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152A - 코너용 타일 - Google Patents

코너용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152A
KR20130090152A KR1020120011261A KR20120011261A KR20130090152A KR 20130090152 A KR20130090152 A KR 20130090152A KR 1020120011261 A KR1020120011261 A KR 1020120011261A KR 20120011261 A KR20120011261 A KR 20120011261A KR 20130090152 A KR20130090152 A KR 20130090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tile
corner tile
exposed
t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귀
Original Assignee
전정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귀 filed Critical 전정귀
Priority to KR102012001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0152A/ko
Publication of KR20130090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04F13/073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for 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너용 타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용 타일은, 서로 인접하는 두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3개의 면을 가지는 모퉁이 타일 및 서로 인접하는 두 벽면 또는, 서로 인접하는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2개의 면을 가지는 모서리 타일을 포함하고, 청소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되는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의 노출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너용 타일{TILE FOR CORNER}
본 발명은 모서리 타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외벽에 시공하는 타일의 형상을 건물의 내외벽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도록 일체형으로 구성된 모서리 타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일이라 함은 건물 내외벽의 표면에 시공하여 건물 내외벽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건축자재로써, 비교적 시공이 간단할 뿐 아니라 시공후에 균열을 일으키거나 변색하는 일이 거의 없고 내구성이 탁월하여 구조물의 표면을 보호하는데 용이하다.
타일을 건물 벽면에 부착하는 것은 에폭시접착제 또는 시멘트모르타르를 사용하여 부착하며, 타일을 시공할 때는 타일과 타일 사이를 일정간격을 두고 시공을 하게 되며, 그 사이에는 매지시멘트로 마감을 한다.
한편 상기 타일 사이에 두는 일정한 간격을 신축줄눈이라 칭하기도 하는데, 상기 신축줄눈을 두는 이유는 건물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흔들리거나, 수축팽창으로 인하여 타일이 깨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신축줄눈과 같은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신축줄눈에 물이 스며들어 물때 또는 곰팡이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모서리부분의 신축줄눈에서 더욱 심각하게 발생되며 건물의 미관과 위생을 크게 저해시키는 요소가 된다.
그리고, 상기의 곰팡이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브러시와 세제 등을 사용하여 청소를 해야 하며 그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모서리 부분을 청소시 브러시 등의 청소 용구가 잘 닿지 않아 청소하기가 어렵고 오염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기까지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서리 부분의 신축줄눈을 통해서 건물의 내벽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물 내외벽에 균열이 발생할 수도 있게 되므로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모서리 부분에 상응하는 일체형 타일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72515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 모서리 타일은, 모서리부분에 상응하는 형태인 직각형태로 구성되어, 모서리 부분의 청소시 브러시 등 청소 용구가 잘 닿지 않아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72515호 (2004.12.3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일체형 타일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되는 노출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모서리 부분의 청소 작업이 용이한 코너용 타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신축줄눈을 생성하지 않는 일체형 타일로 시공하여 모서리 부분의 신축줄눈을 통해 건물의 내벽으로의 누수를 막아주는 코너용 타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서로 인접하는 두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3개의 면을 가지는 모퉁이 타일 및 서로 인접하는 두 벽면 또는, 서로 인접하는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2개의 면을 가지는 모서리 타일을 포함하고, 청소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되는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의 노출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내로 노출되는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의 노출면이 동일면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 간의 접촉면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의 접촉면을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 간의 접촉면은 실내로 노출되는 노출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의 접촉면은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내로 노출되는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의 좌우 양끝단에는, 타일을 타고 하방으로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신축줄눈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용 타일에 의하면,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일체형 타일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되는 노출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모서리 부분의 청소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신축줄눈을 생성하지 않는 일체형 타일로 시공하여 모서리 부분의 신축줄눈을 통해 건물의 내벽으로의 누수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타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타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타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타일의 사시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구체적인 설명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타일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타일은, 모퉁이 타일(10) 및 모서리 타일(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인 코너용 타일에는, 모퉁이 타일(10)이 마련된다. 상기 모퉁이 타일(10)은, 서로 인접하는 두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3개의 면으로 형성된다. 즉, 모퉁이 부분을 3개의 면이 모두 감싸며 모퉁이부분을 모두 커버하는 일체형의 타일로 형성된다.
상기 모퉁이 타일(10) 일측에는, 모서리 타일(11)이 마련된다. 상기 모서리 타일(11)은, 서로 인접하는 두 벽면 또는 서로 인접하는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2개의 면으로 형성된다. 즉, 면과 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2개의 면이 모서리 부분을 커버하는 일체형의 타일로 형성된다.
상기 모퉁이 타일(10)과 모서리 타일(11)의 접촉면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퉁이 타일(10)이 서로 인접하는 벽면과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퉁이 부분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모퉁이 타일(10)의 3곳과 상기 모서리 타일(11)이 밀착되는 곳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벽면과 벽면이 만나는 상기 모퉁이 타일(10)의 좌측 및 우측과 벽면과 벽면이 만나는 곳에 설치되는 상기 모퉁이 타일(10)의 상단에 모두 동일한 모서리 타일(11)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퉁이 타일(10) 및 모서리 타일(11)의 내측 모서리 부분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퉁이 타일(10) 및 모서리 타일(11)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되는 노출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모서리 부분의 물고임으로 인한 오염을 없애고, 청소 용구를 활용한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퉁이 타일(10) 및 모서리 타일(11)에 형성되는 곡면 또는 경사면은, 상기 모퉁이 타일(10) 및 모서리 타일(11)의 외면을 일면으로 하는 가상의 육면체 내부에서 당업자가 원하는 곡면 또는 경사면을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타일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타일은, 모퉁이 타일(100) 및 모서리 타일(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인 코너용 타일에는, 모퉁이 타일(100)이 마련된다. 상기 모퉁이 타일(100)은, 서로 인접하는 두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3개의 면으로 형성된다. 즉, 모퉁이 부분을 3개의 면이 모두 감싸며 모퉁이부분을 모두 커버하는 일체형의 타일로 형성된다.
상기 모퉁이 타일(100) 일측에는, 모서리 타일(110)이 마련된다. 상기 모서리 타일(110)은, 서로 인접하는 두 벽면 또는 서로 인접하는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2개의 면으로 형성된다. 즉, 면과 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2개의 면이 모서리 부분을 커버하는 일체형의 타일로 형성된다.
상기 모퉁이 타일(100)과 모서리 타일(110)의 접촉면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퉁이 타일(100)이 서로 인접하는 벽면과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퉁이 부분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모퉁이 타일(100)의 3곳과 상기 모서리 타일(110)이 밀착되는 곳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벽면과 벽면이 만나는 상기 모퉁이 타일(100)의 좌측 및 우측과 벽면과 벽면이 만나는 곳에 설치되는 상기 모퉁이 타일(100)의 상단에 모두 동일한 모서리 타일(11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퉁이 타일(100) 및 모서리 타일(110)의 내측 모서리 부분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퉁이 타일(100) 및 모서리 타일(110)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되는 노출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모서리 부분의 물고임으로 인한 오염을 없애고, 청소 용구를 활용한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퉁이 타일(100) 및 모서리 타일(110)에 형성되는 곡면 또는 경사면은, 상기 모퉁이 타일(100) 및 모서리 타일(110)의 외면을 일면으로 하는 가상의 육면체 내부에서 당업자가 원하는 곡면 또는 경사면을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실내로 노출되는 상기 모퉁이 타일(100) 및 모서리 타일(110)의 양끝단에는 돌기(120)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20)는, 기본타일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을 하방으로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모퉁이 타일(100) 및 모서리 타일(110)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신축줄눈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돌기(120)는, 상기 모퉁이 타일(100) 및 모서리 타일(110)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신축줄눈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을 최소화하여 모르타르의 건조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크랙을 통해 발생되는 누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120)는, 당업자에 의해 상기 돌기(120)를 생성 또는 미생성하여 본 발명인 코너용 타일을 제작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타일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모퉁이 타일(200), 수평모서리타일(210) 및 수직모서리 타일(220)의 상단면이 실내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2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타일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타일은, 모퉁이 타일(200) 수평모서리 타일(210) 및 수직모서리 타일(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인 코너용 타일에는, 모퉁이 타일(200)이 마련된다. 상기 모퉁이 타일(200)은, 서로 인접하는 두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3개의 면으로 형성된다. 즉, 모퉁이 부분을 3개의 면이 모두 감싸며 모퉁이부분을 모두 커버하는 일체형의 타일로 형성된다.
상기 모퉁이 타일(200) 일측에는, 수평모서리 타일(210)이 마련된다. 상기 수평모서리 타일(210)은, 서로 인접하는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2개의 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모퉁이 타일(200) 상단에는, 수직모서리 타일(220)이 마련된다. 상기 수직모서리 타일(220)은, 서로 인접하는 벽면 및 벽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2개의 면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수평모서리 타일(210) 및 수직모서리 타일(220)은, 면과 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2개의 면이 모서리 부분을 커버하는 일체형의 타일로 형성된다.
상기 모퉁이 타일(200) 및 수평모서리 타일(210)의 접촉면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퉁이 타일(200)이 서로 인접하는 벽면과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퉁이 부분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모퉁이 타일(200)의 상단을 제외한 좌측 및 우측과 상기 수평모서리 타일(210)이 밀착되는 곳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퉁이 타일(200)의 상단에는, 상기 수직모서리 타일(220)이 설치된다. 상기 모퉁이 타일(200)의 상단과 상기 수직모서리 타일(22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경사 결합부(240)가 형성된다. 서로 밀착되는 상기 모퉁이 타일(200)의 상단면과 상기 수직모서리 타일(220)의 하단면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모퉁이 타일(200)의 상단에는 수직모서리 타일(220)을 설치하고, 상기 모퉁이 타일(20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수평모서리 타일(21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모퉁이 타일(200), 수평모서리 타일(210) 및 수직모서리 타일(220)의 내측 모서리 부분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퉁이 타일(200), 수평모서리 타일(210) 및 수직모서리 타일(220)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되는 노출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모서리 부분의 물고임으로 인한 오염을 없애고, 청소 용구를 활용한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퉁이 타일(200), 수평모서리 타일(210) 및 수직모서리 타일(220)에 형성되는 곡면 또는 경사면은, 상기 모퉁이 타일(200), 수평모서리 타일(210) 및 수직모서리 타일(220)의 외면을 일면으로 하는 가상의 육면체 내부에서 당업자가 원하는 곡면 또는 경사면을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실내로 노출되는 상기 모퉁이 타일(200), 수평모서리 타일(210) 및 수직모서리 타일(220)의 양끝단에는 돌기(230)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230)는, 기본타일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을 하방으로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모퉁이 타일(200), 수평모서리 타일(210) 및 수직모서리 타일(220)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신축줄눈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돌기(230)는, 상기 모퉁이 타일(200), 수평모서리 타일(210) 및 수직모서리 타일(220)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신축줄눈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을 최소화하여 모르타르의 건조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크랙을 통해 발생되는 누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230)는, 당업자에 의해 상기 돌기(230)를 생성 또는 미생성하여 본 발명인 코너용 타일을 제작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퉁이 타일(200) 및 수평모서리 타일(210)의 상단과, 상기 수직모서리 타일(220)의 상단 및 하단에는, 경사 결합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 결합부(240)는, 상기 모퉁이 타일(200)의 상단에 설치되는 수직모서리 타일(220) 간의 접촉면과, 상기 수평모서리 타일(2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기본타일간의 접촉면이, 실내로 노출되는 노출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퉁이 타일(200) 및 수직모서리 타일(220)간의 접촉면과, 상기 수평모서리 타일(210) 및 기본타일간의 접촉면은, 동일면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모퉁이 타일(200)과 수직모서리 타일(220)의 접촉면과, 수평모서리 타일(210)과 기본타일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신축줄눈의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실내로 노출되는 노출면을 향하여 하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경사 결합부(240)의 경사면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신축줄눈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최소화 하고, 모르타르의 건조 수축 등으로 발생하는 크랙을 통해 벽면으로 물이 스며드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타일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모퉁이 타일(300)과 수직모서리 타일(320) 및 수평모서리 타일(310)과 기본타일모퉁이 타일이 서로 겹쳐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3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타일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코너용 타일은, 모퉁이 타일(300) 수평모서리 타일(310) 및 수직모서리 타일(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인 코너용 타일에는, 모퉁이 타일(300)이 마련된다. 상기 모퉁이 타일(300)은, 서로 인접하는 두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3개의 면으로 형성된다. 즉, 모퉁이 부분을 3개의 면이 모두 감싸며 모퉁이부분을 모두 커버하는 일체형의 타일로 형성된다.
상기 모퉁이 타일(300) 일측에는, 수평모서리 타일(310)이 마련된다. 상기 수평모서리 타일(310)은, 서로 인접하는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2개의 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모퉁이 타일(300) 상단에는, 수직모서리 타일(320)이 마련된다. 상기 수직모서리 타일(320)은, 서로 인접하는 벽면 및 벽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2개의 면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수평모서리 타일(310) 및 수직모서리 타일(320)은, 면과 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2개의 면이 모서리 부분을 커버하는 일체형의 타일로 형성된다.
상기 모퉁이 타일(300) 및 수평모서리 타일(310)의 접촉면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퉁이 타일(300)이 서로 인접하는 벽면과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퉁이 부분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모퉁이 타일(300)의 상단을 제외한 좌측 및 우측과 상기 수평모서리 타일(310)이 밀착되는 곳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퉁이 타일(300)의 상단에는, 상기 수직모서리 타일(320)이 설치된다. 상기 모퉁이 타일(300)의 상단과 상기 수직모서리 타일(32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다단 결합부(340)가 형성되어 상기 모퉁이 타일(200)의 상단과 상기 수직모서리 타일(320)의 하단이 밀착되는 면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모퉁이 타일(300)의 상단에는 수직모서리 타일(320)을 설치하고, 상기 모퉁이 타일(30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수평모서리 타일(31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모퉁이 타일(300), 수평모서리 타일(310) 및 수직모서리 타일(320)의 내측 모서리 부분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퉁이 타일(300), 수평모서리 타일(310) 및 수직모서리 타일(320)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되는 노출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모서리 부분의 물고임으로 인한 오염을 없애고, 청소 용구를 활용한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퉁이 타일(300), 수평모서리 타일(310) 및 수직모서리 타일(320)에 형성되는 곡면 또는 경사면은, 상기 모퉁이 타일(300), 수평모서리 타일(310) 및 수직모서리 타일(320)의 외면을 일면으로 하는 가상의 육면체 내부에서 당업자가 원하는 곡면 또는 경사면을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실내로 노출되는 상기 모퉁이 타일(300), 수평모서리 타일(310) 및 수직모서리 타일(320)의 양끝단에는 돌기(330)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330)는, 기본타일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을 하방으로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모퉁이 타일(300), 수평모서리 타일(310) 및 수직모서리 타일(320)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신축줄눈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돌기(330)는, 상기 모퉁이 타일(300), 수평모서리 타일(310) 및 수직모서리 타일(320)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신축줄눈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을 최소화하여 모르타르의 건조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크랙을 통해 발생되는 누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330)는, 당업자에 의해 상기 돌기(330)를 생성 또는 미생성하여 본 발명인 코너용 타일을 제작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퉁이 타일(300) 및 수평모서리 타일(310)의 상단과, 상기 수직모서리 타일(320)의 상단 및 하단에는, 다단 결합부(340)가 형성된다. 상기 다단 결합부(340)는, 상기 모퉁이 타일(300)의 상단에 설치되는 수직모서리 타일(320) 간의 접촉면과, 상기 수평모서리 타일(3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기본타일간의 접촉면이, 실내로 노출되는 노출면을 향하여 다단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퉁이 타일(300) 및 수직모서리 타일(320)간의 접촉면과, 상기 수평모서리 타일(310) 및 기본타일간의 접촉면은, 동일면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모퉁이 타일(300)과 수직모서리 타일(320)의 접촉면과, 수평모서리 타일(310)과 기본타일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신축줄눈의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실내로 노출되는 노출면을 향하여 다단으로 형성되는 상기 다단 결합부(34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신축줄눈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최소화 하고, 모르타르의 건조 수축 등으로 발생하는 크랙을 통해 벽면으로 물이 스며드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코너용 타일에 의하면,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일체형 타일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되는 노출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모서리 부분의 청소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신축줄눈을 생성하지 않는 일체형 타일로 시공하여 모서리 부분의 신축줄눈을 통해 건물의 내벽으로의 누수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설명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0, 200, 300 : 모퉁이 타일
11, 110 : 모서리 타일
120, 230, 330 : 돌기
210 : 수평모서리 타일
220 : 수직모서리 타일
240 : 경사 결합부
340 : 다단 결합부

Claims (5)

  1. 서로 인접하는 두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3개의 면을 가지는 모퉁이 타일; 및
    서로 인접하는 두 벽면 또는, 서로 인접하는 벽면 및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2개의 면을 가지는 모서리 타일;을 포함하고,
    청소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되는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의 노출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용 타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로 노출되는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의 노출면이 동일면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 간의 접촉면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용 타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의 접촉면을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 간의 접촉면은 실내로 노출되는 노출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용 타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의 접촉면은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용 타일.
  5.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로 노출되는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의 좌우 양끝단에는, 타일을 타고 하방으로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모퉁이 타일 및 모서리 타일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신축줄눈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용 타일.
KR1020120011261A 2012-02-03 2012-02-03 코너용 타일 KR20130090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261A KR20130090152A (ko) 2012-02-03 2012-02-03 코너용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261A KR20130090152A (ko) 2012-02-03 2012-02-03 코너용 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152A true KR20130090152A (ko) 2013-08-13

Family

ID=49215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261A KR20130090152A (ko) 2012-02-03 2012-02-03 코너용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01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16218A1 (en) * 2021-04-06 2022-10-06 Jahnke & Sons Construction, Inc. Interlocking Tiles
US11952786B1 (en) * 2023-04-03 2024-04-09 CALLMyDRIV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ving a faceted roo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16218A1 (en) * 2021-04-06 2022-10-06 Jahnke & Sons Construction, Inc. Interlocking Tiles
US11649640B2 (en) * 2021-04-06 2023-05-16 Jahnke & Sons Construction, Inc. Interlocking tiles
US11952786B1 (en) * 2023-04-03 2024-04-09 CALLMyDRIV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ving a faceted roo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5966A (ko) 조립식 욕실 바닥
KR20130090152A (ko) 코너용 타일
KR20200029884A (ko) 방음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JP6479059B2 (ja) サッシ改修方法
KR200343879Y1 (ko) 타일 스페이서
KR101621757B1 (ko) 건물의 가장자리 상단부 및 건물의 가장자리 측면에 발생 되는 누수부위 시공용 시공패널 및 그 시공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08978B1 (ko) 슬라브 건조용 통풍판
KR200372515Y1 (ko) 모서리타일
KR101295416B1 (ko) 슬라이딩 방식으로 시공되는 타일 시공구조체
CN206972048U (zh) 一种建筑中浴室用门槛及其护条组合结构
CN207974462U (zh) 防水底盒
KR20120027659A (ko) 타일 시공장치
KR20210158536A (ko) 조립식 마감 패널
JP2011052499A (ja) 浴室ユニットの床構造及び床施工方法
KR101869417B1 (ko) 바닥면 방수구조 및 시공방법
JP2008031808A (ja) 水場出入口の下枠用防水カバー
KR101497443B1 (ko) 무메지 폴리싱 타일
KR20130021140A (ko) 바닥패널
KR20120140283A (ko) 욕실용 덕트마감재
JP2015048580A (ja) 腰壁・土間構造
TWM531970U (zh) 內外角遮板裝置
KR102664470B1 (ko) 조립식 패널 조립체
JP3217645U (ja) 浴室用床材
KR200436230Y1 (ko) 온돌바닥 미장층 균열방지구
CN207332153U (zh) 楼梯台阶用外防水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