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685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685A
KR20130088685A KR1020120010087A KR20120010087A KR20130088685A KR 20130088685 A KR20130088685 A KR 20130088685A KR 1020120010087 A KR1020120010087 A KR 1020120010087A KR 20120010087 A KR20120010087 A KR 20120010087A KR 20130088685 A KR20130088685 A KR 20130088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pixels
size
group
emission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0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8685A/ko
Priority to US13/746,754 priority patent/US20130194322A1/en
Priority to EP13153173.3A priority patent/EP2624246A1/en
Priority to CN2013100384030A priority patent/CN103226930A/zh
Publication of KR2013008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6Modulation of illumination source brightness and image signal correlated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6Determination of a pixel data signal depending on the signal applied in the previous fra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09G3/20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the sub-frames being organized in consecutive sub-frame grou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gradation control methods
    • G09G3/208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gradation control methods with combination of amplitude modulation and tim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복수의 픽셀을 픽셀 단위로 발광시켜 영상 프레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비교하여, 각 영상 프레임의 픽셀 별 모션을 측정하는 모션 측정부 및 측정된 모션의 크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픽셀 단위로 구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LCD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영상의 끌림 현상이 심하게 나타난다. 이는 브라운관 방식은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블랭킹 타임(Blanking time)이 존재하지만 LCD 방식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잔상 효과에 움직이는 영상이 끌리게 보이게 된다.
한편, OLED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체 픽셀이 매 프레임 단위로 각 픽셀마다 영상을 표현하고자 하는 양만큼 자체발광하는 장치로서 각 필셀의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의 양에 의해 계조가 표현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을 표현하기 위해 전체 픽셀은 각각 자신이 발광해야 하는 양만큼의 전류를 한 프레임 동안 소모하게 된다.
이러한 OLED 방식에 있어서도 LCD 방식과 동일하게 동영상 끌림 현상이 존재하게 되는데 OLED의 특성에 맞게 이러한 영상 끌림 현상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휘도 변화 없이 움직이는 영상의 블러링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픽셀을 픽셀 단위로 발광시켜 영상 프레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비교하여, 각 영상 프레임의 픽셀 별 모션을 측정하는 모션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모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픽셀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의 픽셀의 발광 세기를 해당 그룹의 모션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조정하고, 상기 해당 그룹의 모션 크기에 반비례하는 발광 시간 동안 발광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 영상 프레임에 대해 제1 내지 제3 필드를 생성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픽셀을 상기 모션의 크기에 따라 최대 모션 그룹, 중간 모션 그룹, 최소 모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최대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의 발광 세기는, 상기 제1 필드 내에서는 최대 가중치를 적용하여 증대시키고 상기 제2 및 제3 필드 내에서는 0으로 조정하며, 상기 중간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의 발광 세기는 상기 제1 및 제2 필드 내에서는 중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증대시키고, 상기 제3 필드 내에서는 0으로 조정하며,상기 최소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 동안 원 발광 세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상기 모션의 크기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의 각 영상 프레임의 표시 구간을 상기 단계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복수의 필드 구간으로 구분하며, 각 단계의 모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각 단계에 해당하는 모션 크기를 가지는 픽셀들의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상기 각 단계에 해당하는 모션 크기를 가지는 픽셀들의 발광 시간을 상기 각 단계의 모션 크기에 대응되는 개수의 필드 구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픽셀을 상기 모션의 크기에 따라 최대 모션 그룹, 중간 모션 그룹, 최소 모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의 각 영상 프레임의 표시 구간을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으로 구분하며, 상기 최대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최대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상기 제1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 시간을 조정하며, 상기 중간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중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 시간을 조정하며, 상기 최소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상기 발광 세기를 조정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픽셀을 픽셀 단위로 발광시켜 영상 프레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비교하여, 각 영상 프레임의 픽셀 별 모션을 측정하는 단계; 및상기 측정된 모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픽셀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의 픽셀의 발광 세기를 해당 그룹의 모션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조정하고, 상기 해당 그룹의 모션 크기에 반비례하는 발광 시간 동안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 영상 프레임에 대해 제1 내지 제3 필드를 생성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픽셀을 상기 모션의 크기에 따라 최대 모션 그룹, 중간 모션 그룹, 최소 모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최대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의 발광 세기는, 상기 제1 필드 내에서는 최대 가중치를 적용하여 증대시키고 상기 제2 및 제3 필드 내에서는 0으로 조정하며, 상기 중간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의 발광 세기는 상기 제1 및 제2 필드 내에서는 중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증대시키고, 상기 제3 필드 내에서는 0으로 조정하며, 상기 최소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 동안 원 발광 세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상기 모션의 크기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의 각 영상 프레임의 표시 구간을 상기 단계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복수의 필드 구간으로 구분하며, 각 단계의 모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각 단계에 해당하는 모션 크기를 가지는 픽셀들의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상기 각 단계에 해당하는 모션 크기를 가지는 픽셀들의 발광 시간을 상기 각 단계의 모션 크기에 대응되는 개수의 필드 구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픽셀을 상기 모션의 크기에 따라 최대 모션 그룹, 중간 모션 그룹, 최소 모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의 각 영상 프레임의 표시 구간을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으로 구분하며, 상기 최대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최대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상기 제1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 시간을 조정하며, 상기 중간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중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 시간을 조정하며, 상기 최소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상기 발광 세기를 조정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본 발명의 적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본 발명의 적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에서 A 영역은 움직임이 가장 많은 영역이고, B 영역은 움직임이 중간 정도인 영역이고, C 영역은 움직임이 거의 없는 영역이다.
이 경우, 움직임이 많은 A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들은 매 프레임 단위로 계속 발광량이 바뀌게 되지만, 움직임이 거의 없는 C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들은 상당히 많은 프레임 동안 계속 같은 발광량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응답 속도가 빠른 OLED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시각적인 끌림 현상 즉, 블러링(blurring) 현상이 존재하게 된다. 이는 인체의 시각 반응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일종의 잔상이 망막에 인지되어 끌림 현상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특히, 움직임이 많은 A 영역에서 블러링 현상은 심하게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블러링 현상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픽셀의 N 프레임 영상에서 픽셀의 발광 세기를 20% 증가시키고, 발광 시간은 20% 감소시키는 경우 전체 영역의 밝기는 유지되면서 프레임의 수직 주기에서 20%의 블랭킹(blaking) 시간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OLED는 픽셀 단위로 자체 발광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영상 분석을 통해 모션 정도를 파악하여 움직임이 많으면 각 픽셀을 구동하는 시간과 전류량을 비례적으로 가동하여 모션 정도가 다른 영역 별로 상이하게 구동함으로써 필요한 영역만 블랭킹 구간으로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장치는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흘리면 전기장 발광의 원리를 이용해 자체적으로 빛을 발하는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PM OLED(Pass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가 하나의 라인이 동시에 발광하여 구동하는 방식인 데 비하여, AM 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는, 발광소자가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M-OLED 패널은 TFT 소자와 유기 EL소자로 이루어진 RGB 화소 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TFT 구동은 Timing Controller, Scan Driver 및 Source Driver를 통해 이루어지고,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를 기입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화소 내부 TFT로 Active Matrix 구동을 하게 되고, 외부 스위치를 통해 Vth 보상 및 Data 기입을 하게 된다. 또한 실제 발광 시 외부 스위치가 전원에 연결되면서, 발광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소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소(111)는 유기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와, 유기발광소자(OLED)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화소회로(111-1)를 구비한다.
유기발광소자(OLED)의 애노드전극은 화소회로(111-1)에 접속되고, 캐소드전극은 제 2전원(ELVSS)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유기발광소자(OLED)는 화소회로(111-1)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화소(111)에 구비되는 화소회로(111-1)는 3개의 트랜지스터(M1 내지 M3) 및 2개의 커패시터(C1, C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S)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데이터선(D)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1 트랜지스터(M1)의 제2 전극은 제 1노드(N1)에 접속된다.
즉, 제1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는 주사신호(Scan(n))가 입력되고, 제1 전극으로는 데이터 신호(Data(t))가 입력된다.
또한, 제2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전극은 제2 노드(N2)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제1 전원(ELVDD(t))에 접속되며, 제2 전극은 유기발광소자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2 트랜지스터(M2)는 구동 트랜지스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1 노드(N1) 및 제2 트랜지스터(M2)의 제1 전극 즉, 제 1전원(ELVDD(t)) 사이에 제 1커패시터(C1)이 접속되고, 상기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사이에는 제2 커패시터(C2)가 접속된다.
또한, 제3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전극은 제어선(GC)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제2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전극과 접속되며, 제2 전극은 유기발광소자의 애노드 전극 즉, 제2 트랜지스터(M3)의 제2 전극과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3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전극으로는 제어신호(GC(t))가 입력되며, 제3 트랜지스터가 턴 온되는 경우 제2 트랜지스터(M2)는 다이오드 연결된다. 또한, 유기발광소자의 캐소드 전극은 제2 전원(ELVSS(t))와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모션 측정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복수의 픽셀을 픽셀 단위로 발광시켜 영상 프레임을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상술한 OLE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모션 측정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될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비교하여, 각 영상 프레임의 픽셀 별 모션을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130)는 모션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모션의 크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모션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모션의 크기를 기준으로 복수의 픽셀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의 픽셀의 발광 세기를 해당 그룹의 모션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조정하고, 해당 그룹의 모션 크기에 반비례하는 발광 시간 동안 발광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모션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모션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복수의 필드 구간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필드 구간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복수의 픽셀의 발광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모션의 크기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고, 디스플레이부(110)에서의 각 영상 프레임의 표시 구간을 상기 단계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복수의 필드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각 단계의 모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각 단계에 해당하는 모션 크기를 가지는 픽셀들의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각 단계에 해당하는 모션 크기를 가지는 픽셀들의 발광 시간을 각 단계의 모션 크기에 대응되는 개수의 필드 구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필드 별 픽셀 데이터를 별개로 생성하여 구동하거나, 하나의 필드에 대한 픽셀 데이터 및 지속 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구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30)가 모션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모션에 따라 각 영상 프레임을 3개의 필드 구간으로 구분하여 구동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필드 구간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측정된 모션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개수가 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인식될 것이다.
필드 별 픽셀 데이터를 생성하여 구동하는 실시 예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각 영상 프레임에 대해 제1 내지 제3 필드를 생성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복수의 픽셀을 측정된 모션의 크기에 따라 최대 모션 그룹, 중간 모션 그룹, 최소 모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최대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의 발광 세기는, 제1 필드 내에서는 최대 가중치를 적용하여 증대시키고 상기 제2 및 제3 필드 내에서는 0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중간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의 발광 세기는 제1 및 제2 필드 내에서는 중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증대시키고, 제3 필드 내에서는 0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최소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 동안 원 발광 세기를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필드에 대한 픽셀 데이터 및 발광 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구동하는 실시 예
이 경우 제어부(130)는 복수의 픽셀을 측정된 모션의 크기에 따라 최대 모션 그룹, 중간 모션 그룹, 최소 모션 그룹으로 구분하고, 디스플레이부(110)에서의 각 영상 프레임의 표시 구간을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최대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최대 가중치를 적용하여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제1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발광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중간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중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제1 및 제2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발광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최소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발광 세기를 조정하지 않으면서,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발광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이 5*5 픽셀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 번째 영상 프레임에 대한 모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N 번째 영상 프레임에 대한 모션 측정 결과 A 영역은 움직임이 많은 최대 모션 그룹이고, B 영역은 움직임이 중간 정도인 중간 모션 그룹이며, C 영역은 움직임이 최소인 최소 모션 그룹인 경우이며, 각 픽셀에 표시된 숫자는 각 픽셀의 휘도값을 나타낸다고 가정하도록 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의 크기에 따라 N 번째 프레임을 구성하는 픽셀들을 3개의 그룹으로 구분한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N 번째 프레임을 그룹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 만큼 제1 내지 제3 필드(필드 0, 필드 1, 필드 2)의 3개의 필드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모션 그룹(A)에 해당하는 픽셀의 발광 세기는, 최대 가중치인 2를 적용하여 증대시키고, 중간 모션 그룹(B)에 해당하는 픽셀의 발광 세기는, 중간 가중치인 1.5를 적용하여 증대시키고, 최소 모션 그룹(C)에 해당하는 픽셀의 발광 세기는 원 발광 세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대 모션 그룹(A)의 발광 세기는 원 발광 세기(1, 3, 3)에서 최대 가중치 2가 적용된 발광 세기(2, 6, 6)로 증대되고, 중간 모션 그룹(B)의 발광 세기는 원 발광 세기(2, 2, 4, 4, 4)에서 중간 가중치 1.5가 적용된 발광 세기(3, 3, 6, 6, 6)으로 증대되고, 최소 모션 그룹(C)의 발광 세기는 원 발광 세기(3, 2, 1, 3, 5, 2, 3, 2, 1)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최대 모션 그룹(A)은 제1 필드 내에서 원 발광 세기(1, 3, 3)에서 최대 가중치 2가 적용되어 증대된 발광 세기(2, 6, 6)로 구동되고, 제2 및 제3 필드에서는 발광하지 않게 된다.
또한, 중간 모션 그룹(B)은 제1 및 제2 필드(필드 0, 필드 1) 내에서는 원 발광 세기(2, 2, 4, 4, 4)에서 중간 가중치 1.5가 적용되어 증대된 발광 세기(3, 3, 6, 6, 6)로 구동되고, 제3 필드에서는 발광하지 않게 된다.
또한, 최소 모션 그룹(C)는 제1 내지 제3 필드(필드 0, 필드 1, 필드 2) 구간 동안 원 발광 세기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대 모션 그룹(A) 및 중간 모션 그룹(B)은 모션 크기에 대응되는 블랭킹 구간을 갖게 되므로 블러링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최대 모션 그룹(A)은 제2 필드 및 제3 필드(필드 1, 필드 2)를 블랭킹 구간으로, 중간 모션 그룹(B)은 제3 필드(필드 2)를 블랭킹 구간으로 갖게 된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최대 모션 그룹(A)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최대 가중치 2를 적용하여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제1 필드(필드 0) 구간(필드 0) 동안 발광하도록 발광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발광 세기는 (2, 6, 6)로 설정하고, 지속값은 0으로 설정하여 제1 필드 구간(필드 0) 동안만 발광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중간 모션 그룹(B)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중간 가중치 1.5를 적용하여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제1 및 제2 필드(필드 0, 필드 1)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발광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발광 세기는 (3, 3, 6, 6, 6)로 설정하고, 지속값은 1로 설정하여 제1 및 제2 필드(필드 0, 필드 1)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최소 모션 그룹(C)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발광 세기를 조정하지 않으면서, 제1 내지 제3 필드(필드 0, 필드 1, 필드 2)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발광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발광 세기는 원 발광 세기로 설정하고, 지속값은 2로 설정하여 제1 내지 제3 필드(필드 0, 필드 1, 필드 2)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르면, 우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비교하여, 각 영상 프레임의 픽셀 별 모션을 측정한다(S510).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픽셀을 픽셀 단위로 발광시켜 영상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측정된 모션의 크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한다(S520).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S520 단계는, S510 단계에서 측정된 모션의 크기를 기준으로 복수의 픽셀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의 픽셀의 발광 세기를 해당 그룹의 모션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조정하고, 해당 그룹의 모션 크기에 반비례하는 발광 시간 동안 발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는, 각 영상 프레임에 대해 제1 내지 제3 필드를 생성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S520 단계는, 복수의 픽셀을 모션의 크기에 따라 최대 모션 그룹, 중간 모션 그룹, 최소 모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최대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의 발광 세기는, 제1 필드 내에서는 최대 가중치를 적용하여 증대시키고 제2 및 제3 필드 내에서는 0으로 조정하며, 중간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의 발광 세기는 상기 제1 및 제2 필드 내에서는 중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증대시키고, 제3 필드 내에서는 0으로 조정하며, 최소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 동안 원 발광 세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S520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상기 모션의 크기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고, 디스플레이부에서의 각 영상 프레임의 표시 구간을 각 단계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복수의 필드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단계의 모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각 단계에 해당하는 모션 크기를 가지는 픽셀들의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각 단계에 해당하는 모션 크기를 가지는 픽셀들의 발광 시간을 각 단계의 모션 크기에 대응되는 개수의 필드 구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S620 단계는, 복수의 픽셀을 모션의 크기에 따라 최대 모션 그룹, 중간 모션 그룹, 최소 모션 그룹으로 구분하고, 디스플레이부에서의 각 영상 프레임의 표시 구간을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최대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최대 가중치를 적용하여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제1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 시간을 조정하며, 중간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중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제1 및 제2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발광 시간을 조정하며, 최소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발광 세기를 조정하지 않으면서,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발광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모션 크기에 따라 구분되는 모션 그룹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동영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모션 측정부 130: 제어부

Claims (10)

  1.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픽셀을 픽셀 단위로 발광시켜 영상 프레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비교하여, 각 영상 프레임의 픽셀 별 모션을 측정하는 모션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모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모션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픽셀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의 픽셀의 발광 세기를 해당 그룹의 모션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조정하고, 상기 해당 그룹의 모션 크기에 반비례하는 발광 시간 동안 발광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 영상 프레임에 대해 제1 내지 제3 필드를 생성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픽셀을 상기 모션의 크기에 따라 최대 모션 그룹, 중간 모션 그룹, 최소 모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최대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의 발광 세기는, 상기 제1 필드 내에서는 최대 가중치를 적용하여 증대시키고 상기 제2 및 제3 필드 내에서는 0으로 조정하며,
    상기 중간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의 발광 세기는 상기 제1 및 제2 필드 내에서는 중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증대시키고, 상기 제3 필드 내에서는 0으로 조정하며,
    상기 최소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 동안 원 발광 세기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상기 모션의 크기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의 각 영상 프레임의 표시 구간을 상기 단계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복수의 필드 구간으로 구분하며,
    각 단계의 모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각 단계에 해당하는 모션 크기를 가지는 픽셀들의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상기 각 단계에 해당하는 모션 크기를 가지는 픽셀들의 발광 시간을 상기 각 단계의 모션 크기에 대응되는 개수의 필드 구간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픽셀을 상기 모션의 크기에 따라 최대 모션 그룹, 중간 모션 그룹, 최소 모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의 각 영상 프레임의 표시 구간을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으로 구분하며,
    상기 최대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최대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상기 제1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 시간을 조정하며,
    상기 중간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중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 시간을 조정하며,
    상기 최소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상기 발광 세기를 조정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픽셀을 픽셀 단위로 발광시켜 영상 프레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비교하여, 각 영상 프레임의 픽셀 별 모션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모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모션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픽셀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의 픽셀의 발광 세기를 해당 그룹의 모션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조정하고, 상기 해당 그룹의 모션 크기에 반비례하는 발광 시간 동안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 영상 프레임에 대해 제1 내지 제3 필드를 생성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픽셀을 상기 모션의 크기에 따라 최대 모션 그룹, 중간 모션 그룹, 최소 모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최대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의 발광 세기는, 상기 제1 필드 내에서는 최대 가중치를 적용하여 증대시키고 상기 제2 및 제3 필드 내에서는 0으로 조정하며,
    상기 중간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의 발광 세기는 상기 제1 및 제2 필드 내에서는 중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증대시키고, 상기 제3 필드 내에서는 0으로 조정하며,
    상기 최소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 동안 원 발광 세기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상기 모션의 크기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의 각 영상 프레임의 표시 구간을 상기 단계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복수의 필드 구간으로 구분하며,
    각 단계의 모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각 단계에 해당하는 모션 크기를 가지는 픽셀들의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상기 각 단계에 해당하는 모션 크기를 가지는 픽셀들의 발광 시간을 상기 각 단계의 모션 크기에 대응되는 개수의 필드 구간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픽셀 별로 발광 세기 및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픽셀을 상기 모션의 크기에 따라 최대 모션 그룹, 중간 모션 그룹, 최소 모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의 각 영상 프레임의 표시 구간을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으로 구분하며,
    상기 최대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최대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상기 제1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 시간을 조정하며,
    상기 중간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중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발광 세기를 조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 시간을 조정하며,
    상기 최소 모션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상기 발광 세기를 조정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필드 구간 동안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 시간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20010087A 2012-01-31 2012-01-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30088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087A KR20130088685A (ko) 2012-01-31 2012-01-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13/746,754 US20130194322A1 (en) 2012-01-31 2013-01-22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EP13153173.3A EP2624246A1 (en) 2012-01-31 2013-01-30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2013100384030A CN103226930A (zh) 2012-01-31 2013-01-31 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087A KR20130088685A (ko) 2012-01-31 2012-01-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685A true KR20130088685A (ko) 2013-08-08

Family

ID=47843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087A KR20130088685A (ko) 2012-01-31 2012-01-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94322A1 (ko)
EP (1) EP2624246A1 (ko)
KR (1) KR20130088685A (ko)
CN (1) CN1032269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1164A (zh) * 2017-01-11 2017-05-3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装置及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4175B2 (ja) * 2014-04-25 2019-04-03 日本放送協会 画像表示装置
JP6698355B2 (ja) * 2016-01-05 2020-05-27 日本放送協会 画像表示装置
JP6732457B2 (ja) * 2016-01-20 2020-07-29 日本放送協会 画像表示装置
KR102510460B1 (ko) * 2017-12-18 2023-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12885299B (zh) * 2021-01-22 2022-06-24 合肥京东方卓印科技有限公司 显示亮度补偿方法、补偿电路、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6757A1 (en) * 2004-02-19 2007-06-07 Hiroshi Itoh Video display device
EP1591992A1 (en) * 2004-04-27 2005-11-02 Thomson Licensing, S.A. Method for grayscale rendition in an AM-OLED
JP2008287119A (ja) * 2007-05-18 2008-11-2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1164A (zh) * 2017-01-11 2017-05-3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装置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24246A1 (en) 2013-08-07
US20130194322A1 (en) 2013-08-01
CN103226930A (zh)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69527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KR102454982B1 (ko) 화소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09795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JP6654363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2333868B1 (ko) Oled 표시 장치
KR10224543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초기화 전압 설정 방법
KR101928379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450949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9269295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60307490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50082514A (ko) 디스플레이의 휘도 보상
JP2014026256A (ja) 表示機器の映像補償装置および方法
KR20140053606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44508B1 (ko) 표시장치, 표시장치의 신호 제어장치 및 신호 제어방법
KR2013008868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50044660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I570703B (zh)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KR102218315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100601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50101486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86677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634442A (zh) Oled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150064545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122362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999759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