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588A -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588A
KR20130088588A KR1020120009924A KR20120009924A KR20130088588A KR 20130088588 A KR20130088588 A KR 20130088588A KR 1020120009924 A KR1020120009924 A KR 1020120009924A KR 20120009924 A KR20120009924 A KR 20120009924A KR 20130088588 A KR20130088588 A KR 20130088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eceptacle
plug
connector
elastic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8219B1 (ko
Inventor
오상준
송인덕
박건철
이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9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2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88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리셉터클 본체; 및 상기 리셉터클 본체 내에 설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구비한 리셉터클 컨택트;를 포함하고,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시 상기 탄성변형부의 종단부가 플러그 컨택트의 측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협폭 및 저배화가 가능하도록 리셉터클 컨택트의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장치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FPCB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근래에 들어 커넥터 장치는 휴대용 단말 등의 회로기판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도록 경박단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전자소자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커넥터 장치에 구비되는 컨택트(Contact)의 수도 많아지고 컨택트 간의 배열 피치(Pitch) 또한 매우 좁게 설계되는 추세에 있다.
통상적으로 커넥터 장치는 다수의 리셉터클 컨택트(Receptacle Contact)가 몸체에 배열된 리셉터클과, 상기 리셉터클에 끼워지고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일대일 접촉하는 플러그 컨택트(Plug Contact)가 몸체에 배열된 플러그로 구성된다. 리셉터클 컨택트와 플러그 컨택트는 각각 리셉터클측 케이블과 플러그측 케이블와 연결되거나 회로기판에 실장된다. 리셉터클에 플러그가 끼워져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플러그 컨택트가 상호 접촉하여 도통되었을 때 상기 리셉터클측 케이블과 플러그측 케이블 또는 회로기판의 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10)는 제1 접촉부(11)와, 상기 제1 접촉부(11)와 대면하도록 안쪽으로 밴딩된 제2 접촉부(12)를 구비한다. 리셉터클에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 컨택트의 양측면은 상기 제1 접촉부(11)와 제2 접촉부(12)와 접촉한다. 이러한 컨택트의 구조를 개시하고 있는 특허문헌으로는 일본등록특허 제3969229호와 한국등록특허 제0538161호를 들 수 있다.
그런데, 도 2를 참조할 때 종래의 리셉터클 컨택트(10)는 플러그 컨택트(20)와 접촉 가능한 유효접촉 길이(A)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없어 이물질 제거 성능이 좋지 않은 취약점이 있다. 리셉터클에 대하여 플러그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플러그 컨택트(20)는 유효접촉 길이(A)의 구간에서 리셉터클 컨택트(10)와 접촉한다.
종래의 리셉터클 컨택트(10)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유효접촉 길이(A)를 충분히 길게 설계할 경우에는 저배화가 곤란한 한계가 있다.
한편, 종래의 리셉터클 컨택트(10)는 끝부분이 안쪽으로 밴딩된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치수 B를 작게 설계하는 데 제약이 있어 제품을 협폭으로 제작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플러그 컨택트와의 유효접촉 길이를 개선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리셉터클 컨택트를 구비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이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 제거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플러그 컨택트와 적어도 2점 접점으로 접촉하는 구조를 가진 리셉터클 컨택트를 구비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이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리셉터클 본체; 및 상기 리셉터클 본체 내에 설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구비한 리셉터클 컨택트;를 포함하고,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시 상기 탄성변형부의 종단부가 플러그 컨택트의 측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변형부의 종단부는 적어도 두갈래로 갈라져서 적어도 2점 접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변형부의 종단부에는 플러그 컨택트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리셉터클 본체와, 상기 리셉터클 본체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구비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 본체 내에 삽입 가능한 플러그 본체와 상기 플러그 본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 간의 결합 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일대일 접촉을 하며, 리셉터클 컨택트는 리셉터클 본체 내에 설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고,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시 상기 탄성변형부의 종단부가 플러그 컨택트의 측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컨택트와 플러그 컨택트 간의 유효접촉 길이를 충분히 길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 제거 성능이 우수하고 저배화에 유리하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의 단부에 밴딩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협폭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리셉터클 컨택트의 종단부에서 플러그 컨택트가 적어도 2점 접점으로 접촉함으로써 이물질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컨택트의 설치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리셉터클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컨택트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리셉터클 컨택트에 의해 제공되는 2점 접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리셉터클 컨택트와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리셉터클 컨택트(102)를 구비한 리셉터클 커넥터(100)과,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끼워져서 결합을 이루고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102)에 대응하는 플러그 컨택트(202)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은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리셉터클 본체(101)와, 리셉터클 본체(101)에 일정한 피치로 배열된 다수의 리셉터클 컨택트(102)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102)는 플러그 컨택트(202)가 끼워질 수 있는 실질적인 'U'자 형상을 가진 오목부를 포함하도록 굴곡된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셉터클 컨택트(102)는 리셉터클 본체(101)에 설치되는 체결부(103)와, 체결부(10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는 탄성변형부(104)를 구비한다.
체결부(103)는 리셉터클 본체에 대한 록킹이 가능하도록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을 갖도록 굴곡된 걸림구조를 포함한다. 체결부(103)의 일단은 리셉터클 본체의 밖으로 인출되어 리셉터클 본체의 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탄성변형부(104)는 체결부(103)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U'자 형상의 오목부를 포함하도록 굴곡되어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시 상기 'U'자 형상의 오목부에 삽입되는 플러그 컨택트(202)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플러그 커넥터(200)의 탈거시 탄성변형부(104)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탄성변형부(104)의 종단부(105)는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플러그 컨택트(202)의 측면을 향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시 탄성변형부(104)의 종단부(105)는 플러그 컨택트(202)의 측면과 접촉한다. 탄성변형부(104)의 종단부(105)는 상기 탄성변형부(104)가 시작되는 지점과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는 리셉터클 컨택트(102)의 몸체를 제조하는 스탬핑 가공에 의해 제공된다.
탄성변형부(104)의 종단부(105)가 플러그 컨택트(202)의 측면을 향하는 구조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컨택트(202)와 리셉터클 컨택트(102)가 접촉하는 유효접촉 길이(A')를 충분히 길게 확보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치수 B'을 작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품을 협폭으로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104)의 종단부(105)는 적어도 두갈래로 갈라져서 적어도 2점 접점(106,107)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리셉터클 컨택트(102)와 플러그 컨택트(202) 간의 접촉시 와이핑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동시에 높은 접촉압력이 제공되므로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탄성변형부(104)의 종단부(105)에는 플러그 컨택트(202)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105a)이 형성된다. 경사면(105a)은 플러그 컨택트(202)의 삽입이 시작되는 부분에 상광하협 형상의 삽입공간을 형성하여 플러그 컨택트(202)의 삽입을 원활히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삽입함에 따라 리셉터클 컨택트(102)의 탄성변형부(104)가 벌어지면서 플러그 컨택트(202)를 수용하고, 플러그 컨택트(202)의 측면에 탄성변형부(104)의 종단부(105)가 탄성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와이핑이 진행된다. 이때 탄성변형부(104)의 종단부(105)는 플러그 컨택트(202)의 측면을 향하는 위치에서 플러그 컨택트(202)의 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컨택트(102)의 측면에 플러그 컨택트(202)가 접촉하는 유효접촉 길이(A')를 충분히 길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컨택트의 표면에 존재하는 각종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102)와 플러그 컨택트(202) 간에 와이핑이 진행될 때 탄성변형부(104)의 종단부(105)는 플러그 컨택트(202)의 측면에 대하여 적어도 2점 접점(106,107)을 이루게 되므로 높은 접촉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리셉터클 커넥터 101: 리셉터클 본체
102: 리셉터클 컨택트 103: 체결부
104: 탄성변형부 105: 종단부
105a: 경사면 106,107: 접점
200: 플러그 커넥터 201: 플러그 본체
202: 플러그 컨택트

Claims (6)

  1. 플러그 본체와 상기 플러그 본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리셉터클 본체; 및
    상기 리셉터클 본체 내에 설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구비한 리셉터클 컨택트;를 포함하고,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시 상기 탄성변형부의 종단부가 플러그 컨택트의 측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의 종단부가 적어도 두갈래로 갈라져서 적어도 2점 접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의 종단부에는 플러그 컨택트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리셉터클 본체와, 상기 리셉터클 본체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구비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 본체 내에 삽입 가능한 플러그 본체와 상기 플러그 본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 간의 결합 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일대일 접촉을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리셉터클 컨택트는 리셉터클 본체의 내부공간 내에 설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고,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시 상기 탄성변형부의 종단부가 플러그 컨택트의 측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의 종단부가 적어도 두갈래로 갈라져서 적어도 2점 접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의 종단부에는 플러그 컨택트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20009924A 2012-01-31 2012-01-31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KR101338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924A KR101338219B1 (ko) 2012-01-31 2012-01-31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924A KR101338219B1 (ko) 2012-01-31 2012-01-31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588A true KR20130088588A (ko) 2013-08-08
KR101338219B1 KR101338219B1 (ko) 2013-12-10

Family

ID=4921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924A KR101338219B1 (ko) 2012-01-31 2012-01-31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2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009B1 (ko) 2013-11-27 2019-04-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폴리머고정부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리셉터클, 단자장착방법 및 전기커넥터어셈블리
KR102021473B1 (ko) 2014-11-14 2019-09-17 엘에스엠트론주식회사 폴리머지지부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리셉터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커넥터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4215B2 (ja) * 1996-03-14 2001-07-3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とその嵌合保持力調整方法
JP3368471B2 (ja) * 1999-10-25 2003-01-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117888B2 (ja) * 2004-10-27 2008-07-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290184B2 (ja) * 2006-07-31 2009-07-01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低背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219B1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998B1 (ko) 커넥터
EP1846990B1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9065228B2 (en) Connector
KR100753922B1 (ko) 커넥터
JP7109303B2 (ja) コネクタ組立体
JP2015041449A (ja) 電気コネクタ
KR101766198B1 (ko) 멀티 전원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JP2005158630A (ja) 電気コネクタ
JP4290184B2 (ja) 低背コネクタ
KR20160080636A (ko)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JP4558562B2 (ja) コネクタ
CN113224594B (zh) 连接器组件
KR101338219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US777580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retention device
KR10209369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리셉터클
KR101488892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KR101202409B1 (ko) 발거력 발생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KR101113500B1 (ko) 리셉터클과 플러그 간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CN210957093U (zh) 端子和连接器
KR20150004087A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JP2019029107A (ja) 電気コネクタ
KR101480086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CN220544279U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KR101101539B1 (ko)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