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385A -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385A
KR20130088385A KR1020120009598A KR20120009598A KR20130088385A KR 20130088385 A KR20130088385 A KR 20130088385A KR 1020120009598 A KR1020120009598 A KR 1020120009598A KR 20120009598 A KR20120009598 A KR 20120009598A KR 20130088385 A KR20130088385 A KR 20130088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hole
sealing
flow path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8615B1 (ko
Inventor
박점묵
Original Assignee
박점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점묵 filed Critical 박점묵
Priority to KR1020120009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6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8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3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25/00Actuators for gearing speed-change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M25/02Actuators for gearing speed-change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systems, e.g. cables, levers
    • B62M25/06Actuators for gearing speed-change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systems, e.g. cables, levers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8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포대의 내부와 외부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밀폐부재가 독립적으로 유동되어 기체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흐르도록 개폐하는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는, 관통공이 형성된 포대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제1통공이 형성된 제1몸체부와;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포대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제2통공이 형성된 제2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개폐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통공을 개폐하는 연질의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제2통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통공과 상기 개폐공간을 연통하는 기체통로가 형성된 유로부재;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통공을 통해 포대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강제 배출할 때에는,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유로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제1통공, 상기 기체통로, 상기 개폐공간 및 상기 제2통공이 연통되어 포대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며, 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 배출한 후에는, 포대 내부와 외부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유로부재와 독립적으로 상기 제1통공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착되면서 상기 제1통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 CHECK VALVE FOR SACK SEALING }
본 발명은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포대의 내부와 외부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밀폐부재가 독립적으로 유동되어 기체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흐르도록 개폐하는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료, 사료, 퇴비, 화학 제품 등과, 식품 등의 각종 물질은 포대에 넣어 포장을 하게 된다.
이때, 포대 내부에 넣은 물질의 보관 및 보호 그리고 다수의 포대를 적층하기 위해서는 포대 내부의 기체를 빼내거나 넣은 후, 내부의 기체가 빠지거나 들어가지 못하도록 체크밸브를 달아서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포대 내부의 기체가 빠지거나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체크밸브의 일예로는 국내 등록신용신안공보 제20-0440557호가 게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체크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체크밸브는, 원판부(1)와, 상기 원판부(1)위에 형성된 원통부(2), 상기 원통부(2)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환형부(3) 및, 중심에 형성된 구멍(4)을 구비하는 수(male) 형태의 제 1 몸체(A)와, 원판부(10)와, 상기 원판부(10)위에 형성된 원통부(20)와, 상기 원통부 내부에서 상기 제 1 몸체(A)의 환형부(3)와 매칭되도록 형성된 환형 오목부 및, 중심에 형성된 구멍(40)을 구비하는 암(female) 형태의 제 2 몸체(B) 및, 제 1 몸체(A)와 제 2 몸체(B)의 결합시 제 1 몸체(A) 및 제 2 몸체(B) 사이에 있게 되며, 기체 흐름을 차단하는 재료(100)와, 쿠션 및 통기성을 가진 재료(200)가 접착되어 구성된 원판형의 복합 패드부(C)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종래의 체크밸브는 쿠션 및 통기성을 가진 재료(200)의 탄성력에 의해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재료(100)가 구멍(4)을 방향으로 밀착되어 구멍(4)을 차단함으로써 포대 내부의 기체가 들어가거나 빠지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체크밸브는 쿠션 및 통기성을 가진 재료(200)와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재료(100)가 일체로 접착되어 있어, 쿠션 및 통기성을 가진 재료(200)가 일측으로 휘어지거나 탄성복원력이 훼손되게 되면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재료(100)가 구멍 (4)방향으로 밀착되지 않아 구멍(4)으로 흐르는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기성을 가진 유로부재와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밀폐부재가 독립적으로 유동되게 하여 유로부재의 손상, 탄성력의 유무 등에 관계없이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밀폐부재가 기체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구멍을 잘 개폐하도록 하는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는, 관통공이 형성된 포대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제1통공이 형성된 제1몸체부와;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포대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제2통공이 형성된 제2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개폐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통공을 개폐하는 연질의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제2통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통공과 상기 개폐공간을 연통하는 기체통로가 형성된 유로부재;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통공을 통해 포대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강제 배출할 때에는,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유로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제1통공, 상기 기체통로, 상기 개폐공간 및 상기 제2통공이 연통되어 포대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며, 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 배출한 후에는, 포대 내부와 외부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유로부재와 독립적으로 상기 제1통공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착되면서 상기 제1통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부재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 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제2통공방향으로 제1엠보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엠보싱돌기 사이로 상기 기체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제2통공 방향에 접착된 제1필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필름부재에는 제1엠보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엠보싱돌기 사이로 상기 기체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밀폐부재 방향으로 접착된 제2필름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필름부재에는 제2엠보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엠보싱돌기 사이로 보조기체통로가 형성되며,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 배출할 때, 상기 탄성부재는 기압에 의해 상기 제2통로 방향으로 압착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제2엠보싱돌기 사이로 형성된 상기 보조기체통로로 흐르는 기체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에 강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부재는, 일면이 상기 밀폐부재와 접촉되는 보조부재와; 일측이 상기 보조부재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몸체부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을 감싸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조부재에 접촉되는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제1통공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상기 코일스프링 사이로 상기 기체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공간과 상기 제2통공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부재는, 일면이 상기 밀폐부재와 접촉되는 보조부재와; 일측이 상기 보조부재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몸체부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부재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조부재에 접촉되는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제1통공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상기 코일스프링 사이로 상기 기체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공간과 상기 제2통공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부재는 내부에 상기 기체통로가 형성되고,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부재의 너비는 상기 유로부재의 너비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가 결합시, 상기 유로부재는 압착된 상태로 상기 개폐공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포대 내부와 외부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유로부재와 독립적으로 상기 제1통공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유로부재가 일측으로 휘어지거나 탄성복원력이 없어도 포대 내부와 외부의 기체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가 독립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통공 개폐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탄성부재에는 제1엠보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엠보싱돌기 사이로 상기 기체통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 자체에 기체통로가 없어도 상기 제1엠보싱돌기에 의해 형성된 상기 기체통로에 의해 상기 개폐공간과 상기 제2통로를 연통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필름부재에는 제1엠보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엠보싱돌기 사이로 상기 기체통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 자체에 기체통로가 없어도 상기 제1엠보싱돌기에 의해 형성된 상기 기체통로에 의해 상기 개폐공간과 상기 제2통로를 연통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엠보싱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 배출할 때,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제2엠보싱돌기 사이로 형성된 상기 보조기체통로로 흐르는 기체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에 강제 밀착되면서 상기 제1통공, 상기 개폐공간 및 상기 제2통로를 보다 잘 연통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로부재가 상기 보조부재와 상기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제1통공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상기 제1통공을 보다 잘 폐쇄해 주고, 상기 기체통로가 상기 탄성스프링 사이에 형성되어 개폐공간과 상기 제2통공을 연통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에서 상기 보조부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에 의해 형성된 내부에 의해 상기 제2통공을 통해 기체가 빨려드리는 흡입력이 작용하는 면적이 넓어지면서 작은 흡입력으로 상기 밀폐부재를 유동시켜 상기 제1통공을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에서 상기 보조부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로부재는 내부에 상기 기체통로가 형성되고,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유로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제1통공을 보다 잘 개폐해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밀폐부재의 너비가 상기 유로부재의 너비와 같거나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 배출할 때, 상기 밀폐부재에 상기 제2통공을 통해 기체를 빨아드리는 흡입력이 작용하는 면적이 넓어지면서 작은 흡입력으로 상기 밀폐부재를 보다 잘 유동시켜 상기 제1통공을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가 결합시, 상기 유로부재가 압착된 상태로 상기 개폐공간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유로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평상시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유로부재가 유동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체크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정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정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정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정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정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이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정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는, 제1몸체부(100), 제2몸체부(200), 밀폐부재(300) 및 유로부재(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체부(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1)이 형성된 포대(10)의 내측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포대(10)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상기 관통공(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몸체부(100)에는 제1통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통공(1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1)과 연통된다.
상기 제2몸체부(2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1)이 형성된 포대(10)의 외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2몸체부(200)에는 제2통공(210)이 형성된다.
상기 제2통공(2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1)과 연통된다.
이와 같이 상기 관통공(11)이 형성된 포대(1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상기 제1몸체부(100)와 상기 제2몸체부(200)가 결합되고, 상기 제1통공(110)과 상기 제2통공(210)이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통공(110)과 상기 제2통공(210)은 상기 포대(10) 내부와 외부의 기체가 흐르도록 연통시켜주는 통로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1)이 형성된 포대(10)의 내측과 외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1몸체부(100)와 상기 제2몸체부(200) 사이에는 개폐공간(H)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공간(H)은 상기 제1통공(110)과 상기 제2통공(210)과 연통된다.
상기 개폐공간(H)은 후술하는 상기 밀폐부재(300)와 상기 유로부재(400)가 삽입 장착되어 상기 밀폐부재(300)에 의해 상기 제1통공(110)을 개폐하는 공간이다.
상기 밀폐부재(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공간(H)에 배치되어 상기 제1통공(110)을 개폐한다.
이러한 상기 밀폐부재(300)는 기체가 통하지 않고 잘 휘어지도록 얇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연질의 재질로는 PE 및 각종 연질의 합성수지 필름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재(300)의 너비(D1)는 상기 개폐공간(H)의 너비(D3)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1통공(110)을 개방하였을 때, 상기 제1통공(110)으로 흐르는 기체가 상기 밀폐부재(300)의 측면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밀폐부재(300)는 포대(10)의 외부와 내부의 기압의 차이 또는 상기 유로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통공(110)과 상기 유로부재(400) 사이에서 유동되어 상기 제1통공(110)을 개폐한다.
상기 유로부재(4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공간(H)에 배치된 상기 밀폐부재(300)와 상기 제2통공(21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유로부재(400)는 상기 밀폐부재(300)와 접착되지 않은 상태로 유동 될 수 있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유로부재(400)는 독립적으로 유동되는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2통공(210)을 막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유로부재(400)의 내부에는 기체통로(실시예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개폐공간(H)과 상기 제2통공(210)을 연통시켜준다.
즉, 상기 유로부재(400)는 상기 제2통공(210)을 통해 포대(10)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강제 배출할 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유동하는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1통공(110)을 개방하면서 상기 유로부재(400)에 밀착되어 더 이상 유동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제1통공(110), 상기 개폐공간(H), 상기 기체통로 및 상기 제2통공(210)을 연통시켜 포대(10)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그리고 포대(10) 내부의 기체를 강제 배출한 후에는, 상기 유로부재(4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통공(210), 상기 기체통로 및 상기 개폐공간(H)이 연통되게 함으로써, 포대(10) 내부와 외부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유로부재(400)에 대해 독립적으로 상기 제1통공(110)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착되면서 상기 제1통공(110)을 폐쇄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유로부재(400)는 스펀지, 합성수지 수세미, 철 수세미, 벨크로(일명 찍찍이) 등과 같이 내부에 상기 기체통로가 형성되고,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로부재(400)는 상기 제1몸체부(100)와 상기 제2몸체부(200)의 결합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된 상태로 상기 개폐공간(H)에 안착된다.
이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10)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강제 배출할 때, 상기 제2통공(210)을 통해 기체를 빨아들이는 흡입력에 의해 기체가 통하지 않는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2통공(21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로부재(400)가 수축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밀폐부재(300)는 상기 제1통공(110)을 개방하게 되면서 상기 제1통공(110), 상기 개폐공간(H), 상기 기체통로 및 상기 제2통공(210)이 연통되어 포대(10)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대(10) 내부의 기체를 강제 배출한 후에는, 상기 유로부재(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1통공(1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통공(110)을 폐쇄하게 된다.
이때,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부재(400)의 탄성복원력이 훼손되거나, 일측으로 휘어져 있게 되어도, 상기 밀폐부재(300)는 상기 포대(10) 내부와 외부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상기 유로부재(400)에 대해 독립적으로 상기 제1통공(11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통공(110)을 폐쇄하게 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유로부재(400)를 탄성력은 없고 내부에 기체통로만 있는 재질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유로부재(400)는 기체가 통하지 않는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1통공(110)과 상기 유로부재(400)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상기 밀폐부재(300)가 포대(10)의 내부와 외부의 기체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1통공(110) 방향, 또는 상기 유로부재(400) 방향으로 상기 유로부재(400)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통공(110)을 개폐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재(300)의 너비(D1)는 상기 유로부재(400)의 너비(D2)보다 크게 형성한다.
이는 상기 제2통공(210)을 통해 기체를 빨아드리는 흡입력이 상기 밀폐부재(300)에 작용하는 면적을 넓게 하여 작은 흡입력으로도 상기 밀폐부재(300)가 잘 유동되어 상기 제1통공(110)을 개방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밀폐부재(300)의 너비(D1)를 상기 유로부재(400)의 너비(D2)와 같거나 작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상기 유로부재(400)의 내부에 형성된 기체통로를 통해 상기 밀폐부재(300)에 기체가 접촉되어 있어 포대(10) 내부와 외부의 기체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유로부재(400)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통공(110)을 개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밀폐부재(300)의 너비(D1)를 상기 유로부재(400)의 너비(D2)보다 크게 형성하여 작은 흡입력으로도 상기 밀폐부재(300)를 잘 유동시켜 상기 제1통공(110)을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실시예 1에 따는 작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인 실시예 1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서 포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인 실시예 1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서 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한 후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면, 도 5(c)는 본 발명인 실시예 1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서 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한 후의 또 다른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관통공(11)이 형성된 포대(10)의 내측과 외측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부(100)와 상기 제2몸체부(20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몸체부(100)와 상기 제2몸체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개폐공간(H)에 상기 밀폐부재(300)를 삽입하고, 상기 기체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력을 갖는 상기 유로부재(400)를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밀폐부재(300)와 상기 제2통공(210) 사이에 안착한 후 상기 제1몸체부(100)와 상기 제2몸체부(200)를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몸체부(100)와 상기 제2몸체부(200)를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male) 형태의 상기 제1몸체부(100)와, 암(female) 형태의 상기 제2몸체부(200)를 서로 결합하여 그 사이에 개폐공간(H)을 형성하도록 하는 공지의 결합방법을 적용하여 결합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도시된 도면과 달리 상기 제1몸체부(100)와 상기 제2몸체부(200)를 상기 관통공(11)이 형성된 포대(10)에 열 융착방법, 초음파 용착방법 등의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상기 제1몸체부(100)와 상기 제2몸체부(200) 사이에 개폐공간(H)이 형성되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제1몸체부(100)와 상기 제2몸체부(200)를 결합하고 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에 의해 압착된 상기 유로부재(400)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300)는 제1통공(110)에 밀착되어 상기 제1통공(110)을 폐쇄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공간(H)과 상기 제2통공(210)은 상기 기체통로를 통해 연통된 상태가 된다.
이후, 진공펌프 등을 이용하여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통공(210)을 통해 포대(10) 내부의 기체를 강제 배출하게 되면, 상기 제2통공(210), 상기 기체통로 및 상기 개폐공간(H)이 연통되어 있어 상기 제2통공(210)을 통해 기체를 빨아들이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300)를 상기 제2통공(210)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렇게 상기 밀폐부재(300)가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2통공(21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밀폐부재(300)와 함께 상기 유로부재(400)는 탄성 변형되어 수축하여 상기 제1통공(110), 상기 개폐공간(H), 상기 기체통로 및 상기 제2통공(210)은 연통되면서 포대(10) 내부의 기체는 상기 제2통공(210을 통해 강제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대(10) 내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한 후 흡입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유로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1통공(11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1통공(110)을 폐쇄하여 외부의 기체가 상기 포대(10)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또한, 상기 유로부재(400)에 탄성력이 없어도, 상기 밀폐부재(300)는 포대(10) 내부와 외부의 기체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은 기압을 갖게 되는 외부의 기체가 상기 밀폐부재(300)를 상기 제1통공(110) 방향으로 상기 유로부재(400)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1통공(110)을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유로부재(400)의 일측이 휘어지거나, 탄성복원력이 훼손되었을 때에는 포대(10) 내부와 외부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은 기압을 갖게 되는 외부의 기체가 상기 제2통공(210), 상기 기체통로, 개폐공간(H)을 통해 포대(10)의 내부로 들어가려고 하게 된다.
이때,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유로부재(400)와 독립적으로 유동되게 배치되어 있어 상기 제2통공(210), 상기 기체통로, 상기 개폐공간(H)을 통해 들어온 외부의 기체가 상기 밀폐부재(300)를 상기 제1통공(110)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서 상기 유로부재(400)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통공(110)을 폐쇄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정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6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포대(10) 밀봉용 체크밸브는, 제1몸체부(100), 제2몸체부(200), 밀폐부재(300) 및 유로부재(400)로 이루어진다.
실시예2는 실시예1과 비교하여 상기 유로부재(400)가 탄성부재(410)와 제1필름부재(42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밀폐부재(300)의 너비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유로부재(400)는 도 6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10), 제1필름부재(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41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410)의 재질로는 발포 PE, 발포 PVC, 발포 우레탄, 합성수지 발포재로 내부에 상기 기체통로(P1)가 없이 탄성력만 지닌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필름부재(42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10)의 상기 제2통공(210) 방향에 접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1필름부재(420)에는 제1엠보싱돌기(4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엠보싱돌기(421)의 사이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체통로(P1)가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 2에서는 상기 제1엠보싱돌기(421) 사이로 상기 기체통로(P1)가 형성되어 상기 제2통공(210), 기체통로(P1) 및 상기 개폐공간(H)을 연통시켜 준다.
이러한 상기 제1엠보싱돌기(421)는 탄성변형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410)가 탄성변형 될 때, 상기 제1엠보싱돌기(421)는 탄성변형 되지 않게 하여 그 사이로 기체가 흐르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필름부재(420)에 상기 기체통로(P1)가 형성되도록 제1엠보싱돌기(421)가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제1필름부재(420) 자체에 상기 제1엠보싱돌기(421)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부재(410)에 접착하거나, 상기 탄성부재(410)에 제1필름부재(420)를 접착한 후, 압착하여 상기 제1엠보싱돌기(421)를 형성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재(300)의 너비(D1)는 상기 유로부재(400)의 너비(D2)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탄성부재(410)가 내부에 상기 기체통로가 없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10) 내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할 때, 상기 제2통공(210)을 통해 기체를 빨아드리는 흡입력이 상기 유로부재(400)보다 너비가 큰 상기 밀폐부재(300)의 외주연에 작용하여 상기 밀폐부재(300)를 상기 제2통공(210) 방향으로 당기면서 상기 탄성부재(410)가 수축변형 하여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2통공(210) 방향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1통공(110)을 개방하게 된다.
즉, 상기 밀폐부재(300)의 너비(D1)가 상기 유로부재(400)의 너비(D2)와 같거나 작게 되면, 상기 밀폐부재(300)를 잡아당기는 흡입력이 작용하는 작용면적이 상기 탄성부재(410)에 접촉되어 있어 상기 밀폐부재(300)를 잡아 당기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 2에서는 상기 밀폐부재(300)이 너비(D1)가 상기 유로부재(400)의 너비(D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필름부재(420)가 없이 상기 탄성부재(410) 자체에 상기 제2통공(210) 방향으로 제1엠보싱돌기(421)를 형성하여 상기 제1엠보싱돌기(421) 사이로 기체통로(P1)가 형성되며, 상기 기체통로(P1)를 통해 상기 제2통공(210)과 상기 개폐공간(H)을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제2통공(210)을 통해 기체를 빨아드리는 흡입력 또는 포대 내부와 외부의 기체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유로부재(400)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통공(110)을 개폐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유로부재(4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1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포대(10) 밀봉용 체크밸브의 실시예 2에 따는 작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8(a)은 본 발명인 실시예 2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서 포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8(b)은 본 발명인 실시예 2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서 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한 후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면, 도 8(c)은 본 발명인 실시예 2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서 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한 후의 또 다른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 2의 작동과정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상기 유로부재(400)의 작동과정에 차이가 있는바 이에 대해 작동과정만 설명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통공(210)을 통해 포대(10) 내부의 기체를 강제 배출할 때에는, 상기 제2통로(210), 상기 기체통로(P1) 및 상기 개폐공간(H)이 연통되어 있어 상기 제2통공(210)에서 빨아들이는 흡입력은 상기 유로부재(400)보다 너비가 큰 상기 밀폐부재(300)를 상기 제2통공(210)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기체통로(P1)는 상기 제1필름부재(420)에 형성된 제1엠보싱돌기(421)의 사이가 상기 기체통로(P1)가 된다.
이렇게 상기 밀폐부재(300)가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2통공(21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밀폐부재(300)와 함께 상기 탄성부재(410)는 탄성변형되어 수축하여 상기 제1통공(110), 상기 개폐공간(H), 상기 기체통로(P1) 및 상기 제2통공(210)은 연통되면서 포대(10) 내부의 기체는 상기 제2통공(210)에서 흡입하는 흡입력에 의해 강제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대(10) 내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한 후, 흡입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41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1통공(11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1통공(110)을 폐쇄하여 외부의 기체가 상기 포대(10)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410)의 일측이 휘어지거나, 탄성복원력이 훼손되었을 때에는 포대(10) 내부와 외부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은 기압을 갖게 되는 외부의 기체가 연통되어 있는 상기 제2통공(210), 상기 기체통로(P1), 개폐공간(H)을 통해 포대(10)의 내부로 들어가려고 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재(300)의 너비(D1)가 상기 유로부재(400)의 너비(D2)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유로부재(400)와 독립적으로 유동되게 배치되어 있어 상기 제2통공(210), 상기 기체통로(P1), 상기 개폐공간(H)을 통해 들어온 외부의 기체가 상기 유로부재(400)의 너비(D2)보다 큰 상기 밀폐부재(300)를 상기 제1통공(110)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서 독립적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통공(110)을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유로부재(400)를 내부에 기체통로(P1)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제2통공(210)에서 기체를 빨아드리는 흡입력이 상기 밀폐부재(300)에 작용하면서 면적이 증가되도록 하여 작은 흡입력으로도 상기 밀폐부재(300)를 유동시켜 상기 제2통공(210)을 개폐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정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는, 제1몸체부(100), 제2몸체부(200), 밀폐부재(300) 및 유로부재(400)로 이루어진다.
실시예3은 실시예2와 비교하여 상기 유로부재(400)에서 제2필름부재(430)가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이에 대한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필름부재(43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10)의 상기 밀폐부재(300) 방향으로 접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2필름부재(430)에는 제2엠보싱돌기(431)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엠보싱돌기(431)의 사이로는 상기 보조기체통로(P2)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엠보싱돌기(431)는 탄성 변형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410)가 탄성변형 될 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엠보싱돌기(431)는 탄성 변형되지 않게 하여 그 사이로 기체가 흐르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필름부재(430)에 상기 보조기체통로(P2)가 형성되도록 제2엠보싱돌기(431)가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제2필름부재(430) 자체에 상기 제2엠보싱돌기(431)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부재(410)에 접착하거나, 상기 탄성부재(410)에 제2필름부재(430)를 접착한 후, 압착하여 상기 제2엠보싱돌기(431)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보조기체통로(P2)는 포대(10) 내부와 외부의 기압의 차이 또는 상기 제2통공(210)에서 기체를 빨아드리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1통공(110)을 개폐할 때, 상기 제2엠보싱돌기(431) 사이로 즉, 상기 보조기체통로(P2) 사이로 기체가 흐르면서 상기 밀폐부재(300)를 독립적으로 유동하기 쉽도록 하여 작은 흡입력으로도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1통공(110)을 개폐하게 한다.
본 실시예3에서는 실시예 2와 비교하여 상기 제2필름부재(430)가 더 추가 되어 있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2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실시예 3에 따는 작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a)은 본 발명인 실시예 3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서 포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1(b)은 본 발명인 실시예 3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서 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한 후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면, 도 11(c)은 본 발명인 실시예 3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서 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한 후의 또 다른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 3의 작동과정은 실시예 2와 비교하여 상기 보조기체통로(P2)가 추가되었기에 이에 대한 작동과정만 설명한다.
상기 보조기체통로(P2)는 포대(10) 내부의 기체를 강재로 배출할 때에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통공(210)에서 기체를 빨아드리는 흡입력이 상기 보조기체통로(P2)에 의해 작용하는 작용면적이 증가 되어 작은 흡입력에도 상기 밀폐부재(300)를 상기 제2통공(210)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개방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보조기체통로(P2)는 포대(10) 내부의 기체를 강제 배출한 후에,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10)가 일측으로 휘어지거나 탄성력이 훼손되었을 때 포대(10) 내부와 외부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상기 포대(10) 외부의 기체가 상기 밀폐부재(300)에 접촉되어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유로부재(400)에 대해 독립적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통공(110)을 폐쇄하게 된다.
본 실시예 3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재(300)의 너비(D1)가 상기 유로부재(400)의 너비(D2)와 같거나 작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상기 밀폐부재(300)의 너비(D1)를 상기 유로부재(400)의 너비(D2)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제2통공(210)을 통해 기체를 빨아드리는 흡입력이 상기 밀폐부재(300)에 작용하는 면적을 넓게 하여 작은 흡입력으로도 상기 밀폐부재(300)가 유동되어 상기 제1통공(110)을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정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포대(10) 밀봉용 체크밸브는, 제1몸체부(100), 제2몸체부(200), 밀폐부재(300) 및 유로부재(400)로 이루어진다.
실시예4는 실시예1과 비교하여 상기 유로부재(400)가 보조부재(440)와 코일스프링(450)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에 대한 차이가 있어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유로부재(400)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부재(440)와 코일스프링(4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부재(440)는 일면이 상기 밀폐부재(300)와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부재(44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441)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441)는 상기 제2통공(2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코일스프링(450)은 일측이 상기 보조부재(440)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몸체부(200)에 지지된다.
즉, 상기 코일스프링(450)은 일측 감싸서 결합하는 가이드돌기(441) 내부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제2몸체부(200)에 지지되어 상기 보조부재(440)를 상기 제1통공(1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코일스프링(450)의 일측을 감싸면서 결합된 가이드돌기(441)는 상기 코일스프링(450) 일측에서 상기 보조부재(44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코일스프링(450) 사이로 상기 기체통로(P1)가 형성되어, 상기 제2통공(210)과 상기 개폐공간(H)을 연통시켜 준다.
한편,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441)가 상기 제2통공(210)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L1)는 상기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었을 때, 상기 보조부재(440)와 상기 제2통공(210)까지의 거리(L2)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코일스프링(450)이 압축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돌기(441)가 상기 제2몸체부(200)에 접촉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450) 사이로 형성되는 상기 기체통로(P1)를 막지 않도록 한다.
상기 유로부재(4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1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실시예 4에 따는 작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4(a)는 본 발명인 실시예 4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서 포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인 실시예 4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서 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한 후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면, 도 14(c)는 본 발명인 실시예 4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서 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한 후의 또 다른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 4의 작동과정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상기 유로부재(400)의 작동과정에 차이가 있는바 이에 대해 작동과정만 설명한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통공(210)을 통해 포대(10) 내부의 기체를 강제 배출할 때에는, 상기 제2통공(210), 상기 기체통로(P1) 및 상기 개폐공간(H)이 연통되어 있어 상기 제2통공(210) 기체를 빨아드리는 흡입력은 상기 밀폐부재(300)를 상기 제2통공(210)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기체통로(P1)는 상기 코일스프링(450) 사이가 상기 기체통로(P1)가 된다.
이렇게 상기 밀폐부재(300)가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2통공(21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밀폐부재(300)와 함께 상기 코일스프링(450)은 압축되어 상기 제1통공(110), 상기 개폐공간(H), 상기 기체통로(P1) 및 상기 제2통공(210)은 연통되면서 포대(10) 내부의 기체는 상기 제2통공(210)에서 흡입하는 흡입력에 의해 강제로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2통공(210)로 기체를 빨아드리는 흡입력은 상기 보조부재(44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돌기(441)에 의해 캡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 내부의 기체를 먼저 흡입하기에 적은 힘으로 상기 밀폐부재(300)와 상기 보조부재(440)를 상기 제2통공(210)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대(10) 내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한 후,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4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1통공(11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1통공(110)을 폐쇄하여 상기 외부의 기체가 상기 포대(10)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한편,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스프링(450)의 일측이 휘어지거나, 탄성복원력이 훼손되었을 때에는 포대(10) 내부와 외부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은 기압을 갖게 되는 외부의 기체가 연통되어 있는 상기 제2통공(210), 상기 기체통로(P1), 개폐공간(H)을 통해 포대(10)의 내부로 들어가려고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통공(210), 상기 기체통로(P1), 상기 개폐공간(H)을 통해 들어온 외부의 기체가 상기 밀폐부재(300)를 상기 제1통공(110)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서 독립적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통공(110)을 폐쇄하게 된다.
한편, 실시예 4에서도 실시예 1과 같이 상기 밀폐부재(300)의 너비(D1)를 상기 유로부재(400)의 너비(D2)보다 크게 하여 흡입력이 작용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작은 흡입력으로도 상기 밀폐부재(300)가 상기 제2통공(210)을 개폐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정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포대(10) 밀봉용 체크밸브는, 제1몸체부(100), 제2몸체부(200), 밀폐부재(300) 및 유로부재(400)로 이루어진다.
실시예5는 실시예4와 비교하여 상기 보조부재(440)에 차이가 있고, 상기 보조부재(440)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보조부재(440)에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44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442)는 상기 코일스프링(450)을 일측 내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결합돌기(442)는 상기 코일스프링(450)의 일측에서 상기 보조부재(44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돌기(442)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4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포대(10) 밀봉용 체크밸브의 실시예 5에 따는 작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7(a)은 본 발명인 실시예 5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서 포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7(b)은 본 발명인 실시예 5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서 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한 후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면, 도 17(c)은 본 발명인 실시예 5에 따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에서 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로 배출한 후의 또 다른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 5의 작동과정은 실시예 4와 비교하여 상기 보조부재(440)의 형상에 차이가 있고 이에 대한 작동과정은 실시예 4와 같기에 작동과정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보조부재(440)가 캡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기에 이에 대한 효과만 없을 뿐이다.
본 발명인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포대 11: 관통공
100: 제1몸체부 110: 제1통공 200: 제2몸체부
210: 제2통공 300: 밀폐부재 400: 유로부재
410: 탄성부재 420:제1필름부재 421: 제1엠보싱돌기
430: 제2필름부재 431: 제2엠보싱돌기 440: 보조부재
441: 가이드돌기 442: 결합돌기 450: 코일스프링
P1:기체통로 P2:보조기체통로 H: 개폐공간

Claims (9)

  1. 관통공이 형성된 포대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제1통공이 형성된 제1몸체부와;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포대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제2통공이 형성된 제2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개폐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통공을 개폐하는 연질의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제2통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통공과 상기 개폐공간(H)을 연통하는 기체통로가 형성된 유로부재;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통공을 통해 포대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강제 배출할 때에는,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유로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제1통공, 상기 기체통로, 상기 개폐공간(H) 및 상기 제2통공이 연통되어 포대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며,
    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 배출한 후에는, 포대 내부와 외부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유로부재와 독립적으로 상기 제1통공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착되면서 상기 제1통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 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제2통공방향으로 제1엠보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엠보싱돌기 사이로 상기 기체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제2통공 방향에 접착된 제1필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필름부재에는 제1엠보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엠보싱돌기 사이로 상기 기체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밀폐부재 방향으로 접착된 제2필름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필름부재에는 제2엠보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엠보싱돌기 사이로 보조기체통로가 형성되며,
    포대 내부의 기체를 강제 배출할 때, 상기 탄성부재는 기압에 의해 상기 제2통로 방향으로 압착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제2엠보싱돌기 사이로 형성된 상기 보조기체통로로 흐르는 기체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에 강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는,
    일면이 상기 밀폐부재와 접촉되는 보조부재와;
    일측이 상기 보조부재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몸체부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을 감싸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조부재에 접촉되는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제1통공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상기 코일스프링 사이로 상기 기체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공간과 상기 제2통공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는,
    일면이 상기 밀폐부재와 접촉되는 보조부재와;
    일측이 상기 보조부재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몸체부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부재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조부재에 접촉되는 상기 밀폐부재를 상기 제1통공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상기 코일스프링 사이로 상기 기체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공간과 상기 제2통공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재는 내부에 상기 기체통로가 형성되고,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의 너비는 상기 유로부재의 너비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가 결합시, 상기 유로부재는 압착된 상태로 상기 개폐공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KR1020120009598A 2012-01-31 2012-01-31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KR101308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598A KR101308615B1 (ko) 2012-01-31 2012-01-31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598A KR101308615B1 (ko) 2012-01-31 2012-01-31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385A true KR20130088385A (ko) 2013-08-08
KR101308615B1 KR101308615B1 (ko) 2013-09-23

Family

ID=49214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598A KR101308615B1 (ko) 2012-01-31 2012-01-31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50Y1 (ko) * 2014-11-13 2015-03-30 임지수 포장용기 밀폐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190U (ko) * 2016-06-07 2017-12-15 구자관 비닐봉투 장착용 공기배출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195U (ko) * 2007-11-26 2009-05-29 주식회사 카길애그리퓨리나 공기배출용 밸브 및 이를 구비한 포장대
KR200440557Y1 (ko) 2007-12-26 2008-06-17 박송근 한 방향으로만 흐름이 가능한 밸브
KR20100119355A (ko) * 2009-04-30 2010-11-09 주식회사 제로팩 스티커형 체크밸브가 장착된 비닐봉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50Y1 (ko) * 2014-11-13 2015-03-30 임지수 포장용기 밀폐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615B1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2857B2 (en) Compression storage bag
US6634384B2 (en) One-way valve for use with vacuum pump
CN112703994B (zh) 滴灌灌水器
US7051456B2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n inflatable chamber
US8006868B2 (en) Dispenser cap for pressurised fluids
CN101291796A (zh) 具有可膨胀泵腔的流体系统
KR101308615B1 (ko) 포대 밀봉용 체크밸브
TWM353909U (en) Ventilation device of sealing jar
US10307777B2 (en) Device for containing a fluid substance
CN101454208B (zh) 用于抽空储藏袋的装置和方法
CN102821809A (zh) 排气阀及其制造方法
US8936044B1 (en) Pouch air valve used on sealing pouches
TWI656851B (zh) 鞋用止回閥板
KR200479274Y1 (ko)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US9833800B2 (en) Vented pump
JP2016068973A (ja) 弁構造、脱気包装袋、及び包装構造
CN110225864A (zh) 制造用于分配产品的设备的方法
KR102468298B1 (ko) 진공 밸브체
US20170225865A1 (en) Storage container with vacuum
US20120128274A1 (en) Storage container with vacuum
KR102457431B1 (ko)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
JP4822758B2 (ja) 逆止弁、アダプター及び圧縮袋
KR20100092093A (ko) 진공포장지용 스티커형 체크밸브 및 이를 이용한 진공포장지 밀봉세트
JP5067008B2 (ja) 管状部材の取付構造、管状部材の取付方法及び管状部材取付体
KR100571884B1 (ko) 밀폐용기용 체크밸브와 이를 이용한 축포풍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