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898A -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 Google Patents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898A
KR20130091898A KR1020120013233A KR20120013233A KR20130091898A KR 20130091898 A KR20130091898 A KR 20130091898A KR 1020120013233 A KR1020120013233 A KR 1020120013233A KR 20120013233 A KR20120013233 A KR 20120013233A KR 20130091898 A KR20130091898 A KR 20130091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kitchen waste
outlet port
side wall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2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37500B1 (en
Inventor
배우근
박영식
이정훈
박강호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3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500B1/en
Publication of KR20130091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8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5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19Liquid-solid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PURPOSE: A kitchen garbage pre-treatment device with a baffle between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is provided to reduce the outflow of kitchen garbage with high specific gravity from a sediment case, and to prevent an indoor pipe from being clogged. CONSTITUTION: A kitchen garbage pre-treatment device (100) comprises a sediment case, and a baffle (190). The sediment case includes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The baffle is provided in between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to hinder running water, and settles down kitchen garbage which is contained in the running water.

Description

주방오물 전처리장치{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Kitchen Waste Pretreatment Equipment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 등의 주방오물을 오수관으로 배출하기에 앞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분쇄물을 침전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게 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나머지 분쇄물이 오수관 및 하수도를 통해 원활하게 유하할 수 있도록 돕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ecipitate or remove a relatively large pulverized product before discharging the kitchen trash such as crushed food waste into a sewage pipe. It relates to a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to help the small remaining crushed to flow smoothly through the sewage pipe and sewer.

일반 가정이나 대형 음식점 등의 주방 씽크대 하부측의 배수로에 설치하여 각종 음식물 쓰레기나 음식물 찌꺼기 등의 주방오물을 분쇄시킨 후 분쇄된 주방오물과 수분을 하수배관을 통해 배출시키도록 한 주방오물 분쇄기(disposer)가 있다.Disposer that is installed in the drain at the lower side of the kitchen sink in general homes or large restaurants to crush kitchen waste such as food waste or food dregs and discharge the crushed kitchen waste and water through sewage pipes. There is).

이와 같은 주방오물 분쇄기는 구동모터의 구동축 상에 회전 칼날을 장착하고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직접적으로 파쇄하도록 구성되거나, 구동모터의 구동축 상에 회전판을 장착하고 회전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회전 칼날과 분쇄기의 내주벽에 돌기가 형성되고 하단을 톱니형으로 형성시킨 통체를 장착하여 투입되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주방오물이 회전판에 의해 비산되면서 회전 칼날과 내주벽 상의 돌기 및 톱니 등에 부딪혀 간접적으로 분쇄 및 파쇄되도록 구성되어진다.Such a kitchen waste grinder is configured to directly rotate a rotary blade on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to crush food was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or to install a rotary plate on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plate. Th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rotary blade and the crusher, and the kitchen wastes such as food wastes, which are introduced by installing the cylindrical bod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aw blade, are scattered by the rotating plate and indirectly hit by the rotary blade and the protrusions and teeth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It is configured to be crushed and crushed.

그러나, 주방오물 분쇄기에 연결되는 가정용 배수 배관이 일반적으로 소구경 관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관계로 배관의 굴곡부 또는 수평부에 침적된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 등의 주방오물이 굳어져 결국 배관이 폐색됨으로써 오히려 분쇄기 상부나 씽크대 위쪽으로 물이 오버플로우(overflow) 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household drainage pipes connected to kitchen waste grinders generally have to use small-diameter pipes, kitchen wastes such as crushed food waste deposited on the bends or horizontal portions of the pipes harden and the pipes are blocked, so the grinder There was a problem of water overflowing the top or the sink.

도 1은 일반적인 가정의 주방과 하수배관의 연결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아파트, 연립주택 또는 일반주택 등 일반 가정(5)에 설치된 주방 또는 씽크대(6)는 직경이 2~5미터 정도인 횡지관(1)에 연결되고, 다수의 가정에 연결된 횡지관(1)은 공동이용수직관(2)에 연결된다. 여러 개의 횡지관(1)이 연결된 공동이용수직관(2)은 직경이 큰 횡주관(3)에 연결되고, 횡주관(3)은 최종적으로 도시하수도(4)에 연결되는 배관 구조를 가진다.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kitchen and the sewer pipe in a typical home. Referring to FIG. 1, a kitchen or sink 6 installed in a general home 5 such as an apartment, a townhouse, or a general house is connected to a lateral pipe 1 having a diameter of about 2 to 5 meters,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omes. The transverse pipe 1 is connected to the common use pipe 2. The joint use vertical pipe 2 to which several cross pipes 1 are connected is connected to the large diameter pipe 3, and the cross pipe 3 has the piping structure connected to the city sewer 4 finally.

이러한 배관 구조를 가지는 가정 내 배관(옥내배관, 횡지관 및 횡주관)은 역구배 또는 제로(zero)구배로 시공되어 있기 때문에 공동·단독 주택에서의 분쇄물 배출 시 옥내배관 폐색 현상이 더 많이 일어날 수 있다.In-home piping (indoor piping, transverse pipes and transverse pipes) having such a pipe structure is constructed with a reverse gradient or zero gradient, which may cause more obstruction of indoor pipelines when pulverized materials are discharged from a common or single house. hav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6675호 등에서 배관 폐색 방지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여기에 제안된 장치는 배관에 세정샤워 노즐을 연결하여 분쇄기의 작동이 멈출 때마다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어 세정수를 분출하는 장치인데, 구조가 복잡하고 별도의 세정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물이 낭비된다는 한계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66675, etc. has proposed a pipe blockage prevention device. However, the device proposed here is a device that connects the cleaning shower nozzle to the pipe and opens the solenoid valve to eject the cleaning water whenever the grinder is stoppe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water is wasted because separate washing water is used. There is a limit.

따라서, 주방오물 분쇄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물의 낭비를 줄이면서 간편하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배관 폐색 방지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ipe occlusion prevention method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while reducing waste of water when using a kitchen crusher.

본 발명은 주방오물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주방오물의 비중에 따라서 옥내 배관으로 배출 여부를 달리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that differs whether or not to be discharged into an indoor pipe according to the specific gravity of the kitchen soil crushed by the kitchen crusher.

본 발명은 분쇄된 주방오물 및 물의 흐름을 조절하여 비중이 큰 주방오물을 걸러주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chen filth pretreatment apparatus for filtering crushed kitchen filth and water flow to filter kitchen gravities with a large specific gravity.

본 발명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내에 퇴적된 비중이 큰 주방오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chen filth pretreatment device which can easily remove a large portion of kitchen filth accumulated in the kitchen filth pre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주방 씽크대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kitchen sink.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는, 주방오물이 포함된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 및 유출되는 유출포트를 구비하는 침전 케이스; 및 상기 침전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유수에 포함된 주방오물을 침전시키는 배플;을 포함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유출포트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유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edimentation case having an inlet port and the outflow port is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d water containing the kitchen waste; And a baffle formed in the precipitation case to precipitate kitchen filth contained in the flow water, wherein the baffl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flow port and the outflow port to control the flow of the flow water.

상기와 같은 배플을 이용하여 유수의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상기 주방오물 중 습윤 밀도가 소정 기준을 초과하는 주방오물이 상기 침전 케이스에서 유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고, 비중이 큰 주방오물이 오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하수처리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By interrupting the flow of running water using the baffl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utflow from the sedimentation case of the kitchen sewage of the wet density of the kitchen waste exceeding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kitchen sewage with a large specific gravity is discharged to the sewage pipe To prevent clogging of sewage treatment pipes.

상기 배플은 상기 침전 케이스의 내벽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과 이격 형성될 수 있다.The baffle may be spaced apart from at least one inner wall of the inner wall of the precipitation case.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유출포트 보다 높지 않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por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not higher than the outlet port.

상기 침전 케이스는 높이가 밑면의 가로 및 세로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와 마주 보는 측벽에 형성되되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ecipitation case has a height longer tha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 of the bottom surface, the baffle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facing the inlet port, but may be formed inclined downward.

상기 유출포트는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이웃하는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포트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outlet port may be formed on a sidewall adjacent to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is formed, and the baffle may be formed below the outlet port.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 및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ffle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is formed and the side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is formed.

상기 배플과 상기 유입포트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플과 상기 유출포트 사이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baffle and the inlet port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baffle and the outlet port.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상기 배플과 사이는 이격 형성될 수 있다.A sidewall between the inlet port and the baffle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 및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ffle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is formed and the side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is formed.

상기 배플과 상기 유입포트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플과 상기 유출포트 사이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baffle and the inlet port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baffle and the outlet port.

상기 배플은 상기 침전 케이스의 바닥과 이격 형성될 수 있다.The baffl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precipitation case.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ffle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is formed a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ide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is formed.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마주 보는 측벽으로부터 이격 형성될 수 있다.The baffl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facing the side 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is formed.

상기 배플과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플과 상기 유출포트의 중심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baffle and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is formed may be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baffle and the center of the outlet port.

상기 유출포트는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이웃하는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포트와 상기 유입포트 사이에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let port may be formed on a sidewall adjacent to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is formed, and the baffle may be formed obliquely between the outlet port and the inlet port.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 포트가 형성된 측벽 및 상기 침전 케이스의 바닥에 연결되며, 상기 유출 포트가 형성된 측벽에 연결된 상기 배플의 가장자리는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 보다 상기 유출 포트의 중심 가까이 형성될 수 있다.The baffle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is formed and the bottom of the precipitation case, and the edge of the baffle connected to the side 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is formed may be form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outlet port than the side wall on which the inlet port is formed.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마주 보는 측벽으로부터 이격 형성될 수 있다.The baffl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facing the side 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is formed.

상기 유입 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상기 배플 사이의 거리는 상기 유출 포트가 형성된 측벽에서부터 마주 보는 측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wall on which the inflow port is formed and the baffle may be formed to increase from the side wall on which the inflow port is formed to the opposite side wall.

상기 침전 케이스는 상기 유입 포트 및 상기 유출 포트가 형성된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플이 형성된 내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cipitation case may include an outer case in which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are formed, and an inner case mounted inside the outer case and in which the baffle is formed.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밀착을 위한 실링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may be formed with a sealing member for close contact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상기 내부 케이스의 측벽 또는 바닥에는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A drain hole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or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는 옥내 배관의 폐색 또는 막힘을 예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blockage or blockage of the indoor pipe.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는 크기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씽크대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Kitchen waste pre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selected in size can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sink.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는 장치 내부에 퇴적된 비중이 큰 주방오물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 편의성을 높이고 쉽게 청소할 수 있다.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the large kitchen waste accumulated in the device, it is easy to increase the maintenance convenience and easy cleaning.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는 비중 또는 습윤밀도에 따라서 배출되는 주방오물과 장치 내에 퇴적되는 주방오물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하수의 오염도를 줄이고 하수처리장에서의 하수처리 부담을 줄일 수도 있다.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tinguish the kitchen waste discharged i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specific gravity or wet density and the kitchen waste deposited in the device can reduce the pollution degree of sewage and reduce the burden of sewage treatment in the sewage treatment plant.

도 1은 일반적인 가정의 주방과 하수배관의 연결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가 설치된 씽크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4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5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kitchen and the sewer pipe in a typical hom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nk installed kitchen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가 설치된 씽크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nk installed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는 가정의 주방에 설치되는 씽크대(6)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씽크대(6)의 내부에는 씽크대에서 설거지 후에 발생하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주방오물을 잘게 분쇄하는 주방오물 분쇄기(11)가 설치된다. 주방오물 분쇄기(11)에는 제어부(12)가 장착될 수 있다. 주방오물 분쇄기(11)에서 분쇄된 주방오물은 분쇄기(11)에 연결된 배관(7)을 통해 옥내 배관으로 물과 함께 배출된다.Referring to FIG. 2,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sink 6 installed in a home kitchen. Inside the sink 6, a kitchen crusher 11 is installed to finely crush kitchen trash such as food waste generated after washing dishes in the sink. The kitchen waste grinder 11 may be equipped with a control unit 12. The kitchen crushed in the kitchen crusher 11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water to the indoor pipe through the pipe (7) connected to the crusher (11).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는 주방오물 분쇄기(11)에 연결되어 분쇄기(11)에 의해 잘게 분쇄된 주방오물과 물이 유입 및 유출되는 부분이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는 물에 포함된 분쇄 주방오물 중 비중이 큰 주방오물은 전처리장치(100) 내부에 퇴적 또는 침전되게 하여 옥내 배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분쇄 주방오물만 선별적으로 옥내 배관으로 배출함으로써, 비중이 큰 주방오물이 옥내 배관 내부에 퇴적되어 옥내 배관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kitchen crusher 11 is a kitchen crushed finely by the crusher 11 and the water flows in and out.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100 is a large portion of the crushed kitchen filth included in the water is to be deposited or precipitated inside the pretreatment device 100 to reduce the discharge to the indoor piping and relatively small crushed kitchen filth Only by selectively discharged into the indoor pipe, kitchen waste with a large specific gravity can be deposited inside the indoor pipe to prevent or prevent the indoor pipe from being blocked. Hereinafter,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는 주방오물 분쇄기(11)에 의해 분쇄된 주방오물이 포함된 유수(물)가 유입되는 유입포트(111) 및 유출되는 유출포트(112)를 구비하는 침전 케이스(110,160) 및 침전 케이스(110,160)에 형성되어 유수에 포함된 주방오물을 침전시키는 배플(190)을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flow port (2) into which the kitchen water crushed by the kitchen waste grinder 11 is introduced. 111 and a sedimentation case (110,160) having an outlet port 112 to be discharged may include a baffle (190) formed in the sedimentation case (110,160) to precipitate the kitchen filth contained in the flowing water.

상기와 같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를 이용함으로써, 비중이 큰 주방오물이 옥내 배관 또는 하수처리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옥내 배관 또는 하수처리관이 막히는 것을 줄일 수 있다.By using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large amount of kitchen waste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indoor pipe or the sewage treatment pipe, thereby reducing the blockage of the indoor pipe or the sewage treatment pipe.

여기서, 침전 케이스(110,160)는 외부 케이스(110) 및 내부 케이스(160)로 분리 형성되거나,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가 일체화된 하나의 침전 케이스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외부 및 내부 케이스(110,160)로 분리 형성된 침전 케이스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Here, the precipitation case (110,16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outer case 110 and the inner case 160, or may be formed of one precipitation case in which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is integrated. 3 and 4 exemplarily show a sedimentation case formed separately from the outer and inner cases 110 and 160.

분쇄된 주방오물이 물과 함께 침전 케이스(110,160) 안으로 들어오게 되는 유입포트(111)에는 배관(7)과 연결되는 유입배관 연결부(P1)가 구비되고, 유출포트(112)에는 옥내 배관과 연결되는 유출배관 연결부(P2)가 구비될 수 있다. The inlet port 111 through which the pulverized kitchen filth enters the precipitation cases 110 and 160 together with the water is provided with an inlet pipe connection part P1 connected to the pipe 7, and the outlet port 112 is connected to the indoor pipe. The outflow pipe connection portion P2 may be provided.

배플(190)은 침전 케이스(110,160)에 형성될 수 있는데, 침전 케이스(110,160)가 외부 및 내부 케이스로 분리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부 케이스(160)에 배플(190)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affle 190 may be formed in the precipitation cases 110 and 160, and when the precipitation cases 110 and 160 are separately formed into the outer and inner cases, the baffle 190 may be formed in the inner case 160.

배플(190)은 유입포트(111)에 근접 형성됨으로써 유입포트(111)를 통해 유입되는 주방오물을 함유한 유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주방오물 중 습윤 밀도가 소정 기준을 초과하는 주방오물이 침전 케이스(110,160)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분쇄된 주방오물을 포함하는 물의 흐름이 배플(190)에 의해서 가로 막히기 때문에 배플(190)과 유입포트(111) 사이에서 물의 난류 또는 와류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배플(190)과 유입포트(111) 사이에 물이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The baffle 190 is formed in close proximity to the inlet port 111, thereby obstructing the flow of flowing water containing the kitchen effluent flowing through the inlet port 111, so that the kitchen soil having a wet density of the kitchen filth exceeding a predetermined standard is precipitat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utflow from the (110,160) to the outside. Since the flow of water including the crushed kitchen waste is blocked by the baffle 190, turbulence or vortex of water occurs between the baffle 190 and the inlet port 111, which causes the baffle 190 and the inlet port ( 111) may lengthen the time the water stays between.

이와 같이, 유입포트(1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물이 유출포트(112)를 통해 빨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입포트(111)와 배플(190) 사이에서 어느 정도 머물게 함으로써, 비중이 큰 주방오물이 배플(190)에 걸려 침전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As such, by preventing the flow of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port 111 to prevent the water is quickly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ort 112, and by staying to some extent between the inlet port 111 and the baffle 190, A large specific gravity of the kitchen filth may be induced to be caught on the baffle 190.

이 때, 유입포트(111)와 배플(190) 사이의 거리가 가깝고, 유입포트(111)와 마주 보는 위치에 배플(19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유입포트(111)와 가깝고 유입포트(111)와 마주 보는 위치에 배플(190)이 있어야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최대한 방해하고 물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주방오물이 침전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nflow port 111 and the baffle 190 is close, and the baffle 190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inflow port 111. This is because the baffle 190 is located close to the inflow port 111 and faces the inflow port 111 so that the flow of the incoming water can be disturb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flow of water can be changed. This is because it can be secured.

여기서, 배플(190)은 침전 케이스(110,160)의 내벽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침전 케이스가 외부 및 내부 케이스(110,160)로 구분 형성되는 경우에 배플(190)은 내부 케이스(160)의 내벽 또는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과 이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배플(190)과 내벽 사이의 이격된 공간 또는 틈새를 통해 비중이 작은 주방오물이 함유된 물이 흘러 나갈 수 있다.Here, the baffle 190 may be spaced apart from at least one inner wall of the inner walls of the precipitation case (110,160). In the case where the precipitation case is formed into the outer and inner cases 110 and 160, the baffle 190 is preferably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at least one inner wall of the inner wall or the side wall of the inner case 160. As a result, water containing a small specific gravity may flow out of the space or gap between the baffle 190 and the inner wall.

배플(190)의 상단에는 구멍(19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구멍(191)을 이용해서 외부 케이스(110)에서 내부 케이스(160)를 분리할 수 있다. 배플(190)이 내부 케이스(16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배플(190)의 구멍(191)에 손가락을 걸고 배플(190)을 당기면 외부 케이스(110)와 내부 케이스(16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는 침전 케이스가 외부 및 내부 케이스로 형성된 경우에만 해당된다.A hole 191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ffle 190, and the inner case 160 may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10 using the hole 191. Since the baffle 190 is fixed to the inner case 160, the outer case 110 and the inner case 160 may be separated by putting a finger on the hole 191 of the baffle 190 and pulling the baffle 190. . This is only the case when the precipitation case is formed of an outer and an inner case.

외부 케이스(110)와 내부 케이스(160)를 별도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내부 케이스(160)에 침전되거나 퇴적된 비중이 큰 주방오물을 제거하기가 용이하다. 외부 케이스(110)는 배관에 연결된 상태에서 내부 케이스(160)만 분리하여 퇴적된 주방오물을 제거한 후 내부 케이스(160)를 외부 케이스(110)에 장착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outer case 110 and the inner case 160 are separately formed, it is easy to remove the kitchen waste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deposited or deposited on the inner case 160. The outer case 110 may be used again by removing the kitchen dirt deposited by separating only the inner case 16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pipe, and then mounting the inner case 160 to the outer case 110.

외부 케이스(110)와 내부 케이스(160)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의 침전 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전 케이스에 퇴적된 주방오물을 버리기 위해서는 배관과 침전 케이스의 연결상태를 해제한 후에 침전 케이스를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단일 침전 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전 케이스와 배관 사이에 물의 흐름을 일시 차단할 수 있는 밸브(미도시) 및 배관과 침전 케이스의 연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분리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야 한다.In the case of using a single precipitation case in which the outer case 110 and the inner case 160 are integrally formed, in order to discard the kitchen sediment deposited in the sedimentation case, disconnect the sedimentation case after disconnecting the pipe and the sedimentation case. It should be possible. To this end, when a single precipitation case is used, a valve (not shown) for temporarily blocking the flow of water between the precipitation case and the pipe and a separation means (not shown) for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pipe and the precipitation case are provided. Should be.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침전 케이스가 외부 케이스(110) 및 내부 케이스(160)로 분리 형성되는 경우, 유입 포트(111) 및 유출 포트(112)는 외부 케이스(110)에 형성되고 배플(190)은 내부 케이스(160)에 형성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when the precipitation case is formed into the outer case 110 and the inner case 160, the inlet port 111 and the outlet port 112 are formed in the outer case 110 and the baffle 190 ) May be formed in the inner case 160.

퇴적된 주방오물을 제거하기 위해 내부 케이스(160)를 분리하는 경우에 내부 케이스(160)에는 주방오물 뿐만 아니라 물도 함께 있기 때문에, 내부 케이스(160)가 분리되는 순간에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내부 케이스(160)의 측벽 또는 바닥에는 배수공(162)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공(162)의 크기는 내부 케이스(160)에 퇴적되는 비중이 큰 주방오물이 배수공(162)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이면 적당하다. 배수공(162)은 측벽 또는 바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측벽 또는 바닥 중 일부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In the case where the inner case 160 is removed to remove the deposited kitchen soil, the inner case 160 includes not only the kitchen soil but also water, so that the water can be drained at the moment when the inner case 160 is separated. A drain hole 162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 or bottom of the case 160. The size of the drain hole 162 is suitable if the kitchen sewage accumulated in the inner case 160 is not enough to escape through the drain hole 162. The drain hole 162 need not be formed throughout the side wall or the bottom, and may be formed only in a part of the side wall or the bottom.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160)의 외면에는 외부 케이스(110)와 내부 케이스(160)의 밀착을 위한 실링부재(170)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170)는 내부 케이스(160)가 외부 케이스(11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하며, 내부 케이스(160)의 외면 중 어느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a sealing member 17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60 to closely contact the outer case 110 and the inner case 160. The sealing member 170 may allow the inner case 160 to be stably mounted to the outer case 110, and may be formed only on any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60.

침전 케이스 또는 외부 케이스(110)에 형성된 유입포트(111)는 유출포트(112) 보다 높지 않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 포트(111)가 높게 형성되면 유입 포트(111)를 통과한 물이 내부 케이스(160)의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그 충격에 의해 주방오물이 배플(190)에 의해서 차단되지 않고 배플(190)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 포트(111)의 형성 위치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출 포트(112)가 낮으면 배플(190)에 의해서 차단된 비중이 큰 주방오물이 물과 함께 배출될 수도 있으므로 유출 포트(112)의 형성 위치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inlet port 111 formed in the precipitation case or the outer case 11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not higher than the outlet port 112. When the inlet port 111 is formed high,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inlet port 111 falls to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160 and the kitchen filth is not blocked by the baffle 190 by the impact thereof.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inflow port 111 is low because it can pass. In addition, when the outflow port 112 is low, since the kitchen waste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blocked by the baffle 190 may b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water,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outflow port 112 is preferably high.

내부 케이스(160)의 상단은 유입 포트(111)의 최하단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60)의 상단이 유입 포트(111)의 최하단 보다 낮아야 내부 케이스(160)에 의해서 유입 포트(111)가 막히지 않기 때문이다.The upper end of the inner case 160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inflow port 111. This is because the inlet port 111 is not blocked by the inner case 160 whe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ase 160 is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inlet port 111.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도 5 내지 도 9는 침전 케이스의 모양, 유입 포트, 유출 포트 그리고 배플의 모양/위치 등에 대한 설명을 위한 내용만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5 to 9 to be described below, only the contents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precipitation case, the inlet port, the outlet port and the shape / position of the baffle are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200)의 침전 케이스(210)는 밑면이 정사각형이고 상하로 길쭉한 모양을 가지며, 용량은 5리터이다. 즉, 침전 케이스(210)는 높이(c1)가 밑면의 가로(a1) 및 세로(b1)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밑면의 가로(a1) 및 세로(b1)는 각각 12.5cm이고, 높이(c1)는 24.5cm이다. 유입포트(211) 및 유출포트(212)의 직경(i1,j1)은 5cm이고, 유입포트(211) 및 유출포트(212)의 중심의 높이(e1,d1)는 각각 18.5cm이다. 즉, 유입포트(211)는 유출포트(212)는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dimentation case 210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200 shown in FIG. 5 has a square bottom and has an elongated shape up and down, and has a capacity of 5 liters. That is, the precipitation case 210 has a height (c1)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a1) and the length (b1) of the bottom surface. The width a1 and length b1 of the bottom surface are 12.5 cm, respectively, and the height c1 is 24.5 cm. The diameters i1 and j1 of the inlet port 211 and the outlet port 212 are 5 cm, and the heights e1 and d1 of the centers of the inlet port 211 and the outlet port 212 are 18.5 cm, respectively. That is, the inlet port 211 is formed in the outlet port 212 at the same height.

유입 포트(211)가 형성된 측벽과 유출 포트(212)가 형성된 측벽은 서로 이웃하며, 배플(290)은 유입포트(211)와 마주 보는 측벽에 형성되되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배플(290)의 경사각도(θ1)는 60도이고, 배플(290)의 가로(g1)는 11cm이고 세로(f1)는 12.5cm이다.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211 is formed and the side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212 is formed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baffle 290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 facing the inlet port 211, but may be inclined downward. The inclination angle θ1 of the baffle 290 is 60 degrees, the width g1 of the baffle 290 is 11 cm, and the length f1 is 12.5 cm.

배플(290)은 유입포트(211)가 형성된 측벽과 마주 보는 측벽에 형성되며, 유입포트(211)가 형성된 측벽과 배플(290) 사이가 이격되어 있다. 이격된 거리(h1)는 3cm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플(290)은 유출포트(21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affle 290 is formed on a side wall facing the side wall on which the inlet port 211 is formed, and the side wall on which the inlet port 211 is formed is spaced apart from the baffle 290. The distance h1 is 3 cm apart. Referring to FIG. 5, the baffle 290 may be formed below the outlet port 212.

상기와 같이 형성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200)는 유입포트(2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경사진 배플(290)에 부딪힌 후 측벽과 배플(290) 사이의 간격(h1)을 통해 바닥으로 떨어져서 비중이 큰 주방오물을 퇴적시킬 수 있다.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200 formed as described above has a specific gravity of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port 211 hits the inclined baffle 290 and then falls to the bottom through the interval h1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baffle 290. This large kitchen waste can be deposited.

도 5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200)를 사용하여 주방오물의 침전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Precipitating experiment of kitchen filth was performed using the kitchen filth pretreatment apparatus 200 shown in FIG. 5,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주방오물Kitchen Sewage 전처리장치 유출율(%)Pretreatment Outflow Rate (%) 횡지관 퇴적Transverse pipe deposition 횡주관 퇴적Transverse deposition 생쌀Uncooked rice 2929 계란 껍질Egg shells 3737 닭뼈Chicken bone 7474 절임 배추Pickled Chinese Cabbage 100100 ×× ×× 미역Seaweed 100100 ×× ××

여기서, ○는 대부분 퇴적, △는 소량 퇴적, ×는 퇴적 없음을 의미하며, 이하에서 동일하다.Here, ○ means most of the deposition, Δ means a small amount of deposition, × means no deposition, which is the same below.

비교적 비중이 작은 음식물쓰레기 분쇄물 성분인 미역 및 절임 배추는 전처리장치 내부에 퇴적이 전혀 없이 그대로 횡지관 및 횡주관으로 배출되었으며 물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이에 반해, 생쌀 및 계란 껍질 분쇄물은 처리에 상당량 퇴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량이 가장 많이 되는 성분은 생쌀이었으며(71%), 계란 껍질(63%)과 닭뼈(26%) 분쇄물의 퇴적량이 그 뒤를 이었다. 이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생쌀, 계란 껍질, 닭뼈와 같이 비중이 큰 주방오물은 분쇄된 후 주방오물 전처리장치(200) 내에 일부 퇴적 또는 침전됨으로써 전량이 배출되는 것이 방지됨을 알 수 있다.Seaweed and pickled cabbage, which is a relatively small fraction of food waste, were discharged into transverse pipes and transverse pipes without any deposits inside the pretreatment system, and quickly discharged out of the pipes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In contrast, uncooked and egg shell mills have been found to deposit significant amounts in processing. The most common deposits were raw rice (71%), followed by egg shells (63%) and chicken bone (26%). As can be seen from this result, it can be seen that a large portion of the kitchen filth, such as raw rice, egg shells, chicken bones are crushed and then partially deposited or precipitated in the kitchen filth pretreatment device 200 to prevent the entire amount from being discharg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는 침전 케이스(310)의 바닥이 대략 직사각형이고 높이는 바닥의 장변 보다 짧으며, 전체 용량은 9리터이다.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300 illustrated in FIG. 6, the bottom of the precipitation case 310 is approximately rectangular and the height is shorter than the long side of the bottom, and the total capacity is 9 liters.

침전 케이스(310)의 바닥(밑면)의 가로(a2)는 26cm, 세로(b2)는 20cm, 높이(c2)는 17.5cm이다. 유입 포트(311)는 침전 케이스(310)의 앞쪽 측벽에 형성되고, 유출 포트(312)는 침전 케이스(310)의 뒤쪽 측벽에 형성된다. 이 때, 유입 포트(311)가 유출 포트(312) 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즉, 유입 포트(311)의 높이(h2)는 4.5cm이고 유출 포트(312)의 높이(k2)는 11.5cm이다. 유입 포트(311) 및 유출 포트(312)의 직경(i2,j2)은 모두 5cm로 동일하다.The width a2 of the bottom (bottom) of the precipitation case 310 is 26 cm, the length b2 is 20 cm, and the height c2 is 17.5 cm. The inlet port 311 is formed on the front sidewall of the precipitation case 310 and the outlet port 312 is formed on the rear sidewall of the precipitation case 310. At this time, the inlet port 311 is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outlet port 312. That is, the height h2 of the inlet port 311 is 4.5 cm and the height k2 of the outlet port 312 is 11.5 cm. The diameters i2 and j2 of the inlet port 311 and the outlet port 312 are all the same at 5 cm.

도 6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는 배플(390)이 유입포트(311)가 형성된 측벽 및 유출포트(312)가 형성된 측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유입 포트(311) 및 유출포트(312)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 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 또는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플(390)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In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300 illustrated in FIG. 6, the baffle 390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311 is formed and the side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312 is forme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baffle 390 is form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or coincident with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inlet port 311 and the outlet port 312.

배플(390)은 유출포트(312)가 형성된 측벽에 붙어 있으나 유입포트(311)가 형성된 측벽과는 이격되어 있다. 유입포트(311)가 형성된 측벽과 배플(390) 사이의 이격된 거리는 3cm 정도이다. 왜냐하면, 배플(390)의 폭(e2)이 17cm이기 때문이다.The baffle 390 is attached to the side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312 is formed, but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311 is formed.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side wall on which the inlet port 311 is formed and the baffle 390 is about 3 cm. This is because the width e2 of the baffle 390 is 17 cm.

또한, 배플(390)의 높이(d2)는 침전 케이스(310)의 높이(c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배플(390)의 높이(d2)는 15cm이다.In addition, the height d2 of the baffle 390 may be smaller than the height c2 of the precipitation case 310. The height d2 of the baffle 390 is 15 cm.

한편, 배플(390)과 유입포트(311) 사이의 거리는 배플(390)과 유출포트(312) 사이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유입포트(311)의 중심과 배플(390) 사이의 거리(g2)는 5cm이고, 유출포트(312) 중심과 배플(390) 사이의 거리(f2)는 7cm로서, 배플(390)은 유입포트(311)에 가깝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배플(390)이 유입포트(311)에 가깝게 형성되면, 유입포트(311)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baffle 390 and the inlet port 311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baffle 390 and the outlet port 312. The distance g2 between the center of the inlet port 311 and the baffle 390 is 5 cm, and the distance f2 between the center of the outlet port 312 and the baffle 390 is 7 cm, and the baffle 390 is the inlet port. It is formed close to 311. As such, when the baffle 390 is formed close to the inflow port 311, the flow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inflow port 311 may be effectively prevented.

도 6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를 사용하여 주방오물의 침전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Precipitating experiment of kitchen filth was performed using the kitchen filth pretreatment device shown in FIG. 6,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주방오물Kitchen Sewage 전처리장치 유출율(%)Pretreatment Outflow Rate (%) 횡지관 퇴적Transverse pipe deposition 횡주관 퇴적Transverse deposition 생쌀Uncooked rice 2.62.6 ×× ×× 계란 껍질Egg shells 2828 ×× ×× 닭뼈Chicken bone 6969 ×× ×× 절임 배추Pickled Chinese Cabbage 100100 ×× ×× 미역Seaweed 100100 ×× ××

미역 및 절임 배추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 내부 퇴적이 전혀 없이 횡지관 및 횡주관으로 배출되었으며, 물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생쌀 및 계란 껍질 분쇄물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에 상당량 퇴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량이 가장 많이 되는 성분은 생쌀 이었으며(97.4%), 계란 껍질(72%)과 닭뼈(31%) 분쇄물의 퇴적량이 그 뒤를 이었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에서 배출된 분쇄물 중 생쌀, 계란 껍질 및 닭뼈는 횡지관과 횡주관 내 퇴적이 전혀 없이 배관 밖으로 원활히 배출되었다. 계란 껍질의 경우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에서 비중이 비교적 큰 성분(껍질)은 모두 침전되었으며, 배출된 분쇄물 성분 중 대부분이 계란 안쪽의 내피(막) 부분이 파쇄 되어 배출되었기 때문에 횡지관 및 횡주관에 퇴적없이 배관 밖으로 신속히 배출 되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닭뼈 분쇄물의 경우 비중이 큰 순수한 닭뼈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에 퇴적이 되었으나,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 밖으로 유출된 닭뼈 분쇄물의 성분은 닭뼈 부분에 붙어 있는 살코기 및 물렁뼈(연골) 성분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살코기 및 물렁뼈 성분은 횡지관, 횡주관에 퇴적 없이 원활하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의 실험결과 비중이 큰 성분인 생쌀, 계란 껍질, 닭뼈 분쇄물이 배관 내 퇴적 현상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Seaweed and pickled cabbage were discharged into the transverse pipe and the transverse pipe without any internal sedimentation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300, and quickly discharged out of the pipe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Uncooked rice and eggshell crushed was found to be deposited in a significant amount in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300). The most common deposit was raw rice (97.4%), followed by egg shells (72%) and chicken bone (31%). Raw rice, egg shells and chicken bones among the pulverized products discharged from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300 were smoothly discharged out of the pipe without any deposit in the transverse pipe and the transverse pipe. In the case of egg shells, all ingredients (shells) having a relatively high specific gravity were precipitated in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300, and since most of the discharged pulverized components were discharged due to fragmentation of the endothelial (membrane) inside the eggs, It can be predicted that they were quickly discharged out of the pipe without depositing in the transverse pipe. In the case of chicken bone grind, pure chicken bone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was deposited in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300, but the components of the chicken bone grind leaked out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300 are lean meat and cartilage (cartilage) components attached to the chicken bone part. It is judged to be. Therefore, the lean meat and the lump bone were discharged out of the pipe smoothly without depositing in the transverse pipe and the transverse pip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300, raw rice, egg shell, and chicken bone pulverized material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did not show any deposit phenomenon in the pipe.

상기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의 제2 실시예는 용량이 9리터로 씽크대 내부로 들어가기에는 다소 큰 부피이기 때문에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크기(용량)을 줄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도 실험을 하였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는 용량이 5리터이고, 침전 케이스의 바닥의 가로(a2)는 22.5cm, 세로(b2)는 15.5cm, 높이(c2)는 14.5cm로 하였다. 배플(390)의 폭(e2)은 12.5cm, 배플(390)의 높이(d2)는 11cm로 하였다. 유입 포트(311)의 높이(h2)는 4cm, 유출 포트(312)의 높이(k2)는 7.5cm이다. 유입 포트(311) 중심과 배플(390) 사이의 거리(g2)는 4.5cm, 유출포트(312)의 중심과 배플(390) 사이의 거리(f2)는 5.5cm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300,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having a reduced size (capacity) was also tested because the volume is 9 liters, which is somewhat large to enter the sink. A vari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300 has a capacity of 5 liters, the width of the bottom of the sedimentation case (a2) 22.5cm, length (b2) 15.5cm, height (c2) 14.5cm It was. The width e2 of the baffle 390 was 12.5 cm, and the height d2 of the baffle 390 was 11 cm. The height h2 of the inlet port 311 is 4 cm, and the height k2 of the outlet port 312 is 7.5 cm. The distance g2 between the center of the inlet port 311 and the baffle 390 is 4.5 cm, and the distance f2 between the center of the outlet port 312 and the baffle 390 is 5.5 cm.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의 변형예를 사용하여 주방오물의 침전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다.Precipit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the modified example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3].

주방오물Kitchen Sewage 전처리장치 유출율(%)Pretreatment Outflow Rate (%) 횡지관 퇴적Transverse pipe deposition 횡주관 퇴적Transverse deposition 생쌀Uncooked rice 88 ×× ×× 계란 껍질Egg shells 2525 ×× 닭뼈Chicken bone 5353 ×× 절임 배추Pickled Chinese Cabbage 100100 ×× ×× 미역Seaweed 100100 ×× ××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음식물쓰레기 분쇄물 성분인 미역 및 절임 배추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내부에 퇴적이 전혀 없이 그대로 횡지관 및 횡주관으로 배출되었으며, 물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이에 반해, 계란 껍질 및 닭뼈 분쇄물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 상당량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서 배출된 분쇄물 중 계란 껍질 및 닭뼈는 횡주관에 일부가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쌀 분쇄물의 경우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서 배출된 분쇄물은 배관 내 퇴적이 전혀 없이 배관 밖으로 원활히 이송되었다. Seaweed and pickled cabbage, which is a relatively light food waste crushed product, were discharged into transverse pipes and transverse pipes without any deposition inside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and quickly discharged out of the pipes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In contrast, egg shells and chicken bone grits were found to be deposited on kitchen waste pretreatments in significant amounts. Egg shells and chicken bones were partially deposited in the transverse tubes of the ground pulverized by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In the case of uncooked ground ground, the ground discharged from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was smoothly transferred out of the pipe without any deposit in the pipe.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변형예는 비중이 큰 분쇄물 중 계란 껍질 및 닭뼈를 걸러내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변형예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As can be seen in Table 3, since the modified example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oes not filter the egg shells and chicken bones among the crushed materials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another modified example.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의 제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는 용량이 5리터이고, 침전 케이스의 바닥의 가로(a2)는 12.5cm, 세로(b2)는 12.5cm인 반면에, 높이(c2)는 24.5cm로 하였다. 배플(390)의 폭(e2)은 11.5cm, 배플(390)의 높이(d2)는 21cm로 하였다. 유입 포트(311)의 높이(h2)는 13cm, 유출 포트(312)의 높이(k2)는 20cm이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의 다른 변형예를 사용하여 주방오물의 침전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Another vari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300 has a capacity of 5 liters, while the width a2 of the bottom of the precipitation case is 12.5 cm and the length b2 of 12.5 cm, while the height c2 Was 24.5 cm. The width e2 of the baffle 390 was 11.5 cm, and the height d2 of the baffle 390 was 21 cm. The height h2 of the inlet port 311 is 13 cm, and the height k2 of the outlet port 312 is 20 cm. Precipit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other modifications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주방오물Kitchen Sewage 전처리장치 유출율(%)Pretreatment Outflow Rate (%) 횡지관 퇴적Transverse pipe deposition 횡주관 퇴적Transverse deposition 생쌀Uncooked rice 66 ×× 계란 껍질Egg shells 2929 ×× 닭뼈Chicken bone 5050 ×× 절임 배추Pickled Chinese Cabbage 100100 ×× ×× 미역Seaweed 100100 ×× ××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음식물쓰레기 분쇄물 성분인 미역 및 절임 배추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내부에 퇴적이 전혀 없이 그대로 횡지관 및 횡주관으로 배출되었으며, 물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이에 반해, 계란 껍질 및 닭뼈 분쇄물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 상당량 퇴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서 배출된 분쇄물 중 생쌀 및 계란 껍질은 횡지관에 일부가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Seaweed and pickled cabbage, which is a relatively light food waste crushed product, were discharged into transverse pipes and transverse pipes without any deposition inside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and quickly discharged out of the pipes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In contrast, egg shells and chicken bone grits were found to be deposited in kitchen waste pretreatment. Some of the raw rice and egg shells of the ground discharged from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were deposited in the transverse tub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는 배플(490)이 유입포트(411)가 형성된 측벽 및 유출포트(412)가 형성된 측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포트(411)가 형성된 측벽 및 유출포트(412)가 형성된 측벽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플(490)이 형성되되 유입포트(411)와 유출포트(412)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배플(490)이 형성됨으로써, 유입포트(411)를 통해 유입된 물의 흐름이 배플(490)에 의해서 막히면서 비중이 큰 분쇄된 주방오물을 침전시킬 수 있다.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400 illustrated in FIG. 7, the baffle 490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411 is formed and the side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412 is formed. That is, the baffle 490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411 is formed and the side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412 is formed, and is located between the inlet port 411 and the outlet port 412. As such, by forming the baffle 490, the flow of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411 may be blocked by the baffle 490, thereby precipitating the pulverized kitchen soil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침전 케이스(410)의 대략적인 형태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긴 직육면체 모양이라고 할 수 있다. 침전 케이스(410)의 용량은 5리터이고, 바닥(밑면)의 가로(a3)는 19cm, 세로(b3)는 13cm, 높이(c3)는 21cm로 하였다. 유입포트(411)와 유출포트(412)의 직경(i3,j3)는 모두 5cm이고, 유입포트(411) 중심의 높이(l3)는 12cm, 유출포트(412) 중심의 높이(k3)는 16cm로, 유출포트(412)가 유입포트(411) 보다 높이 형성된다. The approximate shape of the precipitation case 410 may be referred to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capacity of the precipitation case 410 was 5 liters, and the width (a3) of the bottom (bottom) was 19 cm, the length (b3) was 13 cm, and the height (c3) was 21 cm. The diameters i3 and j3 of the inlet port 411 and the outlet port 412 are all 5 cm, the height l3 of the center of the inlet port 411 is 12 cm, and the height k3 of the center of the outlet port 412 is 16 cm. The outlet port 412 is formed higher than the inlet port 411.

배플(490)과 유입포트(411) 사이의 거리는 배플(490)과 유출포트(412) 사이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유입포트(411)가 형성된 측벽과 배플(490) 사이의 거리(g3)는 7cm이고, 유출포트(412)가 형성된 측벽과 배플(490) 사이의 거리(h3)는 12cm로서, 배플(490)은 유입포트(411) 가깝게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baffle 490 and the inlet port 411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baffle 490 and the outlet port 412. The distance g3 between the side wall on which the inlet port 411 is formed and the baffle 490 is 7 cm, and the distance h3 between the side 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412 is formed and the baffle 490 is 12 cm. Is close to the inlet port 411.

제3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의 경우 배플(490)은 침전 케이스(410)의 바닥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즉, 배플(490)의 하단과 침전 케이스(410) 바닥 사이에는 3cm 정도의 간격(f3)이 있다. 이 간격을 통해 물이 흐르게 된다. 한편, 배플(490)의 폭(e3)은 13cm이고, 배플(490)의 높이(d3)도 13cm이다.In the case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baffle 49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precipitation case 410. That is, there is a gap f3 of about 3 cm between the bottom of the baffle 490 and the bottom of the precipitation case 410. Water flows through this gap. On the other hand, the width e3 of the baffle 490 is 13 cm, and the height d3 of the baffle 490 is also 13 cm.

도 7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를 사용하여 주방오물의 침전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Precipit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400 shown in FIG. 7,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below.

주방오물Kitchen Sewage 전처리장치 유출율(%)Pretreatment Outflow Rate (%) 횡지관 퇴적Transverse pipe deposition 횡주관 퇴적Transverse deposition 생쌀Uncooked rice 2525 ×× 계란 껍질Egg shells 2929 ×× 닭뼈Chicken bone 7171 ×× 절임 배추Pickled Chinese Cabbage 100100 ×× ×× 미역Seaweed 100100 ×× ××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음식물쓰레기 분쇄물 성분인 미역 및 절임 배추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 내부에 퇴적이 전혀 없이 그대로 횡지관 및 횡주관으로 배출되었으며, 물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이에 반해, 계란 껍질 및 닭뼈 분쇄물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에 상당량 퇴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에서 배출된 분쇄물 중 생쌀 및 계란 껍질은 횡지관에 일부가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닭뼈 분쇄물은 횡지관을 통과하였으나, 횡주관에서 일부 퇴적이 관찰되었다.Seaweed and pickled cabbage, which are relatively light food waste crushed ingredients, were discharged into the transverse pipe and the transverse pipe without any deposition inside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400, and quickly discharged out of the pipe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On the other hand, egg shells and chicken bone pulverization appeared to be deposited in a considerable amount in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400). Some of the uncooked rice and egg shells of the pulverized product discharged from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400 were deposited in the transverse tube. In addition, the chicken bone grinds passed through the transverse tube, but some deposition was observed in the transverse tube.

도 7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의 크기를 다르게 한 변형예에 대하여도 실험을 하였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의 변형예는 용량은 5리터이고, 바닥(밑면)의 가로(a3)는 20.5cm, 세로(b3)는 7.5cm, 높이(c3)는 26.5cm로 하였다. 유입포트(411) 중심의 높이(l3)는 14.5cm, 유출포트(412) 중심의 높이(k3)는 16cm로, 유출포트(412)가 유입포트(411) 보다 높이 형성된다. Experiments were also carried out for the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size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7 was changed. The modification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400 was 5 liters, and the width | variety (a3) of the bottom (bottom) was 20.5 cm, the length (b3) was 7.5 cm, and the height (c3) was 26.5 cm. The height l3 of the center of the inlet port 411 is 14.5 cm, the height k3 of the center of the outlet port 412 is 16 cm, and the outlet port 412 is formed higher than the inlet port 411.

유입포트(411)가 형성된 측벽과 배플(490) 사이의 거리(g3)는 6.5cm이고, 유출포트(412)가 형성된 측벽과 배플(490) 사이의 거리(h3)는 14cm로서, 배플(490)은 유입포트(411) 가깝게 있다. The distance g3 between the side wall on which the inlet port 411 is formed and the baffle 490 is 6.5 cm, and the distance h3 between the side 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412 is formed and the baffle 490 is 14 cm. ) Is near the inlet port 411.

배플(490)의 하단과 침전 케이스(410) 바닥 사이에는 5cm 정도의 간격(f3)이 있고, 배플(490)의 폭(e3)은 7.5cm이고, 배플(490)의 높이(d3)는 21cm이다.Between the bottom of the baffle 490 and the bottom of the settling case 410 there is a gap f3 of about 5 cm, the width e3 of the baffle 490 is 7.5 cm, and the height d3 of the baffle 490 is 21 cm. to be.

이러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의 변형예를 사용하여 주방오물의 침전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6]과 같다.Precipit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using the modified example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주방오물Kitchen Sewage 전처리장치 유출율(%)Pretreatment Outflow Rate (%) 횡지관 퇴적Transverse pipe deposition 횡주관 퇴적Transverse deposition 생쌀Uncooked rice 2525 ×× 계란 껍질Egg shells 2929 닭뼈Chicken bone 8686 ×× 절임 배추Pickled Chinese Cabbage 100100 ×× ×× 미역Seaweed 100100 ×× ××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음식물쓰레기 분쇄물 성분인 미역 및 절임 배추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내부에 퇴적이 전혀 없이 그대로 횡지관 및 횡주관으로 배출되었으며, 물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이에 반해, 계란 껍질 및 닭뼈 분쇄물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 상당량 퇴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서 배출된 분쇄물 중 계란 껍질은 횡지관 및 횡주관에 일부가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쌀 및 닭뼈 분쇄물은 횡지관을 통과하였으나, 횡주관에서 일부 퇴적이 관찰되었다. Seaweed and pickled cabbage, which is a relatively light food waste crushed product, were discharged into transverse pipes and transverse pipes without any deposition inside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and quickly discharged out of the pipes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In contrast, egg shells and chicken bone grits were found to be deposited in kitchen waste pretreatment. Some of the crushed egg shells deposited in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were deposited on the transverse tube and the transverse tube. And the raw rice and chicken bone grinds passed through the transverse tube, but some deposition was observed in the transverse tub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4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의 침전 케이스(510)는 유입포트(511)가 형성된 측벽과 평행한 방향 및 유출포트(512)가 형성된 측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플(59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유입포트(511)가 형성된 측벽은 배플(590)과 동일한 방향 내지 평행한 방향이며, 유출포트(512)가 형성된 측벽은 배플(590)과 직교하는 방향임을 알 수 있다.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cipitation case 510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8 is parallel to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511 is formed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512 is formed. The baffle 590 may be formed. Referring to FIG. 8, the sidewalls formed with the inlet port 511 may be in the same direction or parallel to the baffle 590, and the sidewalls formed with the outlet port 512 may be perpendicular to the baffle 590.

침전 케이스(510)는 밑면(바닥)의 가로(a4)가 19cm, 세로(b4)가 13cm, 높이(c4)가 21cm이고, 용량은 5리터이다. 유입포트(511) 및 유출포트(512)의 직경(i4,j4)는 모두 5cm이고, 유입포트(511) 중심의 높이(l4)는 10cm, 유출포트(512) 중심의 높이(k4)는 15cm로서 유출포트(512)가 유입포트(511) 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The precipitation case 510 has a width a4 of 19 cm, a width b4 of 13 cm, a height c4 of 21 cm, and a capacity of 5 liters. The diameters i4 and j4 of the inflow port 511 and the outflow port 512 are all 5 cm, the height l4 of the center of the inflow port 511 is 10 cm, and the height k4 of the center of the outflow port 512 is 15 cm. As a result, the outlet port 512 is higher than the inlet port 511.

배플(590)은 유출포트(512)가 형성된 측벽에 결합되어 있으나, 유출포트(512)가 형성된 측벽과 마주 보는 측벽으로부터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즉, 배플(590)은 유출포트(512)가 형성된 측벽과 마주 보는 측벽으로부터 3cm 정도 떨어져 있다. 이 틈새를 통해 물이 흐르게 된다. 배플(590)의 폭(e4)은 5cm이고, 배플(590)의 높이(d4)는 19cm이다. 이와 같이, 배플(590)의 높이(d4)는 침전 케이스(510)의 높이(c4)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baffle 590 is coupled to the side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512 is formed, bu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wall facing the side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512 is formed. That is, the baffle 590 is spaced about 3 cm from the side wall facing the side 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512 is formed. Water flows through this gap. The width e4 of the baffle 590 is 5 cm, and the height d4 of the baffle 590 is 19 cm. As such, the height d4 of the baffle 590 may be smaller than the height c4 of the precipitation case 510.

한편, 배플(590)과 유입포트(511)가 형성된 측벽 사이의 거리(g4)는 배플(590)과 유출포트(512)의 중심 사이의 거리(h4)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배플(590)과 유입포트(511)가 형성된 측벽 사이의 거리(g4)는 6.5cm이고, 배플(590)과 유출포트(512)의 중심 사이의 거리(h4)는 6cm로서, 배플(590)이 유출포트(512) 가까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tance g4 between the baffle 590 and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511 is formed may be longer than the distance h4 between the baffle 590 and the center of the outlet port 512. The distance g4 between the baffle 590 and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511 is formed is 6.5 cm, and the distance h4 between the baffle 590 and the center of the outlet port 512 is 6 cm. It may be formed near the outlet port 512.

제4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는 유입포트(511)와 유출포트(512)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배플(590)이 위치함으로써, 유입된 물의 흐름을 막을 뿐만 아니라 침전 케이스(510) 내에 물이 머무르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중이 큰 주방오물의 침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flow port 511 and the outflow port 512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baffle 590 is positioned therebetween, thereby preventing the flow of the inflowed water. In addition, since the time for water to stay in the precipitation case 510 can be lengthened, the sedimentation efficiency of the kitchen waste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can be increased.

도 8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를 사용하여 주방오물의 침전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7]과 같다.Precipit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500 illustrated in FIG. 8,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7].

주방오물Kitchen Sewage 전처리장치 유출율(%)Pretreatment Outflow Rate (%) 횡지관 퇴적Transverse pipe deposition 횡주관 퇴적Transverse deposition 생쌀Uncooked rice 22 ×× ×× 계란 껍질Egg shells 3030 ×× ×× 닭뼈Chicken bone 7272 ×× ×× 절임 배추Pickled Chinese Cabbage 100100 ×× ×× 미역Seaweed 100100 ×× ××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음식물쓰레기 분쇄물 성분인 미역 및 절임 배추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 내부에 퇴적이 전혀 없이 그대로 횡지관 및 횡주관으로 배출되었으며, 물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이에 반해, 계란 껍질 및 닭뼈 분쇄물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에 상당량 퇴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에서 배출된 분쇄물 중 생쌀, 계란 껍질 및 닭뼈는 횡지관과 횡주관 내 퇴적이 전혀 없이 배관 밖으로 원활히 배출되었다. 계란 껍질의 경우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에서 비중이 비교적 큰 성분(껍질)은 모두 침전되었으며, 배출된 분쇄물 성분 중 대부분이 계란 안쪽의 내피(막) 부분이 파쇄되어 배출되었기 때문에 횡지관 및 횡주관에 퇴적없이 배관 밖으로 신속히 배출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닭뼈 분쇄물의 경우 비중이 큰 순수한 닭뼈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에 퇴적이 되었으나,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 밖으로 유출된 닭뼈 분쇄물의 성분은 닭뼈 부분에 붙어 있는 살코기 및 물렁뼈(연골) 성분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살코기 및 물렁뼈 성분은 횡지관, 횡주관에 퇴적 없이 원활하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의 실험결과 비중이 큰 성분인 생쌀, 계란 껍질, 닭뼈 분쇄물이 배관 내 퇴적 현상이 전혀 보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Seaweed and pickled cabbage, which is a relatively light food waste crushed component, was discharged into the transverse pipe and the transverse pipe without any deposition inside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500, and quickly discharged out of the pipe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On the other hand, egg shells and chicken bone pulverization appeared to be deposited in a significant amount in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500). Raw rice, egg shells and chicken bones among the pulverized products discharged from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500 were discharged smoothly out of the pipe without any deposit in the transverse pipe and the transverse pipe. In the case of egg shells, all ingredients (shells) having a relatively high specific gravity were precipitated in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500, and since most of the discharged pulverized components were discharged by crushing the endothelial (membrane) inside the eggs, It is believed that the pipes were quickly discharged out of the pipes without deposition on the transverse pipes. In the case of chicken bone grind, pure chicken bone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was deposited in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500, but the components of the chicken bone grind spilled out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500 are lean meat and cartilage (cartilage) components attached to the chicken bone part. It is judged to be. Therefore, the lean meat and the lump bone were discharged out of the pipe smoothly without deposition on the transverse pipe and the transverse pip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500, it can be seen that the raw material, egg shells, chicken bone pulverized material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did not show any deposition phenomenon in the pip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5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600)의 경우 유출포트(612)는 유입포트(611)가 형성된 측벽과 이웃하는 측벽에 형성되며, 배플(690)은 유출포트(612)와 유입포트(611) 사이에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6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outlet port 612 is formed on the sidewall adjacent to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611 is formed, and the baffle 690 is the outlet port 612 and the inlet port. It may be formed obliquely between 611.

도 9를 참조하면, 배플(690)은 유입포트(611)를 통해 들어온 물의 흐름을 차단하면서 유출포트(612) 쪽으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유입 포트(611)가 형성된 측벽과 배플(690) 사이의 거리는 유출 포트(612)가 형성된 측벽에서부터 마주 보는 측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baffle 690 is between the baffle 690 and the side wall on which the inlet port 611 is formed so as to smoothly flow toward the outlet port 612 while blocking the flow of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611. The distance of may be formed to increase from the side wall in which the outlet port 612 is formed toward the opposite side wall.

도 9에 도시된 제5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600)는 침전 케이스(610)의 용량은 5리터이고, 밑면(바닥)의 가로(a5)는 19cm, 세로(b5)는 13cm, 높이(c5)는 21cm이다. 유입포트(611) 및 유출포트(612)의 직경(i5,j5)는 모두 5cm이고, 유입포트(611) 중심의 높이(l5)는 10cm이고, 유출포트(612) 중심의 높이(k5)는 15cm로서, 유출포트(612)가 유입포트(611) 보다 높이 위치한다.In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6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FIG. 9, the capacity of the precipitation case 610 is 5 liters, and the width (a5) of the bottom (bottom) is 19 cm, the length (b5) is 13 cm, The height c5 is 21 cm. The diameters i5 and j5 of the inflow port 611 and the outflow port 612 are 5 cm, the height l5 of the center of the inflow port 611 is 10 cm, and the height k5 of the center of the outflow port 612 is 15 cm, the outlet port 612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inlet port 611.

배플(690)의 폭(e5)은 13cm이고 높이(d5)는 19cm이며, 배플(690)의 경사 각도(θ6)는 60도이다. 배플(690)은 유출포트(612)가 형성된 측벽과 마주 보는 측벽으로부터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격된 틈새를 통해서 물이 흘러서 유출포트(612)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The width e5 of the baffle 690 is 13 cm, the height d5 is 19 cm, and the inclination angle θ6 of the baffle 690 is 60 degrees. The baffle 69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facing the side 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612 is formed. Water may flow through the spaced gaps and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ort 612.

배플(690)은 유출 포트(612)가 형성된 측벽 및 침전 케이스(610)의 바닥에 연결되며, 유출 포트(612)가 형성된 측벽에 연결된 배플(690)의 가장자리는 유입포트(611)가 형성된 측벽 보다 유출 포트(612)의 중심 가까이 형성될 수 있다. 유출 포트(612)가 형성된 측벽에 연결된 배플(690)의 가장자리와 유입포트(611)가 형성된 측벽 사이의 거리(g5)는 5.5cm이고, 유출포트(612) 중심 사이의 거리(h5)는 4.5cm이다.The baffle 690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612 is formed and the bottom of the precipitation case 610, and the edge of the baffle 690 connected to the side 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612 is formed is the side wall on which the inlet port 611 is formed. More may be form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outlet port 612. The distance g5 between the edge of the baffle 690 connected to the side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612 is formed and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611 is formed is 5.5 cm, and the distance h5 between the center of the outlet port 612 is 4.5. cm.

도 9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600)를 사용하여 주방오물의 침전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8]과 같다.Precipitating experiment of kitchen filth was performed using the kitchen filth pretreatment device 600 shown in FIG. 9,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8 below.

주방 오물Kitchen filth 전처리장치 유출율(%)Pretreatment Outflow Rate (%) 생쌀Uncooked rice 3030 계란 껍질Egg shells 4040 닭뼈Chicken bone 6060 절임 배추Pickled Chinese Cabbage 100100 미역Seaweed 100100

[표 8]에서 알 수 있듯이, 비중이 큰 생쌀, 계란껍질, 닭뼈 등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600) 내에 침전되지 않고 배출됨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in [Table 8], the large specific gravity of the uncooked rice, egg shells, chicken bones, etc. can be seen that is discharged without settling in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600.

상기에서 설명한 [표 1] 내지 [표 8]을 참조하면, 분쇄된 주방오물 중에서 비중이 큰 생쌀, 계란껍질, 닭뼈 등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 내에 침전되거나 퇴적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to [Table 8]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raw rice, egg shells, chicken bones, etc.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among the pulverized kitchen waste are precipitated or deposited in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는 습윤 밀도(단위 g/cm3)가 1 보다 큰 주방오물은 침전시키거나 퇴적시켜 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이고, 습윤 밀도가 1 보다 작은 주방오물은 침전이나 퇴적시키지 않고 배관으로 유입되게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는 주방오물의 습윤 밀도 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주방오물을 침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는, 습윤 밀도가 물의 밀도가 거의 유사한 값을 가지는 주방오물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 내에 물이 흐르지 않을 때에는 전처리장치 바닥에 침전되어 있지만 전처리장치에 물이 유입되면 부상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유출되어 옥내배관을 통해 원활하게 공공하수도로 유출되게 할 수 있다. 반면에 습윤 밀도가 물의 밀도 보다 큰 주방오물은 전처리장치에 그대로 퇴적되어 옥내배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or reduce the wet density (unit g / cm 3 ) of the kitchen sediment larger than 1 to precipitate or deposit inflow into the pipe, the wet density less than 1 Is allowed to enter the pipe without sedimentation or deposition. That is, the kitchen filth pre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electively precipitate kitchen filth according to the wet density value of the kitchen filth. In other words, in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itchen soil having a wet density having a value almost equal to that of the water is precipitated at the bottom of the pretreatment apparatus when water does not flow in th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100. When water enters the pretreatment device, it floats and flows out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so that it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public sewer through indoor piping. On the other hand, kitchen waste having a wet density greater than that of the water may be deposited in the pretreatment as it is and prevented or reduced from leaking into the indoor pip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침전 케이스가 배플에 의해 비중이 큰 주방오물을 침전시키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침전 케이스는 주방오물의 크기에 따라 주방오물을 선별적으로 여과시킬 수도 있는 바, 침전 케이스의 범위 또는 의미에 여과 케이스가 배제된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In the above, the sedimentation case of the kitchen sewage pre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or the sedimentation of the kitchen sewage with a large specific gravity by the baffle. It is also possible to filter selectively, so that the scope or meaning of the settling case does not exclude the filtering cas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200,300,400,500,600: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10: 외부 케이스
160: 내부 케이스
111,211,311,411,511,611: 유입포트
112,212,312,412,512,612: 유출포트
190,290,390,490,590,690: 배플
210,310,410,510,610: 침전 케이스
100,200,300,400,500,600: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110: outer case
160: inner case
111,211,311,411,511,611: Inlet port
112,212,312,412,512,612: Outflow ports
190,290,390,490,590,690: baffles
210,310,410,510,610: Settling Case

Claims (21)

주방오물이 포함된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 및 유출되는 유출포트를 구비하는 침전 케이스; 및
상기 침전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유수에 포함된 주방오물을 침전시키는 배플;을 포함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유출포트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유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A settling case having an inflow port and an outflow port into which the flowing water including the kitchen waste is introduced; And
And a baffle formed in the precipitation case to precipitate kitchen filth contained in the flowing water.
The baffle is provided between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to hinder the flow of running water,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침전 케이스의 내벽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과 이격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ffle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at least one of the inner wall of the precipitation case,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유출포트 보다 높지 않은 위치에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let port is formed in a position not higher than the outlet port,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 케이스는 높이가 밑면의 가로 및 세로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와 마주 보는 측벽에 형성되되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recipitation case is formed of a height longer tha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 of the bottom, the baffle is formed on the side wall facing the inlet port is formed inclined downward,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포트는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이웃하는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포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utlet port is formed on the side wall adjacent to the side wall on which the inlet port is formed, the baffle is located below the outlet port,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 및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baffle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ide wall on which the inlet port is formed and the side 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is form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과 상기 유입포트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플과 상기 유출포트 사이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affle and the inlet port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baffle and the outlet po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상기 배플과 사이는 이격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Spacing is formed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baffle and the inlet port is formed,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 및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baffle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ide wall formed with the inlet port and the side wall formed with the outlet port,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과 상기 유입포트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플과 상기 유출포트 사이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affle and the inlet port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baffle and the outlet por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침전 케이스의 바닥과 이격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affle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precipitation cas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baffle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idewall on which the inflow port is formed a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ide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is form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마주 보는 측벽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baffle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facing the side wall in which the outlet port is form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과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플과 상기 유출포트의 중심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affle and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is formed is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baffle and the center of the outlet po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포트는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이웃하는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포트와 상기 유입포트 사이에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outlet port is formed on the side wall adjacent to the side wall on which the inlet port is formed, the baffle is formed obliquely between the outlet port and the inlet port, kitchen waste pretreatment apparatu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 포트가 형성된 측벽 및 상기 침전 케이스의 바닥에 연결되며,
상기 유출 포트가 형성된 측벽에 연결된 상기 배플의 가장자리는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 보다 상기 유출 포트의 중심 가까이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baffle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is formed and to the bottom of the precipitation case,
The edge of the baffle connected to the side wall on which the outlet port is formed is form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outlet port than the sidewall on which the inlet port is form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마주 보는 측벽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baffle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facing the side wall in which the outlet port is form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상기 배플 사이의 거리는 상기 유출 포트가 형성된 측벽에서부터 마주 보는 측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distance between the sidewall on which the inflow port is formed and the baffle is formed to increase from the sidewall on which the inflow port is formed to the opposite sidewall.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 케이스는 상기 유입 포트 및 상기 유출 포트가 형성된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플이 형성된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8,
The sedimentation case includes an outer case formed with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and an inner case mounted inside the outer case and having the baffle formed therei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밀착을 위한 실링부재가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is formed with a sealing member for close contact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측벽 또는 바닥에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drainage hole is formed on the side wall or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KR1020120013233A 2012-02-09 2012-02-09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KR1013375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233A KR101337500B1 (en) 2012-02-09 2012-02-09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233A KR101337500B1 (en) 2012-02-09 2012-02-09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898A true KR20130091898A (en) 2013-08-20
KR101337500B1 KR101337500B1 (en) 2013-12-17

Family

ID=4921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233A KR101337500B1 (en) 2012-02-09 2012-02-09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50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299B1 (en) * 2019-02-01 2020-04-22 성경애 Device for purifying domestic sewage
CN111922039A (en) * 2020-08-03 2020-11-13 黄团英 Ecological and oxidation comprehensive treatment equipment for domestic sewa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2666B1 (en) 2008-12-02 2012-03-27 Tom Happel Baffle box deflectors and flow spread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299B1 (en) * 2019-02-01 2020-04-22 성경애 Device for purifying domestic sewage
CN111922039A (en) * 2020-08-03 2020-11-13 黄团英 Ecological and oxidation comprehensive treatment equipment for domestic sew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500B1 (en)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697B1 (en) wastewater processing device using settling treatment tank for water flow of multiple structural
KR20110034232A (en) Refuse structure food sweeping for a sink
GB2555556A (en) Grease interceptor and residue separator for catering wastewater
CN107619122A (en) Sewage from catering business processing equipment and its method of work with oil-collecting reflux
KR101337500B1 (en) 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CN106948467A (en) Rainwater runoff pollution cuts dirty facility and cuts dirty operating method
KR20090068422A (en) Pulverize device for food garbage
CN201424678Y (en) Garbage treatment device used for cleaning pool
CN108889002A (en) Waste removal equipment, drainage and method for discharging pollution
CN205710137U (en)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CN202625946U (en) Improved restaurant oil and water separator
KR200445578Y1 (en) Septic tank fo garbage disposer
CN208667290U (en) A kind of aluminium purification waste water processing unit
CN207680194U (en) A kind of duration rapid precipitation formula sedimentation basin of sewage disposal
CN207193056U (en) A kind of oil-contained waste water treatment device
CN206859334U (en) A kind of residue collects single star pond of processing
CN109454095A (en) It is a kind of for source pretreatment after kitchen castoff feed bin
KR20100135102A (en) Solid-liquid separator for food garbage
US20210220756A1 (en) Vacuum waste removal system
CN106731208A (en) Domestic waster water treater and method
CN210457908U (en) Horizontal spiral sedimentation sludge dewatering and separating device
CN100392196C (en) Domestic water saving system
CN207102111U (en) A kind of rubbish from cooking equipment for separating liquid from solid
CN207944546U (en) Unpowered rainwater runoff pollution object cuts dirty facility
CN216149202U (en) Kitchen garbage disposer capable of separating oil from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