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497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497A
KR20130094497A KR1020120015791A KR20120015791A KR20130094497A KR 20130094497 A KR20130094497 A KR 20130094497A KR 1020120015791 A KR1020120015791 A KR 1020120015791A KR 20120015791 A KR20120015791 A KR 20120015791A KR 20130094497 A KR20130094497 A KR 20130094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tion
portable terminal
module
memory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1749B1 (ko
Inventor
이호신
유병호
최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5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749B1/ko
Priority to US13/715,354 priority patent/US8949727B2/en
Publication of KR20130094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해제하거나 또는 잠금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다수의 객체로 구성된 이미지 셋, 객체의 위치 변형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메모리부의 모듈은 이미지 셋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객체의 위치를 변형시키고, 위치 변형에 따라 객체가 결합되거나 또는 객체가 분리되는 경우, 잠금 기능을 제어하되, 적어도 한 객체는 객체의 위치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해제하거나 또는 잠금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특히,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함과 무선 인터넷의 도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통화 또는 일정 관리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게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리모컨,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이미지 촬영의 그 활용 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더하여, 최근에는 터치스크린 기술이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었으며,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선호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일반적으로 터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터치 잠금 기능이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감지하여 터치 잠금 기능을 해제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이미지와 보조 이미지를 표시한 후, 잠금 해제 이미지가 보조 이미지의 경로로 이동되는 경우, 터치 잠금을 해제한다.
더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잠금 상태에서 패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출력한 후, 사용자의 연속적인 터치 입력을 확인하여 미리 정한 조합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터치 잠금을 해제한다.
위와 같은 터치 잠금 해제 방식은 미리 정해진 화면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것으로, 동작 방식과 디자인이 단조롭다는 문제점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개선된 터치 잠금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능 잠금 화면에 출력된 객체의 형태를 변형시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능 잠금 화면에 출력된 객체의 가변 영역을 이용하여 객체의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 출력된 객체의 형태를 변형시켜 기능 잠금 화면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다수의 객체로 구성된 이미지 셋, 객체의 위치 변형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메모리부의 모듈은 이미지 셋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객체의 위치를 변형시키고, 위치 변형에 따라 객체가 결합되거나 또는 객체가 분리되는 경우, 잠금 기능을 제어하되, 적어도 한 객체는 객체의 위치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로 구성된 이미지 셋, 객체의 외형 변형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메모리부의 모듈은 이미지 셋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객체의 외형을 변형시키고, 외형 변형에 정도에 따라 잠금 기능을 제어하되, 객체는 객체의 위치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다수의 객체로 구성된 이미지 셋을 출력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객체의 위치를 변형시키는 과정과, 위치 변형에 따라 객체가 결합되거나 또는 객체가 분리되는 경우, 잠금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적어도 한 객체는 객체의 위치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로 구성된 이미지 셋을 출력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객체의 외형을 변형시키는 과정과, 외형 변형에 정도에 따라 잠금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객체는 객체의 위치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능 잠금 화면에 출력된 객체의 형태를 변형시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터치 이동 또는 입력 패턴을 이용하는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보다 사용자 만족감을 높이는 자금 기능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 제한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능 잠금 화면에 출력된 객체의 형태를 변형시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에서 언급한 사용 제한 모드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불필요한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모드로 터치 잠금 모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메모리부(102), 통신부(104), 표시부(106), 입력부 (108) 및 오디오 처리부(11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어부(100)는 사용 제한 모드로 진입할 경우, 사용 제한 모드를 알리는 기능 잠금 화면을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기능 잠금 화면을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능 잠금 화면에 포함된 객체의 형태를 변형시키도록 처리한다.
더하여, 제어부(100)는 사용 제한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도 사용 제한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객체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 출력된 객체의 형태를 변형시킨다.
이후, 제어부(100)는 변형되는 객체의 형태를 이용하여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하거나 사용 제한 모드로 진입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메모리부(102)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를 포함한다. 또는, 메모리부(102)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더하여, 메모리부(102)는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를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부(102)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102-1),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102-2), 출력 소프트웨어 모듈(102-3),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102-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는 운영 체제, 통신 모듈 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모듈은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102-1)는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102-1)는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안드로이드, 심비안, 마에모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가 될 수 있다.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102-2)은, RF IC 유닛(131)이나 외부 포트(140)를 통한 데이터 송신 및 데이터 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출력 소프트웨어 모듈(102-3)은 터치스크린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102-6)는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짓(widget), JAVA 인에이블 애플 리케이션, 부호화(coding),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음악 플레이어(music player)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102-6)는 휴대용 단말기 제조시 제공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추가될 수 있다.
더하여, 메모리부(102)는 본 발명에 따라 객체 변환 모듈(102-4), 객체 분석 모듈(10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객체 변환 모듈(102-4)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 출력된 객체의 형태를 변형시킨다.
이때, 객체 변환 모듈(102-4)은 객체의 형태를 변형시키면서 객체의 형태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영역인 가변 영역도 함께 변형시킨다. 여기에서, 객체 변환 모듈(102-4)에 의해 변형되는 객체의 형태는 결합된 다수의 객체가 서로 분리되거나 또는 독립된 다수의 객체가 서로 결합되는 것이 될 수 있다.
더하여, 객체 분석 모듈(102-5)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형되는 객체의 형태를 이용하여 사용 제한 모드의 진입 또는 해제 여부를 판단한다.
일 예로, 객체 분석 모듈(102-5)은 미리 정한 임계값(사용 제한 모드 해제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값(객체의 결합을 판단하는 값, 객체의 분리를 판단하는 값 등)) 이상의 객체 변형을 확인하면,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통신부(104)는 안테나(105)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04)는 안테나 모듈, RF 처리기, 증폭기, 튜너, 오실레이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통신부(104)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모듈들의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06)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휴대용 단말기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와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06)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한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부(106)는 터치 감지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정보를 인식하여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더하여, 표시부(106)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이미지 셋,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형되는 객체의 형태, 객체의 형태 변형에 따른 가변 영역 등을 출력한다.
입력부(108)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06)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입력부(108)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버튼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예를 들어, 입력부(108)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키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08)는 객체의 형태를 변형시키도록 하는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오디오 처리부(110)는 오디오 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110)는 제어부(100)로부터 제공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114)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고, 마이크(112)로부터 제공받은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 제한 모드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동작을 제한하는 기능으로, 일 예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터치 잠금 모드가 될 수 있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 제한 모드로 진입한 상태로 201단계에서 사용 제한 모드를 알리는 기능 잠금 화면을 출력한다.
이때, 기능 잠금 화면은 다수의 객체로 구성된 이미지 셋이 출력된 화면을 의미하며, 기능 잠금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예; 터치 입력)이 감지되더라도 휴대용 단말기는 감지된 입력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기능 잠금 화면에 포함된 객체의 형태만 변형시킨다. 더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라 기능 잠금 화면에 포함된 객체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이용하여 사용자 제한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셋에 포함된 객체는 이미지, 텍스트 등이 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한 객체는 객체의 형태(위치 또는 외형)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가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확인한 후, 205단계로 진행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능 잠금 화면(이미지 셋)에 포함된 객체의 형태를 변형시킨다. 일 예로, 기능 잠금 화면은 제 1 객체와 제 2 객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객체가 이동하여 제 1 객체 또는 제 2 객체의 위치가 변형될 수 있다. 더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객체의 외형이 변형할 수 있다.
이때, 지속적인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할 경우, 객체의 형태 변형은 커지게 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객체의 가변 영역을 이용하여 객체의 상태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가변 영역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객체의 형태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영역으로, 일 예로, 객체의 이동에 따라 가변 영역이 넓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객체의 가변 영역 상태가 사용자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209단계에서 객체의 가변 영역 상태가 사용자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209단계에서 객체의 가변 영역 상태가 사용자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제한 모드를 해제하도록 처리한다. 일 예로, 휴대용 단말기는 기능 잠금 화면(이미지 셋)의 출력을 중단하고, 기능 동작을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제한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기능 객체의 형태 변형을 이용하여 사용자 제한 모드를 해제한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2에서 언급한 사용자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객체의 형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제 1 실시 예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기능 잠금 화면은 다수의 객체가 서로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결합된 객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객체는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분리된 객체가 사용자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객체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객체는 가변 영역을 이용하여 분리되는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기능 잠금 화면은 다수의 객체가 서로 독립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분리된 객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객체가 다른 객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결합된 객체가 사용자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객체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객체는 가변 영역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제 3 실시 예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기능 잠금 화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객체의 외형이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형되는 객체의 외형이 사용자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객체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객체는 가변 영역을 이용하여 변형되는 외형을 표시할 수 있다.
더하여, 도 2에서는 기능 잠금 화면의 객체 형태를 변형시켜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기능 잠금 화면의 객체 형태를 변형시켜 사용 제한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휴대용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항목을 출력한 화면의 일부 영역에 제 1 객체와 제 2 객체를 출력한 후, 제 1 객체 또는 제 2 객체를 이동시켜 두 객체가 결합됨을 확인할 경우, 사용 제한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객체로 구성된 이미지 셋인 기능 잠금 화면을 이용하여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기능 잠금 화면은 참조부호(a)와 같이 제 1 객체 (예; 나무 조각)(301)와 제 2 객체(예; 못)(303)가 결합된 이미지 셋(30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기능 잠금 화면에 포함된 객체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형되는 객체의 형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객체 (303)의 가변 영역은 참조부호 305와 같이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제 1 객체 (301)에서 분리되는 제 2 객체 (303)의 형태를 표현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감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 1 객체 또는 제 2 객체의 형태를 변형시키고 객체의 형태가 미리 정해진 형태로 변형되는 경우,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는 참조부호(b)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용 단말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객체(312)와 제 2 객체 (314)가 결합된 기능 잠금 화면(310)을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게 될 것이며, 만일, 제 2 객체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며,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만큼 제 2 객체가 이동되면서 제 1 객체에서 분리될 것이다. 여기에서, 객체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은 제 1 객체와 제 2 객체가 분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제 2 객체가 분리되는 만큼 가변 영역을 출력하여 분리되는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만일, 제 2 객체(324)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미리 정한 임계값 미만으로 분리(326)되는 경우(제 1 객체 (322)와 제 2 객체(324)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320)),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 제한 모드를 유지한다.
한편, 제 2 객체(334)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미리 정한 임계값 이상으로 분리(326)되는 경우(제 1 객체 (332)와 제 2 객체 (334)가 분리되는 경우(330)),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정한 임계값은 사용 제한 모드 해제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값으로, 제 1 객체와 제 2 객체가 분리되는 상황을 판단하는 값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로 구성된 기능 잠금 화면을 이용하여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기능 잠금 화면은 참조부호(a)와 같이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객체로 구성된다. 이때, 제 1 객체는 가변 영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객체의 변형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일 예로, 제 1 객체의 가변 영역이 찌그러지거나 접힐 수가 있다.
제 1 객체가 출력된 상태(401)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제 1 객체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확인한 후, 제 1 객체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 1 객체의 형태를 변형시킨다.
일 예로, 휴대용 단말기는 참조부호(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객체가 포함된 기능 잠금 화면을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게 될 것이며, 만일, 출력된 제 1 객체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기 출력된 제 1 객체의 영역 가운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영역의 형태를 변형(403)시키고, 변형된 형태에 따라 제 1 객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효과를 적용(405)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객체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출력된 물감 이미지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이고, 특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적용되는 것은 물감 객체의 외형이 변형되는 동시에 물감이 흘러나온 효과가 될 것이다. 이때, 제 1 객체의 가변 영역은 제 1 객체의 전체 영역(401)과 특성이 적용되는 영역(402)이 될 수 있다.
만일, 제 1 객체의 형태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미리 정한 임계값 미만으로 변형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 제한 모드를 유지한다. 이는 참조부호(b)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 1 객체의 형태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미리 정한 임계값 이상으로 변형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는 참조부호(c)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객체로 구성된 이미지 셋인 기능 잠금 화면을 이용하여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기능 잠금 화면은 참조부호(a)와 같이 제 1 객체(예; 자성에 반응하는 물질)(501)와 제 2 객체(예; 자석)(503)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기능 잠금 화면에 포함된 객체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객체의 변형 형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참조부호(b)와 같이 제 2 객체(503)가 제 1 객체(501) 위치로 이동(505)하는 경우, 참조부호(c)와 같이 제 1 객체 (501)가 제 2 객체 (503)와 결합(507)되며, 휴대용 단말기는 제 1 객체(501)와 제 2 객체(503)가 결합되는 시점에 사용 제한 모드를 해제시킨다. 이때, 제 2 객체 (503)의 가변 영역은 제 1 객체 (501)가 결합된 영역이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 제한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 제한 모드가 해제된 상태로 참조부호(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항목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 제한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이미지 셋(601), (602)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기 출력된 화면의 항목을 이용하여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도중에 사용 제안 모드로 진입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사용 제한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이미지 셋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휴대용 단말기는 참조부호(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화면의 일부 영역에 제 1 객체와 제 2 객체를 출력한 후,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제 1 객체 또는 제 2 객체를 이동(603)시킬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두 객체가 서로 겹쳐질 때까지 터치 입력을 유지한 상태로 제 1 객체 또는 제 2 객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더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제 1 객체 또는 제 2 객체를 플리킹하여 객체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이동되는 객체는 화면 테두리를 통해 굴절되어 다른 객체와 겹쳐질 수 도 있다.
이후, 참조부호(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객체와 제 2 객체가 서로 겹쳐지는 것과 같이 미리 정한 형태로 변형(604)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 제한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 제한 모드로 진입한 휴대용 단말기는 참조부호(d)와 같이 기능 잠금 화면을 출력(605)하여 사용 제한 모드 해제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어부 102: 메모리부

Claims (16)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객체로 구성된 이미지 셋, 객체의 위치 변형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메모리부의 모듈은,
    이미지 셋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객체의 위치를 변형시키고,
    위치 변형에 따라 객체가 결합되거나 또는 객체가 분리되는 경우, 잠금 기능을 제어하되,
    적어도 한 객체는
    객체의 위치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메모리부의 모듈은,
    객체의 위치를 변형에 따라 가변 영역을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메모리부의 모듈은,
    가변 영역이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되는 경우에 위치 변형에 따라 객체가 결합되거나 또는 객체가 분리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메모리부의 모듈은,
    사용 제한이 설정된 상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상태, 어플리케이션 항목을 출력한 상태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상태에서 이미지 셋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로 구성된 이미지 셋, 객체의 외형 변형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메모리부의 모듈은,
    이미지 셋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객체의 외형을 변형시키고,
    외형 변형에 정도에 따라 잠금 기능을 제어하되,
    객체는,
    객체의 위치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메모리부의 모듈은,
    객체의 외형 변형에 따라 가변 영역을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메모리부의 모듈은,
    가변 영역이 임계값 이상으로 변형되는지 확인하여 잠금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메모리부의 모듈은,
    사용 제한이 설정된 상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상태, 어플리케이션 항목을 출력한 상태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상태에서 이미지 셋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객체로 구성된 이미지 셋을 출력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객체의 위치를 변형시키는 과정과,
    위치 변형에 따라 객체가 결합되거나 또는 객체가 분리되는 경우, 잠금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적어도 한 객체는
    객체의 위치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객체의 위치를 변형시키는 과정은,
    객체의 위치를 변형에 따라 가변 영역을 변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위치 변형에 따라 객체가 결합되거나 또는 객체가 분리되는 경우는,
    가변 영역이 임계값 이상으로 변화되는 경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이미지 셋은,
    사용 제한이 설정된 상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상태, 어플리케이션 항목을 출력한 상태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상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로 구성된 이미지 셋을 출력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객체의 외형을 변형시키는 과정과,
    외형 변형에 정도에 따라 잠금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객체는
    객체의 위치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객체의 외형을 변형시키는 과정은,
    객체의 외형 변형에 따라 가변 영역을 변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외형 변형에 정도에 따라 잠금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은,
    가변 영역이 임계값 이상으로 변형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이미지 셋은,
    사용 제한이 설정된 상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상태, 어플리케이션 항목을 출력한 상태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상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0015791A 2012-02-16 2012-02-16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91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791A KR101991749B1 (ko) 2012-02-16 2012-02-16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3/715,354 US8949727B2 (en) 2012-02-16 2012-12-14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791A KR101991749B1 (ko) 2012-02-16 2012-02-16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497A true KR20130094497A (ko) 2013-08-26
KR101991749B1 KR101991749B1 (ko) 2019-06-21

Family

ID=4898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791A KR101991749B1 (ko) 2012-02-16 2012-02-16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49727B2 (ko)
KR (1) KR1019917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567B1 (ko) * 2012-02-24 2018-09-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락스크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TWI506476B (zh) * 2012-11-29 2015-11-01 Egalax Empia Technology Inc 解除觸摸屏鎖定狀態的方法、電子裝置及其儲存媒體
CN103500101B (zh) * 2013-10-14 2016-07-06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锁屏方法、装置及终端
USD738922S1 (en) * 2013-11-21 2015-09-15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icon
USD746867S1 (en) * 2013-11-21 2016-01-05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icon
USD759045S1 (en) * 2014-01-10 2016-06-14 Aliphcom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60291830A1 (en) * 2015-04-03 2016-10-06 I Shou University Method for locking and unlocking an electronic device
USD781916S1 (en) * 2015-06-12 2017-03-21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icon
USD808427S1 (en) * 2016-06-27 2018-01-23 Quantcast Corporatio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808428S1 (en) * 2016-06-29 2018-01-23 Quantcast Corporatio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CN106959856B (zh) * 2017-03-28 2020-03-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屏幕锁定模式的切换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860A (ko) * 2008-07-23 2010-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이벤트 제어방법
KR100993459B1 (ko) * 2005-12-23 2010-11-09 애플 인크. 잠금 해제 이미지 상에서의 제스처 수행에 의한 장치 잠금 해제
KR20110008940A (ko) * 2009-07-21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4929A (ja) 2006-03-28 2007-10-11 Pioneer Electronic Corp ユーザ認証システム、ユーザ認証方法、操作端末及びサーバ等
US7973778B2 (en) * 2007-04-16 2011-07-05 Microsoft Corporation Visual simulation of touch pressure
DE112010003602T5 (de) * 2009-09-09 2012-08-23 Mattel, Inc. System und Verfahren zum Anzeigen, Navigieren und Auswählen von elektronischgespeichertem Inhalt auf einem Multifunktionshandgerät
KR101841121B1 (ko) * 2011-02-17 2018-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948645B1 (ko) * 2011-07-11 2019-0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459B1 (ko) * 2005-12-23 2010-11-09 애플 인크. 잠금 해제 이미지 상에서의 제스처 수행에 의한 장치 잠금 해제
KR20100010860A (ko) * 2008-07-23 2010-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이벤트 제어방법
KR20110008940A (ko) * 2009-07-21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749B1 (ko) 2019-06-21
US20130219310A1 (en) 2013-08-22
US8949727B2 (en) 201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4497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555497B1 (en) Controlling responsiveness to user inputs
EP3232299B1 (en) Physical key component, terminal, and touch response method and device
KR102207861B1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2364590B1 (ko)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및 단말기
KR100993459B1 (ko) 잠금 해제 이미지 상에서의 제스처 수행에 의한 장치 잠금 해제
US998378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based task management
CN105975156B (zh) 应用界面显示方法及装置
KR20140027578A (ko)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8885525A (zh) 菜单显示方法及终端
KR20130008424A (ko) 휴대 단말기에서 바로 가기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302980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cking an electronic device
KR20140043984A (ko) 전자 장치의 화면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
JP2023500390A (ja) アイコン移動方法及び電子機器
US20150077379A1 (en) Electronic devic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N110753153A (zh) 终端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05955808B (zh) 即时通信应用的任务管理方法及装置
CN110209454A (zh) 界面切换方法及界面切换装置
KR20150001095A (ko) 문자 입력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CN112394901A (zh) 音频输出模式调整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04168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and resolution of frustration with a device user interface
CN110730946B (zh) 移动终端的音量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和移动终端
CN105373318B (zh) 信息显示方法及装置
US20140033231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function of alerting running applications and method thereof
CN108829473A (zh) 事件响应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