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422A -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9422A KR20130089422A KR1020120010762A KR20120010762A KR20130089422A KR 20130089422 A KR20130089422 A KR 20130089422A KR 1020120010762 A KR1020120010762 A KR 1020120010762A KR 20120010762 A KR20120010762 A KR 20120010762A KR 20130089422 A KR20130089422 A KR 201300894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organic light
- emitting diode
- adhesive sheet
- ano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30—Organic light-emitting transisto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물리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착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접착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대면적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성함으로써, 대면적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전면에 걸쳐 균일하고 우수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 모듈로 픽셀(pixel)화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문제가 발생된 부분만 교체가 가능함으로, 유지 관리가 용이해지고 비용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대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다이오드는 백라이트 유닛과 같은 추가적인 면광원이 필요 없는 자체 발광형 소자이며, 시야각이 넓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두께가 얇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상술한 것과 같은 우수한 특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면적으로 구현될 때 전극이 상당히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전극의 저항이 증가하여 전압강하 폭이 커지게 된다.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대면적으로 구현할 때 유기 전계 발광부를 포토레지스트-증착하는 과정에서 전면적에 걸쳐 두께를 균일하게 형성하기가 어렵다. 만약, 유기 전계 발광부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형성되면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전면에 걸쳐 균일한 색감의 화질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함께,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어느 한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대면적인 유기발광다이오드 전체를 폐기해야만 하므로 비용면에서도 불리한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연결하여 대면적으로 형성하는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기발광다이오드 단위로 픽셀(pixel)화된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접착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유리기판과, 애노드소자부 및 애노드전극부를 포함하는 애노드층과, 유기물층과, 애노드소자부 및 애노드전극부를 포함하는 캐소드층을 포함하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하되, 상기 유리기판의 소자 영역에는 상기 애노드소자부 및 상기 캐소드소자부를 형성하며, 상기 유리기판의 연결 영역에는 상기 애노드전극부 및 상기 캐소드전극부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접착 시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전극부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전극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전극부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전극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시트의 상기 기판은 플라스틱 및 종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하며, 상기 플라스틱은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 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및 폴리에테르설폰(PES, polyethersulfon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전극은 금속, 전도성 폴리머, ITO (Indium Tin Oxide), 탄소나노튜브 및 그래핀(Graphene)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하며, 상기 금속은 금(Au), 은(Ag), 알미늄(Al), 구리(Cu)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시트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전체를 가리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일부를 가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물리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착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유리기판과, 애노드소자부 및 애노드전극부를 포함하는 애노드층과, 유기물층과, 애노드소자부 및 애노드전극부를 포함하는 캐소드층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기판의 소자 영역에는 상기 애노드소자부 및 상기 캐소드소자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리기판의 연결 영역는 상기 애노드전극부 및 상기 캐소드전극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시트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전극부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전극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전극부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전극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시트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전체를 가리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일부를 가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 시트는 서로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상기 애노드전극부 또는 상기 캐소드전극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되는 연결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 상에 형성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연결 전극 및 접착층을 순차로 관통하여 상기 애노드전극부 또는 캐소드전극부에 닿도록 형성되는 전도성 잉크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 시트는 상기 연결 전극 및 상기 전도성 잉크층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접착시트를 이용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연결함으로써 대면적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조가 용이하고 전면에 걸쳐 균일하고 우수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발광다이오드 단위로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픽셀(pixel)화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문제가 발생된 부분만 교체가 가능함으로, 유지 관리가 용이해지고 비용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접착시트를 통해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접착 시트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접착 시트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접착시트를 통해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접착 시트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접착 시트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유기발광다이오드(100)의 2개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2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유기발광다이오드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별 유기발광다이오드(100)는 기본적으로, 유리기판(100), 애노드층(anode, 120), 유기물층(130) 및 캐소드층(cathode, 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를 서로 연결하여 대면적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 간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은 애노드층(120)의 일부 및 캐소드층(140)의 일부이다. 여기서, 애노드층(120)은 애노드소자부(121) 및 애노드전극부(123)를 포함하며, 애노드전극부(123)는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의 애노드전극부(123)와 직접 연결되는 부분이다. 애노드층(120)과 마찬가지로, 캐소드층(140)은 캐소드소자부(141) 및 캐소드전극부(143)를 포함하며, 캐소드전극부(143)는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의 캐소드전극부(143)와 직접 연결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별 유기발광다이오드(100)는 도 1의 평면도 상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개별 유기발광다이오드(100)는 소자 영역과 연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연결 영역은 평면도 상 유리기판(110)의 테두리로부터 안쪽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영역이다. 대면적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데, 연결 영역에서는 어느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를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와 연결하기 위해 유리기판(110) 상에 애노드전극부(123) 및 캐소드전극부(143)가 형성된다.
한편, 소자 영역은 연결 영역의 안쪽 영역이다. 소자 영역에는 유리기판(110) 상에 애노드층(120)의 애노드소자부(121), 유기물층(130) 및 캐소드층(140)의 캐소드소자부(141)가 순차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개별 유기발광다이오드(100)가 4각형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경우, 개별 유기발광다이오드(100)는 4각형의 각 면에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애노드전극부(123)와 캐소드전극부(143) 쌍이 4각형의 각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캐소드층(140) 상에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구조를 빛이 아래로 방사(bottom emission)되는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빛이 위로 방사(top emission)되는 구조로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유리기판(110) 상에 애노드층(120), 유기물층(130) 및 캐소드층(140)이 순차로 적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애노드층(120) 및 캐소드층(140)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4는 접착 시트(20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접착시트(200)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접착시트(200)는 기판(230), 접착층(220) 및 연결 전극(210)을 포함한다. 접착층(220)은 기판(230) 하부에 형성되며, 연결 전극(210)은 접착층(220)의 하부에 형성된다.
기판(230)은 플라스틱 및 종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스틱은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 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및 폴리에테르설폰(PES, polyethersulfone)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220)은 기판(230)의 하부에 형성되며, 기본적으로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접착층(220)은 적어도 2개의 서로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에 접착되어 서로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를 물리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접착층(220)은 연결 전극(230)의 위치를 고정시켜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의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도록 한다.
연결 전극(230)은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의 애노드전극부(123)와 애노드전극부(12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의 캐소드전극부(143)와 캐소드전극부(14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연결 전극(210)은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이웃하는 애노드전극부(123)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두 개의 이웃하는 애노드전극부(123)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위치 및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 전극(230)은 전도성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연결 전극(230)은 금속, 전도성 폴리머, ITO (Indium Tin Oxide), 탄소나노튜브 및 그래핀(Graphene)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은 금(Au), 은(Ag), 알미늄(Al), 구리(Cu)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를 접착시트(200)를 통해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연결 영역의 단면만을 나타내었으며, 2개의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간의 연결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 각각의 유리기판(110) 상에 애노드전극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의 2개의 애노드전극부(123)는 연결 전극(21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전극(210) 위에 형성된 접착층은 접착시트(200) 전체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를 접착시키고, 연결 전극(210)을 고정시킴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애노드전극부(123) 간의 연결 전극(210)에 의한 전기적 연결을 유지시킨다.
한편, 앞서 애노드전극부(123)와 마찬가지로, 서로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 각각의 유리기판(110) 상에 캐소드전극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의 2개의 캐소드전극부(143)는 연결 전극(21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전극(210) 위에 형성된 접착층은 접착시트(200) 전체와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를 접착시키고, 연결 전극(210)을 고정시킴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캐소드전극부(143) 간의 연결 전극(210)에 의한 전기적 연결을 유지시킨다.
상술한 애노드전극부(123)간 그리고, 캐소드전극부(143)간의 전기적 연결로 인해, 실제로 서로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의 애노드층(120) 간의 전기적 연결과 캐소드층(140)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며,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성한다. 이러한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는 연결된 유기발광다이오드(100)가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처럼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와 하나의 접착시트(200)의 결합을 기본 단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단위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는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대면적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형태는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를 하나의 접착 시트(200)로 연결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대안으로는 서로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 사이의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에만 접착 시트(200)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 대비 접착시트(200) 수가 더 많아질 것이다. 이하로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접착 시트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100)와 접착시트(20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100)와 접착시트(20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접착시트(200)가 소자 영역 및 연결 영역을 모두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에 하나의 접착시트(200)가 사용되며, 개별 유기발광다이오드(100)의 교체가 간소화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접착 시트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100)와 접착시트(20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100)와 접착시트(20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결 영역에만 접착시트(20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의 연결 영역에만 접착시트(200)를 형성함으로써,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전체적인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로 이루어진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로 이루어진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먼저,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를 배열한다. 배열된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 각각이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 상에 하나의 접착 시트(200)를 형성한다. 이로써,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로 이루어진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가 형성된다.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가 하나의 접착 시트(2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로 이루어진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로 이루어진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와 접착시트(200)가 하나의 쌍인 단위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성한다. 이러한 단위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복수개 마련하고, 마련된 복수개의 단위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각각의 접착시트(200)를 통해 상호 연결하여, 대면적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는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를 배열한다. 배열된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 각각이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 상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착 시트(200)를 형성한다. 이로써,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로 이루어진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도 7 및 도 8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도 9 및 도 10과 같은 구조로 더 많은 수의 접착 시트(200)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가 복수의 접착 시트(2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각 유기발광다이오드(100)의 교체가 용이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가 도시되었다. 여기서, 개별 유기발광다이오드(100)는 앞서 도 1 내지 도 14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5에는 연결 영역만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 시트(300)는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하여, 접착 시트(300)는 서로 이웃하는 애노드전극부(123) 또는 캐소드전극부(143) 상에 형성되는 접착층(330)과, 접착층(330) 상에 형성되는 연결 전극(320) 및 연결 전극 상에 형성되는 기판(340)을 포함하며, 기판(310), 연결전극(320) 및 접착층(330)을 관통하여 애노드전극부(123) 또는 캐소드전극부(143)에 닿도록 형성되는 전도성 잉크층(34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시트(300)는 전도성 잉크층(340) 및 연결 전극(320)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애노드전극부(123) 간,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캐소드전극부(143)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먼저,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를 배열한다. 각각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그런 다음, 서로 이웃하는 애노드전극부(123) 또는 캐소드전극부(143) 상에 접착층(330)을 형성하여,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한다. 그런 다음, 접착층(330) 상에 연결 전극(3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연결 전극(320) 상에 기판(310)을 형성한다.
이어서,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유기발광다이오드(100) 각각의 애노드전극부(123) 또는 캐소드전극부(143)가 노출되도록 기판(310), 연결 전극(320) 및 접착층(330)을 관통하는 홀(341)을 형성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형성된 홀(341)에 전도성 잉크를 매립하여 전도성 잉크층(340)을 형성하여, 접착시트(300)는 전도성 잉크층(340) 및 연결 전극(320)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애노드전극부(123),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캐소드전극부(143)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로써,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100)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성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발광다이오드 뿐만 아니라 다른 광소자를 비롯하여 전기적, 물리적 연결이 필요한 전자 소자에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은 물리적으로 더욱 안정된 구조를 가지기 위하여 설명된 부분 외에 추가적인 고정 장치(틀, 핀, 접착제 등)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간소한 공정을 통해 물리적 그리고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한 접착 시트 및 이러한 접착 시트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제공하며, 소형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다양하게 배열하여 대면적의 면광원 또는 다양한 형태의 면광원을 제공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불량 및 특성이 저하된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00: 유기발광다이오드 110: 유리기판
120: 애노드층 121: 애노드소자부
123: 애노드전극부 130: 유기물층
140: 캐소드층 141: 캐소드소자부
143: 캐소드전극부 200: 접착시트
210: 연결전극 220: 접착층
230: 기판 300: 접착시트
310: 기판 320: 연결전극
330: 접착층 340: 전도성 잉크층
120: 애노드층 121: 애노드소자부
123: 애노드전극부 130: 유기물층
140: 캐소드층 141: 캐소드소자부
143: 캐소드전극부 200: 접착시트
210: 연결전극 220: 접착층
230: 기판 300: 접착시트
310: 기판 320: 연결전극
330: 접착층 340: 전도성 잉크층
Claims (13)
-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접착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유리기판과,
애노드소자부 및 애노드전극부를 포함하는 애노드층과,
유기물층과,
애노드소자부 및 애노드전극부를 포함하는 캐소드층을 포함하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하되,
상기 유리기판의 소자 영역에는 상기 애노드소자부 및 상기 캐소드소자부를 형성하며,
상기 유리기판의 연결 영역에는 상기 애노드전극부 및 상기 캐소드전극부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형성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접착 시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형성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전극부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전극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전극부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전극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형성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시트의 상기 기판은
플라스틱 및 종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하며,
상기 플라스틱은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 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및
폴리에테르설폰(PES, polyethersulfon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형성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전극은
금속, 전도성 폴리머, ITO (Indium Tin Oxide), 탄소나노튜브 및 그래핀(Graphene)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하며,
상기 금속은
금(Au), 은(Ag), 알미늄(Al), 구리(Cu)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형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시트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전체를 가리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일부를 가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형성 방법. -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로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물리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착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유리기판과,
애노드소자부 및 애노드전극부를 포함하는 애노드층과,
유기물층과,
애노드소자부 및 애노드전극부를 포함하는 캐소드층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기판의 소자 영역에는 상기 애노드소자부 및 상기 캐소드소자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리기판의 연결 영역는 상기 애노드전극부 및 상기 캐소드전극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시트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전극부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전극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전극부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전극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시트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 전체를 가리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일부를 가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형성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시트는
서로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상기 애노드전극부 또는 상기 캐소드전극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되는 연결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 상에 형성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연결 전극 및 접착층을 순차로 관통하여 상기 애노드전극부 또는 캐소드전극부에 닿도록 형성되는 전도성 잉크층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시트는
상기 연결 전극 및 상기 전도성 잉크층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0762A KR101380823B1 (ko) | 2012-02-02 | 2012-02-02 |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형성 방법 |
PCT/KR2012/002979 WO2013115430A1 (ko) | 2012-02-02 | 2012-04-19 |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형성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0762A KR101380823B1 (ko) | 2012-02-02 | 2012-02-02 |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형성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9422A true KR20130089422A (ko) | 2013-08-12 |
KR101380823B1 KR101380823B1 (ko) | 2014-04-21 |
Family
ID=49215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0762A KR101380823B1 (ko) | 2012-02-02 | 2012-02-02 |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형성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082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6876A (ko) * | 2014-02-17 | 2015-08-2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08392B2 (en) * | 2004-05-04 | 2006-09-19 | Eastman Kodak Company | Tiled flat panel lighting system |
JP4569524B2 (ja) * | 2006-06-13 | 2010-10-27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発光パネルシステム |
JP2011128192A (ja) * | 2009-12-15 | 2011-06-30 | Seiko Epson Corp | 電気光学装置および該電気光学装置における表示方法 |
-
2012
- 2012-02-02 KR KR1020120010762A patent/KR101380823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6876A (ko) * | 2014-02-17 | 2015-08-2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80823B1 (ko) | 2014-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63464B1 (ko) | 보강된 부분을 갖는 배선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7201440B2 (ja) |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ダイオードアレイ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パネル | |
KR102124906B1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117054B1 (ko) |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
KR20240108555A (ko) | 발광 장치 | |
US20140300270A1 (en) | Organic el device | |
JP7029948B2 (ja) | 表示装置 | |
US8890151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 |
JP2008530752A (ja) | Oled装置 | |
WO2017115712A1 (ja) | 発光モジュール | |
TW201143086A (en) | Optoelectronic device array | |
US20190386090A1 (en) | Display screen | |
JP2017173508A (ja) | 表示装置 | |
US9166188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 |
KR101380823B1 (ko) |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형성 방법 | |
JP6121092B2 (ja)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10305062B2 (en) | Lighting assembly and lighting device | |
KR20160005596A (ko) | 터치 윈도우 | |
JP5332123B2 (ja) | 有機elモジュール | |
KR20130089423A (ko) | 연결이 용이한 전극 배치를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이의 형성 방법,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 |
KR20160000242A (ko) | 터치윈도우 | |
KR102681185B1 (ko) | 마이크로 엘이디 표시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 |
US20140218921A1 (en) | Lighting Device | |
JP6466066B2 (ja) | 発光装置 | |
JP6496138B2 (ja) | 発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