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081A - 고체 연료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연료 연소 방법 - Google Patents

고체 연료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연료 연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081A
KR20130089081A KR1020120010443A KR20120010443A KR20130089081A KR 20130089081 A KR20130089081 A KR 20130089081A KR 1020120010443 A KR1020120010443 A KR 1020120010443A KR 20120010443 A KR20120010443 A KR 20120010443A KR 20130089081 A KR20130089081 A KR 20130089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fuel
fuel
combustion space
combustion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2582B1 (ko
Inventor
강새별
김종진
박화춘
최규성
박재운
오홍영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1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5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90/00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F23B90/02Start-up techniq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08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light-sensiti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5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고체 연료용 보일러가 개시된다. 고체 연료용 보일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연소 챔버; 상기 연소 챔버 내부에 위치하며, 고체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 용기; 상기 연소 공간에 상기 고체 연료를 공급하는 고체 연료 공급부; 상기 연소 공간에 쌓인 상기 고체 연료를 점화시키는 연료 점화부; 상기 연소 공간에 쌓이는 상기 고체 연료의 양을 감지하며, 상기 연소 공간에 기 설정된 양으로 상기 고체 연료가 쌓인 후 상기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체 연료 공급부와 상기 연료 점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체 연료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연료 연소 방법{BOILER FOR SOLID FEUL AND METHOD FOR BURINNG THE SOILD FEUL USING THE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체 연료를 연소시키는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석유 고갈로 인한 에너지 위기와 탄소 배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 등으로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한다. 펠릿(pellet)은 자연친화적인 연료로 석유등의 대체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다. 펠릿은 목재 부산물을 작은 입자로 분쇄, 건조, 압축 성형한 작은 원통 모양으로, 주로 난방 연료로 사용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62471호에는 펠릿을 난방 연료로 사용하는 펠릿 연소시스템이 개시된다. 연료 저장부에 저장된 펠릿은 연료 이송부를 통해 펠릿 연소부에 공급된다. 펠릿은 일정 시간 동안 공급된다. 펠릿이 일정 시간 공급되면, 펠릿 공급이 중지되고 펠릿의 초기 점화가 이루어진다. 펠릿 연소 시스템은 펠릿 연소부에 펠릿이 얼마만큼 쌓여 있는지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초기 점화를 실시한다. 초기 점화는 펠릿 연소부에 쌓여있는 펠릿의 양에 영향을 받으므로, 펠릿이 적정 양 쌓여있지 않을 경우 점화가 불완전하게 일어난다. 초기 점화 후, 펠릿 연소부에는 일정 시간 동안 펠릿을 더 공급되는데, 초기 점화가 불완전한 상태에서 펠릿이 더 투입될 경우 완전 점화가 어려워진다.
선행기술 1: 한국등록특허 제10-1062471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체 연료를 효과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체 연료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연료용 보일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연소 챔버; 상기 연소 챔버 내부에 위치하며, 고체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 용기; 상기 연소 공간에 상기 고체 연료를 공급하는 고체 연료 공급부; 상기 연소 공간에 쌓인 상기 고체 연료를 점화시키는 연료 점화부; 상기 연소 공간에 쌓이는 상기 고체 연료의 양을 감지하며, 상기 연소 공간에 기 설정된 양으로 상기 고체 연료가 쌓인 후 상기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체 연료 공급부와 상기 연료 점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료 점화부는 상기 점화를 위한 열을 발생하는 점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화기에서 발생하는 빛이 상기 연소 공간에 노출되는 양을 감지하며, 빛의 밝기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센서; 및 상기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연소 공간에 상기 고체 연료의 공급이 중단시되는 시점을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점화부는 상기 버너 용기의 바닥면에 인접한 높이에서 상기 버너 용기와 연결되며, 그 내부에 상기 점화기가 위치하는 점화기 수용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화기 수용관과 동일 높이에서 상기 버너 용기와 연결되며, 그 내부에 상기 센서가 위치하는 센서 수용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와 상기 점화기는 상기 점화 공간을 사이에 두고 동일 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연료 연소 방법은 버너 용기의 연소 공간에 고체 연료를 공급하고, 상기 연소 공간에 쌓이는 상기 고체 연료의 양을 감지하며, 상기 연소 공간에 기 설정된 양으로 상기 고체 연료가 쌓이면 상기 고체 연료의 공급을 중단하는 연료 공급 단계; 및 상기 연소 공간에 쌓인 상기 고체 연소를 점화하는 점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소 공간에 쌓이는 상기 고체 연료의 양 감지는, 상기 연소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체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기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센서가 상기 점화기에서 발생하는 빛을 감지하고, 상기 연소 공간에 쌓이는 상기 고체 연료의 양에 따라 상기 센서에 감지되는 상기 빛의 밝기 변화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감지되는 빛의 밝기가 밝아짐에 따라 내부 저항값이 작아지며, 상기 연료 공급 단계는 상기 센서의 저항값이 기 설정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상기 고체 연료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화 단계는 상기 고체 연료의 초기 점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버너 용기에 쌓인 고체 연료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고체 연료의 적정량 공급이 확인된 후 초기 점화가 진행되므로 고체 연료가 완전 연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연료용 보일러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의 버너 용기와 제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빛의 세기에 따른 센서 저항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와 도 6은 연소공간에 쌓인 펠릿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체 연료용 보일러와 고체 연료 연소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연료용 보일러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체 연료용 보일러(10)는 연소부(100), 연료 공급부(200), 그리고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연소부(100)는 고체 연료(P)를 연소시킨다. 고체 연료(P)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한 열은 열 교환 유체와 열 교환된다. 고온으로 가열된 열 교환 유체는 난방 등에 사용된다. 연료 공급부(200)는 연소부(100)에 고체 연료(P)를 공급한다. 고체 연료(P)는 상온에서 고체 상태를 유지하는 연료로써, 펠릿(pellet), 석탄, 숯 그리고 코크스(cokes)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펠릿(P)을 고체 연료의 일 예로 설명한다. 펠릿(P)은 목재를 화학적 성분없이 분쇄 압축하여 만든 연료로, 1~2cm 정도의 크기로 제공된다. 제어부(300)는 고체 연료가 기 설정된 양으로 공급된 후 초기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연소부(100)와 연료 공급부(200)를 제어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연소부(100)는 연소 챔버(110), 버너부(120), 연료 점화부(130), 열교환부(140), 그리고 송풍부(150)를 포함한다.
연소 챔버(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연소 챔버(110)는 펠릿(P)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연소 챔버(110)의 상단부에는 배기구(111)가 형성된다. 배기구(111)는 펠릿(P)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한 가스가 기 설정된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연소 챔버(110)의 내부에는 버너부(120)가 위치한다. 버너부(120)는 펠릿(P)이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버너부(120)는 버너 용기(121)와 재받이(123)를 포함한다.
버너 용기(121)는 상면이 개방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버너 용기(121)의 내부 공간은 펠릿(P)이 연소되는 연소 공간(B)으로 제공된다. 버너 용기(121)의 측벽에는 공기 유입홀(121a)들이 형성된다. 공기 유입홀(121a)들은 버너 용기(121)의 각 영역에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홀(121a)들은 버너 용기(121)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버너 용기(121)의 내부로 공기 유입은 펠릿(P)의 연소를 원활하게 한다. 버너 용기(121)의 바닥면에는 홀(122)들이 형성된다. 홀(122)들은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펠릿(P)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한 재(ashes, A)는 홀(122)들을 통해 낙하한다.
버너 용기(121)의 하부에는 재받이(123)가 제공된다. 재받이(123)는 상면이 개방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재받이(123)의 개방된 면은 상하방향으로 버너 용기(121)의 바닥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버너 용기(121)의 홀(122)들을 통해 낙하된 재(A)는 재받이(123)에 수거된다.
연료 점화부(130)는 연소 공간(B)에 쌓인 펠릿(P)을 점화시킨다. 연료 점화부(130)는 점화기(131), 점화기 수용관(132), 그리고 송풍기(133)를 포함한다.
점화기(131)는 펠릿(P) 점화를 위한 열을 발생시킨다. 점화기(131)는 저항 히터를 포함한다. 점화기(131)는 500℃이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점화기(131)가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빛은 연소 공간(B)에 노출된다.
점화기 수용관(132)은 그 일단이 버너 용기(121)의 바닥면에 인접하여 버너 용기(121)의 측벽에 연결된다. 점화기 수용관(132)의 내부 통로는 연소 공간(B)과 연통된다. 점화기 수용관(132)의 내부 통로에는 점화기(131)가 위치한다. 점화기(131)는 연소 공간(B)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점화기 수용관(132)의 타단에는 송풍기(133)가 연결된다. 송풍기(133)의 구동으로 외부 공기가 점화기 수용관(132)을 통해 연소 공간(B)으로 강제 송풍된다. 공기는 점화기 수용관(13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점화기(131)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다. 공기는 약 500℃이상으로 가열될 수 있다. 고온 공기는 연소 공간(B)의 영역 중 하부 영역으로 공급된다. 고온 공기가 소정시간 동안 공급되면 연소 공간(B)의 하부 영역에 위치한 펠릿(P)들부터 점화가 시작된다.
열 교환부(140)는 버너 용기(121)의 상부에 위치한다. 열 교환부(140)의 내부에는 열 교환 유체가 순환하는 파이프(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펠릿(P)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한 열은 열 교환부(140)로 공급되며, 열 교환 유체와 열 교환된다. 가열된 열 교환 유체는 파이프를 통해 순환하며 난방 등에 제공된다. 열 교환 유체는 물과 공기를 포함한다.
송풍부(150)는 연소 챔버(110) 내부로 외부 공기를 송풍한다. 송풍팬(151)의 구동으로, 외부 공기가 송풍관(152)을 통해 연소 챔버(110) 내부로 공급된다. 공기는 고압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연소 챔버(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 유입홀(121a)들을 통해 연소 공간(B)으로 유입되며, 펠릿(P)의 연소를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고압 공기는 강제 유동을 발생시켜 연소 챔버(110) 내부의 공기 흐름을 활발하게 한다.
연료 공급부(200)는 연소 공간(B)에 펠릿(P)을 공급한다. 연료 공급부(200)는 연료 저장조(210)와 연료 이송부(220)를 포함한다.
연료 저장조(210)는 펠릿(P)을 저장하며, 저장된 펠릿(P)을 연료 이송부(220)에 공급한다. 연료 저장조(210)의 바닥면에는 투입구(211)가 형성된다. 고체 연료는 투입구(211)을 통해 연료 이송부(220)에 제공된다.
연료 이송부(220)는 연료 저장조(210)에서 공급된 펠릿(P)을 연소 공간(B)으로 이송한다. 연료 이송부(220)는 연료 이송관(221), 이송 스크류(223), 구동기(224), 그리고 연료 공급관(225)을 포함한다.
연료 이송관(221)은 연료 저장조(210)의 하부에 위치한다. 연료 이송관(221)은 일부 영역이 개방되어 연료 저장조(210)의 투입구(211)와 연결된다. 연료 이송관(221)은 버너 용기(121)에 인접할수록 그 높이가 점차 높아지도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연료 이송관(221)의 전단에는 연료 공급관(225)이 연결된다. 연료 공급관(225)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토출구가 버너 용기(121)에 직접 연결된다. 연료 이송관(221)을 따라 이송된 펠릿(P)은 연료 공급관(225)을 통해 연소 공간(B)에 공급된다.
연료 이송관(221)의 내부에는 이송 스크류(223)가 제공된다. 이송 스크류(223)는 구동기(224)와 연결된다. 구동기(224)의 구동으로 이송 스크류(223)는 회전한다. 이송 스크류(223)의 회전으로 펠릿(P)은 연료 이송관(221)을 따라 이동한다. 구동기(224)는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된다.
도 2과 도 3은 도 1의 버너 용기와 제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연소부(100)와 연료 공급부(200)를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센서(310), 센서 수용관(320), 그리고 제어기(330)를 포함한다.
센서(310)는 연소 공간(B)에 쌓인 펠릿(P)의 양을 감지한다. 센서(310)는 점화기(131)에서 발생하는 빛에 노출될 수 있는 지점에 위치한다. 센서(310)는 연소 공간(B)을 사이에 두고 점화기(131)와 마주하며, 점화기(131)와 동일 높이에 위치한다. 센서(310)는 광센서를 포함한다. 광센서(310)는 주변 밝기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진다. 도 4와 같이, 광센서(310)는 주변 밝기가 밝아질수록 저항값이 작아지고, 주변 밝기가 어두워질수록 저항값이 커진다. 광센서(310)는 점화기(131)에서 발생하는 빛이 연소 공간(B)에 노출되는 정도를 감지한다. 연소 공간(B)에 펠릿(P)들이 쌓일수록, 점화기(131)에서 발생하는 빛이 연소 공간(B)에 노출되는 것이 제한된다. 그리고 펠릿(P)들에 가려 광센서(310)에 감지되는 빛의 양이 감소한다. 때문에, 연소 공간(B)에 펠릿(P)들이 쌓여갈수록 광센서(310)의 저항값은 점차 커진다. 이와 달리, 연소 공간(B)에 쌓인 펠릿(P)들의 양이 적을수록 많은 양의 빛이 광센서(310)에 감지되므로 광센서(310)의 저항값이 점차 작아진다. 광센서(310)는 씨디에스 센서(CDS sensor)를 포함한다.
센서 수용관(320)은 그 일단이 버너 용기(121)의 측벽에 연결된다. 센서 수용관(320)은 연소 공간(B)을 중심으로 점화기 수용관(132)과 대칭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 수용관(320)은 점화기 수용관(132)과 동일 높이에 위치한다. 센서 수용관(320)의 내부 통로는 연소 공간(B)과 연통된다. 센서 수용관(320)의 내부 통로에는 광센서(310)가 위치한다. 광센서(310)는 열에 취약하다. 때문에, 광센서(310)는 연소 공간(B)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센서 수용관(320) 내부에 위치한다.
제어기(330)는 광센서(310), 연료 이송부(220)의 구동기(224), 그리고 연료 점화부(130)의 송풍기(133)를 제어한다. 제어기(330)는 광센서(310)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구동기(224)를 제어한다. 제어기(330)는 광센서(310)의 저항값이 기 설정된 저항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구동기(224)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이에 의해 연소 공간(B)으로 펠릿(P)의 공급이 중단된다. 그리고 제어기(330)는 송풍기(133)를 구동시켜 고온 공기를 연소 공간(B)로 강제 유입하여 펠릿(P)을 점화시킨다.
이하, 상술한 고체 연료용 보일러를 이용하여 고체 연료를 연소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고체 연료 연소 방법은 연료 공급 단계와 점화 단계를 포함한다. 연료 공급 단계는 버너 용기(121)의 연소 공간(B)에 펠릿(P)을 공급하고, 연소 공간(B)에 쌓이는 펠릿(P)의 양을 감지하며, 연소 공간(B)에 기 설정된 양으로 펠릿(P)이 쌓이면 펠릿(P)의 공급을 중단한다. 점화 단계는 연소 공간(B)에 쌓인 펠릿(P)을 점화한다.
연료 공급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광센서(310)는 점화기(131)에서 발생하는 빛을 감지한다. 연소 공간(B) 내에 펠릿(P)이 쌓여 있지 않은 경우, 점화기(131)에서 발생하는 빛의 대부분이 광센서(310)에 감지되므로 광센서(310)는 작은 크기의 저항값을 가진다. 구동기(224)의 구동으로 이송 스크류(223)가 회전하고, 펠릿(P)이 연료 이송관(221)과 연료 공급관(225)을 통해 연소 공간(B)에 공급된다. 펠릿(P)은 연소 공간(P) 내부에 점차 쌓인다. 도 5와 같이 연소 공간(B)에 펠릿(P)이 낮은 높이로 쌓이는 경우, 점화기(131)에서 발생하는 빛의 일부는 펠릿(P)들에 차단되어 광센서(310)에 감지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광센서(310)에 감지되는 빛의 양이 감소하여 광센서(310)의 저항값이 점차 증가한다. 펠릿(P)의 공급이 진행될수록 연소 공간(B)에 쌓이는 펠릿(P)의 양이 증가한다. 도 6과 같이, 연소 공간(B)에 쌓인 펠릿(P)의 양이 증가한 경우, 점화기(131)에서 발생하는 빛의 대부분은 펠릿(P)들에 차단되어 광센서(310)에 감지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광센서(310)에는 빛이 거의 감지되지 않아 저항값이 커진다. 광센서(310)의 저항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제어기(330)는 구동기(224)의 구동을 정지시켜 연소 공간(B)으로 펠릿(P)의 공급을 중지한다.
제어기(330)는 송풍기(133)를 구동시켜 외부 공기를 연소 공간(B)으로 강제적으로 불어준다. 공기는 공급되는 과정에서 점화기(131)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다. 고온 공기는 펠릿(P)을 초기 점화한다.
실험 예에 따르면, 도 5와 같이 연소 공간(B) 내에 펠릿(P)들이 적은 양으로 쌓인 경우, 측정된 광센서(310)의 저항값은 100KΩ이다. 이 경우 고온 공기를 강제적으로 불어주더라도 펠릿(P)의 초기 점화가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반면, 도 6과 같이 연소 공간(B) 내에 펠릿(P)들이 적정 양 쌓일 경우, 측정된 광센서(310)의 저항값은 5000KΩ이다. 이 경우 펠릿(P)의 점화가 쉽게 일어난다. 작업자는 점화가 쉽게 일어날 때의 광센서(310) 저항값을 기준 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 기준 값은 펠릿(P)의 공급이 중단되는 시점을 결정하는 요소로 제공된다. 광센서(310)의 저항 값이 기준 값을 나타내는 경우, 연소 공간(B)에는 초기 점화가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을 정도로 펠릿(P)들이 쌓여있다. 제어기(330)는 연료 공간(B)에 펠릿(P)들이 쌓이는 과정에서 광센서(310) 저항값이 기준 값에 이르면 구동기(224)를 정지시킨다.
펠릿(P)들의 초기 점화가 이루어지면 소정 시간 후 펠릿(P)들의 연소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 펠릿(P)의 연소가 일정 시간 진행되면, 연소 공간(P)에는 펠릿(P)이 추가 공급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고체 연료용 보일러 100: 연소부
110: 연소 챔버 120: 버너부
130: 연료 점화부 140: 열 교환부
150: 송풍부 200: 연료 공급부
210: 연료 저장조 220: 연료 이송부
300: 제어부 310: 센서
320: 센서 수용관 330: 제어기

Claims (8)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연소 챔버;
    상기 연소 챔버 내부에 위치하며, 고체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 용기;
    상기 연소 공간에 상기 고체 연료를 공급하는 고체 연료 공급부;
    상기 연소 공간에 쌓인 상기 고체 연료를 점화시키는 연료 점화부;
    상기 연소 공간에 쌓이는 상기 고체 연료의 양을 감지하며, 상기 연소 공간에 기 설정된 양으로 상기 고체 연료가 쌓인 후 상기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체 연료 공급부와 상기 연료 점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점화부는
    상기 점화를 위한 열을 발생하는 점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화기에서 발생하는 빛이 상기 연소 공간에 노출되는 양을 감지하며, 빛의 밝기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센서; 및
    상기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연소 공간에 상기 고체 연료의 공급이 중단시되는 시점을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점화부는
    상기 버너 용기의 바닥면에 인접한 높이에서 상기 버너 용기와 연결되며, 그 내부에 상기 점화기가 위치하는 점화기 수용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화기 수용관과 동일 높이에서 상기 버너 용기와 연결되며, 그 내부에 상기 센서가 위치하는 센서 수용관을 더 포함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상기 점화기는 상기 점화 공간을 사이에 두고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5. 버너 용기의 연소 공간에 고체 연료를 공급하고, 상기 연소 공간에 쌓이는 상기 고체 연료의 양을 감지하며, 상기 연소 공간에 기 설정된 양으로 상기 고체 연료가 쌓이면 상기 고체 연료의 공급을 중단하는 연료 공급 단계; 및
    상기 연소 공간에 쌓인 상기 고체 연소를 점화하는 점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연료 연소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공간에 쌓이는 상기 고체 연료의 양 감지는,
    상기 연소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체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기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센서가 상기 점화기에서 발생하는 빛을 감지하고, 상기 연소 공간에 쌓이는 상기 고체 연료의 양에 따라 상기 센서에 감지되는 상기 빛의 밝기 변화에 따라 판단하는 고체 연료 연소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감지되는 빛의 밝기가 밝아짐에 따라 내부 저항값이 작아지며,
    상기 연료 공급 단계는 상기 센서의 저항값이 기 설정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상기 고체 연료의 공급을 중단하는 고체 연료 연소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단계는 상기 고체 연료의 초기 점화인 고체 연료 연소 방법.
KR1020120010443A 2012-02-01 2012-02-01 고체 연료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연료 연소 방법 KR101382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443A KR101382582B1 (ko) 2012-02-01 2012-02-01 고체 연료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연료 연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443A KR101382582B1 (ko) 2012-02-01 2012-02-01 고체 연료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연료 연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081A true KR20130089081A (ko) 2013-08-09
KR101382582B1 KR101382582B1 (ko) 2014-04-10

Family

ID=4921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443A KR101382582B1 (ko) 2012-02-01 2012-02-01 고체 연료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연료 연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194A (ko) * 2018-07-06 2020-01-15 이주상 무연 고체연료 스토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711A (ko) * 2002-01-11 2003-07-16 정재욱 코크스 보일러의 연료 자동공급방법
KR200273910Y1 (ko) * 2002-01-23 2002-04-27 주식회사 시스웍스 기름겸용 코크스 보일러
KR20090007901U (ko) * 2008-01-31 2009-08-05 주식회사 그랜드코리아 보일러용 펠릿연료 공급 및 연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194A (ko) * 2018-07-06 2020-01-15 이주상 무연 고체연료 스토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582B1 (ko)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689B1 (ko) 목재칩 또는 펠릿을 연료로 하는 안전 버너
JP4588628B2 (ja) バイオマス燃料給湯器
KR101271748B1 (ko) 펠렛난로
KR20110052985A (ko) 펠렛 보일러
KR101306785B1 (ko) 펠렛 히터
KR101382582B1 (ko) 고체 연료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연료 연소 방법
KR101224631B1 (ko) 펠릿보일러
KR100796434B1 (ko) 연료 저장식 보일러
US20090266278A1 (en) Auto-igniter for biomass furnace
KR20120039369A (ko) 목재 팰릿 난로
KR101313436B1 (ko) 가스자동점화방식 펠렛버너
KR101313429B1 (ko) 가스자동점화방식 수평형 펠렛버너
KR101224417B1 (ko) 펠릿 난로
KR20140071589A (ko) 톱밥 및 펠릿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KR20130082322A (ko) 고체 연료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연료 연소 방법
KR101269663B1 (ko) 우드펠렛 연소장치
KR20100106645A (ko) 우드펠렛 난방기
KR101536280B1 (ko) 연료 예열시스템을 갖는 히팅장치
KR20120130920A (ko) 펠렛보일러용 버너
KR101346870B1 (ko) 펠릿 보일러용 건 타입 버너
KR20110120028A (ko) 목재 팰릿 연소기
KR101311464B1 (ko) 고체 연료용 버너부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KR101636713B1 (ko) 펠릿을 이용한 난방장치
KR101428438B1 (ko) 과립고체 연료버너 및 그것을 이용한 보일러
KR200466626Y1 (ko) 펠릿형 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