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761A -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761A
KR20130091761A KR1020137006551A KR20137006551A KR20130091761A KR 20130091761 A KR20130091761 A KR 20130091761A KR 1020137006551 A KR1020137006551 A KR 1020137006551A KR 20137006551 A KR20137006551 A KR 20137006551A KR 20130091761 A KR20130091761 A KR 20130091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bioactive agent
curcumin
based carri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란 프리엔드
기드온 슈트라스만
에이셔 슈뮬레위츠
Original Assignee
클레어파르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레어파르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클레어파르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91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1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emulsifi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23P10/35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with oils, lipids, monoglycerides or d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2Ophthalmic agents for cata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61P5/30Oestro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0Antioedematous agents; Diur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Diabet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Rheu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otan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기능성 식품은 생물활성제를 포함하는 지질용매를 반고체 또는 액체 식품 기반 캐리어와 함께 생물활성제를 함유하는 고형 지질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션이 생성될 때까지 혼합하여 제조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FOOD COMPOSITIONS AND METHODS}
본 발명은 식품 기반 캐리어에 분산되어 있는 고형 지질입자 내에 수용된 생물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양" 및 "제약"이라는 용어로 조합된 기능식품(Nutraceutical)은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포함하는 건강 및 의료 효과를 제공하는 식품 또는 식료품이다. 기능식품은 다른 카테고리 중 기능성 식품 및 의료용 식품을 포함한다[Chen et al.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17 (2006) 272-283; 및 Lemes and McClements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20 (2009); 참조].
기능성 식품은 그 영양상태와 거의 유사하게 소모되고, 식품의 영양 효과를 능가하는(또는 식품의 영양 효과에 더하여) 특정 의료 또는 생리 효과를 제공하는 구성성분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황 성분을 포함하는 마늘 및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생선은 기능성 식품의 예시이다. 식품의 영양성분 또는 생리 효과를 회복시키거나 또는 보충하기 위하여 기능성 식품이 강화되거나 또는 첨가될 수 있다.
의료 식품은 의사의 관리 아래에서 내부로 소모되거나 또는 투여되기 위하여 만들어지고, 특정 영양상의 요구가 있는 질병 또는 환경의 식이관리를 위한 것이다.
식품 기반 캐리어에서 비타민, 프로바이오틱, 생물활성 펩타이드, 및 황산화제와 같은 생물활성 성분의 혼합은 생리 효과 또는 병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신규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능성 및 의료 식품은 주로 생물활성제의 수용능력(즉, 식품 기반 캐리어에서 생물활성제의 농도)까지 제한되고, 특히 활성제가 식품 기반 캐리어에 쉽게 용해되거나 또는 유화될 수 없는 경우에 제한된다.
생물활성 식품 성분은 과일 및 야채와 같은 식품에 존재하고, 하나 이상의 대사과정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보이는 생체분자이므로, 질병의 치료 및 건강증진에 사용될 수 있다.
생물활성 식품 성분은 식품의 일부로 복용할 수 있거나 또는 정제된 형태로 복용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이들의 제한된 생물학적 가용능 때문에 이러한 성분이 건강 효과를 위해 필요한 유효량으로 복용되는지는 불분명하다.
생물활성 식품 성분의 생물학적 가용능을 증진시키는 방법은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생물활성 식품 성분의 위장(GI) 흡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및/또는 위장관 또는 체내에서 이들이 파괴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디자인된 제제를 포함한다(Davis, DDT, Volume 10, Number 4, Feb. 2005 참조).
이러한 제제가 생물활성 식품 성분의 생물학적 가용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더라도, 주로 생체분자에서 유도된 식품은 역겨운 냄새 때문에 복용하기 어렵고, 생물활성 식품 성분으로부터 유도된 식품과 관련된 영양상의 가치를 제공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한이 전혀 없는 영양 기초 및 생물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한 필요가 여전히 남아있다.
본 발명은 생물활성제의 생리학적 유효량의 구강 전달이 가능한 식품 기반 생리학적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현재 알려진 구성의 단점을 성공적으로 다룬다.
다른 정의가 없는 경우, 여기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여기에 기재된 방법 및 소재와 유사 또는 동일한 방법 및 내용이 본 발명의 실험에 사용될 수 있더라도, 적합한 방법 및 소재는 다음과 같다. 상충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특허 명세서가 조절해 줄 것이다. 더욱이, 재료, 방법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친유성 생물활성제(bioactive agent)의 존재 하에 지질용매를 용해하는 단계;
용해된 지질용매 및 생물활성제를 적어도 65 °C에서 가열하는 단계;
용해된 지질용매 및 생물활성제에 식품 기반 캐리어(food base carrier)를 투입하는 단계; 및
생물활성제를 함유하는 지질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션이 생성될 때까지 용해된 지질용매, 생물활성제, 및 식품 기반 캐리어를 유화하는 단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용해된 지질용매 및 생물활성제를 적어도 65 °C에서 가열하는 단계가 용해된 지질용매 및 생물활성제를 70 내지 90 °C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유화하는 단계가 연속적으로 냉각하는 단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냉각하는 단계가 약 45 °C 에서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냉각하는 단계가 유화 온도보다 적어도 20 °C 낮은 온도에서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생물활성제의 존재 하에서 지질용매를 용해하는 단계 이전에 생물활성제 존재 하에서 유화제를 적어도 90 °C로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유화제가 폴리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 및 수크로오스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유화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100 스테아르산염,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40 스테아르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용해된 지질용매 및 생물활성제에 식품 기반 캐리어를 투입하는 단계 이전에 식품 기반 캐리어의 적어도 일부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의 적어도 일부를 가열하는 단계가 식품 기반 캐리어의 제1 부분을 제1 기준온도에서 가열하는 단계 및 식품 기반 캐리어의 제2 부분을 제1 기분온도보다 낮은 제2 기준온도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제1 기준온도는 적어도 60 °C 이고, 제2 기준온도는 50 °C 미만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유화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식품 기반 캐리어를 투입하는 단계가 식품 기반 캐리어의 제1 부분을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식품 기반 캐리어의 제2 부분을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2 부분을 투입하는 단계는 다른 구성성분이 유화되는 온도가 60 °C 이하인 경우에만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소르빈산칼륨의 존재 하에 식품 기반 캐리어의 일부가 용액이 될 때까지 가열하는 단계;
용액을 상온에서 냉각하는 단계; 및
용해된 지질용매 및 생물활성제에 용액을 투입하는 단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가 상온에서 반고체 상태(semi solid)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가 상온에서 액체 상태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생물활성제가 생물활성 식품 성분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의 존재 하에 지질용매를 용해하는 단계는 커큐민, 디인돌리메탄, 퀘세틴, 디아데진, 실리마린, 제니스테인, 필수지방산, 및 피토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생물활성제의 존재 하에 지질용매를 용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가 사카라이드 시럽 및 폴리사카라이드 시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시럽이 꿀, 상기 시럽은 꿀, 데이트 시럽, 및 메이플 시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 내에서 입자로 고체화하기 위하여 지질의 적어도 일부를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 내에서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 내에서 입자로 고체화하기 위하여 지질의 적어도 일부를 허용하는 단계가 식품 기반 캐리어 내에서 미소 구체로 고체화하기 위하여 지질의 적어도 일부를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 내에서 미소 구체로 고체화하기 위하여 지질의 적어도 일부를 허용하는 단계가 식품 기반 캐리어 내에서 직경이 0.5 μm 내지 5 μm인 미소 구체로 고체화하기 위하여 지질의 적어도 일부를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 내에서 입자로 고체화하기 위하여 지질의 적어도 일부를 허용하는 단계가 고체 입자 및 반고체 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품 기반 캐리어 내에서 입자로 고체화하기 위하여 지질의 적어도 일부를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생물활성제의 적어도 70%가 입자와 관련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생물활성제의 적어도 80%가 입자와 관련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생물활성제의 90% 내지 95%가 입자와 관련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수소첨가된 피마자유, 스테아린, 팜유, 고-오메가-3 세이지유, 석류유,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질용매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생물활성제와 식품 기반 캐리어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생물활성제와 식품 기반 캐리어를 혼합하는 단계가 비타민 및 미네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생물활성제와 식품 기반 캐리어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생물활성제와 식품 기반 캐리어를 혼합하는 단계가 친수성 생물활성제와 식품 기반 캐리어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생물활성제와 식품 기반 캐리어를 혼합하는 단계가 코발아민, 엽산, 및 글루콘산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생물활성제와 식품 기반 캐리어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친유성 생물활성제, 지질, 및 식품 기반 캐리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으로, 지질이 식품 기반 캐리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입자로 분산되어 있고, 친유성 생물활성제의 적어도 일부가 입자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입자가 식품의 5% 내지 40%로 이루어진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가 생물활성 식품 성분인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가 커큐민, 디인돌리메탄, 퀘세틴, 디아데진, 실리마린, 제니스테인, 필수지방산, 및 피토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지질이 수소첨가된 피마자유, 스테아린, 팜유, 고-오메가-3 세이지유, 석류유,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가 상온에서 액체 상태인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가 상온에서 반고체 상태인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가 사카라이드 시럽 및 폴리사카라이드 시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시럽이 꿀, 데이트 시럽, 및 메이플 시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입자가 식품 기반 캐리어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입자가 미소 구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미소 구체가 0.5 μm 내지 5 μm의 직경을 갖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입자가 고체 입자 및 반고체 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생물활성제의 적어도 70%가 입자와 관련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생물활성제의 적어도 80%가 입자와 관련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생물활성제의 90% 내지 95%가 입자와 관련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유화제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유화제가 폴리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 및 수크로오스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유화제가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100 스테아르산염,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40 스테아르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인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생물활성제와 혼합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생물활성제가 비타민 및 미네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생물활성제가 친수성 생물활성제인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친수성 생물활성제가 코발아민, 엽산, 및 글루콘산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생물활성제의 제조방법으로, 식품 기반 캐리어 내에 분산된 입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친유성 생물활성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기능성 식품을 투여하는 단계가 다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특성화된 기능성 식품을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커큐민, 디인돌리메탄, 퀘세틴, 디아데진, 실리마린, 제니스테인, 필수지방산, 및 피토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친유성 생물활성제; 및,
사카라이드 및 폴리사카라이드 시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품 기반 캐리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기능성 식품을 투여하는 단계가 유화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유화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투여하는 단계가 폴리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 및 수크로오스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화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기능성 식품을 투여하는 단계가 식품 기반 캐리어와 혼합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생물활성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와 혼합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생물활성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투여하는 단계가 식품 기반 캐리어와 혼합된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생물활성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 생물활성제를 포함하는 지질용매를 적어도 65 °C에서 용해하는 단계; 및,
(b) 생물활성제를 함유하는 고형 지질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션이 생성될 때까지 단계 (a)의 생성물을 반고체 상태의 식품 기반 캐리어와 함께 유화하는 단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 생물활성제를 포함하는 지질용매를 적어도 65 °C에서 용해하는 단계; 및,
(b) 생물활성제를 함유하는 고형 지질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션이 생성될 때까지 단계 (a)의 생성물을 액체 상태의 식품 기반 캐리어와 함께 유화하는 단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생물활성제가 생물활성 식품 성분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생물활성 식품 성분이 커큐민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생물활성 식품 성분이 디인돌리메탄(DIM)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가 꿀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지질용매가 수소첨가된 피마자유, 스테아린, 팜유, 아리나™ 오일, 고-오메가-3 세이지유, 석류유,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지질용매가 유화제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유화제가 폴리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 또는 수크로오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온도가 70 내지 90°C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단계 (b) 이전에 식품 기반 캐리어가 적어도 65 °C에서 가열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고형 지질입자의 직경이 0.5 μm 내지 5 μm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단계 (b)가 생물활성제 및 식품 기반 캐리어의 혼합물이 약 45 °C에서 점진적으로 냉각되는 동안 영향을 받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품 기반 캐리어에 균일하게 분산된 고형 지질입자를 함유하는 식품 기반 캐리어 및 적어도 하나의 생물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생물활성제의 적어도 80%가 고형 지질입자와 관련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조성물에서, 생물활성제가 생물활성 식품 성분인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조성물에서, 생물활성 식품 성분이 커큐민인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조성물에서, 생물활성 식품 성분이 디인돌리메탄인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조성물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가 꿀인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조성물에서, 고형 지질입자가 수소첨가된 피마자유, 스테아린, 팜유, 아리나™ 오일, 고-오메가-3 세이지유, 석류유,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조성물에서, 유화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조성물에서, 유화제가 폴리에틸렌글리콜인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조성물에서, 고형 지질입자의 직경이 0.5 μm 내지 5 μm인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에 필요한 생물활성제의 제조방법으로, 식품 기반 캐리어에 균일하게 분산된 고형 지질입자를 함유하는 식품 기반 캐리어 및 적어도 하나의 생물활성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생물활성제의 적어도 80%가 고형 지질입자와 관련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제조방법에서, 투여가 경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꿀 캐리어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고형 지질입자를 포함하는 꿀 캐리어 및 고형 지질입자 내에 함유된 커큐민 및/또는 디인돌리메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서, 3 개월 동안 32 °C에서 보관하는데 안정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조성물에서, 3 개월 동안 32 °C에서 보관하는데 안정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환자의 체내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의 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에 친유성 생물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필요한 환자에 기능성 식품의 일정량을 투여하는 단계.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환자의 체내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의 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필요한 환자에게 상기에서 정의된 친유성 생물활성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의 일정량을 투여하는 단계.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환자의 체내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의 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가 생물활성 식품 성분인 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환자의 체내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의 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가 커큐민, 디인돌리메탄, 퀘세틴, 디아데진, 실리마린, 제니스테인, 필수지방산, 및 피토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환자의 체내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의 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지질용매가 수소첨가된 피마자유, 스테아린, 팜유, 고-오메가-3 세이지유, 석류유,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환자의 체내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의 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필요한 환자의 혈액 내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환자의 체내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의 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필요한 환자의 간 내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환자의 체내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의 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필요한 환자의 위장 점막 내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친유성 생물활성제에 의해 개선된 질환의 치료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정의된 기능성 식품 내에 친유성 생물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이러한 상태로부터 고통을 받는 환자에게 기능성 식품의 일정량을 투여하는 단계.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필요한 환자에게 상기에서 정의된 친유성 생물활성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의 일정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유성 생물활성제에 의해 개선된 상태의 치료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친유성 생물활성제에 의해 개선된 질환의 치료방법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는 생물활성 식품 성분인 치료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친유성 생물활성제에 의해 개선된 질환의 치료방법에서, 친유성 생물활성제가 커큐민, 디인돌리메탄, 퀘세틴, 디아데진, 실리마린, 제니스테인, 필수지방산, 및 피토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치료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친유성 생물활성제에 의해 개선된 질환의 치료방법에서, 지질용매가 수소첨가된 피마자유, 스테아린, 팜유, 고-오메가-3 세이지유, 석류유,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료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친유성 생물활성제에 의해 개선된 질환의 치료방법에서, 질환이 면역질병, 심장병, 호흡기질환, 염증, 암, 백혈병, 림프종, 위장암, 비뇨생식기암, 유방암, 난소암, 머리 및 목의 편평세포암종, 폐암, 악성 흑색종, 신경암, 위장관질환, 위궤양, 대장염, 장질환, 크론병, 결장암, 지방간질환 및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부종, 관절염, 췌장염, 안과질환, 내염증성질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료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친유성 생물활성제에 의해 개선된 질환의 치료방법에서, 질환이 호흡기 유두종증, 전립선염, 백내장, 알러지, 기관지염, 천식, 만성소화장애증(셀리악 병), 비셀리악 글루텐과민증, 및 과민성대장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료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암으로부터 공통을 받는 환자에 대한 부가적인 치료방법으로, 상기에서 정의된 방법으로 기능성 식품 내에 친유성 생물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환자에게 다른 항암치료와 함께 기능성 식품을 일정량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형암, 백혈병, 림프종, 위장암, 비뇨생식기암, 유방암, 난소암, 머리 및 목의 편평세포암종, 폐암, 악성 흑색종, 신경암, 및 육종, 또한 위궤양, 대장염, 장질환, 크론병, 결장암, 지방간질환 및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과 같은 위장관질환, 부종, 관절염, 췌장염, 안과질환, 내염증성질환으로부터 고통받는 환자들에 대한 파르마, 즉, 천연물신약 치료방법으로, 상기에서 정의된 방법으로 의약품 내에 친유성 생물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단지 예시로 기재되었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참조와 함께, 도면은 하나의 예시이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논의하기 위한 목적이며, 가장 바람직한 예시를 제공하고 본 발명의 원리 및 과제해결원리를 쉽게 이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조를 더 상세하게 보여주는 시도가 없었고, 도면에 대한 설명은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여러 형태가 포함될 것이라는 것을 분명하게 해 준다.
도면에서:
도 1은 커큐민의 화학적 구조 및 이의 대사산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꿀에 커큐민(및/또는 디인돌리메탄)이 분산된 고체상태의 지질의 제조방법에 대한 개요를 서술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꿀에서 입자크기가 5 내지 100 μm인 커큐민 파우더 입자(결정)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꿀에서 평균입자크기가 5 μm이하인 커큐민 고형 지질입자(SLPs); 물에 분산된 커큐민 고형 지질입자; 및 물에 분산된 커큐민 파우더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5a-5c는 제제되지 않은 커큐민 또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라 제제된 커큐민 400 mg/kg이 투약된 쥐에서 커큐민의 수준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6a는 고형 지질입자 및 Meriva를 시간 별(15분, 30분, 60분 및 120분)로 사용한 혈장 커큐민 농도에서 델타를 도시한다.
도 6b는 고형 지질입자 및 Meriva를 시간 별(15분, 30분, 60분 및 120분)로 사용한 점막 커큐민 농도에서 델타를 도시한다.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기술분야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다른 식별항목과 함께 제공되고, 본 발명을 한 발명자에 의해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를 밝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는 유일한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방법으로 구체적으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은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질병을 치료하고 행복을 증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의약품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 친유성 생물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면역질환암, 고형암, 백혈병, 림프종, 위장암, 비뇨생식기암, 유방암, 난소암, 머리 및 목의 편평세포암종, 폐암, 악성 흑색종, 신경암, 및 육종, 또한 위궤양, 대장염, 장질환, 크론병, 결장암, 지방간질환 및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과 같은 위장관질환, 부종, 관절염, 췌장염, 안과질환, 내염증성질환으로부터 고통받는 피험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고형암, 위궤양, 대장염, 장질환, 크론병, 결장암과 같은 위장관질환, 부종, 관절염, 췌장염, 안과질환, 내염증성질환으로부터 고통받는 환자들에 대한 파르마, 즉, 천연물신약 치료방법으로, 하기에서 설명되는 방법으로 의약품 내에 친유성 생물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 및 작동은 도면과 이에 수반되는 설명에 의해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구체예를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은 아래에서 기재된 상세한 설명 또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른 구체예로 설명되거나 또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된 어법 및 전문용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를 위해 본 발명을 축소하는 동안, 본 발명자는 생물활성제를 함유하는 고형 지질입자와 함께 혼합된 식품 기반 캐리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제하기 위한 신규한 접근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영양소를 제공하고, 생물활성제와 관련된 불쾌한 냄새 또는 맛을 제거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동안 위장관에서 생물활성제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간과 같은 피험자의 질환 또는 질병을 치료하거나 또는 행복을 증진 또는 유지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기에서 기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보조적인 다른 치료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형암, 위궤양, 대장염, 장질환, 크론병, 결장암과 같은 위장관질환, 부종, 관절염, 췌장염, 안과질환, 내염증성질환으로부터 고통받는 환자들에 대한 파르마, 즉, 천연물신약 치료방법으로, 상기에서 정의된 방법으로 의약품 내에 친유성 생물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방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생물화성제가 함유된 고형 지질입자와 혼합된 식품 기반 캐리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식품 기반 캐리어(food-based carrier)"라는 용어는 식품으로 정의되는 또는 식품으로부터 유도된 어떠한 액체상태 또는 반고체상태의 조성물을 나타낸다. 식품 기반 캐리어의 예시는 꿀, 데이트 시럽 및 메이플 시럽과 같은 사카라이드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시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높은 영양소 함량뿐만 아니라 미네랄과 같은 유익한 요소를 자연스럽게 포함하는 식품 기반 캐리어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입자(particles)"라는 용어는 나노 또는 마이크로 입자의 고형 지질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생물활성제(bioactive agent)"라는 용어는 신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생물학적(즉, 생리학적) 효과를 가하는 주로 정제된 물질을 나타낸다. 생물활성 성분은 하나 이상의 생물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생물활성 성분은 야채 또는 과일 또는 다른 천연물의 추출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함량과 관련하여 여기에서 사용된, "약"이라는 용어는 명목상의 양의 ± 10 %을 나타낸다.
아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을 발명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식품 기반 캐리어 내에서 생물활성제를 함유한 고형 지질입자의 제제를 가능하게 하므로, 먼저 고형 지질입자가 함유된 생물활성제를 생산하고, 그 다음 캐리어와 함께 혼합하기 위하여 목적물을 제거한다. 이러한 접근은 시간 및 노력뿐만 아니라 제조에 필요한 비용을 상당히 줄여준다. 더욱이, 이러한 접근은 에탄올, 헥산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케톤, 에틸메틸케톤과 같은 위험한 유기용매(미국특허 제6,086,915호 참조)의 사용에 대한 요구를 배제한다.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친유성 생물활성제 및 지질(상온에서 고체상태)를 공용해(co-melting)하는 단계, 65 내지 90 °C에서 가열하는 단계 및 꿀 내에서 지질이 고체 또는 반고체 상태의 미소 구체로 고형화되도록 냉각(바람직한 구체예에서 45 °C 까지)하는 동안, 꿀(또는 유사한 식품 기반 캐리어)에서 용해된 혼합물을 유화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유일한 특성에 의해 특징된다. 고형 지질입자는 식품 기반 캐리어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5 내지 40%(w/w)가 된다. 생물활성제의 적어도 70%(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적어도 80%,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적어도 90내지 95%)는 고형 지질 입자와 관련된다.
이는 생물활성제와 함께 30%만큼의 꿀과 같은 캐리어의 함유를 가능하게 하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다량의 생물활성제를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생물활성제를 함유할 뿐만 아니라 위장관 악화로부터 생물활성제를 보호하기 위한 고형 지질입자의 사용은 불쾌한 냄새 및 맛을 갖는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기능성 식품 내에서 고형 지질입자는 작고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분리 및 전달뿐만 아니라 식품 캐리어의 부드러운 감촉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커큐민의 경우, 이 유효성분으로 패키징된 고형 지질입자는 (물에서) 입자크기가 수배로 줄어든다(도 4a-c 참조).
더욱이, 고형 지질입자로부터 생물활성제의 방출은 지질의 효소 분해를 방지하기 때문에, 더욱 조절되고 표적이 된 생물활성제가 가능하게 된다.
결국, 고형 지질입자가 함유된 생물활성제는 매우 적절하게 미분화된 입자로 위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도 4 참조), 생물활성제의 분리 및 용해는 본 발명의 제제에 의해 상당히 증진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러 종류의 식품 기반 캐리어는 본 발명의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기 적합하다. 꿀(미가공 또는 거의 미가공인 형태), 데이트 시럽 및 메이플 시럽과 같은 캐리어는 이들의 영양소 및 미네랄/성분 때문에 바람직하다.
벌 집단의 노동의 마지막 결과물은 꿀이다. 꿀은 약 41%의 과당을 포함한다. 이는 가장 달콤한 설탕을 만들 수 있게 한다고 인류에게 알려져 있다. 또한 꿀은 약 35%의 글루코스, 약 17%의 물, 약 2%의 수크로오스, 및 소량의 미네랄 및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또한, 꿀은 신체가 필요한 거의 모든 미량원소를 포함한다. 꿀의 건강상 효과는 꿀벌에 의해 수집된 꽃가루의 기능인 꿀의 질에 의존한다. 꿀의 질은 또한 생꿀에서 발견되는 많은 파이토뉴트리언트를 제거할 수 있는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생꿀은 꿀벌이 벌집을 봉하고, 박테리아 및 다른 미생물로부터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수지 및 다른 물질의 복잡한 혼합물인 프로폴리스에서 발견되는 수지와 동일한 소량의 수지를 포함한다. 프로폴리스에서 발견된 이 수지는 단지 프로폴리스 및 꿀에서 발견되는 파이토뉴트리언트의 일부를 나타내고, 꿀 및 프로폴리스에서 발견되는 다른 파이토뉴트리언트는 항암 및 항종양 특성을 갖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물질은 카페인산, 메틸 카페인산, 페닐에틸 카페인산, 및 페닐에틸 디메틸 카페인산을 포함한다. 연구는 이러한 물질들이 포스파티딜이노시톨-특정 포스포리파아제 C 및 리폭시게나아제와 같은 두 개의 세포내효소의 활성을 정지시킴으로써 동물에서 결장암을 방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생꿀이 광범위하게 가공되고 가열되는 경우, 이러한 파이토뉴트리언트의 효과는 크게 제거된다.
데이트 시럽
데이트(대추야자)는 중동지역의 후식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작물이다.
데이트 열매는 영양가가 높은 식품이다. 데이트 열매는 칼로리 및 철분 및 칼륨과 같은 미네랄이 풍부하고, 엽산 및 소량의 비타민 A와 B를 포함한다. 데이트는 빈혈, 변비 및 피로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더 진하고 독특한 맛을 갖는 데이트 시럽은 꿀과 유사한 농도를 갖는다. 데이트 시럽은 약 88%의 설탕, 주로 글루코스 및 과당을 포함하고, 칼슘, 인, 칼륨 및 마그네슘과 같은 필수적인 성분의 소스로 바람직하다. 데이트 시럽은 나트륨이 적으므로, 저염식단에 적합하다.
여러 생물활성제는 본 발명의 예를 들면, 커큐민, 실리마린, 디인돌리메탄, 제니스테인, 퀘세틴 및 디아데진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생물활성제의 조합, 즉, 커큐민 + 디인돌리메탄 또는 필수지방산(EPA 및 EHA) 및 베타 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캄페스테롤, 및 브라시카스테롤과 같은 피토스테롤은 본 발명에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서, 또한 조성물이 식품 기반 캐리어와 함께 직접 혼합되는 추가적인 생물활성제(즉, 비타민 또는 미네랄)를 포함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여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생물활성제는 바람직하게 고형 지질입자(즉, 이에 함유된)와 관련된다.
고형 지질입자가 소수성(물에 용해되지 않는) 화합물에 함유되도록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에, 친수성 생물활성제는 고형 지질입자의 함유에 적합하지 않고, 고형 지질입자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캐리어에 직접 투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코발아민, 엽산 및 철(글루콘산철) 과 같은 다른 생물활성제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의 식품 기반 캐리어 내에 직접 혼합될 수 있는 반면, 소수성이고 식품 기반 캐리어에 잘 용해될 수 없는 커큐민 및 디인돌리메탄 뿐만 아니라 퀘세틴 및 디아데진과 같은 생물활성제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의 고형 지질입자에 함유될 수 있다.
커큐민
커큐민, 식물 폴리페놀은 식물 커큐미나 롱가(Curcumina longa)의 먹을 수 있는 성분이고, 인도커리의 중요한 재료이다. 커큐민은 비독성이고, 황산화성을 갖고,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며, 그리고 염증을 억제한다. 커큐민은 면역반응 동안 활성된 대식세포 및 T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TNFa, 인터페론 감마, 및 IL-6과 같은 전구염증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억제한다. 커큐민 행동에 대한 메커니즘은 암세포 및 NFkappaB, 사이클로옥시지나제(COX), 리포옥시지나제 (LOX), 및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OS)에 의해 영향을 받는 면역반응에 참여하는 중요한 세포내 신호전달경로의 억제를 수반한다. 커큐민은 발암 초기단계에서 사이클로옥시지나제 및/또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이상 상향조절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암세포 증식과 관련된 중요 세포내 요소를 억제할 수 있다. 커큐민에 의한 현저한 예방 및/또는 치유 효과는 암을 포함하는 다양한 질병의 실험 동물 모델에서 관측된다. 분명하게 독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커큐민은 최근 FDA의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볼 수 있는 물질(GRAS) 목록에 추가되었다. 바람직한 하루 최대 복용량은 매일 1인당 1.75 g까지이다.
복용된 커큐민은 낮은 흡수 때문에 가장 낮은 혈장 및 조직 수준, 빠른 물질대사(도 1 참조), 및 빠른 전신 제거를 보인다(Anand et al. Molecular Pharmaceutics Vol. 4, No. 6; 2007). 다양한 접근은 커큐민의 생물학적 가용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접근은 포합과정을 방해하는 피페린과 같은 보조제의 사용; 리포솜 또는 미립자 전달 처리방법의 사용; 커큐민 인지질 복합체의 사용; 및 커큐민 구조적 유사체(즉, EF-24)의 사용을 포함한다.
도 4a-c는 꿀 기반 캐리어에 혼합된 고형 지질입자 커큐민 입자(도 4a), 물에 분산된 커큐민 입자(도 4b) 및 커큐민 파우더와 물을 혼합하여 생성된 커큐민 결정(도 4c)을 도시한다.
디인돌리메탄 ( DIM )
디인돌리메탄은 양배추, 콜리플라워, 방울다다기양배추 및 브로컬리와 같은 유채속 채소로부터 유래된 생물활성제이다. 여러 연구 결과는 디인돌리메탄이, 특히 유방결절증식증(유방암)에 대하여 항암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나타낸다. 발암물질 치료 전 디인돌리메탄 일회량의 구강기도삽관은 쥐에서 디메틸벤잔트라센이 유도된 유선종양의 발생 및 감염다중도를 70 내지 80%까지 낮춘다(Wattenberg et al., Cancer Res., 38, (1978) 1410-1413). 또한, 디메틸벤잔트라센이 유도된 유선암세포화를 촉진하는 동안, 설치류에서 디인돌리메탄의 반복된 경구투여는 종양의 성장을 95%까지 억제한다(Chen et al., Carcinogenesis 19 (1998), pp. 1631-1639).
또한, 디인돌리메탄은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HPVs)의 일종으로 유발되는 재발성 호흡기 유두종증의 부가적인 치료로 널리 사용된다(Auborn et al., Antivir. Ther. 7 (2002) 1-9.).
디인돌리메탄의 항종양효과는 면역반응의 조절을 통해 이루어진다. 연구는 디인돌리메탄에의 노출이 자연살생세포의 활성, 항체생산, 및 T세포성 면역을 포함하는 주요 면역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중요하게, 디인돌리메탄은 인터페론(IFN)-y 및 인터페론-γ 수용체의 발현이 상향조절되고, 반응기 T 세포를 만들 수 있는 인간 유방암 세포에서 인터페론-y가 유도된 MHC I 항원의 발현 효과가 증가한다.
인터페론-γ는 초기의 이식된 종양발달뿐만 아니라 항바이러스 반응의 억제에 기여하는 면역 및 면역반응의 중앙 조절자이다. 그러므로, 디인돌리메탄이 일반화된 면역 자극 특성을 갖는 경우, 이러한 능력은 항발암성의 효과에 기여할 것이다. 쥐에서, 디인돌리메탄은 지라세포(B 및 T 세포)의 증식, 활성tks소(ROS)의 발생, 사이토카인의 생산 및 바이러스 감염의 방지를 유도한다는 것을 나타낸다(Xue et al., J. Nutr. Biochem. 19, (2008), 336-344). 배양된 세포에의 디인돌리메탄의 투입은 복막의 대식세포에 의해 지라세포 증식 및 활성탄소 생성 모두를 향상시킨다. 사이토카인은 숙주방어의 주요 조절자이기 때문에, 면역반응 동안, 사이토카인은 항원제공세포, 림프구 및 다른 숙주세포 사이의 전달을 조절한다. 조직 부위에서 나타난 사이토카인 목록은 직접 종양 또는 감염에 대한 숙주반응의 종류를 결정한다. 실제로, 면역이 조절된 T 세포의 발달을 촉진하는 사이토카인은 항종양 및 향균성 면역을 유도하거나 또는 증진시킬 수 있다. 중요하게, 조혈성장인자, G-CSF는 감염 및 암과 싸우는데 필수적인 더 많은 백혈구를 생성하기 위한 골수를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이다. 포괄적으로, 이러한 데이터는 디인돌리메탄이 식이요법의 인돌의 항종양, 항바이러스 및 향균력으로 이루어진 강한 면역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강하게 제안한다.
퀘세틴
퀘세틴 소염제 및 황산화제 특성을 갖는 식물 유래 플라보노이드이다. 퀘세틴은 암, 전립선염, 심장병, 백내장, 알러지/염증, 및 기관지염 및 천식과 같은 호흡기질환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 것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것이다. 8년간의 연구는 인간의 일반적인 식사에서 플라보노이드 캠페롤, 퀘세틴, 및 미리세틴의 존재가 췌장암의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것과 관련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퀘세틴은 히스타민 및 다른 알러지/염증 매개체의 생성 및 방출을 억제함으로써 현저한 소염제로 입증되었다. 더욱이, 퀘세틴은 강한 황산화제 및 비타민 C 절약작용에 영향을 가한다. 쥐에서, 12.5 내지 25 mg/kg의 경구 퀘세틴 복용량은 미토콘드리아 표지자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운동지구력을 향상시킨다. 생체 내에서, 연구는 퀘세틴 및 레스베라트롤의 조합이 지방세포의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니스테인 / 디아데진
제니스테인 및 디아데진은 루핀, 누에콩, 대두, 칡, 및 서레일리아를 포함하는 다수의 식물에서 발견된 아이소플라본이다. 황산화제 및 구충제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수의 아이소플라본은 신체에서 호르몬 에스트로겐에 의한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동물 및 인간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니스테인 및 다른 아이소플라본은 항혈관형성 효과(새로운 혈과의 생성을 방지)를 갖는다는 점이 발견되었고, 제니스테인 및 다른 아이소플라본은 세포 분화 및 세포 수명을 조절하는 체내에서 물질 활성의 억제에 의해 암과 관련된 조절되지 않은 세포의 성장을 방지할 것이다. 연구는 또한 제니스테인이 백혈병 방지에 유용하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른 백혈병 방지 약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실리마린
실리마린(SM)은 밀크시슬(milk shistle)의 친유성 추출물이고, 플파보노리간의 여러 이성질체로 이루어져 있다. 생체 및 동물 내에서, 연구는 실리비닌(실리마린의 주요 활성 성분)이 간 보호효과(간독성)를 갖고 인간 전립선 샘암종 세포, 에스트로겐 의존 및 비의존 인간 유방 암세포, 인간 자궁경질부 암세포, 인간 결장 암세포, 및 인간 폐 암세포에서 항암효과를 갖는 다는 점을 제안한다(예를 들면, http://en.wikipedia.0rg/wiki/실리비닌#cite_note-O 참조).
코발아민 ( Vitamin B12)
코발아민은 적혈 세포 및 골수의 생성, 탄수화물, 지방 및 단백질의 물질대사, 신경 및 심혈관 기능에 기여하고, DNA 합성에서 역할을 한다. 이런 비타민의 결핍은 빈혈, 탈진, 짜증, 우울증, 숨가쁨, 보행장애, 기억손상, 변덕, 방향감각상실, 치매 및 변비을 야기할 것이다. 매일 3 mg 이상의 코발아민 복용량은 안구질환을 야기할 것이다. 코발아민의 결핍 주로 흡수불량 및 골수이형성증후군을 겪는 사람들에게 일어난다. 영양소 결핍에 의한 빈혈의 다른 경우는 보통 코발아민과 관련되고, 더욱 흔히 식품-코발아민 흡수불량, 및/또는 엽산결핍과 관련된다. 코발아민 결핍은 흔히 흡수불량을 겪는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나지만, 임상징후를 감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종종 인식하지 못하거나 또는 조사되지 않는다.
엽산
엽산은 핵산 및 아미노산의 물질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엽산은 세포 성장과 발달 및 신경 시스템의 일반적인 기능에 필수적이다. 연세가 드신 사람들에서 엽산 결핍은 숨가쁨, 피로 및 쇠약감과 같은 증상을 동반하는 빈혈로 특징지어진다. 또한, 엽산 결핍 혓바늘, 우울증, 신경손상 및 영아신경관결함, 심장결함 및 사지기형을 야기할 것이다. 매일 400 mg 이상의 엽산 복용량은 빈혈을 야기할 것이고, 코발아민 결핍의 마스크 증후군을 야기할 것이다.
철분
철분은 많은 헤모글로빈과 같은 생물학적 분자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인간의 신체는 철분을 식물원으로부터의 흡수보다 빠르게 동물원으로부터 흡수한다. 철분 결핍은 일반적인 질환이고, 빈혈과 같은 질병을 야기할 수 있다. 인간에게 바람직한 철분 복용량은 매일 약 10 mg이고, 일반적인 식사로 제공되는 양이지만, 흡수불량 또는 잦은 설사요구보충을 겪는 환자들은 그렇지 않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질병을 치료하거나 또는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제공되는 커큐민 및/또는 디인돌리메탄의 생리효과 및 조성물의 식품 기반 캐리어의 영양상의 효과로부터의 이점인 질병을 갖는 피험자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질병의 한 예시는 암이다. 꿀은 천연 항암 화학물질이고, 영양을 제공하기 때문에, 암치료에서 식품 기반 캐리어는 최소한으로 가공된 형태의 꿀이고, 생리학적 활성요소는 디인돌리메탄이며, 선택적으로 커큐민이다(디인돌리메탄 및 커큐민 모두 고형 지질입자).
이러한 조성물은 특히 보조 암치료에 적합하다. 항암화학요법의 효과는 암세포에 특정되지 않고, 면역억제 및 골수억제와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이끈다. 디인돌리메탄은 백혈구 감소증이 유도된 항암화학요법을 줄이고,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받아 면역력이 약화된 암환자의 면역반응을 자극한다. 더욱이, 꿀, 디인돌리메탄 및 커큐민은 항바이러스 및 항박테리아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를 받은 암환자에 의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소비는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된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감염의 발생정도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암환자는 매일 본 발명의 조성물 1일 복용량의 3회분으로 치료받을 수 있고, 각각의 복용량은 1 g의 꿀, 약 200 mg의 디인돌리메탄 및 약 400 mg의 커큐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노화 및 면역노화와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면역체계는 노화와 함께 특징 및 다면적인 변화를 겪는다. 이러한 변화는 호중구, T-세포, B-세포, 단핵구/대식세포, 수상돌기세포 및 자연살해세포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백혈구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노화는 선천적 및 적응된 면역 기능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포괄적으로, 이러한 과정은 "면역노화"라고 불리고, 이는 노화에 따른 면역체계의 자연적이고 점진적인 악화를 의미한다. 면역노화는 감염에 반응할 수 있는 숙주의 능력 및 특히, 백신에 의한 오랜 기간 면역 기억의 발달 모두에 관련이 된다. 노화와 관련된 면역결핍은 아주 흔하고, 질적인 시간보다 기대수명과 관련된 노화의 기능으로서 수명이 길고 짧은 모든 종에서 발견된다. 노인들 사이에서 질병률 및 사망률의 증가된 빈도는 주요 기여 인자로 인식된다. 면역노화는 무작위 악화현상이 아니라, 반대로 반복되는 점진적인 패턴으로 나타나고, 면역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대부분의 파라미터는 유전자 조절로 나타난다. 또한, 면역노화는 때때로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와 같은 다양한 항원의 피할 수 없는 노출의 연속적인 저항의 결과로서 예상된다. 면역노화는 노인에게 병리학적으로 많은 현저한 건강 문제를 이끄는 다인성 질환이다. 조혈간세포의 체액감소와 같은 노화에 의존적인 생물학적 변화는 포식세포 및 자연살해세포의 전체 수에서 감소하고, 체액성면역의 감소는 면역노화의 시작에 기여한다.
그러므로 노화는 새로운 미경험(항원을 만난 적이 없는) 림프구의 생산 및 기억세포의 기능적인 능력 모두와 관련이 있다. 이는 증가된 빈도 및 암과 같은 질병의 심각도의 증가에 있어서 만성 염증성 질환 및 자가면역의 원임이 됨을 보여준다. 노인에게 감염의 문제는 번번히 특별한 표시 및 증상이 없이 나타난다. 근본적으로, 이는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문제를 제공한다.
빈혈은 오랜 기간 보호시설 및 노인병동에 있는 개인을 포함하는 노인인구에게 매우 일반적이다. 중요하게, 경증 빈혈은 부정적인 건강상태와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빈혈은 중요한 건강관리의 관심사이다. 노인에게 빈혈의 가장 빈번한 병인은 만성질환/염증; 철분, 엽산 및 비타민 B12(코발아민)의 빈혈이다.
꿀, 디인돌리메탄 및 비타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노인, 영양실조 등과 같은 인구의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감염뿐만 아니라 빈혈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디인돌리메탄이 조혈 사이토카인 생산을 증가하는 동안, 꿀 및 디인돌리메탄은 항박테리아 및 항바이러스 기능을 제공할 것이다. 코발아민 및 엽산과 같은 비타민의 중요성은 혈액 생산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치료는 1 g의 꿀, 200 mg의 디인돌리메탄, 50 μg의 코발아민, 20 g의 엽산 및 3 mg의 철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1일 복용량의 5회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만성소화장애증(CD), 비셀리악 글루텐과민증(NCGS) 및 과민성대장증후군(IBS)과 같은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만성소화장애증은 HLA-DQ(단상형 2 또는 8)을 수반하는 유전적으로 예민한 대상에서 촉발되는 면역성 장질환이다. 특정 단백질, 주로 밀로부터의 글루텐 및 보리 및 호밀로부터의 유사한 단백질의 섭취는 질병을 유도한다. 전체 인구의 1%는 만성소화장애증으로 고통을 받는다. 만성소화장애증을 갖는 사람은 또한 우유 단백질, 옥수수 및 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식품 알러지를 갖는다. 증상은 만성설사증, 복통, 경련, 체중 감소 또는 성장 제한, 근골격계통증, 신경관련질환 및 피로를 포함한다.
글루텐의 노출이 있는 경우, 면역반응은 효소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에 의해 생성된 글루텐 유래 펩타이드를 유도한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글루텐 유래 펩타이드는 작은창자의 자가성분에 대해 면역 교차반응을 자극한다. 전형적인 자가면역반응은 창자에서 염증성반응을 상승시킨다. 만성소화장애증은 음와증식과 함께 작은창자 점막의 융모위축을 야기한다. 중요하게, 이 질병은 작은창자 및 작은창자의 림프종의 선암 위험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T세포에 의해 대부분 매개된 염증과정은 작은창자 점막의 내벽 구조 및 기능의 혼란을 야기하고, 흡수불량을 일으킨다. 염증과정은 영양소, 칼슘 및 철분과 같은 미네랄 및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할 수 있는 신체 능력을 손상시킨다. 사실, 만성소화장애증은 전형적인 흡수불량 증후군으로 고려될 수 있고, 빈번하게 빈혈을 일으킨다. 대부분의 경우 빈혈은 유일한 초기 징후 또는 만성소화장애증의 가장 빈번한 장외증상으로 보고된다. 엽산(비타민 B9) 및 코발아민(비타민 B12) 결핍은 만성소화장애증의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다. 만성소화장애증과 관련된 다른 일반적인 영양상의 빈혈은 철분 결핍이다. 철분 결핍 빈혈은 비임상형 만성소화장애증 환자의 46%까지 보고된다. 또한, 일부 만성소화장애증 환자는 비타민 D의 흡수불량 및 저칼슘혈증으로 인해 골다공증 및 골절로 발전시킨다.
글루텐 알러지는 다양한 글루텐 민감증 정도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용어이다. 모든 사람의 약 15%가 글루텐 민감증이나, 현재 사용가능한 면역분석 및 생체검사에서 양성반응으로 결정되는 약 1%만이 만성소화장애증인 것으로 추정된다. 만성소화장애증의 확인에 있어서 항체 혈청학이 중요한 도구일 지라도, 항체 혈청학이 만성소화장애증의 일반적인 점막 외관, 특히 작은창자의 융모와 항상 연관성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만성소화장애증 혈청학에 양성반응을 보인 일부 환자들은 만성소화장애증의 완전히 발단된 증상 없이 일반적인 장점막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환자들은 추가적인 만성소화장애증 발달의 위험이 증가한다.
글루텐 민감증을 갖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만성소화장애증을 갖지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사람들은 비셀리악 글루텐과민증(NGGS)라고 불리는 질환을 갖는다. 비셀리악 글루텐과민증을 갖는 사람들은 설사, 비대, 경련 등을 포함하는 위장 증상을 보인다. 또한, 비셀리악 글루텐과민증과 관련된 질환은 두통, 피로, 불임, 유산 및 흡수불량이 있다. 만성소화장애증에서와 같이, 비셀리악 글루텐과민증을 갖는 사람들의 면역반응은 글루텐에 의해 촉진되지만, 창자의 파괴 및 개조를 야기하지는 않는다. 최근 발표는 완전히 발전되지 않은 만성소화장애증 없이도, 글루텐은 과민성대장증후군(IBS)과 유사한 증상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연구는 글루텐 민감증 및 감염후 과민성대장증후군이 과민성대장증후군이 되는 스펙트럼의 적어도 일부를 설명할 수 있는 두 가지 계기를 제공한다는 가설을 나타낸다.
서양인구의 5 내지 20%가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영향을 받는다. 넓은 범위는 불특정 소화불량의 증상이 때때로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증상과 혼동이 된다는 사실과 관련이 될 수도 있다. 중요하게, 과민성대장증후군은 무단결근을 야기하는 두 번째 이유이다. 여성은 남성에 비하여 4 배 이상 과민성대장증후군에 시달린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증상은 불규칙적인 창자 기능, 복부팽창, 복통, 경련, 설사, 및 변비를 포함한다. 스트레스 및 다른 정신적 요인은 증후군의 강도 및 빈도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주요 특징은 불규칙적인 배변이고, 과민성대자증후군은 관측된 불규칙성에 따라 IBS-D(설사) 및 IBS-C(변비)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현재 알려진 치료는 효과가 적기 때문에, 모든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의 약 50%는 대체의학을 사용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최근 과학적 자료는 염증이 과민성대장증후군의 병리생리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는 그들의 순환에서 염증유발 사이토카인 IL-6뿐만 아니라 사이클로옥시지나제(COX) 사이클 대사물질, 면역자극에 의해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수준을 현저하게 높인다. 또한, 면역반응은 면역활성의 결과이다. 현재 증후군에 대한 과학적 가설은 중추신경시스템과 위장 염증을 유발하는 알려지지 않은 병인의 면역활성 사이에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현재, 단지 만성소화장애증 및 비셀리악 글루텐과민증의 효과적인 치료는 오랜 기간 글루텐을 먹지 않는 식사이다. 글루텐이 존재하는 경우, 소화관의 공격으로부터 면역/염증 시스템의 손상 또는 방지를 막을 수 있는 약은 없다. 글루텐을 먹지 않는 식사가 힘든 만성소화장애증 환자를 제외하고, 글루텐을 먹지 않는 식사에 대한 강한 집착은 창자를 치료하고, 대부분의 경우 모든 증상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얼마나 빨리 글루텐을 먹지 않는 식사가 시작되었는지에 의해, 골다공증 위험의 증가 및 장암의 발전이 감소된다. 많은 국가에서, 글루텐이 없는 식품이 의사의 처방에 의해 이용가능하고, 의료보험안에 의해 배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식사는 몇몇 증상의 재발을 야기하는 식사 준수 실패에 의해 다루기 어려울 수 있다. 보통 글루텐이 없는 식품은 글루텐이 포함된 식품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찾기 어렵다. 미국에서 글루텐이 없는 식품의 총 시장은 일년에 약 $ 200만이다.
만성소화장애증, 비셀리악 글루텐과민증 및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일반적인 병리적인 징후는 장내 염증이다. 그러므로, 고형 지질입자 내에 식품 기반 캐리어 및 커큐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이러한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커큐민은 사이클로옥시지나제 및 리포옥시지나제 순환을 억제하는 항염증요소의 사용과 빈번하게 관련된 심각한 부작용없이 면역세포의 자극의존 활성 및 예비면역/염증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한다.
커큐민은 암 발달에 대해 예방효과를 갖는다. 그러므로, 정기적인 꿀 소비는 만성소화장애증 환자뿐만 아니라 장내 기능부전으로부터 시달리는 다른 환자에서 선암 및 림프종 발달의 높은 위험을 줄일 것이다.
치료는 1 g의 꿀 및 약 400 mg의 커큐민(고형 지질입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1일 복용량의 3회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퀴즈병 또는 호일봉지와 같은 디스펜서 장치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호일 블리스터에 포장될 수 있는 복용할 수 있는 캡슐(예를 들면, 젤 캡슐)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디스펜서 장치 또는 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복용단위를 포함할 것이다. 디스펜서 장치 또는 캡슐 팩은 소비에 대한 지시를 수반할 것이다. 또한, 디스펜서 장치 또는 팩은 기능성 식품의 생산, 사용 또는 판매를 규제하는 정부기관에 의해 규정된 양식의 통지를 수반할 것이다. 통지는 인간 또는 가축의 투여를 위한 조성물의 형태에 대한 정부기관의 승인을 반영한다. 이러한 통지는, 예를 들면, 미국 식품의약국에 의하여 승인된 라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이점, 및 신규한 특징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하기 실시예의 설명에 따라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에서 기술되고 하기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각각의 다양한 구체예 및 관점은 하기 실시예에서 실험적으로 뒷받침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면과 함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참조가 된다.
꿀에서 커큐민의 고형 지질 미분화된 분산
고형 지질 분산은 생물활성제가 핫 멜트 지질(상온에서 고체상태)에 용해되는 전달 시스템이다. 뜨겁게 용해된 지질은 수용액 배지에서 유화되고, 코어에 생물활성제를 포함하는 입자를 고형화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냉각된다.
본 발명은 식용 강황으로부터 유래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인 커큐민이 고형 지질 분산 기술을 사용하여 꿀 기반 캐리어에 유화될 수 있는지 여부를 실험했다.
고형 지질의 유화를 최적화하고, 고형 지질의 커큐민 수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몇몇의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예비적인 제제 연구를 수행했다:
(i) 다양한 오일에서 커큐민의 용해도를 테스트하는 단계;
(ii) 꿀 내에서 커큐민에 대한 고형 지질 제제 매트릭스를 디자인하는 단계;
(iii) 농도 및 맛 및 냄새와 같은 관능을 포함하는 제제의 특성을 테스트하는 단계;
(iv) 물리 및 화학적 안정에 대하여 파일롯 과정에서 제제를 테스트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사용된 성분의 일반적인 목록은 하기 표 1에서 제공된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1
커큐민 용해도
커큐민은 물에 녹지 않으므로 커큐민의 용해도를 다양한 용매에서 실험했다. 커큐민 용해도는 400 mg의 커큐민을 2 g의 용매에 혼합하고, 샘플을 90 °C까지 가열하여 측정하였다. 샘플은 상온에서 냉각되고, 시각적으로 관측되고, 용해도가 기록되었다. 하기 표 2는 용해도 연구의 결과를 제공한다. 커큐민은 실험된 오일에서 매우 제한되거나 또는 불량한 용해도를 보였으나, 폴리에틸렌글리콜(PEG)에서 용해되었다.
Figure pct00002
추가적인 커큐민 용해도 실험을 위해, 용해도 매트릭스가 구성되었다(표 3). 다양한 지질 매트릭스에서 커큐민 용해도는 실험되었고, 혼합물은 꿀에서 균질화되었다.
Figure pct00003
표 3의 용해도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커큐민 용해도 또는 부분용해도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존재와 연관성이 있다는 점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커큐민 용해도에 기여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폴리에틸렌글리콜 100 스테아르산염과 함께 수소첨가된 피마자유(Cutina HR)에서 커큐민의 현미경 검사는 고형 지질로서 커큐민을 제조했다. 이러한 조합은 커큐민-꿀 제제의 초기 지질 상으로서 선택되었다.
실시예 2
꿀 제제에서 고형 지질 커큐민의 발달
'핫 멜트 유화' 절차는 꿀에 잘 분산된 매우 적절하게 미분화된 고형 지질입자의 제조에 대하여 발전되고 실험되었다. 절차는 고형 지질입자 내에서 커큐민의 함유를 최대화하고, 꿀에서 커큐민의 결정화 또는 석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적화되었다. 더욱이, 꿀 캐리어의 맛, 냄새 및 질감과 관련된 파라미터 또한 관측되었다.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도 2에서 개요를 서술하였다.
절차 A: 지질 상(PEG 100 스테아르산염과 함께 수소첨가된 피마자유에서 커큐민)을 90 °C까지 가열하고, 꿀을 70 °C까지 가열하였다. 가열된 지질 및 꿀 상은 혼합되고, Heidolph DIAX 900 균질기를 사용하여 스피드 3에서 온도가 유화 온도보다 적어도 20 °C까지 떨어지고 반고체 상태의 제제가 나타날 때까지 균질화되었다.
절차 B: 절차 A와 동일하지만, 50 °C이상에서 파괴되는 꿀 고유의 특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꿀의 일부를 50 °C이상으로 가열하지 않았다. 지질 상을 90 °C까지 가열하고, 꿀의 절반을 70 °C까지 가열하고, 나머지를 40-50 °C까지 가열하였다. 지질 및 뜨거운 꿀(70 °C) 상은 혼합되고, Heidolph DIAX 900 균질기를 사용하여 스피드 3에서 온도가 60 °C이하가 될 때까지 균질화되었다. 그 후, 나머지 꿀은 50 °C까지 가열되고, 지질-꿀 혼합을 혼합 및/또는 균질화하는 동안 균질 해 질 때까지 투입되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제제는 현미경에 의해 시각적으로 균질성이 관찰되었고, 냄새, 맛 및 질감이 실험되었고, 물리 및 화학적 안정성이 관찰되었다.
표 5는 꿀 제제에서 CUR13, 14 및 15의 3 개의 커큐민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Figure pct00004
CUR13 및 CUR15는 절차 A를 사용하여 제조한 반면, CUR14는 절차B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수소첨가된 피마자유는 지질기반이고, 폴리에틸렌글리콜100 스테아르산염은 유화제로 사용되었다. CUR15는 지질 상 농도의 효과 및 입자 크기 제조 절차를 시험하기 위하여 사용된 대조 제제이다. 이 제제는 미시적으로 CUR13 및 CUR14과 대조된다.
하기 실험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100 스테아르산염이 우수한 안정제 및 커큐민 용매이지만, 혼합물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 (70 °C이상)에서 고형화되서, 제조 절차를 수행하기 어렵고, 다른 안정화 유화제를 찾아야 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Figure pct00005
폴리에틸렌글리콜 100 스테아르산염 대신 낮은 녹는점(CUR17, 표 7)을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 40 스테아르산염을 사용하였다. 이 제제는 절차 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과정은 낮은 온도 때문에 고형화가 용이하였고, 제조된 제제는 우수한 안정성 및 용해도에 의해 특징된다. 제제는 일반적인 꿀의 냄새를 갖는다. 적은 수의 커큐민 결정의 관측은 커큐민이 완벽히 용해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가용화 양은 수량화되지 않았지만, 용해되지 않고 남은 커큐민의 비율이 1 내지 10 %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Figure pct00006
표 8의 제제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 40 스테아르산염의 농도는 감소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이 지질 상에 추가되었다. 제제는 절차 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결과는 꿀 냄새를 갖는 제제로, 결정을 거의 발견할 수 없고, 물과 잘 혼화되고, 지질입자가 꿀이 용해된 물에 균질하게 분산된다. 입자는 일반적으로 위액에서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는 0.5 내지 5 μm의 직경을 갖는다.
Figure pct00007
표 9의 제제에서, 수크로오스 에스테르 성분이 절차 A를 사용하여 커큐민의 유일한 안정화 유화제로 실험되었다. 제조된 제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스테아르산염 성분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친수성 성분의 부족으로 물과의 혼화가 나쁘고, 적합하게 미분화된 고형 지질입자를 포함하였다.
Figure pct00008
CUR20 및 CUR21(표 10)은 절차 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CUR20은 폴리에틸렌글리콜 40 스테아르산염과 함께 수크로오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반면, CUR21은 계면안정화제로 Tween 80과 함께 수크로오스 에스테르를 포함하였다. 둘은 모두 물에 잘 혼화되었고, CUR21 제제에서 꿀의 전형적인 냄새가 없어졌다.
Figure pct00009
CUR22는 절차 A를 사용하여 제조한 반면, CUR 22(2)는 절차 B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표 11). 지질 상은 양 제제가 동일하였고, 0.5%의 수크로오스 에스테르 및 1.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40 스테아르산염을 포함하였다. 양 제제는 물에 혼화되었고, 전형적인 꿀 냄새 및 커큐민 뒷맛을 보였다.
Figure pct00010
CUR23(표 12)는 절차 A 또는 B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지질 상은 CUR22 제제와 동일하나, 4% 커큐민이 사용되었다. 결과는 전형적인 꿀 냄새를 가지고, 뒷맛을 갖지 않는 부드러운 반고체 상태의 제제였다.
Figure pct00011
CUR24(표 13)는 지질용매로 식품용 스테아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CUR25(표 13)은 지질용매로 식품용 팜유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양 제제는 절차 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부드러운 감촉을 갖는 제조된 제제는 꿀 냄새를 가지고, 뒷맛을 갖지 않았다. 미시적 관찰은 커큐민을 함유하는 고형 지질 구형 및 매우 약간의 커큐민 결정을 보여줬다. 고형 지질 구형의 직경은 0.5 내지 5.0 μm였다.
Figure pct00012
CUR26는 CUR24와 동일한 제제이지만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을 사용하지 않았고, CUR27는 CUR25와 동일한 제제이자만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을 사용하지 않았다(표 14). 이러한 제제의 목적은 커큐민 용매로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양 제제는 절차 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양 지질 상에서 커큐민의 용해도가 관측되지 않았다. 이 제제의 미시적 관찰은 커큐민이 함유되지 않고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커큐민 결정을 갖는 구형의 지질입자를 보여줬다. 이러한 제제는 균질한 질감을 보이지 않았다. 양 제제는 꿀 냄새 및 우수한 맛으로 특징되었다.
Figure pct00013
상기 특정한 실시예에 추가하여, 본 접근은 또한 꿀 제제에서 디인돌리메탄, 제니스테인, 디아드진 또는 퀘세틴 지질입자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기 표 15는 이러한 제제에 사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의 목록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14
실시예 3
CUR64(하기 표 16)는 아리나™ 오일(오메가-3이 풍부한 세이지유)를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제조된 제제는 부드러운 질감을 가지고, 무취의 반고체 상태이며, 꿀과 같은 달콤한 맛을 가지나, 뒷맛이 없었다.
Figure pct00015
실시예 4
CUR65, CUR66 및 CUR67(표 17)은 석류유(CUR65), 아보카도유(CUR66), 올리브유(CUR67)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CUR65, CUR66 및 CUR67(표 17)은 절차 A를 사용하여 제조되었고, 반고체 상태의 제제는 부드러운 질감을 가지고, 무취이며, 꿀과 같은 달콤한 맛을 가지나, 뒷맛이 없었다.
세 개의 모든 제제(CUR65, CUR66 및 CUR67)에서, 미시적 관찰은 10-25 um의 직경을 갖는 커큐민 결정 약간 및 3 um이하의 직경을 갖는 지질입자가 드러났다.
Figure pct00016
실시예 5
CUR66-1, CUR66-2 및 CUR66-3의 구성요소는 표 18에 나타나있다.
CUR66-1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1 kg 제조):
a. 커큐민이 PEG 6000과 함께 90 °C에서 용해되는 단계;
b. 지질 상이 PEG-커큐민 용액에 투입되고, 교반하면서 80 °C까지 가열하는 단계;
c. 10%의 데이트 시럽은 미생물 보존제를 용해하기 위하여 사용되므로, 90%의 데이트 시럽을 75 °C까지 가열하는 단계;
d. 칼륨 소르베이트와 함께 10%의 데이트 시럽을 70 °C까지 가열하고, 가용화하고, 상온으로 냉각하는 단계;
e. "Silverson L4RT emulsor screens"을 사용하여 혼합물을 균질화하는 단계;
f. 지질 상을 5000 rpm에서 균질화하고, 데이트 시럽을 3 분 동안 천천히 균질물에 투입하는 단계;
g. 수조에서 냉각시키면서 균질화 속도를 4 분 동안 4000 rpm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h. 꿀 및 소르빈산칼륨을 상온에서 투입하는 단계;
i. 혼합물을 손으로 혼합하는 단계.
CUR66-2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1.5 kg 제조):
a. PEG 6000과 함께 커큐민을 용해하고, 지질 상을 95 °C까지 가열하는 단계;
b. 데이트 시럽을 75 °C까지 가열하는 단계;
c. 칼륨 소르베이트와 함께 10%의 데이트 시럽을 70 °C까지 가열하고, 가용화하고, 상온으로 냉각화하는 단계;
d. 데이트 시럽을 지질 상에 투입하고, 스패츌러로 혼합하는 단계;
e. Silverson L4RT emulsor screens을 사용하여 혼합물을 균질화하는 단계;
f. 지질 상 및 데이트 시럽을 6000 rpm에서 1 분 동안 균질화하는 단계;
g. 지질 상 및 데이트 시럽을 5000 rpm에서 3 분 동안 추가적으로 균질화하는 단계;
h. 수조에서 56 °C까지 냉각시키면서 균질화 속도를 4 분 동안 4000 rpm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i. 꿀 및 소르빈산칼륨을 상온에서 투입하는 단계;
j. 혼합물을 손으로 혼합하는 단계.
CUR66-3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1.5 kg 제조):
a. PEG 6000과 함께 커큐민을 용해하고, 지질 상을 90 °C까지 가열하는 단계;
b. 데이트 시럽을 70 °C까지 가열하는 단계;
c. 칼륨 소르베이트와 함께 10%의 데이트 시럽을 70 °C까지 가열하고, 가용화하고, 상온으로 냉각화하는 단계;
d. 지질 상을 6000 rpm에서 약 20 초 동안 균질화하는 단계;
e. 데이트 시럽을 3 분 동안 천천히 균질물에 투입하는 단계;
f. 지질 상 및 데이트 시럽을 5000 rpm에서 3 분 동안 균질화하는 단계;
g. 수조에서 냉각시키면서 균질화 속도를 4 분 동안 4000 rpm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h. 꿀 및 소르빈산칼륨을 상온에서 투입하는 단계;
i. 혼합물을 손으로 혼합하는 단계.
세 가지 모든 제제는 부드럽고, 단맛을 가진 반고체 상태로 제조되었다.
세 가지 모든 제제에서, 미시적 관찰은 10-25 um의 직경을 갖는 커큐민 결정 약간 및 3 um이하의 직경을 갖는 지질입자가 드러났다.
모든 제제는 3 개월 동안 32 °C 또는 40 °C 온도에서 보관으로 이루어지고, 0 시간 및 3 개월 보관 후 외관검사에 의한 물리적 안정성 및 고성능액체크로마토크래피 분석에 의한 커큐민 화학적 안정성을 관측하는 가속화된 안정화 실험의 대상이다. 모든 제제는 32 °C에서 안정하고, 일부는 40 °C에서 약간 크림화되었다. 커큐민은 탐지가능한 화학적 분해 없이 안정하였다.
Figure pct00017
0 시간에서 커큐민의 고성능액체크로마토크래피 분석
1: 커큐민의 정량 결과:
Figure pct00018
40 °C에서 3 개월 보관한 후 커큐민의 고성능액체크로마토크래피 분석
1: 커큐민의 정량 결과:
Figure pct00019
실시예 6
커큐민은 자연적인 형태, 즉, 음료 또는 식품에 혼합된 형태에서 불량한 생물학적 가용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생채 내 모델은 본 발명의 제제가 경구 생물학적 가용능을 증가시키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실험에서, 수컷 실험쥐는 본 발명에 따른 400 mg/kg의 비제제된 커큐민 또는 고형 지질입자(SLP) 제제로 제제된 커큐민 중 하나를 경구투여를 통해 받았다. 쥐는 투약 후 15, 30, 60 및 120 분에 죽었다. UV 탐지와 함께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혈장, 장점막 및 간에서 커큐민의 존재를 분석하였다.
커큐민은 제제된 커큐민 고형 지질입자(SLP)를 받은 쥐의 혈장, 장점막 및 간에서 확인되었다. 제제된 커큐민 고형 지질입자의 투약 후, 커큐민 혈장 수준 피크는 비제제된 커큐민 투약 후 관측된 동일한 수치보다 10 배가 높았다. 유사하게, 커큐민의 간 수준은 비제제된 커큐민을 투약한 경우와 비교하여 제제된 커큐민 고형 지질입자를 투약한 후 더 높았다. 반대로, 제제된 커큐민 고형 지질입자의 투약 후 위장점막에서 커큐민의 농도는 비제제된 커큐민의 투약 후 관측된 수준보다 다소 낮아졌다.
그 결과는 비제제된 형태에 비하여 제제된 커큐민 고형 지질입자가 커큐민 흡수를 현저하게 증가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제는 불량한 생물학적 가용능과 함께 높은 의학적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을 위한 훌륭한 용액을 나타낸다. 다른 상품명인 "Mariva ®"과 비교하여 이러한 연구는 전달 제제로서, 이러한 특정 제제의 기여를 강조한다.
Mariva ® 제제는 기본적으로 커큐민(CAS 458-37-7) 커큐민 인지질 복합체이다. Mariva ® 제조는 EpiKuron™ 130 P, 오일을 제거하고, 미분화된 대두 레시틴(30% 포스파티딜콜린을 농축)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Meriva는 93.82%가 커큐민인 16.89%의 커큐미노이드를 포함하고, 커큐민과 Epikuron™ 130 P의 함량비는 1:4였다.
"Mariva ®"는 혈류 내에서 위조직을 통한 커큐민의 흡수를 증가시키는 신규한 커큐민 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동일한 임상실험 계획서를 수행하는 회사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티모시 에이치. 마르크질로 등, 암 캐모더 약물학, 2007, 60:171-177 참조).
본 발명의 결과와 두 개의 연구가 비교되는 경우, 고형 지질입자 제제를 포함하는 임상 실험은 "Mariva ®"의 결과보다 혈장 및 간으로 흡수된 더 높은 커큐민 농도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에서 나타난 커큐민 흡수의 기울기는 조절되고, 경구 투약 후 60 분까지 계속해서 상승하는 반면, "Mariva ®"는 투약 후 15 분만에 이미 정지된 가파른 기울기가 나타난 결과를 공개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이러한 비교는 고형 지질입자 제제의 혁신 및 효과를 강조하고, 이는 투약 후 60 분까지 알맞게 증가하는 계속적인 흡수를 가능하게 하므로, 활성화된 화합물에 안정성을 제공한다. 안정성은 조직에서 화합물의 오랜 활성화 기간 동안 유지된다.
Mariva®제품에 대한 고형 지질입자 제제의 중요한 흡수를 강조하기 위하여, 우리는 각각의 시간점에서 커큐민 농도의 델타가 존재하는 2 개의 목록을 추가했다.
커큐민 투약 후 시간에 따른 함수로서, 경구투여에 의해 400 mg/kg의 커큐민을 받은 쥐에서 혈장 커큐민 수준을 보이는 도 5a를 참조한다. 실선은 제제된 커큐민 고형 지질입자를 받은 쥐에 대한 결과를 보여주는 반면, 점선은 비제제된 커큐민을 받은 쥐에 대한 결과를 보여준다(C3로 대표됨).
커큐민 투약 후 시간에 따른 함수로서, 경구투여에 의해 400 mg/kg의 커큐민을 받은 쥐에서 간 커큐민 수준을 보이는 도 5b를 참조한다. 실선은 제제된 커큐민 고형 지질입자를 받은 쥐에 대한 결과를 보여주는 반면, 점선은 비제제된 커큐민을 받은 쥐에 대한 결과를 보여준다(C3로 대표됨).
커큐민 투약 후 시간에 따른 함수로서, 경구투여에 의해 400 mg/kg의 커큐민을 받은 쥐에서 위점막 커큐민 수준을 보이는 도 5c를 참조한다. 실선은 제제된 커큐민 고형 지질입자를 받은 쥐에 대한 결과를 보여주는 반면, 점선은 비제제된 커큐민을 받은 쥐에 대한 결과를 보여준다(C3로 대표됨).
고형 지질입자 및 Meriva를 사용하는 동안 시간의 함수(15 분, 30 분, 60 분 및 120 분)로서, 혈장 커큐민 농도에서 델타를 도시한 도 6a를 참조한다.
고형 지질입자의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고형 지질입자 제제의 농도 - C3(즉, 대조군) 커큐민 농도.
Meriva의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eriva 제제의 농도 - C3(즉, 대조군) 커큐민 농도.
델타는 각 시간마다 계산되었다. 단위는 ng/ml이다.
"-" 표시는 C3 커큐민의 농도가 고형 지질입자/Meriva 커큐민의 농도보다 높은 경우 나타난다.
고형 지질입자 및 Meriva를 사용하는 동안 시간의 함수(15 분, 30 분, 60 분 및 120 분)로서, 점막 커큐민 농도에서 델타를 도시한 도 6b를 참조한다.
고형 지질입자의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고형 지질입자 제제의 농도 - C3(즉, 대조군) 커큐민 농도.
Meriva의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eriva 제제의 농도 - C3(즉, 대조군) 커큐민 농도.
델타는 각 시간마다 계산되었다. 단위는 mg/g 이다. "-" 표시는 C3 커큐민의 농도가 고형 지질입자/Meriva 커큐민의 농도보다 높은 경우 나타난다.
결론
꿀에서 고형 지질입자가 함유된 커큐민의 유화를 위한 핫 멜트 절차가 개발되고 실험되었다. 핫 멜트 유화에 의해 제조된 고형 지질입자는 꿀에 함유된 커큐민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커큐민이 에틸렌 옥사이드 중합체 및 지질의 혼합물에 용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꿀 및 물에서 커큐민이 없는 커큐민 결정을 보였다.
몇몇의 결과물 파라미터의 실험은 커큐민 용해도가 결과물 질의 중심이 되고, 지질용매성분으로 수소첨가된 피마자유, 스테아린, 및 팜유의 사용이 선호된다는 것을 보였다. 왜냐하면, 이는 뒷맛이 없고, 부드러운 감촉을 보이고, 꿀 냄새를 가지며, 꿀에 분산된 지질 마이크로 입자에서 대부분의 커큐민을 포함하는, 꿀에 함유된 커큐민 제제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또한, 개별적인 구체예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징은 하나의 구체예에서 조합을 제공할 것이다. 반대로, 하나의 구체예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징은 개별적 또는 적합한 서브콤비네이션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이 특정한 구체예와 결합하여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많은 대안,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가장 넓은 범위의 해석에 의해 확인할 수 있는 적절한 범위와 함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대안, 수정 및 변경을 아우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모든 공개, 특허 및 특허출원은 명세서의 참조에 의해 전체로서 본 발명에 포함된다. 각각의 개별적인 공개, 특허 또는 특허출원이 특별하고 개별적으로 참조에 의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더욱이, 본 출원에서 어떠한 참조의 인용 또는 확인은 이러한 참조가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이라는 용인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Claims (20)

  1. 친유성 생물활성제(bioactive agent)의 존재 하에 지질용매를 용융하는 단계;
    상기 용해된 지질용매 및 생물활성제를 적어도 65 °C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용해된 지질용매 및 생물활성제에 식품 기반 캐리어(food base carrier)를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생물활성제를 함유하는 지질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션이 생성될 때까지 상기 용해된 지질용매, 상기 생물활성제, 및 상기 식품 기반 캐리어를 유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된 지질용매 및 생물활성제를 적어도 65 °C에서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용해된 지질용매 및 생물활성제를 70 내지 90 °C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하는 단계는 연속적으로 냉각하는 단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하는 단계는 약 45 °C 에서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유화 온도보다 적어도 20 °C 낮은 온도에서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활성제의 존재 하에서 지질용매를 용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생물활성제 존재 하에서 유화제를 적어도 90 °C로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 및 수크로오스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100 스테아르산염,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40 스테아르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된 지질용매 및 생물활성제에 식품 기반 캐리어를 투입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식품 기반 캐리어의 적어도 일부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기반 캐리어의 적어도 일부를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식품 기반 캐리어의 제1 부분을 제1 기준온도에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식품 기반 캐리어의 제2 부분을 상기 제1 기분온도보다 낮은 제2 기준온도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온도는 적어도 60 °C 이고, 상기 제2 기준온도는 50 °C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식품 기반 캐리어를 투입하는 단계는 상기 식품 기반 캐리어의 제1 부분을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품 기반 캐리어의 제2 부분을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을 투입하는 단계는 다른 구성성분이 유화되는 온도가 60 °C 이하인 경우에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소르빈산칼륨의 존재 하에 상기 식품 기반 캐리어의 일부를 용액이 될 때까지 가열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상온에서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용해된 지질용매 및 생물활성제에 상기 용액을 투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기반 캐리어는 상온에서 반고체 상태(semi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기반 캐리어는 상온에서 액체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활성제는 생물활성 식품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유성 생물활성제의 존재 하에 지질용매를 용해하는 단계는 커큐민, 디인돌리메탄, 퀘세틴, 디아데진, 실리마린, 제니스테인, 필수지방산, 및 피토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생물활성제의 존재 하에 지질용매를 용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기반 캐리어는 사카라이드 시럽 및 폴리사카라이드 시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시럽은 꿀, 상기 시럽은 꿀, 데이트 시럽, 및 메이플 시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기반 캐리어 내에서 입자로 고체화하기 위하여 상기 지질의 적어도 일부를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KR1020137006551A 2010-08-18 2011-08-18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17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465710P 2010-08-18 2010-08-18
US61/374,657 2010-08-18
PCT/IL2011/000676 WO2012023142A2 (en) 2010-08-18 2011-08-18 Functional food compositions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761A true KR20130091761A (ko) 2013-08-19

Family

ID=4560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551A KR20130091761A (ko) 2010-08-18 2011-08-18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2605756A4 (ko)
JP (1) JP2013537036A (ko)
KR (1) KR20130091761A (ko)
CN (1) CN103167869A (ko)
AU (1) AU2011292760A1 (ko)
BR (1) BR112013003676A2 (ko)
CA (1) CA2808710A1 (ko)
MX (1) MX2013001914A (ko)
RU (1) RU2013111465A (ko)
SG (1) SG187887A1 (ko)
WO (1) WO20120231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00714A1 (en) * 2013-03-06 2016-01-07 Capsugel Belgium Nv Curcumin solid lipid p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WO2016087261A1 (en) 2014-12-04 2016-06-09 Capsugel Belgium N.V. Lipid multiparticulate formulations
JP6761623B2 (ja) * 2015-08-21 2020-09-30 木村 修一 食品用抗酸化剤
US20180289624A1 (en) * 2015-09-09 2018-10-11 Dsm Ip Assets B.V. Process of production of a formulation comprising physiologically active inorganic metal salts
IT201700085714A1 (it) * 2017-07-26 2019-01-26 Luigi Maiuri Approccio terapeutico per il trattamento e/o prevenzione di condizioni di sensibilità al glutine.
CN108208838A (zh) * 2018-03-09 2018-06-29 北京素维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掩味组合物及其用途
WO2019175290A1 (en) 2018-03-13 2019-09-19 Beckley Canopy Therapeutics Limited Cannabis or cannabis derived compositions for promoting cessation of chemical dependence
CN109883995B (zh) * 2019-03-05 2021-06-29 中国计量大学 基于哈特曼光线追迹的非均匀介质场的测量系统及其方法
CN116828998A (zh) * 2021-02-08 2023-09-29 比利时胶囊公司 缓释维生素c及其制造
WO2022204757A1 (en) * 2021-03-30 2022-10-06 Noxopharm Limited Improved isoflavone form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053A (ko) * 2000-09-30 2002-04-06 노승권 음료용 식물성 스테롤의 분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NO317310B1 (no) * 2003-02-28 2004-10-04 Bioli Innovation As Olje-i-vann emulsjonskonsentrat for ernaeringsformal, samt anvendelse derav.
US20040253347A1 (en) * 2003-06-16 2004-12-16 Kraft Foods Holdings, Inc. Food products having moisture release system for maintaining texture during shelf life
IL159729A0 (en) * 2004-01-06 2004-06-20 Doron I Friedman Non-aqueous composition for oral delivery of insoluble bioactive agents
WO2005115341A2 (en) * 2004-05-27 2005-12-08 Advanced Bionutrition Corporation Microparticles for oral delivery
WO2006083458A2 (en) * 2004-12-30 2006-08-10 Bioresponse Llc Use of diindolylmethane-related indole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ssociates conditions
PL1993365T3 (pl) * 2006-03-06 2013-10-31 Univ California Preparaty z biodostępnych kurkuminoidów do leczenia choroby alzheimera oraz innych zaburzeń powiązanych z wiekiem
WO2009068651A1 (en) * 2007-11-28 2009-06-04 Dsm Ip Assets B.V. Lipid emulsion for human consumption
CN102131407B (zh) * 2008-06-23 2015-01-07 维尔恩公司 含有非极性化合物的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37036A (ja) 2013-09-30
MX2013001914A (es) 2013-05-20
EP2605756A4 (en) 2014-01-29
BR112013003676A2 (pt) 2016-09-06
SG187887A1 (en) 2013-03-28
RU2013111465A (ru) 2014-09-27
CN103167869A (zh) 2013-06-19
WO2012023142A3 (en) 2012-05-31
AU2011292760A1 (en) 2013-04-04
WO2012023142A2 (en) 2012-02-23
EP2605756A2 (en) 2013-06-26
CA2808710A1 (en) 201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1761A (ko)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220118064A1 (en) Multi-supplement compositions
KR20120115965A (ko) 안구 건조의 완화를 위한 영양 보충제
US11684600B2 (en) Composition of active agents to positively affect a robust mammalian endocannabinoid system tone to better address age related discomfort
US20200138737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annabinoids for relief of pain
US20150216779A1 (en) Compositions for targeted anti-aging therapy
US9950003B2 (en) Pectin based nanoparticles
IL228528A (en) Potato-based nanoparticles
US11219612B2 (en) Nutraceutical formulation for unblocking receptors
AU2017301077B2 (en) Omega-3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Kaur Nanoemulsions as delivery vehicles for food and pharmaceuticals
RU2602608C1 (ru) Функциональные продукты питания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Kumar Advances in food fortification with phytonutrients
EP3727404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mussel lipid extract and krill oil, and their medical applications
Kumar et al. Role of Phytoactive-based Nanoformulation for the Treatment of Arthritis
Buya Nanosystems Trends in Nutraceutical Delivery
Bhoite et al. Overview of Formulation, Challenges, and Regul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utraceutical
RU261639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го продукта для адаптивного питания и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й продукт для адаптивного питания
JP2021001153A (ja) クルクミンの新規用途
US20230330052A1 (en) Composition of active agents to positively affect a robust mammalian endocannabinoid system tone to better address age related discomfort
Malhotra Nanotechnology-Based Nutraceuticals for Use in Cardiovascular Disease: Toward a Paradigm Shift in Adjuvant Therapy
ES2925125A1 (es) Uso alimentario y funcional del aceite de semillas de Ocimum basilic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