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365A - 파이프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365A
KR20130091365A KR1020110142912A KR20110142912A KR20130091365A KR 20130091365 A KR20130091365 A KR 20130091365A KR 1020110142912 A KR1020110142912 A KR 1020110142912A KR 20110142912 A KR20110142912 A KR 20110142912A KR 20130091365 A KR20130091365 A KR 20130091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ipe
fastening member
fixing devic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
Priority to KR1020110142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1365A/ko
Publication of KR2013009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 pressure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clamping ring and the threaded member or the connect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는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파이프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몸체의 하단부분에 몸체이 대해 제1 각도로 굽어 있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 하단에는 삽입된 파이프의 외경을 물어 고정시키는 날이 상기 굴곡부에 대해 제2 각도로 굽어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제작되어 소정의 변위를 갖는 클램프링; 상기 내부 체결부재가 외부 체결부재에 결합되어 나사조임되면 상기 클램프링의 날이 파이프를 물어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되어 물림 각도의 변동이 일어나도록 상기 클램프링의 상방과 하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링을 가압하는 가압링; 및 상기 가압링과 내부 체결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체결부재가 외부 체결부재에 나사조임되면 상기 가압링을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파이프의 끝부분과 밀착되어 실링되는 오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클램프링의 탄성 변형 및 파이프와 접촉되는 경사각도를 이용하여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클림프링만으로도 파이프를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고정 장치{Pip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파이프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사조임시 클램프링의 탄성변위로 보다 견고한 파지력을 갖게 하는 파이프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 내부 유체의 누출이 없이 견고하게 파이프와 파이프를 결속시키기 위해 파이프를 물어 고정시키는 파이프 고정 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파이프 고정 장치는 서로 나사 결합되는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외경을 날로 물어서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순 금속링 형태의 클램프링과, 상기 클램프링이 물어 고정시킨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의 틈을 막아 실링해주는 오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클램프링은, 상기 파이프와 억지물림으로 결합되고, 날이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나,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가 나사조임되더라도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서, 내경의 좁아지는 효과가 없다. 즉, 종래의 파이프 고정 장치의 클램프링은,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파이프를 억지로 물어서 고정시키기만 하는 것이고, 상기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의 나사조임에 의한 고정력의 증가는 없다.
따라서, 종래의 파이프 고정 장치의 클램프링의 고정력을 높이려면, 파이프의 억지물림 정도를 높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탄성 변위가 적은 종래의 클램프링에 파이프를 관통시켜서 충분한 고정력으로 억지 물림시키는 작업은 입구가 좁은 상기 클램프링을 파이프에 끼우는 데에 힘이 많이 들어서 파이프 연결작업 및 해체작업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충분한 고정력을 얻기 위하여 상기 클램프링의 외경을 크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의 외경 크기가 커져서 부품의 외관이 비대해지고, 제작비용 및 생산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파이프 고정 장치는 단일 클램프링을 사용함으로써 파이프 파지력을 마음대로 증대시키기가 어렵고, 설계적으로 상기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의 외경 외관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파이프 물림 강도가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특허공보 제615858호에 파이프 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파이프 고정장치는 조립시에는 상기 파이프가 클램프링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게 하고, 조립 후,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가 나사조임될 때, 날의 입구가 좁아져서 클램프링의 내경이 좁아짐으로써 물림 강도가 증대되어 파이프의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충분히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하여 클램프링을 2개 사용되어야 하며, 클램프링을 하나만 사용할 경우에는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클램프링의 탄성 변형 및 파이프와 접촉되는 경사각도를 이용하여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클림프링만으로도 파이프를 강하게 고정할 수 있는 파이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부품의 가격을 줄이며, 제작비용 및 생산비를 절약할 수 있게 하고, 파이프 연결작업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파이프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서로 결합되는 내부 체결부재의 고정부와 외부 체결부재의 가압부 사이에 설치되어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파이프 고정 장치로서,
상기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몸체의 하단부분에 몸체에 대해 제1 각도로 굽어 있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 하단에는 삽입된 파이프의 외경을 물어 고정시키는 날이 상기 굴곡부에 대해 제2 각도로 굽어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제작되어 소정의 변위를 갖는 클램프링;
상기 내부 체결부재가 외부 체결부재에 결합되어 나사조임되면 상기 클램프링의 날이 파이프를 물어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되어 물림 각도의 변동이 일어나도록 상기 클램프링의 상방과 하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링을 가압하는 가압링; 및 상기 가압링과 내부 체결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체결부재가 외부 체결부재에 나사조임되면 상기 가압링을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파이프의 끝부분과 밀착되어 실링되는 오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나사조임시 날의 입구가 좁혀지도록 상기 클램프링은, 파이프와 접촉되는 내경부의 날을 갖고, 날의 탄성 직경 확장이 가능하도록 내경부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유홈이 방사 배치되는 링형상의 금속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는 상기 파이프의 이탈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수평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가 나사조임되면, 상기 몸체가 상기 가압링에 의해 가압을 받아 탄성 변위되어 상기 날을 제외한 상기 굴곡부 및 몸체가 수평으로 펴져서 몸체 내경이 좁아지면서 날의 물림 정도가 깊어지도록 탄성 변형되는 것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유홈은 입구는 좁고 몸체방향으로 점점 커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링의 가압이 용이하도록 상기 가압링은, 상기 상하면이 평평한 합성수지류의 원판 형상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링과, 클램프링 및 오링의 설치 순서는, 상기 클램프링이 가압링에 의해 상하로 둘러싸이도록 상기 내부 체결부재로부터 오링, 가압링, 클램프링, 가압링(또는 여분의 다수개 가압링)의 순서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각도는 38~42도이고 제2 각도는 18~22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립시에 상기 파이프가 클램프링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게 하고, 조립 후,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가 나사조임될 때, 날의 입구가 좁아져서 클램프링의 내경이 좁아지고, 몸체 및 굴곡부의 일부가 수직으로 펴지더라도 날이 경사지게 파이프의 고정되므로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어 하나의 클림프링만으로도 파이프를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부품의 가격을 줄이며, 제작비용 및 생산비를 절약할 수 있게 하고, 파이프 연결작업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오링이 파이프의 입구에 직접 접촉되어 밀착되므로 실링이 완벽히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램프 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자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압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가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 사이에 조립되어 나사 풀림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파이프 고정장치가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 사이에 조립되어 나사조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 프 고정 장치는, 서로 결합되는 내부 체결부재(1)와 외부 체결부재(2) 사이에 설치되어 파이프(3)를 고정시키는 파이프 고정 장치로서, 크게 파이프(3)를 물어 고정하는 클램프링(100)과, 클램프링(100)의 입구가 좁아지도록 가압하는 가압링(200) 및 실링을 위한 오링(300)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링(100)은, 상기 내부 체결부재(1)와 외부 체결부재(2) 사이에 설치되고, 몸체(110)의 하단에는 몸체에 대해 40도 각도로 굴곡부(120)가 형성된다. 또한, 삽입된 파이프(3)의 외경을 물어 고정시키는 날(130)이 굴곡부(120)에 대해 20도 즉, 몸체(110)에 대해 60도 각도로 굴곡부(120) 하단에 형성되며, 몸체(110), 굴곡부(120), 날(130)은 탄성재질로 제작되어 소정의 변위를 갖는다.
상기 제1 각도는 38~42도이고 제2 각도는 18~22도일 수 있으며, 이러한 각도는 가장 큰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그리고, 클램프링(100)은 파이프(3)와 접촉되는 내경부에 날(130)을 갖고, 날(130)의 탄성 직경확장이 가능하도록 내경부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유홈(140)이 방사 배치되며, 링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램프링은 황동, 철주물, 플라스틱중 하나의 재질로 만들 수 있으며, 탄성이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링(10)의 여유홈(140)은, 상기 몸체(11)의 내경부로부터 수직 직선으로 형성되다가 끝단에 타원형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날(130)의 탄성 유격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링(100)은, 상기 날(130)이 상기 파이프(3)의 외경을 경사지도록 물어서 고정시킬 때, 비가압시 종래에 비해 헐거운 적당한 탄성력으로 상기 파이프(3)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몸체(110)는 상기 파이프(3)의 이탈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수평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굴곡부(120)는 상기 파이프(3)의 이탈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110)를 기준으로 40도 정도 절곡되며, 이러한 각도는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130)은 상기 파이프(3)의 이탈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110)를 기준으로 60도 정도 절곡되어 경사지도록 형성되나 이러한 각도도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체결부재(1)와 외부 체결부재(2)가 나사조임되면, 상기 몸체(110) 및 굴곡부(120)가 상기 가압링(20)의 일부가 가압을 받아 수평으로 펴져서 몸체(110) 내경이 좁아지면서 날(130)의 물림 정도가 깊어져 마찰력이 강해진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링(200)은, 상기 경사진 클램프링(100)의 몸체(110) 및 굴곡부(120)의 일부가 수평으로 펴져서 상기 클램프링(100)의 입구가 좁아지도록 상기 내부 체결부재(1)가 외부 체결부재(2)에 결합된다.
상기 가압링(200)은 나사조임되면 상기 클램프링(100)의 날(130)이 파이프(3)를 물어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되어 물림 각도의 변동이 일어나도록 상기 클램프링(100)의 상방과 하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링(100)의 몸체(110) 및 굴곡부(120)의 일부를 가압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가압시에 몸체(110)만 수평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가압링(200)은, 상기 상하면이 평평한 합성수지류의 원판 형상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내부 체결부재(1)와 외부 체결부재(2) 사이, 상기 클램프링(100)과 함께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부 체결부재(1)가 외부 체결부재(2)에 나사조임되어 집중되는 압력을 상기 클램프링(100)이 수평으로 펴질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링(100)의 몸체(110)에 골고루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소정의 단단함을 갖는 경질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오링(300)은, 상기 가압링(200)과 내부 체결부재(1)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체결부재(1)가 외부 체결부재(2)에 나사조임 되면 상기 가압링(200)을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파이프(3)와 내부 체결부재(100) 사이에 밀착되어 실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이프 고정 장치의 조립상태 및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가압링(200)과, 클램프링(100) 및 오링(300)의 합친 높이가 적어도 상기 내부 체결부재(1)와 외부 체결부재(2) 사이의 공간 높이 이상으로 제작되도록 하며, 상기 클램프링(100)은 적어도 2개 이상이 파이프(3)와 동시에 물리도록 평형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가압링(200)과, 클램프링(100) 및 오링(300)의 설치 순서는, 상기 클램프링(100)이 가압링(200)에 의해 상하로 둘러싸이도록 상기 내부 체결부재(1)로부터 오링(300), 가압링(200), 클램프링(100), 가압링(200), 외부 체결부재(2)의 순서로 배열한 다음, 상기 내부 체결부재(1)를 외부 체결부재(2)에 조립하여 나사조임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클램프링(100)의 몸체(110) 및 굴곡부(120)는 경사진 상태이므로 클램프링(100)의 날의 (130) 입구, 즉 내경의 크기가 넓어서 상기 파이프(3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체결부재(1)가 외부 체결부재(2)에 완전히 나사조임되면, 상기 내부 체결부재(1)의 고정부(11)와 외부 체결부재(2)의 가압부(21)에 의해 상기 오링(300)이 가압을 받고, 상기 오링(300)은 그 압력을 상기 가압링(200)에 전달한다.
이어서, 상기 가압링(200)은 인가받은 압력을 상기 클램프링(100)의 몸체(110) 및 굴곡부(120)의 일부에 골고루 분산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클램프링(100)의 몸체(110)가 수평으로 펴지며, 굴곡부(120)의 일부가 수평상태가 된다.
이때, 경사진 상기 클램프링(100)의 몸체(110) 및 굴곡부(120)의 일부가 수평으로 펴지면서, 상기 클램프링(100)의 날(130) 입구, 즉 내경이 좁아지는 탄성 변위가 일어나고, 이로 인하여 헐겁게 물려 있던 파이프(3)가 상기 좁아진 날의 물림으로 인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날(130)의 각도는 도 3과 같이 파이프에 대해 경사가 유지되어 파이프(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오링(300)의 내경이 파이프(3)의 외경부다 작도록 하여 파이프(3)의 입구에 직접 접촉되어 밀착되므로 실링이 완벽히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오링(300)의 내경은 파이프(3)의 외경과 같게 하여 파이프(30)를 감싸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기 클램프링(100)을 하나만 설치하여도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는 파이프(3)에 대해서는 충분한 물림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추후에 보다 강한 물림 강도가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파이프(3)에 대하여 클램프링(100) 및 가압링(200)을 복수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내부 체결부재(1)와 외부 체결부재(2) 외관의 두께방향으로의 약간의 증가는 있으나, 외경방향으로의 증가는 없기 때문에 파이프(3)의 설치 공간에 제약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의 파이프(3) 물림강도의 단계적 증대 및 매우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체결부재(1)와 외부 체결부재(2)의 나사 조임후,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가압링(200)에 의해 상기 클램프링(100)이 더 이상 변형되어 움직일 수 있는 여유공간이 전혀 없어지므로 탄성 저하로 인한 헐거워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파이프(3) 조립 설치시 파이프(3)의 클램프링(100) 삽입이 용이한 것은 물론, 파이프(3)의 분해 해체시 상기 내부 체결부재(1)를 나사풀림하면 다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링(100)의 몸체(110) 및 굴곡부(120)가 경사지도록 탄성 복귀하여 날(130)의 내경, 즉 입구가 넓어져서 파이프(3)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램프링의 여유홈 형상을 매우 다양할 수 있고, 설치 개수를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링의 두께나 형상 및 높이 등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립시에 상기 파이프가 클램프링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게 하고, 조립 후,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가 나사조임될 때, 날의 입구가 좁아져서 클램프링의 내경이 좁아지고, 몸체 및 굴곡부의 일부가 수직으로 펴지더라도 날이 경사지게 파이프가 고정되므로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어 하나의 클림프링만으로도 파이프를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링 하나만으로 견고하게 파이프를 고정하므로 부품의 가격을 줄이며, 제작비용 및 생산비를 절약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오링이 파이프의 입구에 직접 접촉되어 밀착되므로 실링이 완벽하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서로 결합되는 내부 체결부재의 고정부와 외부 체결부재의 가압부 사이에 설치되어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파이프 고정 장치로서,
    상기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몸체의 하단부분에 몸체에 대해 제1 각도로 굽어 있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 하단에는 삽입된 파이프의 외경을 물어 고정시키는 날이 상기 굴곡부에 대해 제2 각도로 굽어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제작되어 소정의 변위를 갖는 클램프링을 포함하는 파이프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체결부재가 외부 체결부재에 결합되어 나사조임되면 상기 클램프링의 날이 파이프를 물어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되어 물림 각도의 변동이 일어나도록 상기 클램프링의 상방과 하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링을 가압하는 가압링; 및 상기 가압링과 내부 체결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체결부재가 외부 체결부재에 나사조임되면 상기 가압링을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파이프의 끝부분과 밀착되어 실링되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의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링은, 파이프와 접촉되는 내경부의 날을 갖고, 날의 탄성 직경 확장이 가능하도록 내경부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유홈이 방사 배치되는 링형상의 금속 몸체로 이루어지는 파이프의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파이프의 이탈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수평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파이프의 고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가 나사조임되면, 상기 몸체가 상기 가압링에 의해 가압을 받아 탄성 변위되어 상기 날을 제외한 상기 굴곡부의 일부 및 몸체가 수평으로 펴져서 몸체 내경이 좁아지면서 날의 물림 정도가 깊어지도록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유홈은 입구는 좁고 몸체방향으로 점점 커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링의 가압이 용이하도록 상기 가압링은, 상기 상하면이 평평한 합성수지류의 원판 형상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내부 체결부재와 외부 체결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고정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과, 클램프링 및 오링의 설치 순서는, 상기 클램프링이 가압링에 의해 상하로 둘러싸이도록 상기 내부 체결부재로부터 오링, 가압링, 클램프링, 가압링의 순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고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38~42도이고 제2 각도는 18~22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고정장치.
KR1020110142912A 2011-12-27 2011-12-27 파이프 고정 장치 KR20130091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912A KR20130091365A (ko) 2011-12-27 2011-12-27 파이프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912A KR20130091365A (ko) 2011-12-27 2011-12-27 파이프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365A true KR20130091365A (ko) 2013-08-19

Family

ID=4921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912A KR20130091365A (ko) 2011-12-27 2011-12-27 파이프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13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4849B2 (ja) パイプ把持リング
KR101195280B1 (ko)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KR200318911Y1 (ko) 파이프 고정 장치
US8226128B2 (en) Releasable nut-free C-clip secured pipe fitting
KR20120105917A (ko) 주름관 연결구
KR101478746B1 (ko) 파이프 압착 연결구
JP2015086979A (ja) ホース継手用スリーブ、ホース継手及びホース継手構造体
KR20140049653A (ko) 배관 연결장치
KR20190007178A (ko) 배관조립이 용이한 배관 유니언
KR100615858B1 (ko) 파이프 고정 장치
KR20130091365A (ko) 파이프 고정 장치
KR20160079880A (ko) 2개의 파이프라인을 동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장치를 분리하기 위한 배열체
CN207378335U (zh) 一种基于防松的一体式锁紧装置
RU2010106188A (ru) 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с корпусом арматуры
KR100242821B1 (ko) 배관 파이프 연결장치
JP2017044339A (ja) パイプの高速連結構造
KR20090059092A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CN112377705A (zh) 位置可调三通连接结构
KR200475077Y1 (ko) 관 연결구
CN219692580U (zh) 一种快接式三通接头
KR200456216Y1 (ko) 편수관용 압륜장치
TWI745139B (zh) 軟管用卡固式快速接頭
KR100493329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300312Y1 (ko) 관의 클램프 밴드식 연결구조
KR101186550B1 (ko) 관이음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