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386A - 위급 상황 구조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급 상황 구조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386A
KR20130097386A KR1020120019007A KR20120019007A KR20130097386A KR 20130097386 A KR20130097386 A KR 20130097386A KR 1020120019007 A KR1020120019007 A KR 1020120019007A KR 20120019007 A KR20120019007 A KR 20120019007A KR 20130097386 A KR20130097386 A KR 20130097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request signal
mobile device
rescue
dispatch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솔
Priority to KR1020120019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7386A/ko
Publication of KR2013009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08B25/085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using central distribu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벨을 통해 위급 상황을 구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 상황 구조 방법은 위급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위급 상황 발생 지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지점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모바일 기기로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범죄나 사고 등으로 인하여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발생 지점과 지역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모바일 기기 사용자들의 도움 주는 시스템을 마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급 상황 구조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EMERGENCY RESCUE}
본 발명은 위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를 구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장애인 및 여성을 상대로 하는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범죄를 방지하거나 피해자를 구제하기 위해 방안으로 현재 지하주차장 또는 화장실 등 외진 장소에는 비상벨을 설치하는 것이 있다. 위급 상황 또는 범죄 상황 등이 발생한 경우 비상벨 시스템이 구조 요청의 수단의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상벨을 통한 피해자 구제 방안은, 관리자가 해당 시스템에 접수되는 구조 요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지 않으면 사실상 비상벨 시스템을 관리할 실익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기존의 비상벨 시스템은 관리자가 시스템 관리실 내에 항시 대기하면서, 구조 요청이 있을 때마다 범죄 현장까지 직접 출동하거나 경찰에 신고하여야만 피해자의 구제가 가능하였다.
특히 범죄 발생 시, 시스템 관리자가 구조 요청을 인지하여 현장에 즉시 출동한다 해도, 시스템 관리실로부터 범죄 현장까지의 거리가 멀면 범죄 예방은 물론 피해자 구제도 거의 불가능하다. 생명이 위급한 환자가 있는 경우에도 구조에 걸리는 시간에 따라 구조의 실효성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위급 상황 발생 지점으로부터 구조 인력까지의 거리는 구조 행위 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범죄 발생을 억제하거나 범죄 발생 시 피해자의 구조 확률을 높이고 기타 위급 상황 발생 시 구조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범죄 발생 시 해당 지점으로부터 인접한 지역 내에 있는 사람들이 협조하여 피해자를 구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위급 상황 발생 지점의 인근에 있는 모바일 기기 사용자의 도움을 받아 위급 상황을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구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비상벨 관리자와 실제 위급 상황 발생 지점 간의 거리로 인해 실질적인 위급 상황 구제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위급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위급 상황 발생 지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지점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모바일 기기로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급 상황 구조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입력받기 전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중앙 관리 장치에 모바일 기기의 전화 번호 또는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거나, 상기 모바일 기기에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동 요청 신호는 위급 상황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정보와 상기 모바일 기기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어느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위급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구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비상벨; 상기 비상벨로부터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위급 상황 발생 지점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지점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모바일 기기로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중앙 관리 장치 및 상기 수신된 출동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위급 상황 구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입력받기 전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중앙 서버에 모바일 기기의 전화 번호 또는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등록하거나,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출동 요청 신호는 위급 상황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정보와 상기 모바일 기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어느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와 응급 상황 발생 지점의 위치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응급 상황에 대한 신속한 구조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인근의 모바일 사용자에 의한 응급 상황 구조는 물론 범죄 발생에 대한 구조, 제지 역할이 수행되므로 범죄 발생 가능성이 줄어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외진 지역에서 응급 환자에 발생 시 사망률은 저하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 상황 구조 시스템이 동작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위급 상황 구조 시스템 내에서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 상황 구조 방법의 플로우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급 상황 구조 요청을 받은 중앙 관리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급 상황 구조 요청을 받은 모바일 기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모바일 기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는 비상벨 이외에도 인터폰, 호출 버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 상황 구조 시스템이 동작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위급 상황 구조 시스템 내에서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 상황 구조 시스템은 중앙 관리 장치(100), 비상벨(110) 및 모바일 기기(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중앙 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비상벨 및 복수의 모바일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는 중앙 관리 장치(100)가 출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의 모바일 기기(200) 및 구조 요청을 전송한 하나의 비상벨(11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황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중앙 관리 장치(100)는 다양한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복수의 비상벨(110, 120)들로부터 수신되는 구조 요청 신호를 관리한다. 그리고 중앙 관리 장치(100)에는 복수의 모바일 기기(200)가 등록되어 있을 수 있으며, 중앙 관리 장치(100)는 등록된 모바일 기기(200)들로 신호 또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200)들이 구조 요청 신호가 수신된 당시에 위치하는 구역을 기준으로 모바일 기기(200)들을 그룹별로 분류하도록 한다.
즉, A 구역(115) 내에 존재하는 모바일 기기는 제1 모바일 기기 그룹(210), A 구역(115)과 B 구역(125) 사이에 존재하는 모바일 기기는 제2 모바일 기기 그룹(220), B 구역(125) 내에 존재하는 모바일 기기는 제3 모바일 기기 그룹(230)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바일 기기 그룹(210), 제2 모바일 기기 그룹(220) 및 제3 모바일 기기 그룹(230)에 포함되는 모바일 기기들은 기본적으로 중앙 관리 장치(100)가 관리하는 웹 서버에 등록이 되어있거나, 모바일 기기의 식별정보를 미리 제공한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만일 A 구역(115) 내에 설치된 비상벨(110)로부터 구조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중앙 관리 장치(100)는 등록된 모바일 기기들 중에서 A 구역(115) 내에 존재하는 모바일 기기 및/또는 비상벨(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모바일 기기인 제1 모바일 기기 그룹(210)에 포함된 모바일 기기로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A 구역(115) 내에 설치된 비상벨(110)을 편의상 제1 비상벨(110)이라고 지칭하고, B 구역(125) 내에 설치된 비상벨(120)은 제2 비상벨(120)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는 제1 비상벨(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영역을 A 구역(115)이라고 지칭하고, 제2 비상벨(12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영역을 B 구역(125)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즉, 제1 비상벨(110)로부터 구조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중앙 관리 장치(100)는 제1 모바일 기기 그룹(210)에 포함된 모바일 기기로 구조 요청 또는 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비상벨(120)로부터 구조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중앙 관리 장치(100)는 제3 모바일 기기 그룹(230)에 포함된 모바일 기기로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만일, 구조 요청 신호를 발송한 비상벨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있는 모바일 기기들에까지 출동 요청을 하는 경우, 중앙 관리 장치(100)는 제1 비상벨(110) 또는 제2 비상벨(120)로부터 구조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도 제2 모바일 기기 그룹(220)에 포함된 모바일 기기들에게 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위급 상황 발생 시 위급 상황 구조 시스템의 신호 전송 체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위급 상황 구조 시스템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기기(200)가 중앙 관리 장치(100) 또는 중앙 관리 장치(100)가 관리하는 서버에 등록되어야 한다(S310). 여기서 등록 과정은 해당 모바일 기기(200)의 식별 정보를 중앙 관리 장치(100) 또는 그 서버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구조 요청자는 위급 상황 발생에 따른 비상벨(200)의 버튼을 조작하여 구조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S320). 그리고 비상벨(200)을 통해 구조 요청 신호가 중앙 관리 장치(100)로 전송된다(S330).
구조 요청 신호에는 해당 구조 요청 신호를 생성한 비상벨(200)의 식별 정보 또는 위치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중앙 관리 장치(100)는 중앙 관리 장치(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비상벨(110)로부터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즉시 위급 상황 발생 지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S340). 예컨대 중앙 관리 장치(100)는 비상벨(110)로부터 구조 요청 신호 수신 시 "00 행정구역의 00 빌딩 00층 00번째 칸 화장실"과 같은 형태로 위급 상황 발생 지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관리 장치(100)는 위급 상황 발생 지점의 위치가 파악됨과 동시에, 등록된 모바일 기기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급 상황 발생 지점과 가까이 있는 모바일 기기(200)들을 집계하여(S350), 어느 출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게 될 모바일 기기들을 선별하여 목록을 생성한다. 그리고 해당 과정을 거쳐 선별된 모바일 기기(200)들로 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360).
중앙 관리 장치(100)로부터 출동 요청 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기기(200)는 출동 요청 알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경보음을 출력하는 등, 모바일 기기(200)의 사용자에게 출동 요청 신호의 수신 사실을 알린다(S37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 상황 구조 방법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중앙 관리 장치(100)는 비상벨로부터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410).
그리고 중앙 관리 장치(100)는 비상벨의 식별 정보로부터 위급 상황 발생 지점을 파악한다(S420). 위급 상황 발생 지점 정보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모바일 기기를 파악한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200)는 중앙 관리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모바일 기기(200) 또는 중앙 관리 장치(100)에 단말기 식별 정보 등이 미리 제공된 모바일 기기(200)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 상황 구조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모바일 기기(200)는 중앙 관리 장치(100)가 관리하는 웹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다운로드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과정에서 모바일 기기(200)는 중앙 관리 장치(100) 또는 해당 웹 서버로 단말 식별 정보와 실시간 위치 정보 등을 제공하도록 설정 또는 승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모바일 기기(200)와 중앙 관리 장치(100)가 쌍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위급 상황 구조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관리 장치(100)가 각각의 모바일 기기(200)들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게 되므로, 상기의 등록절차는 현재 위치 수집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장치(100)는 비상벨(110)로부터 구조 요청 신호가 접수되면 모바일 기기(200)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모바일 기기(200) 중 위급 상황 발생 지점과 인접한 지역에 있는 모바일 기기(200)들을 파악한다. 그리고 위급 상황 발생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있는 모바일 기기(200)들을 선별하여, 해당 모바일 기기(200)들에게 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중앙 관리 장치(100)는 모바일 기기(200)들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여기서 출동 요청 신호에는 인근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실, 위급 상황 발생 지점의 위치, 모바일 기기(2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위급 상황 발생 지점까지의 방향 및 거리, 위급 상황이 발생한 시각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200)는 출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출동 요청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알람 등의 알림 신호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출동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의 출동 요청 신호에 포함된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실, 위급 상황 발생 지점의 위치, 모바일 기기(2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위급 상황 발생 지점까지의 방향 및 거리, 위급 상황이 발생한 시각 등의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반드시 구조 요청 신호가 비상벨을 통하여 접수되지 않더라도, 시스템 관리자가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통해 위급 상황의 발생을 인지한 경우, 중앙 관리 장치(100) 상에서 수동으로 구조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모바일 기기(200)들로 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실행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급 상황 구조 요청을 받은 중앙 관리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 관리 장치(100)는 비상벨이 설치된 구역들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또는 구조 요청 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이를 위해 중앙 관리 장치(100)는 위급 상황 모니터링 화면(500)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위급 상황 모니터링 화면(500)에는 관리 구역 리스트(510), 위급 상황 발생 지점 정보(520), 감시 카메라 리스트(530), 등록된 모바일 기기 리스트(540), 감시 영상 리스트(550) 등이 표시된다.
관리 구역 리스트(510)는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의 관리 하에 있는 비상벨들이 설치되어 있는 관리 구역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그리고 위급 상황 발생 지점 정보(520)는,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한 비상벨(110)의 식별 정보 등을 이용하여 파악된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는 지점에 대한 정보이다. 비상벨의 위치가 위급 상황 발생 지점이 될 수 있다.
감시 카메라 리스트(530), 감시 영상 리스트(550), 중앙 관리 장치에 등록된 카메라 리스트(560) 등은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비상벨 설치 구역을 모니터링하는 경우에 한하여 위급 상황 모니터링 화면(500)에 표시될 수 있다.
감시 영상 리스트(550)에 표시되는 구역 중에서,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한 비상벨이 설치된 구역이 있다면, 해당 구역에 대한 영상은 위급 상황 발생 지점 영상(555)으로서, 감시 영상 리스트(550) 내에서 강조 또는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급 상황 구조 요청을 받은 모바일 기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출동 요청 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기기(200)는, 알림 메시지(250)를 출력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250)의 일 예로 출동 요청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알람 등의 알림 신호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출동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의 출동 요청 신호에 포함된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실, 위급 상황 발생 지점의 위치, 모바일 기기(2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위급 상황 발생 지점까지의 방향 및 거리, 위급 상황이 발생한 시각 등의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중앙 관리 장치
110, 120: 비상벨
200: 모바일 기기
500: 위급 상황 모니터링 화면
510: 관리 구역 리스트
520: 위급 상황 발생 지점 정보
530: 감시 카메라 리스트
540: 등록된 모바일 기기 리스트
550: 감시 영상 리스트
310: 출동 요청 알림 화면

Claims (8)

  1. 위급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위급 상황 발생 지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지점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모바일 기기로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급 상황 구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입력받기 전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중앙 관리 장치에 모바일 기기의 전화 번호 또는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거나, 상기 모바일 기기에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구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동 요청 신호는 위급 상황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구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정보와 상기 모바일 기기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어느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구조 방법.
  5. 위급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구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비상벨;
    상기 비상벨로부터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위급 상황 발생 지점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지점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모바일 기기로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중앙 관리 장치;
    상기 수신된 출동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위급 상황 구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입력받기 전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중앙 서버에 모바일 기기의 전화 번호 또는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등록하거나,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구조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동 요청 신호는 위급 상황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구조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위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정보와 상기 모바일 기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출동 요청 신호를 어느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 상황 구조 시스템.
KR1020120019007A 2012-02-24 2012-02-24 위급 상황 구조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97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007A KR20130097386A (ko) 2012-02-24 2012-02-24 위급 상황 구조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007A KR20130097386A (ko) 2012-02-24 2012-02-24 위급 상황 구조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386A true KR20130097386A (ko) 2013-09-03

Family

ID=4944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007A KR20130097386A (ko) 2012-02-24 2012-02-24 위급 상황 구조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73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516B1 (ko) * 2017-12-28 2018-03-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발전소 스마트 화재발생 알리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516B1 (ko) * 2017-12-28 2018-03-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발전소 스마트 화재발생 알리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13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esence-based communication over a wireless network
US11259165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mergency responses and safety
US20110227730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d surveillance of persons and/or surroundings
CA2927122A1 (en) Interactive emergency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KR101358667B1 (ko) 재난대응 및 멀티콘텐츠와 상호작용 정보용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운용방법
JP2018507500A (ja) Sms通知サービスを利用した事前侵入感知システム、そして救助信号通報システム及び方法
JP2020518939A (ja) 遠隔防災システム
JP2013089076A (ja) 火災報知設備の支援システム
KR100927581B1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CN103327283A (zh) 对讲机、对讲系统以及控制对讲机显示面板亮度的方法
JP2014044641A (ja) 犯罪情報管理装置および犯罪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2319084A (ja) 近隣相互扶助のための連絡通報システム
JP200918259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2141045B1 (ko) 긴급신고전화 현장대응 지원 시스템
KR20130097386A (ko) 위급 상황 구조 방법 및 시스템
JP6901952B2 (ja) トンネル坑内非常警報システム
KR10140129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추적촬영 방법
GB2568678A (en) Method of monitoring video
KR101345721B1 (ko) 건물의 재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JP6412303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端末
JP2007328621A (ja) 警報システム及び警報管理サーバ
KR20080025232A (ko) 위험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경보 방법
JP6517035B2 (ja) 警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463143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363275B1 (ko) 위급 상황 정보 중개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