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210A - 흡음보드 - Google Patents

흡음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210A
KR20130093210A KR1020120014599A KR20120014599A KR20130093210A KR 20130093210 A KR20130093210 A KR 20130093210A KR 1020120014599 A KR1020120014599 A KR 1020120014599A KR 20120014599 A KR20120014599 A KR 20120014599A KR 20130093210 A KR20130093210 A KR 20130093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sound
absorbing material
sawdus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희
최성호
김상욱
Original Assignee
김철희
최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희, 최성호 filed Critical 김철희
Priority to KR102012001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3210A/ko
Publication of KR20130093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6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주파수 대역별로 최적의 흡음력을 발휘하는 특정 재질로 된 흡음재를 포함하는 흡음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재질의 흡음재를 포함하는 흡음보드를 조합하여 시공하면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뛰어난 흡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에서 사용되는 흡음재는 100% 천연소재이기 때문에, 환경호르몬 및 발암물질 등이 배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에 있어서는, 프레임의 각각의 격벽에 공기통풍구가 형성되어 소리에너지의 운동이 원활하게 되며, 부직포나 한지로 된 흡음재덮개를 사용하여 흡음효과를 전혀 손상함이 없이 흡음재의 이탈을 막아주게 된다.

Description

흡음보드{Acoustic Equalizer Absorption Board}
본 발명은 어쿠스틱 흡음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예컨대 실내 체육관, 강당, 교육장, 예배당 등과 같이 다양한 주파수의 음향이 혼재되어 있는 실내 공간에서 특정한 주파수의 음향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된 신소재의 흡음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 제1022709호 "잔향실 성능 개선을 위한 차음판", 특허 제451400호 "흡음 및 차음 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특허 제1025282호 "흡음과 투시 복합형 방음판", 특허 공개번호 제2011-65877호 "음향 패널 시스템", 실용신안등록 제295302호 "건축내장용 흡음패널", 실용신안등록 제332827호 "방음판", 실용신안등록 제337820호 "흡음판넬", 실용신안등록 제418703호 "흡음률 조정이 가능한 흡음패널시스템", 실용신안등록 제328974호 "흡음패널",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0-1809호 "고흡음성 흡읍 복합재 구조" 등이 있다.
실내공간의 음향환경(acoustic circumstance)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소통의 원활함'이라 할 수 있는데, 강연회나 음악회 등에서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은 공간 활용의 기본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소통의 원활함은, 특히 음악회 및 연주회에서 단순한 소리의 전달이 아닌 음악으로부터의 감동의 전달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게 된다.
실내 공간에서 소통의 원활함을 극대화시켜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음향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하여서는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야 하는데, 우선 적절한 잔향시간을 들 수 있다.
잔향시간(reverberation time)이란 울림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며, 일정 세기의 음을 발생하여 실내가 정상상태가 되었을 때 음원으로부터 음의 발생을 중지시킨 후 음에너지 밀도가 최초 값보다 100만분의 1까지, 또는 음압이 60dB로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말하는데, 그 양과 형태에 따라 인지하게 되는 음이 확연히 달라지게 되기 때문에 대표적인 음향요소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연회장과 같이 음성전달이 주가 되는 경우에는 잔향시간이 길면 명료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고, 음악의 경우 템포가 느린 오르간 연주 등에는 긴 잔향시간이 도움이 되지만 비트가 강조된 음악과 같이 짧은 템포의 음악은 앞 음과 따라오는 음 사이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어 긴 잔향시간은 소리의 전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잔향시간이 짧으면 음성을 인지하는데 좋으며 잔향시간이 길면 음악을 연주하기에 좋다고 하지만 잔향에서 중요한 또 다른 요소는 음의 밸런스라고 할 수 있다.
소리는 크게 고음, 중음, 저음으로 나눌 수 있는데, 잔향에 따라 소리의 밸런스가 왜곡되어 들리거나 더 아름답게 들릴 수도 있다. 고음이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은 음성 명료도가 좋아 강연 등에 도움이 되고, 저음이 많은 경우는 소리가 웅장해져 음악 연주에 적합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흡음보드는 단일 재질의 흡음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흡음보드에 의하면 고음, 중음, 저음의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안정적인 흡음력을 발휘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흡음재는 석유화학 제품으로 포름알데히드와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아세트알데히드, 일리디클로로벤젠 및 스틸렌 등의 화학성분이 들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특유의 자극적인 냄새와 더불어 인체에 해를 끼치는 환경호르몬을 생성하여 배출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석유화학 제품의 흡음재는 시간이 경과하면 실내의 수증기나 먼지에 의해 흡음성능이 현저하게 저하하며, 시간이 경과하면 흡음재의 일부가 떨어져 실내로 비산함으로써 실내의 공기 청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에 단일 재질의 흡음재로 된 흡음보드를 시공함으로써 특정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흡음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주파수 대역별로 최적의 흡음력을 갖는 특정 재질의 흡음재를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흡음보드를 제공함으로써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전체적인 흡음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흡음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는 각각의 주파수 대역별로 최적의 흡음력을 갖는 특정 재질의 흡음재를 포함하기 때문에, 다양한 재질의 흡음재를 사용한 흡음보드의 조합에 의해 전체적인 흡음력이 최대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에서 사용되는 흡음재는 100% 천연소재이기 때문에, 환경호르몬 및 발암물질 등이 배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에 있어서는, 프레임의 각각의 격벽에 공기통풍구가 형성되어 소리에너지의 운동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의 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에 있어서, 흡음재로 갈대꽃을 사용하였을 때의 주파수 대역별 흡음실험측정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에 있어서, 흡음재로 펄프 파우더를 사용하였을 때의 주파수 대역별 흡음실험측정표.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에 있어서, 흡음재로 고무나무 톱밥을 사용하였을 때의 주파수 대역별 흡음실험측정표.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에 있어서, 흡음재로 자작나무 톱밥을 사용하였을 때의 주파수 대역별 흡음실험측정표.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에 있어서, 흡음재로 아카시아 나무 톱밥을 사용하였을 때의 주파수 대역별 흡음실험측정표.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에 있어서, 흡음재로 야자나무 섬유을 사용하였을 때의 주파수 대역별 흡음실험측정표.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에 있어서, 흡음재로 코코넛 나무 섬유을 사용하였을 때의 주파수 대역별 흡음실험측정표.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에 있어서, 흡음재로 콩껍질을 사용하였을 때의 주파수 대역별 흡음실험측정표.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에 있어서, 흡음재로 은행나무 잎을 사용하였을 때의 주파수 대역별 흡음실험측정표.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에 있어서, 흡음재로 코르크나무 껍질 톱밥을 사용하였을 때의 주파수 대역별 흡음실험측정표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는 프레임(10), 흡음재(20), 흡음재덮개(30), 표면마감재(50)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10)은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다수의 격벽(12)이 설치되어 있다. 격벽(12)들의 사이에는 요홈(11)이 형성되며, 이들 요홈(11)은 소리에너지가 쉽게 열에너지로 소멸되기 위한 구조를 제고하기 위하여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 참조). 프레임(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서는 접착면(13)이 형성되고, 이 접착면에는 자연소재의 풀 등을 이용하여 흡음재덮개(30)가 접착 고정된다.
각각의 격벽(12)의 중간부에는 공기통풍구(15)가 형성되어 소리에너지의 운동을 원활하게 한다.
프레임(10)은 소리의 왜곡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펄프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음재덮개(30)는 프레임(10)에 담겨진 흡음재의 이탈을 막아주기 위한 것으로서 부직포나 한지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잘 찢기지 않으며 수분의 보유능력에 의한 습도조절 능력을 가지며 공기가 어느 정도 이동 가능하여 소리에너지의 흡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한지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마감재(50)는 공간의 미세먼지의 유입을 막아주며, 외관의 미려를 고려해 우레탄 폼(urethane foam)을 사용한다.
프레임(10), 흡음재(20), 흡음재덮개(30) 및 표면마감재(50)로 구성되는 흡음보드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으나, 본 발명에 의한 흡음보드에 있어서는 흡음재덮개(30)를 한지로 구성하고 또한 각각의 격벽(12)에 공기통풍구(15)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흡음보드와 구분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특정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흡음효과를 최대화시키기 위한 특수 재질의 흡음재(20)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가청 주파수대역은 20 Hz 내지 20,000 Hz 정도이다. 그러나, 예컨대 강연회장과 연주회장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상당한 차이가 있게 되며, 이때 단일 재질의 흡음보드에 의하여서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 관하여 만족할 만한 흡음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모든 물질은 물성에 따라 각기 흡음 주파수 대역이 다르다는 점에 착안하여, 특정 주파수에서 최대의 흡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흡음재를 찾아내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도 6 내지 도 15와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도 6 내지 도 15의 실험결과에 있어서는 발생되는 음향의 크기를 90dB 로 하였으며, 흡음재 설치전의 실험결과는 비어있는 무향실에서의 실험결과이고, 흡음재 설치후의 실험결과는 특정 재질의 흡음재를 포함하는 흡음보드를 설치한 후에 같은 장소에서 얻어진 실험결과이다.
이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100 Hz에서는 갈대꽃이, 250 Hz에서는 펄프 파우더, 500 Hz에서는 고무나무 톱밥, 800 Hz에서는 자작나무 톱밥, 1200 Hz에서는 아카시아 나무 톱밥, 2000 Hz에서는 야자섬유, 2500 Hz에서는 코코넛 섬유, 3000 Hz에서는 콩껍질, 3500 Hz에서는 은행나무잎, 4000 Hz에서는 코르크나무 껍질 톱밥이 가장 뛰어난 흡음력을 보이고 있다.
이 결과를 도표로 정리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물성에 따른 흡음 주파수 대역 및 흡음력
순위 물성 (흡음재) 발생 음향의 크기 최적 흡음 주파수 흡음력 비고
1 갈대꽃 (꽃만을 사용) 90 dB 100 HZ -9 dB 10 메시로 분쇄
2 펄프 파우더 90 dB 250 HZ -7 dB "
3 고무나무 톱밥 90 dB 500 HZ -5 dB "
4 자작나무 톱밥 90 dB 800 HZ -6 dB "
5 아카시아 나무 톱밥 90 dB 1200 HZ -5 dB "
6 야자 섬유 90 dB 2000 HZ -6 dB "
7 코코넛 섬유 90 dB 2500 HZ -5 dB "
8 콩껍질 90 dB 3000 HZ -4 dB "
9 은행나무잎 90 dB 3500 HZ -4 dB "
10 코르크나무 껍질 톱밥 90 dB 4000 HZ -5 dB "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흡음보드가 사용될 실내공간의 사용 목적과 특성에 따라 특정 재질의 흡음재(20)를 포함하는 흡음보드를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또는 각각의 특정 재질의 흡음재(20)를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흡음보드를 선택적으로 교호 시공함으로써 전체적인 흡음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5 (즉, 표 1)에 기재된 10가지 재질은 종래에 흡음재로서 전혀 사용된 바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주파수 대역별로 최적의 흡음력을 발휘하는 특정 재질로 된 흡음재를 포함하는 흡음보드가 제공되므로, 이들을 조합하여 시공하였을 경우에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뛰어난 흡음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프레임
11 - 요홈
12 - 격벽
13 - 접착면
15 - 공기통풍구
20 - 흡음재
30 - 흡음재덮개
50 - 표면마감재

Claims (6)

  1.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태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외벽 사이에 격자형태로 설치된 다수의 격벽(12)과,
    상기 다수의 격벽(12)에 의하여 격벽(12)들 사이에 형성되는 요홈(11)내에 충진되는 흡음재(20)와,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개구부를 덮어주는 흡음재덮개(30)와,
    상기 흡음재덮개(3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어주는 표면마감재(50)로 구성되며,
    상기 흡음재(20)는 갈대꽃, 펄프 파우더, 고무나무 톱밥, 자작나무 톱밥, 아카시아 나무 톱밥, 야자섬유, 코코넛 섬유, 콩껍질, 은행나무잎, 코르크나무 껍질 톱밥 중의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되어 있는 흡음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격벽(12)의 각각에 공기통풍구(15)가 형성되어 있는 흡음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덮개(30)가 부직포 혹은 한지로 된 흡음보드.
  4.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태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외벽 사이에 격자형태로 설치된 다수의 격벽(12)과,
    상기 다수의 격벽(12)에 의하여 격벽(12)들 사이에 형성되는 요홈(11)내에 충진되는 흡음재(20)와,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개구부를 덮어주는 흡음재덮개(30)와,
    상기 흡음재덮개(3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어주는 표면마감재(50)로 구성되며,
    상기 흡음재(30)는 갈대꽃, 펄프 파우더, 고무나무 톱밥, 자작나무 톱밥, 아카시아 나무 톱밥, 야자섬유, 코코넛 섬유, 콩껍질, 은행나무잎, 코르크나무 껍질 톱밥 중에서 선택되는 2 이상의 재질의 혼합물로 되어 있는 흡음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격벽(12)의 각각에 공기통풍구(15)가 형성되어 있는 흡음보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덮개(30)가 부직포 혹은 한지로 된 흡음보드.
KR1020120014599A 2012-02-14 2012-02-14 흡음보드 KR20130093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599A KR20130093210A (ko) 2012-02-14 2012-02-14 흡음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599A KR20130093210A (ko) 2012-02-14 2012-02-14 흡음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210A true KR20130093210A (ko) 2013-08-22

Family

ID=4921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599A KR20130093210A (ko) 2012-02-14 2012-02-14 흡음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32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688A (ko) 2015-04-03 2016-10-12 지득호 아트보드를 활용한 흡음보드 생산방법
KR102075876B1 (ko) * 2019-10-23 2020-02-10 조남웅 아까시 나무 방음패널
CN113775067A (zh) * 2021-10-25 2021-12-10 广州新静界声学科技股份有限公司 低频吸收加强的复合吸声组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688A (ko) 2015-04-03 2016-10-12 지득호 아트보드를 활용한 흡음보드 생산방법
KR102075876B1 (ko) * 2019-10-23 2020-02-10 조남웅 아까시 나무 방음패널
CN113775067A (zh) * 2021-10-25 2021-12-10 广州新静界声学科技股份有限公司 低频吸收加强的复合吸声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26196A (zh) 声响产生系统、声响收录系统、声响产生方法、声响收录方法、声响调整方法、声响调整程序、声场调整系统、扬声器基座、家具、扬声器箱以及扬声器装置
US2973824A (en) High fidelity speaker apparatus
CN102625212B (zh) 平板式音响
KR20130093210A (ko) 흡음보드
US2205804A (en) Tone modifier device for electrical musical instruments
CN205276522U (zh) 一种防火吸音板
US2153357A (en) Acoustic damping material
CN215166736U (zh) 一种多孔陶瓷吸声板
US2991840A (en) Sound reproducer
CN207531067U (zh) 扬声器箱
CN205946128U (zh) 一种多被动盆式低音增强音箱
US2801703A (en) Diffused-tone cabinet for organs
CN205430591U (zh) 多功能立体音箱
KR20090084599A (ko)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다공성 흡음패널
JPH01287342A (ja) 部屋の音響設備
CN2293930Y (zh) 空气阻尼管式全吸收音箱
CN214821513U (zh) 一种吸音芯
CN217632156U (zh) 一种新型静音隔音木门
JP3233200U (ja) 部屋の防音構造
CN201805536U (zh) 英语诵读超重低音音箱
Larsen et al. Variable Low-Frequency Absorber for Multi Purpose Concert Halls
CN210685034U (zh) 穿孔铝棉吸声板
KR200185605Y1 (ko) 도자기형 스피커
CN203271506U (zh) 一种隔声门门板结构
CN212765189U (zh) 一种音乐播放隔音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