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772A - 프리앰블 감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프리앰블 감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772A
KR20130090772A KR1020127031844A KR20127031844A KR20130090772A KR 20130090772 A KR20130090772 A KR 20130090772A KR 1020127031844 A KR1020127031844 A KR 1020127031844A KR 20127031844 A KR20127031844 A KR 20127031844A KR 20130090772 A KR20130090772 A KR 20130090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amble
packet
processor
time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바르
미카엘 차트사니스
Original Assignee
엔트로픽 커뮤니케이션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트로픽 커뮤니케이션즈, 인크. filed Critical 엔트로픽 커뮤니케이션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3009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04Channel estimation of multip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6Pilot sequence conve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로 인한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 송신기에서, 제 1 패킷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패킷은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의 제 1 세트를 포함하는 제 1 시간-주파수 그래트로 송신된다. 제 1 패킷은 제 1 패킷의 송신에서 사용될 모든 부반송파에 대한 전체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전체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송신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가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위상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을 때 제 2 패킷이 전체 프리앰블 없이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의 제 2 세트를 포함하는 제 2 시간-주파수 그랜트로 송신된다.

Description

프리앰블 감소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EAMBLE REDUCTI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이 출원은 35 U.S.C. § 119(e)하에서 2010년06월09일자 가특허출원 제61/352,893호를 기초로 우선권 주장하며, 상기 가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분야
본원의 방법 및 장치는 전자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되고, 더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가 통신 패킷의 프리앰블(preamble)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통신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된다.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때, 통신이 송신될 때 통과하는 통신 매체를 특징화할 수 있는 것이 종종 도움이 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채널"은, 송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 매체(가령, 무선, 동축 케이블, 구리 트위스트 페어, 또는 광섬유 케이블), 사용되는 주파수, 변조, 또는 채널을 통해 통신되는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한 그 밖의 다른 수단을 지칭한다. 흔히, 채널을 특징화하는 프로세스가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이라고 지칭된다. 채널 추정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채널 추정을 위한 한 가지 방식은 전송될 정보의 일부분 바로 앞에 전송되는 프리앰블을 사용하는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메시지의 내용이 비교적 작은 부분들로 나뉘고, 개별 패킷들로 송신된다. 각각의 패킷은, 송신기가 수신기에게 송신하려 시도 중인 정보를 갖는 페이로드를 포함해, 몇 가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패킷 내 그 밖의 다른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프리앰블과 순방향 에러 정정(FEC: forward error correction) 필드를 포함한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패킷의 버스티 송신(bursty transmission)은 인터리브될 여러 다른 채널을 통한 소량의 데이터의 송신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정보의 제 1 패킷이, 제 1 채널을 통해 송신 노드로부터 하나의 네트워크의 제 1 수신 노드로 송신될 수 있다. 이 제 1 패킷의 송신 직후, 제 2 패킷이 제 1 노드 또는 제 2 노드로부터 동일한 수신자 또는 상이한 하나 이상의 수신 노드들로 송신될 수 있다. 이는 채널이 장시간 동안 사용 중인 상태를 유지하는 연속 송신(continuous transmission)과 다르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송신은 일반적으로, 프리앰블의 사용을 포함한다. OFDM의 경우, 개별 주파수들에서 복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를 이용해 신호가 송신된다. 부반송파는 수신기에서 수신되고 어셈블되어, 고속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OFDMA는, 부반송파의 서브세트를 개별 사용자에게 동적으로 할당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일종의 OFDM 송신이다. 여러 다른 사용자의 신호가 하나 이상의 고유 부반송파에 의해 송신되도록 할당될 것이다. 부반송파 각각은, 여러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부반송파가 서로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송신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생성되고 송신되어, 다중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각각의 부반송파로 독립적인 정보 스트림이 변조될 수 있음으로써, 이러한 부반송파 각각이 독립적인 정보를 송신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수신기로 운반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연속 송신 시스템에서의 송신과 달리, 버스티 패킷 기반 OFDM 및 OFDMA 송신 시스템에서의 송신은 시간-주파수 그랜트에서 각각의 부반송파 상에서 송신되는 각각의 패킷에 대해 전체 프리앰블(full preamble)을 필요로 한다. 본원의 목적을 위해, "전체 프리앰블"은 송신에서 사용될 모든 부반송파에 대한 전체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해 충분한 기준 신호 정보를 수신기를 위해 포함한다. 일부 경우, 프리앰블은 채널의 특성의 결과로서 발생한 임의의 왜곡을 판단하기 위해 수신기에서 번역될 수 있는 정보의 알려진 세트를 운반함으로써, 채널을 특징화(즉,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프리앰블을 사용함으로써, 수신기는 왜곡을 갖는 채널에 이상적인 채널을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기는 상기 채널에서의 총 왜곡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추정은 채널의 효과와 송신기의 반송파 위상의 임의의 오프셋(즉, 수신기의 반송파의 위상에 대한 송신기에 의해 사용되는 반송파의 위상의 임의의 오프셋)의 효과의 조합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송신기 위상 오프셋은, 의도된 수신기 내 오실레이터에 대한 반송파 주파수를 생성하는 송신기 내 오실레이터의 편차(drift)로 인한 것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오프셋을 초래할 수 있는 편차는 네트워크의 성능 및 동작을 서술하는 통신 프로토콜 명세에 의해 제안된다. 편차에 대한 한 가지 전형적인 제한은 150㎐/밀리초 또는 300㎐/초일 수 있다. 이러한 편차는, 업스트림 송신기가 수신기의 다운스트림 브로드캐스트로 위상 고정(phase-locked)된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덧붙여, 수신기는 역 등화 인수(inverse equalization factor)를 계산하기 위해, 채널 추정을 이용한다.
프리앰블에 의해 채널이 점유될 때마다, 프리앰블은 채널 용량(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는 페이로드 정보의 양)을 감소시킨다. 특정한 때에 프리앰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반송파가, 상기 특정한 때에 페이로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없다. 따라서 프리앰블이 시스템 자원에 부담을 주는 (시간-주파수에서의) 오버헤드가 된다. 따라서 프리앰블로 인한 오버헤드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본원의 방법은 버스티 패킷(bursty packet)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로 인한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본원의 방법 및 장치에 따라, 제 1 패킷이 제 1 시간-주파수 그랜트(time-frequency grant)로 송신된다. 상기 제 1 시간-주파수 그랜트는, 지정 시간 동안 사용될 하나 이상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접속(OFDMA) 부반송파의 제 1 세트를 포함한다. 제 1 패킷은 전체 프리앰블(full preamble)을 포함한다. 전체 프리앰블은 제 1 패킷의 송신에서 사용될 모든 부반송파(즉, 시간-주파수 그랜트의 모든 부반송파)에 대한 전체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신호 정보를 포함한다. 제 2 패킷이 제 2 시간-주파수 그랜트로 송신된다. 제 2 시간-주파수 그랜트는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의 제 2 세트를 포함한다.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가, 수신기에서 수신된 다른 신호, 가령 제 1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 신호로부터,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채널(또는 채널을 이루는 부반송파의 임의의 서브세트)의 속성을 결정할 수 있을 때 제 2 패킷은 전체 프리앰블을 갖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로 인한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1) 통신 매체를 통해 송신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기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2) 수신된 신호 내 프리앰블을 기초로 신호에 미치는 통신 매체의 효과를 추적하는 단계와, (3) 채널을 통해 송신될 미래 신호에 미치는 통신 매체의 효과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신호에 미치는 통신 매체의 효과를 추적함으로써, 미래 신호에 미치는 통신 매체의 효과가, 상기 미래 신호와 함께 송신될 프리앰블을 가질 필요 없이, 추정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서 송신되는 제한된 개수의(즉, 전부는 아닌, 하나 이상의) 직교 OFDMA 부반송파로 송신되는 프리앰블을 이용해, 송신기에서 생성되는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와 수신기에서 생성되는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 간의 위상 오프셋의 효과가 측정된다. 프리앰블은 위상 오프셋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신호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상의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컴퓨터 프로세서, 물리 계층 인터페이스, 및 컴퓨터 판독형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물리 계층 인터페이스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한다. 물리 계층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상의 제 1 네트워크 노드와 적어도 제 2 네트워크 노드 간의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실행형 명령이 컴퓨터 판독가능형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 명령은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송신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한다. 송신된 신호는 제 1 시간-주파수 그랜트에서 제 1 패킷을 포함한다. 이들 신호는 하나 이상의 OFMDA 부반송파의 제 1 세트로 송신된다. 제 1 패킷은 수신 노드가 제 1 패킷이 송신될 때 실리는 모든 부반송파에 대한 전체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기준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전체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또한 명령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전체 프리앰블 없이 제 2 패킷을 전송하도록 한다. 제 2 패킷은 제 2 시간-주파수 그랜트로 송신되며, 상기 제 2 시간-주파수는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의 제 2 세트를 포함한다. 제 2 패킷은, 네트워크 내 수신 네트워크 노드가 제 1 노드에서의 송신기와 제 2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수신기 사이에 이전에 송신된 전체 프리앰블로부터 위상 오프셋을 포함한 채널 추정치를 결정할 수 있을 때, 전체 프리앰블 없이 송신된다.
다음의 기재는 설명을 위해 제공되며 반드시 실측 비율은 아닌 도면의 요소들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르는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르는 네트워크 노드의 하드웨어 칩-레벨 구현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몇 개의 시간-주파수 그랜트를 도시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르는 흐름도이다.
본 기재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읽히도록 의도된 것이며, 상기 도면은 기재의 일부분으로 간주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통신 네트워크의 채널을 통해 패킷으로 전송되는 프리앰블이 차지하는 총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내 네트워크 노드(100)가 송신기(104)와 수신기(106)를 포함하는 물리 인터페이스(PHY)(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104)와 수신기(106)는 데이터 버스(110)를 통해 프로세서(108)로 연결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송신기(104)는 직교 진폭 변조(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스킴(가령, 8-QAM, 16-QAM, 32-QAM, 64-QAM, 128-QAM, 또는 256-QAM, 또는 또 다른 변조 스킴)에 따라 데이터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기(112)를 포함한다. 또한 송신기(104)는 디지털 신호를, 통신 매체(102)를 통해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수신기(106)는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변조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116)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또한 수신기(106)는, 인입 신호(incoming signal)를 적절하게 수신하기 위해 수신기(106)의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자동 이득 제어(AGC) 회로(118)와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기(120)를 포함한다. 해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네트워크 노드(10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본원에 개시된 요소들과 본원에 개시되지 않은 추가 회로 및 기능 요소들의 또 다른 조합을 포함함을 이해할 것이다.
프로세서(108)는 임의의 중앙 처리 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연산 장치 또는 회로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08)는 데이터 버스(110)를 통해 컴퓨터 판독형 저장 매체(122)로 연결된다. 컴퓨터 판독형 저장 매체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또는 더 영속성의 메모리, 가령, 리드 온리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RAM의 예로는, 정적 랜덤-액세스 메모리(SRAM: static random-access memory), 또는 동적 랜덤-액세스 메모리(DRAM: dynamic random-access memory)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해당업계의 종사자가 이해할 것처럼, ROM은 프로그램가능한 리드-온리 메모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리드-온리 메모리(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122)가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그 밖의 다른 이러한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의 노드(가려, 도 1의 네트워크 노드(100)) 내에서 사용되는 칩(200)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나의 칩 상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몇 개의 이러한 네트워크 노드는, 잘 알려진 MoCA 산업 표준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MoCA(Multimedia over Coax Alliance)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MoCA 네트워크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코디네이터(NC)가 동기식 OFDMA 송신을 조절한다. 노드들은 부반송파 세트상에서 송신한다. 각각의 부반송파 세트는 하나씩의 논리 채널을 형성한다.
MoCA 네트워크 내 임의의 노드가 NC로서 기능(즉, NC에게 부여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도 1의 프로세서(108)일 수 있음), 버퍼(220), 데이터 흐름 제어 로직(230), 물리 인터페이스(PHY)(240), 외부 호스트 인터페이스(250), 및 시스템 자원 모듈(260)이 시스템 버스(270)를 통해 통신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20)는 저장 유닛(212)(가령, 도 1의 컴퓨터 판독형 저장 매체(122))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장 유닛(212)은 프로세서(220)와 분리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버퍼(220)는 프로세서(210)와 동일한 기판으로, 또는 상기 기판 상에 연결된 공유 메모리이다. 상기 버퍼(220)는 NC 노드로부터 수신된 스케줄링 명령(가령, 미디어 액세스 플랜(MAP) 패킷)을 버퍼링한다. NC 스케줄에 의해 송신되는 MAP 패킷은 네트워크 내 각각의 노드로 그리고 노드로부터 송신된다. PHY(240)로 연결된 데이터 흐름 제어 로직(230)은 로우 레벨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PHY(240)는 칩(200)으로부터 출력될 신호를 제공한다. PHY(240)는 도 1의 PHY(102)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호스트 인터페이스(250)는 이더넷 브리지(252), 가령, 이더넷과 MoCA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브리징하기 위한 브리지를 포함한다. 시스템 자원 모듈(260)은 스케줄링된 시점에서 송신을 트리거(trigger)하기 위한 타이머(262)를 포함한다. 클록 및 리세트 신호가 위상 고정 루프(PLL)(290)로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PLL(290)은 기저대역 클록을 시스템 자원 모듈(260)로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칩 아키텍처가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아키텍처도 이들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노드는, 셋 톱 박스, 텔레비전, DVD 또는 블루레이(Blu-ray) 재생기 또는 레코더, 게임 콘솔, 컴퓨터(가령, 개인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 및 네트워크상의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바람직할 그 밖의 다른 장치를 포함해, 다양한 유형의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100)는 하나씩의 개별 칩(200)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특정 노드(100)에 대응하는 각각의 칩(200) 내에서, 프로세서(210)는 상기 노드(100)에 대해 송신 스케줄을 이행한다(가령, 특정 시간-주파수 그랜트 동안 정보를 전송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저장장치(212)에 유형 저장된 명령에 의해 프로세서(210)는 도 4에 도시된 프로세스(400)에 따라 PHY(240)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거나, 도 5에 도시된 프로세스(500)에 따라 PHY(24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타이머(262) 및 NC 노드로부터 수신된 MAP을 기초로 하여, 노드(100)의 프로세서(210)에 의해 도 2의 PHY(240)의 송신기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OFDM 채널의 각각의 부반송파상의 송신되는 신호에서 발생하는 왜곡의 추정치가 2개의 성분으로 분해된다.
제 1 성분은 채널 효과(가령, 동축 케이블 채널(coax channel))이다. 채널 효과는 신호가 매체를 통과하는 결과로서 발생하는 임의의 모든 왜곡을 포함한다. 유선 채널의 채널 효과(가령, 광섬유)는 천천히, 예를 들어, 열적 시간(thermal timescale)으로 변한다. 이와 달리, 무선 채널의 채널 효과는, 송신기가 이동 중이거나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환경이 변할 때(즉, 매체를 통과하는 물체, 가령, 송신기 또는 수신기 근처를 통과하는 트럭 등), 더 빠르게(가령, 매 밀리초(millisecond)마다) 변할 수 있다. 무선 장치의 사용자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채널은 느린 변화만 겪을 수 있으며, 상기 느린 변화는 높은 코히런스(즉, 특정 채널의 부반송파의 상태와 여러 다른 채널의 부반송파의 상태 간의 강력한 상관관계뿐 아니라 짧은 시간 주기 동안의 일관된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개시된 방법 및 장치에 따라 추적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프리앰블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그리고 가능하다면 일부 프리앰블을 삭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성분은 수신기의 라디오 주파수 반송파에 대한 송신기의 라디오 주파수 반송파의 위상 오프셋이며, 상기 위상 오프셋은 버스트(burst)간 편차(drift)(즉, 오실레이터 편차)일 수 있다. 위상 오프셋은 송신기의 라디오 주파수 반송파의 편차가 원인일 수 있다. 위상 오프셋은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모든 송신기의 부반송파상의 공통 오프셋으로서 나타날 것이다. 오프셋의 크기는 주파수에 따라 달라질 것이지만, 해당업계의 기술자가 아는 것처럼, 쉽게 계산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주파수 편차와 별개인 채널 효과를 추적한다. 하나의 예를 들면, 수신기는 추적 루프(tracking loop)를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추적 루프는 패킷의 페이로드 동안 결정 지향 모드(decision directed mode)로 동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패킷별 채널 응답의 사소한 변화가 수신기에 의해 추적될 수 있다. 채널 효과가 이전 프리앰블, 페이로드, 프로브, 파일롯 톤, 또는 특정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그 밖의 다른 데이터로부터 추적된다. 그러나 오실레이터 편차는 부반송파들 중 단 일부상의 송신된 프리앰블을 통해 추정된다. 공통 위상 오프셋이 하나 이상의, 그러나 전부는 아닌, 부반송파상에서 측정될 수 있어서, 전체 프리앰블이 필요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프리앰블이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단지 몇 개의 부반송파만 점유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앰블은, 필요에 따라, 종래의 방식에서보다 더 작을 수 있고, 따라서 오버헤드를 덜 소비하며, 대기시간(latency)을 덜 야기한다. 덧붙이자면, 수신기가 코히런스를 확인하기 위해 동축 케이블 채널(coax channel) 추정치를 개별적으로 추적하고, 부반송파들 간에 채널 효과가 충분히 코히런트하다고 판단된 경우, 수신기는 선행하는 그랜트에서 사용되지 않은 새로운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그랜트에서, 어떠한 프리앰블도 필요하지 않다. 수신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충분한 채널 코히런스를 결정하고, 그 후, 송신기에게, 다음번 패킷을 위해 어떠한 유형의 프리앰블이 사용될 것인지(또는 프리앰블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채널의 코히런스가 일반적으로 안정적이며(가령, 동축 케이블 채널(coax channel)의 경우) 사전에 알려져 있는 경우, 프리앰블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과 프리앰블이 가져야 할 속성이 지정될 수 있고, 일부 경우, 프로토콜 명세에서 특정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채널이 안정적이지 않은 경우(가령, 무선 오버-더-에어(over-the-air)의 경우), 수신기로부터 송신기로의 실시간 피드백에 의해 송신기는 프리앰블의 크기를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서, 수신기가 송신기에게, 채널 코히런스가 지정 코히런스 레벨을 초과한다는 지시자(indication)를 전송한다. 따라서 감소 프리앰블(reduced preamble)이 지정되거나, 수신기에 의해 선택되어 다음번 송신을 위해 송신기로 사전 전달(pre-convey)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감소 프리앰블의 결과로서 성능이 위협되는 경우 감소 프리앰블의 크기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어떠한 프리앰블도 사용되지 않은 경우, 성능이 위협되기 시작한다면 감소 프리앰블 또는 전체 프리앰블이 사용될 수 있다. 채널 효과가 마지막으로 판단된 이래로 변경된 경우, 패킷들 중 일부에서의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빠진 패킷(missed packet) 또는 패킷 내 에러가 검출되면, 다음번 패킷에서 프리앰블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전체 프리앰블이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성능이 적절하게 높은 경우(가령, 에러가 지정 임계치 이하인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프리앰블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앰블 크기는 상향 변화 또는 하향 변화되어, 지정된 에러율(error rate) 또는 설정점을 유지할 수 있다.
송신기와 수신기가 송신될 프리앰블의 크기(전체 프리앰블인지, 감소 프리앰블인지, 프리앰블 없음인지)에 대해 동의할 수 있다. 이 결정은, 프리앰블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인수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명세에서 특정될 수 있다. 또는, 수신기가 런타임 동안 송신기가 다음에 사용할 프리앰블의 크기를 결정하고, 요청을 송신기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 전달의 상세사항이 프로토콜 명세에서 지정될 수 있다.
도 3은 시간 대 주파수의 다이어그램에서 몇 가지 시간-주파수 그랜트를 도시한다. 상기 다이어그램은 수평선(301)에 의해 분리된 11개의 주파수(323-327, 352-357)(또는 부반송파)와 수직선(302)에 의해 분리된 22개의 주기(304-313, 335-340, 342-347)로 분할된다. 해당업계 종사자라면, MoCA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주파수 대역에 11개보다 훨씬 많은 부반송파가 존재할 것임을 알 것이다.
제 1 시간-주파수 그랜트(303)가 도 3의 다이어그램의 좌측 상단 모서리에 나타난다(두꺼운 선으로 윤곽이 그려짐). 시간-주파수 그랜트(303)가 OFDMA 심볼이 송신될 수 있는 10개의 주기(304-313)를 가짐이 나타난다. 덧붙이자면, 그랜트(303)는 OFDMA 심볼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5개의 부반송파(323-327)를 가진다. 각각의 부반송파(323-327)는 10개의 성상점(constellation point)을 송신할 수 있으며, 시간-주파수 그랜트(303)의 10개의 OFDMA 심볼 주기(304-313) 각각에 이러한 하나의 성상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시간-주파수 그랜트(303)의 10개의 OFDMA 심볼 주기(304-313) 각각 동안, 5개의 부반송파(323-327)가 5개의 성상점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나의 주기에서 송신되는 5개의 성상점으로 구성된 그룹 각각이 하나의 OFDMA 심볼을 이룬다. 따라서 시간-주파수 그랜트(303)는 5개의 부반송파×10개의 주기의 크기를 가진다(즉, 시간-주파수 그랜트(303) 동안 50개의 심볼(329)이 송신될 수 있다). 50개의 성상점(329)(즉, 10개의 OFDMA 심볼) 각각은 오버헤드 성상섬(가령, 프리앰블 성상점)이거나, 페이로드 성상점일 수 있다. 프리앰블 심볼이 도 3에서 어둡게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제 1 송신기(TX1)(가령, 네트워크의 제 1 노드 내 도 2의 PHY(240) 내의 송신기)가 제 1 시간-주파수 그랜트(303)에서 인가(grant)된다. 제 1 송신기(TX1)는 처음 3개의 심볼 주기(304, 305, 306) 동안, 그리고 그랜트(303)의 모든 5개의 부반송파(323-327)상의 전체 프리앰블(330)을 송신한다. 그랜트(303) 중 3개의 주기 동안 모든 5개의 부반송파상의 송신되는 이들 15개의 OFDMA 심볼의 조합이, 송신기(TX1)로부터 수신기로의 전체 채널 추정이 이뤄지게 하는 "전체 프리앰블"(330)을 이룬다. OFDMA 데이터 버스트(즉, 페이로드)가 다음 7개의 주기(309-313) 동안, 그리고 그랜트(303)의 모든 5개의 부반송파(323-327)상에서 송신된다(즉, 35개의 OFDMA 데이터 심볼).
제 2 송신기(TX2)(가령, 네트워크의 제 2 노드의 PHY(240)에서의 송신기)에게 제 2 시간-주파수 그랜트(331)가 인가된다. 제 2 그랜트(331)는 5개의 부반송파(323-327)×6개의 주기(335-340)이다. 제 2 송신기(TX2)는 제 2 그랜트(331)의 처음 3개의 주기(335, 336, 337) 동안 모든 5개의 부반송파(323-327)상에서 전체 프리앰블(328)을 송신한다. 제 2 송신기(TX2)에 의해 송신되는 전체 프리앰블(328)에 의해, 제 2 송신기(TX2)로부터 송신을 수신하는 각각의 수신기로의 채널에 대해 전체 채널 추정이 이뤄질 수 있다. 복수의 수신기가 전체 프리앰블(328)을 수신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복수의 채널이 존재할 수 있다. 송신기(TX2)와 고유 수신기 간의 이러한 채널 각각과 연계된 하나씩의 채널 추정치가 존재할 것이다. 또한 제 1 송신기(TX1)로부터의 송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송신기(TX1)에게 제 3 시간-주파수 그랜트(342)가 인가된다. 제 3 시간-주파수 그랜트(342)는 4개의 부반송파(323-326)×6개의 주기(342-347)이다. 제 3 그랜트(342)는 감소 프리앰블(341)을 포함한다(도 3에서 어둡게 나타남). 이러한 감소 프리앰블에서, 페이로드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부는 아닌 부반송파(323-326)가 감소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덧붙이자면, 전체 프리앰블(330)을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적은 주기 동안, 감소 프리앰블, 가령, 도 3의 프리앰블(341)이 전송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에서, 단 하나의 부반송파(326)가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덧붙이자면, 하나의 주기(342) 동안, 감소 프리앰블(341)만 송신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랜트(342)에 대해 어떠한 프리앰블도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즉, 감소 프리앰블이 0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부반송파의 개수를 감소시키거나, 주기의 개수를 감소시키거나, 둘 모두를 감소시킴으로써, 감소 프리앰블이 감소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감소 프리앰블"은 프리앰블이 0인 경우(즉, 어떠한 프리앰블도 전형 전송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음도 알아야 한다.
감소 프리앰블을 수신하면, 수신기(들)는 제 1 시간-주파수 그랜트(303) 동안 송신된 전체 프리앰블(330)의 TX1의 이전 송신으로부터 채널(들)의 특성을 판단한다. 이는, 제 1 그랜트와 제 3 그랜트(303, 342)에 대해, 동일한 송신기(TXl)가 사용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감소 프리앰블(341)로 송신될 필요가 있는 심볼의 개수는 채널이 얼마나 빠르게 변하는지와 제 1 그랜트(303)와 제 3 그랜트(342) 사이의 시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매체가 동축 케이블인 네트워크의 경우에서처럼) 채널이 매우 느리게 변화하고, 제 1 그랜트(303)에서 송신되는 전체 프리앰블의 끝 부분과 제 3 그랜트(342)의 시작 부분 사이에 시간이 거의 경과하지 않는 경우, 제 3 시간-주파수 그랜트(342) 동안 프리앰블을 전송할 필요가 전혀 없을 수 있다. 또는, 더 긴 시간이 존재하거나, 채널이 더 빠르게 변화하는 경우, 각각의 부반송파로 2개의 심볼을 송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전체 프리앰블의 경우, 3개의 심볼과 대비됨).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감소 프리앰블(341)이 제 4 부반송파(326)의 제 1 주기(342) 동안만 송신된다(도 3에서 어둡게 나타남). 이 경우, 감소 프리앰블(341)을 기초로 하여 각각의 부반송파의 위상 오프셋이 결정될 수 있다. 제 1 송신기(TX1)에 의해 송신된 이전 송신 프리앰블(303)로부터 채널 효과가 판단될 수 있다.
전체 프리앰블의 특정 크기(즉, OFDMA 심볼의 개수와 심볼당 부반송파의 개수)는 특정 구현예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감소 프리앰블의 특정 크기도 역시 특정 구현예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그러나 감소 프리앰블은 항상 전체 프리앰블보다 더 적은 OFDMA 심볼을 가질 것이다. 덧붙이자면, 감소 프리앰블은 전체 프리앰블의 경우에서보다 더 적은 수의 부반송파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에에서, 감소 프리앰블(또는 프리앰블 없음)로 인해, 페이로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시간과 주파수 측면에서) 추가 자원이 이용 가능하다. 오실레이터 편차에 의해 초래된 위상 오프셋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변함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편차가 모든 부반송파에게 공통이기 때문에, 어느 한 부반송파에 있는 위상 오프셋을 결정함으로써, 다른 부반송파 각각의 위상 오프셋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편차에 의해 초래되는 오프셋은 동축 케이블을 통한 채널 효과의 변화보다 더 빠르게 변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프리앰블 심볼이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상에서 송신되는 감소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제 4 시간-주파수 그랜트(350)도 또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제 4 그랜트(350)는 제 2 송신기(TX2)에 의해 송신될 것이다. 그랜트(350)는 7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하며, 이전 3개의 그랜트(303, 331, 342)에서는 이들 중 6개(352-357)가 사용되지 않았다. 제 4 그랜트(350)의 길이는 6개의 주기(342-347)이다. 제 7 부반송파(327)는 처음 2개의 그랜트(303, 331)에 의해 사용되었지만, 제 3 그랜트(342)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따라서 부반송파(327)는, 제 3 그랜트(342)와 동시에 발생한 제 4 그랜트(350)에 포함될 수 있었다.
제 4 그랜트(350) 동안 제 2 송신기(TX2)로부터의 송신은 프리앰블(359)을 포함하지만, 제 2 그랜트(331)에서 프리앰블 심볼이 송신되지 않은 부반송파(352-357)(즉, 수신기가 이전 그랜트(331)를 이용해 채널 효과를 추적할 수 없는 부반송파)에 대해서만 그렇다. 도 3에서 도시된 예에서, 제 4 그랜트(350)의 처음 2개의 주기(342, 343) 동안 프리앰블이 6개의 부반송파(352-357)로 전송된다(도 3에서 어둡게 표시됨). 하나의 실시예에서, 송신이 제 4 그랜트(350) 동안 제 2 그랜트(331)에서 사용된 부반송파(237) 내 프리앰블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부반송파(237)의 채널 효과가 충분히 코히런트하다. 오히려, 수신기가 제 2 그랜트(331) 동안 송신된 프리앰블을 기초로 하여 부반송파(323-327)를 추적한다. 위상 오프셋만 알려져 있지 않은 경우, 부반송파 각각의 위상 오프셋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 단 하나의 부반송파로 프리앰블 심볼을 송신하는 것이 충분할 것이다. 제 4 시간-주파수 그랜트(350)의 경우, 부반송파(352-357)로 송신되는 프리앰블 심볼이, 부반송파(327)상의 수신되는 신호의 위상 오프셋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잇다.
도 4는 프로세스(400)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400)가 시작된 후, 제 1 시간-주파수 그랜트(가령, 그랜트(303))에서 제 1 패킷을 포함해 하나 이상의 신호가 송신기에서 송신된다(410). 제 1 패킷은, 제 1 패킷의 송신 시 사용될 모든 부반송파에 대한 전체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전체 프리앰블(가령, 프리앰블(330))을 포함한다. 제 2 패킷이 제 2 그랜트(가령, 그랜트(342))로 송신된다(420). 통신이 향하는 수신기가 수신기에서 이전에 수신된 신호로부터, 또는 부반송파들 중 전부가 아닌 일부로부터, 위상 오프셋(즉, 송신기 내 오실레이터와 수신기 내 오실레이터 간의 위상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면, 제 2 패킷은 감소 프리앰블(341)과 함께 송신된다.
도 5는 프로세스(500)의 흐름도이다. 송신기로부터 통신 매체를 통해 수신기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가 수신된다(510). 감소 프리앰블(가령, 프리앰블(341))을 이용해, 수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간의 위상 오프셋의 효과가 측정된다(530). 감소 프리앰블(341)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부반송파가 아닌 적어도 하나의 OFDMA 부반송파(326)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신호 정보를 포함한다.
개시된 방법 및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가 앞서 기재되었지만, 예로서 제공되며, 청구되는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청구되는 발명은 특정 예시적 아키텍처나 개시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다양한 대안적 아키텍처 및 설정을 이용해 바람직한 특징이 구현될 수 있다. 실제로, 개시된 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특징을 구현하기 위해 대안적 기능, 논리 또는 물리적 분할 및 구성이 구현될 수 있는 방식이 해당업계 종사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청구되는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앞서 기재된 예시적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구문 및 그 변형형태는, 그렇지 않다고 명시적으로 서술되지 않는 한, 한정과 반대인 개방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의 예시로서: 용어 "~를 포함하는"은 "~를 포함하지만,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또는 이와 유사한 의미로 읽혀야 하며, 용어 "예"는, 논의되는 아이템의 총 망라한, 즉 한정적 목록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템의 사례의 예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단수형 용어("a" 또는 "an")는 "적어도 하나", "하나 이상" 또는 이와 유사한 의미로 읽혀야 하고, "종래의", "전통적인", "일반적인", "표준적인", "알려진" 같은 형용사 및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기재된 아이템을 특정 기간으로 또는 특정 시점에서 이용 가능한 아이템으로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고, 대신, 현재 또는 미래의 임의의 시점에서 이용 가능할 수 있거나 알려진, 종래의, 전통적인, 일반적인, 또는 표준적인 기술을 포함하는 것으로 읽혀야 한다.
마찬가지로, 이 문서가 해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거나 알려져 있을 기술을 지칭하는 경우, 이러한 기술은 현재 또는 미래의 임의의 시점에서 해당업계의 기술자에게 자명하거나 알려져 있는 기술을 포함한다.
접속사 "및"으로 연결된 아이템들의 그룹은, 이들 아이템 각각이 그룹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읽혀서는 안되고, 오히려 그렇지 않다고 명시적으로 서술되지 않는 한, "및/또는"으로 읽혀야 한다. 마찬가지로, 접속사 "또는"으로 연결된 아이템들의 그룹이 상호 배타성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읽히지 않아야 하며, 오히려, 그렇지 않다고 명시적으로 서술되지 않는 한, "및/또는"이라고 읽혀야 한다. 덧붙이자면, 개시된 방법 및 장치의 알고리즘 아이템, 요소 또는 구성요소가 단수형으로 기재되거나 청구될지라도, 단수형으로 한정된다고 명확히 서술되지 않는 한 복수형이 범위 내에 있다고 간주한다.

Claims (18)

  1.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로 인한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송신기에서, 제 1 시간-주파수 그랜트(time-frequency grant)로 제 1 패킷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제 1 패킷은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의 제 1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킷은, 적어도 제 1 수신기로의 제 1 패킷의 송신에서 사용될 모든 부반송파에 대한 전체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전체 프리앰블(full preamble)을 더 포함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의 제 2 세트를 포함하는 제 2 시간-주파수 그랜트에서 제 2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로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가 (1) 이전에 송신된 전체 프리앰블로부터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채널 효과를 결정하고, (2) 제 2 패킷과 함께 송신된 감소 프리앰블(reduced preamble)로부터 각각의 부반송파에 대한 위상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을 때, 제 2 패킷은 감소 프리앰블을 더 포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제 2 패킷의 송신을 기초로 하여 패킷 에러율(patck error rate)을 결정하는 단계, 및
    패킷 에러율이 지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 3 시간-주파수 그랜트로 제 3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3 시간-주파수 그랜트는 제 1 및 제 2 시간-주파수 그랜트에서 사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패킷은 감소 프리앰블을 포함하고, 감소 프리앰블은 제 1 및 제 2 시간-주파수 그랜트에서 사용되지 않는 제 3 시간-주파수 그랜트의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상에서 송신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채널 코히런스가 지정 코히런스 레벨을 초과함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제 2 패킷은 제 1 패킷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부반송파상의 어떠한 프리앰블 데이터 없이, 송신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감소 프리앰블이 단일 부반송파를 이용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위상 오프셋이, 전체 프리앰블로부터 결정된 위상 오프셋의 사용이 제 2 패킷의 패이로드로 송신되는 정보의 위상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할 만큼 충분히 천천히 변하는 경우, 감소 프리앰블은 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는, 전체 프리앰블보다 작은 프리앰블과 함께 제 2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적어도 제 2 패킷의 송신을 기초로 하여 패킷 에러율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패킷 에러율을 기초로 업데이트된 프리앰블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된 프리앰블 크기를 갖는 프리앰블과 함께 제 3 시간-주파수 그랜트에서 제 3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기에게 감소 프리앰블을 사용할 것을 명령하는 수신기로부터의 지시자(indication)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시자는 제 2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수신되는, 단계, 및
    수신된 지시자에 응답하여, 감소 프리앰블과 함께 제 2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
  8.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통신 매체를 통해 송신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부반송파상의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신호에 미치는 통신 매체의 효과를 추적하는 단계, 및
    수신된 신호가 실렸던 부반송파 중 일부상의 수신된 정보를 이용해, 위상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수신된 신호가 실렸던 부반송파상의 이전에 수신된 프리앰블을 기초로 하여 통신 채널의 효과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송신기에게 감소 프리앰블과 함께 제 2 패킷을 전송하라고 명령하는 지시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위상 오프셋의 결정을 기초로 하여, 부반송파 각각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
  12. 네트워크상에 네트워크 노드를 형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컴퓨터 프로세서,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로 연결된 물리 계층 인터페이스, 및
    상기 프로세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컴퓨터-실행형 명령(instruction)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형 저장 매체
    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신호는 제 1 시간-주파수 그랜트에서 제 1 패킷을 포함하며, 제 1 시간-주파수 그랜트는 하나 이상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부반송파의 제 1 세트를 포함하고, 제 1 패킷은 제 1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부반송파에 대한 전체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체 프리앰블(full preamble)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2 패킷의 의도한 수신기가 상기 전체 프리앰블로부터 채널 효과를 결정할 수 있는 경우, 제 2 시간-주파수 그랜트에서 감소 프리앰블(reduced preamble)을 포함하는 제 2 패킷을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에 네트워크 노드를 형성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감소 프리앰블과 함께 제 2 패킷을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에 네트워크 노드를 형성하는 장치.
  14. 네트워크상에 네트워크 노드를 형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컴퓨터 프로세서,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세서로 연결된 물리 계층 인터페이스, 및
    상기 프로세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컴퓨터-실행형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형 저장 매체
    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통신 매체를 통해 수신된 전체 프리앰블(full preamble)을 갖는 제 1 패킷의 신호에 부가된 채널 효과를, 상기 전체 프리앰블을 기초로 하여 결정하고,
    전체 프리앰블을 기초로 하는 감소 프리앰블(reduced preamble)을 갖는 제 2 패킷으로 수신된 신호에 부가된 채널 효과를 결정하며,
    감소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위상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에 네트워크 노드를 형성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감소 프리앰블은 제 2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모든 OFDM 부반송파는 아닌 적어도 하나의 OFDM 부반송파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에 네트워크 노드를 형성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 전체 프리앰블의 크기를 감소하도록 명령하는 지시자(indication)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에 네트워크 노드를 형성하는 장치.
  17.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용되기 위한 집적 회로(IC) 칩에 있어서, 상기 IC 칩은
    컴퓨터 프로세서,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세서로 연결된 물리 계층 인터페이스, 및
    상기 프로세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컴퓨터-실행형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형 저장 매체
    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신호는 제 1 시간-주파수 그랜트에서 제 1 패킷을 포함하며, 제 1 시간-주파수 그랜트는 하나 이상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부반송파의 제 1 세트를 포함하고, 제 1 패킷은 제 1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부반송파에 대한 전체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체 프리앰블(full preamble)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2 패킷의 의도한 수신기가 상기 전체 프리앰블로부터 채널 효과를 결정할 수 있는 경우, 제 2 시간-주파수 그랜트에서 감소 프리앰블(reduced preamble)을 포함하는 제 2 패킷을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용되기 위한 IC 칩.
  18.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용되기 위한 집적 회로(IC) 칩에 있어서, 상기 IC 칩은,
    컴퓨터 프로세서,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세서로 연결된 물리 계층 인터페이스, 및
    상기 프로세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컴퓨터-실행형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형 저장 매체
    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통신 매체를 통해 수신된 전체 프리앰블(full preamble)을 갖는 제 1 패킷의 신호에 부가된 채널 효과를 상기 전체 프리앰블을 기초로 결정하고,
    상기 전체 프리앰블을 기초로 하는 감소 프리앰블(reduced preamble)을 갖는 제 2 패킷으로 수신된 신호에 부가된 채널 효과를 결정하며,
    감소 프리앰블을 이용해 위상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칩.
KR1020127031844A 2010-06-09 2011-06-09 프리앰블 감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907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289310P 2010-06-09 2010-06-09
US61/352,893 2010-06-09
PCT/US2011/039735 WO2011156561A1 (en) 2010-06-09 2011-06-09 Method and apparatus for preamble red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772A true KR20130090772A (ko) 2013-08-14

Family

ID=4509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844A KR20130090772A (ko) 2010-06-09 2011-06-09 프리앰블 감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74030B2 (ko)
EP (1) EP2580930A4 (ko)
JP (1) JP2013533682A (ko)
KR (1) KR20130090772A (ko)
CN (1) CN102948207B (ko)
WO (1) WO20111565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290A1 (ko) * 2013-12-31 2015-07-09 주식회사 아이티엘 스몰 셀 환경에서 참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7160B2 (ja) * 2012-02-28 2016-02-24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9813931B2 (en) * 2014-07-29 2017-11-07 University Of Ottawa Adaptive packet preamble adjustment
US9565568B2 (en) * 2014-11-14 2017-02-07 Blackberry Limited Sharing channels in a licensed-assisted access in long term evolution operation
WO2024060233A1 (zh) * 2022-09-23 2024-03-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上报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7283B2 (ja) * 2001-11-26 2005-12-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送信方法
JP2003273829A (ja) * 2002-01-09 2003-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fdm通信装置、ofdm通信方法、およびofdm通信プログラム
US7212799B2 (en) * 2002-09-05 2007-05-0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and tracking ultrawide bandwidth signals
JP4390636B2 (ja) * 2003-06-11 2009-12-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Ofdm信号フレーム生成器、送信機、信号伝送システム及びofdm信号フレーム生成方法
EP1542488A1 (en) * 2003-12-12 2005-06-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 pilot signal adapted to the channel characteristics
US7457231B2 (en) * 2004-05-04 2008-11-25 Qualcomm Incorporated Staggered pilot transmission for channel estimation and time tracking
CA2576933C (en) * 2004-08-16 2012-04-24 Zte San Diego, Inc. Fast cell search and accurate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EP2037608A1 (en) * 2006-06-05 2009-03-18 Sharp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TWI451728B (zh) 2006-09-29 2014-09-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封包化系統中高速通信之具成本效益的前導碼結構
US8027329B2 (en) 2007-02-07 2011-09-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eamble design for synchronization and cell search
JP2009055546A (ja) * 2007-08-29 2009-03-12 Toshiba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無線端末装置
US20090185534A1 (en) * 2008-01-18 2009-07-23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Packet Header
US8204147B2 (en) * 2009-07-14 2012-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to index the preambles in the bandwidth request chan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290A1 (ko) * 2013-12-31 2015-07-09 주식회사 아이티엘 스몰 셀 환경에서 참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305157A1 (en) 2011-12-15
JP2013533682A (ja) 2013-08-22
CN102948207A (zh) 2013-02-27
EP2580930A1 (en) 2013-04-17
EP2580930A4 (en) 2015-12-02
US8774030B2 (en) 2014-07-08
WO2011156561A1 (en) 2011-12-15
CN102948207B (zh)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88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ilot signal
US9414361B2 (en) Control st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location method and program
JP2020504554A (ja) 参照信号構成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RU2740705C1 (ru) Управление сигналом активации
TW200908585A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odem hardware
KR20130090772A (ko) 프리앰블 감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053871A1 (en) Beam failure recovery for single dci-based m-trp urllc transmissions
KR20110100615A (ko) 유선 통신 채널들을 프로빙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WO2018171792A1 (zh) 一种参考信号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93575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baseband processing
US10588080B2 (en)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of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thereof
CN114915388A (zh) 资源确定、配置方法及通信设备
Mefenza et al. FPGA implementation of subcarrier index modulation OFDM transceiver
JP3735098B2 (ja) Ofdm送信装置
WO2019141033A1 (zh) 信号的发送、接收方法、装置及存储介质
Feng et al. Piggybacking lightweight control messages on physical layer for multicarrier wireless LANs
WO2024011129A1 (en) Signaling patterns for time drift reference signals
JP5482751B2 (ja) 無線フレーム可変制御による最適な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KR20200082815A (ko) 케이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