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415A - 배기구의 밀폐성이 개선된 시트형 풍선 - Google Patents

배기구의 밀폐성이 개선된 시트형 풍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415A
KR20130094415A KR1020120015628A KR20120015628A KR20130094415A KR 20130094415 A KR20130094415 A KR 20130094415A KR 1020120015628 A KR1020120015628 A KR 1020120015628A KR 20120015628 A KR20120015628 A KR 20120015628A KR 20130094415 A KR20130094415 A KR 20130094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film layer
exhaust
open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2205B1 (ko
Inventor
황혜성
Original Assignee
황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혜성 filed Critical 황혜성
Priority to KR102012001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20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33Inflation devices or methods for inflating 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41Holding or sealing means, e.g. handling rods, clamps or 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구의 밀폐성이 개선된 시트형 풍선에 관한 것으로서, 배기구의 개폐를 위해 부착되어지는 시티커에 의한 밀폐성이 개선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공기 주입용 밸브(20)가 구비된 시트형 풍선(10)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풍선(10)에는 내부 기체의 배기를 위한 배기공(11)이 형성되되, 상기 배기공(11) 외측에는 개폐용 스티커(30)가 부착 구비되며; 상기 배기공(11) 내측에는 개폐용 스티커(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내부 필름층(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기구의 밀폐성이 개선된 시트형 풍선{EXHAUST HALL SEAL STRUCTURE OF SHEET TYPE BALLOON}
본 발명은 시트형 풍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풍선 등과 같은 시트형 풍선에 형성된 배기구의 밀폐성이 개선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기구의 밀폐성이 개선된 시트형 풍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각종 시트를 활용하여 제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놀이용이나 응원도구용 등으로 활용되고 있는 각종 풍선류(막대 풍선 등)나 기타 이와 유사한 제품의 경우엔 내부에 기체를 주입하고자 사용되고 있는 밸브는 시트 소재로 이루어진 일 방향 체크밸브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일방향 체크밸브의 경우, 풍선의 내부에 기체를 주입시엔 스트로우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게 되며, 일단 충진이 이루어진 후에는 체크밸브의 특성상 역류가 되지 않아 내부 기체의 배출이 극히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어 휴대상의 어려움으로 재활용이 어렵고 결국 사용한 후에는 대부분 버려지게 되어 쓰레기 발생으로 인한 환경 훼손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더우기, 응원도구나 기타 목적으로 사용한 후에 이를 휴대하기가 편리하도록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는 스트로우와 같은 별도의 기구가 있어야 하며, 설사 이러한 스트로우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내부의 기체가 배출되는 통로가 좁아 배출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상 어려움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기체 배출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막대풍선의 일측에 별도의 배기공을 형성한 후, 배기공 형성 부위에 스티커를 부착하여 개폐를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풍선 내부의 높은 압력으로 인해 스티커의 밀폐력이 상대적으로 저하되어 기밀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풍선용품의 기체 배출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배기구의 밀폐력이 증대된 시트형 풍선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풍선의 신속한 배기가 이루어짐과 함께 안정적인 밀폐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사단은, 일측에 공기 주입용 밸브가 구비된 시트형 풍선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풍선에는 내부 기체의 배기를 위한 배기공이 형성되되, 상기 배기공 외측에는 개폐용 스티커가 부착 구비되며; 상기 배기공 내측에는 개폐용 스티커와 대응되는 위치에 내부 필름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트형 풍선은, 기체의 배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배기구의 개폐를 위해 구성되는 개폐용 스티커가 안정적인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기밀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트형 풍선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 시트형 풍선 평면 구조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3의 B-B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C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배기공 개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부 필름층 정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부 필름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부 필름층 정면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부 필름층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트형 풍선의 배기구 밀폐 구조를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응원도구로 사용되는 막대형태를 이루며, 하단부에는 일방향 체크밸브 형태의 공기 주입용 밸브(20)가 구비된 시트형 풍선(10)에 있어서, 일측에는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공(11)이 형성되며, 배기공(11)의 외측에는 개폐용 스티커(30)가 부착되어지게 된다.
특히, 시트형 풍선(10)의 내부에는 띠 형태를 PE재질의 내부 필름층(40)이 구비됨으로서 개폐용 스티커(30)의 부착시 배기공(11) 부위에서 상호간에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내부 필름층(40)은 도 4에서와 같이 양 단부가 내부에서 시트형 풍선(10)의 양측 실링부위에서 함께 실링 결합되어진 상태로서 풍선 내측면과는 직접적인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개폐용 스티커(30)와 상호간에 접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풍선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이루고, 개폐용 스티커(3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풍선 내측면과 이격되어짐으로서 내부 기체가 배기공(11)을 통해 배출되어지게 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배기구 개폐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시트형 풍선(10)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시트형 풍선(10)에 공기를 주입코자 하는 경우에는 공기 주입용 밸브(20)에 스트로우를 삽입하여 바람을 불어주거나 또는 직접 공기 주입용 밸브(20) 입구에 입을 대고 바람을 불어줌으로서 막대풍선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사용 후 보관이 용이하도록 내부에 충진된 바람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배기공(11)을 폐쇄하고 있는 개폐용 스티커(30)를 열어주어서 제거하게 된다.
즉, 개폐용 스티커(30)가 부착되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풍선 내부에 구비된 내부 필름층(40)이 배기공(11) 형성 위치에서 개폐용 스티커(30)와 부착된 상태를 이룸으로서 내부 필름층(40)에 의한 내부 공기에 의한 압력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개폐용 스티커(30)에서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기공(11)이 개방되어질 수 있도록 개폐용 스티커(30)를 일부 열어주게 되면 내부 필름층(40)과의 부착상태가 해제되어짐으로서 도 6에서와 같이 배기공(11)을 통해 내부 공기의 신속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개폐용 스티커(30)가 풍선 내부에 구비되어진 내부 필름층(40)과 접착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밀폐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부 필름층(40)의 변형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내부 필름층(40)에는 시트형 풍선(10) 내측면과의 밀착력 향상을 위해 배기공(11) 주변과 대응되는 위치에 링 형상의 돌기부(41)가 돌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게 되면, 내부 필름층(40)의 중앙부위가 개폐용 스티커(30)와의 접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돌기부(41)가 시트형 풍선(10) 내측면과 압착이 이루어짐으로서 내부 기밀상태가 더욱 증대되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부 필름층(40)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내부 필름층(40)에는 다수의 공기 유통공(42)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유통공(42)이 내부 필름층(40)에 형성되어지게 되면, 공기 유통공(42)을 통한 공기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서 개폐용 스티커(30)를 개방했을 때 보다 신속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10 : 시트형 풍선 11 : 배기공
20 : 공기 주입용 밸브 30 : 개폐용 스티커
40 : 내부 필름층 41 : 돌기부
42 : 공기 유통공

Claims (4)

  1. 일측에 공기 주입용 밸브(20)가 구비된 시트형 풍선(10)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풍선(10)에는 내부 기체의 배기를 위한 배기공(11)이 형성되되, 상기 배기공(11) 외측에는 개폐용 스티커(30)가 부착 구비되며;
    상기 배기공(11) 내측에는 개폐용 스티커(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내부 필름층(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의 밀폐성이 개선된 시트형 풍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필름층(40)은 PE 재질로 이루어지되, 띠 형태를 이루어 양측이 시트형 풍선(10)의 내부에 실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의 밀폐성이 개선된 시트형 풍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필름층(40)에는 시트형 풍선(10) 내측면과의 밀착력 향상을 위해 배기공(11) 주변과 대응되는 위치에 링 형상의 돌기부(41)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의 밀폐성이 개선된 시트형 풍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필름층(40)에는 다수의 공기 유통공(42)이 형성된 것을 특징.
KR1020120015628A 2012-02-16 2012-02-16 배기구의 밀폐성이 개선된 시트형 풍선 KR101342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628A KR101342205B1 (ko) 2012-02-16 2012-02-16 배기구의 밀폐성이 개선된 시트형 풍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628A KR101342205B1 (ko) 2012-02-16 2012-02-16 배기구의 밀폐성이 개선된 시트형 풍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415A true KR20130094415A (ko) 2013-08-26
KR101342205B1 KR101342205B1 (ko) 2013-12-16

Family

ID=4921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628A KR101342205B1 (ko) 2012-02-16 2012-02-16 배기구의 밀폐성이 개선된 시트형 풍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1665A1 (en) * 2020-03-26 2021-09-30 Rueda Calvet Jose Luis Self-sealing valve for an inflatable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039B1 (ko) * 2016-09-26 2018-05-02 황혜성 공기 주입 및 배출이 용이한 막대풍선
KR101989675B1 (ko) 2017-07-04 2019-06-18 황덕형 시트형 풍선의 배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1833B2 (ja) 2000-02-21 2002-11-05 株式会社サントク 真空保管袋
KR200273168Y1 (ko) 2002-01-11 2002-04-20 김대성 막대풍선
KR200322970Y1 (ko) 2003-04-09 2003-08-14 황혜성 풍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1665A1 (en) * 2020-03-26 2021-09-30 Rueda Calvet Jose Luis Self-sealing valve for an inflatable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205B1 (ko) 201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0343B2 (ja) 持ち運び可能な詰替え式スプレーボトル
JP4278166B2 (ja) 強化気密機能を有するエアーシール
JP4367961B2 (ja) 強化した密封機能を持つエアシール体
JP2008127104A (ja) ギャップ孔型の空気弁を有するエアーシールとギャップ孔型の空気弁
DE502008002575D1 (de) Verpackungsbeutel
KR101342205B1 (ko) 배기구의 밀폐성이 개선된 시트형 풍선
JP2008127103A (ja) 独立式の二層エアチャンバーを持つエアシール体
ATE469844T1 (de) Verpackung mit verbesserter wiederverschliessbarer öffnung
CN104843332A (zh) 一种自闭式缓冲包装袋
JP2008095330A5 (ko)
CN201647372U (zh) 一种改进的手卷式压缩真空袋
CN201553371U (zh) 复合塑料编织袋
CN201074091Y (zh) 强化气密效果的空气密封体及其逆向止气阀装置
CN102673892B (zh) 多泡式充气包装袋
CN214987402U (zh) 一种具有充气封口结构的双层包装袋
CN206813670U (zh) 一种方便排气的气柱袋
CN206107961U (zh) 气体密封体
CN202558038U (zh) 多泡式充气包装袋
CN204110519U (zh) 止气阀膜
CN202848348U (zh) 新型充气包装袋
CN204124571U (zh) 气囊式双拉链高密封性封套
CN202594105U (zh) 膜式填充固化剂包装袋
CN202226165U (zh) 软包装袋单向排气阀
CN203345424U (zh) 一种保护易碎品的充气袋
CN214494111U (zh) 一种灌装防撞击的包装气柱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