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931A - Zip line of auto drive type - Google Patents

Zip line of auto drive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931A
KR20130094931A KR1020120016207A KR20120016207A KR20130094931A KR 20130094931 A KR20130094931 A KR 20130094931A KR 1020120016207 A KR1020120016207 A KR 1020120016207A KR 20120016207 A KR20120016207 A KR 20120016207A KR 20130094931 A KR20130094931 A KR 20130094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cable
moving
driv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4388B1 (en
Inventor
장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to KR1020120016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388B1/en
Publication of KR20130094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9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3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Landscapes

  • Manipulator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에 관한 것으로서, 어느 한 쪽에 설치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다른 한 쪽에 설치되는 제2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를 연결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이동케이블 및; 상기 이동케이블에 고정,설치되어 이동케이블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이 이루어지는 파지-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가족단위 모두가 함께 레저를 즐길 수 있고, 설비비가 줄어들며,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고, 안전사고의 우려가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driving horizontal moving zip line, the first drive unit which is installed on either side; A second driving part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moving cable connecting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and rotating by an electrical signal; Fixed and installed on the mobile cab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ipping-transporting unit which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bile cable, thereby allowing all family units to enjoy leisure together, equipment costs are reduced, accessibility of user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to eliminate the risk of accidents.

Figure P1020120016207
Figure P1020120016207

Description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Zip line of auto drive type}Zip line of auto drive type

본 발명은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짚 라인이 자동으로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ally operated horizontal moving straw l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driving horizontal moving straw line in which the zip line is automatically moved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최근에는, 일정한 높이차를 갖도록 케이블을 설치하고, 이 케이블을 따라 작동도르레를 타고 아래로 내려오면서 속도감과 스릴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짚 라인(Zip Line)이 하나의 레저스포츠로서 각광받고 있다.In recent years, a zip line has been spotlighted as a leisure sport, in which a cable is installed to have a constant height difference, and a speed and thrill can be enjoyed while descending along an operation pulley along the cable.

이러한 짚 라인은 이용자가 외줄(한 줄의 케이블)을 따라 직접 허공을 가르면서 아래로 활강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활강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활강하는듯 한 스릴을 느낄 수 있어 점차적으로 그 이용자 수가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Since the zip line slides down the air directly along the outer line (a single line of cable), you can feel the thrill of running faster than the actual speed of the run, and gradually increase the number of users. There is a trend.

종래의 짚 라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위치의 탑승처에서 탑승자가 케이블에 연결된 작동도르레에 안전벨트를 설치한 상태에서 낮은 위치의 착지처로 할강하면서 내려오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Conventional zip line, as shown in Figure 1, in the passengers in a high position, the occupant is configured to descend while descending to the landing position of the lower position in the state that the seat belt is installed on the operation pulley connected to the cabl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짚 라인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zip lin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탑승처가 높은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어린이나 노약자 등은 탑승처까지 올라가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가족단위로 함께 레저를 즐기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since the boarding place is installed in a high position, children and the elderly have a lot of difficulties to go up to the boarding place,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enjoy leisure together as a family unit.

또한, 작동도르레가 케이블을 타고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자중에 의해 용이하게 내려오기는 하나, 이를 다시 위의 탑승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수작업으로 끌어올려야 함으로써, 그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 pulley easily descends from a high place to a low place by a cable, it has to be pulled up by hand in order to move it back to the boarding place, which has a very difficult problem.

또한, 작동도르레 및 이에 탑승한 이용자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활강 후, 착지처에 다다르면 안전요원이 이용자를 손으로 잡아서 정지시키게 되는데, 이때 이용자의 체중에 따라 가속도가 많이 붙은 경우 제대로 정지시키지 못하여 이용자 및 안전요원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큰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after the operation pulley and the user who boarded it slides from a high place to a low place, the safety officer grabs the user with his hand and stops it when he approaches the landing. There was also a big problem that safety accidents of users and safety personnel would occur.

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탑승처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함으로써, 평지부위에 짚 라인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높은 구조물을 축조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산간 지방 등에 자연을 훼손시키면서 설치하여야 하는바, 그 설비비가 많이 들고 이용자들의 접근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arding place should be installed at a high position, and in order to install a zip line on the flat area, there was a burden of constructing a high structure. Bar, the equipment costs a lot and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s was also po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역회전에 따라 자동으로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는 짚 라인을 평지에 설치함으로써, 그 설치에 따른 제약을 받지 않아 설비비가 줄어들고,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by installing a straw line that automatically moves horizontally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n a flat, not limited by the installation, equipment cost is reduced, easy to use for everyone The objective is to provide a self-driving horizontal moving zip line.

특히, 본 발명은 짚 라인이 자동으로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착지시 안전사고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이에 따라 이용자를 정지시키기 위한 안전요원을 별도로 두지 않아도 되어 결국 안전을 도모하도록 한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을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zip line is made automatically, to eliminate the fear of safety accidents during landing, and accordingly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afety personnel to stop the user, so that the automatic driving type to ensure safety eventually It is also aimed at providing a horizontal zip line.

또한, 본 발명은 짚 라인이 자동으로 운전됨에 따라 이용자에 따라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을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driving horizontal moving straw line that can adjust the moving speed according to the user as the zip line is automatically opera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은, 어느 한 쪽에 설치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다른 한 쪽에 설치되는 제2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를 연결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이동케이블 및; 상기 이동케이블에 고정,설치되어 이동케이블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이 이루어지는 파지-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utomatically operated horizontal moving zip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driving unit which is installed on either side; A second driving part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moving cable connecting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and rotating by an electrical signal; It is fixed to the mobile cable is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ipping-transporting unit for the forwar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bile cable.

여기서, 상기 제1구동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축설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풀리와; 상기 제1풀리에 감합된 이동케이블의 양단 중, 어느 한쪽 단이 한쪽방향으로 감합되는 제2풀리와; 상기 제2풀리와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이동케이블의 양단 중, 다른 한쪽 단이 역시 한쪽방향으로 감합되는 제3풀리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drive unit, the drive motor for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by the electrical signal; A first pulley installed in the driving motor and rotating; A second pulley in which either end of the moving cable fitted to the first pulley is fitted in one direction; The second pulley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mobile cable, the other end may also be composed of a third pulley fitted in one direction.

이 경우, 상기 구동모터와 제1풀리, 제2풀리와 제3풀리는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제1지지대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motor and the first pulley, the second pulley and the third pulley are rotatably fixed in a stat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first support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이동케이블이 감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4풀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4풀리는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제2지지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riving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urth pulley is rotated by fitting the moving cable, in this case, the fourth pulley is rotatably fixed, installed by a second support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이동케이블은,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2줄로 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ving cable is preferably formed in two line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and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이 경우, 상기 2줄로 형성되는 이동케이블 중, 아랫단의 케이블에 파지-이송부가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gripping-carrying part is fixed and installed on the lower cable among the two moving cables.

여기서, 상기 파지-이송부는 아랫단의 케이블에 대하여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아랫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파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gripping-transport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is fixed,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lower cable; A bas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downwardly by a predetermined length; It may be composed of a gripping portion which is installed below the base portion,

또한, 상기 파지-이송부의 베이스부 상부쪽에는 도르레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르레는 상기 이동케이블의 아래쪽에 설치된 고정케이블을 타고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상기 고정케이블은, 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에 대하여 연결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ulley is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of the gripping-transporting portion, and the pulley is preferably configured to move on a fixed cable installed below the moving cable, wherein the fixed cable is the first support. And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한편, 상기 파지부는, 이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원형 핸들과, 상기 원형 핸들을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연결,설치하도록 하는 지지바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gripping portion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ircular handle that is held by the user by the hand, and support bars for connecting and installing the circular handl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에 의하면, 탑승처가 높은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짚 라인 자체가 수평으로 설치되는바, 어린이나 노약자를 포함하여 가족단위로 모두 함께 레저를 즐길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lf-driving horizontal moving straw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zip line itself is not installed in a high position, the zip line itself is installed horizontally, all together in a family unit including children and the elderly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njoy is provided.

특히, 짚 라인 자체가 평지 등에 수평으로 용이하게 설치가능함으로써, 높은 구조물을 축조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제공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zip line itself can be easily installed horizontally, etc., it is not necessary to build a high structure, and also provides an effect of increasing accessibility of users.

또한, 파지-이송부가 자동운전에 의해 전,후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를 굳이 종래에서와 같이 수작업으로 높은곳까지 끌어올리지 않아도 되어 그 편의성이 증대되고, 자동운전에 의해 어느 위치에서든지 쉽게 정지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된다.In addition, the grip-transfer part is configured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automatic operation, and it does not have to be raised to a high place by hand as in the prior art, and the convenience thereof is increased, and stops easily at any position by automatic operation. By being able to, it is also provided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 as in the prior art.

또, 파지-이송부가 자동운전에 의해 전,후진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한 번 이용 후 다시 이용하고자 높은 탑승처로 이동하지 않고도 쉽게 재이용이 가능한 효과도 제공된다.In addition, the grip-transfer unit is moved forwards and backwards by automatic driving, thereby providing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reused without having to move to a high boarding destination to use it again after using it as in the prior art.

아울러, 파지-이송부가 자동운전으로 전,후진됨에 따라 그 전,후진 속도를 임의로 조절가능하게 됨으로써, 어린이나 노약자 등은 비교적 느린 속도로 전,후진시킬 수 있고, 속도감을 즐기고자 하는 젊은 이용자들은 비교적 빠른 속도로 전,후진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이용자에 따라 속도조절이 가능한 효과도 제공된다.
In addition, as the grip-transfer unit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automatic operation, the forward and backward speeds can be arbitrarily adjusted, so that children or the elderly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at a relatively slow speed, and young users who want to enjoy a sense of speed By being able to move forwards and backwards at a relatively high speed, the spee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

도 1은 종래의 짚 라인 구성을 개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구동부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파지-이송부의 사시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zip line configura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self-driving horizontal movable zip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unit in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rip-transport unit in FIG. 2;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구동부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파지-이송부의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horizontal zip line automatically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drive unit in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rip-transfer unit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에 설치되는 제1구동부(110)와, 이 제1구동부(110)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다른 한 쪽에 설치되는 제2구동부(130)와, 제1구동부(110)와 제2구동부(130)를 연결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는 이동케이블(15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self-operating horizontal moving zip l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driving unit 110 installed on either side thereof,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first driving unit 110. The second driving unit 13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paced apart position, and includes a moving cable 150 is rotated by connecting the first driving unit 11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30.

제1구동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모터(120)와, 이 구동모터(120)의 축에 축설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풀리(122)와, 이 제1풀리(122)에 감합된 이동케이블(150)의 양단 중, 어느 한쪽 단이 한쪽방향으로 감합되는 제2풀리(124)와, 이 제2풀리(124)와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이동케이블(150)의 양단 중, 다른 한쪽 단이 역시 한쪽방향으로 감합되는 제3풀리(126)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rst driving unit 110 includes a driving motor 120 in whic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is performed by an electrical signal, and a first shaft that is rotated on the axis of the driving motor 120. A second pulley 124 in which either end of the pulley 122 and both ends of the movable cable 150 fitted to the first pulley 122 is fitted in one direction, and the second pulley 124 It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wo ends of the mobile cable 150,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third pulley 126 is also fitted in one direction.

여기서, 구동모터(120)와 제1풀리(122), 제2풀리(124), 제3풀리(126)는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제1지지대(128)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브래킷 등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다.Here, the driving motor 120, the first pulley 122, the second pulley 124, the third pulley 126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first support 128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fixed and installed by a bracket or the like so as to be rotatable.

따라서, 이동케이블(150)은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2줄로 형성되며, 이러한 이동케이블(150)은 제2구동부(130)의 제4풀리(132)에 감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refore, the moving cable 150 is formed in two line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the moving cable 150 is made of a structure that is rotated by fitting to the fourth pulley 132 of the second drive unit 130. have.

상기 제2구동부(130)의 제4풀리(132) 또한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제2지지대(13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브래킷 등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다.The fourth pulley 132 of the second driving unit 130 is also fixed and installed by a bracket or the like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second support 138 fixed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2줄로 형성되는 이동케이블(150) 중, 아랫단의 이동케이블(154)에는 파지-이송부(200)가 고정,설치되어 있는데, 이 파지-이송부(200)는 아랫단의 이동케이블(154)에 대하여 고정,설치되는 고정부(210)와, 이 고정부(210)로부터 아랫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된 베이스부(220)와, 이 베이스부(220)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파지부(230)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f the mobile cable 150 formed of two lines,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cable 154, the grip-transfer unit 200 is fixed and installed, the grip-transfer unit 200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cable 154 A fixing part 210 fixed and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a base part 220 extending from the fixing part 210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holding part 230 provided below the base part 220. Consists of

여기서, 상기 파지-이송부(200)의 베이스부(220) 상부쪽에는 도르레(222)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도르레(222)는 이동케이블(150)의 아래쪽에 설치된 고정케이블(240)을 타고 이동함으로써, 이용자의 체중에 의해 이동케이블(150)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예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Here, a pulley 222 is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220 of the gripping-transporting part 200. The pulley 222 is moved by a fixed cable 240 installed below the moving cable 150. As a result, the mobile cable 150 is prevented from falling down due to the weight of the user.

즉, 이동케이블(150)의 아랫단에는 상기 제1지지대(128) 및 제2지지대(138)에 대하여 연결설치된 고정케이블(24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고정케이블(240)은 강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 제공되며, 이에 따라 파지-이송부(200)의 베이스부(220)에 설치된 도르레(222)가 상기 고정케이블(240)을 타고 구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이용자의 체중이 많이 나가게 되더라도 고정케이블(240)이 그 하중을 지지하게 되어 이동케이블(150)이 아래로 처지는 것이 예방된다.That is, a fixed cable 240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128 and the second support 138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cable 150. The fixed cable 240 is very excellent in rigidity.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ulley 222 installed on the base portion 220 of the gripping-transporter 200 is driven by the fixing cable 240 bar, even if the user's weight goes a lot fixed cable 240 ) To support the load is prevented that the mobile cable 150 sag down.

한편, 상기 파지-이송부(200)의 파지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핸들(232)과, 이 원형 핸들(232)을 베이스부(220)에 대하여 연결,설치하도록 하는 지지바(234)들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ripping portion 230 of the gripping-transporting portion 200, as shown in Figure 4, the circular handle 232, so as to connect and install the circular handle 232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220 The support bar 234 is composed of.

여기서, 파지-이송부(200)의 파지부(230)를 원형 핸들(232)로 구성한 것은, 이용자가 진행방향에 따라 몸의 방향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Here, the gripping portion 230 of the gripping-transporting portion 200 is composed of a circular handle 232 to allow the user to easi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body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1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automatic driving horizontal moving zip line 100 made of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이 안전벨트의 연결끈을 파지-이송부(200)의 파지부(230)에 대하여 고정시킨 후 양 손으로 원형 핸들(232)을 잡는다. 이때, 안전벨트의 연결끈은 파지부(230)의 지지바(234)들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as shown in FIG. 2, a user wears a seat belt, fixes the connection strap of the seat belt with respect to the grip part 230 of the grip-transport part 200, and then uses a circular handle 232 with both hands. Catches. At this time, the connection strap of the seat belt is preferably fixed to the support bars 234 of the gripping portion 230.

이 상태에서, 안전요원 등이 제1구동부(110)의 구동모터(12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모터(120)가 회전되도록 하면 파지-이송부(200)가 이동케이블(150)의 회전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1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파지-이송부(200)의 전,후진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safety personnel or the like applies power to the drive motor 120 of the first drive unit 110 so that the drive motor 120 is rotated, the grip-transfer unit 200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ving cable 150. I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motor 120,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forward, backward speed of the gripping-transporter 200.

예컨대, 도 2에서 구동모터(120)를 왼쪽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이 구동모터(120)와 축설된 제1풀리(122)가 왼쪽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1풀리(122)에 감합된 이동케이블(150)은 왼쪽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For example, in FIG. 2, when the driving motor 120 is driven in the left direction, the first pulley 122 arranged with the driving motor 120 rotates in the left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first pulley 122 is rotated. The moving cable 150 fitted in the rotation is made in the left direction.

따라서, 제3풀리(126)에 감합된 이동케이블(150)이 아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2줄의 이동케이블(150) 중, 윗단의 이동케이블(152)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풀리(124)에 감합된 이동케이블(150)은 위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2줄의 이동케이블(150) 중, 아랫단의 이동케이블(154)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아랫단의 이동케이블(154)과 고정,설치된 파지-이송부(200) 또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방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the moving cable 150 fitted to the third pulley 126 is moved downward, so that the moving cable 152 at the upper end of the two moving cables 150 is moved to the left. Meanwhile, the moving cable 150 fitted to the second pulley 124 is moved upward, so that the lower moving cable 154 of the two moving cables 150 is moved to the right, and the lower moving cable 150 is moved. 154 and the fixed, installed gripping-transporting unit 200 is also moved to the right is made to move forward.

여기서, 제2구동부(130)의 제4풀리(132)는 이동케이블(150)을 감합하고 있는 상태인바, 윗단의 이동케이블(152)이 왼쪽으로 이동하고, 아랫단의 이동케이블(154)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Here, the fourth pulley 132 of the second driving unit 130 is in the state of fitting the moving cable 150, the upper moving cable 152 is moved to the left, the lower moving cable 154 is the right You will be guided to move on.

이 상태에서, 안전요원 등이 상기 구동모터(120)에 역회전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구동모터(120)의 역회전에 따라 파지-이송부(200)는 반대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safety officer or the like applies a reverse rotation signal to the drive motor 120, the grip-transfer unit 200 is horizontally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120.

즉, 구동모터(120)의 역회전에 따라 구동모터(120)와 축설된 제1풀리(122)가 오른쪽 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1풀리(122)에 감합된 이동케이블(150)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120, the driving motor 120 and the first pulley 122 arranged in the right direction is interlocked and rotated, and thus the movable cable 150 fitted to the first pulley 122. ) Is rotated in the right direction.

따라서, 제3풀리(126)에 감합된 이동케이블(150)이 위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2줄의 이동케이블(150) 중, 윗단의 이동케이블(152)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풀리(124)에 감합된 이동케이블(150)은 아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2줄의 이동케이블(150) 중, 아랫단의 이동케이블(154)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아랫단의 이동케이블(154)과 고정,설치된 파지-이송부(200) 또한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후방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the moving cable 150 fitted to the third pulley 126 is moved upward, so that the upper moving cable 152 of the two moving cables 150 is moved to the right. Meanwhile, the moving cable 150 fitted to the second pulley 124 is moved downward, so that the moving cable 154 of the lower end of the moving cable 150 of the two lines is moved to the left, and the lower end of the moving cable 150 moves. The cable 154 and the fixed and installed gripping-transporting unit 200 are also moved to the left to move rearward.

여기서, 제2구동부(130)의 제4풀리(132)는 이동케이블(150)을 감합하고 있는 상태인바, 윗단의 이동케이블(152)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아랫단의 이동케이블(154)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Here, the fourth pulley 132 of the second driving unit 130 is in the state of fitting the moving cable 150, the upper moving cable 152 is moved to the right, the lower moving cable 154 is left You will be guided to move on.

이와 같이, 파지-이송부(200)가 전,후진 하는 상태에서, 파지-이송부(200)의 베이스부(220) 윗단에 설치된 도르레(222)는 양쪽 지지대에 대하여 견고하게 설치된 고정케이블(240)을 타고 이동하게 되면서 파지-이송부(200) 및 이 파지-이송부(200)에 매달린 이용자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바, 이동케이블(150)이 이용자의 체중에 의한 하중으로 처짐이 발생되지 않는다.As such, in the state in which the gripping-transporting unit 200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e pulley 222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220 of the gripping-transporting unit 200 has a fixed cable 240 firmly installed on both supports. The rod-carrying part 200 and the gripper-carrying part 200 while supporting the load of the user suspended on the bar, the moving cable 150 does not cause sagging due to the load of the user's weight.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전후진되는 파지-이송부(200)에서, 이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부(230)가 원형 핸들(232)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용자는 진행방향에 따라 몸의 방향을 보다 용이하게 바꿀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gripping-transporting unit 200 which is advanced back and forth by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gripping portion 230 that the user holds by hand is composed of a circular handle 232, the us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progress It will be easier to change.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technical ide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ndependently performed, or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짚 라인 110 : 제1구동부
120 : 구동모터 122 : 제1풀리
124 : 제2풀리 126 : 제3풀리
128 : 제1지지대 130 : 제2구동부
132 : 제4풀리 138 : 제2지지대
150 : 이동케이블 152 : 윗단 이동케이블
154 : 아랫단 이동케이블 200 : 파지-이송부
210 : 고정부 220 : 베이스부
222 : 도르레 230 : 파지부
232 : 원형 핸들 234 : 지지바
100: zip line 110: first drive unit
120: drive motor 122: first pulley
124: second pulley 126: third pulley
128: first support 130: second drive unit
132: the fourth pulley 138: the second support
150: moving cable 152: upper moving cable
154: lower stage moving cable 200: gripping-transporting unit
210: fixing part 220: base part
222: pulley 230: gripper
232: round handle 234: support bar

Claims (11)

어느 한 쪽에 설치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와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다른 한 쪽에 설치되는 제2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를 연결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이동케이블 및;
상기 이동케이블에 고정,설치되어 이동케이블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이 이루어지는 파지-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A first driving part installed on either side;
A second driving part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moving cable connecting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and rotating by an electrical signal;
Fixed and installed on the moving cable horizontal movement zip l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ipping-transporting unit fo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bile ca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축설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풀리와;
상기 제1풀리에 감합된 이동케이블의 양단 중, 어느 한쪽 단이 한쪽방향으로 감합되는 제2풀리와;
상기 제2풀리와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이동케이블의 양단 중, 다른 한쪽 단이 역시 한쪽방향으로 감합되는 제3풀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motor in whic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is performed by an electrical signal;
A first pulley installed in the driving motor and rotating;
A second pulley in which either end of the moving cable fitted to the first pulley is fitted in one direction;
It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second pulley, the horizontal line of the self-operating horizontal movable straw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mobile cable is composed of a third pulley is also fitted in one direction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제1풀리, 제2풀리와 제3풀리는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제1지지대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ing motor and the first pulley, the second pulley and the third pulley is automatically operated horizontally fixed by the first support is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rotatably installed Moving straw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이동케이블이 감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4풀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driving unit is a horizontal automatic zip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th pulley is rotated by fitting the moving cabl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4풀리는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제2지지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fourth pulley is rotatably fixed and installed by a second support fixed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케이블은,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2줄로 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movable cable is formed in two line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the horizontal line of the self-driving horizontal mov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ably connected,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2줄로 형성되는 이동케이블 중, 아랫단의 케이블에 파지-이송부가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f the mobile cable formed of two lines, the horizontal line zip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ing-transfer part is fixed, installed on the lower cabl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이송부는 아랫단의 케이블에 대하여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아랫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8. The method of claim 7,
The gripping-transporting portion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cable and installed;
A bas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downwardly by a predetermined length;
Automatically operated horizontal moving zip lin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holding portion installed below the base por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이송부의 베이스부 상부쪽에는 도르레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르레는 상기 이동케이블의 아래쪽에 설치된 고정케이블을 타고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The method of claim 8,
A pulley is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base part of the gripping-transporting unit, and the pulley is configured to move on a fixed cable installed below the moving cabl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케이블은, 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에 대하여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The method of claim 9,
The fixed cable is a horizontal line zip line automatically oper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is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이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원형 핸들과, 상기 원형 핸들을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연결,설치하도록 하는 지지바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The method of claim 8,
The gripping portion, the automatic handle horizontal movement zip line comprising a circular handle that is held by the user by the hand, and support bars for connecting and installing the circular handl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KR1020120016207A 2012-02-17 2012-02-17 Zip line of auto drive type KR1018543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207A KR101854388B1 (en) 2012-02-17 2012-02-17 Zip line of auto drive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207A KR101854388B1 (en) 2012-02-17 2012-02-17 Zip line of auto drive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931A true KR20130094931A (en) 2013-08-27
KR101854388B1 KR101854388B1 (en) 2018-06-20

Family

ID=4921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207A KR101854388B1 (en) 2012-02-17 2012-02-17 Zip line of auto drive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38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730B1 (en) * 2015-03-12 2015-08-20 (주)피아이디 Recreation facility with cable
KR20220062780A (en) * 2020-11-09 2022-05-17 조대진 Rope driving apparatus for leisure activ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1127A (en) 2022-10-31 2024-05-08 이재영 Motorized zipline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0272A (en) * 1989-04-28 1990-11-30 Yasuda Kogyo Kk Transfer apparatus
US20110162917A1 (en) * 2007-06-26 2011-07-07 Steele Charles Z Continuous assist zipline braking and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743U (en) * 1992-05-13 1993-12-14 日立造船株式会社 Glide vehicle
JPH09323806A (en) * 1996-06-05 1997-12-16 Nippon Kinzoku Co Ltd Transportation device
KR100915746B1 (en) * 2008-06-20 2009-09-04 이창섭 Playing apparatus using hang-gli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0272A (en) * 1989-04-28 1990-11-30 Yasuda Kogyo Kk Transfer apparatus
US20110162917A1 (en) * 2007-06-26 2011-07-07 Steele Charles Z Continuous assist zipline braking and control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730B1 (en) * 2015-03-12 2015-08-20 (주)피아이디 Recreation facility with cable
KR20220062780A (en) * 2020-11-09 2022-05-17 조대진 Rope driving apparatus for leisure a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388B1 (en)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739B1 (en) Linear motor driven amusement ride and sliding surface thereof
RU2650058C1 (en) Tracks and roller coaster mounted on a tower area
CN102316947A (en) Suspended amusement rides
JP2009148570A (en) Amusement ride apparatus of ferris wheel type with suspended gondola cars
EP2967216B1 (en) Inverted motion base with suspended seating and method of entertainment implemented with such an inverted motion base
US20160304101A1 (en) Zip line attraction and methods
JP2019110615A (en) Overhead wire travel device and self-traveling wire inspection device
CN1700944A (en) large capacity recreational vehicles
KR20130094931A (en) Zip line of auto drive type
CA2928825C (en) Zip track system
CN105005321B (en) Jump out of the building and machine and its dynamic ride kinematic system
KR20190010558A (en) A transportation vehicle pulled by an overhead cable and a system comprising this type of vehicle
JPH08299600A (en) Suspended moving machine
US9259835B2 (en) Cantilevered assembly work conveyor device
KR200469687Y1 (en) Safe-arrival guidance system for an air descent experience ride
JP2018207744A (en) Self-propelled electric wire inspection device
JP2019110616A (en) Self-traveling electric wire inspection device
KR20220130466A (en) cable bike
JP2018207742A (en) Self-propelled wire inspection device
KR101768808B1 (en) Playing apparatus
KR20190009306A (en) A transport vehicle designed to be pulled by an overhead cable, and a device comprising such a vehicle
CN220925975U (en) Elevator capable of continuously moving around stair railing
KR20130009717A (en) A revolving ride of cylinder type
JPH1059659A (en) Elevator
RU2284842C2 (en) Russian merry-go-r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