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882A - 하이드로젤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체 - Google Patents

하이드로젤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882A
KR20130087882A KR1020120009118A KR20120009118A KR20130087882A KR 20130087882 A KR20130087882 A KR 20130087882A KR 1020120009118 A KR1020120009118 A KR 1020120009118A KR 20120009118 A KR20120009118 A KR 20120009118A KR 20130087882 A KR20130087882 A KR 20130087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formula
group
hydrogels
d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8590B1 (ko
Inventor
김일
장리동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9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590B1/ko
Publication of KR20130087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6Roller fly screens connected to end- or bottom-bar of roller shut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로젤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시로서 생체 적합성, 생분해성 및 열적 안정성을 가지고, 독성이 없는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하이드로젤을 이용하여 약물 전달체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드로젤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체{Hydrogel and Drug Delivery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하이드로젤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체에 관한 것이다.
하이드로젤은 가교된 고분자로서, 수용액 상에서 다량의 물을 내부에 함유하여 팽윤할 수 있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물질이다. 다량의 물을 내부에 함유하여 팽윤할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해 하이드로젤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PEG를 기초로 한 하이드로젤은 팽윤 성질 등을 가지며, 빛 및 온도 등과 같은 다양한 자극에 반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약물 전달체 등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로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하이드로젤을 제조하는 방법이 매우 복잡하고, 또한, 제조된 하이드로젤이 약물 전달체로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및 열적 안정성을 가질 것이 요구되며, 독성이 없어야 하고, 약물 방출 이후에는 체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이드로젤이 약물 전달체 등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요구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하이드로젤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생체 적합성, 생분해성 및 열적 안정성을 가지고, 독성이 없는 하이드로젤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로서, 하이드로젤은 하기의 화학식 1을 가교사이트로 포함하는 하이드로젤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Y1, Y2 및 Y3는 -O-, -S- 및 -NH-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상기 하이드로젤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가교 사이트를 기초로 가교되어 하이드로젤을 형성할 수 있다.
가교 사이트는 고분자 또는 거대 분자의 형성시, 다수의 공유 결합을 형성시켜 가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사이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예시로서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가교 사이트를 포함하여 하이드로젤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1의 가교 사이트는, 예를 들면, 옥시염화인(POCl3)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구조를 갖는 가교 사이트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 1에서, Y1, Y2 및 Y3는 -O-, -S- 및 -NH-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가교 사이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화합물과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로서, 상기 하이드로젤은 하기의 화학식 2 내지 4 중 어느 하나를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하이드로젤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2 내지 4에서, R1, R3 내지 R6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이며, L은 말단에 X를 가지는 가지 구조를 나타내고, o 및 p는 각각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X는 하기 화학식 5로 나타내고,
[화학식 5]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5에서, A1 및 A2는 -NH-, -S- 및 -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7 및 R8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이다.
상기 식에서 o 및 p는 1 내지 100, 1 내지 50 또는 1 내지 20의 정수일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범위 내에서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렌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3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킬렌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렌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3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화학식에서 사용된 "*"는 다른 작용기와 연결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로서, 상기 하이드로젤에서 L은 구조 내에 하기 화학식 6 내지 8로 표시되는 단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일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at00006
[화학식 7]
Figure pat00007
[화학식 8]
Figure pat00008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에서, L은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일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pat00009

본 발명의 하이드로젤이, 상기 화학식 1의 가교 사이트를 통해 형성되는 하이드로젤이라면, 가교 사이트를 통해 가교되는 화합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하이드로젤의 특징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용도에 맞게 적절히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화학식 3을 기초로 형성되는 하이퍼 브랜치 고분자(hyper-branched polymer)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이퍼 브랜치 고분자는 다수의 가지 구조를 가지는 고분자로서 많은 작용기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로, 상기 화학식 3 또는 4를 기초로 화학식 6 내지 8 및/또는 화학식 9의 구조를 포함하여 하이퍼 브랜치 고분자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하이퍼 브랜치 고분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1몰당 분자량의 하한은 100 또는 500 g일 수 있고, 상한은 10,000 또는 2,000 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옥시염화인을 용해시킨 용액에, 말단에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 생성물에 하기의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0]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10에서,
R9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이고, F는 아민기, 티올기 또는 히드록시기이다.
상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말단에 아민기, 티올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렌기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옥시염화인을 용해시키는 용매로서는, 생성된 하이드로젤이 안정적으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THF(Tetrahydrofuran)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말단에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다가 알코올이라면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히드록시기의 개수는 500개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30, 탄소수 1 내지 16,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일 수 있고,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하이퍼 브랜치 고분자일 수도 있다.
상기 옥시염화인을 용해시킨 용액에, 말단에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의 온도는, 예를 들면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반응시키는 경우, 히드록시기의 염소화가 생성되는 반응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반응 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 생성물에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는 0 내지 60℃, 또는 실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하기 반응식 1은, 본 발명의 일 예시로서, 하이드로젤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반응식 1]
Figure pat00011
상기 반응식 1로부터, 하나의 예시로서, 상기 화학식 1의 가교 사이트를 갖는 하이드로젤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젤 제조 방법은 원 팟(one pot) 공정일 수 있다. 원 팟 공정은, 화합물 등의 제조시, 여러 공정을 거치지 않고 한 번에 원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합성 과정이 용이하고, 수율을 향상시킨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상기 하이드로젤 제조 방법은 원 팟 공정에 의해 진행될 수 있어, 종래의 하이드로젤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하이드로젤; 및 상기 하이드로젤의 내부에 봉입된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이드로젤은 약물 전달체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방출 속도 등은 pH 및 온도와 같은 환경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은 생체 적합성, 생분해성 및 열적 안정성을 가지고, 독성이 없어 약물 전달체로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물 전달체 내에 도입될 수 있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각종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예로는 항암제, 항생제, 호르몬, 호르몬 길항제, 인터루킨, 인터페론, 성장 인자, 종양 괴사 인자, 엔도톡신, 림포톡시, 유로키나제, 스트렙토키나제,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프로테아제 저해제, 알킬포스포콜린, 방사선 동위원소 표지 물질, 계면활성제, 심혈관계 약물, 위장관계 약물 및 신경계 약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항암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피루비신(Epirubicin), 도세탁셀(Docetaxel), 젬시타빈(Gemcitab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르보플라틴(carboplatin), 택솔(taxol), 프로카르바진(procarbazine),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디악티노마이신(dactino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에토포시드(etoposide), 탁목시펜(tamoxifen) 독소루비신(doxorubicin), 미토마이신(mitomycin), 블레오마이신(bleomycin), 플리코마이신(plicomycin), 트랜스플라티눔(transplatinum), 빈블라스틴(vinblastin) 및/또는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본 발명의 하이드로젤에 도입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적절한 용매 내에서 하이드로젤 및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함께 혼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약물 전달체가 적용될 수 있는 질병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위암, 폐암, 유방암, 난소암, 간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췌장암, 방광암, 담도암, 결장암 및/또는 자궁경부암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물 전달체의 용도는 상기 질병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함유되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각종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시로서 생체 적합성, 생분해성 및 열적 안정성을 가지고, 독성이 없는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하이드로젤을 이용하여 약물 전달체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으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건조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의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의 가교 사이트 및 고체상태 31P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의 XPS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냉동 건조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팽윤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의 DSC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건조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의 DSC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건조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의 TGA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의 산성 및 염기성 조건 하에서의 분해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용매에 대한, 건조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의 흡수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의 온도에 따른 ESR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의 DOX 방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25℃ 및 37℃에서 pH 및 시간에 따른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PEOPPA400)의 누적 방출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25℃ 및 37℃에서 pH 및 시간에 따른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PEOPPA600)의 누적 방출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의 이식 5일 후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 또는 PLGA의 이식 부위 주변 조직(H&E로 염색)으로부터의 조직학적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 또는 PLGA의 이식 부위 주변 조직(Masson's trichrome으로 염색)으로부터의 조직학적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 또는 PLGA의 이식 후 간의 조직학적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하이드로젤의 세포 독성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하이드로젤의 제조
실시예 1
교반기가 장착된 250 mL 플라스크 내의 THF(tetrahydrofuran, 100 mL) 내에 용해된 옥시염화인(phosphorous oxychloride, 20 mmol, 3.04 g) 및 TEA(triethylamine, 120 mmol, 12.12 g)에, 건조된 2관능성의 PEG400(poly(ethylene glycol), Mw: 400, 10 mmol, 4.00 g)을 적가하고, 5℃ 이하로 유지하면서 30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어서,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에 PDA(propane-1,3-diamine, 99%, 90 mmol, 6.66 g)를 주입한 후, 교반하여 노란색의 하이드로젤을 침전시켰다. 분리된 상기 하이드로젤(PEOPPA400)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증류수에 담그고, 매시간 마다 상기 증류수를 교체하여 미반응물을 침출(leaching)시켰다. 이어서, 상기 하이드로젤을 2일 동안 90℃에서 진공 하에 건조시켜 정제된 하이드로젤(PEOPPA400)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2
PEG400 및 PDA 대신 하기의 표 1에 나타난 화합물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의 하이드로젤 제조 방법에 준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PEOPPA300 PEG300(Mw: 300) 및 PDA(propane-1,3-diamine, 99%)
실시예 3 PEOPPA600 PEG600(Mw: 600) 및 PDA(propane-1,3-diamine, 99%)
실시예 4 PEOPEA600 PEG600(Mw: 600) 및 EDA(ethane-1,2-diamine, 99%)
실시예 5 PEOPBA600 PEG600(Mw: 600) 및 BDA(butane-1,4-diamine, 99%)
실시예 6 PEOPHA600 PEG600(Mw: 600) 및 HDA(hexane-1,6-diamine, 99%)
실시예 7 PEOPPA500 PEG500(Mw: 500) 및 PDA(propane-1,3-diamine, 99%)
비교예 1 PEOPPA1000 PEG1000(Mw: 1000) 및 PDA(propane-1,3-diamine, 99%)
비교예 2 PEOPPA2000 PEG2000(Mw: 2000) 및 PDA(propane-1,3-diamine, 99%)
도 1의 (a) 내지 (f)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6으로부터 제조된 각각의 하이드로젤에 대한 건조 상태 및 팽윤(swollen)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의 (a)는 상기에서 제조된 하이드로젤(PEOPBA600)의 수분 흡수 전과 30℃에서 24시간 동안 수분이 흡수된 후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길쭉하게 잘라진 팽윤 상태의 하이드로젤(PEOPPA300)을 나타내는 것으로, 우수한 유연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 및 2의 경우는 물에 용해되어 하이드로젤이 생성되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PEG 사슬의 길이가 하이드로젤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이드로젤의 구조 및 성분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구조 및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하이드로젤에 대한 FT-IR 스펙트럼, NMR 스펙트럼 및 XPS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도 3은 각각의 건조 하이드로젤(PEOPPA400(1), PEOPEA600(2), PEOPPA600(3), PEOPPA300(4), PEOPBA600(5) 및 PEOPHA600(6))에 대한 IR 스펙트럼(Shimadzu IR Prestige-21에 의해 측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1040cm-1의 피크를 통해 P-O 스트레칭을 확인하였고, 958cm-1 및 730cm-1의 피크를 통해 P-N-C 결합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도 4는 NMR 스펙트럼에 관한 것으로, 고체 상태의 31P NMR 분광법에 의해 분석(Bruker Avance 500 NMR 분광기, 31P NMR 주파수는 202.5 MHz, 샘플은 4mm od 지르코니아 로터 안에 팩킹됨)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포스포릴기 포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a)는 하이드로젤 내에 가교 구조의 기본 단위로서 P1, P2 및 P3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4의 (b) 및 (c)는 각각 PEOPBA600과 PEOPPA300에 대한 31P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상기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3종류의 포스포릴기 피크를 통해 상기 하이드로젤은 3가지 구조의 포스포릴기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XPS(ESCALAB 250, VG Scientifics, UK, 160 eV의 pass energy, 300 x 700 마이크론의 개구 슬롯(aperture slot)을 사용)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하이드로젤(PEOPPA300(1), PEOPPA500(2), PEOPBA400(3) 및 PEOPHA600(4))에 대한 XPS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5의 (b) 및 (c)는 N1s 및 P2p 피크를 보여준다. 하기의 표 2는 각각의 하이드로젤에 대한 N 및 P의 결합에너지(binding energy, BE)와 원자(At.) 퍼센티지(percentage) 데이터를 보여준다.
하이드로젤 원소 BE(ev) At.%
PEOPPA300 N1s 398.94 12.16
P2p 130.83 3.62
PEOPPA500 N1s 396.9 7.91
P2p 130.93 5.56
PEOPBA600 N1s 397.24 3.51
P2p 131.53 2.15
PEOPHA600 N1s 397.17 3.72
P2p 131.41 1.47
상기에서 모든 측정된 하이드로젤에 존재하고, 398 eV 주위에서 나타나는 N1s 피크는 하이드로젤의 제조시 사용된 디아민이 각각 가교 반응에 참여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131 eV 주위에 나타나는 P2p 피크는 하이드로젤 구조에서 포스포릴의 존재를 의미한다. 표 2에서 PEOPPA300 (3.62%) 및 PEOPPA500 (5.56%)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인 원자의 퍼센티지는 PEG500을 하이드로젤 제조시 사용한 PEOPPA500 시스템에서 크게 증가했으며, 이것은 PEOPPA300 하이드로젤에서 보다 높은 가교 정도를 나타낸다. 상기 PEG600 및 BDA를 사용하여 수득한 하이드로젤(PEOPBA600)은 2.15%의 인 원자 퍼센티지를 나타내며, 반면 PEG600 및 HAD를 사용하여 수득한 하이드로젤(PEOPHA600)에서는 1.47%를 나타낸다. 이것은 하이드로젤의 제조시 사용되는 디아민의 사슬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하이드로젤의 가교도는 오히려 감소함을 의미한다.
하이드로젤 표면의 형태( morphology ) 분석
상기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샘플을 평형(equilibrium)에 도달할 때까지 48시간 이상 초순수에 담근 후, 팽윤된 하이드로젤 샘플을 24시간 동안 냉동 건조하였다. 냉동 건조된 하이드로젤의 표면 형태 분석은 SEM(S-4800, Hitachi, Japan)에 의해 수행되었다.
냉동 건조된 하이드로젤 샘플의 SEM 이미지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SEM 이미지로부터 하이드로젤의 네트워크는, PEOPPA600부터 PEOPPA300까지 PEG 분자량이 감소함에 따라, 확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PEOPPA600 하이드로젤은 PEOPPA400 하이드로젤과 비교하여 보다 작은 내부 네트워크를 나타내며. 이것은 PEO 분절이 하이드로젤 구조에서 PEG 몰 질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배적이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이드로젤 네트워크는 PEG 몰질량의 감소와 함께 보다 확장된 구조를 가진다. HDA 및 PEG600으로부터 합성된 PEOPHA600 하이드로젤의 네트워크 구조에서는, PDA 및 PEG600으로부터 제조된 PEOPPA600의 네트워크와 비교하여, PDA보다 더 긴 사슬 길이를 갖는 HDA를 사용하기 때문에 표면 밀도가 증가하였음이 명확히 나타난다. 그러므로, 비록 긴 디아민의 사슬 길이가 하이드로젤을 보다 유연하게 하더라도, 하이드로젤의 수분 흡수 능력 및 네트워크 확장성은 디아민의 사슬 길이 증가에 따라 향상시킬 수는 없었다.
하이드로젤의 열적 안정성( Thermostability ) 측정
팽윤(swollen) 상태에서 상기에서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열적 안정성은 DSC(diffen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upont thermal analyzer DS910)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상기 하이드로젤 샘플을 실온에서 증류수에 담그고, DSC의 측정 전에 평형 상태까지 팽윤하도록 하였다. DSC 측정을 위해, 20 mg의 팽윤된 하이드로젤을 밀폐된 알루미늄 팬 안에 놓고, 단단히 밀봉한 후, 질소 흐름 하에 20℃부터 80℃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10℃/min의 속도로 DSC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7에서와 같이 팽윤 상태의 하이드로젤은 현저한 열적 안정성을 나타내었고, 팽윤 상태는 22℃ 내지 80℃에서 유지되는 것이 DSC에 의해 확인되었다. 수분 증발로 인한 발열 개시지점을 제외하고는 발열 피크가 없었다. 낮은 임계 용액 온도(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는, 관찰되지 않았고, 이것은 상기 하이드로젤이 22℃ 및 80℃ 사이에서 강한 열적 안정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건조된 하이드로젤의 유리전이온도(Tg) 또한, DSC에 의해 측정되었다. 30 mg의 하이드로젤 샘플을 20℃부터 300℃까지 10℃/min의 속도로 가열시켜, 열적 히스토리(thermal history)를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샘플을 30℃로 냉각시켜 200℃까지 10℃/min의 속도로 재가열하였다. 유리 전이 온도를 표준 Tg 측정 및 △Cp/2와 같은 Tg의 기준에 따라 상기 두번째 실험의 흔적(trace)으로부터 측정하였다.
도 8은 건조된 각각의 하이드로젤(PEOPPA600(1), PEOPPA400(2), PEOPPA300(3), PEOPHA600(4), PEOPEA600(5), 및 PEOPBA600(6))에 대한 DSC 커브를 나타낸다. 동일한 단일 사슬 디아민을 사용하고, 다양한 Mw를 가지는 PEG에 의해 제조된 하이드로젤은, 유사한 Tg 값을 가지며, 이는 유사한 강성(stiffness)을 가짐을 나타낸다. 그러나, 서로 다른 단일 사슬 디아민을 사용하여 PEG600과 반응시켜 생성된 하이드로젤들은 서로 다른 Tg 값을 나타냈다. 즉, 단일 사슬 디아민의 탄소수의 증가는 Tg 값의 증가와 관련되어 있다.
건조 하이드로젤의 TGA(Thermogravimetry analysis, Dupont TGA 951)는 20 mg의 건조된 하이드로젤 샘플을 가지고, 질소 흐름 하에 20℃에서 600℃까지 10℃/min의 가열 속도로 수행하였다.
도 9는 건조 하이드로젤의 TGA 커브를 나타내는 것으로, PEOPPA600의 TGA 커브는 순수한 PEOPPA400의 커브보다 더 큰 기울기를 가지고 이것은 공중합체의 열적 안정성이 감소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고분자 구조 안으로 보다 높은 Mw의 PEO 사슬을 도입하는 것은 열적 안정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218℃에서 PEOPPA300, PEOPPA400 및 PEOPHA600의 초기 중량 손실(weight loss)은 샘플 내에 소량의 수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이드로젤의 분해( degaradation ) 시험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분해성은 주위(ambient) 온도에서 pH 1.0부터 11.0까지의 넓은 pH 범위에 걸쳐 시험하였다. 10 mL의 바이알에 특정 pH를 갖는 버퍼 용액(7 mL) 및 0.1 g의 건조 하이드로젤을 첨가하고, 밀봉시킨 후 어두운 환경에서 유지시켰다. 분해 속도는 UV/Vis 분광기(Shimadzu UV-1650PC spectrometer)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물 안에서 분해된 하이드로젤은 약 289 nm에서 흡수 최대점(absorption maximum)을 갖는다.
PEOPP400 및 PEOPPA600 하이드로젤이 서로 다른 pH에서 가수분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표 3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비록 PEOPPA400 하이드로젤이 상대적으로 PEOPPA600 보다 짧은 분해 기간을 나타냈지만, 두 하이드로젤은 pH 변화와 함께 유사한 분해 거동을 나타내었다. PEOPPA400 및 PEOPPA600 하이드로젤은 각각 완전히 분해되기까지 2개월 및 8개월이 걸렸다. 분해 기간은 pH가 6.5에서부터 1.0까지 변화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된다. 예를 들면, PEOPPA400 및 PEOPPA600은 각각 pH 1.0에서 완전히 분해되는 데 대략 2일 및 2주가 걸렸다. 염기성 조건 하에서는 중성 조건에서보다 분해 속도가 빠르지만, 산성 조건 하에서 보다는 느리다.
pH 값 PEOPPA400 (g) DP (day) PEOPPA600 (g) DP (day)
11.0 0.05 30 0.05 150
7.5 0.05 45 0.05 210
7.0 0.05 60 0.05 240
6.5 0.05 7 0.05 21
1.0 0.05 2 0.05 14
pH에 따른 분해 속도의 차이는 상기 하이드로젤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한 것으로, 우선 하이드로젤 매트릭스에서 아민기는 산성 조건에서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는 물에 용해가능한 염을 형성시킨다. 또한, 염기성 조건은 P-O 단일 결합의 가수분해를 촉진시켜 작고 물에 용해될 수 있는 분자를 생성시킨다. 이와 같은 분해 수단이 도 10에 나타난다. 산성 조건 하에서 물에 용해 가능한 염의 형성은 상대적으로 산성 조건 하에서 P-O 단일 결합의 가수분해보다 용이하고, 이는 염기성 조건 하에서 보다 산성 조건 하에서 하이드로젤의 분해를 보다 빠르게 한다. 중성 조건 하에서는 상기 거동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분해 기간이 크게 증가된다.
하이드로젤의 ESR ( Equilibrium swelling ratio ) 측정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이드로젤을 22 내지 80℃의 온도 범위에서, 물, DMF 및 헥산 용매로 팽윤시켜 중량법(gravimetric method)으로 ESR을 측정하였다. 상기 온도 범위 내의 소정의 온도에서, 각각의 용매에 상기 하이드로젤을 담그고, 48시간 후에 상기 하이드로젤을 제거하여, 표면의 물을 제거하기 위해 젖은 필터 종이로 닦아낸 후, 중량을 측정하였다. 하나의 온도에서 ESR의 측정 후, 연속적인 ESR 측정을 위해 상기 하이드로젤을 다른 온도에서 다시 평형을 유지시켰다. 각 샘플에 대해 5번을 측정하여 평균을 내고, ESR은 하기의 일반식으로서 계산되었다.
[일반식 1]
ESR = Ws/Wd
상기 식에서, Ws는 각각의 온도에서 팽윤된 하이드로젤 내의 물의 중량이고, Wd는 상기 하이드로젤의 건조 중량이다.
도 11은 다양한 용매(헥산, 물, DMF(dimethylformamide))에 대한 건조된 하이드로젤 PEOPPA400 및 PEOPPA600의 흡수된 용매의 양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에 따른 ESR의 값이 하기 표 4에 나타난다.
용매 ESR
(PEOPPA400)
용매 ESR
(PEOPPA600)
헥산 1.98 헥산 1.99
17.79 15.41
DMF 12.98 DMF 10.02
상기 표 4로부터 용매의 극성이 증가함에 따라 ESR 또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12는 용매로서 물을 사용한 경우의 온도에 따른 하이드로젤의 ESR 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PEOPPA400 및 PEOPPA600의 팽윤 상태 하이드로젤은 22 내지 80℃에서 안정하였으며, 물에서 상기 ESR 값은 온도의 증가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였다.
하이드로젤로부터 약물 방출 조절
약물 전달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으로서 상기 하이드로젤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약물로서 물에 높은 용해도를 갖는 DOX(Doxorubicin)를 사용하였다. 5 mL의 PBS(phosphate-buffered solution, 0.1 m, pH 7.0) 내에 10 mg의 DOX를 용해시켜 DOX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DOX 수용액을 10개의 바이알에 동일한 양으로 분배하고, 디스크 모양의 하이드로젤 PEOPPA400(10 mg)을 각각의 상기 바이알에 첨가하였다. 0.5 mL의 DOX 용액이 완전히 하이드로젤 매트릭스에 흡수되어 각각의 하이드로젤마다 1 mg의 DOX가 로딩되었다.
방출 테스트는 다른 pH 하에(pH 11.0, 7.5, 7, 6.5 및 1.0), 25℃ 및 37℃에서 수행되었다. 상기 각각의 온도 및 pH에서, 상기 DOX가 로딩된 하이드로젤 샘플을 8 mL의 PBS로 채워진 유리 병에 담갔다. 주어진 시간 동안 방출 후, 2 mL 분액(aliquot)의 완충 배지를 각각의 유리 병으로부터 취하고, 상기 분액 내의 DOX의 농도를 483nm에서 UV/Vis 분광기(Shimadzu UV-1650PC spectrometer)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총 부피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2 mL의 새로운(fresh) 버퍼 용액을 유리 병에 추가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일반식 2에 의해 누적 방출량(%)으로 계산하였다.
[일반식 2]
누적 방출량(%) = Mt/Ms
상기 식에서, Mt는 시간 t에서 하이드로젤로부터 방출된 DOX의 양을 의미하고, Ms는 하이드로젤에 로딩된 DOX의 양을 나타낸다. 상기 실험에서 Ms는 1 mg 이다.
도 13은 하이드로젤 PEOPPA400으로부터 DOX가 방출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DOX 농도가 서서히 증가하고, 이는 하이드로젤의 우수한 조절 능력을 나타낸다.
도 14의 (a)는 25℃에서 넓은 pH 범위(pH 1.0-11.0) 및 시간에 걸쳐 PEOPPA400의 약물 방출 능력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비교를 위해 37℃ 및 pH 6.5 내지 7.5에서 약물 방출 시험이 유사하게 수행되었다(도 14의 (b)).
DOX가 로딩된 PEOPPA400 하이드로젤은 간단한 초기 파열(burst)을 제외하고 늦은(slow)방출 속도를 나타낸다. 최초 20시간 동안 누적 DOX 방출은 pH 1.0, 6.5, 7.0, 7.5 및 11.0에서 각각, 대략 40, 38, 22, 25 및 30%였다. 파열 기간 동안에는 방출 속도가 pH가 증가함에 따라 늦어졌다. 그러나, 시험된 모든 pH 범위에 걸쳐 20시간부터 100시간까지의 시간과 약물 방출 백분율 사이에 거의 선형의 관계가 있었다. 비록 모든 pH 조건들에 대해 유사한 방출 속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DOX 방출 속도에서 명확한 차이가 여전히 존재하였다. 100 시간 후, 상기 누적 DOX 방출은, 유사한 버퍼 용액에서 DOX의 기준 농도 커브에 의해 계산된 것처럼, pH 7.0에서 64%, pH 7.5에서 76%, pH 11.0에서 80%, pH 6.5에서 85%, 및 pH 1.0에서 93%였다. 중성 및 염기성 조건 하에 대략 DOX의 30%가 방출 기간의 마지막에서 방출되지 않았다. 산성 조건에서의 방출 속도와 비교하여 이는 크게 감소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DOX 방출이 상기 하이드로젤의 분해와 함께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하이드로젤의 빠른 분해는 짧은 기간 동안 빠른 방출 속도를 가져온다.
PEOPPA400 하이드로젤로부터 DOX의 방출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유사한 방출 분석을 37℃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온도는 다양한 pH 조건에서 DOX의 방출을 증가시켰다(도 14(b)). 동일한 시간에 걸쳐 상기 누적 DOX 방출은 25℃와 비교하여 pH 7.0에서 대략 5%, pH 7.5에서 대략 8%, pH 6.5에서 대략 10%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방출 프로파일은 25℃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약물 방출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PEOPPA600 하이드로젤을 사용하여 DOX의 누적 방출 특성을 시험하였다. 도 15의 (a) 및 (b)는 PEOPPA600에 대한 DOX의 누적 방출 결과를 나타내며, DOX의 누적 방출은 25℃에서 170 시간에 걸쳐, 대략 pH7.0에서 50%, pH7.5에서 55%, pH11.0에서 62%, pH6.5에서 70%, pH1.0에서 83%였다. 산성 및 염기성 조건 하에서, 상기 방출 속도는 중성 조건 보다 빨랐다. 그러나 모든 pH에서 방출 속도는 37℃에서 증가하였다.
상기 결과는 다양한 조건 하에서 PEOPPA400 및 PEOPPA600 하이드로젤 사이의 DOX 방출을 비교할 수 있고, 유사한 양의 DOX가 산성 조건 하에서 두 하이드로젤 모두로부터 방출되었다. 그러나, 상기 PEOPPA400 하이드로젤은 중성 및 염기성 조건에서 PEOPPA600 하이드로젤 보다 더 많은 양의 DOX가 방출되었다. 즉, 하이드로젤로부터 상기 DOX의 방출은 하이드로젤의 네트워크 특성에 매우 영향을 받는다. 상기 PEOPPA400은 PEOPPA600과 비교하여, 전술한 SEM 측정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큰 다공성 구조를 가지며, 그 결과 많은 양의 약물을 방출할 수 있다. 하이드로젤의 내부 구조 차이, 방출속도 및 기간의 다양함을 가져오는 DOX 방출 조건의 차이는 하이드로젤의 약물 방출 조절 가능성을 나타낸다.
생분해성 시험
생분해성 시험은 건강하고, 6 내지 8 주된(20 내지 25 g)의 암컷 BALb/C 마우스(Orient Bio Co. Ltd., Korea)로 수행되었다. 멸균된 상기 하이드로젤 디스크(직경 5 mm, 두께 1 내지 1.2 mm)를 마우스 등의 피하에 이식하였다. 대조군 동물은 100 ℃의 멸균 PBS(pH 7.4) 용액을 받았다. 마우스는 이식 후 5일 또는 30일 후에 희생되었다. 이식 부위를 둘러싸고 있는 간 및 조직을 수거하고, PBS로 씻은 후, 조직학적 평가(histological assessment)를 위해 4%의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 용액으로 고정시켰다. 고정된 표본을 파라핀 포매(paraffin embedding)하고, 5 mm를 절개하여 헤마톡실린 및 에오진(hematoxylin & eosin, H&E)으로 염색하였다. H&E로 염색된 부위는 염증 매개 세포(inflammation-mediating cells, IMCs) 및 이물 거대(foreign-body giant, FBG) 세포를 확인하고 정량화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Masson's trichrome 염색 부위는 캡슐 형성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섬유 피막(fibrous capsule)의 점수화(scoring)는 섬유모세포(fibroblast) 층의 수에 기초한다. 슬라이드를 5X 배율의 Nikon Eclipse 80i 광학 현미경(Nikon Inc., Japan)에 의해 관찰하였다. 간 부위는 염증 세포, 섬유증, 및 비정상 세포 형태의 존재를 위해 시험되었다. 이식 부위를 둘러싸는 섬유 캡시드(fibrous capsid)의 두께는 섬유 조직의 가장자리로부터 조직의 말단까지의 거리로서 측정되었다.
도 16은 이식 5일 후의 하이드로젤 이미지를 보여준다. 상기 하이드로젤은 이식 지역에서 팽윤되어, 적어도 15일 동안 그 형태를 유지하였다. 이식 20일 후에는 하이드로젤의 일부 조각만 남아 있고, 이는 상기 하이드로젤 거의 모두가 이 기간 동안 분해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식된 하이드로젤 및 근처 조직의 조직학적 절개 부위는 도 17에 나타난다. 도 17 및 18의 (a)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조직을 나타내고, (b) 및 (c)는 하이드로젤 이식 후 각각 5일 및 30일 후의 조직을 나타내며, (d) 및 (e)는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 이식 후 각각 5일 및 30일 후의 조직을 나타낸다. 피부 또는 피하 조직의 감염이 상기 하이드로젤 또는 PLGA 디스크로 처리된 동물에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도 17 및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H&E 염색 또는 Masson's trichrome 염색 이후 조직학적 분석에서는, PLGA 이식 5일 후 섬유 물질의 두께가 증가되었고, 하이드로젤 및 PLGA 이식 후 모두 결합 조직(connective tissue) 층이 증가되었음을 나타낸다. 도 17의 (a) 및 18의 (e)에 나타나는 것처럼 PLGA 이식 30일 이후 지방 조직(adipose tissue)의 불규칙한 모양 및 크기에서의 증가가 있으며, 이것은 염증의 증가를 의미한다. 반면 하이드로젤 이식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작은 변화를 가져왔다. 도 19는 간의 조직학적 절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9의 (a)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조직을 나타내고, (b) 및 (c)는 하이드로젤 이식 후 각각 5일 및 30일 후의 간을 나타내며, (d) 및 (e)는 PLGA 이식 후 각각 5일 및 30일 후의 간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하이드로젤은 섬유증(fibrosis), 괴사 조직 및 염증 세포의 부족으로 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도 19의 (e)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PLGA는 이식 후 30일이 지난 경우, 조직을 느슨하게 만들지만, 하이드로젤 이식은 5 또는 30일 이후에도 조직에 특별히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PLGA의 분해 생성물이 간에 영향을 미친 반면 하이드로젤의 분해 생성물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세포 생존( viablility ) 시험
CT 26 마우스 콜론 암종 세포(carcinoma)를 웰 당 5 X 103 세포의 밀도로 플레이팅하였다. CT 26 세포를 2일 동안 DOX 또는 DOX를 함유한 하이드로젤로 처리하였다. DOX를 함유한 하이드로젤로 처리한 결과를 DOX로 처리한 것과 비교하였다. 상기 DOX가 로딩된 하이드로젤을 5 mL의 PBS(pH 7.4, 0.1 M)에 담그고, 방출된 DOX를 0.2 mm 시린지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기 생성된 용액을 세포 배양 실험을 위해 RPMI 1640(10% FBS가 보충됨)로 10회 희석시켰다.
도 20은 다양한 DOX 농도를 사용하여 2일의 배양 기간 후, CT-26 콜론 암종 세포 상에서 하이드로젤의 세포 독성 효과를 나타낸다. 2일 후, 상기 하이드로젤은 농도 의존적으로, CT-26 세포의 대사 활동에 영향을 주었다. 상기 하이드로젤의 세포 생존율은 하이드로젤에서 DOX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DOX가 500 ng/mL에 이르면, DOX 농도의 증가와 함께 세포 독성의 허용가능한 레벨(level)이 있었다.
상기 조건 하에, 하이드로젤은 10000 ng/mL까지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거나 오직 온화한(moderate) 세포 독성을 일으켰다. 세포 생존은 서로 다른 노출 시간에서 10000 ng/mL 미만의 DOX 농도와 함께 10 내지 70% 감소하였다. 감소된 세포 생존율은 완전한 DOX의 효과일 수 있다.

Claims (11)

  1. 하기의 화학식 1을 가교 사이트로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화학식 1]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1에서, Y1, Y2 및 Y3는 -O-, -S- 및 -NH-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의 화학식 2 내지 4중 어느 하나를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화학식 2]
    Figure pat00013

    [화학식 3]
    Figure pat00014

    [화학식 4]
    Figure pat00015

    상기 화학식 2 내지 4에서,
    R1, R3 내지 R6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이며, L은 말단에 X를 가지는 가지 구조를 나타내고, o 및 p는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X는 하기 화학식 5로 나타내고,
    [화학식 5]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5에서,
    A1 및 A2는 -NH-, -S- 및 -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7 및 R8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L은 구조 내에 하기 화학식 6 내지 8로 표시되는 단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화학식 6]
    Figure pat00017

    [화학식 7]
    Figure pat00018

    [화학식 8]
    Figure pat00019

    상기 화학식 6 내지 8에서, X는 화학식 5를 나타낸다.
  4. 제 2 항에 있어서, L은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화학식 9]
    Figure pat00020

    상기 화학식 9에서, X는 화학식 5를 나타낸다.
  5. 옥시염화인을 용해시킨 용액에, 말단에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 생성물에 하기의 화학식 10을 갖는 화합물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의 제조 방법:
    [화학식 10]
    Figure pat00021

    상기 화학식 10에서,
    R9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이고, F는 아민기, 티올기 또는 히드록시기이다.
  6. 제 5 항에 있어서, 말단에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의 반응 온도는 5℃ 이하인 하이드로젤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원 팟(one pot) 공정인 하이드로젤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이드로젤; 및 상기 하이드로젤의 내부에 봉입된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활성 성분은 항암제, 항생제, 호르몬, 호르몬 길항제, 인터루킨, 인터페론, 성장 인자, 종양 괴사 인자, 엔도톡신, 림포톡시, 유로키나제, 스트렙토키나제,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프로테아제 저해제, 알킬포스포콜린, 방사선 동위원소 표지 물질, 계면활성제, 심혈관계 약물, 위장관계 약물 및 신경계 약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약물 전달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항암제가 에피루비신(Epirubicin), 도세탁셀(Docetaxel), 젬시타빈(Gemcitab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르보플라틴(carboplatin), 택솔(taxol), 프로카르바진(procarbazine),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디악티노마이신(dactino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에토포시드(etoposide), 탁목시펜(tamoxifen) 독소루비신(doxorubicin), 미토마이신(mitomycin), 블레오마이신(bleomycin), 플리코마이신(plicomycin), 트랜스플라티눔(transplatinum), 빈블라스틴(vinblastin) 및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약물 전달체.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이드로젤; 및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용매 내에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봉입 방법.
KR1020120009118A 2012-01-30 2012-01-30 하이드로젤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체 KR101368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118A KR101368590B1 (ko) 2012-01-30 2012-01-30 하이드로젤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118A KR101368590B1 (ko) 2012-01-30 2012-01-30 하이드로젤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882A true KR20130087882A (ko) 2013-08-07
KR101368590B1 KR101368590B1 (ko) 2014-03-03

Family

ID=49214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118A KR101368590B1 (ko) 2012-01-30 2012-01-30 하이드로젤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5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44057A (zh) * 2023-09-20 2023-12-19 江苏润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妇科炎症的临床卵黄抗体产品的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44057A (zh) * 2023-09-20 2023-12-19 江苏润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妇科炎症的临床卵黄抗体产品的制备方法
CN117244057B (zh) * 2023-09-20 2024-05-14 江苏润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妇科炎症的临床卵黄抗体产品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590B1 (ko) 201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l et al. Injectable hydrogel-incorporated cancer cell-specific cisplatin releasing nanogels for targeted drug delivery
Park et al. In situ cross-linkable gelatin–poly (ethylene glycol)–tyramine hydrogel via enzyme-mediated reaction for tissue regenerative medicine
CA2999629C (en) Derivatized hyperbranched polyglycerols
An et al. Self-healing PEG-poly (aspartic acid) hydrogel with rapid shape recovery and drug release
KR100517643B1 (ko) 온도 감응성 폴리포스파젠계 고분자,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이용한 주입형 온도 감응성 폴리포스파젠 하이드로젤
Li et al. Injectable supramolecular hydrogels fabricated from PEGylated doxorubicin prodrug and α-cyclodextrin for pH-triggered drug delivery
CN107952079B (zh) 一种联合给药的热致凝胶缓释注射剂及其制备方法
CN104353083A (zh) 一种含有铂类抗肿瘤药物的热致凝胶缓释注射剂及其制备方法
KR101639868B1 (ko) 온도 및 피에이치 민감성 다중블록 공중합체와 알부민의 결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방성 약물 전달체
Wang et al. Kinetically stable metal ligand charge transfer complexes as crosslinks in nanogels/hydrogels: Physical properties and cytotoxicity
Cheng et al. pH-and redox-responsive self-assembly of amphiphilic hyperbranched poly (amido amine) s for controlled doxorubicin delivery
WO2014190849A1 (zh) 阿霉素前药及其制备方法和可注射的组合物
Ferreira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caffolds produced under mild conditions based on oxidized cashew gums and carboxyethyl chitosan
Samanta et al. An unexpected role of an extra phenolic hydroxyl on the chemical reactivity and bioactivity of catechol or gallol modified hyaluronic acid hydrogels
KR101368590B1 (ko) 하이드로젤 및 이를 이용한 약물 전달체
KR101850424B1 (ko) 조직접착용 포스파젠계 고분자,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US11806407B2 (en) Refillable drug delivery by affinity homing
KR101508421B1 (ko) 생분해성 포스포아미드 링커에 의해 가교된 peg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 방법
Fleige et al. Dendronized core-multishell nanocarriers for solubilization of guest molecules
KR101334420B1 (ko) 약물 전달을 위한 코어 크로스링킹된 고분자 마이셀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702508B2 (en) Hydrogels from dynamic covalent networks
KR101420922B1 (ko) 온도 및 피에이치 민감성 다중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7145455A1 (en) Water soluble micelle-forming and biodegradable cyclotriphosphazene-taxol conjugate anticancer ag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0179834B2 (en) Biodegradable network polymers for regenerative medicine and tissue engineering
JP6925579B2 (ja) 環状ベンジリデンアセタール構造を有する生分解性ヒドロゲ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