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284A -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284A
KR20130088284A KR1020120009424A KR20120009424A KR20130088284A KR 20130088284 A KR20130088284 A KR 20130088284A KR 1020120009424 A KR1020120009424 A KR 1020120009424A KR 20120009424 A KR20120009424 A KR 20120009424A KR 20130088284 A KR20130088284 A KR 20130088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l
current sensor
type current
relay
main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훈
이윤녕
음영환
장승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9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8284A/ko
Publication of KR20130088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using Hall-effec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2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using digital techniques or performing arithmetic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홀 IC 타입 전류 센서의 측정 오차가 최소화 되는 방향으로 상기 홀 IC 타입 전류 센서가 배치되어 배터리의 잔존 용량(SOC, State of Charge)을 계산하기 위한 전류 값을 측정하는 측정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 Power Relay Assembly }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는 고전압 배터리와 모터 구동 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그 연결을 담당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류 측정 센서부의 측정오차가 최소화 되는 배치로 구비되어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계산하기 위한 전류 값을 측정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HEV, PHEV, BEV)는 기존의 내연기관과 달리 전기를 주 동력 또는 보조동력으로 사용하며, 이를 위해 고전압 배터리가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잔존 용량(SOC, State Of Charge)을 계산하기 위한 전류 값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따라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가용출력을 판단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 고전압 배터리와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계산하기 위해 전류 값을 측정하기 위한 전류 센서 및 파워 라인을 단속하는 기계식 릴레이를 모듈 형태로 구성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한국 공개 특허 10-0060158호("하이브리드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의 전류 센서 오차 보정방법", 이하 선행기술 1)은 고전압 배터리에서 충,방전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황에서는 전류 센서의 오차 보정이 작용하는 것을 배제하고 차량이 장시간 주행하거나 장시간 정차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자주 전류 센서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고전압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점점 소형화되어 가고 있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인해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는 릴레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고전압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측정하는 전류 센서의 측정값 오류 가능성이 큰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고전압 배터리가 가진 최대 에너지를 극한으로 활용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또한, 고전압 배터리의 심방전 또는 과충전의 상황이 나타남에 따라 수명저감, 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0060158호 (공개일자 2010.06.07)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릴레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전류 센서의 측정값 오차를 줄여서 정확한 고전압 배터리의 잔존 용량 계산을 통해 전기자동차가 본래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있도록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의 양극에 직렬 연결되는 제1 메인 릴레이; 상기 배터리부의 음극에 직렬 연결되는 제2 메인 릴레이; 프리차지 저항과 프리차지 릴레이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와 병렬 연결되는 과전류 방지 회로부; 및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홀 IC, 상기 홀 I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홀 IC 타입 전류 센서(Hall Integrated Circuit Type Current Sensor)로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부의 양극과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부의 양극과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가 상기 홀 IC 타입 전류센서의 홀을 통과하며,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와의 배치에 따른 홀 IC 타입 전류 센서의 측정 오차가 최소화 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SOC, State of Charge)을 계산하기 위한 전류 값을 측정하는 측정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류 측정 센서부는 홀 IC 타입 전류센서 내부에 홀 I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메인 릴레이의 내부 코일에 의해서 형성되는 자기력선과 수평 방향으로 상기 홀 IC의 상기 제1 면이 배치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전류 센서 최적 배치 결정 방법은 (a) 하나 이상의 릴레이를 수평면에 나란하게 배열하는 단계; (b) 상기 배열된 릴레이들의 일 측면의 수직한 방향에, PRA 내부에 배치되는 릴레이들과의 이격거리 만큼 홀 IC 타입 전류 센서를 이격시켜 상기 홀IC 타입 전류센서의 홀이 상기 배열된 릴레이들의 일 측면의 수직한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하여 기준으로 정하는 단계; (c) 상기 릴레이들의 오프(OFF) 상태에서 출력 전압 값을 측정하는 단계; (d) 상기 릴레이들의 온(ON) 상태에서 출력 전압 값을 측정하는 단계; (e) 상기 (c)단계와 상기 (d)단계에서 측정한 전압 값의 오차를 확인하는 단계; (f) 상기 홀 IC 타입 전류 센서를 상기 홀IC 타입 전류센서의 기준위치에서 홀 중심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시켜 (c)단계~(e)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g)상기 홀 IC 타입 전류 센서를 상기 홀IC 타입 전류센서의 기준위치에서 홀 중심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켜 (c)단계~(e)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h)상기 홀 IC 타입 전류 센서를 상기 홀IC 타입 전류센서의 기준위치에서 홀 중심축을 중심으로 270도 회전시켜 (c)단계~(e)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및 (i) 상기 홀 IC 타입 전류 센서의 위치에 따른 홀 IC 타입 전류 센서의 측정 오차가 최소화 되는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는 홀 IC 타입 전류 센서의 배치에 따른 오차가 최소화 되는 방향으로 상기 홀 IC 타입 전류 센서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메인 릴레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기 전류 측정 센서부의 홀 IC 타입 전류 센서의 측정값 오차를 줄여주는 큰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릴레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통과를 감소시킴으로써 정확한 고전압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측정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또한,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본래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잘못된 잔존 용량 측정에 의한 심방전 또는 과충전의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고전압 배터리의수명저감,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릴레이의 자기장에 의한 홀 IC 타입 전류 센서의 자기장 간섭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대용량 고전압 배터리와 모터 구동 장치 사이에 위치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0)는 배터리부(100), 제1 메인 릴레이(301), 제2 메인 릴레이(302), 과전류 방지 회로부(300) 및 전류 측정 센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배터리부(100)는 전기자동차의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 구동을 위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고전압 배터리가 널리 사용된다.
전류 측정 센서부(200)는 배터리부(100)에 연결되어 고전압 배터리의 전류를 측정하여 고전압 배터리의 잔존 용량 계산하기 위한 전류 값을 측정한다. 이 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부(100)의 양극 단자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측정 센서부(200)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홀 IC, 상기 홀 I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홀 IC 타입 전류 센서(Hall Integrated Circuit Type Current Sensor)(600)로 구성되어 배터리부(100)의 양극과 제1 메인 릴레이(301) 사이에 구비되고, 배터리부(100)의 양극과 제1 메인 릴레이(301)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620)가 홀 IC 타입 전류센서(600)의 홀을 통과하며, 제1 메인 릴레이(301) 및 제2 메인 릴레이(302)와의 배치에 따른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의 측정 오차가 최소화 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배터리부(100)의 잔존 용량(SOC, State of Charge)을 계산하기 위한 전류 값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전류 측정 센서부(200)가 션트 타입 전류 센서(Shunt Type Current Sen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고가이면서 고전압 배터리와 직렬 연결되기 때문에 대용량의 파워를 측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반면에,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는 저가이면서도 전력 소비가 낮고 전류 센서 자체에서의 열 발생이 낮아 소형화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0)의 생산이 가능하게 되므로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 때, 전류 측정 센서부(200)의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는 태생적으로 주변의 전자기장에 의한 오류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EMI(전자파간섭,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및 EMC(전자기 적합성,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대책을 세우고 있으나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 자체가 가지는 차폐내성으로는 정확한 전류의 측정에 부족함이 있다는 것이 종래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와 메인 릴레이들(301, 302)과의 배치에 따른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의 측정 오차가 최소화 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다.
도 2는 릴레이의 자기장에 의한 홀 IC 타입 전류 센서의 자기장 간섭도 이다. 도 2를 참조로 하여 릴레이의 자기장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받는 전류센서의 배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IC 타입 전류센서(600)는 홀을 통과하는 버스바(62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로 전류를 측정한다. 홀 IC는 도2의 a,b,c,d 등의 위치와 같이 홀 IC(610)가 버스바 자기장(630)의 영향을 많이 받게 하기 위해 버스바 자기장(630)의 자기력선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제1 면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레이(500)는 내부에 릴레이 접점을 붙이기 위한 코일(510)이 형성되어 있고, 코일(510) 내부의 중심축 방향을 통과하는 타원형의 코일 자기장(520)이 형성되게 된다.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0) 내부에 메인 릴레이(301, 302)들과 같이 포함되어 구성됨으로, 메인 릴레이(301, 302)의 내부 코일(510)에 의해서 형성되는 코일 자기장(520)의 영향권 밖에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가 위치하기는 현실상 어렵다.
하지만,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 내부의 홀 IC(610) 배치가 메인 릴레이(301, 302)의 내부 코일(510)에 의해서 형성되는 코일 자기장(520)의 자기력선이 가장 적은 수가 통과하도록 배치된다면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의 오차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홀 IC(610)의 제1 면이 코일 자기장(520)의 자기력선에 수직방향으로 도2의 a 또는 c의 위치와 같이 배치되면 코일 자기장(520)의 영향을 많이 받고, 홀 IC(610)의 제1 면이 코일 자기장(520)의 자기력선에 수평 방향으로 도2의 b 또는 d의 위치와 같이 배치되면 코일 자기장(520)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또한, 거리가 멀면 코일 자기장(520)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그러므로 릴레이(500)의 내부 코일(510)에 의해서 형성되는 코일 자기장(520)의 자기력선과 수직 방향으로 홀 IC(610)의 제1 면을 도2의 b 또는 d의 위치 중 코일과의 거리가 먼 위치가 오게 배치 한다면 홀 IC 타입 전류 센서의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두 가지 타입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0)에 입력전압을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가 정확하게 측정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의 측정값에 대한 결과값을 정리한 표이다.
릴레이 입력 전압 A 샘플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B 샘플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출력 전압(V) 오차 출력 전압(V) 오차
0V 2.5109 0.0000 2.5041 0000
8V 2.5098 -0.0011 2.5021 -0.0020
10V 2.5097 -0.0012 2.5008 -0.0033
12V 2.5096 -0.0013 2.5009 -0.0032
14V 2.5093 -0.0016 2.5009 -0.0032
16V 2.5091 -0.0018 2.5009 -0.0032
상기의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0)의 타입에 따라 측정 오차의 차이가 있지만, 릴레이 입력 전압이 높을수록 측정 오차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측정 오차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0)의 전류 센서 최적 배치 방법을 제안한다.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의 홀 IC 위치와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도면이 있거나,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를 분해해 본다면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의 오차가 최소화 되는 배치를 결정할 수 있지만 분해를 하지 않더라도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의 배치를 결정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0)의 전류 센서 최적 배치 결정 방법은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와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에 자기장의 영향을 크게 미치는 두 개의 메인 릴레이(301, 302)와의 배치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릴레이를 수평면에 나란하게 배열하고, 배열된 릴레이들의 일 측면의 수직한 방향에,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0) 내부에 배치되는 릴레이들과의 이격거리 만큼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를 이격시켜 홀IC 타입 전류센서(600)의 홀이 배열된 릴레이들의 일 측면의 수직한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하여 기준으로 정한다. 최초 이격시키는 거리는 4cm 정도가 바람직하다. 릴레이들의 오프(OFF) 상태에서 출력 전압 값을 측정하여 릴레이들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영향이 없을 때의 출력 전압 값을 측정 한다. 릴레이들의 온(ON) 상태에서 출력 전압 값을 측정하여 릴레이들의 오프(OFF)상태와 온(ON)상태에서 측정한 전압 값의 오차를 확인한다.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를 홀IC 타입 전류센서(600)의 기준위치에서(기준을 도 2의 a로 정하면) 홀 중심축을 중심으로 각각 90도(도 2의 b), 180도(도 2의 c), 270도(도 2의 d) 회전시켜 릴레이들의 오프(OFF)상태와 온(ON)상태에서 측정한 전압 값의 오차를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 실험한다. 홀 IC 타입 전류센서의 배치에 따른 측정 전압 값의 오차를 확인하고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의 배치에 따른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의 측정 오차가 최소화 되는 배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의 표 2는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의 배치에 따른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의 측정값에 대한 결과값을 정리한 표이다. 릴레이와 홀 IC 타입 전류 센(600)서 사이의 거리는 4cm이다.
릴레이 전원 홀 IC 타입 전류 센서의 배치 전류 센서의 출력 값(V) 오차
OFF - 2.5010 -
ON 기준배치 2.4987 0.0023
ON 90도 배치 2.5010 0.0000
ON 180도 배치 2.4987 0.0023
ON 270도 배치 2.5010 0.0000
상기의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과전류 방지 회로부(300)의 릴레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에 따른 전류 측정 센서부(200)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 측정값의 오차가 0.0023V 가량 되며 이를 전류 값으로 환산할 경우 0.23A에 해당하는 값이다. 즉, 실제로는 전력이 사용되지 않고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0.23A가 계속 흐르고 있는 것으로 전기자동차가 인식함으로써 심방전 또는 과충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의 배치에 따라 오차 값이 0.002A 수준으로 저감되는 배치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0)는 배터리부(100)로부터 인가되는 과전류를 제어하며, 전류 측정 센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0)의 구체적인 예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000)는 제1 메인 릴레이(301), 제2 메인 릴레이(302), 프리차지(Pre-Charge) 저항(303), 프치라지(Pre-Charge) 릴레이(304) 및 전류 측정 센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제 1메인 릴레이(301)는 배터리부(100)의 양극 단자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배터리부(100)로부터 인가되는 과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전류 측정 센서부(200)의 홀 IC 타입 전류 센서(600)는 배터리부(100)의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에 장착할 수 있다. 프리차지 저항(303)과 프리차지 릴레이(304)는 고전압 배터리(100)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제1 메인 릴레이(301)에 접속하기 전에 프리차지(Pre-Charge)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1 메인 릴레이(301)에 바로 접속 시 발생할 수 있는 아크 방전(Arc Discharge)을 방지하여 회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프리차지 릴레이(304)는 제1 메인 릴레이(301)와 병렬로 연결되고 프리차지 저항(303)은 프리차지 릴레이(304)와 직렬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메인 릴레이(402)는 고전압 배터리부(100)의 음극 단자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RA, Power Relay Assembly)
100 : 배터리부 200 : 전류 측정 센서부
300 : 과전류 방지 회로부
301 : 제1 메인 릴레이 302 : 제2 메인 릴레이
303 : 프리차지 저항 304 : 프리차지 릴레이
500 : 릴레이
510 : 코일 520 : 코일 자기장
600 : 홀 IC 타입 전류센서
610 : 홀 IC 620: 버스바
630 : 버스바 자기장

Claims (3)

  1.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의 양극에 직렬 연결되는 제1 메인 릴레이;
    상기 배터리부의 음극에 직렬 연결되는 제2 메인 릴레이;
    프리차지 저항과 프리차지 릴레이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와 병렬 연결되는 과전류 방지 회로부; 및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홀 IC, 상기 홀 I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홀 IC 타입 전류 센서(Hall Integrated Circuit Type Current Sensor)로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부의 양극과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부의 양극과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가 상기 홀 IC 타입 전류센서의 홀을 통과하며,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와의 배치에 따른 상기 홀 IC 타입 전류 센서의 측정 오차가 최소화 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SOC, State of Charge)을 계산하기 위한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측정 센서부는 홀 IC 타입 전류센서 내부에 홀 I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메인 릴레이의 내부 코일에 의해서 형성되는 자기력선과 수평 방향으로 상기 홀 IC의 상기 제1 면이 배치 되도록 구성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3. 제 1항에 의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전류센서 최적 배치 결정 방법에 있어서,
    (a) 하나 이상의 릴레이를 수평면에 나란하게 배열하는 단계;
    (b) 상기 배열된 릴레이들의 일 측면의 수직한 방향에, PRA 내부에 배치되는 릴레이들과의 이격거리 만큼 홀 IC 타입 전류 센서를 이격시켜 상기 홀IC 타입 전류센서의 홀이 상기 배열된 릴레이들의 일 측면의 수직한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하여 기준으로 정하는 단계;
    (c) 상기 릴레이들의 오프(OFF) 상태에서 출력 전압 값을 측정하는 단계;
    (d) 상기 릴레이들의 온(ON) 상태에서 출력 전압 값을 측정하는 단계;
    (e) 상기 (c)단계와 상기 (d)단계에서 측정한 전압 값의 오차를 확인하는 단계;
    (f) 상기 홀 IC 타입 전류 센서를 상기 홀IC 타입 전류센서의 기준위치에서 홀 중심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시켜 (c)단계~(e)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g)상기 홀 IC 타입 전류 센서를 상기 홀IC 타입 전류센서의 기준위치에서 홀 중심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켜 (c)단계~(e)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h)상기 홀 IC 타입 전류 센서를 상기 홀IC 타입 전류센서의 기준위치에서 홀 중심축을 중심으로 270도 회전시켜 (c)단계~(e)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및
    (i) 상기 홀 IC 타입 전류 센서의 위치에 따른 홀 IC 타입 전류 센서의 측정 오차가 최소화 되는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홀 IC 타입 전류 센서 최적 배치 결정 방법.
KR1020120009424A 2012-01-31 2012-01-31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KR20130088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424A KR20130088284A (ko) 2012-01-31 2012-01-31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424A KR20130088284A (ko) 2012-01-31 2012-01-31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284A true KR20130088284A (ko) 2013-08-08

Family

ID=4921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424A KR20130088284A (ko) 2012-01-31 2012-01-31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828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739A (ko)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리차지 저항 및 릴레이 파손 방지 장치 및 방법
CN105510686A (zh) * 2015-12-11 2016-04-20 谭焕玲 一种电流测量装置和方法
CN105510693A (zh) * 2015-11-24 2016-04-20 杭州市第一人民医院 一种基于霍尔电流和图像变化监测大型医用设备使用状态的方法
WO2017010579A1 (ko) * 2015-07-10 2017-01-19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하이브리드 건설기계의 프리차지
KR20180068370A (ko) 2016-12-13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전압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프리차지 방법 및 시스템
CN114200193A (zh) * 2021-10-29 2022-03-18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负极母线冲击电流测试装置及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739A (ko)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리차지 저항 및 릴레이 파손 방지 장치 및 방법
WO2017010579A1 (ko) * 2015-07-10 2017-01-19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하이브리드 건설기계의 프리차지
CN105510693A (zh) * 2015-11-24 2016-04-20 杭州市第一人民医院 一种基于霍尔电流和图像变化监测大型医用设备使用状态的方法
CN105510686A (zh) * 2015-12-11 2016-04-20 谭焕玲 一种电流测量装置和方法
KR20180068370A (ko) 2016-12-13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전압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프리차지 방법 및 시스템
CN114200193A (zh) * 2021-10-29 2022-03-18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负极母线冲击电流测试装置及方法
CN114200193B (zh) * 2021-10-29 2024-01-19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负极母线冲击电流测试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2631B1 (en) Hybrid current sensor assembly
KR20130088284A (ko)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KR101956406B1 (ko)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US9266434B2 (en) Modular battery disconnect unit
JP6046864B1 (ja) 2つの異なるバッテリセルの2つのセル電流の差分を測定する装置を備えた、複数の電気化学的なバッテリセルを有するバッテリパック
JP6321007B2 (ja) 絶縁故障を検出し測定するための装置
US20140333314A1 (en) Current measuring circuit, battery and motor vehicle
US20140347769A1 (en) Electric-vehicular charge and discharge device
CN112557941A (zh) 接地故障检测装置
JP2014519307A (ja) 直流電力供給装置
US20210048454A1 (en) Integrated Current-Measuring Apparatus
KR102093683B1 (ko)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EP3929021A1 (en) Electrical fault detection device and vehicle power supply system
KR101189582B1 (ko) 배터리 전압 측정 라인의 단선 검출용 전압 측정 장치
JP6708046B2 (ja) 漏電判定装置
CN110895312A (zh) 接地故障检测设备
US20150021986A1 (en) Vehicle power source apparatus
KR20130097317A (ko)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KR20210002971A (ko)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및 방법
US9117735B2 (en) Hybrid circuit
US9205747B2 (en) Hybrid circuit
JP7433983B2 (ja) 地絡検出装置
CN111337850B (zh) 接地故障检测装置
CN110832334B (zh) 故障诊断装置
JP5163624B2 (ja) 電池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