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844A -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844A
KR20130091844A KR1020120013102A KR20120013102A KR20130091844A KR 20130091844 A KR20130091844 A KR 20130091844A KR 1020120013102 A KR1020120013102 A KR 1020120013102A KR 20120013102 A KR20120013102 A KR 20120013102A KR 20130091844 A KR20130091844 A KR 20130091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power
renewable energy
home
renew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인
이일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13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1844A/ko
Priority to US13/760,567 priority patent/US20130207466A1/en
Publication of KR2013009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6Controlling of the sharing of output between th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4/00Circuit arrangements for mains or distribution networks not specified as ac or d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02J2310/56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 upon which the selective controlling is based
    • H02J2310/62The condition being non-electrical, e.g. temperature
    • H02J2310/64The condition being economic, e.g. tariff based load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2Energy storage unit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e.g. in the last power distribution st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Abstract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의 분산전원 형태의 신재생에너지 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가 댁내에 도입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의해 공급되는 에너지는 댁내에서 자체 소비하고, 잉여 에너지에 대해서는 신재생에너지의 댁내 연계 형태에 따라 기존의 전력계통과 연계되어 에너지를 역송전하여 전력회사에 되팔거나 혹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전력 부족 시에 공급하는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및 방법은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과 연계된 신재생에너지 관련 장치들의 구성 및 접속 확인은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에서 고려하지 않았던 신재생에너지 접속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물리적인 접속 불량 및 기기의 고장 등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가정용 에너지 관리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신뢰성을 높인다.

Description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및 방법{HOME ENERGY MANAGEMETNT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WITH RENEWABLE ENERG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의 분산전원 형태의 신재생에너지 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가 댁내에 도입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의해 공급되는 에너지는 댁내에서 자체 소비하고, 잉여 에너지에 대해서는 신재생에너지의 댁내 연계 형태에 따라 기존의 전력계통과 연계되어 에너지를 역송전하여 전력회사에 되팔거나 혹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전력 부족 시에 공급하는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 에너지 절감에 대한 기술은 개별 가전제품의 절전모드 형태로 개발 및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이 표시된 가전제품으로 상품화되어 왔고, 현재는 전기가격(수요반응 정보)을 스마트가전이 전달받아 가격이 높은 시간대에는 절전모드로 운전하고, 가격이 낮은 시간대에는 정상적으로 운행하는 기능이 개발되어 상품화되었다.
하지만 이런 수동적 형태의 에너지 절감 기술은 실시간 가격정보가 전달되기 힘든 상황이기에 급작스런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어려우며, 에너지 절감효과에 있어서도 많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스마트가전에서 제공되는 기능(온/오프 포함)을 사용자가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스마트 단말에서 직접 제어(능동적 에너지 제어 기술)하게 된다면, 실시간 피크 수요에 대한 반응을 극대화하여 갑작스런 수요 증가로 인한 순환 정전이나 블랙아웃(대규모 완전 정전)과 같은 사태를 방지하고, 에너지 절감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 계통망과 정보통신 인프라를 융합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려는 전력시스템으로서, 최근 시대적 상황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주목 받으며 여러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기술 분야이다.
수요반응(DR, Demand Response)이란 도매전력가격이 높거나 계통의 신뢰도에 위험한 경우 소비자에게 실시간으로 가격신호를 제공하여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여 절약에 대한 대가를 인센티브로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그리드 기술의 확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응용 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미국의 GE, 월풀 그리고 국내의 LG 등 다수의 전세계 가전업체에서도 위와 같은 스마트 그리드 관련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가전을 개발하거나 상용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수요반응 관련 기술은 에너지 가격 정보에 대한 정보를 웹을 통해 고지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비교적 저렴한 시간대에 소비자가 직접 가전을 동작하도록 유도하거나, 또는 스마트가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간대별 에너지 가격정보와 함께 가동 시간 예약 기능을 탑재하여 저렴한 시간에 동작하도록 하는 등의 형태로 실현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수요반응과 관련하여 에너지 유틸리티 등에 의해 스마트 가전의 직접 부하 제어가 가능할 수도 있으나, 관련 스마트가전 시장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직접 부하 제어를 위해 개인 소유의 가전 정보 등 사생활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우려하며 가전에 대한 최종 제어는 소비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방식을 바라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스마트그리드 도입에 따라 전력계통과 정보통신 기술이 융합된 인프라를 바탕으로 댁내의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및 탄소배출 감축에 대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원격검침인프라(AMI)를 기반으로 댁내의 에너지 정보를 원격에서 취합하여 에너지 수요관리관련 데이터 계측을 위한 스마트미터가 개발 중이며, 전력 계측 및 통신 기능을 내부적으로 갖고 있는 지능화된 가전기기가 개발 됨에 따라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여 댁내의 에너지 사용량 감시 및 제어를 위한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대부분 댁내에서의 전기 및 가스 등의 에너지와 관련된 정보의 표시, 제어, 관리, 검증 등의 기술 기능이며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한 접속 문제 확인에 대한 절차는 검증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신재생에너지 설비 접속 형태에 따른 전력계통,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및 배터리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과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과의 연계 상태 접속 확인에 대한 시스템의 운영을 제공하는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일실시예를 이루기 위한,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는 스마트그리드 도입에 따른 분산전원 형태의 신재생에너지; 및 주변 환경 취득, 상기 신재생에너지의 연계 종류, 상기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정보, 에너지 저장장치의 상태, 실시간 요금 정보 취득을 통한 상기 신재생에너지의 에너지 거래와 요금 정산에 대한 모니터링과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의 일실시예를 이루기 위한,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방법은 신재생에너지의 연계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연계 방법에 따라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유무에 따른 전력계통 연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재생에너지 관련 설비들의 연계 상태 확인 및 통신 접속 상태를 확인한 후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과 연계된 신재생에너지 관련 장치들의 구성 및 접속 확인은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에서 고려하지 않았던 신재생에너지 접속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물리적인 접속 불량 및 기기의 고장 등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가정용 에너지 관리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신뢰성을 높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통 독립형 신재생에너지와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연계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통 연계형 신재생에너지와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연계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방법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기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을 중심으로 하여, 댁내에 분산전원 형태의 신재생에너지가 도입되는 경우의 주변 환경 정보 취득, 신재생에너지 연계 종류, 신재생에너지 발전 정보, 에너지 저장장치의 상태, 실시간 요금 정보 취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의 에너지 거래 및 요금 정산에 대한 모니터링 및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HEMS,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100)은 전력 계통(110), 신재생에너지(120), 첨단 검침 인프라(130), 부하(140)를 포함한다.
전력 계통(110)은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공급원으로 댁내에 전원을 공급한다.
신재생에너지(120)는 태양광, 풍력 등의 환경 친화적 에너지로 스마트그리드 도입에 따른 분산전원 형태의 전원이다.
첨단 검침 인프라(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130)는 에너지 공급 및 소비하는 상태정보를 취득한다.
부하(140)는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100)을 통해 전력 계통(110)과 신재생에너지(120)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소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과 연계된 신재생에너지전원의 형태는 계통독립형과 계통연계형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통 독립형 신재생에너지와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연계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계통독립형 신재생에너지 전원이 가정용에너지관리시스템에 연계된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환경 센서(211), 신재생에너지(212), 전력변환장치(213), 인버터(214)로 구성된 소규모 분산전원(210), 배터리(221)와 배터리관리시스템(222)으로 구성된 에너지저장시스템(220), 원격단말장치/스마트미터(230), 홈 게이트웨이(240), 에너지관리시스템(250), 부하(260)를 포함한다.
소규모 분산전원(Distributed Energy Resources)(210)은 환경 센서(211), 신재생에너지(212), 전력변환장치(213), 인버터(214)를 포함한다.
환경 센서(211)는 날씨, 온도, 풍향, 조도 등의 환경 변화를 감지한다.
신재생에너지(212)는 환경 센서(211)에 의해 측정된 환경 변화에 기반하여 태양광, 풍력 등으로부터 에너지를 생성한다.
전력변환장치(213)는 태양전지와 풍력터빈에 의해 발전된 신재생에너지의 전력품질을 감시한다.
인버터(214)는 신재생에너지 전원에 의해 발생된 DC 전력을 AC 전원으로 변환해 준다.
에너지저장시스템(220)은 직류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221)와 배터리관리시스템(222)을 포함한다.
배터리(221)는 전력변환장치(213)로부터 발전된 신재생에너지를 저장한다.
배터리관리시스템(222)은 충방전 회로를 제어하여 배터리(221)를 관리한다.
원격단말장치(RTU)/스마트미터(230)는 인버터(214)와 배터리관리시스템(222)과 통신하여 전원 상태 데이터를 취득한다.
홈 게이트웨이(240)는 전원 상태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에너지관리시스템(250)은 홈 게이트웨이(240)와 에너지저장시스템(220)과 통신하여 댁내 에너지 공급 및 수요 관리를 수행한다.
부하(260)는 에너지관리시스템(250)에 의해 공급되는 댁내 에너지를 소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통 연계형 신재생에너지와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연계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계통연계형 신재생에너지 전원이 가정용에너지관리시스템에 연계된 구성을 보여준다.
소규모 분산전원(Distributed Energy Resources)(310)은 환경 센서(311), 신재생에너지(312), 전력변환장치(313), 인버터(314)를 포함한다.
환경 센서(311)는 날씨, 온도, 풍향, 조도 등의 환경 변화를 감지한다.
신재생에너지(312)는 환경 센서(311)에 의해 측정된 환경 변화에 기반하여 태양광, 풍력 등으로부터 에너지를 생성한다.
전력변환장치(313)는 태양전지와 풍력터빈에 의해 발전된 신재생에너지의 전력품질을 감시한다.
인버터(314)는 신재생에너지 전원에 의해 발생된 DC 전력을 AC 전원으로 변환해 준다.
상용전력계통은 신재생에너지 전원에서 발전된 전력량이 댁내 에너지 소비량보다 많아 잉여에너지(전력)이 발생한 경우 전력계통(360)에 에너지를 송전하여 인센티브를 받거나, 전기요금 절감 등의 에너지 거래를 수행한다.
원격단말장치(RTU)/스마트미터(320)는 인버터(314)와 통신하여 전원 상태 데이터를 취득한다.
홈 게이트웨이(330)는 전원 상태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에너지관리시스템(340)은 홈 게이트웨이(330)와 통신하여 댁내 에너지 공급 및 수요 관리를 수행한다.
부하(350)는 에너지관리시스템(340)에 의해 공급되는 댁내 에너지를 소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방법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에너지관리장치는 신재생에너지 유형에 따른 선택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신재생에너지 유형선택 방법을 실행한다. 신재생에너지의 연계 방법에 따라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유무가 결정되며, 이에 따른 전력계통 연계 가능성도 달라지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관련 설비들의 연계 상태 확인 및 통신 접속 상태를 확인한 후 에너지관리장치의 제어를 실행하도록 한다.
에너지관리장치는 신재생에너지의 연계 방법을 선택한다(410).
에너지관리장치는 선택된 연계 방법에 따라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유무를 결정한다(420).
에너지관리장치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유무에 따른 전력계통 연계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에너지관리장치는 계통연계형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430).
에너지관리장치는 신재생에너지 전원에 의해 발생된 DC 전력을 AC 전원으로 변환해주는 인버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에너지관리장치는 발전된 신재생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한다.
에너지관리장치는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한다.
에너지관리장치는 계통연계형 신재생에너지 관리 장치와 연계하여 상태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40).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 에너지관리장치는 계통독립형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450).
에너지관리장치는 신재생에너지 전원에 의해 발생된 DC 전력을 AC 전원으로 변환해주는 인버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에너지관리장치는 신재생에너지 전원에서 발전된 전력량이 댁내 에너지 소비량보다 많아 잉여에너지(전력)가 발생한 경우 전력계통에 에너지를 송전하여 인센티브를 받거나, 전기요금 절감 등의 에너지 거래를 실행한다.
에너지관리장치는 AC 전원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한다.
에너지관리장치는 계통독립형 신재생에너지 관리 장치와 연계하여 상태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460).
에너지관리장치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설비들의 연계 상태 확인 및 통신 접속 상태를 확인(470)한 후 접속 상태를 재확인하고 에너지관리의 제어를 실행한다(48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구성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전력 계통
120 : 신재생에너지
130 : 첨단 검침 인프라
140 : 부하

Claims (7)

  1. 스마트그리드 도입에 따른 분산전원 형태의 신재생에너지; 및
    주변 환경 취득, 상기 신재생에너지의 연계 종류, 상기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정보, 에너지 저장장치의 상태, 실시간 요금 정보 취득을 통한 상기 신재생에너지의 에너지 거래와 요금 정산에 대한 모니터링과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
    을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은,
    댁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 계통;
    공급받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부하; 및
    에너지 공급 및 소비하는 상태정보 취득을 위한 첨단 검침 인프라
    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은,
    날씨, 온도, 풍향 등의 환경센서, 상기 환경센서에 의해 측정된 환경 변화에 기반한 신재생에너지 전원, 상기 발전된 신재생에너지의 전력품질 감시를 위한 전력변환장치, 상기 신재생에너지 전원에 의해 발생된 DC 전력을 AC로 변환해주는 인버터로 구성된 소규모 분산전원(Distributed Energy Resources);
    상기 발전된 신재생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된 에너지저장시스템;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데이터 취득을 위한 원격단말장치(RTU)/스마트미터;
    상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홈 게이트웨이;
    상기 소규모 분산전원과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이용한 댁내 에너지 공급 및 수요 관리를 위한 에너지관리시스템; 및
    상기 댁내 에너지를 소비하는 부하
    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에너지관리시스템은,
    날씨, 온도, 풍향 등의 환경센서, 상기 환경센서에 의해 측정된 환경 변화에 기반한 신재생에너지 전원, 상기 발전된 신재생에너지의 전력품질 감시를 위한 전력변환장치, 상기 신재생에너지 전원에 의해 발생된 DC 전력을 AC로 변환해주는 인버터로 구성된 소규모 분산전원(Distributed Energy Resources);
    상기 신재생에너지 전원에서 발전된 전력량이 댁내 에너지 소비량보다 많아 잉여에너지(전력)가 발생한 경우 전력계통에 에너지를 송전하여 인센티브를 받거나, 전기요금 절감 등의 에너지 거래를 위한 상용전력계통;
    상기 소규모 분산전원의 데이터 취득을 위한 원격단말장치(RTU)/스마트미터;
    상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홈 게이트웨이;
    상기 소규모 분산전원을 이용한 댁내 에너지 공급 및 수요 관리를 위한 에너지관리시스템; 및
    상기 댁내 에너지를 소비하는 부하
    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5. 신재생에너지의 연계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연계 방법에 따라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유무에 따른 전력계통 연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재생에너지 관련 설비들의 연계 상태 확인 및 통신 접속 상태를 확인한 후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전원에 의해 발생된 DC 전력을 AC 전원으로 변환해주는 인버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발전된 신재생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전원에 의해 발생된 DC 전력을 AC 전원으로 변환해주는 인버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신재생에너지 전원에서 발전된 전력량이 댁내 에너지 소비량보다 많아 잉여에너지(전력)가 발생한 경우 전력계통에 에너지를 송전하여 인센티브를 받거나, 전기요금 절감 등의 에너지 거래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AC 전원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방법.
KR1020120013102A 2012-02-09 2012-02-09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및 방법 KR20130091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102A KR20130091844A (ko) 2012-02-09 2012-02-09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및 방법
US13/760,567 US20130207466A1 (en) 2012-02-09 2013-02-06 Hom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with new renewable ener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102A KR20130091844A (ko) 2012-02-09 2012-02-09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844A true KR20130091844A (ko) 2013-08-20

Family

ID=4894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102A KR20130091844A (ko) 2012-02-09 2012-02-09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07466A1 (ko)
KR (1) KR2013009184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83334A (zh) * 2013-12-31 2014-03-26 国家电网公司 一种智能微网的能量管理方法
KR101506237B1 (ko) * 2013-11-08 2015-03-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독립전력시스템, 제어장치 및 공급가능전력을 표시하는 콘센트장치
KR20150054025A (ko) * 2013-11-08 2015-05-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독립전력시스템, 제어장치 및 수급 상태를 표시하는 콘센트장치
US10333340B2 (en) 2015-10-22 2019-06-25 Lg Electronics Inc.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324535B1 (ko) * 2020-05-11 2021-11-09 여영찬 연료전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8918B2 (en) * 2014-02-28 2017-01-17 General Electric Company Edge router systems and methods
CN103997062B (zh) * 2014-05-28 2016-04-20 天津大学 一种微网能量管理控制方法
EP3221708A4 (en) * 2014-11-17 2018-06-27 Curb Inc. Resource monitoring system with disaggregation of devices and device-specific notifications
US10404063B2 (en) 2014-11-25 2019-09-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robabilistic model-based virtual distributed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906038B2 (en) * 2015-01-29 2018-02-27 Cyboenergy, Inc. Smart renewable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grid and DC source flexibility
JP6079803B2 (ja) * 2015-03-20 2017-02-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デマンドレスポンス制御結果提示装置
KR20170011614A (ko) * 2015-07-23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시스템
US11309714B2 (en) * 2016-11-02 2022-04-19 Tesla, Inc. Micro-batteries for energy generation systems
US10732589B2 (en) 2017-02-23 2020-08-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controlling energy storage and apparatuses performing the same
CN107968428A (zh) * 2017-11-22 2018-04-27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能量分配系统及其实现方法
CN108900001A (zh) * 2018-07-25 2018-11-27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家庭能源管理系统
KR20210059917A (ko) * 2019-11-18 2021-05-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양광 발전의 출력 신뢰성을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조절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4975B2 (en) * 2005-06-06 2007-09-25 Gridpoint, Inc. Optimized energy management system
WO2008086114A2 (en) * 2007-01-03 2008-07-17 Gridpoint, Inc. Utility console for controlling energy resources
US20100017045A1 (en) * 2007-11-30 2010-01-2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Electrical demand response using energy storage in vehicles and buildings
US8872379B2 (en) * 2007-11-30 2014-10-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Efficient usage, storage, and sharing of energy in buildings, vehicles, and equipment
GB0816721D0 (en) * 2008-09-13 2008-10-22 Daniel Simon R Systems,devices and methods for electricity provision,usage monitoring,analysis and enabling improvements in efficiency
EP2325970A3 (en) * 2009-11-19 2015-01-21 Samsung SDI Co., Ltd.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grid-connecte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US20110222327A1 (en) * 2010-03-11 2011-09-15 Christopher Thompson Photovoltaic Inverter Power System
US20120159596A1 (en) * 2010-12-17 2012-06-21 Greenvolts, Inc. Browser-based back-end management system for a concentrated photovoltaic (cpv)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237B1 (ko) * 2013-11-08 2015-03-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독립전력시스템, 제어장치 및 공급가능전력을 표시하는 콘센트장치
KR20150054025A (ko) * 2013-11-08 2015-05-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독립전력시스템, 제어장치 및 수급 상태를 표시하는 콘센트장치
CN103683334A (zh) * 2013-12-31 2014-03-26 国家电网公司 一种智能微网的能量管理方法
US10333340B2 (en) 2015-10-22 2019-06-25 Lg Electronics Inc.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324535B1 (ko) * 2020-05-11 2021-11-09 여영찬 연료전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07466A1 (en) 201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1844A (ko) 신재생에너지 연동형 가정용 에너지관리장치 및 방법
Zhou et al. Smart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s: Concept, configurations, and scheduling strategies
US98805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crogrid power generation management with selective disconnect
JP5576498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方法
Mohamed et al. Energy management and renewable energy integration in smart grid system
US11257173B2 (en) Complex energy system in bidirectional energy network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1042787A1 (ja) 電力分配システム
KR20130094925A (ko)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에너지 제어 방법
KR20120070903A (ko) 스마트그리드 전력제어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력 제어방법
WO2013057516A9 (en) Smart meter apparatus
Herenčić et al. Overview of the main challenges and threats for implementation of the advanced concept for decentralized trading in microgrids
KR101080036B1 (ko) 수요 전력 연동 스마트 발전 관리 장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10057557A (ko) 지능형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30117566A (ko) 주택용 지능형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Nijat et al. Analysis of the Smart grid System for Renewable Energy SOURCES
US11616391B2 (en)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Jirapornanan Study of smart grid for Thailand and identification of the required research and development
Worighi et al. Smart grid architecture and impact analysis of a residential microgrid
KR20130041618A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에너지 관리 방법
Eissa Smart Metering Technology and Services: Inspirations for Energy Utilities
Cuevas et al. Next Generation of Energy Residential Gateways for Demand Response and Dynamic Pricing
Bai Role of demand response
KR20210025821A (ko) 저전압 직류 배전시스템과 클라우드 ems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RECIOUI et al. A Smart Metering Simulation in LABVIEW
KR20140077680A (ko) 댁내 전기요금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