 따라서 정렬된다. 이 종 방향 축 (A3) 은, 도 9 및 도 10 에서 견인의 방향을 규정하고, 이것은 크림핑될 기구의 스템의 축에 평행하다. 두 개의 죠는, 축 (A3) 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축 (A4) 둘레로 회전되도록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컴팩트하고 효율적인 크림핑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 견인 수단은, 견인 동안에 죠를 가이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슬리브를 형성하는 모루 (101) 의 몸체 내에 병진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음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12 에서, 모루 (101) 의 몸체는 고정부 (101a) 및 가동부 (101b) 를 포함하고, 가동부는 고정부 (101a) 상에 선회 (swivel)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의 개방 및 폐쇄 위치는 각각 두 개의 죠 (103a, 103b) (도 10) 의 개방 및 폐쇄 위치와 일치한다. 사실, 모루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복귀 수단은 개방 위치에 있는 죠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고, 죠 (103a)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죠 (103b) 는 모루의 가동부 (101b) 와 접촉하고 있고, 복귀 수단에 의해서 작용하는 힘이 모루와 죠가 개방 위치에 유지되도록 가동부 (101b) 에 전달된다.
도 12 에서의 선회 핀 (A5) 은 또한 도 10 에 도시된다. 도 10 에서, 이 선회 핀은 죠의 선회 핀 (A4) 과 평행하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죠 (도시 안됨) 및 모루 (101) 는 폐쇄 위치에 있다. 이 폐쇄 위치에서, 베어링 플랜지 (8) 와 접촉하는 모루의 단부면 (107) (도 9) 은, 견인력이 견인 수단에 의해서 구형 요소에 가해질 때 스템이 슬라이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 (108) 을 포함한다. 이 개구 (108) 는 상기 죠의 개구 (103a) 와 동축이다. 개구 (108) 는 상기 스템의 멈춤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멈춤부 부분은 견인 공정 동안에 모루와 접촉한다. 견인 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견인 모멘트는, 멈춤부 부분이 모루에 지지될 때 견인이 중단되거나, 오목 영역에 크림핑될 기구의 슬리브를 변형시키기에 더 이상 충분하지 않도록 계산된다.
모루 (101) 및 죠 (103a, 103b) 의 폐쇄를 돕기 위해서, 죠 (103a, 103b) 및 고정부 및 가동부 (101a, 101b) 를 폐쇄 위치로 전환하기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 복귀 수단을 잠금하기 위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 필요성은, 도 13 에서와 같이, 모루 (101) 의 몸체 외측에 병진운동가능하게 장착된 잠금 요소 (105) 를 제공함으로써 충족될 수 있다. 잠금 요소 (105) 는, 죠 및 모루 (101) (고정부 및 가동부에 의해서) 가 개방 위치에 있는 해제 위치와, 모루 (101) 의 가동부 (101b) 를 모루의 고정부 (101a) 상에 다시 폐쇄하여 모루를 폐쇄하는 이동이 복귀 수단을 압축함으로써 죠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죠에 전달되도록 하는 결합 위치 (도 13) 를 포함한다. 사실, 가동부 (101b) 는 고정부 (101a) 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해제 위치로부터 결합 위치로 전환할 때 잠금 요소 (105) 는 이 가동부 및 고정부 상에 지지되어 가동부 (101b) 는 고정부 (101a) 상으로 폐쇄된다.
도 14 에 도시된 복귀 수단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 복귀 수단은 그 단부가 각각 죠 (103a, 103b) 상에, 바람직하게는 관련된 개방 공동 내에 지지되는 스프링 (106) 을 포함한다. 이것은 그 자유 길이 (free length) 가 죠 (103a, 103b) 사이에 구형 요소 (2) 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죠 (103a, 103b) 를 개방하기에 충분한 압축 스프링 (106) 일 수 있다. 도 14 에서, 죠 (103a, 103b) 는 개방 위치에 있고, 도 15 에서, 죠 (103a, 103b) 는 폐쇄 위치에 있다. 도 14 및 도 15 에서, 상기 개방 공동 (104) 은 점선으로 도시된다.
죠에 부가하여, 견인 수단은 죠와 일체인 견인 스템 및 스템을 병진운동시키도록 구성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죠 시스템은 방사선 방향으로 열리는 것이 가능한 세크먼트 (segments) 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죠를 포함한다. 이것은 주목할만하게 죠 시스템을 다양한 직경의 구형 요소에 적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6)

  1. 슬리브 (5) 내에 장착되고 일 단부에서 구형 요소로 끝나는 스템 (1) 을 포함하는, 크림핑될 구형 요소 (2) 구비 기구용 크림핑 시스템으로서,
    상기 슬리브 (5) 의 베어링 플랜지 (8) 상에 지지되도록 되어있는 모루 (101)와,
    상기 구형 요소 (2) 를 포위하도록 구성된 죠 시스템 (103, 103a, 103b) 을 구비하는 견인 수단 (102) 을 포함하는, 크림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죠 시스템은 두 개의 죠 (103a, 103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죠 (103a, 103b) 는, 상기 스템 (1) 및 상기 구형 요소 (2) 의 접합부에서 이들의 외형선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따르도록 형성된 개방 공동 (104) 을 포함하고, 상기 공동 (104) 은 상기 죠 (103a, 103b) 의 폐쇄 위치에서 크림핑될 기구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죠들 (103a, 103b) 사이에 상기 구형 요소 (2) 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구형 요소 (2) 가 상기 견인 수단 (102) 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하는 폐쇄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서, 상기 두 개의 죠 (103a, 103b) 는 선회가능하게 상하로 장착되고 (A4), 복귀 수단 (106) 은 상기 죠 (103a, 103b) 를 상기 개방 위치로 계속적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수단 (102) 은 상기 모루 (101) 의 몸체 내에 병진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루 (101) 의 몸체는 고정부 (101a) 및 상기 고정부 (101a) 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부 (101b)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의 개방 및 폐쇄 위치는 각각 상기 죠 (103a, 103b) 의 개방 및 폐쇄 위치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잠금 요소 (105) 가 상기 모루의 몸체 외측 상에 병진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잠금 요소 (105) 는 상기 죠 (103a, 103b) 및 상기 모루 (101) 의 고정부 (101a) 및 가동부 (101b) 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해제 위치와, 상기 모루 (101) 의 가동부 (101b) 를 상기 고정부 (101a) 상에 다시 폐쇄시켜 상기 모루 (101) 를 폐쇄시키는 이동이, 상기 복귀 수단 (106) 을 압축함으로써 상기 죠를 폐쇄 위치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죠 (103a, 103b) 에 전달되는 결합 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시스템.
  8. 제 3 항 및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수단 (106) 은 단부가 각각 상기 두 개의 죠 (103a, 103b)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시스템.
  9. 제 1 단부에서 구형 요소 (2) 로 끝나는 스템 (1) 을 포함하는, 크림핑될 구형 요소 (2) 구비 기구로서,
    상기 스템 (1) 이 삽입되는 슬리브 (5) 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5) 는 종 방향 축 (A2) 을 따라서 연속하여,
    상기 스템 (1) 상에 상기 슬리브 (5) 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영역 (6),
    크림핑 비드 (15) 가 형성될 오목 영역 (7), 및
    베어링 플랜지 (8) 을 구비하고,
    상기 스템 (1) 의 구형 요소 (2) 는 상기 베어링 플랜지 (8) 에서 돌출되는, 크림핑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 (1) 은, 상기 조립 영역 (6) 에서 슬리브 (5) 에 상보적인 제 2 나사선과 협력하는 상기 스템 (1) 의 일 부분 (9) 에 제 1 나사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영역 (6) 에 마주하는 상기 부분 (9) 은 널링가공되고, 상기 널링가공된 부분은 복수의 나선형 슬롯을 형성하도록 상기 스템 (1) 의 제 1 나사선 상에 만들어지는 복수의 종 방향 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 (1) 은 상기 스템 (1) 의 제 1 단부 반대 측의 상기 스템 (1) 의 제 2 단부에 헤드 (10) 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10) 는 상기 조립 영역 (6) 에서 슬리브 (5) 의 지지면 (11)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 (1) 은, 상기 스템 (1) 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 영역 (6) 을 향하고, 상기 슬리브 (5) 를 형성하는 재료로 채워진 홈부 (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영역 (6) 은 스웨이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 (1) 과 상기 슬리브 (5) 는 슬리브 (5) 를 용접, 마찰 고정 또는 스냅 리벳팅함으로써 상기 조립 영역 (6) 에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
  16. 제 9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형 요소 구비 기구를 구멍을 구비한 지지체 (13) 와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방법으로서,
    상기 베어링 플랜지 (8) 가 상기 지지체 (13) 와 접촉할 때까지 상기 스템의 구형 요소 (2) 반대 측의 단부를 통하여, 상기 구형 요소 구비 기구를 상기 지지체 (13) 내 구멍 (13a)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 및
    크림핑 비드 (15) 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오목 영역 (7) 에서 슬리브 (5) 를 변형시키도록 상기 구형 요소 (2) 에 견인력을 가하면서, 유지력을 가하여 상기 베어링 플랜지 (8) 가 상기 지지체 (13) 상에 가압되게 함으로써 상기 기구를 크림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방법.
KR1020137005573A 2010-08-05 2011-08-02 크림핑 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 크림핑 방법 및 크림핑 시스템 KR201300977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03285A FR2963576B1 (fr) 2010-08-05 2010-08-05 Dispositif a element spherique a sertir et procede de sertissage
FR1003285 2010-08-05
PCT/FR2011/000453 WO2012017143A1 (fr) 2010-08-05 2011-08-02 Dispositif à élément sphérique à sertir, procédé de sertissage et système de sertiss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743A true KR20130097743A (ko) 2013-09-03

Family

ID=4376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573A KR20130097743A (ko) 2010-08-05 2011-08-02 크림핑 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 크림핑 방법 및 크림핑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30125360A1 (ko)
EP (1) EP2601061A1 (ko)
JP (1) JP5886286B2 (ko)
KR (1) KR20130097743A (ko)
CN (1) CN103201125A (ko)
BR (1) BR112013002872A2 (ko)
CA (1) CA2807261A1 (ko)
DE (1) DE202011110816U1 (ko)
FR (1) FR2963576B1 (ko)
MX (1) MX2013001411A (ko)
RU (1) RU2567492C2 (ko)
WO (1) WO20120171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2092A1 (de) * 2015-02-05 2016-08-11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ügeverbindung zwischen einem Gelenkgehäuse und einem Anbindungsbauteil, sowie verfahrensgemäß hergestelltes Fahrwerkbauteil
JP6343361B1 (ja) * 2017-03-09 2018-06-13 由莉 高城 連結器具及び連結器具を備えた組立構成物
JP6832206B2 (ja) * 2017-03-29 2021-02-24 日本発條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タビリンク
CN107218280A (zh) * 2017-06-28 2017-09-29 上海奥达科股份有限公司 一种短尾拉铆钉及短尾拉铆钉的拆装方法
CN108555594B (zh) * 2018-06-21 2023-08-25 深圳市鑫扬泽电子有限公司 半自动滚槽组装机及顶针的组装方法
US11673243B2 (en) 2018-09-05 2023-06-1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lind rivet nut-setting tool
DE102018124406A1 (de) * 2018-10-02 2020-04-02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Steckkupplung mit Toleranzausgleich
US11277927B2 (en) * 2019-11-05 2022-03-15 Le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n electronics arrangement
US20230138175A1 (en) * 2021-10-29 2023-05-04 Howmet Aerospace Inc. Blind fasten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105A (en) * 1907-12-18 1908-06-30 Edwin A Rives Combined pipe support and clamp.
US2574160A (en) * 1946-11-29 1951-11-06 Chester E Zimmerman Plug
SE456030B (sv) * 1983-05-18 1988-08-29 Skf Nova Ab Kulled for upphengning av hjul
GB9218463D0 (en) * 1992-08-29 1992-10-14 Emhart Inc Rivet setting tool
BE1007284A3 (nl) * 1993-07-12 1995-05-09 Dejond Naamloze Vennootschap E Blindklinkbout.
US5672024A (en) * 1995-06-02 1997-09-30 Dana Corporation Prepackaged ball joint
DE19841410C1 (de) * 1998-09-10 2000-07-20 Trw Fahrwerksyst Gmbh & Co Kugelgelenk
US6254114B1 (en) * 1998-11-09 2001-07-03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Composite stabilizer bar link
US7731467B2 (en) * 1999-07-09 2010-06-08 Profil Verbindungstechnik Gmbh & Co., Kg Bolt element having a shaft part and a spherical head, component assembly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bolt element
JP4071634B2 (ja) * 2001-03-09 2008-04-02 ニューフレイ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自動穿孔リベット、リベット要素を取り付け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使用
WO2004022260A1 (de) * 2002-09-04 2004-03-18 Newfrey Llc Befestigungselement, insbesondere zum blindnieten
DE20315778U1 (de) * 2003-10-14 2003-12-11 Böllhoff GmbH Entkoppelnde Verbindungsanordnung mit Federklammer
FR2870573A1 (fr) * 2004-05-19 2005-11-25 Bollhoff Otalu S A Sa Goujon a sertir et procede de fabrication
US7637686B2 (en) * 2007-03-02 2009-12-29 The Boeing Company Swivel fitting attachment apparatus
DE202007012797U1 (de) * 2007-09-12 2007-11-22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Hybridbauteil
JP4944835B2 (ja) * 2008-05-12 2012-06-06 国分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スタッド状部材の固定構造及びスタッド状部材の固定構造体の製造方法
RU2394174C1 (ru) * 2008-12-05 2010-07-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методический центр "Норма" (ЗАО НМЦ "Норма") Заклепка для односторонней клепк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1061A1 (fr) 2013-06-12
FR2963576A1 (fr) 2012-02-10
CN103201125A (zh) 2013-07-10
US20130125360A1 (en) 2013-05-23
JP2013540954A (ja) 2013-11-07
JP5886286B2 (ja) 2016-03-16
MX2013001411A (es) 2013-07-03
WO2012017143A1 (fr) 2012-02-09
RU2013109404A (ru) 2014-09-10
CA2807261A1 (fr) 2012-02-09
FR2963576B1 (fr) 2012-09-07
BR112013002872A2 (pt) 2019-09-24
RU2567492C2 (ru) 2015-11-10
DE202011110816U1 (de)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7743A (ko) 크림핑 될 구형 요소 구비 기구, 크림핑 방법 및 크림핑 시스템
DK176832B1 (da) Konnektor til spiralriflet koaksialkabel og fremgangsmåde til anvendelse deraf
US7802940B2 (en) Forged knurled socket housing
KR920701702A (ko) 가변적과 선택적으로 높은 초기 클램프 예비부하를 갖는 파스너와 조립방법
EA004360B1 (ru) Гайка
US20150349478A1 (en) Crimping tool and crimping die
US20180226179A1 (en) Explosion-proof assembly for guiding through a stud,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0800010B2 (en) Biased pliers
US20180156262A1 (en) A fastener
US8001670B2 (en) Method for assembling at least two elements by means of a crimping rivet
US20220123514A1 (en) Crimping pliers, die half unit and method for the assembly
JP7239615B2 (ja) 電気接続部を壁に接続するための挿入具、挿入具のための分解工具および位置合わせ工具、および挿入具の修理方法
US11235449B2 (en) Quick-release setting tool for an element to be crimped
US20050286989A1 (en) Lock nut with low on/high off torque control
WO2016013405A1 (ja) 長円かしめカラーの製造方法
US20240157530A1 (en) Pliers actuation assembly group, pliers and method for assembling
CN109595248B (zh) 止动垫圈锁紧装置及锁紧方法
WO2023147903A1 (de) Betätigungshandhabe für ein bauelement
DE102008033595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erbindung zwischen zwei Bauteilen, insbesondere Gehäuseteilen
EP1721364B1 (en) Screw, particularly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a cable terminal to a railway track or the like
KR20240075109A (ko) 상부캡 나사결합 방식이 적용된 볼조인트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JP5452205B2 (ja) 継手構造
WO2019207406A1 (en) Mechanical connecting system
DE202006012880U1 (de) Elektrisch isolierendes Gehäuse
DE4430163A1 (de) Kugelgelenkbaugrup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