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917A - 인공우모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우모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917A
KR20130094917A KR1020120016178A KR20120016178A KR20130094917A KR 20130094917 A KR20130094917 A KR 20130094917A KR 1020120016178 A KR1020120016178 A KR 1020120016178A KR 20120016178 A KR20120016178 A KR 20120016178A KR 20130094917 A KR20130094917 A KR 20130094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artificial
feathers
artificial wool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0763B1 (ko
Inventor
조옥선
강영록
Original Assignee
박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성 filed Critical 박대성
Priority to KR1020120016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7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7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fire- or flame-proof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forming intermeshing loops or stitches from some of the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우모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우모와, 상기 인공우모를 사이에 두어 샌드위치 구조를 이루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인공우모는 원통형의 마디부와, 상기 마디부를 관통하여 다수의 마디부를 연결하는 끈형 연결부와, 상기 끈형 연결부의 양 끝을 고정하는 고정마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공우모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우모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A NONWOVEN FABRIC WITH ARTIFICIAL PLUMAG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천연 우모의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인공우모를 제공함으로써 부직포에 사용하여 부직포의 보온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공우모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열(Thermal insulation)의 주된 목적은 열손실이나 열취득을 억제하여 냉난방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절약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열을 위한 재료로는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으나, 그 중에서 공기층에 의한 단열효과는 매우 뛰어나다.
특히 오리, 닭, 거위 등의 깃털인 우모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구성하게 될 경우에는 우모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에 의한 단열효과는 증대되게 된다.
상기 우모를 적용하여 개시된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10-0918075(등록일자 2009년09월11일)의 '우모 직물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우모 직물을 이용한 오일 처리 물품', 대한민국등록특허 10-0092613(등록일자 1995년09월14일)의 '우모포대', 대한민국등록특허 10-0302467(등록일자 2001년07월03일)의 '우모를 이용한 유흡착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생산된 유흡착재', 대한민국등록특허 10-0648190(등록일자 2006년11월14일)의 '우모 이불 및 그 제조방법' 및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32121(등록일자 2011년04월22일)의 '우모를 이용한 오일 흡착포 및 그 제조 방법'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이 개시된 기술들은 모두 우모와 직물 또는 부직포등이 직접적으로 얽히도록 하여 제조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직물, 부직포 등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공기층의 부피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단열효과가 급격히 떨어지게 되어 단열효과를 제대로 내기 어렵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 우모의 공기층에 의한 보온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공우모를 제공함으로써 부직포의 유동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보온성을 극대화시킨 부직포를 완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918075(등록일자 2009년09월11일) 대한민국등록특허 10-0092613(등록일자 1995년09월14일) 대한민국등록특허 10-0302467(등록일자 2001년07월03일) 대한민국등록특허 10-0648190(등록일자 2006년11월14일)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32121(등록일자 2011년04월22일)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 우모를 사용하여 직물 등을 제조하던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여 외부 압력을 가하거나 장시간이 소요되더라도 단열재의 기능을 하는 공기층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인공우모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원통 관 형상의 분절형 몸체부와,
다수의 몸체부를 관통하여 하나로 연결하는 끈 형상의 연결이음부와,
상기 연결이음부의 양끝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로 구성된 인공우모;와,
상기 인공우모를 사이에 두어 상,하로 적층형성되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공우모 부직포와,
상기 인공우모 부직포를 제조하는 기술 구성으로서,
시트형 부직포를 상,하로 적층 후 주머니 형태로 박음질하여 일측이 개방된 부직포 주머니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 주머니 내부로 원통 관 형상의 분절형 몸체부 다수를 끈 형상의 연결이음부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인공우모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인공우모를 채운 부직포의 개방된 일측을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공우모 부직포 제조방법을 주요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우모 부직포는 천연 우모가 아닌 인공우모를 이용하여 부직포를 구성함으로써 천연우모 사용시 부직포와 천연우모 사이의 엉킴이 발생하여 부직포의 전체 부피가 줄어들어 공기층의 급격히 줄어드는 문제를 해결하여, 충분한 공기층의 확보에 따른 단열효과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부직포의 굽힘, 꺽임 등의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분절형의 인공우모를 제공함으로써 보온성, 유동성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인공우모 부직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우모를 이용한 부직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우모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우모를 보인 측면도((a)유동이 없는 상태 (b) 유동이 있는 상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우모의 일부를 보인 측단면도.
본 발명의 기술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는 명칭 '인공우모'는 천연우모의 공기층 확보 기능성을 인공적으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우모의 기능을 인공적으로 부여한다는 의미에서 사용한다.
이하, 상기의 기술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우모 부직포의 전체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공우모 부직포(1)는 원통 관 형상의 분절형 몸체부(101)와,
다수의 몸체부(101)를 관통하여 하나로 연결하는 끈 형상의 연결이음부(102)와,
상기 연결이음부(102)의 양끝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03)로 구성된 인공우모(10);와,
상기 인공우모(10)를 사이에 두어 상,하로 적층형성되는 부직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의 중요 기술구성은 인공우모(10)를 부직포 사이에 넣어 단열재의 기능을 하는 공기층을 충분히 확보하고, 이와 같은 공기층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는 데 있는 것으로서, 상기 인공우모(10)를 구성하고 있는 몸체부(101)의 크기는 다양하게 설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예로서 외부직경 1~2cm, 길이 3~5cm인 원통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VC, ABS,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SAN(Styrene Acrylonitrile Copolymer), 에틸렌초산비닐, 폴리아미드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것으로서, Diameter(㎛) 16, Density(g/㎤) 2.58, Tensile strength(GPa) 1.65, Tensile modulus(GPa) 77인 유리섬유 다발이 ABS 사용량에 대해 2~5wt%로 배양된 원통 관 형상의 몰드에 Tensile strength(MPa) 63, Tensile modulus(GPa) 1.63, Flexural strength(MPa) 41, Heat reflection temperature(℃) 120, Specific gravity 1.16~1.21인 ABS 수지와 경화제를 1:2 중량비로 주입 후 상온에서 5~10분간 진공 주형하고, 진공 주형 후 65~75℃에서 20~40분간 열처리오븐에서 경화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인공우모(10)의 몸체부(10)의 형상은 원통 관 형상 외에 다양한 다각형의 관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우모(10)는 원통 관 형상의 분절형 몸체부(101)와, 상기 몸체부(101)로 끈 형상의 연결이음부(102)를 관통시켜 다수의 분절형 몸체부(101)가 일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연결이음부(102)의 양끝은 원통형 덮개 형상의 고정부(103)에 접착제 또는 일반적인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끈 형상의 연결이음부(102)는 유동성이 강하기 때문에 부직포에 인공우모(10)를 넣어 제조하더라도 부직포의 유동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인공우모(10)는 기존에 사용하던 천연 우모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부직포 내의 공기층을 충분히 확보하여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직포를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이 없도록 유동성을 가지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제공한다.
상기 부직포(20)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80~99wt%와,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A, 디브로모크레실에테르, 트리브로모페놀, 트리브로모페닐 트리아진, 트리브로모페닐아릴에테르, 퍼클로로시클로데칸, 퍼클로로시클로펜타데칸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난연제 1~2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혼합물을 1.5in 압출기에 도입하여 290℃의 방사노즐을 통해 방사하되, 방사속도 1,500 m/min로 방사한 섬도 2.2 denier의 단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으로서,
상기 난연제의 사용량은 난연성의 특성을 최대한 유지하되, 부직포의 품질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투입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1wt% 미만인 경우에는 부직포의 난연 특성이 미미하여 난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단섬유의 인장신율 등의 특성이 떨어져 상기 단섬유를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난연제의 사용량은 1~2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우모 부직포의 제조과정은,
시트형 부직포를 상,하로 적층 후 주머니 형태로 박음질하여 일측이 개방된 부직포 주머니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 주머니 내부로 원통 관 형상의 분절형 몸체부(101) 다수를 끈 형상의 연결이음부(102)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인공우모(10)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인공우모(10)를 채운 부직포의 개방된 일측을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우모 부직포는 인공우모를 사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함에 따라 부직포 내의 단열기능을 갖는 공기층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1 : 인공우모 부직포
10: 인공우모
20: 부직포

Claims (5)

  1. 원통 관 형상의 분절형 몸체부(101)와,
    다수의 몸체부(101)를 관통하여 하나로 연결하는 끈 형상의 연결이음부(102)와,
    상기 연결이음부(102)의 양끝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03)로 구성된 인공우모(10);와,
    상기 인공우모(10)를 사이에 두어 샌드위치 구조로 적층되는 부직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우모 부직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부(101)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VC, ABS,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SAN(Styrene Acrylonitrile Copolymer), 에틸렌초산비닐, 폴리아미드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우모 부직포.
  3.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부(101)는 Diameter(㎛) 16, Density(g/㎤) 2.58, Tensile strength(GPa) 1.65, Tensile modulus(GPa) 77인 유리섬유 다발이 ABS 사용량에 대해 2~5wt%로 배양된 원통 관 형상의 몰드에 Tensile strength(MPa) 63, Tensile modulus(GPa) 1.63, Flexural strength(MPa) 41, Heat reflection temperature(℃) 120, Specific gravity 1.16~1.21인 ABS 수지와 경화제를 1:2 중량비로 주입 후 상온에서 5~10분간 진공 주형하고, 진공 주형 후 65~75℃에서 20~40분간 열처리오븐에서 경화시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우모 부직포.
  4. 청구항 1에 있어서,
    부직포(20)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80~99wt%와,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A, 디브로모크레실에테르, 트리브로모페놀, 트리브로모페닐 트리아진, 트리브로모페닐아릴에테르, 퍼클로로시클로데칸, 퍼클로로시클로펜타데칸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난연제 1~2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혼합물을 1.5in 압출기에 도입하여 290℃의 방사노즐을 통해 방사하되, 방사속도 1,500 m/min로 방사한 섬도 2.2 denier의 단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우모 부직포.
  5. 시트형 부직포를 상,하로 적층 후 주머니 형태로 박음질하여 일측이 개방된 부직포 주머니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 주머니 내부로 원통 관 형상의 분절형 몸체부(101) 다수를 끈 형상의 연결이음부(102)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인공우모(10)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인공우모(10)를 채운 부직포의 개방된 일측을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우모 부직포 제조방법.
KR1020120016178A 2012-02-17 2012-02-17 인공우모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0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178A KR101410763B1 (ko) 2012-02-17 2012-02-17 인공우모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178A KR101410763B1 (ko) 2012-02-17 2012-02-17 인공우모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917A true KR20130094917A (ko) 2013-08-27
KR101410763B1 KR101410763B1 (ko) 2014-07-01

Family

ID=4921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178A KR101410763B1 (ko) 2012-02-17 2012-02-17 인공우모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7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8897A1 (de) 2002-07-18 2004-01-29 Thermobalance Ag Daunenähnliches füllmateria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0613648B1 (ko) 2005-05-31 2006-08-22 흥 길 최 우모를 이용한 보온덮개
DK176541B1 (da) 2005-09-30 2008-07-28 Lm Glasfiber As Laminat eller en sandwich-konstruktion med formbart kernemateriale
KR100896322B1 (ko) 2007-05-17 2009-05-07 강훈수 개폐가 용이한 보온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763B1 (ko)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87619B (zh) 三层夹心式复合羽绒絮片及其制造方法
JP6425541B2 (ja) 多成分繊維及び中空のセラミック微小球を含む物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TW201428152A (zh) 製造防水絕熱不織布材料之方法及防水絕熱不織布材料
CN108754868B (zh) 保温絮片材料、其制备方法及保温制品
CN105729918B (zh) 一种可呼吸式单向导湿防护材料及在制备纺织用品中的应用
CN106012287A (zh) 一种多功能蜂巢棉保暖絮片及其制备方法
CN108138404A (zh) 非织物羽绒毛絮
JP6641061B1 (ja) エアロゲル含有積層シート及びエアロゲル含有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005153B1 (ko) 에어로겔 발포층이 형성된 보온재용 부직포 구조체
CN207724971U (zh) 一种玻纤吸声无纺布
CN109338590A (zh) 一种功能性黄麻床垫垫芯及垫芯的制作方法
KR101275671B1 (ko) 고보온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295504A (zh) 一种新型蚕丝被及其制作方法
US10815592B2 (en) Thermal insulating structure
KR20130094917A (ko) 인공우모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970669A (zh) 一种簇绒地毯的制作方法
CN201849034U (zh) 一种多层复合无纺布
CN110077036B (zh) 一种用于建筑保温的非织造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BRPI0614987A2 (pt) não-tecido compreendendo regiões de fibras de diferentes densidades e método de produção do mesmo
JP6091313B2 (ja) 成形用表皮材
CN201062201Y (zh) 一种复合羽绒丝
US20210164140A1 (en) Thermal insulation flocculus materia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thermal insulation article
CN104842596B (zh) 一种涂胶植绒式高弹保暖片状材料及其制造方法
CN211280036U (zh) 一种可用于地暖的竹纤维榻榻米
CN104210156A (zh) 一种垫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